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362Y1 -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 - Google Patents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362Y1
KR200486362Y1 KR2020160004489U KR20160004489U KR200486362Y1 KR 200486362 Y1 KR200486362 Y1 KR 200486362Y1 KR 2020160004489 U KR2020160004489 U KR 2020160004489U KR 20160004489 U KR20160004489 U KR 20160004489U KR 200486362 Y1 KR200486362 Y1 KR 200486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edia
booth
module
media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426U (ko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주)잼투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잼투고 filed Critical (주)잼투고
Priority to KR2020160004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362Y1/ko
Priority to PCT/KR2017/008227 priority patent/WO2018026149A1/ko
Publication of KR201800004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3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18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oundproof en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폐쇄된 공연 부스(performances booth)에서는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여 공연을 촬영 및 녹음하는 스튜디오(studio)로 사용하며, 공연 부스의 측면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외부 관람자들에게 공연을 제공할 수 있는 공연장(performances hall)으로 사용하기 위한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방음 및 차음이 가능한 공연 부스(booth)와 상기 개구부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공연 부스의 외측으로 영상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 도어부와 상기 미디어 도어부의 상부 이동 모듈과 체결되고, 상기 상부 이동 모듈과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미디어 도어가 이동 가능하도록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상부 이동 가이드부와 상기 미디어 도어부의 하부 이동 모듈과 체결되고, 상기 하부 이동 모듈과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미디어 도어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하부 이동 가이드부와 상기 상부 이동 가이드 또는 상기 하부 이동 가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도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부 및 상기 미디어 도어부의 이동을 위해 상기 동력 제공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함에 기술적 의의가 있다.

Description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Performance booth having a opening media door}
본 고안은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폐쇄된 공연 부스(performances booth)에서는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여 공연을 촬영 및 녹음하는 스튜디오(studio)로 사용하며, 공연 부스의 측면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외부 관람자들에게 공연을 제공할 수 있는 공연장(performances hall)으로 사용하기 위한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미디어 및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UGC(User Generated Contents)의 품질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컨텐츠에 익숙한 일반인들의 고품질 UGC 생성에 대한 욕구도 커지고 있다. 생성된 고품질의 UGC는 유튜브(Youtube)와 같은 온라인 매체를 통해 쉽게 공유된다.
게다가, 재능있는 일반인들의 직접적인 무대 공연에 따른 관객과의 직접적인 소통에 대한 수요도 점점 커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온라인 공유를 위한 고품질의 UGC를 생성할 수 있으며, 관객들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무대 공연이 가능한 복합 문화 공간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스튜디오는 폐쇄성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스튜디오는 녹음 품질을 위해, 외부 소음과 같은 외부 환경의 통제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방음벽 및 방음유리가 외부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스튜디오는 기본적으로 모니터링 장치, 조명 및 오디오 장치를 구비한다. 한편, 통신 기술과 컨텐츠 재생 기술이 발전하면서 음악 컨텐츠 제작의 경우에도 단순히 음향만 녹음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도 함께 촬영하여 뮤직 비디오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유행함에 따라, 스튜디오에서도 음향 녹음 장치뿐만 아니라 영상 촬영 장치도 함께 요구되고 있다.
반면에, 공연 무대는 개방성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관객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선 무대의 공연이 관객에게 잘 보여야 하므로 무대 조명이 필요하고, 음악 공연을 위해선 모니터링 장치 및 오디오 장치 등이 필요하다. 또한, 무대 공연을 촬영하기 위한 다수의 촬영 장치도 필요하다.
스튜디오와 무대는 각각 폐쇄성 및 개방성의 대비되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공간에 설치되고 별도로 운영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녹음 장치, 촬영 장치, 조명 장치 등 다수의 공유할 수 있는 장치를 갖는다. 또한, 제한적인 공간의 복합 문화 공간에서 스튜디오 및 무대를 모두 수용하기 위해서는 각각 크기를 줄일 수밖에 없다. 또한, 공연 무대가 한쪽에 배치되면 일부 관객석에서는 공연을 잘 볼 수 없다.
따라서, 장비 운용 비용 절감 및 효율적인 공간 활용 측면에서 무대 겸용 스튜디오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스튜디오의 외벽 중 관객을 향한 일측의 벽을 개폐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녹음 또는 공연의 성격에 맞게 제어되는 컨버터블식 무대 겸용 스튜디오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스튜디오는 개방형 스튜디오와 폐쇄형 스튜디오의 복합적인 형태로 운영될 수 있어야 한다.
Fleit Gibbons Gutman Bongini & Bianco PL의 미국공개특허공보 US 2008/0198271호 "Self operated computerized karaoke recording booth"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파일을 레코딩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된 레코딩 부스가 공개되어 있는데, 종래기술 1은 폐쇄형 스튜디오의 한 종류이다.
종래기술 1은 사용자가 자동화된 레코딩 부스의 내부에 설치된 비디오 및 오디오 기기를 조작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컴퓨터에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레코딩 부스의 외부에는 내부에서 비디오 기기를 통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가 구비되어 외부의 관람자들이 레코딩 부스 내의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1과 같은 폐쇄형 스튜디오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모습을 레코딩 부스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을 뿐이며, 레코딩 부스의 사용자는 공연장과 같이 개방된 공간에서 다수의 관람자들을 위한 공연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Carley et al.의 미국공개특허공보 US 2007/0098368호 "Mobile recording studio system"은 녹음 스튜디오의 제어 시스템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2는 실내 스튜디오 촬영만을 기술할 뿐 관객을 향해 개폐되어 공연 무대로 사용될 수 있는 겸용 구성에 대해서는 기술하고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 여닫이 형태의 전면 도어는 이용자를 위한 통로일 뿐이며, 스튜디오 외부의 관람자를 위해 공연을 제공할 수 있도록 스튜디오를 개방하기 위한 구성이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 1 및 종래기술 2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Silicon Graphics, Inc.의 미국등록특허공보 US 5,790,124호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a performer to control and interact with an on-stage display device"는 퍼포머가 관람자들과 호응할 수 있는 무대공연에 관한 기술이다.
