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529B1 -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529B1
KR101265529B1 KR1020060110730A KR20060110730A KR101265529B1 KR 101265529 B1 KR101265529 B1 KR 101265529B1 KR 1020060110730 A KR1020060110730 A KR 1020060110730A KR 20060110730 A KR20060110730 A KR 20060110730A KR 101265529 B1 KR101265529 B1 KR 101265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camera
mode
tim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0001A (ko
Inventor
아츠시 미사와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0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 화면 표시부가 설치된 카메라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의 소형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촬영시/화상 재생시의 조작성 및 그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카메라(10)를 이용해서 촬영을 행할 경우에는 커버 부재(12)를 개방해서 촬영 모드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주 전원이 자동적으로 ON으로 되고, 또한, 커버 부재(12)에 의해 감추어져 있던 촬영 버튼(28)이나 기타 촬영용 조작 부재, 및 촬영 렌즈(34)가 노출되므로 촬영 가능해진다. 디지털 카메라(10)를 포토 플레이어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커버 부재(12)를 닫은 후, 전원 스위치(36)를 ON 조작한다. 이에 따라, 모드가 촬영 모드로부터 화상 재생 모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된다. 그 후, 화상 재생 스타트 버튼(38) 등의 화상 재생용 조작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메모리(58)나 기록부(60)에 기록된 화상이 순차 판독되어 액정 모니터(18)에 표시된다.
Figure R1020060110730
디지털 카메라, 촬영 렌즈, 그립부

Description

카메라{CAMERA}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커버 부재가 카메라 본체에 닫혀진 상태의 카메라 본체를 배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태의 카메라 본체를 정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커버 부재가 개방된 상태의 카메라 본체를 배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유저가 오른손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를 조작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비사용시의 광학계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상태의 카메라 본체를 정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를 배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3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를 배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4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를 배면으로부터 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요부 배면도이다.
도 11은 제 4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를 정면으로부터 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요부 배면도이다.
도 13은 제 5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를 정면으로부터 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커버 부재의 동작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100, 110, 120, 130, 140 : 디지털 카메라
12 : 커버 부재 14 : 카메라 본체
18 : 액정 모니터 20 : 스트로브 발광부
22 : 줌 버튼 24 : 재생 버튼
26 : 포토 모드 버튼 28 : 촬영 버튼
30 : 메뉴/OK 버튼 32 : +자 버튼
34 : 촬영 렌즈 36 : 전원 스위치
38 : 화상 재생 스타트 버튼 40 : 일시 정지 버튼
42 : 정지 버튼
44 : 패스트 포워드 버튼(fast forward button)
46 : 리와인드 버튼(rewind button) 50 : CPU
본 발명은 카메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대(大)화면 표시부를 구비하여 촬영 및 화상의 재생에 적합한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액정 모니터 등의 표시부가 설치된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표시부의 대 화면화에 따라 그립성(gripability)의 향상과 카메라 본체의 소형화가 상반되는 과제로 되어오고 있다. 즉, 대 화면 표시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그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립부(grip portion) 만큼 카메라 본체를 대형화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표시 화면의 대 화면화에 따른 표시 화면의 손상,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표시 화면을 보호하는 커버 부재가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가 개시되어 있다.
이 디지털 카메라는 카메라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커버 부재가 설치되어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커버 부재를 카메라 본체에 밀어넣어 수납하면, 커버 부재가 표시 화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 화면을 보호한다. 그리고, 사용시에 커버 부재를 카메라 본체로부터 인출하면 표시 화면 전체가 노출됨과 아울러, 커버 부재가 카메라 본체의 측방에 위치하므로 이것을 그립부로서 사용함으로써 그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커버 부재를 카메라의 주 전원 스위치와 겸용하여 커버 부재가 인출되었을 시에 주 전원이 ON으로 되는 것도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재생 모드를 가지며, 기록부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판독해서 그 화상을 액정 모니터에 표시하는 것도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1-298773호 공보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카메라 본체에는 촬영 모드 시에 조작되는 촬영용 조작 버튼이 다수 배치되어 있다. 이들 촬영용 조작 버튼을 예를 들면, 조작할 필요가 없는 재생 모드 시에 유저(user)의 눈에 띄게 두는 것은 오조작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조작성이나 취급성에 관해 반드시 좋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조작성을 개선하는 수단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 않고, 또한, 재생 모드 시에 화상 플레이어로서 사용할 때에 사용시의 전체 사이즈가 커지게 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대 화면 표시부가 설치된 카메라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의 소형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촬영시/화상 재생시의 조작성 및 그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어셈블리에 촬영 렌즈, 표시부, 및 조작 부재가 설치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셈블리에 제 2 어셈블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 어셈블리는 상기 조작 부재를 덮는 제 1 위치와 조작 부재를 노출시키는 제 2 위치에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 1 어셈블리에 설치된 제 2 어셈블리는 조작 부재를 조작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 있어서 조작 부재를 덮는 제 1 위치로 이동하고, 조작 부재를 조작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있어서 조작 부재를 노출시키는 제 2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조작 부재를 조작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조작 부재가 제 2 어셈블리에 의해 감춰짐으로 유저에 의해 조작성 및 취급성이 좋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촬영시에 조작되는 촬영용 조작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의하면, 제 2 어셈블리를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면 줌(zoom) 조정 부재 등의 조작 부재가 노출되므로 촬영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때, 제 2 어셈블리를 제 1 어셈블리의 측방에 돌출시킴으로써 제 2 어셈블리를 그립부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대 화면 표시부가 설치된 카메라에 있어서 