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111B1 -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 - Google Patents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111B1
KR101263111B1 KR1020110100725A KR20110100725A KR101263111B1 KR 101263111 B1 KR101263111 B1 KR 101263111B1 KR 1020110100725 A KR1020110100725 A KR 1020110100725A KR 20110100725 A KR20110100725 A KR 20110100725A KR 101263111 B1 KR101263111 B1 KR 101263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eiling
video camera
roof slid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6565A (ko
Inventor
김권하
Original Assignee
김권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권하 filed Critical 김권하
Priority to KR1020110100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111B1/ko
Publication of KR20130036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E04H3/24Constructional features of st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ultimedia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시스템은 촬영공간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의 내측 지면을 일정 깊이로 파내어 형성되며, 물이나 흙, 모래가 채워져 형성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주변 지면에 설치되며, 카메라를 장착한 대차가 구동되는 고정트랙; 상기 다수의 프레임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 또는 촬영용 조명설치 장소를 형성하는 캣워크; 상기 천장의 일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덮개; 상기 덮개를 개폐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에 필요한 각종 세트장과 촬영 보조 시설이 구비되고, 환기와 채광이 용이하도록 천장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촬영을 위해 장소를 이동할 필요가 없어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실내 세트장의 오염된 실내공기 또는 폭약이나 연막에 사용되는 연기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고, 촬영에 필요한 조명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MEDIA STUDIO STRUCTURE}
본 발명은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에 요구되는 각종 세트장과 촬영 보조 시설이 구비되고, 환기와 채광이 용이하도록 천장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한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영화산업의 시장성이 증가되고, 영화 및 미디어 산업이라 불리울 정도로 영화 산업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다른 산업과 비견될 정도로 매우 큰 시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아울러 글로벌화에 따라 잘 만들어진 영화 한편으로 전세계적인 투자와 흥행 성공에 따른 막대한 수입을 창출할 수 있기에 국가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한 산업분야로 인식하고 있고, 이에 정부에서도 지원을 장려하고 있다.
대개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영상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작품의 배경이 되는 촬영장소를 선택하거나 또는 세트장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 촬영장소를 찾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을 들여 적합한 장소를 찾아다녀야 하고, 또 장소를 찾거나 섭외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으며,향후에는 실내 촬영 튜디오내에서 미래의 가상 현실을 비롯한 현실세계 등 영화 세트장을 구성하여 촬영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즉 사막, 물속과 같은 자연환경을 보여주는 장면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실제 현장에서 촬영하거나 또는 이를 재현한 세트장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영화 촬영 세트장은 대개 야외에 설치되어 있고, 주로 사극에 많이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특히 기온(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므로 악천후에는 촬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에 마련된 세트장에서 오염된 실내 공기 또는 폭약을 터트리거나 연막을 피우면 신속한 배기가 어려워 촬영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촬영에 필요한 각종 세트장과 촬영 보조 시설이 구비되고, 환기와 채광이 용이하도록 천장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촬영을 위해 장소를 이동할 필요가 없어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세트장의 오염된 실내공기 또는 폭약이나 연막에 사용되는 연기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고, 촬영에 필요한 조명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세트장; 바닥을 일정 깊이로 파내어 형성되며, 물이나 흙, 모래가 채워져 형성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주변 지면에 설치되며, 카메라를 장착한 대차가 구동되는 고정트랙; 슬라이딩 개방형 천정시스템(Roof Open Syste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천장의 개구부에는 구동장치에 의해 전개 및 권취가 제어되는 롤스크린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를 개폐 작동시키는 구동부는 상기 천장에 일정 길이로 설치된 레일; 상기 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덮개에 장착된 휠; 상기 휠을 전후로 구동시켜 개폐작동의 동력을 발휘하는 전동모터 및 상기 레일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덮개의 개방 및 폐쇄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는 상기 레일에 결합된 제1 및 제2 지붕슬라이딩도어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는 전단부에 요철형 패킹이 각기 부착되어, 폐쇄시 패킹끼리 결합되어 밀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는 전단부의 외측에 빗물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턱 및 차단편이 각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은 중심부에 하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가 닫힐때 상기 경사부를 타고 가속되어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의 단부끼리 밀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장의 하부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소음차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벽부에는 음향블럭이 형성되어 차음과 흡음 및 방음이 되도록 한 것으로 구성된 흡음벽체로 구성된 외부 차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에 필요한 각종 세트장과 촬영 보조 시설이 구비되고, 환기와 채광이 용이하도록 천장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촬영을 위해 장소를 이동할 필요가 없어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세트장의 오염된 실내공기 또는 폭약이나 연막에 사용되는 연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킴으로써, 촬영에 필요한 조명의 연출과 실내 세트장 영상물 화면의 청명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의 내부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의 내부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의 내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 중 '덮개'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 중 '흡음천장패널'의 부분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 중 '측벽부'의 부분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의 내부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의 내부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의 내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 중 '덮개'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 중 '흡음천장패널'의 부분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 중 '측벽부'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A)은, 지면에 설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지주(1)와, 상기 다수의 지주(1)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프레임(2)과, 상기 다수의 지주(1)를 연결하며, 외벽을 형성하도록 패널이 장착된 측벽부(3), 및 상기 프레임(2)의 상부에 설치되는 천장(4)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벽부(3)가 외벽을 형성하게 되므로 그 내부의 실내공간에 다양한 형태의 무대 및 세트장을 구성할 수 있고, 내부의 공간에서 영화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즉 무대 및 세트장은 실내 공간의 지면을 일정 깊이로 파내어 형성되며, 물이나 흙, 모래가 채워지는 저장부(12)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흙이나 모래를 채워 평상시 영화 및 영상물의 시나리오에 따라 가상의 영화세트를 구성하여 사막 등과 같은 환경을 조성하여 세트장으로 활용하게 된다.