특히, 종래기술 3은 퍼포머가 개방된 공연장에서 관람자들에게 공연을 제공할 수 있으며, 무대공연을 위한 다양한 영상 데이터가 프로젝터를 통해 무대의 스크린에 출력될 때 해당 영상 데이터를 스스로 제어하여 공연을 진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3은 관람자들에게 개방된 공연장에서 퍼포머가 공연을 수행할 때 공연장 내부에 구비된 프로젝터의 영상을 퍼포머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해당 공연장은 관람자들에게 지속적으로 개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레코딩 스튜디오인 폐쇄형 스튜디오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 3의 공연장이 폐쇄형 스튜디오의 형태로 구조를 변경한다 하여도, 공연장에 구비된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은 공연을 수행하는 퍼포머에 의해 제어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프로젝터 및 스크린을 공연장의 외부에 설치하여 관람자들에게 개방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종래기술 3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Temple John W의 미국공개특허공보 US 2006/0039142호 "Led net display"에는 복수 개의 Led 유닛을 교차되는 그물망 구조로 형성하여, 정지 화상 또는 동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미디어 월(media wall)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종래기술 4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대면적에 적용하여 야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며, 대면적 LED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주변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 4를 종래기술 1 내지 종래기술 3에 적용하여, 공연을 촬영한 컨텐츠 또는 다른 컨텐츠를 미디어 월에 출력할 수 있으나, 폐쇄형 스튜디오 또는 개방형 스튜디오 중 어느 하나에만 적용될 뿐, 상호간에 교차하여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윤세중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68775호 "특설무대차량"은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된 이동형 무대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 5는 단순히 공연이 가능한 무대일 뿐, 개폐 가능한 도어가 개방 되지 않았을 경우에 무대 외부의 소음이 차단되는 스튜디오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기술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무대 공연 이외의 시간에 스튜디오로 활용할 수 없다. 또한, 종래기술 5는 이동형 이기 때문에, 한정된 고정 공간에서 녹음 스튜디오와 공연 무대를 겸용할 수 있는 공간 활용 방법에 대해서도 기술하고 있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공개특허공보 US 2008/0198271호 미국공개특허공보 US 2007/0098368호 미국등록특허공보 US 5,790,124호 미국공개특허공보 US 2006/0039142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68775호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는, 공연을 수행하는 공연자의 무대(stage)를 관람자들에게 개방하여 운영하거나, 관람자들로부터 차단하여 운영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는,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미디어 월(media wall)을 공연 부스의 미디어 도어(door)로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공연 부스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에도 미디어 도어의 미디어 월을 이용하여 공연 부스의 내부 또는 외부를 촬영하는 영상 또는 제작된 다양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는, 미디어 도어 이외에 공연 부스를 실질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방음 도어를 함께 구비하여 공연 부스를 폐쇄형 스튜디오로 사용하는 경우, 방음 및 차음이 가능한 공연 부스 내의 공연 음향 또는 외부의 소음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공연 부스의 방음 또는 차음을 제공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방음 및 차음이 가능한 공연 부스(booth)와 상기 개구부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공연 부스의 외측으로 영상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 도어부와 상기 미디어 도어부의 상부 이동 모듈과 체결되고, 상기 상부 이동 모듈과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미디어 도어가 이동 가능하도록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상부 이동 가이드부와 상기 미디어 도어부의 하부 이동 모듈과 체결되고, 상기 하부 이동 모듈과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미디어 도어가 이동 가능하도록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하부 이동 가이드부와 상기 상부 이동 가이드 또는 상기 하부 이동 가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상기 미디어 도어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부 및 상기 미디어 도어부의 이동을 위해 상기 동력 제공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미디어 도어부는 상기 동력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구동에 따라 상기 상부 이동 모듈에 체결된 상기 상부 이동 가이드부와 상기 하부 이동 모듈에 체결된 상기 하부 이동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공연 부스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와 상기 미디어 도어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공연 부스의 내/외측의 음향 또는 소음이 상호 유입되지 않도록 실질적인 방음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방음 도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음 도어부의 상부 이동 모듈은 상기 상부 이동 가이드부에 체결되고, 상기 방음 도어부의 하부 이동 모듈은 상기 하부 이동 가이드부에 체결되어, 상기 방음 도어부가 상기 상부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하부 이동 가이드부에 의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음 도어부는 상기 미디어 도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미디어 도어부의 이동에 의해 종속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음 도어부는 상기 미디어 도어부와 이격되어 상기 동력 제공부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공연 부스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도어부의 상기 디스플레이는 하나 이상의 LED 패널로 이루어져 있으며,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영상 신호에 따라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도어부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입력되는 하나의 영상이 복수의 상기 디스플레이에 분할되어 출력되거나, 입력되는 복수 개의 영상이 각 미디어 도어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에 각각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연 부스는 상기 공연 부스의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면을 촬영하는 촬영모듈과 상기 공연 부스의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음향을 녹음하는 녹음모듈과 상기 촬영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공연 부스의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기 위한 영상 출력모듈 및 상기 녹음모듈에서 녹음된 음향을 상기 공연 부스의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기 위한 음향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상기 미디어 도어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상기 녹음 모듈에 의해 녹음된 음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영상 출력모듈 또는 상기 음향 출력모듈에 각각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의 구성을 통한, 본 고안의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는 공연을 수행하는 공연자의 무대(stage)를 관람자들에게 개방하여 운영하거나, 관람자들로부터 차단하여 운영하도록 하여 공연 부스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는,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미디어 월(media wall)을 공연 부스의 미디어 도어(door)로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공연 부스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에도 미디어 도어의 미디어 월을 이용하여 공연 부스의 내부 또는 외부를 촬영하는 영상 또는 제작된 다양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는, 미디어 도어 이외에 공연 부스를 실질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미디어 도어와 함께 방음 도어를 함께 구비하여 공연 부스를 폐쇄형 스튜디오로 사용하는 경우, 공연 부스의 방음 및 차음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연 부스 내의 공연 음향 또는 외부의 소음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연 부스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디어 도어를 나타내기 위한 공연 부스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미디어 도어의 컨텐츠 출력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공연 부스의 정면 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방음 도어를 구비하는 공연 부스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이드부를 나타내기 위한 공연 부스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방음 도어를 구비하는 공연 부스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이드부를 나타내기 위한 공연 부스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연 부스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라 공연 부스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제1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라 공연 부스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제2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라 공연 부스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제3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고안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가 있을 수 있다.