제 1 어셈블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그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 2 어셈블리를 제 2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주 전원이 고속 기동해서 ON으로 되고, 모드가 촬영 모드로 스위칭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어셈블리를 제 1 위치로 이동시키면 모드가 화상 재생 모드로 스위칭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화상 재생 모드 시에 있어서, 촬영용 조작 부재는 제 2 어셈블리에 의해 감춰져 있으므로 오조작의 우려가 없어져 조작성이 향상되고, 또한, 기기의 디자인 면에서 볼 때 스타일리쉬(stylish)하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셈블리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으면 상기 촬영 렌즈의 전면(前面)이 제 2 어셈블리에 의해 덮여지고, 상기 제 2 어셈블리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으면 상기 촬영 렌즈의 전면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 2 어셈블리가 조작 부재를 감추는 화상 재생 모드 시에, 즉, 카메라를 화상 재생시의 포토 플레이어로서 사용할 때에 제 2 어셈블리에 의해 촬영 렌즈의 존재를 완전히 감출 수 있으므로 포토 플레이어로서의 사용시에 촬영 렌즈를 보호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기기의 디자인 면에서 볼 때 스타일리쉬하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셈블리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으면 상기 제 1 어셈블리에 설치된 촬영 버튼이 제 2 어셈블리에 의해 덮여지고, 상기 제 2 어셈블리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으면 상기 촬영 버튼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 2 어셈블리가 제 1 위치에 위치하면 촬영 버튼도 제 2 어셈블리에 의해 덮여짐으로써 촬영에 관한 조작 부재를 완전히 감출 수 있으므로 기기의 디자인 면에서 볼 때 스타일리쉬하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2,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셈블리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 위치에 화상의 재생시에 조작되는 화상 재생용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의하면, 제 2 어셈블리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 위치에 화상 재생 스타트(image playback start), 화상 스위칭이나 패스트 포워드(fast forward), 리와인드(rewind), 정지, 프레임 어드밴스(frame advance) 등의 화상 재생용 조작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화상 재생시의 조작을 지장 없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화상 재생용 조작 부재 는 상기 제 2 어셈블리가 제 2 위치에 있으면 조작 내용이 다른 내용으로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화상 재생용 조작 부재는 제 2 어셈블리가 조작 부재를 노출시키는 제 2 위치에 위치하면 예를 들면, 촬영용 조작 부재로 스위칭되어 노출된 조작 부재와 함께 촬영용 조작 부재로서 조작된다. 이에 따라, 조작 부재의 수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므로, 기기의 디자인 면에서 볼 때 스타일리쉬하게 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셈블리가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하면 카메라의 모드가 화상 재생 모드로 스위칭되고, 상기 제 2 어셈블리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면 카메라의 모드가 촬영 모드로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 2 어셈블리가 제 1 위치로 이동하면 카메라의 모드가 화상 재생 모드로 스위칭되고, 제 2 어셈블리가 제 2 위치로 이동하면 카메라의 모드가 촬영 모드로 스위칭된다. 이와 같이, 제 2 어셈블리의 원 터치(one touch)의 이동 동작에 의해 모드를 자동적으로 스위칭함으로써 특별히 개별적으로 모드 스위칭 수단을 설치하는 것 보다도 조작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표시부를 구비하는 제 1 어셈블리와, 그립부를 구비하는 제 2 어셈블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어셈블리와 제 2 어셈블리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수납시의 형태는 횡 폭이 짧아지고,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전개시의 형태 는 횡 폭이 길어지는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수납시에 상기 제 2 어셈블리에 덮여짐과 아울러 상기 전개시에 노출되는 렌즈부와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시의 형태로부터 전개시의 형태로의 슬라이딩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렌즈부는 카메라 정면으로부터 봐서 제 1 어셈블리의 우측에 노출되며, 상기 조작부는 카메라 배면으로부터 봐서 카메라 배면상의 표시부의 우측의 그립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표시부 및 렌즈부를 구비하는 제 1 어셈블리와, 그립부를 구비하는 제 2 어셈블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어셈블리와 제 2 어셈블리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수납시의 형태는 횡 폭이 짧아지고,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전개시의 형태는 횡 폭이 길어지는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수납시에는 상기 제 2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렌즈부의 전면이 덮여지고, 상기 전개시에는 상기 렌즈부가 노출됨과 아울러 카메라의 배면으로부터 봐서 상기 표시부로부터 우측의 그립부의 폭이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배면에 횡방향으로 긴 표시부를 가지는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와 렌즈부를 구비하는 제 1 어셈블리와, 그립부를 구비하는 제 2 어셈블리와, 상기 카메라의 배면측에 설치되고,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어셈블리와 제 2 어셈블리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렌즈부는 상기 제 1 어셈블리와 제 2 어셈블리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수납시에는 제 2 어셈블리에 덮여짐과 아울러, 상기 제 1 어셈블리 와 제 2 어셈블리가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전개시에는 상기 카메라 정면으로부터 봐서 제 1 어셈블리의 우측에 노출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수납시에 제 1 어셈블리 또는 제 2 어셈블리에 덮여지고, 전개시는 카메라의 배면으로부터 봐서 우측의 그립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0)에 있어서, 커버 부재(12)(제 2 어셈블리에 상당)가 카메라 본체(14)(제 1 어셈블리에 상당)에 닫혀진 수납 상태(제 1 위치)의 카메라 본체(14)를 배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상태의 카메라 본체(14)를 정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커버 부재(12)가 개방된 전개 상태(제 2 위치)의 카메라 본체(14)를 배면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 있어서, 유저가 2점 쇄선으로 도시한 오른손(16)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0)를 조작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4에서는 커버 부재(12)가 오른손(16)에 의해 파지됨으로써 그립부로서 겸용되고 있는 것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3의 상태의 카메라 본체(14)를 정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디지털 카메라(10)의 카메라 본체(14)는 두께 방향으로 얇고 편평한 거의 직방체의 외관을 나타냄과 아울러, 커버 부재(12)의 높이 방향의 치수에 대해 폭 방향의 치수가 큰 횡방향이 긴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액정 모니터(18)는 종횡비가 9:16의 횡방향이 긴 화면이며, 커버 부재(12)가 닫힌 도 1의 상태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14)의 배면에 대해 가능한 한 대 화면 사이즈의 것이 탑 재되어 있다.
커버 부재(12)는 전면부(12A), 측면부(12B), 및 배면부(12C)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부(12A)는 카메라 본체(14)의 전면 전체를 덮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카메라 본체(14)의 전면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슬라이드 가이드부에 맞물려짐으로써 카메라 본체(14)에 대해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면부(12A)에는 도 2와 같이 정면으로부터 봐서 좌측 상부 모서리부에 크세논관(xenon tube)을 구비한 스트로브 발광부(20)가 배치되어있다.
