KR101269280B1 - 용기 덮개 - Google Patents

용기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280B1
KR101269280B1 KR1020070104759A KR20070104759A KR101269280B1 KR 101269280 B1 KR101269280 B1 KR 101269280B1 KR 1020070104759 A KR1020070104759 A KR 1020070104759A KR 20070104759 A KR20070104759 A KR 20070104759A KR 101269280 B1 KR101269280 B1 KR 101269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protrusion
small
wal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4821A (ko
Inventor
미츠오 구마타
히로오미 마츠타니
유지 도미타카
Original Assignee
니혼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4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8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opening or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성 및 개폐시의 감촉을 향상시키는 용기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용기의 용기 덮개의 스커트벽의 주부(主部)의 외주부에는, 선조(線條)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는, 높이가 높은 대돌기부와 대돌기부보다도 주벽부 외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낮은 소돌기부를 포함하고, 주부는 대돌기부를 복수 형성한 대돌기부 영역과 소돌기부를 복수 형성한 소돌기부 영역을 구비하고, 이들 대돌기부 영역과 소돌기부 영역을 주부의 주위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하도록 했다.

Description

용기 덮개{CONTAINER LID}
본 발명은 음료, 세제, 약제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의 구경부에 설치되고, 개폐시에 감촉이 좋은 용기 덮개에 관한 것이다.
커피나 청량 음료수 등의 용기의 용기 덮개에는, 용기 덮개를 개폐할 때에, 바닥이 있는 원통체 형상의 주벽부에 상당하는 소위 스커트벽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조의 돌기부(세로 리브, 업계에서는 날, 로울렛 등으로 지칭됨)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는 용기 덮개를 개폐할 때에,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통상의 용기 덮개에 있어서, 돌기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지만, 용기 덮개의 개폐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54247호 공보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에서는, 스커트벽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조의 돌기부에 대해, 높이가 높은 돌기부(이하, 대돌기부라고 함)와 높이가 낮은 돌기부(이하 소돌기부라고 함)의 2종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들 대돌기부와 소돌기부를 용기 덮개의 스커트벽의 전체 둘레부의 주위 방향을 따라서 번갈아서 배치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용기 덮개의 개폐 시에, 손가락 이 잘 미끄러지지 않게 하고, 용기 덮개의 개폐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전술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54247호 공보의 기술에서와 같이, 대돌기부와 소돌기부를 교대로 배치한 상태에서는, 대돌기부와 소돌기부의 높이 차가 작으면, 손가락이 미끄러지는(개폐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대돌기부와 소돌기부의 높이 차가 커지면, 용기 덮개의 개폐 시에, 손가락의 안쪽으로 대돌기부의 선단이 파고들어 손가락이 아프게 되는 것과 같은 감촉(촉감성)을 갖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TE 밴드(tamper evident band)가 장착되어 있는 용기 덮개는, 사용자가 음료 상품 등의 구입 후에 초기에 마개를 여는 것과 같은 경우, TE 밴드의 브릿지부를 절단하므로, 통상의 마개를 열 때보다도 부하를 필요로 하여, 손끝에 돌기부가 파고들게 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54247호에서는, 대돌기부 및 소돌기부의 높이, 대돌기부 및 소돌기부의 피치를 조정함으로써, 용기 덮개의 개폐성의 향상과 개폐시의 감촉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지만, 대돌기부와 소돌기부를 번갈아서 배치한 형상에서는, 개폐성, 감촉(성)의 향상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개폐성 및 개폐 시의 감촉을 향상시키는 용기 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용기 덮개는, 상면벽과 이 상면벽의 주연부로부터 수직 하강하는 통형의 스커트벽을 구비하고, 이 스커트벽은 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파단 가능한 약화 라인보다도 위쪽의 주부(主部)와 상기 약화 라 인보다도 아래쪽의 TE(tamper evident) 하부로 구획되며, 상기 스커트벽의 적어도 상기 주부의 주벽부에는, 상기 주부의 전체 둘레 방향에 걸쳐, 상기 주벽부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주부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조의 돌기부가 복수개 형성된 용기 덮개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높이가 높은 대돌기부와 이 대돌기부보다도 상기 주벽부 외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낮은 소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부는 상기 대돌기부를 복수 형성한 대돌기부 영역과 상기 소돌기부를 복수 형성한 소돌기부 영역을 포함하며, 이들 대돌기부 영역과 소돌기부 영역을 상기 주부의 주위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하도록 했다.