또는 영화 및 영상물의 시나리오에 물을 사용할 경우 수중 씬 및 그 외 물사용과 관련된 해양 영화 등을 촬영할수 있는 세트장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2)의 주변 지면에는 카메라를 장착한 대차가 구동되는 고정트랙(10)이 형성된다.
즉 고정트랙(10)을 따라 카메라가 장착된 대차가 구동하면서 촬영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저장부(12)에 마련된 세트장을 따라 360°회전하면서 어느 방향에서든지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고정트랙(10)은 저장부(12)의 크기 및 형상에 적합하도록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천장(4)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다수의 프레임(2)에는 다수개의 캣워크(9)가 설치된다.
상기 캣워크(9)는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 및 촬영 조명용 설치장소로써 일정 길이로 된 발판과, 상기 발판의 양측에 형성된 난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프레임(2)에 형성된 레일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캣워크(9)의 구동수단은 발판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에 결합되는 휠과, 상기 휠을 구동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수개의 캣워크(9)는 어느 한쪽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좌,우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천장(4)의 개구부를 개방시킬때는 배기나 채광이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캣워크(9)를 좌,우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시키고, 하단부의 실내 세트장을 구성 후 촬영용조명설비를 위해 캣워크(9)를 세트장 상부 위치로 이동시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천장(4)은 배수가 용이하도록 경사지붕으로 형성되며, 그 지붕 중앙 일부에 개구부(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6)는 처짐을 방지하기위해 중앙부가 단면상 삼각형 평면상은 사각형으로 지붕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며, 이를 개폐시키도록 덮개(5)가 설치되며, 덮개(5)를 개폐 작동시키는 구동부가 마련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5)는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51,52)로 구성되며, 각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51,52)에는 각기 구동부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천장에 일정 길이로 설치된 레일(8)과, 상기 레일(8)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51,52)에 장착된 휠(172)과, 상기 휠(172)을 전후로 구동시켜 개폐작동의 동력을 발휘하는 전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8)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덮개(5)의 개방 및 폐쇄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포함된다.
즉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51,52)의 하부에는 레일(8)과 결합되는 휠(172)이 다수개 장착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51,52)에는 각기 전동모터가 장착되어 상기 다수개의 휠(17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이렇게 전동모터와 연결된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51,52)가 각기 개별적으로 작동되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개폐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일(8)은 중심부에 하향 경사진 경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51,52)가 닫힐때 상기 경사부를 타고 하강되면서 가속되어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51,52)의 단부끼리 밀착될 수 있다. 즉 레일(8)의 경사부는 개구부(6)의 중앙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51,52)는 내,외부 판재와 그 사이에 충진되는 차음재, 흡음재 및 각종구조체로 구성되어 일정 두께를 갖는 판상이며, 전단부에 요철형 패킹(55a,55b)이 각기 부착되어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51,52)가 폐쇄되면 각각의 요철형 패킹(55a,55b)이 맞물려 결합됨으로써 밀폐성을 갖게 된다.
상기 요철형 패킹(55a,55b)은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51,52)에 각기 부착되며, 예를들어 제1 지붕 슬라이딩 도어(51)에 부착되는 패킹(55a)에는 요(凹)부가 형성되고, 제2 지붕 슬라이딩 도어(52)에 부착되는 패킹(55b)에는 철(凸)부가 형성됨으로써 이들 요철형 패킹(55a,55b)이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어 밀폐성을 갖게된다.