커버 부재(12)의 측면부(12B)는 전면부(12A)에 접합됨과 아울러 배면부(12C)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부(12B)는 카메라 본체(14)의 도 1 상에서 우측면을 덮는 크기로 형성되고, 배면부(12C)는 도 1과 같이 카메라 본체(14)의 배면이며, 액정 모니터(18)의 우측부를 덮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12)가 도 3과 같이 우측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방 위치(제 2 위치)에 위치하면, 커버 부재(12)의 배면부(12C)에 의해 감추어져 있던 촬영 조작용 각종 버튼 군(촬영용 조작 부재)이 디지털 카메라(10)의 배면으로부터 봐서 우측에 노출된다. 이 각종 버튼 군은 카메라 본체(14)의 액정 모니터(18)의 우측방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오목면부(19)에 배치되고, 상부로부터 순서대로 줌 버튼(22), 재생 버튼(24), 포토 모드 버튼(26), 촬영 버튼(28), 메뉴/OK 버튼(30), 十자 버튼(32)으로 이루어진다.
줌 버튼(22)은 초점 거리를 텔레측(tele-side) 또는 와이드측(wide-side)으로 조정할 때에 조작된다. 재생 버튼(24)은 촬영한 화상을 즉시 재생하고 싶을 경 우에 조작된다. 이 재생 버튼(24)은 화상 재생 모드 시에 조작되는 재생 버튼과는 다르고, 촬영 모드 시에 있어서 조작되는 버튼이며, 촬영한 피사체상의 촬영 상태를 그 자리에서 즉시 확인하고 싶을 경우에 조작된다. 또한, 포토 모드 버튼(26)은 칼라 촬영 또는 흑백 촬영을 스위칭하는 버튼이다.
촬영 버튼(28)은 도 4와 같이 그립부로서 겸용되는 커버 부재(12)를 파지한 유저의 오른손(16)의 엄지 손가락에 의해 하프 프레싱(half-pressing) 및 풀 프레싱(fully-pressing) 조작된다. 이 하프 프레싱 조작시에 포커스 조정이 행해지고, 이 후에 풀 프레싱 조작됨으로써 피사체상이 도 5에 도시한 촬영 렌즈(34)를 통해 칼라 촬상 소자(70)(도 6참조)에 결상(結像)된다. 메뉴/OK 버튼(30)은 액정 모니터(18)의 화면 상에 메뉴를 표시하게 하는 지령을 내리기 위한 메뉴 버튼으로서의 기능과, 선택 내용의 확정 및 실행 등을 지령하는 OK버튼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한 조작 키이다. 十자 버튼(32)은 상하 좌우의 4방향으로 경사 가능하게 설치되고, 메뉴 등의 설정에 있어서의 각종 설정 항목의 선택이나 설정 내용의 변경 및 기록한 화상의 소거를 지시하는 조작 키로서 사용된다. 또한, 오목면부(19)도 그립부로서 겸용되는 것은 명백하고, 따라서, 전개시에는 커버 부재(12)와 오목면부(19)로 이루어지는 그립부가 확대된다.
또한,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0)에서는 커버 부재(12)가 개방됨과 동시에 스위칭 수단(13)(도 6 참조)에 의해 커버 부재(12)가 개방되었다는 것이 검출되어, 디지털 카메라(10)의 주 전원이 ON으로 된다. 또한, 커버 부재(12)가 도 1과 같이 폐쇄되면 촬영 조작용 각종 버튼 군이 커버 부재(12)에 의해 감추어짐과 아울 러, 상기 스위칭 수단(13)에 의해 커버 부재(12)가 폐쇄되었다는 것이 검출되어 디지털 카메라(10)의 주 전원이 OFF로 된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0)를 화상 재생을 행하는 포토 플레이어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커버 부재(12)를 폐쇄한 상태에서 커버 부재(12)의 배면부(12C)의 하부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36)를 조작하여 포토 플레이어의 주 전원을 ON으로 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10)가 화상 재생 모드로 스위칭된다. 또한, 커버 부재(12)에는 화상 재생 모드로 스위칭되었을 때에 사용되는 화상 재생용 조작 부재, 즉, 화상 재생 스타트 버튼(38), 일시 정지 버튼(40), 정지 버튼(42), 패스트 포워드 버튼(44), 및 리와인드 버튼(46)이 배면부(12C)에 종방향으로 모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화상 재생용 조작 부재는 화상 재생 모드 시에는 화상 재생 스타트 등의 재생과 관련되는 기능 버튼으로서 기능하지만, 촬영 모드 시에는 조작 내용이 다른 내용으로 스위칭되어 감도 업(up), 다운(down) 등의 촬영에 관련된 다른 조작 버튼에 할당된다.
그런데, 커버 부재(12)가 도 4와 같이 우측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방 위치에 위치하면 커버 부재(12)의 전면부(12A)에 의해 감추어져 있던 촬영 렌즈(34)가 노출된다. 이 촬영 렌즈(34)는 카메라 본체(14) 전면의 우측방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오목면부(35)에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디지털 카메라(10)의 블록도이다.
스위칭 수단(13)에 의해 커버 부재(12)가 개방되어 있다는 것이 검출되면, 전원(48)의 전력이 시스템 제어 회로부인 CPU(50)에 투입됨으로써 주 전원이 ON으로 됨과 아울러 촬영 모드로 된다. 또한, 스위칭 수단(13)에 의해 커버 부재(12)가 폐쇄되어 있다는 것이 검출되고 이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36)가 ON 조작되면, 전원(48)의 전력이 CPU(50)에 투입되어 주 전원이 ON으로 됨과 아울러 화상 재생 모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된다.
