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139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2139B1 KR101262139B1 KR1020050076447A KR20050076447A KR101262139B1 KR 101262139 B1 KR101262139 B1 KR 101262139B1 KR 1020050076447 A KR1020050076447 A KR 1020050076447A KR 20050076447 A KR20050076447 A KR 20050076447A KR 101262139 B1 KR101262139 B1 KR 1012621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b
- absorber
- superabsorbent polymer
- absorbent
- polym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17—Making absorbent pads from fibres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the fibres
- A61F13/15658—Forming continuous, e.g. composite, fibrous webs, e.g.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pulverulent material on par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specific fibre orientation or weave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친수성을 가지는 장섬유의 웹(2)을 포함하는 흡수체(1)를 구비한다. 장섬유는 40~90%의 권축율을 가진다. 장섬유는 흡수체(1)의 평면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가 웹 중에 매몰 담지(擔持;support)되어 있다. 흡수체(1)는 복수의 웹(2)과 상기 웹(2, 2) 사이에 산포된 고흡수성 폴리머의 층(3)을 포함하고, 고흡수성 폴리머의 일부가 웹(2) 중에 매몰 담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물품, 장섬유 웹, 고흡수성 폴리머,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흡수체를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a)~도 6(c)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a)~도 7(d)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폭방향 단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폭방향 단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도 13 상당도)이다.
도 15는 제2발명의 신축성 흡수체의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내는 흡수체를 신장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2발명의 신축성 흡수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2발명의 신축성 흡수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2발명의 신축성 흡수체를 구비한 제3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의 다른 형태(도 20 상당도)이다.
도 23은 장섬유의 웹의 권축율과 고흡수성 폴리머의 담지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4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형상과 그 담지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5는 장섬유의 섬유 지름과 고흡수성 폴리머의 담지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6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슬릿(slit)의 형성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실금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흡수체, 특히 신축성을 가지는 흡수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속 필라멘트의 개섬(開纖) 토우(tow)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의 흡수체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권축(捲縮)성 아세테이트 섬유의 토우층과, 이 층의 편면에 적층한 분쇄(粉碎) 펄프층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로서, 상기 흡수체의 두께방향으로 양층을 프레스로 일체화한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공개특허 소57-160457호 공보 참조). 이 흡수체에 의하면, 체액의 확산성이 향상된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아세테이트 섬유는 펄프보다도 흡수능력이 떨어지므로, 이 흡수체의 흡수 용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량의 분쇄 펄프를 사용해야만 한다. 그 결과, 흡수체가 두꺼워져 흡수성 물품의 착용감이 저하되어 버린다.
또한 흡수 코어를 상층, 하층 및 양층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층으로 구성하고, 상기 흡수층으로서, 고흡수성 폴리머의 산포층(散布層)상에 아세테이트 섬유의 토우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을 배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WO2001/34082 참조). 고흡수성 폴리머는 그 일부가 접착제에 의해 하층에 결합되어 있고, 또한 다른 일부는 토우의 섬유층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흡수 코어에서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일부가 토우의 섬유층 내에 수용되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고흡수성 폴리머는 하층에 결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토우의 섬유층과 고흡수성 폴리머의 산포층이 개별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그 결과, 착용자의 동작에 기인하여 흡수성 물품의 착용 중에 흡수 코어가 변형했을 경우, 그 구조가 무너지기 쉽다.
연속 필라멘트의 토우를 가지는 흡수층으로서 토우가 흡수층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도 알려져 있다(일본국 공개특허 2001-276125호 공보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 2001-276125호 공보에 의하면, 배설물은 토우의 섬유간 간극을 통해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고, 착용자의 피부에서 멀리 떨어지게 할 수 있으므로, 짓무름이나 염증의 원인이 되는 일이 없다고 되어 있다. 이 흡수층이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기 위해서는 토우의 길이가 어느 정도 긴 것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흡수층이 두꺼워져 버린다.
또한 상기 어느 흡수체도 신축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흡수체를 편입한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을 착용한 경우,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흡수체가 충분히 추종할 수 없어 흡수체가 비틀어지거나 피트성이 저하하기 쉽다.
이들 기술과는 별도로 본 출원인들은 먼저 권축한 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을 제안하였다(일본국 공개특허 2004-159786호 공보 참조). 이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체의 비틀림이 방지되고, 또한 흡수성, 착용감 및 피트성이 향상된다. 흡수체에 포함되는 권축한 섬유로서는 일반적으로 단섬유가 사용된다.
본 발명은 친수성을 가지는 장섬유의 웹을 포함하는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장섬유는 40~90%의 권축율을 가지면서 흡수체의 평면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다. 상기 웹 중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매몰 담지(擔持;support)되어 있다(이하, 제1발명이라 할 때는 이 발명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흡수성 폴리머가 매몰 담지된 장섬유를 가지는 친수성 웹을 액 투과성 시트로 싸여 이루어지는 신축성 흡수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친수성 장섬유는 40~90%의 권축율을 가지면서 상기 장섬유의 웹이 흡수체의 평면방향으로 고도로 배향하고 있다. 액 투과성 시트는 신장 가능하며, 흡수체가 전체적으로 웹의 배향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이하, 제2발명이라 할 때는 이 발명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 양측부 및/또는 전후 단부에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영역을 가지고, 상기 탄성영역에 흡수체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흡수체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매몰 담지된 친수성의 권축 장섬유를 가지는 웹을 구비하면서 신축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웹은 한 방향으로 고도로 배향하고 있다(이하, 제3발명이라 할 때는 이 발명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40~90%의 권축율을 가지는, 친수성을 가지는 장섬유의 복수의 웹과, 상기 웹간에 산포된 고흡수성 폴리머의 층을 구비한 흡수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의 일부는 상기 웹 중에 매몰 담지되어 있고, 또한 상기 웹끼리가 산점(散点)상으로 접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권축을 가지는 장섬유로 이루어지는 웹 중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는 흡수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제조방법은, 상기 웹의 원단(original fabric)에 장력을 가해 길이방향으로 신장한 상태로 개섬하는 공정과, 개섬한 상기 웹의 장력을 완화한 상태로, 상기 웹에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를 제공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이라 함은, 문맥에 따라 제1발명, 제2발명 혹은 제3발명 또는 이들 2개 이상의 발명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주로 뇨나 경혈 등의 배설체액을 흡수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는 예를 들면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실금패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체에서 배출되는 액의 흡수에 사용되는 물품을 넓게 포함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전형적으로는 표면시트, 이면시트 및 양 시트간에 개재 배치된 액 보유성의 흡수체를 구비하고 있다. 표면시트 및 이면시트로서는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재료를 특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시트로서는 친수화 처리가 실시된 각종 부직포나 개공 필름 등의 액 투과성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면시트로서는 열가소성 수지의 필름이나, 상기 필름과 부직포의 라미네이트 등의 액 투과성 내지 발수성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면시트는 수증기 투과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은 또한 상기 흡수성 물품의 구체적인 용도에 따른 각종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그와 같은 부재는 당업자에 있어 공지이다. 예를 들면, 흡수성 물품을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표면시트상의 좌우 양측부에 한쌍 또는 2쌍 이상의 입체가드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에는 제 1발명에 따른 흡수체의 1실시형태의 모식도가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1)는 충분한 흡수 용량을 가지면서도, 박형이며 저평량(低坪量)인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그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흡수체(1)는, 주로 장섬유의 웹(이하, 웹(2)이라 함) 및 고흡수성 폴리머의 산포량(이하, 폴리머층(3)이라 함)을 구비하고 있다. 흡수체(1)는 웹(2)을 복수 구비하고 있고, 웹(2, 2) 사이에 폴리머층(3)이 위치하고 있다. 웹은 최저 2층 필요하지만, 그 상한의 수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흡수성 물품의 구체적인 용도에 따라 적절한 수의 웹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체(1)는, 박형이며 저평량인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이 관점에서 웹의 수의 상한은 저절로 결정된다.
장섬유는 친수성을 가지는 것이다. 친수성을 가지는 장섬유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것으로는, 본래적으로 친수성을 가지는 장섬유 및 본래적으로는 친수성을 가지지 않지만, 친수화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친수성이 부여된 장섬유의 쌍방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장섬유는 본래적으로 친수성을 가지는 장섬유이며, 특히 아세테이트나 레이온의 장섬유가 바람직하다. 특히 아세테이트는 습윤하여도 고(高)부피성이 유지되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아세테이트로서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및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장섬유로서는 권축하고 있는 것을 사용한다. 장섬유는 그 권축율(JIS L0208)이 40~90%이고, 바람직하게는 50~80%이다. 권축한 장섬유로 웹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웹 중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안정적이면서 다량으로 매몰 담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권축을 가지지 않거나 또는 권축의 정도가 작은 장섬유만으로 웹을 구성하고, 이것을 흡수체로서 사용하면, 고흡수성 폴리머를 다량으로 사용한 경우에 그 극단적인 이동이나 탈락이 일어나기 쉽다. 반대로 권축율이 지나치게 높은 장섬유를 사용하면 장섬유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끼워넣는 것이 쉽지 않고, 역시 고흡수성 폴리머를 다량으로 사용한 경우에 그 극단적인 이동이나 탈락이 일어나기 쉽다. 상기의 범위의 권축율은, 특히 표면이 편평한(즉, 물결 모양이 없는) 상태의 흡수체를 구성하는 데 있어 적합한 범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흡수체 전체를 엠보스 처리 등으로 요철(凹凸) 가공을 실시하여, 흡수체 전체를 물결 모양의 상태로 하는 경우는 상기 범위를 넘어 권축율을 조정 가능하다. 물결 모양 상태의 흡수체에서 권축율을 측정하는 경우는, 물결 모양이 없어지는 최소의 하중으로 흡수체를 신장해 표면이 편평한 상태로 하여 상기 권축율을 측정한다. 장섬유를 권축시키는 수단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한 권축은 2차원적이어도 좋고 혹은 3차원적이어도 좋다. 권축율은, 장섬유를 신장했을 때의 길이(A)와 원래의 장섬유의 길이(B)의 차의, 신장했을 때의 길이(A)에 대한 백분율로 정의되며, 이하의 식으로 산출된다.
권축율=(A-B)/A×100(%)
원래의 장섬유의 길이라 함은, 장섬유가 자연상태에 있어서 장섬유의 양단부를 직선으로 묶은 길이를 말한다. 자연상태라 함은, 장섬유의 한쪽의 단부를 수평한 판에 고정하고, 섬유의 자중으로 하방(下方)으로 늘어뜨린 상태를 말한다. 장섬유를 신장했을 때의 길이라 함은, 장섬유의 권축이 없어질 때까지 신장했을 때의 최소 하중시의 길이를 말한다.