상기 용기 덮개의 상기 소돌기부 영역에 설치된 돌기부는, 상기 소돌기부 영역 내의 주위 방향 중간측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소돌기부의 상기 주벽부 외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그 외측에 위치하는 소돌기부의 돌출 높이보다도 낮게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돌기부 영역 내에 있어서, 소돌기부의 돌출 높이는 주위 방향 외측으로부터 중간측을 향해 점차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덮개는 상기 대돌기부 영역 및 소돌기부 영역의 각 주위 방향 각도가 10° 이상 내지 45°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덮개의 상기 주부의 주벽부 내면에는, 용기의 구경부에 결합되는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에는 나사산을 갖는 나사부와, 나사산이 결락된 복수의 결락부를 형성하며, 적어도 상기 소돌기부 영역의 상기 주벽부 내면에는 나사부가 배치되고, 상기 결락부의 상기 주벽부 외면에는 적어도 상기 대돌기부 영역이 배치되도록 하면 좋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용기 덮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덮개(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중심선으로부터 우측이 용기 덮개(1)의 정면도, 좌측이 용기 덮개(1)의 단면도이다.
이 용기 덮개(1)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판 형상의 상면벽(5)과 이 상면벽(5)의 주연부로부터 수직 하강하는 거의 원통 형상의 스커트벽(6)을 갖는다. 용기 덮개(1)의 원형 상면벽(5)은 전체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하고, 스커트벽(6)의 하부에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약화 라인(7)이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벽(6)에는, 그 약화 라인(7)보다도 위쪽에 주부(8)를 설치하고, 그보다도 아래쪽에 TE 하부(10)를 설치하고 있다.
주위 방향 약화 라인(7)은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슬릿(12)과 이들 슬릿(12) 사이에 존재하는 브릿지부(14)로 구성되어 있다. 브릿지부(14)는 주부(8)와 하부(10)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고, 브릿지부(14)의 주위 방향 길이는 슬릿(12)의 주위 방향 길이에 비해 충분히 짧게 형성되며,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다.
스커트벽(6)의 주부(8)에는 두께가 동등한 통형의 주벽부(16)와 이 주벽부(16)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17)는 스커트벽(6)의 상하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하는 선조(리브 형상) 형상으로서, 주부(8)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도 3의 용기 덮개(1)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17)는 높이가 높은 대돌기부(18a)와 이 대돌기부(18a)보다도 높이가 낮은 소돌기부(19a∼19c)를 포함한다. 대돌기부(18a)는 단면 형상이 거의 반원형 형상이며, 이러한 동일 형상의 대돌기부(18a)가 동일한 피치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가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대돌기부가 5개 연속하여 배치된 영역을 이하 대돌기부 영역(18)이라고 한다. 이러한 동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대돌기부 영역(18)이 복수 설치되고, 주부(8)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대돌기부 영역(18)의 주위 방향 각도는 10°∼4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주부(8)의 각 대돌기부 영역(18)의 사이에는, 소돌기부 영역(19)이 형성되어 있다. 소돌기부 영역(19)은 전술한 대돌기부(18a)보다도 높이가 낮은 소돌기부(19a∼19c)가 주벽부(16)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소돌기부(19a∼19c)는 소돌기부 영역(19) 내에서, 최외측에 위치하는 2개의 외측 소돌기부(19a)의 높이가 대돌기부(18a)의 높이보다도 낮다. 외측 소돌기부(19a)의 내측에 위치하는 2개의 내측 소돌기부(19b)의 높이는 외측 소돌기부(19a)보다도 낮다. 내측 소돌기부(19b)의 내측 쪽에 위치하고, 소돌기부 영역(19)의 중앙 위치에 있는 하나의 중앙 소돌기부(19c)는 내측 소돌기부(19b)의 높이보다도 더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들 외측 소돌기부(19a), 내측 소돌기부(19b) 및 중앙 소돌기부(19c)의 주위 방향 피치는 대돌기부(18a)의 주위 방향 피치와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대돌기부 영역(18)의 주위 방향 각도와 소돌기부 영역(19)의 주위 방향 각도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치시키고 있다. 또한, 대돌기부 영역(18) 및 소돌기부 영역(19)의 주위 방향 피치는 반드시 일치시킬 필요는 없고,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돌기부 영역(18)에서는, 대돌기부(18a)의 주벽부(16) 외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동일하다. 소돌기부 영역(19)에서는, 소돌기부 영역(19)의 외측으로부터 중간 위치를 향해, 소돌기부(19a, 19b, 19c)의 순으로 배치되고, 소돌기부(19a, 19b, 19c)의 순으로, 주벽부(16) 외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점차 낮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부(8)는 대돌기부 영역(18)의 부분이 대돌기부(18a)의 존재에 따라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고, 소돌기부 영역(19)의 부분이, 대돌기부(18a)보다도 낮은 소돌기부(9a, 19b, 19c)에 의해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2)의 구경부(3)의 외주부에 수나사(4)가 형성되고, 용기 덮개(1)의 스커트벽(6)의 주부(8)측 내주면에는, 수나사(4)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21)를 형성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덮개(1)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21)의 나사산은 주부(8)의 내주벽을 완만하게 나선형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며, 나사부(21a)를 갖는 부분과 나사부(21a)가 없는 결락부(21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부(21a)가 있는 부분은 소돌기부 영역(19)이 있는 주부(8)의 내주면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나사부(21a)가 없는 결락부(21b)의 부분은 대돌기부 영역(18)이 있는 주부(8)의 내주면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벽(5)의 내면측 또한 반경 방향 외측에는, 상면벽(5)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환상 시일(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면 벽(5)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동일하게 상면벽(5)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환상 립(24)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 시일(23)은 외주면이 용기(2) 구경부(3)의 내주면(3a)에 접촉함으로써 시일성을 유지한다.