이 디지털 카메라(10)는 CPU(중앙 처리 장치)(50)에 의해 그 전체 동작이 통괄 제어되고 있다. CPU(50)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카메라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 회로부로서 기능함과 아울러, 자동 노출(AE) 연산, 자동 초점 조절(AF) 연산, 화이트 밸런스(WB) 조정 연산 등 각종 연산을 실시하는 연산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버스(52)를 통해 CPU(50)와 접속된 ROM(54)에는 CPU(50)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등이 기억되고, EEPROM(56)에는 CCD 화소 결함 정보, 카메라 동작에 관한 각종 정수/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SDRAM)(58)는 프로그램의 전개 영역 및 CPU(50)의 연산 작업용 영역으로서 이용됨과 아울러,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의 일시 기억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기록부(HDD)(60)는 화상 데이터 전용의 일시 기억 메모리이며, 디지털 카메라(10)의 十자 버튼(32)의 조작에 의해 소거 가능하다.
촬영 버튼(28)은 촬영 개시의 지시를 입력하는 조작 버튼이며, 하프 프레싱 시에 온(on)으로 되는 S1 스위치와, 풀 프레싱 시에 온으로 되는 S2 스위치를 가지는 2단 스트로크식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액정 모니터(18)는 유저 인터페이스용 표시 화면으로서도 이용되고, 필요에 따라 메뉴 정보나 선택 항목, 설정 내용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액정 모니 터(18)에는 기록부(60)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가 축소되어 썸네일(thumbnail) 표시된다. 이 액정 모니터(18)는 액정 디스플레이이지만, 이것 대신에 유기EL 등 다른 방식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지털 카메라(10)는 미디어 소켓(media socket)(62)을 구비하며, 미디어 소켓(62)에는 기록 미디엄(64)이 장착된다. 기록 미디엄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xD-픽처 카드, 스마트 미디어(상표)로 대표되는 반도체 메모리 카드, 가반형 소형 하드 디스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등 각종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미디어 컨트롤러(66)는 미디어 소켓(62)에 장착되는 기록 미디엄(64)에 적합한 입출력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 변환을 행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는 퍼스널 컴퓨터와 기타의 외부 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통신 수단으로서 USB 인터페이스부(68)를 구비하고 있다. 이 USB인터페이스부(68)에 접속된 통신 단자인 커넥터에 도시되지 않은 USB 케이블을 통해 외부 기기를 접속함으로써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화상 데이터 등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물론, 통신 방식은 USB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의 통신 방식을 적용해도 좋다.
이어서, 디지털 카메라(10)의 촬영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커버 부재(12)를 개방해서 촬영 모드로 설정하면 칼라 촬상 소자(이하, CCD로 기재)(70)를 포함하는 촬상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촬영 가능한 상태가 된다.
거울통(72)은 촬영 렌즈(34)와 조리개 겸용 메카니컬 셔터(mechanical shutter)(74)를 포함하는 광학 유닛이다. 거울통(72)은 CPU(50)에 의해 제어되는 렌즈 구동부(76), 조리개 구동부(78)에 의해 전동 구동되고, 줌 제어, 포커스 제어 및 아이리스 제어(iris control)가 행하여진다.
촬영 렌즈(34)를 통과한 광(光)은 CCD(70)의 수광면에 결상된다. CCD(70)의 수광면에는 다수의 포토다이오드(수광 소자)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각 포토다이오드에 대응해서 적색(R), 녹색(G), 청색(B)의 원색 칼라 필터가 소정의 배열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CCD(70)는 각 포토다이오드의 전하 축적 시간(셔터 스피드)을 제어하는 전자 셔터 기능을 가지고 있다. CPU(50)는 타이밍 제너레이터(timing generator)(80)을 통해 CCD(70)에서의 전하 축적 시간을 제어한다. 또한, CCD(70) 대신에 M0S형 등 다른 방식의 촬상 소자를 사용해도 좋다.
CCD(70)의 수광면에 결상된 피사체상은 각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입사 광량에 따른 양의 신호 전하로 변환된다. 각 포토다이오드에 축적된 신호 전하는 CPU(50)의 지령에 따라 타이밍 제너레이터(80)로부터 부여되는 구동 펄스에 의거해서 신호 전하에 따른 전압 신호(화상 신호)로서 순차 판독된다.
CCD(70)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아날로그 처리부(CDS/AMP)(82)로 송신되고, 여기에서, 화소 마다의 R, G, B신호가 샘플링 홀딩(sampling holding)(상관 2중 샘플링 처리)되며, 증폭된 후, A/D변환기(84)에 가해진다. A/D변환기(84)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점 순차(dot-sequential)의 R, G, B신호는 화상 입력 컨트롤러(86)를 통해 메모리(58)에 기억된다.
화상 신호 처리 회로(88)는 메모리(58)에 기억된 R, G, B신호를 CPU(50)의 지령에 따라 처리한다. 즉, 화상 신호 처리 회로(88)는 동시화 회로(단판 CCD의 칼라 필터 배열에 따르는 색신호의 공간적인 편차를 보간하여 색신호를 동시식으로 변환하는 처리 회로), 화이트 밸런스 보정 회로, 감마 보정 회로, 윤곽 보정 회로, 휘도·색차 신호 생성 회로 등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CPU(50)로부터의 커맨드(command)에 따라 메모리(58)를 활용하면서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한다.
화상 신호 처리 회로(88)에 입력된 RGB의 화상 데이터는 화상 신호 처리 회로(88)에 있어서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변환됨과 아울러, 감마 보정 등의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다. 화상 신호 처리 회로(88)에서 처리된 화상 데이터는 기록부(60)에 기록된다.
촬영 화상을 액정 모니터(18)에 모니터 출력할 경우, 기록부(60)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판독되고, 버스(52)를 통해 비디오 엔코더(90)로 송신된다. 비디오 엔코더(90)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용의 소정 방식의 신호(예를 들면, NTSC 방식의 칼라 복합 영상 신호)로 변환해서 액정 모니터(18)에 출력한다.
촬영 버튼(28)이 하프 프레싱되고, S1이 온으로 되면, 디지털 카메라(10)는 AE 및 AF처리를 개시한다. 즉, CCD(70)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는 A/D변환 후에 화상 입력 컨트롤러(86)를 통해 AF검출 회로(92) 및 AE/AWB 검출 회로(94)에 입력된다.