장섬유의 권축율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권축수는 1cm당 2~25개, 특히 4~20개, 특히 10~2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매몰 담지라 함은, 고흡수성 폴리머가 권축한 장섬유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들어가, 착용자의 격한 동작에 의해서도 상기 폴리머의 극단적인 이동이나 탈락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때, 장섬유는 고흡수성 폴리머에 엉킴 혹은 걸림을 일으키거나, 혹은 또한 고흡수 폴리머는 자신의 점착성에 의해 장섬유에 부착되어 있다. 장섬유가 형성하는 공간은, 외부로부터 응력을 받아도 변형되기 쉽고, 또한 장섬유 전체에서 응력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공간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는 그 일부가 웹(2) 중에 매몰 담지되어 있다. 흡수체(1)의 제조 조건에 따라서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거의 전부가 웹(2) 중에 균일하게 매몰 담지되는 경우도 있다. 매몰 담지의 평가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장섬유의 섬유 지름은 고흡수성 폴리머의 담지성에 관련되어 있다. 웹의 평량이 동일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1.0~7.8dtex, 특히 1.7~5.6dtex의 장섬유를 사용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담지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장섬유라 함은, 섬유 길이를 JIS L1015의 평균 섬유길이 측정방법(C법)으로 측정한 경우, 바람직하게는 70mm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mm이상, 한층 바람직하게는 100mm이상인 섬유를 말한다. 단, 측정대상이 되는 웹의 전체 길이가 100mm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웹 중의 섬유의 바람직하게는 5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이상, 한층 바람직하게는 80%이상이 웹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웹의 섬유는 장섬유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섬유는 일반적으로 연속 필라멘트라 불리우는 것이다. 또한 연속 필라멘트의 다발은 일반적으로 토우라 불리우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장섬유라 함은 연속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개념의 것이다. 또한 장섬유가 배향한 웹이라 함은, 웹을 형성하는 원료로서의 장섬유의 다발(이른바 토우)과 연속 필라멘트의 토우층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고흡수성 폴리머로서는 일반적으로 입자상인 것이 사용되는데, 섬유상인 것이어도 좋다. 입자상의 고흡수성 폴리머를 사용하는 경우, 그 형상이 부정형 타입, 덩어리상 타입 또는 멱서리(straw)상 타입인 경우에는, 웹에 대하여 동량 이상, 10배 이하의 평량으로 매몰 담지시킬 수 있다. 또한 구(球)상 입자 응집 타입이나 구상 타입인 경우에는, 웹에 대하여 동량 이상, 5배 이하의 평량으로 매몰 담지시킬 수 있다. 이들의 입자상은, 특히 고흡수량과 박형화를 양립시키고자 하는 경우는 전자를, 감촉(고흡수성 폴리머의 빳빳함의 저감)을 중시하는 경우는 후자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고흡수성 폴리머로서 덩어리상 타입인 것 또는 구상 입자 응집 타입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폴리머의 담지량을 높일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는 웹(2, 2) 사이에 층상으로 산포되어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는 그 일부가 웹(2) 중에 매몰 담지되어 있다. 흡수체(1)의 제조조건에 따라서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거의 전부가 웹(2) 중에 균일하게 매몰 담지되는 경우도 있다. "균일"이라 함은, 흡수체(1)의 두께방향 혹은 폭방향에 있어서, 고흡수성 폴리머가 완전히 동일하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 및 흡수체(1)의 일부를 꺼냈을 때에 고흡수성 폴리머의 존재량의 편차가 평량으로 2배 이내의 분포를 가지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편차는,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가끔 고흡수성 폴리머가 과잉하게 공급되어 부분적으로 산포량이 극단적으로 높은 부분이 생기는 것에 기인해 생기는 것이다. 즉 상기의 "균일"은, 불가피하게 편차가 생기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이며, 의도적으로 편차가 생기도록 고흡수성 폴리머를 분포시킨 경우는 포함되지 않는다. 후술하는 "편의(偏倚)"라 함은, 상기 "균일"의 정의를 넘어 의도적으로 편차가 생기도록 고흡수성 폴리머를 분포시킨 경우를 말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장섬유는 권축을 가지는 것이므로 입자를 보유할 수 있는 다수의 공간을 가지고 있다. 그 공간 내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보유된다. 그 결과, 다량의 고흡수성 폴리머를 산포하여도 그 극단적인 이동이나 탈락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또한 착용자가 격한 동작을 행하여도 흡수체(1)의 구조가 파괴되기 어려워진다. 사용하는 고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권축율이나 사용하는 장섬유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고흡수성 폴리머의 장섬유 웹으로의 담지성은 웹에 의해 형성되는 그물코 구조, 및 폴리머의 물성에 관계되어 있다. 그물코 구조의 관점에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웹의 입체 규칙성, 즉 웹의 권축율, 섬도(纖度), 밀도 등을 제어함으로써 그물코를 제어하여, 폴리머의 담지성이 발현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웹의 구성 섬유끼리가 접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웹에 형성되는 그물코의 크기가 고흡수성 폴리머를 보유 가능한 정도로 변화할 수 있다. 웹에 있어서의 그물코의 크기가 변화할 수는 있음으로써, 부직포 등의 결합점을 가지는 섬유 집합체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담지시키는 경우에 비교해서 폴리머의 담지성이 높아진다. 그물코의 크기는, 예를 들면 (가)섬유에 텐션(tension)을 가한 상태하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산포한 후, 텐션을 해방함으로써, 혹은 (나)사전에 웹의 텐션을 제어하여 특정의 권축율을 발현시킨 상태하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산포하고, 또한 웹에 텐션이나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폴리머의 담지성에 관계하고 있는 폴리머의 물성에는 형상, 입도(粒度) 분포, 입자 사이즈, 부피 밀도, 표면성상, 내부마찰계수, 유동성, 분산성, 수분율, 대전성(帶電性), 부착성, 응집성 등이 있다. 이들 중, 폴리머의 입도 분포 및 입자 사이즈에 대해서는 상술의 웹의 그물코 구조와 말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의 담지성은, 또한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흡수체에 외력(外力)이나 진동이 전해졌을 때의 흡수체 내부에 있어서의 폴리머와 장섬유의 충돌 횟수에 영향을 받는다. 충돌 횟수가 많을수록 고흡수성 폴리머가 장섬유가 만들어 내는 그물코에 의해 체 분리(screening)되어, 그 결과 담지성이 낮아진다. 충돌 횟수는 폴리머의 유동성에 영향을 받고 있다. 충돌 횟수는 유동성이 높은 폴리머일수록 많아진다. 또한 유동성이 높고, 일단 웹의 구속(拘束)에서 벗어난 폴리머는 그 후 용이하게 이동하여 웹에 담지되기 어려워진다.
폴리머의 유동성에 관하여, 앞서 예시한 덩어리상의 타입의 폴리머와 구상 입자 응집 타입의 폴리머를 비교하면, 구상 입자 응집 타입의 폴리머가 덩어리상 타입의 폴리머보다도 유동성이 높다. 그 결과, 구상 입자 응집 타입의 폴리머보다도 덩어리상 타입의 폴리머가 담지성이 높다. 또한 구상 입자 응집 타입의 폴리머는 표면이 매끄러우므로, 섬유와의 마찰이나 섬유로의 걸림의 정도가 덩어리상 타입의 폴리머보다도 낮다. 이 관점에서도 덩어리상 타입의 폴리머가 구상 입자 응집 타입의 폴리머보다도 담지성이 높다.
권축을 가지는 장섬유 웹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담지시킨 후에, 여러 가지 후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웹 중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한층 효율적으로 담지할 수 있다. 상기의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1)웹 전체를 종이나 부직포 등의 시트재로 감싸거나 또는 상기 시트재를 포개는 것, (2)웹 전체를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 플랩 펄프의 적섬체를 포개는 것, (3)핫멜트 점착제, 열, 초음파를 사용한 접합수단으로 웹의 구조를 구속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의 구조를 가지는 흡수체(1)는 박형이며 저평량의 것이 된다. 흡수체(1)의 두께나 평량은 흡수성 물품의 구체적인 용도에 따라 적절한 값이 선택된다. 예를 들면 유유아(乳幼兒)용의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웹(2)은 그 평량이 5~200g/m2, 특히 10~10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웹(2)의 평량은 동일해도 좋고 혹은 달라도 좋다. 한편, 고흡수성 폴리머의 산포 평량은 50~500g/m2, 특히 100~30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폴리머층(3)의 평량은 동일해도 좋고 혹은 달라도 좋다.
생리용 냅킨의 흡수체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각 웹(2)은 그 평량이 5~100g/m2, 특히 10~5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흡수성 폴리머의 산포 평량은 10~200g/m2, 특히 15~10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금패드의 흡수체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각 웹(2)은 그 평량이 5~200g/m2, 특히 10~10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흡수성 폴리머의 산포 평량은 10~500g/m2, 특히 15~35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층의 평량의 관계에 있어서, 웹(2)의 평량이 상대적으로 작고, 폴리머층(3)의 평량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고흡수성 폴리머는 웹(2)의 두께방향 전역에 걸쳐 매몰 담지되게 된다. 그 결과 서로 이웃하는 폴리머층(3, 3)끼리 및 웹(2, 2)끼리의 구별이 외관상 어렵게 되어, 흡수체(1)의 두께방향 전역에 걸쳐 고흡수성 폴리머가 분포하고 있는 경우가 생긴다. 즉 본 발명은 40~90%의 권축율을 가진다. 친수성을 가지는 장섬유의 웹으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와, 상기 매트릭스의 두께방향 전역에 걸쳐 균일하게 매설(埋設) 분산된 고흡수성 폴리머를 가지는 흡수체라는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고흡수성 폴리머는, 권축한 장섬유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1)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다량으로 보유할 수 있다. 종래의 흡수체에 있어서도 섬유재료의 양을 많게 하면 고흡수성 폴리머를 다량으로 보유하는 것은 가능하였지만, 그 경우에는 흡수체의 평량 및 두께가 커져 버린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섬유재료의 양에 대하여 고흡수성 폴리머의 양이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 전체로 봤을 때, 바람직하게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이 장섬유의 평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흡수체(1)의 박형화 및 저평량화가 도모되고 있다. 장섬유의 평량에 대한 고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의 비율의 상한치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극단적인 이동이나 탈락 방지의 관점에서 결정된다. 장섬유의 권축의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상기 상한치가 10배 정도이면, 착용자가 격한 동작을 행해도 고흡수성 폴리머의 극단적인 이동이나 탈락은 일어나기 어렵다.
고흡수성 폴리머가 매몰 담지되는 정도의 평가법으로서 다음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100mm×200mm로 제작한 웹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절단하여 100mm×100mm의 시험편을 얻는다. 이 절단면을 바로 밑으로 하여, 진폭 5cm로 1회/1초의 속도로 좌우로 왕복 20회 진동을 부여한다. 절단면으로부터의 탈락한 폴리머의 중량을 측정한다. 탈락한 고흡수성 폴리머의 중량이, 시험편 중에 존재하고 있었던 고흡수성 폴리머의 전량에 대하여 25중량%이하, 특히 20중량%이하, 특히 10중량%이하인 경우, 고흡수성 폴리머의 극단적인 이동이나 탈락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있는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상기의 탈락 평가의 시험을 행한 시험편에 대하여, 다음 평가법을 행할 수도 있다. 탈락 평가의 시험을 행한 시험편에 대하여, 생리식염수(0.9중량% Nacl)를 50g 균등하게 산포하여, 시험편이 부푸는 모습을 육안으로 관찰한다. 시험편의 두께의 편차가 2배 이내인 경우, 고흡수성 폴리머의 극단적인 이동이나 탈락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있는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상기의 탈락 평가의 시험을 행한 시험편에 대하여, 다음 평가법을 행할 수도 있다. 탈락 평가의 시험을 행한 시험편에 대하여, 생리식염수(0.9중량% Nacl)를 50g 균등하게 산포하여, 시험편이 부푸는 모습을 육안으로 관찰한다. 시험편의 두께의 편차가 2배 이내인 경우, 고흡수성 폴리머의 극단적인 이동이나 탈락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있는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상기의 각 평가법에 있어서는, 웹을 수평방향으로 봤을 때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동일 평량으로 산포되어 있는 영역으로부터 시험편을 샘플링한다.
웹으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매몰 담지성이 충분하지 않을 때는, 핫멜트 점착제, 각종 바인더(예를 들면,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등),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 에틸셀룰로오스 등의 당 유도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수지 등을 웹에 적절하게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요철가공이나 식모(植毛)를 실시한 시트 등을 병용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1)에 있어서의 웹 및 폴리머층(3)의 합계의 평량은, 상기 흡수체(1)를 예를 들면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할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120~400g/m2, 특히 150~300g/m2라는 값이 된다. 생리용 냅킨에 사용할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35~200g/m2, 특히 50~150g/m2이다. 실금패드에 사용할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35~500g/m2, 특히 50~400g/m2이다.