환상 립(24)은 내주면측에 역계단 형상의 단부(24a)를 형성하고, 단부(24a)는 구경부(3)의 어깨부(3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용기 덮개(1)의 위치를 구경부(3)에 위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도 5는 용기 덮개(1)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상면벽(5)의 내면에는 환상 시일(23)의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리브(26)를 형성하고 있다. 리브(26)가 등각도 간격(120도)으로, 3개소 설치된다. 예컨대, 용기(2) 내의 기압이 높아진 상태에서는, 용기 덮개(1)의 상면벽(5)의 중심부가 용기(2)의 위쪽으로 팽창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리브(26)의 기단측이 환상 시일(23)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리브(26)가 상면벽(5)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움직일 때에, 리브(26)는 시일성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환상 시일(23)을 변형시켜, 용기(2) 내의 벤트를 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용기 덮개(1)의 하부(10)의 내주면 아래쪽에는, 구형 형상으로 판형의 플랩(30)이 연결되고, 플랩(30)은 선단측이 용기 덮개(1)의 내주면측으로 위쪽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플랩(30)은 용기 덮개(1)와의 연결부인 기단측이 힌지부의 역할을 수행하고, 수지의 탄성 효과에 의해, 플랩(30)이 가요성을 갖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30)은 하부(10)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하부(10)의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2)의 구경부(3)에 있어서의 외주면측의 수나사(4)의 하부에는, 용기(2)의 외측측으로 돌출하는, 아래쪽측을 향하는 면이 있는 맞물림부(28)를 형성하고 있다. 플랩(30)은 용기 덮개(1)를 닫을 때에, 플랩(30)이 접혀진 상태로 맞물림부(28)를 타고 넘으면, 플랩(30)의 선단부가 용기(2)의 중심측을 향해, 맞물림부(28)의 하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용기 덮개(1)는 사용자가 마개를 열 때에는, 한쪽 손으로 용기를 꽉 쥐어 고정하고, 다른쪽 손의 손끝에 의해 용기 덮개(1)를 개방한다. 주부(8)를 회전시키면, 암수나사(4, 21)의 작용에 의해, 용기 덮개(1) 전체가 위쪽으로 이동하지만, TE 하부(10)에 설치되는 플랩(30)이 용기(2)의 맞물림부(28)에 맞물리므로, 주부(8)의 측만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주부(8)의 이동에 의해, 약화 라인(7)의 브릿지부(14)가 절단되고, 약화 라인(7)을 경계로 하여, 주부(8)측이 용기(2)의 구경부(3)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약화 라인(7)을 분리할 때에는, 통상의 마개를 열 때보다도 부하가 크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덮개(1)의 주부(8)의 주위에 대돌기부 영역(18) 및 소돌기부 영역(19)을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주부(8)에 손가락을 대고, 손끝을 미끄러뜨리지 않으면서 큰 부하를 걸 수 있으며, 대소돌기부 영역(18, 19)에 손을 댐으로서, 매끄러운 감촉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용기 덮개(1)는 대돌기부 영역(18)의 대돌기부(18a)의 선단부로부터 소돌기부 영역(19a∼19c)의 선단부로의 형상이 완만한 파형 형상의 곡선을 그리고 있으므로, 손끝을 대돌기부 영역(18) 및 소돌기부 영역(19)에 가압하더라도 손가락에 파 고들어 아프게 되는 등의 감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약화 라인(7)의 절단 후의 용기 덮개(1)의 개폐에 대해서도, 양호한 용기 덮개(1)의 개전성(開栓性)과, 촉감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돌기부(18a)의 높이가 통상의 크기이고, 소돌기부(19a∼19c)의 돌출부는 대돌기부(18a)보다도 작으므로, 그 소돌기부(19a∼19c)의 크기가 작은 만큼, 주부[스커트벽(6)](8)의 두께를 얇게 하여, 용기 덮개(1)의 경량화 및 재료비의 절약을 도모하고 있다. 한편, 주부(8)의 소돌기부 영역(19)이 두께가 얇은 만큼 용기 덮개(1)의 강도를 부분적으로 잃을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나사(21)에는 소돌기부 영역이 있는 부분에 대응하여 암나사(21)의 나사부(21a)를 형성하고, 강성이 큰 대돌기부 영역(18)에는, 암나사(21)의 결락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용기 덮개(1)는 나사부(21a)와 결락부(21b)를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용기 덮개(1)의 강도의 밸런스를 취하는 동시에 용기 덮개(1)의 성형시의 냉각 효율이 향상되어, 이형(離型) 저항의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어, 나사가 풀려 덜컹거리는 것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용기 덮개(1)는 음료 등의 충전 시에 유지 지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용기 덮개(1)를 유지하고, 일정한 하중, 회전 토크에 의해 용기 덮개(1)를 용기(2)에 감아 결합한다. 이때, 복수의 돌기부(17)의 요철 형상이 유지 지그에 맞물리고, 용기 덮개(1)를 감아 결합할 때에 슬립을 방지하지만, 유지 지그의 돌기부(17)에 대한 걸림에는 문제가 없었고, 감아 결합하는 각도의 변동 등에 지장이 생기지 않 았다.