AE/AWB 검출 회로(94)는 1화면을 복수의 에리어(area)(예를 들면, 16×16)로 분할하고, 분할 에리어 마다 RGB신호를 적산하는 회로를 포함하며, 그 적산값을 CPU(50)에 제공한다. CPU(50)는 AE/AWB 검출 회로(94)로부터 얻은 적산값에 의거해서 피사체의 명도(피사체 휘도)를 검출하고, 촬영에 적합한 노출값(촬영 EV값)을 산출한다. 구한 노출값과 소정의 프로그램 선도에 따라 조리개 값과 셔터 스피드가 결정되고, 이에 따라 CPU(50)는 CCD(70)의 전자 셔터 및 아이리스를 제어해서 적정한 노광량을 얻는다.
또한, AE/AWB 검출 회로(94)는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시에는 분할 에리어 마다 RGB신호의 색별 평균 적산 값을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를 CPU(50)에 제공한다. CPU(50)는 R의 적산값, B의 적산값, G의 적산값을 얻어 각 분할 에리어 마다 R/G 및 B/G의 비를 구하고, 이들 R/G, B/G의 값의 R/G, B/G의 색 공간에 있어서의 분포 등에 의거해서 광원 종류 판별을 행하여, 판별된 광원 종류에 적합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값에 따라서 예를 들면, 각 비의 값이 약 1이 되도록 화이트 밸런스 조정 회로의 R, G, B신호에 대한 게인 값(화이트 밸런스 보정 값)을 제어하고, 각 색 채널의 신호에 보정을 행한다. 상기한 각 비의 값을 1이외의 값이 되도록 화이트 밸런스 조정 회로의 게인 값을 조정하면, 어떤 색상이 남겨진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0)에 있어서의 AF제어는 예를 들면, 영상 신호의 G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극대가 되도록 포커싱 렌즈[촬영 렌즈(34)를 구성하는 렌즈 광학계 중 포커스 조정에 기여하는 이동 렌즈]를 이동시키는 컨트라스트(contrast) AF가 적용된다. 즉, AF 검출 회로(92)는 G신호의 고주파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하이패스 필터, 절대값화 처리부, 화면 내(예를 들면, 화면 중앙부)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포 커스 대상 에리어 내의 신호를 컷아웃(cut out)하는 AF 에리어 추출부, 및 AF 에리어 내의 절대값 데이터를 적산하는 적산부로 구성된다.
AF 검출 회로(92)에서 구한 적산 값의 데이터는 CPU(50)에 통지된다. CPU(50)는 렌즈 구동부(76)를 제어해서 포커싱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복수의 AF 검출 포인트에서 초점 평가값(AF 평가값)을 연산하고, 평가값이 극대가 되는 렌즈 위치를 초점 위치(focal point)로서 결정한다. 그리고, 구한 초점 위치에 포커싱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렌즈 구동부(76)를 제어한다. 또한, AF 평가값의 연산은 G신호를 이용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휘도 신호(Y신호)를 이용해도 좋다.
촬영 버튼(28)이 하프 프레싱되어 S1 온에 의해 AE/AF 처리가 행해지고, 촬영 버튼(28)이 풀 프레싱되어 S2 온에 의해 기록용 촬영 동작이 스타트된다. S2 온에 응답하여 취득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신호 처리 회로(88)에 있어서 휘도/색차 신호(Y/C신호)로 변환되고, 감마 보정 등의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후, 메모리(58)에 기억된다.
메모리(58)에 기억된 Y/C신호는 압축 신장 회로(96)에 의해 소정의 포맷에 따라 압축된 후, 미디어 컨트롤러(66)를 통해 기록 미디엄(64)에 기록된다. 예를 들면, 정지 화상(still image)에 대해서는 JPEG형식으로 기록된다.
이어서, 커버 부재(12)가 폐쇄되어 전원 스위치(36)가 ON 조작되면 기록 미디엄(64)에 기록되어 있는 최종의 화상 파일(최후에 기록된 파일)의 압축 데이터가 판독된다. 최후의 기록에 관한 파일이 정지 화상 파일일 경우, 이 판독된 화상 압축 데이터는 압축 신장 회로(96)를 통해 비압축의 YC신호로 신장되고, 화상 신호 처리 회로(88) 및 비디오 엔코더(90)를 통해 표시용 신호로 변환된 후, 액정 모니터(18)에 출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파일 화상 내용이 액정 모니터(18)의 화면상에 표시된다.
정지 화상의 1프레임 재생 중(동적 화상의 선두 프레임 재생 중도 포함함)에 도 1의 패스트 포워드 버튼(44), 리와인드 버튼(46)을 조작함으로써 재생 대상의 화상을 다음 화상 파일로 스위칭(프레임 순행/프레임 역행)할 수 있다. 프레임이 지나간 위치의 화상 파일이 기록 미디엄(64)으로부터 판독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해서 정지 화상이나 동 화상이 액정 모니터(18)에 재생 표시된다.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디지털 카메라(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디지털 카메라(10)를 사용해서 촬영을 행할 경우에는 도 3, 도 4, 도 5와 같이 커버 부재(12)를 개방해서 촬영 모드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주 전원이 자동적으로 ON이 되고, 또한, 커버 부재(12)에 의해 감추어져 있던 촬영 버튼(28)이나 기타 촬영용 조작 부재가 도 3, 도 4와 같이 노출되며, 또한 촬영 렌즈(34)가 도 5와 같이 노출되므로 촬영 렌즈(34)를 피사체를 향해 촬영 버튼(28)을 누름으로써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이 촬영 모드 시에 있어서, 도 3과 같이 커버 부재(12)가 카메라 본체(14)의 우측방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커버 부재(12) 및 오목면부(19)를 그립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 화면의 액정 모니터(18)가 설치된 디지털 카메라(10)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14)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그립성이 향상된 다.