흡수체(1)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두께방향에 있어서의 산포상태는 상술한 바와 같으며, 평면방향에 있어서의 산포상태로서는, 다음에 기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우선 전형적인 산포상태로서는 평면방향으로 균일하게 고흡수성 폴리머가 산포되는 상태를 들 수 있다. 다른 산포상태로서,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흡수성 폴리머가 흡수체의 앞쪽으로 편의하도록 산포되는 상태를 들 수 있다. 도 2(a)에서는 흡수체의 폭방향에서는 산포 평량이 동일하게 되어 있으면서 흡수체의 앞쪽일수록 산포 평량이 높게 되어 있다. 도 2(b)에서는 흡수체의 뒤쪽을 향해 개구한 コ자상이 되도록 고흡수성 폴리머가 산포되어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가 흡수체의 앞쪽에 편의하도록 산포되어 있는 흡수체는 신체의 앞쪽으로부터의 액 샘의 방지 효과가 높은 것이다. 이와 같은 흡수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체로서 특히 유용하다.
도 3에 나타내는 흡수체에서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흡수체의 뒤쪽에 편의하도록 산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의 앞쪽을 향해 개구한 コ자상이 되도록 고흡수성 폴리머가 산포되어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가 흡수체의 뒤쪽에 편의하도록 산포되어 있는 흡수체는 신체의 뒤쪽으로부터의 액 샘의 방지효과가 높은 것이다. 이와 같은 흡수체는, 저월령 유아나 병들어 누워 있는 분을 위한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체로서 특히 유용하다.
도 4에 나타내는 흡수체에서는, 흡수체의 주연(周緣)영역에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산포되어 있지 않고, 주연영역에 둘러싸인 중앙영역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산포되어 있다. 흡수체의 주연영역에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산포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흡수체로부터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탈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2~도 4에 나타내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산포상태와 더불어, 또는 그것에 대신하여, 흡수체(1)의 폭방향에 있어서 고흡수성 폴리머의 산포상태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흡수체의 폭방향 중앙부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산포 평량을 폭방향 양측부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산포 평량보다도 높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착용자의 다리 주변으로부터의 액 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수체는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체로서 적합하다. 이것과는 반대로, 흡수체의 폭방향 양측부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산포 평량을 폭방향 중앙부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산포 평량보다도 높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흡수체의 스팟(spot) 흡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수체는 경(輕)실금자용의 실금패드나 생리용 냅킨의 흡수체로서 적합하다. 흡수체(1)의 폭방향에 있어서 고흡수성 폴리머의 산포상태를 변화시킬 경우, 흡수체(1)의 적어도 고하부(股下部)의 상술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1)에 있어서는, 웹(2)을 구성하는 장섬유가 흡수체(1)의 평면방향으로 한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다. 장섬유가 한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는 것에 기인하여, 흡수체(1)의 액이 흡수되면 상기 액은 장섬유의 배향방향으로 우선적으로 확산한다. 즉 흡수체의 평면방향으로 우선적으로 확산한다. 반대로 장섬유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확산은 억제된다. 장섬유가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흡수성 물품의 측부로부터의 액 샘(옆샘)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장섬유의 배향은 장섬유의 시점(始點)과 종점(終點)을 묶은 벡터가 평면방향을 향하고 있으면 된다. 시점과 종점 사이에서 뒤틀림이나 엉킴이 발생하여, 장섬유의 일부가 흡수체의 두께방향을 향해 버리는 경우도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섬유의 배향의 정도는, 배향도로 나타내어 1.2이상, 특히 1.4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배향도는 KANZAKI사의 Microwave molecular orientation analyzer MOA-2001A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샘플 사이즈는 길이방향 100mm, 폭 50mm로 하고, 3점의 평균치를 배향도로 한다. 샘플 사이즈가 이 크기에 달하지 않을 경우는 복수의 샘플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하여 측정한다.
옆샘을 한층 방지하는 수단의 하나로서 직선적인 장섬유의 웹을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장섬유는 권축을 가지는 장섬유의 웹에 비교하여 장섬유의 배향방향으로의 액의 확산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이 관점에서, 복수의 웹(2) 중의 적어도 1층에 있어서의 일부분의 권축한 장섬유를 신장하여 직선적인 상태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흡수체(1)가 2층의 웹(2)을 가질 경우, 표면시트측의 웹(2)의 일부분, 예를 들어 길이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권축 장섬유를 신장해 직선적인 상태로 함으로써 배설된 액을 흡수체의 전후방향으로 우선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혹은 권축한 장섬유로 이루어지는 웹(2)과 더불어 권축을 가지지 않는 친수성 장섬유의 웹을 더 사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권축한 장섬유로 이루어지는 웹(2)을 2층 사용하고, 상측의 층의 위에 폴리머층을 통해 권축을 가지지 않는 장섬유로 이루어지는 웹을 배치할 수 있다.
장섬유가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으로 배향하고 있을 경우에는, 흡수체는 장섬유의 배향방향을 가로지르는 듯한 선상(線狀)의 접착 라인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착 라인이 존재하고 있으면, 장섬유의 배향방향으로의 액의 원활한 확산이 차단되어 버리고, 그것에 기인하여 옆샘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장섬유가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으로의 확산이 억제되어 스팟 흡수성이 얻어진다. 이 경우, 측부로부터의 액 샘(옆샘)을 방지하기 위해, 흡수체는 장섬유의 배향방향을 가로지르는 듯한 선상의 접착 라인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상"이라 함은, 액의 침투를 억제하는 연속적인 선을 의미하고, 개개의 실(seal)선 등이 끊기지 않고 연속하는 것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간헐적인 실선을 여러 번 겹쳐 나열함으로써 액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으면, 그것은 선상이다. 또한 선상은 직선상 외에 곡선상, 절곡선상이어도 좋다. 선의 폭은 0.2~15mm가 바람직하다.
접착 라인은 웹(2) 내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웹(2)이 티슈페이퍼 등에 싸여 흡수체(1)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흡수체(1)의 두께방향 전체에 걸쳐 접착 라인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표면시트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적어도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접착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 라인은 흡수체의 폭방향의 양측연보다도 외방(外方)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접착 라인을 마련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기인하여 액이 웹 내를 이동한다 하여도, 접착 라인에 부딪쳐 그 이상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측부로부터의 액 샘이 생기기 어렵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에 있어서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권축한 장섬유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보유되어 있으므로, 상기 폴리머의 극단적인 이동이나 탈락이 일어나기 어렵고, 또한 착용자의 격한 동작에 의해서도 흡수체(1)의 파괴가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들의 효과를 한층 현저한 것으로 하기 위해, 및 고흡수성 폴리머끼리가 서로 스칠 때에 생기는 "빳빳함"을 저감시키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1)에 있어서는 서로 포개지는 웹(2, 2)끼리가 산점상(散點狀)으로 접착되어 있다. 이 경우, 앞서 기술한 장섬유의 배향방향에의 액의 우선적인 확산이 저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서로 포개어지는 웹(2, 2)끼리는 산점상으로 접착되어 있다. 산점상으로 접착되어 있다는 것은, 접착점의 형상이 큰 이방성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 그와 같은 접착점이 웹(2)의 평면방향 전역에 걸쳐 균일하게 산포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전형적인 접착형태로서는, 서로 포개지는 웹(2, 2)끼리가 도트상의 다수의 작은 접착점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산점상의 접착에는, 예를 들어 핫멜트 점착제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공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스프레이 방식으로서는, 슬롯 스프레이법, 커튼 스프레이법, 멜트블로운법, 스파이럴 스프레이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도공방법을 사용하면 웹(2)끼리가 접착하는 것은 물론, 웹(2)과 고흡수성 폴리머의 일부도 접착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1)는, 웹(2) 및 폴리머층(3)의 적층체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혹은 상기 적층체가, 예를 들면 각종 시트재료에 의해 싸여 있어도 좋다. 또한 웹(2) 및 폴리머층(3)의 적층체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각종 시트 재료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그들 전체가 별도의 시트재료에 의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시트재료로서는 플랩 펄프나 티슈페이퍼 등의 종이, 건식 펄프시트, 부직포(예를 들면, 통기성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체(1)가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될 경우에는, 상기 흡수체(1)가 상기의 어떠한 형태인 경우라도 그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1~4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mm의 박형인 것이다. 생리용 냅킨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0.5~3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2mm이다. 실금패드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0.5~4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3mm이다.
흡수체(1)의 두께는, 흡수체(1)상에 5cm×5cm의 크기의 아크릴판에 추를 얹고, 2.5g/cm2 하중이 가해진 상태하에 측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키엔스사의 LK080 클래스 2 레이저 변위계를 사용하여 두께를 측정하였다. 측정 점수는 5점의 평균으로 하고, 20%이상 측정치가 흔들린 경우는 그 데이터를 삭제하고, 별도의 측정치를 추가하였다. 시료에는 미리 250g/cm2의 하중을 12시간 걸쳐서 주름을 편 상태로 해 두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1)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앞서 기술한 권축율을 가지는 장섬유의 토우를 준비한다. 이 토우에 장력을 가하여 길이방향으로 신장한 상태로 반송(搬送)하면서 소정 수단에 의해 개섬하여 웹을 얻는다. 개섬에는 예를 들어 압축공기를 이용한 공기 개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장섬유는 권축을 가지고 있으므로, 장력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장섬유는 그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장된 상태가 된다. 개섬한 웹에는, 그 위로부터 고흡수성 폴리머가 산포된다. 산포시에는, 개섬한 웹의 반송속도를 감속한 상태로 상기 웹을 진공 컨베이어(vacuum conveyor)상에 전사시킨다. 웹은 상기 진공 컨베이어 상에서 장력이 완화된다. 그것에 의해 웹의 신장상태가 해제되어, 장섬유는 권축한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웹은 그 두께가 신장상태시보다도 커져, 고흡수성 폴리머의 매몰 담지성이 향상한다. 이 상태하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산포된다. 권축상태로 되어 있는 장섬유는, 그 섬유간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수용할 수 있는 공극을 가진다. 이 공극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매몰 담지된다. 이것에 의해 소망하는 평량의 고흡수성 폴리머를 매몰 담지시킬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웹에 장력이 가해져 신장된 상태에서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수용하기에 족한 충분한 공극이 섬유사이에 형성되지 않으므로 고흡수성 폴리머를 순조롭게 잘 매몰 담지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고흡수성 폴리머의 산포와 동시에, 웹에 있어서의 폴리머의 산포면과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흡인을 행하여, 폴리머의 매몰 담지를 촉진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흡인의 정도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웹의 두께방향에 있어서의 폴리머의 분포를 바꿀 수 있다.
상기의 제조방법의 다른 방법으로서, 개섬된 장섬유로 이루어지는 웹(2)을 소정의 길이로 신장하고, 그 상태하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산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장섬유를 완전하게 신장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고흡수성 폴리머가 웹(2) 내에 안정적으로 매몰 담지될 정도로 신장시키면 족하다.