또한, 용기 덮개(1)의 스커트벽(6)의 하부(10)에는, 플랩(30)을 하부(10)의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있지만, 소돌기부 영역(19)이 있는 부분에 대응하여 플랩(30)을 형성하고, 대돌기부 영역(18)이 있는 부분에는 플랩(30)을 생략하여, 소돌기부 영역(19)의 강성을 강화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용기 덮개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용기 덮개의 Y-Y 선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며, 상면벽 부분을 생략한 도면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명칭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나사(21)에는 소돌기부 영역(19)이 있는 부분에 대응하여 암나사(21)의 나사부(21a)를 형성하고, 강성이 큰 대돌기부 영역(18)에는, 암나사(21)의 결락부(21b)를 형성하며, 용기 덮개(1)의 강도의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예컨대, 나사가 주위 방향으로 1.5 회전한 등의 경우는, 암나사가 상하 방향으로 2중으로 되어 존재하는 부분과, 중복부가 없이 단일로 존재하는 부분이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단일로 존재하는 부분에 대해 결락부를 형성하면, 이 결락부의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도 강성을 잃게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강성의 밸런스를 고려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용기 덮개(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덮개(1)의 내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암나사(21)에는, 용기 덮개(1)의 상하 방향으 로 나사가 2중으로 중첩되어 있는 나사 주위 방향 다중 영역(M)과, 전혀 중첩되지 않는 단 하나의 나사 주위 방향 단일 영역(S)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 나사 주위 방향 단일 영역(S)은 나사산이 상하로 2중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나사 주위 방향 다중 영역(M)의 부분에 비하여 강성이 작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나사 주위 방향 단일 영역(S) 내에서는, 소돌기부 영역(19)이 있는 영역뿐만 아니라 대돌기부 영역(18)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결락부(21b)를 형성하지 않고, 연속 나사부(21c)를 형성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암나사(21)의 일단(시단)부의 암나사(2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으로부터, 타단(종단)부까지의 사이에 있는 나사 주위 방향 단일 영역(S) 사이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나사 주위 방향 단일 영역(S)의 양단에 인접하는 나사부(21a)까지 연속되게, 연속 나사부(21c)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나사의 주위 방향의 중복 수(권취수)가 정수로 나눠지지 않는 나사부에 대하여, 용기 덮개(1)의 주위 방향에 대한 강성이 부분적으로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용기 덮개의 시험예에 대해 설명한다.
시험예 1로서, 도 3에 도시하는 대돌기부와 소돌기부의 배치별 또는 소돌기부의 유무 등에 따른, 용기 덮개의 개전 성능, 캡핑 적정성, 중량을 시험했다. 용기 덮개의 개전 성능은 용기 덮개의 개전시의 용기 덮개의 걸림성(개전성)과, 용기 덮개를 쥐었을 때에 손가락에 돌기부(17)가 물리는 것 같은 감각(촉감)을 비교했다. 캡핑 적정성은 용기에 용기 덮개를 닫을 때에, 유지 지그가 일정한 하중 및 회전 토크에 의해 용기 덮개를 감아 결합하지만, 돌기부(17)에 결합하는 유지 지그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마개를 닫을 수 있는 적정성을 비교했다.
비교예 1로서,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돌기부(18a)를 6개 설치하고, 대돌기부 영역(18) 사이에 돌기부를 형성하지 않는 용기 덮개를 형성했다. 비교예 2로서,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돌기부(18a)를 5개 설치하고, 대돌기부 영역(18) 사이의 중앙부에 대돌기부(18a)를 1개 설치한 용기 덮개를 형성했다. 비교예 3로서,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돌기부(18a)와 소돌기부(19a)를 교대로 배치한 용기 덮개를 형성했다. 비교예 4로서, 도 8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돌기부(18a)를 스커트벽의 주부의 주위 전체에 균일하게 배치한 용기 덮개를 형성했다. 실시예 1로서, 도 8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대돌기부 영역(18) 및 소돌기부 영역(19)을 스커트벽의 주부의 주위에 교대로 형성한 것을 준비하고, 이들의 시험 결과를 표 1에 도시한다.