이어서, 디지털 카메라(10)를 포토 플레이어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도 1, 도 2와 같이 커버 부재(12)를 닫은 후, 전원 스위치(36)를 ON 조작한다. 이에 따라, 모드가 촬영 모드로부터 화상 재생 모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된다. 이 후, 화상 재생 스타트 버튼(38) 등의 화상 재생용 조작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메모리(58)나 기록부(60), 또는 기록 미디엄(64)에 기록된 화상이 순차 판독되어 액정 모니터(18)에 표시된다.
이 화상 재생 모드 시에 있어서, 도 3과 같이, 촬영 모드 시에 노출되어 있었던 촬영 버튼(28) 등의 촬영용 조작 부재가 커버 부재(12)에 의해 감추어지므로, 오조작의 우려가 없어져 조작성이 향상되고, 또한, 촬영에 관한 조작 부재를 완전히 감출 수 있으므로 기기의 디자인 면에서 볼 때 스타일리쉬하게 된다. 또한, 도 2와 같이 커버 부재(12)에 의해 촬영 렌즈(34)가 감추어지므로 즉, 촬영 렌즈(34)의 존재를 완전히 숨길 수 있으므로 기기의 디자인 면에서 볼 때 보다 한층 스타일리쉬하게 되고, 또한 포토 플레이어로서의 사용시에 촬영 렌즈(34)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12)에 의해 감춰지지 않는 위치인 커버 부재(12)의 표면에 화상의 재생시에 조작되는 화상 재생 스타트 버튼(38) 등의 화상 재생용 조작 부재를 설치했으므로 화상 재생시의 조작을 지장 없이 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재생 모드로 스위칭되었을 때에 사용되는 화상 재생 스타트 버튼(38) 등의 화상 재생용 조작 부재를 촬영 모드 시에 있어서 감도 업, 다운 등의 촬영에 관련된 다른 조작 버튼에 할당했으므로 조작 부재의 수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기기의 디자인 면에서 볼 때 스타일리쉬하게 된다.
또한, 커버 부재(12)의 개폐 동작에 의해 모드를 자동적으로 스위칭하도록 했으므로 특별히 개별적으로 모드 스위칭 수단을 설치하는 것 보다도 조작성이 향상된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00)가 도시되고, 도 1 ∼ 도 5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의 디지털 카메라(100)는 도 3의 커버 부재(12)에 설치되어 있었던 화상 재생 스타트 버튼(38), 일시 정지 버튼(40), 정지 버튼(42), 패스트 포워드 버튼(44), 및 리와인드 버튼(46)이 없는 디지털 카메라의 실시예이다. 이 디지털 카메라(100)에 의하면, 커버 부재(12)를 폐쇄해서 조작 버튼 군(22, 24, 26, 32, 34)을 커버 부재(12)에 의해 감추면, 그 외표면에 버튼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완전히 플래트(flat)한 바디(body) 형상의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디지털 카메라(100)에 의하면, 휴대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디자인적으로도 깔끔하게 한 형상이 되므로 돋보임이 향상된다.
도 8은 제 3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10)가 도시되고, 도 1 ∼ 도 5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의 디지털 카메라(110)는 카메라 본체(14)의 상면이며 커버 부재(12)의 상부 패널(12D)에 의해 감춰지는 오목면부(112)에 촬영 버튼(28)를 배치한 것이다. 이러한 위치에 촬영 버튼(28)을 배치하더라도 촬영 버튼(28)을 커버 부재(12)에 의해 감출 수 있다.
도 9, 도 10은 제 4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20)가 도시되고, 도 1 ∼ 도 5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도 10의 디지털 카메라(120)는 커버 부재(12)의 상부에 형성된 플레이트(122)에 촬영 버튼(28)이 배치됨과 아울러, 커버 부재(12)가 닫혔을 때에 플레이트(122) 및 촬영 버튼(28)을 수납하는 오목부(124)가 카메라 본체(14)의 상부에 형성된 것이다. 이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20)는 커버 부재(12)측에 촬영 버튼(28)을 설치하고, 이 촬영 버튼(28)을 감추는 오목부(124)를 카메라 본체(14)측에 설치하고 있지만, 이 디지털 카메라(120)도 마찬가지로 커버 부재(12)를 닫았을 때에 촬영 버튼(28)을 감출 수 있다. 또한, 부호(126)는 촬영 버튼(28)과 카메라 본체(14)측의 CPU를 접속하는 플렉셔블한 기판이다.
도 11, 도 12는 제 5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30)가 도시되고, 도 1 ∼ 도 5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도 12의 디지털 카메라(130)는 커버 부재(12) 근방의 카메라 본체 상측 가장자리부에 촬영 버튼(28)이 설치된 플레이트(132)를 축(134)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카메라 본체(14)와 플레이트(132)에 맞물려진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의 바이어싱 포오스(biasing force)에 의해 플레이트(132)를 도 12의 화살표(A)로 도시한 개방 방향으로 바이어싱해서 구성된 것이다.
또한, 플레이트(132)는 도 12에 도시한 커버 부재(12)의 개방 위치에 있어서, 플레이트(132)의 상측 가장자리부(133)가 커버 부재(12)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테이퍼 상의 스톱퍼면(12E)에 가압 바이어싱됨으로써 플레이트(132)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132)는 도 11에 도시된 위치 즉, 카메라 본체(14)의 상면과 평행한 면에 위치 결정되므로 촬영 버튼(28)이 조작되기 쉬운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커버 부재(12)를 도 11의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 방향을 향해 슬라이딩시키면, 커버 부재(12)의 스톱퍼면(12E)이 플레이트(132)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132)가 상기 스프링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대항해서 도 12의 화살표(B)로 도시하는 폐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커버 부재(12)가 완전히 닫혀졌을 때에 카메라 본체(14)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136)에 플레이트(132)가 수납된다.
이 때, 커버 부재(12)에는 상기 스프링의 바이어싱 포오스가 작용해서 개방 방향의 힘이 가해지지만, 이 바이어싱 포오스에 대항하는 만큼의 마찰을 커버 부재(12)와 카메라 본체(14) 사이에 유지시킴으로써 커버 부재(12)의 안이한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12)를 닫았을 때에 커버 부재(12)를 카메라 본체(14)에 맞물리게 하는 훅, 클릭 기구 등의 맞물림 부재를 설치해도 좋다.