이렇게 밀폐성을 발휘함으로써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고, 아울러 소음의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빗물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51,52)는 전단부의 외측에 차단턱(53) 및 차단편(54)이 각기 형성된다.
예를들어 제1 지붕 슬라이딩 도어(51)의 전단부 외측에 다수의 차단턱(53)이 형성되고, 제2 지붕 슬라이딩 도어(52)의 전단부 외측에는 제1 지붕 슬라이딩 도어(51)의 전단부의 일부분까지 덮을 수 있도록 차단편(54)이 형성된다.
상기 차단턱(53)은 철판을 절곡시켜 "⊃"자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빗물이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51,52)의 요철형 패킹(55a,55b)까지 스며들지 않도록 중간에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 상기 차단편(54)은 차단턱까지 덮을 수 있는 철재의 편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51,52)의 요철형 패킹(55a,55b)을 덮어 빗물의 유입을 방지토록 한다.
한편 상기 천장(4)의 개구부(6)의 하부에는 구동장치에 의해 전개 또는 권취가 제어되는 롤스크린(7)이 설치된다.
상기 롤스크린(7)의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전동모터와, 이 전동모터에 연결되는 체인 또는 와이어줄로 구성되며, 상기 체인 또는 와이어줄에 롤스크린(7)이 연결된 것으로, 전동모터의 구동에 연동되어 체인 또는 와이어줄이 회전됨으로서 롤스크린(7)을 펼쳐서 전개시키거나 또는 권취시켜 접을 수 있다.
롤스크린(7)은 외부 소음의 흡음 및 차단 등의 주된 목적 외에 직사광선의 직접적인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부차적인 목적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천장(4)의 하부에는 흡음천장패널(16)이 장착된다. 상기 흡음천장패널(16)은 천장(4)에 장착된 행거(17)에 연결되어 이격된다.
또한 행거(17)의 일측에는 흡음천장패널(16)과 연결되는 방진행거(18)가 장착된다.
상기 방진행거(18)는, 상기 행거(17)의 상부에 형성된 브라켓(172)에 결합되어 수직 설치된 제1샤프트(181)와, 상기 제1샤프트(181)의 하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183)와, 상기 케이스(183)의 내부에 결합되며 외부에 스프링(184)이 장착되어 탄력을 갖도록 하고, 흡음천장패널(16)에 연결되는 제2샤프트(182)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83)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콘형상이며, 상,하부면에 제1 및 제2샤프트(181,182)가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하부 환턱(185,186)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83)의 상부 환턱(185)으로 제1샤프트(181)가 결합되어 제1와셔(187)가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183)의 하부 환턱(186)으로 제2샤프트(182)가 결합되어 제2와셔(188)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184)은 제2샤프트(182)의 상부에 끼워지고, 상단에는 제3와셔(189)가 결합되며 하단에는 제2와셔(188)가 결합됨으로써 신축작용을 하되 신축간격이 제한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방진행거(18)는 흡음천장패널(16)의 진동발생시 스프링(184)의 탄성력에 의해 진동을 흡수하여 제거함으로써 과도한 진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흡음천장패널(16)은 실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부로부터 미송각재, PE흡음재로 이루어진 흡음천장(162)과, 상기 흡음천장(162)의 상부에 형성되며 석고보드로 이루어진 부차음천장(164)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벽부(3)에는 실내에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외부에서 들어오는 소음을 차폐시킬 수 있도록 음향블럭(19)이 형성되어 흡음 및 방음되도록 한다.
상기 음향블럭(19)은 콘크리트로 형성된 고정차음벽체(191)의 안쪽면에 형성되며, 석고보드로 구성된 부차음벽체(192), 상기 부차음벽체(192)의 외면에 부착되며, 난연 도전성 테이프로 구성된 전자파 차폐재(193), 상기 전자파 차폐재(193)의 외면에 부착되며, 미송각재와 PE흡음재로 구성된 흡음벽체로 구성된 내부 차음재(19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차음벽체(191)의 바깥면에 형성된 브라켓(195)에 부착되며 석고보드로 구성된 부차음벽체(196), 상기 부차음벽체(196)의 외면에 부착되며 난연 도전성 테이프로 구성된 전자파 차폐재(199), 상기 전자파 차폐재(199)의 외면에 부착되며, 미송각재와 PE흡음재로 구성된 외부 차음재(197)를 포함한다.