명세서 전반에서 어떠한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기재는, 이에 대한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모듈”, “..부”,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장치 또는 각각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연 부스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연 부스 장치(100)는 개구부가 형성된 공연 부스(booth)(110)와 개구부의 전면에 구비되며, 공연 부스(110)의 외측으로 영상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 도어부(120)와 하나 이상의 미디어 도어부의 상부 구조와 체결되고, 상부 구조와 체결된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미디어 도어부(120)가 이동 가능하도록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상부 이동 가이드부(130-a)와 하나 이상의 미디어 도어부(120)의 하부 구조와 체결되고, 하부 구조와 체결된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미디어 도어부(120)가 이동 가능하도록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하부 이동 가이드부(130-b)와 상부 이동 가이드(130-a) 또는 하부 이동 가이드(130-b)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하나 이상의 미디어 도어부(120)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부(150) 및 미디어 도어부(120)의 이동을 위해 동력 제공부(1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를 포함하되, 미디어 도어부(120)는 동력 제공부(150)에서 제공되는 구동에 따라 상부 구조에 체결된 상부 이동 가이드부(130-a)와 하부 구조에 체결된 하부 이동 가이드부(130-b)를 따라 이동하여 공연 부스(110)의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연 부스(110)는 육면체의 스튜디오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람석이 위치하는 방향의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는 어떠한 크기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관람석에 위치한 관람자들이 공연 부스(110) 내의 공연을 관람하기 위해서는 일면의 전체가 개구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연 부스(110)는 육면체 이외에 돔(dome), 피라미드(pyramid)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공연 부스(110)에서 공연을 수행할 수 있다.
공연 부스(110)는 공연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모듈(111), 공연의 음향을 녹음하기 위한 녹음모듈(112), 촬영모듈(111)을 통해 촬영된 영상 또는 재생되는 컨텐츠의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영상 출력모듈(113)과 녹음모듈(112)을 통해 녹음된 음향 또는 재생되는 컨텐츠의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출력모듈(114)을 포함한다.
공연 부스(110)에 포함된 촬영모듈(111)과 녹음모듈(112)은 공연 부스(110)의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있으며, 공연자의 공연 모습을 촬영 및 녹음하거나, 공연을 관람하는 관람자의 관람 모습을 촬영 및 녹음한다.
또한, 공연 부스(110)에 포함된 영상 출력모듈(113)과 음향 출력모듈(114)은 공연 부스(110)의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있으며, 촬영모듈(111)과 녹음모듈(112)에서 촬영되고 녹음된 영상 및 음향을 공연 부스(110) 내부의 공연자에게 출력하거나, 공연 부스(110) 외부에 위치한 관람석의 관람자들에게 출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미 제작 완료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공연 부스(110)는 조명(210)이 설치되어 있다. 조명(210)은 공연 부스(110)의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공연 부스(110)의 내부 또는 외부를 촬영하는 촬영모듈(111)과 연계되어 동작된다.
또한, 공연 부스(110)는 공연 부스(110) 내에서 수행되는 공연의 형태에 따라 드럼(220), 마이크(230), 기타(240) 등의 다양한 악기 및 스튜디오에 필요한 장비들이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미디어 도어부(120)는 공연 부스(110)에 형성된 개구부의 전면에 위치하며, 개구부를 실질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미디어 도어부(120)는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미디어 도어부(120)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미디어 도어부(120)가 개별적으로 이동하여 공연 부스(110)의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즉, 공연 부스(110)를 폐쇄형 스튜디오로 운영하는 경우에는 미디어 도어부(120)가 공연 부스(110)에 형성된 개구부를 실질적으로 폐쇄할 수 있도록 개구부의 전면으로 이동하며, 공연 부스(110)를 개방형 스튜디오로 운영하는 경우에는 미디어 도어부(120)가 공연 부스(110)에 형성된 개구부를 실질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개구부의 측면 등으로 이동한다.
미디어 도어부(120)는 미디어 월(media wall)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디어 도어부(120)의 관람석 방향인 전면은 LED가 배열된 LED 패널(panel)이 형성되어 다양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LED 패널에서 LED의 배열은 수 mm 내지 수 cm 간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배열에 위치한 LED는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색상을 발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미디어 도어부(120)에서 출력되는 영상은 공연 부스(110)에 포함된 영상 출력모듈(113)에서 출력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이 출력될 수 있고, 별도의 영상이 출력될 수도 있다. 즉, 미디어 도어부(120)에 형성된 LED 패널을 통해서 공연 부스(110)에서 수행되는 공연 영상이 출력될 수 있으며, 별도의 컨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미디어 도어부(120)에서 출력되는 별도의 컨텐츠는 동영상, 정지영상, 문자, 이미지 등의 디스플레이로 출력될 수 있는 컨텐츠이며, 미디어 도어부(120)에서 출력되는 별도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음향은 음향 출력모듈(114)을 통해 출력된다.
