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403B1 - 단말을 이용한 대중교통 정산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을 이용한 대중교통 정산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403B1
KR101266403B1 KR1020120056707A KR20120056707A KR101266403B1 KR 101266403 B1 KR101266403 B1 KR 101266403B1 KR 1020120056707 A KR1020120056707 A KR 1020120056707A KR 20120056707 A KR20120056707 A KR 20120056707A KR 101266403 B1 KR101266403 B1 KR 101266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ublic transportation
settlement
mobile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배
김지연
Original Assignee
에이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6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중교통 이용시 정류장에 설치된 정보태그로부터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정산서버로 전송하여 대중교통 이용에 따른 요금을 정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정류장에 설치된 정보태그를 읽어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정산서버로 제공하는 사용자 이동단말;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수신하고 대중교통 운행정보를 조회하여 이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대중교통 요금 정산을 수행하는 정산서버; 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정산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단말을 이용한 대중교통 정산 시스템 및 그 방법{Public transportation fare management system using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대중교통 이용시, 사용자의 대중교통의 하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요금을 정산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대중교통 요금 정산 시스템은 사용자가 대중교통을 승차시에 대중교통 내에 설치된 교통단말을 통해서 승차 정보를 생성하고, 하차시 대중교통 내에 설치된 교통단말과 통신하여 생성한 하차정보를 이용하여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처리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대중교통 요금 정산 시스템은 사용자가 하차시 교통단말과 통신하지 못하거나 통신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환승처리와 같은 제대로 된 대중교통 이용에 따른 요금을 처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중교통 이용시 정류장에 설치된 정보태그로부터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정산서버로 전송하여 대중교통 이용에 따른 요금을 정산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은 대중교통 운행 정보와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이용하여 정산 시간 이내에 사용자가 하차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로부터 정류장에 설치된 정보태그를 읽어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정산서버로 제공하는 사용자 이동단말;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수신하고 대중교통 운행정보를 조회하여 이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대중교통 요금 정산을 수행하는 정산서버; 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정산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정보태그에는 상기 정류장 아이디 및 상기 정산서버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는 상기 대중교통의 종류 및 노선정보,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의 승차 시간, 상기 정류장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의 하차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정류장에 설치된 정보태그 및 정산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정보태그와 태깅시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와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및 상기 정보태그와 태깅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정보태그로부터 획득한 상기 정산서버의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정산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상기 정산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이동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의 정산 시스템의 사용자 이동단말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정보태그와 태깅시 상기 정보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하는 NFC 통신부; 및 상기 정산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정산서버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보태그에는 상기 정류장 아이디 및 상기 정산서버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는 상기 대중교통의 종류 및 노선정보,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의 승차 시간, 상기 정류장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의 하차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 제어부는 상기 정산 서버로부터 하차처리 결과를 수신한 이후에 환승을 위한 하차 시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차처리 결과는 대중교통 수단이 상기 정류장을 출발한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환승을 위한 하차 시간정보는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가 생성된 시간 또는 상기 대중교통 수단이 상기 정류장을 출발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이동단말 통신부;와 대중교통 운행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대중교통 이용에 따른 요금을 정산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수집 정보를 수신하는 대중교통 수신부; 및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와 상기 대중교통 운행 정보를 서로 비교 분석하여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 생성 시간이 정산 처리 시간내인지를 판단하여 정산 처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정산 처리 정보와 상기 대중교통 수집 정보를 병합하여 상기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정산하는 정산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의 정산 시스템의 정산서버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와 상기 정산 처리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정산한 결과를 저장하는 정산 요금 처리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상기 대중교통 내에 설치된 교통단말과 정상적으로 요금 정산을 처리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정산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상기 정산 