돌기부 형상
개전 성능 캡핑 적정성
중량
개전성 촉감
비교예 1 6산-0산
비교예 2 5산-1산
비교예 3 교대로
비교예 4 균일하게 120산
실시예 1 파형
◎, ○, △의 순으로 양호
표 1 중의 평가에 있어서, ◎, ○, △ 중 ◎이 가장 평가가 높고, 이들을 순서에 따라 평가를 낮게 한 것이지만, △가 불가하여 사용에 부적합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시험 결과로부터, 비교예 1과 같이, 대돌기부 영역을 설치하고, 대돌기부 영역 사이에 돌기부를 형성하지 않은 것은 개폐시의 개전성의 평가가 높지만, 요철의 차가 크고, 스커트벽을 쥐었을 때의 촉감의 평가가 낮았다. 통상의 용기 덮개인 대돌기부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비교예 4에서는, 마개를 열 때에 걸림이 약하고, 개폐 시의 개전성의 평가는 낮았지만, 쥐었을 때에 손끝의 아픔이 없으며, 이 점에서는 촉감의 평가가 높고, 비교예 2 및 3에 대해서는, 특히 평가가 높은 것은 없었다. 실시예 1에서는, 개폐시의 개전성 및 촉감 모두에 대한 평가가 높았다.
다음으로, 시험예 2로서, 도 3에 도시하는 대돌기부 영역의 양단 위치에 있는 대돌기부의 주위 방향 각도 θ를 바꾸어, 용기 덮개의 개전성, 개전 감촉을 시험했다.
용기 덮개의 조건으로서, 소돌기부 영역은 상기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한 돌기부 형상(돌기부의 수 5)으로 하고, 대돌기부 영역의 대돌기부의 피치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대돌기부의 수를 증감함으로써 주위 방향각(θ)의 크기를 변경했다. 또한, 대돌기부 및 소돌기부의 1 피치의 주위 방향 각도는 3° 이다(전체로서 120산). 도 3에 도시하는 대돌기부 영역의 주위 방향각(θ)은, 대돌기부가 4피치인 것으로 12°이다. (실시예 3)
실시예 2로서, 주위 방향각(θ)이 6°(3산)인 것, 실시예 3으로서 θ가 12°(5산)인 것, 실시예 4로서 θ가 27°(10산)인 것, 실시예 5로서 θ가 42°(15산)인 것, 실시예 6으로서 57°(20산)인 것을 동일 용기에 의해 용기 덮개의 개폐를 행하여, 용기 덮개에 대한 손끝의 걸림 상태(개폐성), 개폐시에 있어서의 손가락의 돌기부에 파고들어가는 것이나 촉감 상태(개전 감촉성) 및 용기 덮개의 중량을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배치 각도
개전 성능 캡핑 적정성
중량
개전성 촉감
실시예 2 θ=6°
실시예 3 θ=12°
실시예 4 θ=27°
실시예 5 θ=42°
실시예 6 θ=57°
판정: ◎, ○, △의 순으로 양호
표 2 중의 평가에 있어서, ◎, ○, △ 중 ◎가 가장 평가가 높고, 이들을 순서에 따라 평가를 낮게 한 것이지만, △가 불가하여 사용에 부적합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주위 방향각(θ)의 각도가 작아지면, 실시예 2와 같이 캡핑 적정성이 나빠지고, 주위 방향각(θ)의 각도가 커지면, 실시예 6과 같이, 개전 감촉이 향상되지만, 실시예 6에서는, 개폐시의 파지성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위 방향각(θ)은 10° 이상, 45° 이내의 범위이면, 개전 감촉성에 우수한 효과가 있고, 개전성 및 캡핑 적정성도 양호했다. 용기 덮개의 중량에 대해서는, 당연하지만, 대돌기부의 수가 많은 실시예 6이 가장 무겁고, 대돌기부의 수가 적은 실시예가 가장 경량이며, 본 실시예 2에서는, 소돌기부를 형성하는 만큼 용기 덮개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었다. 또한, 소돌기부의 부위는 주부의 두께가 얇게 되었으므로, 강성을 잃기는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부를 형성하여 보강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덮개(1)를 수지제 용기 덮개로 했지만, 용기 덮개에 대해서는, 금속제 캡이더라도 좋고, 주부에 본 실시형태와 동일한 대돌기부 영역 및 소돌기부 영역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소돌기부 영역(19)에 있어서 소돌기부(19a∼19c)의 크기를 중앙측을 향해 점차 작게 하여, 용기 덮개(1)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 높이를 작게 했지만, 소돌기부는 돌출 높이를 동일하게 하여 이들의 선단부를 동일 원주 상에 배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용기 덮개는 스커트벽의 주부에 높이가 높은 대돌기부를 복수 갖는 대돌기부 영역과, 대돌기부보다도 상기 주벽부 외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낮은 소돌기부를 복수 갖는 소돌기부 영역을 설치하고, 이들 대돌기부 영역과 소돌기부 영역을 상기 주부의 주위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하도록 했으므로, 용기 덮개의 마개를 열 때 또는 마개를 닫을 때에, 손끝이 미끄러지지 않으며, 대돌기부 및 소돌기부에 강하게 닿더라도, 손끝이 돌기부 사이에 파고드는 것과 같은 감촉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소돌기부의 크기(소돌기부의 돌출 길이)를 2종 이상으로 하여 설치함으로써, 각 소돌기부에 있어서의 요철의 차가 적어져, 용기 덮개의 돌기부를 잡았을 때의 감촉이 더욱 향상된다. 이 소돌기부는 소돌기부 영역 내에 있어서, 소돌기부의 돌출 높이를 주위 방향 외측으로부터 중간측을 향해 점차 감소시킴으로써, 감촉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대돌기부 영역 및 소돌기부 영역의 각 주위 방향 각도를 10° 이상 내지 45° 이하의 범위로 함으로써, 손끝이 미끄러지지 않고 아울러 손끝이 돌기부 사이에 파고드는 것과 같은 감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돌기부 영역의 주벽부 내면에 나사부가 배치되고, 나사의 결락부의 주벽부 외면에 대돌기부 영역이 배치되도록 했으므로, 성형시의 수지의 냉각 시간이 균일하게 되고, 성형 불량의 발생이 방지되고, 용기 덮개의 강도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용기 덮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용기 덮개와 용기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면의 중심선으로부터 우측은 용기 덮개의 정면도, 좌측은 그 단면도.