미디어 도어부(120)에서 출력되는 영상 또는 별도의 컨텐츠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출력 여부가 결정되며, 촬영모듈(111)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 또는 저장된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제어부(160)의 제어를 통해 출력된다.
미디어 도어부(120)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미디어 도어부(12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미디어 도어부(120)에서 서로 상이한 또는 서로 동일한 영상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미디어 도어부(120)는 미디어 도어부(120)에 구비된 LED 패널을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LED 패널 각각에 서로 상이한 또는 서로 동일한 복수 개의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미디어 도어부(120)의 상부 구조 또는 하부 구조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이동 가이드부(130)와 체결될 수 있는 이동 모듈(미도시)이 하나 이상 구비된다. 이동 모듈은 이동 가이드부(130)와 체결되어, 공연 부스(110)의 운영 형태가 폐쇄형 스튜디오로 운영되는 경우 또는 개방형 스튜디오로 운영되는 경우에 미디어 도어부(120)가 공연 부스(110)의 개구부를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이동 가이드부(130)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미디어 도어부(120)의 상부 구조에 형성된 상부 이동 모듈(미도시)은 상부 이동 가이드부(130-a)와 체결되며, 미디어 도어부(120)의 하부 구조에 형성된 하부 이동 모듈(미도시)은 하부 이동 가이드부(130-b)와 체결된다. 이에 따라 미디어 도어부(120)는 이동 가이드부(130)의 설치 형태에 따라 이동되어 공연 부스(110)의 개구부를 실질적으로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도어부(120)의 중량에 따라 이동 모듈(미도시) 및 이동 가이드부(130)는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만 구비되어서 미디어 도어부(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 가이드부(130)는 레일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동 모듈은 레일에 따라 이동 가능한 바퀴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되, 그 구조와 형태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서는 구동력을 높이기 위해 톱니와 체인 형태 또는 기어 형태로 구성되거나, 부드러운 움직임을 제공하는 전자기력 등의 전자식으로 구성되거나, 적은 힘으로 동작되는 와이어 형태로 구성되거나, 유압 방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미디어 도어부(120)는 이동 모듈과 이동 가이드부(130)를 이용하여 공연 부스(110)의 개구부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이동하는데, 이동되는 미디어 도어부(120)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되거나, 동력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동력을 사용하여 미디어 도어부(12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동력 제공부(150)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이용할 수 있다.
동력 제공부(150)는 이동 모듈과 이동 가이드부(130)의 형태에 따라 전기 방식 또는 유압 방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미디어 도어부(120)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인 경우에는 어떠한 방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미디어 도어부(120)를 이동시키기 위해 동력 제공부(15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는 주체는 이동 모듈과 이동 가이드부(130)의 형태에 따라 이동 모듈 또는 이동 가이드부(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다.
동력 제공부(150)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미디어 도어부(120)가 이동 가이드부(130)를 따라 이동되는 경우, 동력 제공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동력 제공부(150)가 동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미디어 도어부(120)의 이동 모듈과 결합된 이동 가이드부(130)는 상부 이동 가이드부(130-a)와 하부 이동 가이드부(130-b)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부 이동 가이드부(130-a) 또는 하부 이동 가이드부(130-b) 중 어느 하나의 이동 가이드부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상부 이동 가이드부(130-a)와 하부 이동 가이드부(130-b)는 미디어 도어부(120)를 이동시키기 위해 공연 부스(110)에 형성된 개구부의 외측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다. 이동 가이드부(130)는 개구부를 실질적으로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소정 면적의 미디어 도어부(120)가 개구부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미디어 도어부(120)와 이동 가이드부(130)는 미닫이 문(sliding door)의 형태로 구성된다.
미디어 도어부(120)는 LED 패널인 미디어 월(media wall)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미디어 도어부(120)가 공연 부스(110)를 실질적으로 밀폐한다 하여도 내부의 음향 유출 또는 외부의 소음 유입 등을 방지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음을 수행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미디어 도어부(120)는 LED 패널의 배면에 방음 모듈(미도시)을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미디어 도어부(120)에 방음 모듈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공연 부스(110)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경우, 방음 모듈이 음향의 유출 또는 소음의 유입 등의 공연 부스(110)의 실질적인 방음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방음 부재가 미디어 도어부(120)의 배면에 구비되는 경우, 미디어 도어부(120)에 구비된 LED 패널에서 발생하는 열이 용이하게 방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디어 도어부(120)의 LED 패널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방음 도어부(140)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음 도어부(140)는 공연 부스(110)의 개구부와 미디어 도어부(120)의 사이에 위치하며, 공연 부스(110)의 개구부에 밀착되어 개구부를 실질적으로 폐쇄한다. 이에 따라 방음 도어부(140)는 미디어 도어부(12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나, 개구부를 통한 음향 유출 또는 소음 유입 등을 차단할 수 있는 크기인 경우에는 어떠한 크기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방음 도어부(140)는 미디어 도어부(120)의 배면에 위치하되, 미디어 도어부(120)와 밀착되어 위치할 수도 있지만, 미디어 도어부(120)에 형성된 LED 패널의 방열을 위해서 미디어 도어부(120)의 배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음 도어부(140)에서 공연 부스(110) 방향의 배면을 제외한 상,하,좌,우 및 전면의 5개 외주면에는 공연 부스(110)와 체결되기 위한 제1 체결 모듈(미도시) 하나 이상 구비된다.
공연 부스(110)의 개구부와 실질적으로 밀착되어 공연 부스(110)의 방음을 실현하는 방음 도어부(140)가 개구부를 폐쇄하는 경우, 방음 도어부(140)의 해당 제1 체결 모듈(미도시)과 공연 부스(110)에 구비된 제2 체결 모듈(미도시)이 상호 체결되어 실질적으로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다.