요금 처리 데이터베이스에 정산DB 로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상기 교통단말과 정상적으로 요금 정산을 못하고 정류장에 설치된 정보태그와 태깅하여 생성한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정산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상기 정산 요금 처리 데이터베이스에 미정산DB 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이동단말이 정류장에 설치된 정보태그와 태깅하여 상기 정류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상기 정류장 정보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생성하여 정산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정산서버가 대중교통 운행정보를 조회하고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산서버가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와 상기 대중교통 운행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서로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정산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하차정보가 포함된 정산 처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정산서버가 대중교통 수집 정보를 조회하고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산서버가 상기 정산 처리정보와 상기 대중교통 수집 정보를 병합하여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정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의 정산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정산서버가 상기 정산처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정산서버에서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가 정산처리 시간내에 생성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정산서버에서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가 상기 정산처리 시간내에 생성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하차정보가 포함된 정산 처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정산처리 시간내에 생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상적인 정산 처리가 불가하다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 전송한 후에 상기 정산 처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산서버는 상기 정산처리 정보를 생성한 이후에,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탑승했던 대중교통 수단이 상기 정류장을 출발한 출발시간을 포함하는 하차처리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산 처리 정보에는 사용자 이동단말이 이용한 대중교통 종류, 노선 번호, 승차한 정류장 아이디, 승차 시간 및 하차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류장에 설치된 정보태그와 태깅함으로써 간편하게 사용자의 하차정보를 정산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에 따른 정산 처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복잡한 대중교통 내에서 하차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아닌 하차후에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간편하게 하차정보를 생성하여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사용자 이동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정산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사용자 이동단말의 미처리 정산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은 사용자 이동단말(100), 정보태그(200)와 정산서버(30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이동단말(100)은 정류장에 설치된 정보태그(200)로 부터 정류장 정보를 읽어 대중교통이용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정보태그(200)로 부터 정산서버(300)의 주소를 알아내서 생성한 대중교통이용정보를 정산서버(300)로 전송한다.
정보태그(200)는 정류장에 설치되어 있는 엔에프씨 패시브태그(NFC passive tag)로 정류장 아이디와 정산서버 주소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정류장 아이디는 정류장를 타 정류장과 구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하고 정산서버 주소는 사용자 이동단말(100)이 정산서버(300)와 접속하기 위한 주소로 URL 주소로 되어 있다.
정산서버(300)는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에 따른 요금 정산을 하는 서버로, 사용자 이동단말(100)이 정상적으로 버스(400)와 같은 대중교통 내에 설치된 교통단말과 태깅하여 하차한 경우에 생성되는 정상적인 정산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정산하는 정상 정산기능과, 사용자가 버스(400)와 같은 대중교통 내에 설치된 교통단말과 태깅하지 못하고 하차한 후에 정류장에 설치된 정보태그(200)와 태깅후에 생성하는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정산하는 미처리 정산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미처리 정산 기능이란 사용자 단말(100)이 정상적으로 버스(400)와 같은 대중교통 내에 설치된 교통단말과 태깅하여 하차정보를 생성하여 요금처리를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 정류장 내에 설치된 정보태그(200)를 통해 정산서버와 통신하여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정산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1 을 통해 정상 정산기능과 미처리 정산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상 정산기능은 ①번 과정을 통해 사용자 이동단말(100)이 버스(400)내에 설치된 인포 단말과 통신하여 승차 및 하차 정보를 생성하고, 버스(400)는 ③번 과정을 통해 승차 및 하차 정보를 대중교통 수집 장치(500)로 전송하고, ④번 과정을 통해 정산서버(300)가 대중교통 수집 장치(500)로부터 사용자 이동단말(100)의 승차 및 하차 정보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이용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여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정산한다.
상술한 정상 정산 기능은 기존의 대중교통 요금 정산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다음으로, 미처리 정산기능은 사용자 이동단말(100)이 버스(400) 내에 설치된 교통단말과 승차시 승차정보만 생성하고 하차시 태깅을 하지 못하고 하차한 경우에, ⑤번 과정을 통해 정류장에 설치된 정보태그(200)와 태깅하여 정류장 정보와 정산서버 주소를 획득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⑥번 과정을 통해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정산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버스(400)는 사용자 단말의 승차 정보를 ③번 과정을 통해 대중교통 수집장치(500)로 전송한다.
이후, 정산서버(300)는 ②번 과정을 통해 버스(400) 또는 ③번 과정을 통해 대중교통 수집장치(500)로 부터 사용자 이동단말(100)의 승차 정보와 대중교통 운행정보 및 대중교통 수집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정산서버(300)는 수신한 대중교통 이용정보와 사용자 이동단말(100)의 승차 정보, 대중교통 운행정보 및 대중교통 수집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이동단말(100)이 정상적으로 버스(400)와 같은 대중교통 내에 설치된 교통단말과 통신하지 못하고 하차한 후에, 정류장에 설치된 정보태그를 이용하여 대중교통의 요금 정산 처리를 하는 미처리정산 기능을 수행한다.