고흡수성 폴리머의 산포에 앞서서는, 장섬유를 신장한 상태하에, 핫멜트 점착제 등의 각종 접착제를 웹(2)에 롤코터(roll coater) 방식이나 스크린 인쇄 방식 등의 접착 방식이나 스프레이 방식 등의 비접촉 방식에 의해 도공한다. 도공에는, 비접촉으로 각 패턴의 전환이 용이하고 접착제의 양을 조정 가능한 스프레이 방식의 도공이 바람직하고, 산점상의 접착을 순조롭게 잘 행할 수 있는 스프레이 도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레이 방식으로서는 슬롯 스프레이법, 커튼 스프레이법, 멜트블로운법, 스파이럴 스프레이법 등을 들 수 없다. 접착제의 도공은, 웹간에서의 액의 투과가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저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 접착제의 도공량은 3~30g/m2, 특히 5~15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의 도공 완료 후에 웹(2)상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산포한다. 산포완료 후에 별도로 준비해 둔 웹(2)을 서로 포갠다. 다음으로 장섬유의 신장 상태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신장되어 있었던 장섬유가 수축한다. 그 결과, 고흡수성 폴리머는 장섬유의 수축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보유된다. 이와 같이 하여 웹(2) 중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매몰 담지된다. 이것에 의해 2개의 웹(2)끼리가 산점상으로 접착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웹(2)상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산포된 후, 상기 웹(2)의 신장 상태를 해제하여 수축시켜 얻어진 중간체를 복수 준비해 두고, 마지막으로 상기 중간체를 서로 포갬으로써 흡수체(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흡수체(1)의 최상층에 폴리머층(3)이 위치하게 되므로, 고흡수성 폴리머의 극단적인 이동이나 탈락이 우려되지만, 티슈페이퍼나 부직포 등을 사용하여 흡수체(1)의 전체를 감싸는 것으로 그와 같은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흡수체(1)가, 후술하는 도 7(c) 또는 도 7(d)에 나타내는 형태인 경우, 즉 고흡수성 폴리머가 매몰 담지된 장섬유의 웹과, 펄프 및 고흡수성 폴리머의 적섬체의 적층체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이하의 제조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제조에는 도 5에 나타내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장치(10)는 후드(11)를 가지는 적섬 드럼(12)을 구비하고 있다. 적섬 드럼(12)은 그 주면(周面)에 다수의 오목부(13)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13)는, 적섬 드럼(12)의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13)의 저면(底面)은 통기성의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적섬 드럼(12)의 내부는 흡인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기성의 소재를 통해 드럼(12)의 외부로부터 드럼(12) 내로 공기가 흡인되도록 되어 있다. 적섬 드럼(12)의 내부에는 공기의 흡인에 관하여 칸막이(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도 5 중, 부호 A로 표시되는 영역에 오목부(13)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오목부(13)의 저부를 통한 흡인이 행해진다. 부호 B로 표시되는 영역에 오목부(13)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흡인은 행해지지 않는다.
펄프 및 고흡수성 폴리머의 공급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된 펄프 및 고흡수성 폴리머는 공기 흐름에 반송되어 오목부(13) 내에 퇴적한다. 이와는 별도로, 장섬유의 웹의 원단에 장력을 가해 길이방향으로 신장한 상태로 반송하면서, 개섬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상기 웹을 개섬한다. 개섬한 웹(14)은 적섬 드럼(12)의 주면에 안겨진 상태로 반송된다. 부호 B로 표시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오목부(13) 내에 퇴적된 펄프 및 고흡수성 폴리머의 적섬체(15)는 상기 영역에 있어서 흡인상태가 해제되어 웹(14)상에 전사된다. 적섬체(15)의 전사시에는, 웹(14)에 있어서의 적섬체(15)의 전사면과 반대측의 면에 석션 박스(suction box; 16)를 배치하여 흡인을 행하고, 적섬체(15)의 전사를 확실하게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웹(14)상에 적섬체(15)가 적층된다.
적섬 드럼(12)으로의 펄프 및 고흡수성 폴리머의 공급량은, 펄프의 공급량에 비해 고흡수성 폴리머의 공급량을 대(大)과잉으로 한다. 양자의 공급량에 이와 같은 차를 마련함으로써, 오목부(13) 내에 형성되는 적섬체(15)에 있어서는,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가 거의 등량으로 혼합되므로 과잉분의 고흡수성 폴리머는 적섬체(15)의 표면에 퇴적하게 된다. 적섬체(15)의 표면에 퇴적된 과잉분의 고흡수성 폴리머는, 상기 적섬체(15)가 웹(14)에 전사됨으로써 웹(14) 중에 매몰 담지된다. 이 매몰 담지를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해, 개섬된 후의 웹(14)이 적섬 드럼(12)의 주면에 안기기 전에 웹(14)을 석션 박스(17)에 의해 흡인하여 반송의 장력을 완화시켜 둔다. 그것에 의해 웹의 신장 상태가 해제되어 장섬유는 권축한 상태로 복귀한다. 이 상태하에 과잉분의 고흡수성 폴리머가 적섬체(15)로부터 웹(14)으로 전사된다. 고흡수성 폴리머는 권축상태로 되어 있는 장섬유간의 공극에 매몰 담지된다. 고흡수성 폴리머의 매몰 담지는, 적섬 드럼(12)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석션 박스(16)에 의한 흡인으로 한층 확실한 것이 된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고흡수성 폴리머가 매몰 담지된 장섬유의 웹(14)과, 펄프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적섬체(15)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흡수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은, 고흡수성 폴리머의 공급을 1회 행함으로써, 웹(14) 및 적섬체(15)의 쌍방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함유시킬 수 있는 점에서 효율적인 방법이다.
또한 이상의 방법에 따르면, 적섬체(15)의 표면에 퇴적하는 과잉분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지름을 컨트롤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는 일반적으로 입도 분포를 가지고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가 공기 흐름에 반송될 때에는, 그 입자지름의 차에 기인하여 반송의 용이함이 상이하다. 그 결과, 입도 분포 곡선에 있어서의 소(小)입자지름측의 폴리머가 펄프 중에 혼합되기 쉽고, 대(大)입자지름측의 폴리머가 적섬체(15)의 표면에 퇴적되기 쉬워진다. 즉, 적섬체(15) 중에는 상대적으로 소입자지름의 폴리머가 존재하고, 웹(14) 중에는 상대적으로 대입자지름의 폴리머가 존재하게 된다. 폴리머의 입자지름에 이와 같은 차를 마련한 웹(14) 및 적섬체(15)로 이루어지는 흡수체(1)를, 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7(c)에 나타내는 형태로 사용하면 흡수체(1)의 액 통과 속도는 양호해지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1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6~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들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지 않은 점에 대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관하여 상세히 기술한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또한 도 6~도 10에 있어서 도 1~도 4와 동일한 부재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6(a)에 나타내는 흡수체(1)는 단층의 웹(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웹(2) 중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균일하게 매몰 담지되어 있다. 도 6(b) 및 도 6(c)에 나타내는 흡수체(1)도 도 6(a)에 나타내는 흡수체(1)와 동일하게 단층의 웹(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6(b) 및 도 6(c)에 나타내는 흡수체(1)에서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웹(2)의 두께방향에 관해 편의하여 매몰 담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b)에 나타내는 흡수체(1)에서는, 고흡수성 폴리머는 웹(2) 중에 있어서 웹(2)의 피부 대향면측에 편의하여 매몰 담지되어 있다. 한편, 도 6(c)에 나타내는 흡수체(1)에서는, 고흡수성 폴리머는 웹(2) 중에 있어서 웹(2)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편의하여 매몰 담지되어 있다. 도 6(b) 및 도 6(c)에 나타내는 흡수체(1)에서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존재량은, 웹(2)의 두께방향에 관하여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어도 좋고, 혹은 단계적으로 변화하고 있어도 좋다. 도 6(b)에 나타내는 흡수체(1)는, 액의 스팟 흡수성이 높은 점에서, 경실금자용의 실금패드나 생리용 냅킨의 흡수체로서 적합하다. 도 6(c)에 나타내는 흡수체(1)는, 액의 확산성이 높고, 흡수체 전체에서의 액의 흡수성이 높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체로서 적합하다.
도 7(a)에 나타내는 흡수체(1)는, 플랩 펄프의 적섬층(4)상에 웹(2)을 포갠 구조를 가지고 있다. 웹(2) 중에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매몰 담지되어 있다. 이 흡수체(1)에서는, 플랩 펄프의 적섬층(4)이 배설된 액의 1차 스톡층으로서 작용하므로, 액의 배설속도가 높은 경우(예를 들어 뇨가 배설되는 경우)라도 액 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웹(2) 중에 매몰 담지되는 고흡수성 폴리머는, 웹(2)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편의하여 매몰 담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고흡수성 폴리머를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흡수체(1)는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체로서 적합하다.
도 7(b)에 나타내는 흡수체(1)는, 플랩 펄프의 적섬층(4)상에 웹(2)을 포개어 이루어지는 적층체(5)를 복수 적층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구조의 흡수체(1)는 도 7(a)에 나타내는 흡수체(1)보다도 액 샘 방지 효과가 한층 높다.
도 7(c)에 나타내는 흡수체(1)는, 도 7(a)에 나타내는 흡수체(1)에 있어서, 플랩 펄프의 적섬층(4) 중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시킨 것이다. 이 구조의 흡수체는, 플랩 펄프의 적섬층(4)에 의한 액의 1차 스톡층으로서의 효과가 한층 높은 것이다. 또한 도면에 나타낼 필요도 없이 당업자라면 명백한 바와 같이, 도 7(c)에 나타내는 흡수체(1)를 사용하여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적층체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도 7(a)와 도 7(c)에 나타내는 흡수체를 사용하여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적층체를 구성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도 7(d)에 나타내는 흡수체(1)는, 도 7(c)에 나타내는 흡수체에 있어서 플랩 펄프의 적섬층(4)과 웹(2)의 적층 관계를 상하 역전시킨 것이다. 이 흡수체(1)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은, 상기 흡수성 물품에 착용자의 체압이 가해진 경우, 예를 들면 착용자가 누운 자세나 앉은 자세인 경우의 흡수성이 양호해진다.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흡수체(1)는, 플랩 펄프의 적섬층(4)의 상하에 웹(2, 2)이 각각 배치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8(a)에 나타내는 흡수체에서는, 각 웹(2)에 있어서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웹(2)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편의하여 매몰 담지되어 있다. 한편, 도 8(b)에 나타내는 흡수체에서는, 상측의 웹(2)에 있어서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웹(2)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편의하여 매몰 담지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하측의 웹(2)에 있어서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웹(2)의 피부 대향면측에 편의하여 매몰 담지되어 있다. 도 8(a)에 나타내는 흡수체에 따르면 액을 일시적으로 스톡할 수 있다. 또한 확산하는 층이 피부 당접면측과 흡수체 중간영역에 있으므로, 상층측에서 다 흡수하지 못한 액을 다시 하층측에서 확산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의 사용 효율이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다량이며 고속의 액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는, 예를 들어 비교적 월령이 높은 유아용의 팬츠형 기저귀나 트레이닝 팬츠, 야뇨 팬츠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한편, 도 8(b)에 나타내는 흡수체는, 플랩 펄프의 적섬층(4)에 스톡시킨 액을 상하의 고흡수성 폴리머로 고정하는 메커니즘이므로, 너무 고속인 액에 대응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피부 비당접면측의 공간에 의해 쿠션성이 발현하여, 기저귀의 감촉을 살리는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액의 최종적인 고정 위치가 흡수체 두께방향 중앙부가 되기 때문에 액 역류가 적다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는 피부에 대한 순함과 부드러움이 강력히 요구되는 저월령의 유아용의 기저귀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도 9에 나타내는 흡수체(1)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매몰 담지되어 있는 웹(2)의 하측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지 않는 친수성을 가지는 장섬유의 웹(6)이 배치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웹(6)의 장섬유가 권축한 것인 경우, 특히 상기의 권축율을 가지는 것인 경우에는, 웹(6)이 두께방향의 압력에 대한 쿠션층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착용감이 향상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흡수체(1)는, 장섬유의 웹(2)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접힌 상태로 셋으로 접혀 있고, 셋으로 접힌 웹(2)의 내부에 고흡수성 폴리머(3)가 보유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흡수체(1)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담지성이 한층 양호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표면시트측 및 이면시트측의 어느 측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에 접촉한 경우라도, 고흡수성 폴리머에 기인하는 빳빳함을 부여하기 어려워, 흡수성 물품에 폭신한 부드러움을 부여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웹이 포개짐으로써 두께가 커지고, 폭신한 감이 향상한다. 또한 신체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한다. 또한 액의 1차 스톡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하여, 신속한 액의 흡수와 샘 방지에 효과적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흡수체(1)에 있어서는, 셋으로 접힌 웹(2)의 내부에, 친수성의 단섬유와, 고흡수성 폴리머와, 열가소성의 합성 펄프 또는 각종 바인더(폴리아세트산비닐이나 아크릴에멀젼 등)으로 이루어지는 에어레이드 흡수체가 보유되어 있어도 좋다. 에어레이드 흡수체는 강성이 높으므로 흡수성 물품에 탄력을 부여한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압력하에서의 흡수속도가 빠르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에어레이드 흡수체는 강성이 높으므로 장착 중의 위화감이나 마찰에 의한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또한 폭신한 느낌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가 있다. 그래서 에어레이드 흡수체의 일부 또는 전체를 웹(2)으로 덮음으로써, 에어레이드 흡수체의 특장점을 살리면서 경도의 단점을 저감할 수 있다.