도 3은 도 4의 용기 덮개의 X-X선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용기 덮개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용기 덮개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용기 덮개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용기 덮개의 Y-Y선 방향의 단면도이며, 상면벽 부분을 생략한 도면.
도 8의 A는 시험예 1에 있어서 비교예 1의 돌기부 형상의 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비교예 2의 돌기부 형상의 단면도이며, 도 8의 C는 비교예 3의 돌기부 형상의 단면도이고, 도 8의 D는 비교예 4의 돌기부 형상의 단면도이며, 도 8의 E는 실시예 1의 돌기부 형상의 단면도.

Claims (5)

  1. 상면벽과 이 상면벽의 주연부로부터 수직 하강하는 통형의 스커트벽을 구비하고, 이 스커트벽은 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파단 가능한 약화 라인보다도 위쪽의 주부(主部)와 상기 약화 라인보다도 아래쪽의 TE 하부(tamper evidence hem)로 구획되고, 상기 스커트벽의 적어도 상기 주부의 주벽부(周壁部)에는, 상기 주벽부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주부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조의 돌기부가, 상기 주부의 전체 둘레 방향에 걸쳐 복수개 형성된 용기 덮개로서,
    상기 돌기부는, 높이가 높은 대돌기부와 이 대돌기부보다도 상기 주벽부의 외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낮은 소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부는 상기 대돌기부를 복수개 형성한 대돌기부 영역과 상기 소돌기부를 복수개 형성한 소돌기부 영역을 포함하고, 이들 대돌기부 영역과 소돌기부 영역을 상기 주부의 주위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돌기부 영역에 설치된 돌기부는, 상기 소돌기부 영역 내의 주위 방향 중간측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소돌기부의 상기 주벽부의 외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그 외측에 위치하는 소돌기부의 돌출 높이보다도 낮게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덮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돌기부 영역 내에 있어서, 소돌기부의 돌출 높이는 주위 방향 외측으로부터 중간측을 향해 점차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덮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돌기부 영역 및 소돌기부 영역의 각 주위 방향 각도를 10° 이상 내지 45°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덮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의 주벽부 내면에는, 용기의 구경부에 결합하는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에는 나사산을 갖는 나사부와, 나사산이 결락한 복수의 결락부를 형성하며, 적어도 상기 소돌기부 영역의 상기 주벽부의 내면에는 나사부가 배치되고, 상기 결락부의 상기 주벽부의 외면에는 적어도 상기 대돌기부 영역이 배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덮개.
KR1020070104759A 2006-10-17 2007-10-17 용기 덮개 KR101269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82552A JP4912829B2 (ja) 2006-10-17 2006-10-17 容器蓋
JPJP-P-2006-00282552 2006-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821A KR20080034821A (ko) 2008-04-22
KR101269280B1 true KR101269280B1 (ko) 2013-05-29

Family

ID=3892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759A KR101269280B1 (ko) 2006-10-17 2007-10-17 용기 덮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07547B2 (ko)
EP (1) EP1914174B1 (ko)
JP (1) JP4912829B2 (ko)
KR (1) KR101269280B1 (ko)
CN (1) CN101164832B (ko)
DE (1) DE60200700416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245490S (en) * 1976-01-19 1977-08-23 Klitzner William S Zodiac charm
ITBS20060190A1 (it) 2006-10-27 2008-04-28 Guala Pack Spa Tappo per contenitore munito di sigillo di garanzia
JP5022179B2 (ja) * 2006-11-01 2012-09-12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容器蓋
JP4949161B2 (ja) * 2007-07-30 2012-06-06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容器蓋
US8807360B2 (en) * 2008-04-30 2014-08-19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Tamper-evident bottle and closure having vents
PE20130250A1 (es) * 2009-11-20 2013-03-18 Smooth Hip Ltd Tapa para botella con formaciones externas desmontables
FR2956387B1 (fr) * 2010-02-15 2012-07-06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Bouchon pour un col de recipient
US8231020B2 (en) * 2010-05-27 2012-07-31 Silgan White Cap LLC Impact resistant closure
US9790005B2 (en) * 2010-10-15 2017-10-17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Plastic closure with enhanced performance
EP2663506B1 (en) * 2011-01-14 2015-09-09 Creanova Universal Closures Limited Closure
IT1404125B1 (it) * 2011-02-18 2013-11-15 Guala Pack Spa Tappo per contenitori, ad esempio per bottigliette o imballi flessibili, in particolare per bevande per bambini
MX371254B (es) * 2011-06-14 2020-01-23 Closure Systems Int Inc Cierre que tiene rendimiento mejorado.