정산서버(300)는 요금 정산을 수행한 후에 ⑦번 과정과 같이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이동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산서버(300)는 대중교통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이동단말(100)이 탑승하고 하차한 버스(400)가 정보태그가 설치되어 있던 정류장을 출발한 출발시간 정보를 사용자 이동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사용자 이동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사용자 이동단말(100)은 NFC 통신부(110),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 정산서버 통신부(130), 저장부(140) 및 사용자 단말 제어부(150)을 포함한다.
NFC 통신부(110)는 정보태그와 NFC을 통해 통신하여 정보태그로부터 정류장의 정보와 정산서버의 주소를 읽어온다.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는 정보태그(200)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오고 읽어온 정보를 이용하여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정보태그와 태깅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정산서버 통신부(130)는 정보태그(200)에 저장된 정보 중 정산서버의 주소를 이용하여 정산서버(300)와 접속하고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정산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40)는 정보태그(200)로부터 읽어낸 정보와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정산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하차처리 결과를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하차처리 결과는 사용자 이동단말(100)이 탑승했던 버스(400)가 정류장을 출발한 출발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40)은 USIM 카드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제어부(150)는 정보태그(200)와 태깅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를 동작시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정보태그(200)로부터 획득한 정산서버의 주소를 이용하여 정산서버 통신부(130)를 동작시켜 정산서버(300)와 접속하여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정산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는 정보태그와 태깅시 동작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고 정보태그와 태깅 이전에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도록 하여 정보태그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여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정산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정산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통신부(310), 제1 저장부(320), 대중교통 수신부(330), 제2 저장부(340), 정산서버 제어부(350) 및 정산 요금 처리 데이터베이스(36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통신부(310)는 사용자 이동단말(200)과 통신하여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저장부(320)는 수신한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저장한다.
대중교통 수신부(330)는 사용자 이동단말(100)의 요금 정산을 위해서 필요한 대중교통 운행 정보, 대중교통 수집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대중교통 운행 정보는 버스(400)와 같은 대중교통의 운행에 따른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대중교통 종류, 대중교통 노선번호, 대중교통이 이동하는 정류장정보, 대중교통 운행 시간 정보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대중교통 수집 정보는 사용자 이동단말(100)이 대중교통을 이용한 승차 정보를 의미한다.
제2 저장부(340)는 정산서버 제어부(350)에서 생성한 정산처리 정보를 저장한다.
정산서버 제어부(350)는 대중교통 이용정보와 대중교통 운행 정보를 서로 비교 분석하여, 대중교통 이용정보의 생성 시간이 대중교통 이용요금의 정산 처리 시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대중교통 이용정보가 정산처리 시간 이내에 생성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하차정보가 포함된 정산 처리정보를 생성한다. 만일 정산처리 시간 이내에 생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상적인 정산 처리가 불가하다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 이동단말(100)로 전송한 후에 사용자의 하차정보가 포함된 정산 처리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정산 처리 시간은 추가 요금 없이 대중교통 환승을 하기 위한 환승시간일 수 있다.
정산 요금 처리 데이터베이스(360)는 도 1에서 상술한 정상 정산처리에 따른 결과를 저장하는 정산 DB 와 미처리 정산처리에 따른 결과를 저장하는 미처리 DB 를 포함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사용자 이동단말의 미처리 정산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S101 단계는 사용자 이동단말(10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 후에, 정보태그(200)와 태깅하여 정류장 정보를 수신하고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정보태그(200)와 태깅 전에 구동할 수도 있고 정보태그와 태깅하면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도 있다.
S102 단계는 사용자 이동단말(100)이 생성한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정산서버(300)로 전송하면서 미처리 정산정보라는 것을 알려주는 단계이다.
S103 단계는 정산서버(300)가 대중교통 운행 정보를 조회하여 수신하는 단계이다.
S104 단계는 정산서버(300)가 대중교통 운행정보와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분석하여 비교하는 단계이다.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에 따른 요금을 정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사용자 이동단말)의 승차 정보와 하차정보를 정확하게 알아야한다.