그런데, 생리용 냅킨이나 실금패드는, 종이 기저귀 등에 비하면 일반적으로 제품의 크기(면적)가 작다. 그 때문에, 제품의 일부분에 고흡수 용량을 가지는 흡수영역을 마련하여, 스팟 흡수성을 부여시키는 경우가 있다.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를 고흡수 영역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고흡수 영역은 전체에 볼록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웹(2)은 그 평량이 100~1000g/m2, 특히 200~50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흡수성 폴리머의 산포 평량은 50~1000g/m2, 특히 100~50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웹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005~0.20g/m3,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0.10g/m3이다. 밀도가 이 범위 내이면, 액의 투과속도를 고흡수성 폴리머의 흡수속도에 맞는 적당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의 부드러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웹의 섬유 간격을 적당한 범위로 할 수 있어, 세밀한 고흡수 폴리머의 담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고흡수성 폴리머는, 그 원심 탈수법에 의한 생리식염수의 흡수량이 30g/g이상, 특히 30~50g/g인 것이 폴리머의 사용량 면이나, 액 흡수 후의 겔감이 저하는 것을 방지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의 원심 탈수법에 의한 흡수량의 측정은 이하와 같이 행한다. 즉, 고흡수성 폴리머 1g을 생리식염수 150ml로 30분간 팽윤시킨 후, 250메쉬의 나일론 메쉬 봉투에 넣고, 원심 분리기로 143G(800rpm)로 10분간 탈수하여, 탈수 후의 전체 중량을 측정한다. 이어서, 이하의 식에 따라 원심 분리법에 의한 흡수량(g/g)을 산출한다.
원심 탈수법에 의한 흡수량=(탈수 후의 전체 중량-나일론 메쉬 봉투 중량-건조시 고흡수성 폴리머 중량-나일론 메쉬 봉투 액 잔류 중량)/건조시 고흡수성 폴리머 중량
또한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고흡수성 폴리머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되는 액 통과 시간이 20초 이하, 특히 2~15초, 특히 4~10초인 것이 겔 블로킹의 발생 및 그에 기인하는 흡수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흡수가 즉시 이루어지지 않는 것에 기인하는 액의 빠져나옴에 의한 샘의 방지 면에서 바람직하다. 액 통과 시간의 측정은 이하와 같다. 즉, 단면적 4.91cm2(내경(內徑) 25mmΦ)이며 저부에 개폐 자유로운 콕(내경 4mmΦ)이 마련된 원통관 내에 상기 콕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0.5g을 생리식염수와 함께 충전하여, 상기 생리식염수에 의해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화상태에 달할 때까지 팽윤시킨다. 팽윤한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가 침강한 후, 상기 콕를 열어 생리식염수 50ml를 통과시킨다. 상기 생리식염수 50ml가 통과하는 데 요한 시간을 측정하여, 이 시간을 액 통과 시간으로 한다. 액 통과 시간은 고흡수성 폴리머의 겔 강도를 반영하는 지표의 하나이다. 액 통과 시간이 짧을수록 겔 강도는 높아진다.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흡수성 폴리머로서는, 상기의 각 특성을 만족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소다, (아크릴산-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소다 가교체, (전분-아크릴산)크래프트 중합체, (이소부틸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및 그 비누화합물, 폴리아크릴산칼륨, 및 아크릴산세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각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고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표면에 가교 밀도 구배(勾配)를 마련하면 된다. 혹은 고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비구상의 부정형 입자로 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일본국 공개특히 평7-184956호 공보의 제7란 28행~제9란 6행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장섬유의 웹을 가지는 본 발명의 흡수체는, 플랩 펄프를 주체로 하는 종래의 흡수체에 비해 섬유간의 공극이 큰 성긴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흡수체는 액의 투과성이 양호한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고흡수성 폴리머의 흡수속도가 느린 경우는, 액이 고흡수성 폴리머에 흡수되기 전에 흡수체를 통과해 버려, 상기 흡수체에 충분히 흡수되지 않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웹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는, 충분히 흡수속도가 빠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흡수체에 액을 확실하게 보유할 수 있게 된다. 고흡수성 폴리머의 흡수속도는, 상기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DW법의 측정치에 의해 표현되다. DW법에 의한 흡수속도(ml/0.3g·30sec)는, DW법을 실시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장치(Demand Wettability Tester)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생리식염수의 액면(液面)을 등수위(等水位)로 셋팅한 폴리머 산포대[70mmΦ, No.2 여과지를 유리필터 No.1상에 놓은 대(臺)]상에, 측정대상의 고흡수성 폴리머를 0.3g 산포한다. 고흡수성 폴리머를 산포한 시점의 흡수량을 0으로 하고, 30초 후의 흡수량(이 흡수량은 생리식염수의 수위의 저하량을 나타내는 뷰렛(buret)의 눈금으로 측정된다)을 측정한다. 얻어진 흡수량의 값을 흡수속도로 한다. 흡수속도는 고흡수 폴리머의 형상, 입자지름, 부피 밀도, 가교도 등에 따라 설계할 수 있다.
흡수체가 펄프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흡수체 중의 함유량이 30중량%이하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DW법에 따라서 측정된 흡수속도가 2~10ml/0.3g·30sec, 특히 4~8ml/0.3g·30sec인 고흡수성 폴리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와 같은 흡수속도를 가지는 고흡수성 폴리머는, 플랩 펄프를 주체로 하는 종래의 흡수체에 있어서는, 겔 블로킹, 나아가서는 액 샘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그 사용이 기피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웹이 성긴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에 기인하여, 웹 내로의 액의 끌어옴과 끌어온 액의 통과속도가 높기 때문에, 고흡수 속도를 가지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사용해도 겔 블로킹이 일어나기 어려워, 반대로 액 샘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여기서 흡수체의 중량에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피복시트의 중량이 포함된다.
상술과 같이, 액 통과 시간이 짧은 고흡수성 폴리머나, 흡수속도가 높은 고흡수성 폴리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지만, 액 통과 시간이나 흡수속도가 상술한 바람직한 범위 내에 있는 다른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 혹은 공존시켜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액 통과 시간이 짧은 고흡수성 폴리머(S1)와 상대적으로 액 통과시간이 긴 고흡수성 폴리머(S2)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고흡수성 폴리머(S1)와 고흡수성 폴리머(S2)를 비교하면, 고흡수성 폴리머(S2)가 흡수배율이나 흡수속도가 높은 반면, 겔 블로킹에 대한 내성은 낮다. 고흡수성 폴리머(S1)와 고흡수성 폴리머(S2)를 공존시킴으로써, 흡수성능이 높은 고흡수성 폴리머(S2) 사이에, 단단한(즉 겔 블로킹이 일어나기 어려운) 고흡수성 폴리머(S1)가 들어가므로, 흡수체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는, 상대적으로 흡수속도가 높은 고흡수성 폴리머(S3)와 상대적으로 흡수속도가 낮은 고흡수성 폴리머(S4)를 공존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고흡수성 폴리머(S3)를 이면시트측에 배치하고, 고흡수성 폴리머(S4)를 표면시트측에 배치함으로써, 흡수체의 액의 흡입 속도를 한층 높이면서, 액의 고정능력도 높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는, 액 통과 시간이 짧은 고흡수성 폴리머(S1)를 표면시트측에 배치하고, 흡수속도가 높은 고흡수성 폴리머(S3)를 이면시트측에 배치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상술한 특정 흡수성능을 가지는 흡수성 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흡수체는 얇고 부드러움에도 불구하고, 액 역류의 양이 한층 적어진다. 액 역류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1g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g이하, 한층 바람직하게는 0.25g이하가 된다. 액 역류량의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유유아용 종이 기저귀(M사이즈)의 경우, 기저귀의 복측의 단연부로부터 150mm 위치의 폭방향 중앙부에, 착색한 생리식염수 160g을 로트를 통해 주입한다. 착색에는 적색 1호를 사용하고, 색소의 첨가량은 50ppm으로 한다(생리식염수 10리터에 대하여 0.5g). 주입 완료로부터 10분 후에, 어드반테크사 제품의 여과지 No.4A를 10장 포갠 것을 기저귀 위에 놓는다. 여과지의 위로부터 3.43kPa의 압력을 2분간 가하여 여과지에 생리식염수를 흡수시킨다. 여과지의 중량을 측정하고, 중량의 증가분을 액 역류량으로 한다. 측정은 3점을 행한다. 기저귀의 사이즈가 다른 경우는 생리식염수의 주입량, 여과지의 가압조건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다. 베이비용 기저귀의 경우는, 여과지의 가압은 3.43kPa로 통일하고, 생리식염수의 주입량을 기저귀의 사이즈에 따라 변화시킨다(신생아, S사이즈는 120g, 그 외의 사이즈는 160g). 한편, 생리용품도 포함하여 어른용의 흡수성 물품의 경우에는 여과지의 가압은 5.15kPa로 통일한다. 주입하는 액은 생리용품의 경우에는 생리식염수를 대신하여 말의 혈액 10g으로 한다.
삭제
웹 내에는 고흡수성 폴리머 외에, 다른 입자, 예를 들면 활성탄이나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티탄, 각종 점토광물(제올라이트, 세피올라이트, 벤토나이트, 캔크리나이트(cancrinite) 등) 등의 유기, 무기입자(소취제나 항균제)를 공존시킬 수 있다. 무기입자는 일부 금속사이트를 치환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혹은 각종 유기, 무기완충제, 즉 아세트산, 인산, 구연산, 숙신산, 아디핀산, 사과산, 락트산 또는 그들의 염을 단독 혹은 조합하여 사용하거나, 각종 아미노산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성분의 작용은, 흡수체에 흡수된 배설물의 냄새나 소재 유래의 냄새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유기, 무기 완충제는 배설물, 예를 들어 뇨의 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암모늄을 중화하고, 기저귀를 중성~약산성으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고, 그것에 의해 만일 기저귀에서 피부로의 배설물의 액 역류가 있어도 피부로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유기, 무기 완충제는, 암모늄 등의 알칼리를 중화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웹(2)을 구성하는 장섬유로서 아세테이트 섬유와 같은 분자구조 내에 에스테르 결합을 가지는 섬유를 사용한 경우에는, 알칼리에 의한 에스테르 결합의 분해에 기인하는 섬유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액 보유성과 흡수속도의 향상, 드라이의 향상을 목적으로 친수성의 미분(微粉) 또는 단섬유를 웹 중에 공존시킬 수 있다. 친수성의 미분 또는 단섬유로서는 피브릴화(fibrillation)되어 있거나 또는 피브릴화되어 있지 않은 셀룰로오스 파우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그 금속염, 카르복시에틸셀룰로오스 및 그 금속염,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그 유도체, 실크파우더, 나일론파우더, 레이온, 면, 양모 등의 단섬유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셀룰로오스 파우더를 사용하면, 상기의 효과를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친수성의 미분 또는 단섬유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산포 전에 웹에 산포해도 좋고, 혹은 고흡수 폴리머와 혼합해 두어, 양자를 동시에 웹에 산포해도 좋다. 웹의 형태 유지성을 향상시켜, 웹의 압축 회복성을 높이고, 또한 웹의 비틀림을 일어나기 어렵게 하고, 또한 웹의 반송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웹을 구성하는 장섬유끼리를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섬유끼리의 접합에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 아크릴에멀젼과 같은 수용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장섬유가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아세테이트를 용해·가소화 할 수 있는 제(劑), 예를 들어 트리아세틴을 고흡수성 폴리머 산포 후의 웹에 산포하여 아세테이트를 용해·가소화시켜 장섬유끼리를 접합시킬 수 있다.