도 13, 도 14는 제 6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40)가 도시되고, 도 1 ∼ 도 5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도 14의 디지털 카메라(140)는 조작 버튼 군(22, 24, 26, 32, 34)이 설치된 블록체(142)를 카메라 본체(14)와는 별체로 구성하고, 블록체(142)의 상면(144)에 형성된 오목부(145)에 촬영 버튼(28)을 배치함과 아울러, 도 14와 같이 스프링(146)을 통해 카메라 본체(14)에 연결해서 구성된 것이다.
도 14(A) 및 도 14(B)와 같이, 커버 부재(12)를 개방하면 블록체(142)가 스프링(146)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대항해서 카메라 본체(14)의 수납용 오목부(148)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촬영 버튼(28) 및 조작 버튼 군(22, 24, 26, 32, 34)이 노출된다.
커버 부재(12)를 도 13 및 도 14(B)의 개방 위치로부터 도 14(A) 폐쇄 위치 방향을 향해 슬라이딩시키면 커버 부재(12)가 스프링(146)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대항해서 수납용 오목부(148)로 이동하게 되고, 커버 부재(12)가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에 도 14(A)와 같이 수납용 오목부(148)에 블록체(142)가 수납됨과 아울러, 블록체(142) 전체가 커버 부재(12)와 카메라 본체(14)에 의해 덮여진다.
이 때, 커버 부재(12)에는 스프링(146)의 바이어싱 포오스가 작용해서 개방 방향의 힘이 가해지지만, 이 바이어싱 포오스에 대항하는 만큼의 마찰을 커버 부재(12)와 카메라 본체(14) 사이에 유지시킴으로써 커버 부재(12)의 안이한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12)를 폐쇄했을 때에 커버 부재(12)를 카메라 본체(14)에 맞물리게 하는 훅, 클릭 기구 등의 맞물림 부재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촬영 버튼(28), 촬영 렌즈(34)를 화상 재생 모드 시에 커버 부재(12)에 의해 감추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화상 재생시에 노출시켜 두어도 좋다. 또한, 화상 재생 모드 시에 커버 부재(12)에 의해 감추어지는 조작 부재를 촬영용 조작 부재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화상 재생 모드 시에 사용되지 않는 조작 부재이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에 의하면, 제 1 어셈블리에서 제 2 어셈블리를 조작 부재를 덮는 제 1 위치와 조작 부재를 노출시키는 제 2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했으므로, 대 화면 표시부가 설치된 카메라에 있어서 제 1 어셈블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촬영시/화상 재생시의 조작성 및 그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6)

  1. 제 1 어셈블리에 촬영 렌즈 및 표시부가 설치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셈블리에 제 2 어셈블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 어셈블리는 상기 렌즈를 덮는 제 1 위치와 상기 렌즈를 노출시키는 제 2 위치에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 2 어셈블리의 위치와 관계없이 제 2 어셈블리에 의해 덮여지지 않고,
    상기 제 2 어셈블리가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하면 카메라의 모드가 화상 재생 모드로 스위칭되고, 상기 제 2 어셈블리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면 카메라의 모드가 촬영 모드로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촬영시에 조작되는 촬영용 조작 부재가 상기 제 1 어셈블리에 구비되고,
    상기 촬영용 조작 부재는 상기 제 2 어셈블리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 2 어셈블리에 의해 덮여지고, 상기 제 2 어셈블리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는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셈블리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으면 상기 제 1 어셈블리에 설치된 촬영 버튼이 제 2 어셈블리에 의해 덮여지고,
    상기 제 2 어셈블리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으면 상기 촬영 버튼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셈블리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 위치에 화상의 재생시에 조작되는 화상 재생용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재생용 조작 부재는 상기 제 2 어셈블리가 제 2 위치에 있으면 촬영에 관련된 조작 버튼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7. 삭제
  8. 표시부를 구비하는 제 1 어셈블리와, 그립부를 구비하는 제 2 어셈블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어셈블리와 제 2 어셈블리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수납시의 형태는 횡 폭이 짧아지고,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전개시의 형태는 횡 폭이 길어지는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수납시에 상기 제 2 어셈블리에 덮여짐과 아울러 상기 전개시에 노출되는 렌즈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납시 및 상기 전개시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제 2 어셈블리에 의해 덮여지지 않고,
    상기 수납시의 형태로부터 전개시의 형태로의 슬라이딩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렌즈부는 카메라 정면으로부터 봐서 제 1 어셈블리의 우측에 노출되고,
    상기 수납시에는 카메라의 모드가 화상 재생 모드로 스위칭되고, 상기 전개시에는 카메라의 모드가 촬영 모드로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9. 표시부 및 렌즈부를 구비하는 제 1 어셈블리와, 그립부를 구비하는 제 2 어셈블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어셈블리와 제 2 어셈블리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수납시의 형태는 횡 폭이 짧아지고,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전개시의 형태는 횡 폭이 길어지는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수납시에는 상기 제 2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렌즈부의 전면이 덮여지고, 상기 전개시에는 상기 렌즈부가 노출됨과 아울러 카메라의 배면으로부터 봐서 상기 표시부로부터 우측의 그립부의 폭이 확대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납시 및 상기 전개시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제 2 어셈블리에 의해 덮여지지 않고,
    상기 수납시에는 카메라의 모드가 화상 재생 모드로 스위칭되고, 상기 전개시에는 카메라의 모드가 촬영 모드로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0. 배면에 횡방향으로 긴 표시부를 가지는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와 렌즈부를 구비하는 제 1 어셈블리와,
    그립부를 구비하는 제 2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어셈블리와 제 2 어셈블리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렌즈부는 상기 제 1 어셈블리와 제 2 어셈블리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수납시에는 제 2 어셈블리에 덮여짐과 아울러, 상기 제 1 어셈블리와 제 2 어셈블리가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전개시에는 상기 카메라 정면으로부터 봐서 제 1 어셈블리의 우측에 노출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납시 및 상기 전개시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제 2 어셈블리에 의해 덮여지지 않고,
    상기 수납시에는 카메라의 모드가 화상 재생 모드로 스위칭되고, 상기 전개시에는 카메라의 모드가 촬영 모드로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1. 삭제
  12. 삭제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셈블리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 위치에 화상의 재생시에 조작되는 화상 재생용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조작 부재가 고정되는 제 3 어셈블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3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어셈블리의 하우징부에 수납되고,