이를 위해서 정산서버(300)는 사용자의 승차 및 하차 정보가 포함된 대중교통 이용정보와 사용자가 탑승한 대중교통의 노선 운행정보가 포함된 대중교통 운행정보를 비교한다.
정산서버(300)는 대중교통 이용정보와 대중교통 운행정보를 수신한 후에 이를 분석하여 비교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테이블 형태로 각각의 정보를 저장한다. 즉, 대중교통 운행정보에서 대중교통 이용정보와 일치하는 대중교통 종류와 노선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2로 저장한다.
여기서 하차시간은 사용자 이동단말(100)이 정류장에 설치된 정보태그와 태깅하여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생성한 시간이 된다.
대중교통 이용정보
대중교통종류 노선정보 승차시간 정류장 아이디 하차시간
(대중교통이용정보 생성시간)
버스 100 12:01 003 12:25
대중교통 운행정보 중 대중교통 이용정보와 일치하는 정보
대중교통종류 노선번호 정류장 아이디 도착시간 출발시간
버스 100 001
002
003
.
.
.
12:00
12:10
12:20
.
.
.
12:02
12:12
12:22
.
.
.
S105 단계는 사용자 이동단말(100)이 하차한 시간(대중교통이용정보를 생성한 시간)이 정산처리 시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판단결과 정산 시간 이내가 아니면 S106 단계로 가서 정상적인 정산 처리가 불가하다는 정산 처리 불가 메시지를 생성하고 S107 단계에서 이를 사용자 이동단말(100)로 알려준다.
S108 단계는 S105 단계에서 판단결과 사용자 이동단말(100)이 하차한 시간이 정산시간 이내인 경우에는 정상적인 정산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정산 처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표1과 표2를 예로 들어 정산 처리 시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산서버(300)는 표1에 저장된 승차시간을 이용하여 표2와 비교하여 사용자 이동단말(100)이 승차한 정류장를 알아낸다. 표1에서 사용자 이동단말(100)의 승차 시간은 12시01분이므로 정류장 아이디가 001인 정류장에서 승차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표1의 정류장 아이디를 가지고 사용자 단말이 하차한 곳의 정류장을 알 수 있다. 표1에서 정류장 아이디는 사용자 이동단말(100)이 태깅한 정보태그(200)가 설치된 정류장의 아이디를 의미한다.
표1에서 정류장 아이디가 003이므로 사용자 이동단말(200)은 정류장 아이디가 003 인 정류장에서 하차했다고 판단한다.
이후 표1에서 하차시간 즉, 대중교통이용정보가 생성시간을 보면 12시25분 이므로 표2에서 얻은 노선번호가 100번인 버스가 정류장 아이디가 003인 정류장을 출발한 시간이 12시22분이므로 서로 3분 차이가 난다. 여기서 정산 처리시간을 30분 이내라고 하면, 상기 차이 나는 3분은 정산 처리 시간인 30분 이내이므로, 정산처리 불가 메시지를 생성하지 않고 정산 처리 정보를 생성한다.
정산 처리 정보는 요금 정산에 필요한 정보로 사용자 이동단말(100)이 이용한 대중교통 종류, 노선 번호, 승차한 정류장 아이디, 승차 시간, 하차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S109 단계는 사용자 이동단말(100)로 정산 처리정보를 생성한 결과에 따른 하차처리 결과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이동단말(100)은 하차처리 결과에 따라 사업자 SAM(Secure Application module)을 통해 인증처리를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하차처리 결과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이동단말(100)이 탑승했던 버스(400)가 정류장을 출발한 출발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이동단말(100)은 대중교통이용정보가 생성된 시간 또는 정산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하차처리 결과에 포함된 사용자 이동단말(100)이 탑승했던 버스(400)가 정류장을 출발한 실질 출발시간을 환승을 위한 하차 시간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 이동단말(100)이 다른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환승하는 경우에 환승의 기준 시간은 사용자 이동단말(100)에 저장된 환승을 위한 하차 시간 정보가 된다.
S111 단계는 대중교통 수집 정보를 조회하여 수신하는 단계이다.
정산서버(300)는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에 따른 요금 정산을 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집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이다.