장섬유끼리의 접합의 다른 방법으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의 합성 펄프를 웹 중에 분산시키고, 이어서 가열하여 합성 펄프를 용해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합성 펄프(7)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산포와 동시에 또는 그 전후에 웹에 산포할 수 있다. 산포시에 있어서는, 웹에 있어서의 산포면과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흡인을 행하고, 합성 펄프 및 고흡수성 폴리머가 웹 중에 충분히 두루 미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섬유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합성 펄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나타내는 흡수체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흡수체(1)를 제조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2에 나타내는 흡수체(1)에 있어서는, 엠보스 가공에 의해 웹이 압밀화(壓密化)된 부분(8)이 다수 형성된다. 그 결과, 웹 중에 섬유 밀도가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섬유밀도가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에서 모관력에 차가 생기고, 흡수체(1)는 액의 흡입성이 도 11에 나타내는 흡수체보다도 높아진다.
웹의 형태 유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별도의 방법으로서, 웹의 위 및/또는 아래에 혹은 이와 더불어 또는 이것에 대신하여, 웹의 측부에 종이나 부직포 등의 시트재료를 한장 또는 복수장 포개거나 또는 덮어, 웹과 시트재료를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거나, 또는 열융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한쌍의 시트재료 사이에 웹이 끼워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시트상의 흡수체가 얻어진다. 그와 같은 시트상의 흡수체는, 시트재료와의 접합 및 시트재료 그 자체의 강성에 기인하여 강성이 높아지고, 그것에 의해 핸들링성이 양호해지므로 그것 단독으로 용이하게 반송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시트상의 흡수체는, 소망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재단(裁斷) 혹은 뚫을 수 있으므로, 흡수성 물품의 형상에 따른 흡수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시트재료와 웹을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여, 웹의 보형성을 높이는 경우에는, 웹의 투수성(透水性), 부드러움, 통기성을 해치지 않도록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접착제를 가능한한 세밀한 섬유상으로 하면서 계속적으로(예를 들면, 스파이럴상, 선상, 연속한 Ω형상으로) 도포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것에 의해 웹의 특성을 해치지 않고 섬유끼리를 다수의 접합점으로 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핫멜트 도포장치의 일종인 UFD 파이버(상품명)를 사용함으로써 그것을 달성할 수 있다. 접착제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친수성 접착제 및 소수성 접착제의 어느 쪽이든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친수성의 접착제이다. 친수성의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친수성 핫멜트 점착제인 cycloflex(미국 데라웨어주, National Starch & Chemical Company의 등록상표)를 들 수 있다. 또한 시트재료와 웹의 접착은 주로 서로의 표면끼리에서 행해진다. 그러나 일부의 접착제가 웹 중에 들어가 웹의 두께방향 내부의 섬유끼리가 접착되는 경우도 있다.
상기의 시트재료를 웹의 위 및/또는 아래에 포개는 것은 흡수체의 흡수성능을 높이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흡수체의 흡수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시트재료로서 각종 섬유시트나 섬유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예로서는 통기성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건식 펄프 부직포, 가교 펄프를 포함하는 적섬체, 가교펄프를 포함하는 종이, 및 그들의 복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시트재료는 1장 사용해도 좋고, 혹은 복수장을 포개서 사용해도 좋다. 이들의 시트재료를 구성하는 섬유는, 그 섬유 지름이 1.7~12dtex, 특히 2.2~7.8dtex, 특히 3.3~5.6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량은 15~200g/m2, 특히 20~150g/m2, 특히 25~12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액의 흡입 속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우, 액 역류를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 시트재료 중에서의 액 확산을 촉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평량을 15~100g/m2, 특히 20~80g/m2, 특히 25~50g/m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흡수체의 쿠션성을 높이고자 하는 경우, 흡수체의 비틀림을 일으키기 어렵게 하고자 하는 경우, 흡수체에 압축 회복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 흡수체로부터의 수증기의 증산(蒸散)을 억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평량을 25~200g/m2, 특히 30~150g/m2, 특히 40~120g/m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웹의 형태 유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웹을 구성하는 장섬유와 그물상 체(體)를 교락(交絡; confounding)에 의해 일체화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그물상 체의 편면 또는 양면에 웹을 적층하고, 다음으로 수류(水流) 교락(스펀레이스)이나, 선단에 갈고리가 붙은 바늘에 의한 펀칭(니들펀치)에 의해 웹을 구성하는 장섬유를 그물상 체에 교락시킨다. 교락 후에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산포하여, 웹 중에 매몰 담지시킨다. 그물상 체로서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제의 격자상 네트나,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유공(有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격자상 네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선 지름은 0.1~3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선간 거리는 2~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공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개공 지름은 4~40mm로 구멍간의 간격은 1~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각 실시형태의 흡수체를 구비하는 제1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입체 개더를 2셋트 이상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1)의 측연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레그플랩(20)의 측연부에,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스트랜드(strand)(21)를 신장상태로 배치하여, 레그개더(22)를 형성하고, 또한 레그개더(22)와 흡수체(1)의 측연부 사이에 기단부(基端部)를 가지는 제1입체 개더(23) 및 제2입체 개더(24)를 배치한다. 제1입체 개더(23)는 레그개더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2입체 개더(24)는 흡수체측에 배치되어 있다.
레그플랩(22)에 위치하는 이들 3개의 개더는, 가장 외방(外方)에 위치하는 개더의 수축력이, 그보다도 내방에 위치하는 개더의 수축력보다도 크도록 각 개더의 수축력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레그개더(22)의 수축력을 L1, 제1입체 개더(23)의 수축력을 L2, 제2입체 개더(24)의 수축력을 L3으로 했을 때, L1>L2, L3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가장 외방에 위치하는 개더로부터 내측을 향해 개더의 수축력이 점차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L1>L2>L3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다음과 같다.
종래의 흡수성 물품의 설계수법은, 흡수성 물품을 얇게 하고, 게다가 액이 새기 어렵게 하기 위해 개더의 수축력을 강하게 하여, 착용자의 신체와 흡수성 물품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게 하는 생각에 기초하고 있었다. 그러나 개더의 수축력이 지나치게 강하면, 그 흔적이 피부에 남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얇고 유연한 흡수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개더의 수축력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수축되어 버려 장착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개더의 수축력이 지나치게 강하면, 흡수성 물품의 장착 중에, 상기 수축력에 기인하는 아래로 향하는 힘이 흡수성 물품에 작용하여 어긋남이 생기기 쉬워진다. 이에 대하여, 레그개더 및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입체 개더를 2셋트 이상 사용하고, 그 수축력을 상술한 관계로 함으로써 종래의 흡수성 물품에 생기는 상술한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개더의 수축력은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된다.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개더를 절단하여 측정시료로 한다. 텐실론(tensilon) ORIENTEC RTC-1150A를 사용하여 측정 시료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곡선을 그리게 한다. 이 히스테리시스 곡선이 되돌아올 때의 응력을 수축력으로 한다. 신장과 되돌아옴의 속도는 300mm/min으로 한다. 시료의 초기 길이는 100mm, 최대 신장은 100mm(원래 길이의 2배)로 한다. 히스테리시스 곡선이 되돌아올 때의 응력은, 시료를 최대 신장으로부터 50mm 되돌렸을 때의 측정치로 한다. 측정은 5점의 평균치로 한다. 최대 신장이 100mm에 미치지 않는 시료의 경우는 신장을 50mm까지로 하여, 그때의 값을 측정치로 한다.
각 개더의 수축력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탄성체의 두께를 바꾸거나, 탄성체의 신장율을 바꾸거나, 탄성체의 개수를 바꾸는 등의 방법을, 단독으로 혹은 조합한다. 또한 레그개더(22)의 신축영역은 흡수성 물품의 고하부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레그개더 및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입체 개더가 2셋트 사용되고 있다. 이에 대신하여, 각 실시형태의 흡수체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레그개더는 사용하지 않고,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입체 개더를 2셋트 이상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4에서는, 제1입체 개더(23) 및 제2입체 개더(24)의 2셋트의 입체 개더를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외방으로부터 내측을 향함에 따라 입체 개더의 수축력을 점차 작게 하는 것이, 상술한 이유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2발명 및 제3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발명에 관해 특별히 설명하지 않은 점에 대해서는, 앞서 기술한 제1발명에 관한 설명이 적절하게 적용된다. 도 15에는 제2발명의 흡수체의 1실시형태의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흡수체(101)는,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을 비롯한 각종 흡수성 물품의 흡수체로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이며,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편평한 형상을 하고 있다. 흡수체(101)는, 친수성을 가지는 장섬유 웹(102)이 액 투과성 시트(104)로 싸여 구성되어 있다. 웹(102)에는 고흡수성 폴리머(103)가 매몰 담지되어 있다. 친수성을 가지는 장섬유 웹(102)은 흡수체의 길이방향으로 고도로 배향하고 있다. 흡수체(101)는, 친수성을 가지는 장섬유 웹(102)의 배향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있다.
웹(102)은 그 밀도가 0.005~0.20g/cm3, 특히 0.01~0.10g/cm3인 것이, 액의 투과성을 양호하게 하는 점, 흡수체(101)를 유연하게 유지하는 점, 액을 신속하게 흡수하는 점 등에서 바람직하다.
장섬유로서는 권축하고 있는 것이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권축한 장섬유의 웹이 가지는 신축성을 이용하여 흡수체(101)에 신축성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흡수체(101)의 구성재료로서 장섬유의 웹을 사용함으로써 흡수체(101)를 유연하게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다. 흡수성 물품의 흡액재료로서는 분쇄 펄프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분쇄 펄프는 빳빳한 재료이기 때문에, 분쇄 펄프를 사용한 기저귀는 신축 응답성이 양호하지 못한 경향이 있다. 또한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이에 비해 장섬유의 웹은 유연한 재료이기 때문에, 이것을 흡수성 물품의 흡수체(101)로서 사용함으로써 흡수체(101)를 유연하게 할 수 있고, 흡수체(101)의 신축 응답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101)를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시키기 쉬워진다.
흡수성 물품의 흡액재료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분쇄 펄프는, 흡액에 의해 흡수체로서의 일체적인 구조가 무너지기 쉽다. 이것에 대하여 장섬유의 웹은 흡액해도 흡수체로서의 일체적인 구조가 무너지기 어렵다. 이 관점에서도 흡수체(101)로서 장섬유의 웹을 사용하는 것은 유리하다.
흡수체(101)에 있어서, 친수성을 가지는 장섬유 웹(102)은 한 방향으로 고도로 배향하고 있다. 따라서 흡수체(101)에 흡수된 액은 상기 웹(102)의 배향방향으로 확산하기 쉬워진다. 이것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장섬유를 가지는 친수성 웹(102)의 배향방향이,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도록 흡수체(101)를 흡수성 물품에 배치하면,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으로부터의 액 샘(이른바 옆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배향의 정의 및 배향도의 측정방법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다.
권축한 장섬유로 이루어지는 웹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매몰 담지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다음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우선 권축을 가지는 장섬유의 웹을 준비한다. 이 웹을 소정 수단에 의해 개섬한다. 개섬에는 예를 들면 압축공기를 이용한 공기 개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개섬된 웹을 소정의 길이로 신장하고, 앞서 기술한 권축율로 조정한다. 이 경우 장섬유를 완전하게 신장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고흡수성 폴리머가 웹 내에 안정적으로 매몰 유지되는 정도로 신장하면 족하다.