    상기 제 2 어셈블리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 3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 3 어셈블리에 고정된 상기 조작 부재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셈블리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 쪽으로 슬라이드되면, 상기 제 1 어셈블리와 상기 제 3 어셈블리 사이에 연결된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 힘에 의해 상기 제 3 어셈블리가 상기 제 1 어셈블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바이어싱되어 상기 조작 부재를 노출시키고,
    상기 제 2 어셈블리가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드되면, 상기 제 3 어셈블리는 상기 바이어싱 힘에 대항해서 상기 제 1 어셈블리를 향하여 이동하여 상기 제 1 어셈블리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KR1020060110730A 2005-11-09 2006-11-09 카메라 KR101265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25374A JP5243691B2 (ja) 2005-11-09 2005-11-09 カメラ
JPJP-P-2005-00325374 2005-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001A KR20070050001A (ko) 2007-05-14
KR101265529B1 true KR101265529B1 (ko) 2013-05-20

Family

ID=37734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730A KR101265529B1 (ko) 2005-11-09 2006-11-09 카메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38785B2 (ko)
EP (1) EP1786198B1 (ko)
JP (1) JP5243691B2 (ko)
KR (1) KR101265529B1 (ko)
AT (1) ATE510409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9497B2 (en) 2005-11-21 2011-06-28 Sony Corporation Image capturing apparatus having a movable display screen
US7672584B2 (en) * 2006-03-06 2010-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device
USD609714S1 (en) * 2007-03-22 2010-02-09 Fujifilm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CN101686273B (zh) * 2008-09-26 2014-11-2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通讯装置
US8672427B2 (en) * 2010-01-25 2014-03-18 Pepsico, Inc. Video display for product merchandisers
CN110708466B (zh) 2010-02-19 2022-02-18 株式会社尼康 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摄像方法
JP5570346B2 (ja) * 2010-08-18 2014-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TWI470336B (zh) * 2011-06-27 2015-01-21 Ability Entpr Co Ltd 手持式殼體
US10371305B1 (en) * 2012-02-22 2019-08-06 SeeScan, Inc. Dockable tripodal camera control unit
US9674411B2 (en) * 2014-06-25 2017-06-06 Lund Motion Products, Inc. Portable cameras and related methods
JP2015216671A (ja) * 2015-06-30 2015-12-03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205208A (ja) * 2019-09-06 2019-11-28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8254A (ja) 1998-06-04 2000-03-14 Nokia Mobile Phones Ltd カメラ付き移動通信装置
JP2000347268A (ja) * 1999-06-03 2000-12-15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
JP2005099854A (ja) 2004-11-29 2005-04-14 Olympus Corp 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716B2 (ja) * 1985-06-27 1994-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
JP3797712B2 (ja) 1996-08-22 2006-07-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ビデオカメラ一体型記録再生装置
US5943520A (en) 1996-10-01 1999-08-24 Fuji Photo Film Co., Ltd. Camera having a slide case
US6222538B1 (en) * 1998-02-27 2001-04-24 Flashpoint Technology, Inc. Directing image capture sequences in a digital imaging device using scripts
JPH11298773A (ja) 1998-04-08 1999-10-29 Fuji Photo Film Co Ltd モニタ付きカメラ
US6322259B1 (en) 1998-08-06 2001-11-27 Nikon Corporation Camera provided with slide cover
JP2001197344A (ja) * 1999-11-01 2001-07-19 Fuji Photo Film Co Ltd 被写体を撮影する撮影装置
JP2002072329A (ja) * 2000-08-23 2002-03-12 Minolta Co Ltd カメラ
JP3949887B2 (ja) * 2000-11-20 2007-07-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
US6571063B2 (en) * 2001-09-13 2003-05-27 Eastman Kodak Company Cover for a camera for protecting image capture lens and electronic image display
CN1293423C (zh) * 2002-01-29 2007-01-03 佳能株式会社 摄像装置
JP2004069830A (ja) * 2002-08-02 2004-03-04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KR100608726B1 (ko) * 2003-12-09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JP4403398B2 (ja) * 2004-09-08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M265649U (en) * 2004-09-10 2005-05-21 Premier Image Technology Corp Sliding cover of camera
JP2006113174A (ja) * 2004-10-13 2006-04-27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デジタルカメラ
KR100761480B1 (ko) * 2006-05-26 2007-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및 카메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8254A (ja) 1998-06-04 2000-03-14 Nokia Mobile Phones Ltd カメラ付き移動通信装置
JP2000347268A (ja) * 1999-06-03 2000-12-15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
JP2005099854A (ja) 2004-11-29 2005-04-14 Olympus Corp 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10409T1 (de) 2011-06-15
JP2007133105A (ja) 2007-05-31
EP1786198B1 (en) 2011-05-18
JP5243691B2 (ja) 2013-07-24
US20070104477A1 (en) 2007-05-10
US7738785B2 (en) 2010-06-15
KR20070050001A (ko) 2007-05-14
EP1786198A1 (en)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529B1 (ko) 카메라
JP4977363B2 (ja) 表示装置
JP4791165B2 (ja) カメラ
KR101134540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EP1763223B1 (en) Image capturing device
JP436795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565276B2 (ja) カメラ及びそのモード切換方法
JP4653939B2 (ja) 画像再生装置
JP4433297B2 (ja) 撮像装置及び画像再生装置
JP2007173977A (ja) カメラ
JP4815224B2 (ja) カメラ
JP2006253943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6014217A (ja) 撮像装置
JP2009260482A (ja) デジタルカメラ
KR20060082188A (ko) 정확한 인쇄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JP2006317586A (ja) 撮像装置
JP2011076096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