대중교통 수집 정보는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에 따른 요금을 정산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 시간 정보, 대중교통 이용 거리 정보, 대중교통 이용 시간 또는 거리에 대한 대중교통 요금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하차시 대중교통 내에 설치된 교통단말과 태깅하여 생성된 정산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S112 단계는 정산 처리 정보와 대중교통 수집 정보를 병합하여 사용자의 대중 교통 이용에 따른 요금을 정산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사용자 이동 단말 110 : NFC 통신부
120 :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130 : 정산서버 통신부
140 : 저장부 150 : 사용자 단말 제어부
200 : 정보태그 300 : 정산서버
310 : 사용자 단말 통신부 320 : 제1 저장부
330 : 대중교통 수신부 331 : 운행정보 수신부
332 : 대중교통 수집정보 수신부 340 : 제2 저장부
350 : 정산서버 제어부 360 : 정산 요금 처리 데이터베이스
400 : 버스 500 : 대중교통 수집장치

Claims (16)

  1. 정류장에 설치된 정보태그를 읽어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정산서버로 제공하는 사용자 이동단말;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수신하고 대중교통 운행정보를 조회하여 이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대중교통 요금 정산을 수행하는 정산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승차 정보를 생성한 후, 하차정보를 생성하지 못하고 하차한 경우에, 상기 정류장에 설치된 정보태그의 정보 및 상기 승차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대중교통 요금 정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정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태그는 상기 정류장 아이디 및 상기 정산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정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는 상기 대중교통의 종류 및 노선정보,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의 승차 시간, 상기 정류장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의 하차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정산 시스템.
  4. 정류장에 설치된 정보태그 및 정산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정보태그와 태깅시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및
    상기 정보태그와 태깅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정보태그로부터 획득한 상기 정산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산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상기 정산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이동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승차 정보를 생성한 후, 하차정보를 생성하지 못하고 하차한 경우에, 상기 정류장에 설치된 정보태그의 정보 및 상기 승차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대중교통 요금 정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의 정산 시스템의 사용자 이동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정보태그와 태깅시 상기 정보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하는 NFC 통신부; 및
    상기 정산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상기 정산서버로 전송하는 정산서버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정산 시스템의 사용자 이동단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태그에는 상기 정류장 아이디 및 상기 정산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정산 시스템의 사용자 이동단말.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는 상기 대중교통의 종류 및 노선정보,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의 승차 시간, 상기 정류장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의 하차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정산 시스템의 사용자 이동단말.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 제어부는 상기 정산 서버로부터 하차처리 결과를 수신한 이후에 환승을 위한 하차 시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정산 시스템의 사용자 이동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차처리 결과는 대중교통 수단이 상기 정류장을 출발한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환승을 위한 하차 시간정보는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가 생성된 시간 또는 상기 대중교통 수단이 상기 정류장을 출발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정산 시스템의 사용자 이동단말.
  10. 사용자 이동단말로부터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이동단말 통신부;
    대중교통 운행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대중교통 이용에 따른 요금을 정산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수집 정보를 수신하는 대중교통 수신부; 및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와 상기 대중교통 운행 정보를 서로 비교 분석하여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 생성 시간이 정산 처리 시간내인지를 판단하여 정산 처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정산 처리 정보와 상기 대중교통 수집 정보를 병합하여 상기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정산하는 정산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승차 정보를 생성한 후, 하차정보를 생성하지 못하고 하차한 경우에, 정류장에 설치된 정보태그의 정보 및 상기 승차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대중교통 요금 정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의 정산 시스템의 정산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
    상기 정산 처리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정산한 결과를 저장하는 정산 요금 처리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정산 시스템의 정산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상기 대중교통 내에 설치된 교통단말과 정상적으로 요금 정산을 처리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정산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상기 정산 요금 처리 데이터베이스에 정산DB 로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상기 교통단말과 정상적으로 요금 정산을 못하고 정류장에 설치된 정보태그와 태깅하여 생성한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정산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상기 정산 요금 처리 데이터베이스에 미정산DB 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정산 시스템의 정산서버.