따라서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고, 실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촬영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흡음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지주 2 : 프레임
3 : 측벽부 4 : 천장
5 : 덮개 6 : 개구부
8 : 레일 9 : 캣워크
10 : 고정트랙 12 : 저장부
51 : 제1 지붕 슬라이딩 도어 52 : 제2 지붕 슬라이딩 도어
53 : 차단턱 54 : 차단편
55a,55b : 요철형 패킹

Claims (7)

  1. 지면에 설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지주; 상기 다수의 지주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프레임; 상기 다수의 지주를 연결하며, 외벽을 형성하도록 패널이 장착된 측벽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천장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의 내측 지면을 일정 깊이로 파내어 형성되며, 물이나 흙, 모래가 채워져 형성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주변 지면에 설치되며, 카메라를 장착한 대차가 구동되는 고정트랙;
    상기 다수의 프레임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 또는 촬영용 조명설치 장소를 형성하는 캣워크;
    상기 천장의 일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덮개;
    상기 덮개를 개폐 작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를 개폐 작동시키는 구동부는
    상기 천장에 일정 길이로 설치된 레일;
    상기 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덮개에 장착된 휠;
    상기 휠을 전후로 구동시켜 개폐작동의 동력을 발휘하는 전동모터 및
    상기 레일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덮개의 개방 및 폐쇄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레일에 결합된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는 전단부에 요철형 패킹이 각기 부착되어, 폐쇄시 상기 요철형 패킹끼리 결합되어 밀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붕 슬라이딩도어 전단부의 외측에는 차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 전단부의 외측에는 상기 제1 지붕 슬라이딩도어 전단부의 일부분까지 덮을 수 있도록 차단편이 각기 형성되어 빗물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중심부에 하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가 닫힐때 상기 경사부를 타고 가속되어 제1 및 제2 지붕 슬라이딩도어의 단부끼리 밀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캣워크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양측에 형성된 난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프레임에 형성된 레일에 상기 발판의 양단부가 결합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의 개구부에는 구동장치에 의해 전개 및 권취가 제어되는 롤스크린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



KR1020110100725A 2011-10-04 2011-10-04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 KR101263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725A KR101263111B1 (ko) 2011-10-04 2011-10-04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725A KR101263111B1 (ko) 2011-10-04 2011-10-04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565A KR20130036565A (ko) 2013-04-12
KR101263111B1 true KR101263111B1 (ko) 2013-05-09

Family

ID=4843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725A KR101263111B1 (ko) 2011-10-04 2011-10-04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7720A (zh) * 2017-09-15 2021-01-26 橙天嘉禾投资有限公司 剧场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8485A (zh) * 2014-06-27 2014-10-08 长兴百叶龙演出有限公司 一种柱光区架
KR200486362Y1 (ko) * 2016-08-03 2018-05-08 (주)잼투고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
CN110397210A (zh) * 2019-08-27 2019-11-01 广东白云学院 舞台调控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826B1 (ko) 2007-01-11 2007-11-22 주식회사 한솔공영 아케이드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826B1 (ko) 2007-01-11 2007-11-22 주식회사 한솔공영 아케이드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7720A (zh) * 2017-09-15 2021-01-26 橙天嘉禾投资有限公司 剧场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565A (ko) 201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111B1 (ko)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
WO2013069574A1 (ja) 開口部の防水装置および開口部の防水シート
US9291356B2 (en) Equipment enclosure and method of installation to facilitate servicing of the equipment
JP6399870B2 (ja) 止水板及び止水板を備える開口部の防水装置
ATE391216T1 (de) Zelteckenkonstruktion
JP2013160037A (ja) 簡易津波・耐震シェルター
JP2010077774A (ja) 建具
JP5065782B2 (ja) ドア枠の取付構造
JP2008088780A (ja) 中間層免震建物
KR101275889B1 (ko) 영상물 촬영스튜디오의 지붕 개폐장치
JP2018039074A (ja) 建築物の天井裏点検方法
JP3439021B2 (ja) 水中遊歩トンネルの安全装置
JPH0547719B2 (ko)
JPH0725195U (ja) シャッター用止水装置
JPH0513238B2 (ko)
KR20110007657U (ko) 도심 주차빌딩을 활용한 자동차 극장
KR20220134096A (ko) 방음터널
GB2283524A (en) Inflatable flood barrier
JP2022003368A (ja) Ledディスプレイ搭載車両
KR101168552B1 (ko) 건축 중인 건물 개구부 보호기구
RU1794153C (ru) Крупнопанельное здание
JP4296099B2 (ja) 免震住宅における外壁部の縁切構造
JPS6347264Y2 (ko)
JP6996691B2 (ja) 建具枠と外壁材とのシール構造
JP2003176509A (ja) 防音壁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