RU2011143963A (ru) * 2011-11-01 2013-05-10 Дмитр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Вихорев Способ увеличения сцепления на крышки пэт
US20140224760A1 (en) * 2013-02-08 2014-08-14 King Abdulaziz C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KACST) Integrated container cover and drinking device and use of the same
US9428292B2 (en) 2013-03-13 2016-08-30 Silgan White Cap LLC Fluid injec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tainer walls
JP6174440B2 (ja) * 2013-09-30 2017-08-02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キャップ
US20150129534A1 (en) * 2013-11-08 2015-05-14 Sacmi Cooperativa Meccanici Imola Societa' Cooperativa Closure capsule for containers
US11273962B2 (en) 2014-02-14 2022-03-15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Tamper-evident closure
USD756776S1 (en) 2014-09-10 2016-05-24 Celgene Corporation Bottle cap
USD756234S1 (en) 2014-09-10 2016-05-17 Celgene Corporation Bottle with cap
CN204280232U (zh) * 2014-09-30 2015-04-22 泉州华硕实业有限公司 一种抗冲击防盗瓶盖
WO2016116344A1 (en) * 2015-01-23 2016-07-28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Screw cap, tool and method for screwing a cap onto a container
US20160332783A1 (en) 2015-05-11 2016-11-17 Silgan White Cap LLC Lightweight Closure with Tamper Band
JP6542575B2 (ja) * 2015-05-12 2019-07-10 花王株式会社 容器用のキャップ
CN204675049U (zh) * 2015-06-04 2015-09-30 刘和平 一种瓶盖和瓶子
USD775726S1 (en) * 2015-09-01 2017-01-03 PRG Technologies, Inc. Toxicology cup lid
USD805395S1 (en) 2015-09-02 2017-12-19 Abbott Laboratories Bottle
USD869274S1 (en) * 2015-09-11 2019-12-10 Silgan White Cap LLC Threaded plastic cap
USD872577S1 (en) * 2015-09-11 2020-01-14 Silgan White Cap LLC Threaded cap
USD767405S1 (en) 2015-09-21 2016-09-27 Celgene Corporation Bottle with cap
USD778160S1 (en) 2015-09-21 2017-02-07 Celgene Corporation Bottle cap
JP6846916B2 (ja) * 2016-11-18 2021-03-24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容器蓋把持チャック
US10407220B2 (en) * 2017-03-07 2019-09-10 Silgan White Cap LLC Low weight closure having an improved gripping surface
JP6954760B2 (ja) * 2017-04-26 2021-10-27 株式会社Csiジャパン 合成樹脂製キャップ、閉止装置、および飲料入り閉止装置
US10532858B2 (en) 2017-09-06 2020-01-14 Creanova Universal Closures Ltd. Closure for container neck finishes
US10407225B2 (en) 2017-11-07 2019-09-10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Closure and package that vents at high pressure
USD869275S1 (en) * 2018-04-16 2019-12-10 Alphagem Bio Inc. Dual seal tube cap
USD885904S1 (en) * 2018-05-01 2020-06-02 Silgan White Cap LLC Venting closure
JP2022551480A (ja) 2019-10-07 2022-12-09 クロージャー・システムズ・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フリップトップ式クロージャ
US11939115B2 (en) * 2019-12-11 2024-03-26 Berry Global, Inc. Tamper evident closure
USD968218S1 (en) * 2020-02-26 2022-11-0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Lid for packaging
CA3126215A1 (en) 2020-06-23 2021-12-23 Silgan White Cap LLC Sealing structures for closure
US20220024649A1 (en) * 2020-07-24 2022-01-27 Cap-Thin Molds Inc. Tamper Evident Container Cap Method and Apparatus
US20220097935A1 (en) * 2020-09-28 2022-03-31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Package and closure with tamper-evident band
EP4267481A1 (en) 2020-12-22 2023-11-01 Silgan White Cap LLC Venting closure liner
USD996967S1 (en) 2021-05-17 2023-08-29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Closure
USD996968S1 (en) 2021-05-17 2023-08-29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Closure
US11970319B2 (en) 2022-05-10 2024-04-30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Anti-rotational and removal closure
US11945625B2 (en) 2022-06-24 2024-04-02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Package with closure
CN115140418A (zh) * 2022-08-08 2022-10-04 佩里科尼(苏州)瓶盖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容器盖体的开启方法及容器盖体
US11801977B1 (en) 2022-12-02 2023-10-31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Package with one-piece clos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4247A (ja) 2000-06-12 2001-12-25 Lion Corp キャップ
KR100439445B1 (ko) 1994-06-24 2004-09-30 스미스크라인 비참 피.엘.시. 외측포일덮개를구비한용기및마개
JP2005178828A (ja) 2003-12-18 2005-07-07 Tenryu Kagaku Kogyo Kk ねじ蓋及び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1841A (en) * 1979-05-07 1980-12-30 Consumers Glass Company Ltd. Severable connecting means
US4540099A (en) * 1984-05-04 1985-09-10 Owens-Illinois, Inc. Tamper indicating package
DE3421820A1 (de) * 1984-06-13 1985-12-19 Zeller Plastik Koehn, Gräbner & Co, 5583 Zell Originalitaetsverschluss
US4727998A (en) * 1986-06-27 1988-03-01 Simon B Kenneth Tamper evident closure
US5273173A (en) * 1990-02-05 1993-12-28 Lynes Holding S.A. Screw top
ES1021753U (es) * 1992-05-29 1993-01-16 Novembal, S.A. Dispositivo de obturacion a rosca perfeccionado.