이때, 방음 도어부(140)에 구비되는 제1 체결 모듈과 공연 부스(110)에 구비되는 제2 체결 모듈은 상호 간에 결합될 수 있는 수단인 경우, 어떠한 방법 또는 구조의 체결 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호 걸이식으로 체결되는 후크(hook) 방식, 볼트/너트 등의 스크류 조임 방식, 자력으로 상호 결합하는 전자석 방식, 유압 방식, 진공 흡착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방음 도어부(140)를 개구부에 밀착하여 유지시킬 수 있는 체결 수단인 경우에는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제1 체결 모듈 또는 제2 체결 모듈 중 어느 하나 만을 사용하여 방음 도어부(140)를 개구부에 밀착하여 유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다른 하나의 체결 모듈을 생략할 수 있다.
만약, 방음 도어부(140)가 구비되지 않으며, 미디어 도어부(120)에 방음 모듈이 추가된 경우에는 미디어 도어부(120)에 제1 체결 모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디어 도어부(120)와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방음 도어부(140)가 구비되는 경우에 방음 도어부(140)도 미디어 도어부(120)와 같은 이동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방음 도어부(140)에도 이동 모듈(미도시)이 구비되다. 즉, 방음 도어부(140)의 이동 모듈이 이동 가이드부(130)와 결합되어 미디어 도어부(120)의 이동과 같은 매커니즘으로 방음 도어부(140)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도어부(120)의 이동 모듈과 방음 도어부(140)의 이동 모듈이 결합되는 이동 가이드부(130)는 상부 이동 가이드부(130-a)와 하부 이동 가이드부(130-b)에 각각 함께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도 6 참조). 또는, 미디어 도어부(120)의 이동 모듈과 방음 도어부(140)의 이동 모듈이 결합되는 이동 가이드부(130)는 미디어 도어부(120)의 이동 모듈과 결합되는 이동 가이드부(131-b)와 방음 도어부(140)의 이동 모듈과 결합되는 이동 가이드부(132-b)로 각각 별도로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도 7 참조).
미디어 도어부(120)의 이동 모듈과 방음 도어부(140)의 이동 모듈이 서로 상이한 각 이동 가이드부(131-b, 132-b)에 결합되는 경우, 각각의 이동 가이드부(131-b, 132-b)는 서로 동일한 이동 방향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미디어 도어부(120)와 방음 도어부(140)를 이동시키거나, 서로 다른 이동 방향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미디어 도어부(120)와 방음 도어부(14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 가이드부(130)가 미디어 도어부(120)의 이동 모듈과 방음 도어부(140)의 이동 모듈과 각각 따로 결합되는 경우에도 이동 가이드부(130)는 상부 이동 가이드부와 하부 이동 가이드부로 각각 나뉘어 결합된다.
또한, 미디어 도어부(120)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부(150)도 방음 도어부(140)의 이동을 위해 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방음 도어부(140)의 이동만을 위한 동력 제공부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방음 도어부(140)가 구비되는 경우, 동력 제공부(150)를 통해 방음 도어부(140)의 이동을 위한 별도의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동력 제공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동력 제공부(150)는 미디어 도어부(120)와 방음 도어부(140) 중 어느 하나의 이동을 위해서만 동력을 제공하고, 동력 제공부(150)의 동력을 제공받지 않는 어느 하나의 미디어 도어부(120) 또는 방음 도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을 이동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디어 도어를 나타내기 위한 공연 부스의 정면도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연 부스(110)의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해 두 개의 미디어 도어부(120-a, 120-b)는 미닫이 문(sliding door)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 이동 가이드부(130-a)와 하부 이동 가이드부(130-b)에 결합되어 있다.
각 미디어 도어부(120-a, 120-b)의 전면은 LED 패널로 이루어져 있어, 도 2의 (a) 또는 도 2의 (b)에서와 같이 다양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되는 컨텐츠는 두 개로 구성되는 미디어 도어부(120-a, 120-b)에 각각 개별적으로 출력되거나, 두 개로 구성되는 미디어 도어부(120-a, 120-b)를 하나의 디스플레이와 같이 하나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각 미디어 도어부(120-a, 120-b)가 각각 서로 상이한 컨텐츠를 출력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는 PC, 모바일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공연 부스(1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하면, 제어부(160)는 해당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동력 제공부(150)에 전송한다.
동력 제공부(150)는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각각의 미디어 도어부(120-a, 120-b)에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각 미디어 도어부(120-a, 120-b)가 도 2의 (b)와 같이 이동하게 되고, 공연 부스(110)의 개구부가 개방될 수 있다.
공연 부스(110)는 폐쇄형 스튜디오 또는 개방형 스튜디오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조명(210), 드럼(220), 마이크(230), 기타(240) 등의 공연에 필요한 악기 및 장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공연에 필요한 악기 및 장비 등은 공연 부스(110)의 외부에도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상부 이동 가이드부(130-a)는 공연 부스(110)의 상부면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고, 하부 이동 가이드부(130-b)는 공연 부스(110)의 하부면에 대응하도록 위치한다. 또한, 각 미디어 도어부(120-a, 120-b)의 높이는 상부 이동 가이드부(130-a)와 하부 이동 가이드부(130-b)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이동 가이드부(130-a)와 하부 이동 가이드부(130-b)의 위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공연 부스(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보다 높게 또는 낮게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미디어 도어의 컨텐츠 출력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공연 부스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도어부(120-a, 120-b)는 LED 패널이 각각 구비되어 다양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각 미디어 도어부(120-a, 120-b)는 공연 부스(110)의 개구부를 충분히 밀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LED 패널은 해당 크기의 미디어 도어부(120-a, 120-b)의 전면에 위치한다.