  13. 사용자 이동단말이 정류장에 설치된 정보태그와 태깅하여 상기 정류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상기 정류장 정보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생성하여 정산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산서버가 대중교통 운행정보를 조회하고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산서버가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와 상기 대중교통 운행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서로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정산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하차정보가 포함된 정산 처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산서버가 대중교통 수집 정보를 조회하고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산서버가 상기 정산 처리정보와 상기 대중교통 수집 정보를 병합하여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정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는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승차 정보를 생성한 후, 하차정보를 생성하지 못하고 하차한 경우에, 상기 정류장에 설치된 정보태그의 정보 및 상기 승차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대중교통 요금 정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의 정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산서버가 상기 정산처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정산서버에서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가 정산처리 시간내에 생성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정산서버에서 상기 대중교통 이용정보가 상기 정산처리 시간내에 생성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하차정보가 포함된 정산 처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정산처리 시간내에 생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상적인 정산 처리가 불가하다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 전송한 후에 상기 정산 처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정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산서버는 상기 정산처리 정보를 생성한 이후에,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이 탑승했던 대중교통 수단이 상기 정류장을 출발한 출발시간을 포함하는 하차처리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정산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산 처리 정보에는 사용자 이동단말이 이용한 대중교통 종류, 노선 번호, 승차한 정류장 아이디, 승차 시간 및 하차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정산방법.
KR1020120056707A 2012-05-29 2012-05-29 단말을 이용한 대중교통 정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6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707A KR101266403B1 (ko) 2012-05-29 2012-05-29 단말을 이용한 대중교통 정산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707A KR101266403B1 (ko) 2012-05-29 2012-05-29 단말을 이용한 대중교통 정산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6403B1 true KR101266403B1 (ko) 2013-05-22

Family

ID=48666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707A KR101266403B1 (ko) 2012-05-29 2012-05-29 단말을 이용한 대중교통 정산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4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485B1 (ko) * 2018-07-05 2020-01-15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식별기호 기반의 버스 하차기록 관리 장치
KR20200059027A (ko) * 2018-11-20 2020-05-28 한국철도공사 교통 요금 통합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485B1 (ko) * 2018-07-05 2020-01-15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식별기호 기반의 버스 하차기록 관리 장치
KR20200059027A (ko) * 2018-11-20 2020-05-28 한국철도공사 교통 요금 통합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182409B1 (ko) * 2018-11-20 2020-11-24 한국철도공사 교통 요금 통합 결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00174B (zh) 一种基于wifi身份识别的公交客流数据采集及od分析方法
CN103886647B (zh) 基于北斗的兼容etc和mtc的收费系统、装置及方法
CN106846517B (zh) 一种基于路径识别的高速公路收费方法
CN111104990B (zh) 一种确定交通行程的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N103700149B (zh) 基于lbs的高速公路收费系统及基于lbs的高速公路收费方法
CN108133520A (zh) 基于路径识别的高速公路移动支付收费系统和方法
CN105070089B (zh) 一种人车路协同的个性化交通信息服务系统及方法
RU2014139918A (ru) Способ проверки операций взимания платы за проезд и его компоненты
CN105719133A (zh) 一种多功能车载pos机系统及其自适应的工作方法
US20160321631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Energy Billing Of Mobile Energy Consumers In An Electrical Energy Supply Network
CN103383779A (zh) 一种用于电子不停车收费的方法、装置和系统
WO2015176382A1 (zh) 一种车库的智能化泊车方法及装置
CN107341551A (zh) 一种电动交通工具租赁系统及其管理方法
CN107194639A (zh) 一种基于地铁网络的众包快递路径分配方法、系统
CN107330989A (zh) 一种基于移动支付的高速公路收费系统
CN106504354A (zh) 收费站服务端、支付客户端、路桥收费系统及方法
KR101723380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
CN108881426A (zh) 站台、车载设备、交通工具、交通系统及信息交互方法
KR101077943B1 (ko) 도로 통행료 정산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101266403B1 (ko) 단말을 이용한 대중교통 정산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680176A (zh) 基于二维码的结算系统及费用处理方法、停车管理系统
CN106056776A (zh) 一种基于nfc移动终端的公共自行车智能管理系统
JP2004234275A (ja) 巡回システム
KR101703967B1 (ko) 블루투스 통신 기반의 버스 운행 관리 시스템
CN110379194A (zh) 多义路径识别装置及识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