장섬유를 신장한 상태하에, 핫멜트 점착제 등의 각종 접착제를 웹에 도공한다. 도공 패턴은 흡수체(101)의 신축을 저해하지 않는 방법이면 된다. 예를 들면, 선상 또는 점상의 패턴으로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스파이럴 스프레이 방식, 슬롯 스프레이 방식, 컨트롤 심(control shim)방식(핫멜트는 Ω상의 곡선을 그린다), 비드 방식 등의 도공을 들 수 있다. 또한 코터방식을 사용한다면 스트라이프상의 도공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산점상의 접착을 골고루 잘 행할 수 있는 스프레이 도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의 도공은 웹에서의 액의 투과가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저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공량이 바람직하게는 1~20g/m2, 더욱 바람직게는 2~10g/m2, 한층 바람직하게는 3~7g/m2이다.
또한 웹 전체를 균일하게 도공해도 좋고, 부분적으로 비접착영역을 마련해도 좋다. 비접착영역은 접착영역에 대하여 높은 신축성을 가지게 되어 흡수체 중에서 신축성이 다른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체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흡수체를 다른 부재(예를 들면, 표면시트나 샘방지 시트 혹은 탄성체와 조합한 시트나 신축성을 가지는 시트 등)와 복합화할 필요가 있다. 다른 부재는 반드시 흡수체와 동일한 신축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다른 부재와의 복합화에 있어서는, 흡수체 전체를 접착하기 보다도 부분적으로 접착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다른 부재와의 복합화의 방법으로서는 핫멜트를 사용한 접착 외에, 열이나 초음파에 의한 접착을 들 수 있다.
접착제의 도공 완료 후에, 웹상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층상으로 산포한다. 산포 완료 후에 장섬유의 신장 상태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신장되어 있었던 장섬유가 수축한다. 그 결과, 고흡수성 폴리머는 장섬유의 수축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보유된다. 이와 같이 하여 웹 중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매몰 담지된다. 필요에 따라, 그 위에 별도로 준비해 둔 웹을 포개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2개의 웹끼리가 산점상으로 접착된다.
고흡수성 폴리머(103)가 매몰 담지된 웹(102)은, 액 투과성 시트(104)로 싸여있다. 액 투과성 시트(104)로서는, 예를 들면 섬유재 시트나 천공(穿孔)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액의 투과가 양호한 관점에서, 액 투과성 시트(104)는 친수성의 섬유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의 섬유시트로서는 티슈페이퍼 등의 종이나 각종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로서는, 면이나 레이온 등의 친수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나, 합성수지의 섬유에 친수화 처리를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펀본드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통기성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등의 각종 엘라스토머 수지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여도 좋다.
액 투과성 시트(104)의 평량은, 시트(104)의 액의 투과성, 흡수체(101)의 유연성이나 피트성 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하나가 된다. 이 관점에서 액 투과성 시트(104)의 평량은 5~250g/m2, 특히 10~4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103)가 매몰 담지된 웹(102)과, 액 투과성 시트(104)는, 예를 들면 고흡수성 폴리머 산포 완료 후에 장섬유의 신장 상태를 해제시킨 웹(102)을 핫멜트 점착제 등으로 도공한 액 투과성 시트(104)에 의해 접합하여 복합화할 수 있다. 또한 웹(102)을 신장상태 하에서 핫멜트 점착제 등에 의해 액 투과성 시트(104)에 접합하여 복합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흡수체(101)는, 권축한 친수성 장섬유의 수축력에 기인하여 웹(102)이 그 배향방향으로 수축한다. 그 수축에 수반하여 액 투과성 시트도 수축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의 흡수체(101)는, 액 투과성 시트 자체에 신축가공을 실시하지 않아도 웹(102)의 배향방향으로 신축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흡수체(101)는, 웹(102)의 신축 범위에서의 신축이 가능하고, 흡수체(101)의 표면이 웹의 수축에 맞추어 요철이 된다. 그 결과, 흡수체(101)의 표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액 흡수 속도의 향상이나 길이방향의 확산의 억제가 도모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액 투과성 시트(104)에 개공 등을 실시하고 있지 않으므로, 고흡수성 폴리머가 흡수체(101)로부터 노출될 가능성이 적은 장점도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 투과성 시트(104)에는, 상기 시트(104)가 신장 가능해지는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흡수체(101)는 전체적으로 웹(102)의 배향방향에 있어서의 신축 가능 범위가 확대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101)에 있어서의 웹(102)은, 권축한 친수성 장섬유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배향방향에 관계없이 본래적으로 신축성을 가진다. 이와 더불어 액 투과성 시트(104)가 신장 가능하면, 흡수체(101)는 그 전체적으로 신장 가능해진다. 한편, 신장상태에 있는 흡수체(101)의 상기 신장상태를 해제하면, 권축한 친수성 장섬유에 의한 수축력에 기인하여 웹(102)은 그 배향방향으로 수축한다. 이 수축에 따라 액 투과성 시트(104)도 수축한다. 이와 같은 메커니즘에 의해 흡수체(101)는 그 전체가 웹((102)의 배향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흡수체(101)는, 한층 박형이면서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되고, 또한 흡수체(101)의 표면이 편평하므로, 액의 확산이 부드럽게 행해진다는 메리트가 있다. 또한 액 투과성 시트(104)에 개공이 실시되지 않으므로, 신장하에 있어서는 고점성 액의 흡수가 뛰어나면서, 수축 후에 있어서는 흡수한 액의 폐쇄성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구성의 흡수체(101)를 얻기 위한 가공방법은, 구체적인 흡수성 물품의 설계방침에 따라 결정되면 된다.
흡수체(101)의 신축의 방향은, 장섬유를 가지는 친수성 웹(102)의 배향방향에 의존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의 장섬유는 권축을 가지고 있으므로, 웹(102)은 배향방향 및 배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기타 모든 방향으로 신장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장섬유끼리가 접착되어 있어도 접착되어 있지 않아도 동일하다. 흡수체(101)의 신축의 방향은, 웹(102)을 감싸는 액 투과성 시트(104)의 신장 가능한 방향으로 의존한다. 즉, 액 투과성 시트(104)가 일정방향으로만 신장 가능한 것이면 흡수체(101)는 그 방향으로만 신축 가능해진다. 액 투과성 시트(104)로서 부직포나 직물 등을 사용한 경우는, 부직포나 직물 등은 섬유 배향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도 신장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흡수체(101)의 신축의 방향은 섬유 배향 방향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흡수체(101)의 최대 신장도(신장의 용이함)는 이방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액 투과성 시트(104)에 신장 가능해지는 가공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부직포나 직물 등은 섬유 배향방향에 있어서 최대점 신장도가 크고, 섬유배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는 섬유 배향방향에 비해 최대점 신장도가 작다.
흡수체(101)의 신장의 용이함의 방향은, 액 투과성 시트(104)에 실시되는 신장 가능해지는 가공방법에 따라 컨트롤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액 투과성 시트(104)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도록 슬릿 가공을 실시한 경우는, 액 투과성 시트(104)가 길이방향으로 신장하기 쉬워지므로 흡수체(101)도 길이방향으로 신장하기 쉬워진다. 또한 액 투과성 시트(104)의 길이방향에 준하여 슬릿 가공을 실시한 경우에는, 액 투과성 시트(104)가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옆방향)으로 신장하기 쉬워지므로 흡수체(101)도 옆방향으로 신장하기 쉬워진다.
흡수체(101)가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흡수체(101)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신체로의 피트성이 양호해진다. 피트성의 향상은,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신축성을 가지는 부위, 예를 들면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부위(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19에 나타내는 레그플랩(15))에 흡수체(101)를 배치함으로써 한층 현저한 것이 된다. 이 경우, 흡수체(101)의 최대점 신장도를 가지는 방향과, 흡수성 물품에 배치된 탄성부재의 최대점 신장도를 가지는 방향이 일치하도록 흡수체(101)를 흡수성 물품에 편입한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101)에 있어서는, 웹(102)의 배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105)이 다수 형성되도록, 액 투과성 시트(104)에 슬릿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릿(105)은, 웹(102)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단, 슬릿(105)이 연장하는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 투과성 시트(104)가 웹(102)의 배향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신장 가능하면, 슬릿(105)이 연장하는 방향은 웹(102)의 배향방향과 교차하는 어떠한 방향이어도 좋다.
웹(102)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105)이 액 투과성 시트(104)에 다수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흡수체(101)를 웹(102)의 배향방향으로 신장하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105)이 개공하여 액 투과성 시트(104)가 신장한다. 이것에 의해 흡수체(101)는 그 전체가 신장한다.
흡수체(101)의 신축 응답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흡수체(101)는 박형이며 저평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101)의 두께나 평량은 흡수성 물품의 구체적인 용도에 따라 적절한 값이 선택된다. 예를 들면,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웹(102)은 그 평량이 5~200g/m2, 특히 10~10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흡수성 폴리머의 산포 평량은 20~500g/m2, 특히 50~30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생리용 냅킨의 흡수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웹(102)은 그 평량이 5~100g/m2, 특히 10~5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흡수성 폴리머의 산포 평량은 10~200g/m2, 특히 15~10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금패드의 흡수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웹(102)은 그 평량이 5~200g/m2, 특히 10~10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흡수성 폴리머의 산포 평량은 10~500g/m2, 특히 15~35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101)에 있어서의 웹(102) 및 고흡수성 폴리머(103)의 합계의 평량은, 상기 흡수체(101)를 예를 들면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120∼400g/㎡, 특히 150∼30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생리용 냅킨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35∼200g/㎡, 특히 50∼15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금 패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35∼500g/㎡, 특히 50∼400g/㎡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101)가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두께가 1∼4㎜, 특히 1.5∼3㎜인 박형(薄型)인 것이 바람직하다. 생리용 냅킨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0.5∼3㎜,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금 패드로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0.5∼4㎜, 특히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101)는 유연한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성의 평가로서, 핸들 오 미터(HANDLE-O-METER)에 의한 측정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측정치가 4N 이하, 특히 2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 오 미터에 의한 측정방법은 JIS L1096(강연성(剛軟性) 측정법)에 준한다. 폭 60㎜의 도랑을 새긴 지지대 상에, 길이방향으로 150㎜, 폭방향으로 100㎜ 절단한 흡수체를 도랑과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한다. 흡수체의 중앙을 두께 2㎜의 블레이드로 눌렀을 때에 요하는 힘을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한 장치는, 다이에이 카가쿠 세이키 세이사쿠쇼 제조, 촉감 시험기(핸들 오 미터법), HOM-3형이다. 3점의 평균치를 측정치로 한다. 흡수체를 후술하는 도 19에 나타내는 기저귀의 측부 흡수체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길이방향으로 150㎜, 폭방향으로 50㎜의 크기로 샘플링한다. 레그플랩부의 측부 흡수체의 근방에는 통상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샘플링은 레그플랩부를 최대로 신장한 상태에서 행하며, 측정은 레그플랩부가 자연적으로 수축한 상태(인장을 개방한 상태)에서 행한다.
다음으로, 제2발명의 흡수체의 제2 및 제3의 실시형태를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들의 실시형태에 관해 특별히 설명하지 않은 점에 대해서는, 앞에서 기술한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해 상세히 기술한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 있어서, 도 15 및 도 16과 동일한 부재에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 17에 나타내는 제2의 실시형태의 흡수체(101)에 있어서는, 액 투과성 시트(104)에 크레이프(crape) 가공 또는 플리트(pleat)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이들 가공은, 웹(102)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 또는 플리트가 다수 형성되도록 실시된다. 크레이프 가공은, 주로 액 투과성 시트(104)가 종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실시되는 가공으로, 일반적으로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바람직한 크레이프율은 적어도 10%, 한층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이다. 크레이프율은 준비상태에서 100㎜×100㎜로 절단한 샘플을 물속에 침지한 후 꺼내서 치수의 변화량으로부터 다음 식으로 산출한다.