LED 패널은 미디어 도어부(120-a, 120-b)의 전면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LED 패널은 다수 개의 LED가 배열된 형태이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미디어 도어부(120-a, 120-b)의 LED 패널에서 컨텐츠의 출력 여부가 결정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방음 도어를 구비하는 공연 부스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이드부를 나타내기 위한 공연 부스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연 부스(110)의 개구부 전면과 미디어 도어부(120-a, 120-b)의 배면 사이에는 방음 도어부(140-a, 140-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방음 도어부(140-a, 140-b) 역시 미디어 도어부와 동일한 형태로 동작될 수 있도록 미닫이 문(sliding door)의 형태로 이동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방음 도어부(140-a, 140-b)의 상부 구조 및 하부 구조에는 각각 이동 모듈이 구비되어 이동 가이드부(130-a, 130-b)에 결합된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미디어 도어부(120-a, 120-b)와 방음 도어부(140-a, 140-b)가 함께 하나의 이동 가이드부(130-a, 130-b)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미디어 도어부(120-a, 120-b)와 방음 도어부(140-a, 140-b)의 각 상부 이동 모듈은 상부 이동 가이드부(130-a)에 결합되며, 미디어 도어부(120-a, 120-b)와 방음 도어부(140-a, 140-b)의 각 하부 이동 모듈은 하부 이동 가이드부(130-b)에 결합되도록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도 4의 (a) 및 도 5의 (a)는 공연 부스(110)의 개구부를 전면 개방한 상태의 미디어 도어부(120-a, 120-b)와 방음 도어부(140-a, 140-b)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의 (b)는 미디어 도어부(120-a, 120-b)가 전면 개방되고, 방음 도어부(140-a, 140-b)가 공연 부스(110)의 개구부를 일부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b)는 미디어 도어부(120-a, 120-b)와 방음 도어부(140-a, 140-b)가 개구부를 전부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미디어 도어부(120-a, 120-b)와 방음 도어부(140-a, 140-b)는 도 4의 (b)에서와 같이 동력 제공부(150)에 의해 서로 상이하게 개방 또는 폐쇄 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동력 제공부(150)의 동력에 따라 개구부를 함께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이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방음 도어를 구비하는 공연 부스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이드부를 나타내기 위한 공연 부스의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도어부(120-a, 120-b)와 공연 부스(110) 내부의 음향 유출 및 외부의 소음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음 도어부(140-a, 140-b)는 각각 서로 별도로 구비되는 이동 가이드부에 결합될 수 있다.
미디어 도어부(120-a, 120-b)의 이동을 위해 미디어 도어부(120-a, 120-b)의 상부 이동 모듈은 상부 미디어 도어 이동 가이드부(131-a)와 결합되며, 미디어 도어부(120-a, 120-b)의 하부 이동 모듈은 하부 미디어 도어 이동 가이드부(131-b)와 결합된다.
또한, 방음 도어부(140-a, 140-b)의 이동을 위해 방음 도어부(140-a, 140-b)의 상부 이동 모듈은 상부 방음 도어 이동 가이드부(132-a)와 결합되며, 방음 도어부(140-a, 140-b)의 하부 이동 모듈은 하부 방음 도어 이동 가이드부(132-b)와 결합된다.
도 6의 (a) 및 도 7의 (a)는 공연 부스(110)의 개구부를 전면 개방한 상태의 미디어 도어부(120-a, 120-b)와 방음 도어부(140-a, 140-b)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6의 (b)는 미디어 도어부(120-a, 120-b)가 전면 개방되고, 방음 도어부(140-a, 140-b)가 공연 부스(110)의 개구부를 일부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b)는 미디어 도어부(120-a, 120-b)와 방음 도어부(140-a, 140-b)가 개구부를 전부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미디어 도어부(120-a, 120-b)와 방음 도어부(140-a, 140-b)는 도 6의 (b)에서와 같이 동력 제공부(150)에 의해 개별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 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동력 제공부(150)의 동력에 따라 개구부를 함께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이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연 부스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연 부스(110)의 무대(stage)가 사각형이 아닌 개구부 방향으로 일부 돌출되어 육각형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미디어 도어부와 방음 도어부는 공연 부스(110)의 개구부 전면으로 확장된 무대까지 밀폐하기 위해 각 3개로 구성된다.
각각의 미디어 도어부와 방음 도어부는 개구부 전면 무대의 좌측면을 폐쇄하기 위한 제1 미디어 도어부(120-a)와 제1 방음 도어부(140-a)가 구비되며, 개구부 전면 무대의 전면을 폐쇄하기 위한 제2 미디어 도어부(120-b)와 제2 방음 도어부(140-b)가 구비되며, 개구분 전면 무대의 우측면을 폐쇄하기 위한 제3 미디어 도어부(120-c)와 제3 방음 도어부(140-c)가 구비된다.
각각의 미디어 도어부(120-a, 120-b, 120-c)와 방음 도어부(140-a, 140-b, 140-c)는 도 4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이동 가이드부와 결합되고, 결합된 이동 가이드부에 따라 이동되어 도 9 내지 도 13과 같이 미디어 도어부(120-a, 120-b, 120-c)와 방음 도어부(140-a, 140-b, 140-c)가 공연 부스(110)의 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라 공연 부스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제1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미디어 도어부(120-a)와 제1 방음 도어부(140-a), 제2 미디어 도어부(120-b)와 제2 방음 도어부(140-b) 및 제3 미디어 도어부(120-c)와 제3 방음 도어부(140-c)는 각각의 쌍으로 체결되고 함께 이동하여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연 부스(110)를 개방하게 되는 경우, 제1 미디어 도어부(120-a)와 제1 방음 도어부(140-a)는 공연 부스(110) 개구부의 좌측으로 이동되며, 제2 미디어 도어부(120-b)와 제2 방음 도어부(140-b) 및 제3 미디어 도어부(120-c)와 제3 방음 도어부(140-c)는 공연 부스(110) 개구부의 우측으로 이동된다.