GB2269372A (en) * 1992-08-06 1994-02-09 Lawson Mardon Cap with tamper-evident band
US5527513A (en) * 1994-04-08 1996-06-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ollection assembly
JP2000326682A (ja) * 1999-03-15 2000-11-28 Kotobuki:Kk 筆記具の筆記軸体
DE10034608A1 (de) * 1999-07-20 2001-05-17 Weis Kg Schraubverschlußkappe aus Kunststoff
US6095358A (en) * 1999-07-26 2000-08-01 Marino; Michael Anti-creeping cap for container
KR20010096600A (ko) * 2000-03-13 2001-11-07 도케 케이시 합성수지제 용기뚜껑
US6609287B2 (en) * 2000-12-11 2003-08-26 Sussex Technology, Inc. Cosmetic container cap
BRPI0215724B1 (pt) * 2002-05-02 2015-03-17 Bormioli Rocco & Figlio Spa Cápsula à prova de criança com tira de segurança
JP4098222B2 (ja) * 2003-11-28 2008-06-1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用グリップ
JP4413071B2 (ja) * 2004-05-11 2010-02-10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蓋
JP2006001600A (ja) * 2004-06-18 2006-01-05 Toppan Printing Co Ltd 不正開封防止機能付きプラスチック口栓キャップ
JP4553677B2 (ja) * 2004-10-22 2010-09-29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合成樹脂製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445B1 (ko) 1994-06-24 2004-09-30 스미스크라인 비참 피.엘.시. 외측포일덮개를구비한용기및마개
JP2001354247A (ja) 2000-06-12 2001-12-25 Lion Corp キャップ
JP2005178828A (ja) 2003-12-18 2005-07-07 Tenryu Kagaku Kogyo Kk ねじ蓋及び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07547B2 (en) 2009-10-27
EP1914174B1 (en) 2010-01-06
JP4912829B2 (ja) 2012-04-11
US20080087625A1 (en) 2008-04-17
EP1914174A1 (en) 2008-04-23
KR20080034821A (ko) 2008-04-22
DE602007004160D1 (de) 2010-02-25
JP2008100697A (ja) 2008-05-01
CN101164832A (zh) 2008-04-23
CN101164832B (zh)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280B1 (ko) 용기 덮개
EP3851396B1 (en) A closure assembly
US9045265B2 (en) Child proof closure cap for container with combined tilting and rotating operation
CN112384449B (zh) 扭转和翻转封盖
US6811047B1 (en) Closure with enhanced removal capability
US8590719B2 (en) Two piece child resistant closure that is easy to open and/or manufacture
EP1502871B1 (en) Child-resistant flip-top dispensing closure and package
US8251236B1 (en) Closure with lifting mechanism
KR19990071736A (ko) 가소성 러그 폐쇄체
US20140263149A1 (en) Container With Coupling Features
AU2012239853B2 (en) Closure with folded-up tamper evident band
US20070068945A1 (en) Constant force peelable seal for container
JP4949161B2 (ja) 容器蓋
US4442945A (en) Unitary screw-type safety closure and closure-container combination
JP5022179B2 (ja) 容器蓋
JP5022142B2 (ja) 容器蓋
EP1572550B1 (en) Threaded packaging with a "click" function
JP6954760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閉止装置、および飲料入り閉止装置
JP6749077B2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7466827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6929728B2 (ja) チューブ容器
CA1142479A (en) Child proof cap
BR112019021699B1 (pt) Conjunto de fechamento e recipiente
NZ614295B2 (en) Closure with folded-up tamper evident 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