각각의 미디어 도어부(120-a, 120-b, 120-c)와 방음 도어부(140-a, 140-b, 140-c)의 이동은 관람자가 공연 부스(110)의 개구부를 통해 공연 부스 내의 공연을 관람할 수 있을 정도까지 이동된다.
또한, 각각의 미디어 도어부(120-a, 120-b, 120-c)에 구비된 LED 패널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출력하고, 관람자가 이를 관람할 수 있도록, 미디어 도어부(120-a, 120-b, 120-c)의 전면은 관람석을 향하도록 이동하되, 제3 미디어 도어부(120-c)와 제3 방음 도어부(140-c)가 먼저 이동된 후, 제2 미디어 도어부(120-b)와 제2 방음 도어부(140-b)가 제3 미디어 도어부(120-c)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이동된다.
미디어 도어부(120-a, 120-b, 120-c) 및 방음 도어부(140-a, 140-b, 140-c)가 도 9에서와 같이 이동하는 경우, 제3 미디어 도어부(120-c)에서의 컨텐츠 출력이 관람자들에게 제공되지 못하므로, 제3 미디어 도어부(120-c)의 컨텐츠 출력을 차단하고, 제3 미디어 도어부(120-c)의 전면에 위치한 제2 미디어 도어부(120-b)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공연 부스(110) 개구부의 좌측으로 이동된 제1 미디어 도어부(120-a)도 컨텐츠를 출력하여 관람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라 공연 부스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제2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미디어 도어부(120-a, 120-b, 120-c)와 방음 도어부(140-a, 140-b, 140-c)가 이동되는 방향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으나, 도 10에서는 각 미디어 도어부(120-a, 120-b, 120-c)와 방음 도어부(140-a, 140-b, 140-c)가 서로 개별적으로 이동되어 위치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공연 부스(110)를 개방하게 되는 경우, 각각 개별적으로 이동되는 제1 미디어 도어부(120-a)와 제1 방음 도어부(140-a)는 공연 부스(110) 개구부의 좌측으로 이동되며, 제2 미디어 도어부(120-b)와 제2 방음 도어부(140-b) 및 제3 미디어 도어부(120-c)와 제3 방음 도어부(140-c)는 공연 부스(110) 개구부의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공연 부스(110) 개구부의 우측으로 이동되는 제2 미디어 도어부(120-b)와 제2 방음 도어부(140-b) 및 제3 미디어 도어부(120-c)와 제3 방음 도어부(140-c)는 첫 번째, 제3 방음 도어부(140-c)가 가장 먼저 공연 부스(110) 개구부의 우측으로 이동된다. 두 번째, 제2 방음 도어부(140-b)가 제3 방음 도어부(140-c)의 전면으로 이동된다. 세 번째, 제3 미디어 도어부(120-c)가 제2 방음 도어부(140-b)의 전면으로 이동된다. 마지막으로 제2 미디어 도어부(120-b)가 제3 미디어 도어부(120-c)의 전면으로 이동된다.
즉, 제3 방음 도어부(140-c)와 제2 방음 도어부(140-b)가 먼저 이동되고, 제3 미디어 도어부(120-c)와 제2 미디어 도어부(120-b)가 그 다음으로 이동되어, 제2 미디어 도어부(120-b)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고, 관람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공연 부스(110) 개구부의 좌측으로 이동된 제1 미디어 도어부(120-a)도 컨텐츠를 출력하여 관람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라 공연 부스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제3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미디어 도어부(120-a)와 제1 방음 도어부(140-a), 제2 미디어 도어부(120-b)와 제2 방음 도어부(140-b) 및 제3 미디어 도어부(120-c)와 제3 방음 도어부(140-c)는 각각의 쌍으로 체결되고 함께 이동하여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연 부스(110)를 개방하게 되는 경우, 제1 미디어 도어부(120-a)와 제1 방음 도어부(140-a)는 공연 부스(110) 개구부의 좌측으로 이동되며, 제2 미디어 도어부(120-b)와 제2 방음 도어부(140-b) 및 제3 미디어 도어부(120-c)와 제3 방음 도어부(140-c)는 공연 부스(110) 개구부의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공연 부스(110) 개구부의 우측으로 이동되는 제3 미디어 도어부(120-c)와 제3 방음 도어부(140-c)는 공연 부스(110) 개구부의 우측으로 이동되어 제3 미디어 도어부(120-c)의 전면이 관람석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제2 미디어 도어부(120-b)와 제2 방음 도어부(140-b)는 이동된 제3 미디어 도어부(120-c)와 제3 방음 도어부(140-c)의 우측으로 이동되고, 제2 미디어 도어부(120-b)의 전면이 관람석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된다. 이때, 제2 미디어 도어부(120-b)와 제2 방음 도어부(140-b)는 제3 미디어 도어부(120-c)와 제3 방음 도어부(140-c)와 평행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나, 제2 미디어 도어부(120-b)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를 관람객이 보다 용이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관람석의 중심을 향해 소정 각도의 사선으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공연 부스(110) 개구부의 좌측으로 이동된 제1 미디어 도어부(120-a)도 컨텐츠를 출력하여 관람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고안의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상의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을 모두 포함한다.
100 : 공연 부스 장치 110 : 공연 부스
111 : 촬영모듈 112 : 녹음모듈
113 : 영상 출력모듈 114 : 음향 출력모듈
120 : 미디어 도어부 130 : 이동 가이드부
140 : 방음 도어부 150 : 동력 제공부
160 : 제어부

Claims (10)

  1.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방음 및 차음이 가능한 공연 부스(booth);
    상기 개구부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공연 부스의 외측으로 영상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 도어부;
    상기 미디어 도어부의 상부 이동 모듈과 체결되고, 상기 상부 이동 모듈과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미디어 도어가 이동 가능하도록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상부 이동 가이드부;
    상기 미디어 도어부의 하부 이동 모듈과 체결되고, 상기 하부 이동 모듈과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미디어 도어가 이동 가능하도록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하부 이동 가이드부;
    상기 상부 이동 가이드 또는 상기 하부 이동 가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상기 미디어 도어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부; 및
    상기 미디어 도어부의 이동을 위해 상기 동력 제공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미디어 도어부는 상기 동력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구동에 따라 상기 상부 이동 모듈에 체결된 상기 상부 이동 가이드부와 상기 하부 이동 모듈에 체결된 상기 하부 이동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공연 부스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와 상기 미디어 도어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공연 부스의 내/외측의 음향 또는 소음이 상호 유입되지 않도록 실질적인 방음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방음 도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 도어부의 상부 이동 모듈은 상기 상부 이동 가이드부에 체결되고, 상기 방음 도어부의 하부 이동 모듈은 상기 하부 이동 가이드부에 체결되어, 상기 방음 도어부가 상기 상부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하부 이동 가이드부에 의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 도어부는 상기 미디어 도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미디어 도어부의 이동에 의해 종속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 도어부는 상기 미디어 도어부와 이격되어 상기 동력 제공부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공연 부스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도어부의 상기 디스플레이는 하나 이상의 LED 패널로 이루어져 있으며,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영상 신호에 따라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도어부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입력되는 하나의 영상이 복수의 상기 디스플레이에 분할되어 출력되거나, 입력되는 복수 개의 영상이 각 미디어 도어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에 각각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 부스는
    상기 공연 부스의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면을 촬영하는 촬영모듈;
    상기 공연 부스의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음향을 녹음하는 녹음모듈;
    상기 촬영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공연 부스의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기 위한 영상 출력모듈; 및
    상기 녹음모듈에서 녹음된 음향을 상기 공연 부스의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출력하기 위한 음향 출력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상기 미디어 도어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상기 녹음 모듈에 의해 녹음된 음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영상 출력모듈 또는 상기 음향 출력모듈에 각각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
KR2020160004489U 2016-08-03 2016-08-03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 KR200486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489U KR200486362Y1 (ko) 2016-08-03 2016-08-03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
PCT/KR2017/008227 WO2018026149A1 (ko) 2016-08-03 2017-07-31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489U KR200486362Y1 (ko) 2016-08-03 2016-08-03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26U KR20180000426U (ko) 2018-02-13
KR200486362Y1 true KR200486362Y1 (ko) 2018-05-08

Family

ID=61074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489U KR200486362Y1 (ko) 2016-08-03 2016-08-03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6362Y1 (ko)
WO (1) WO20180261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1739A (ko) 2022-09-23 2024-04-01 노승찬 공연 부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1064A1 (fr) * 2018-09-04 2020-03-11 Gautier Investissements Prives Boîtier d'isolation phonique pour enceinte intelligente
ES2720698B2 (es) * 2018-12-28 2020-07-14 Carpinteria Ramon Garcia S A Plato dinamico de television
US11306498B2 (en) * 2019-03-25 2022-04-19 Ciari Guitars, Inc. In-airport guitar kiosk and related methods
US11663996B1 (en) 2020-04-28 2023-05-30 Ciari Guitars, Inc. Foldable stringed instrument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0124A (en) 1995-11-20 1998-08-04 Silicon Graph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a performer to control and interact with an on-stage display device
KR20000012228A (ko) * 1999-10-06 2000-03-06 배건택 낚시대의 리일 고정장치
AU2005277287B2 (en) 2004-08-23 2009-11-26 Advance Display Technologies, Inc. LED net display
US20070098368A1 (en) 2005-11-02 2007-05-03 Thomas Carley Mobile recording studio system
CA2678725A1 (en) 2007-02-20 2008-08-28 The Mobile Star Corp. Self operated computerized karaoke recording booth
KR20110135090A (ko) * 2010-06-10 2011-12-16 김종호 영상/음성처리기능을 갖춘 부스
KR101263111B1 (ko) * 2011-10-04 2013-05-09 김권하 영상물 실내 촬영 스튜디오 구조물
KR101268775B1 (ko) 2012-12-31 2013-05-29 윤세중 특설무대차량
KR101374024B1 (ko) * 2013-08-08 2014-03-12 윤세중 선거유세용 무대차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1739A (ko) 2022-09-23 2024-04-01 노승찬 공연 부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6149A1 (ko) 2018-02-08
KR20180000426U (ko) 201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362Y1 (ko) 개폐형 공연 부스 장치
US11551164B2 (en) Re-creating the sound quality of an audience location in a performance space
US9536499B2 (en) Compositing screen
US10440455B2 (en) Immersive sound system
US20060126028A1 (en) Device for simultaneously projecting images and illuminating the ambient
KR101462835B1 (ko) 영상장치를 갖는 모형 건축물
US20230412955A1 (en) Audiovisual presentation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device
US20070159606A1 (en) Theatre hall projection
JP2005269402A (ja) 音響再生システム及び音響再生装置
US11986749B2 (en) Immersive theater system
CA3030124C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acoustic environment characterization
JP2007205030A (ja) 開閉装置利用による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TWM576194U (zh) 舞臺演出設備
AU2005223289B2 (en) Audio visual surface assembly
JP2005025046A (ja) スクリーン装置及び映写システム
JP2003209900A (ja) 屋外劇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