크레이프율(%)=((물에 침지한 후의 치수)/(물에 침지하기 전의 치수)-1)×100
한편, 플리트 가공은, 주로 액 투과성 시트(104)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실시되는 가공이다. 크레이프 가공 또는 플리트 가공이 실시된 액 투과성 시트는, 주름 또는 플리트의 형성에 기인하는 느슨함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 느슨함을 늘리는 만큼 신장성을 갖는다.
도 18에 나타내는 제3의 실시형태의 흡수체(101)에 있어서는, 흡수체(101)의 전체가 파형으로 부형(賦形)되어 있다. 즉, 흡수체(101)를 구성하는 웹(102) 및 액 투과성 시트(104)가 파형으로 부형되어 있다. 파형의 부형은 웹(102)의 배향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의 흡수체(101)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서로 맞물림 형상으로 되어 있는 기어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롤 사이에, 액 투과성 시트(104)로 싼 웹(102)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를 통과시키는 조작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파형 부형 가공이 웹(102) 및 액 투과성 시트(104)에 동시에 실시된다. 파형 부형 가공이 실시된 액 투과성 시트(104)는 그 파형 형상에 기인하여 신장성을 갖는다.
다음으로, 제3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에는, 제3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의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 20은, 도 19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9에 있어서의 a-a선은, 기저귀(110)에 있어서의 고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기저귀(110)는, 액 투과성의 표면시트(111), 액 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이면시트(112) 및 이들 양 시트(111, 112)간에 개재되는 중앙 흡수체(113)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액 투과성의 표면시트(111)는 이면시트(112)보다 폭이 좁은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 흡수체(113)와 이면시트(112) 사이에는 발수성 부직포(114)가 개재 배치되어 있다. 기저귀(110)를 구성하는 이들 각종 부재로는 상기 기술분야에 있어서 공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기저귀(110)는, 중앙 흡수체(113)의 전후 단연(端緣)으로부터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웨이스트 플랩(117, 117)을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웨이스트 플랩(117)의 좌우 양측부에는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fastening tape)(118, 118)가 장착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118)에 있어서의 표면, 즉 기저귀(110)에 있어서의 표면시트(111)와 같은 측의 면에는, 그 패스닝 테이프(118)를 이면시트(112)에 고정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 부착 수단(118a)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 부착 수단(118a)으로는 예를 들면 기계식 패스너(fastener)의 후크 부재 또는 루프 부재나,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웨이스트 플랩(117)의 단부에는, 기저귀(1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웨이스트 탄성 스트랜드(strand)(117a, 117a)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기저귀(110)는, 중앙 흡수체(113)의 좌우 양측연으로부터 각각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레그플랩(115, 115)을 구비하고 있다. 레그플랩(115, 115)에는, 기저귀 착용자에게 기저귀(110)를 피트시키기 위한 레그 탄성 스트랜드(115a)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레그 탄성 스트랜드(115a)는 기저귀(110)의 좌우 양측부에 배치되어, 기저귀(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레그 탄성 스트랜드(115a)는 이면시트(112)와 발수성 부직포(114)에 의해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기저귀(110)의 표면시트측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에는 한쌍의 입체 가드(116, 11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입체 가드(116, 116)의 자유단(自由端)에는 입체 가드 탄성 부재(116a)가 배치되어 개더가 형성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그플랩(115)에 있어서는, 발수성 부직포(114)와, 입체 가드(116)를 구성하는 시트 사이에, 제2발명의 흡수체(이하, 측부 흡수체라고 함)(101)가 배치되어 있다. 측부 흡수체(101)는, 웹의 배향방향(도 20에 있어서는 지면(紙面)과 직교하는 방향)이 레그 탄성 스트랜드(15a)가 연장되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기저귀(110)에 따르면, 입체 가드(116)를 타고 넘어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흐른 액이, 레그플랩(115)에 배치된 측부 흡수체(101)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다리 주위로부터의 액 샘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측부 흡수체(101)에 있어서의 웹의 배향방향은, 기저귀(110)의 길이방향에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측부 흡수체(101)에 의해 흡수된 액은 기저귀(110)의 길이방향으로 우선적으로 확산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다리 주위로부터의 액 샘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특히, 측부 흡수체(101)는, 레그플랩(115)에 배치된 레그 탄성 스트랜드(115a)와 동일 방향으로 신축되는 것이기 때문에, 기저귀(110)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레그플랩(15)이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딱 피트되어, 레그플랩(115)과 착용자의 신체 사이에 틈이 생기기 어렵다. 이것에 의해 다리 주위로부터의 액 샘이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펄프를 주체로 하는 종래의 흡수체를 이용한 경우에는, 흡수체에 신축성을 부여하려고 하면, 보다 두껍고, 보다 많은 개수의 레그 탄성 스트랜드를 이용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것에 의해 대량의 점착제가 필요하게 되어, 끈적임의 발생이나 유연성의 저하 등의 문제를 초래하고 있었다. 더욱이, 고흡수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흡수체가 두껍게 되어, 그것에 의해 피트성의 저하라는 문제도 초래하고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웹을 갖는 본 발명의 신축성 흡수체를 이용하면, 종래의 흡수체가 갖는 그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기저귀의 변형예로서, 도 21에 나타내는 기저귀를 들 수 있다. 도 21은, 도 19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9에 있어서의 b-b선은, 기저귀(110)에 있어서의 복측부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이 부분은, 이른바 앞샘이 일어나기 쉬워, 흡수체에 고흡수 용량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이 부분에 있어서는, 중앙 흡수체(113)와 발수성 부직포(114) 사이에, 장섬유를 갖는 친수성 웹(119)이 배치되어 있다. 웹(119)은, 액의 이동에 관하여 좌우의 측부 흡수체(101, 101)를 연결하고 있다. 웹(119)은 기저귀(110)의 폭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고도로 배향되어 있다.
웹(119)으로서는, 측부 흡수체(101)를 구성하는 웹(102)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웹(119)은 고흡수성 폴리머를 매몰 담지하고 있지 않아도 되며, 또한 웹(119)을 구성하는 장섬유가 권축(捲縮)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도 21에 나타내는 기저귀(110)에 따르면, 한쪽의 입체 가드(116)를 타고 넘어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흐른 액이, 한쪽의 레그플랩(115)에 배치된 측부 흡수체(101)에 의해 흡수된다. 한쪽의 측부 흡수체(101)에 흡수된 액은, 좌우의 측부 흡수체(101, 100)를 연결하는 웹(119)에 의해 기저귀(110)의 폭방향 중앙 영역을 향해 재빨리 확산하여, 고흡수 용량을 갖는 중앙 흡수체(113)로 유도된다. 그리고 중앙 흡수체(113)에 의해 흡수된다. 즉, 측부 흡수체(101)로부터 중앙 흡수체(113)로의 액의 피드백이 일어난다. 또한, 액이 중앙 흡수체(113)를 넘어 다른쪽의 측부 흡수체(101)에 도달하여, 거기서도 흡수된다. 액의 이러한 흡수 메커니즘에 의해 흡수체의 흡수 성능을 전체적으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고, 액 샘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기저귀의 변형예로서, 도 22에 나타내는 기저귀도 들 수 있다. 도 22는, 도 19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20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기저귀에서는, 중앙 흡수체(113)와 발수성 부직포(114) 사이에, 친수성의 장섬유를 갖는 웹(119)이 배치되어 있다. 웹(119)은 액의 이동에 관하여 좌우의 측부 흡수체(101, 101)를 연결하고 있다. 웹(119)은 기저귀(110)의 폭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고도로 배향되어 있다. 웹(119)으로서는, 도 21에 나타내는 기저귀에 이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웹(119)과 중앙 흡수체(113) 사이에는, 액 불투과성 내지 발수성의 시트(120)가 배치되어 있고, 액의 이동에 관하여, 웹(119)과 중앙 흡수체(113)를 격리시키고 있다.
도 22에 나타내는 기저귀(110)에 따르면, 한쪽의 입체 가드(116)를 타고 넘어 기저귀의 가로 방향으로 흐른 액이, 한쪽의 레그플랩(115)에 배치된 측부 흡수체(101)에 의해 흡수된다. 한쪽의 측부 흡수체(101)에 흡수된 액은, 좌우의 측부 흡수체(101, 101)를 연결하는 웹(119)에 의해 기저귀(110)의 폭방향 중앙 영역을 향해 재빨리 확산한다. 웹(119)과 중앙 흡수체(113)는 시트(120)에 의해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웹(119)을 확산하는 액은, 다른쪽의 측부 흡수체에 도달하여, 거기서 흡수된다. 이처럼, 도 22에 나타내는 기저귀(110)에서는, 한쌍의 측부 흡수체 사이에서 액의 분배가 일어난다. 이 액의 분배에 의해서도, 흡수체의 흡수 성능을 전체적으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이 액의 분배는, 측부 흡수체(101)와 중앙 흡수체(113) 사이에서 액의 분배가 일어나는 도 21에 나타내는 기저귀와 다른 것이다. 도 21에 나타내는 기저귀와 도 22에 나타내는 기저귀에서 액의 분배가 다른 이유는, 도 21에 나타내는 기저귀의 구조는, 비교적 폭이 넓고, 고흡수 용량이 요구되는 기저귀 앞쪽에 관한 것임에 비해, 도 22에 나타내는 기저귀의 구조는, 비교적 폭이 좁고, 고흡수 용량이 요구되지 않는 기저귀 고하부에 관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9 내지 도 22에서는, 제2발명의 흡수체의 흡수성 물품에의 적용의 일례로서, 일회용 기저귀의 레그플랩의 측부 흡수체를 예시했으나, 제2발명의 흡수체의 적용 부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9 내지 도 22에 나타내는 기저귀에 있어서, 측부 흡수체와 함께, 또는 측부 흡수체를 대신하여 중앙 흡수체로서 제2발명의 흡수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9 내지 도 22에 나타내는 기저귀에 있어서, 웨이스트 플랩(117)에 제2발명의 흡수체를 배치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흡수체에 있어서의 웹의 배향방향이 기저귀의 폭방향과 일치하도록 흡수체를 배치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흡수된 액을 기저귀의 폭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어, 웨이스트 개구부로부터의 액 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 이외의 흡수성 물품, 예를 들면 생리용 냅킨이나 실금 패드 등의 흡수체에 본 발명의 흡수체를 적용해도 된다.
또한, 제2발명에 따른 흡수체를 이용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레그부나 웨이스트부에 탄성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종래와 같이 실고무 등의 탄성 부재를 신장시킨 상태로 고정하여 장력을 해제하는 방법 외에, 자연 상태로부터 신장 가능한 신축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신축재로서는, 예를 들면 비(非)신장성의 부직포에 신장성의 부직포를 복합화한 후에, 비신장성의 부직포를 절단함으로써 얻어지는 신축성 시트를 들 수 있다. 특히 후자의 신축재를 이용하면, 조임에 의한 자국이 피부에 남기 어렵다는 장점이 있다. 후자의 신축재를 종래의 신축 불가능한 흡수체와 조합하여 이용하면, 신축재의 신축 물성이 저해된다는 문제가 있었으나, 상기 신축재를 본 발명에 따른 신축 흡수체와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자국의 방지와 신축 특성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체에 포함되는 섬유 재료가 친수성을 갖는 장섬유의 웹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흡수체의 신축성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에 있어 그 장섬유와 더불어, 플랩 펄프 등 통상 이용되는 흡액성(吸液性)의 섬유나, 합성수지의 단섬유를 흡수체에 배합해도 된다.
또한, 제2발명에 따른 흡수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웹(102)을 싸는 액 투과성 시트(104)뿐만 아니라, 표면시트에 신장 가능한 가공을 실시해도 된다. 액 투과성 시트와 표면시트에 실시하는 가공은 같아도 되고 혹은 달라도 된다. 예를 들면, 표면시트와 흡수체를 복합화한 후에 상기 표면시트에 신장 가능한 가공을 실시해도 된다. 혹은 액 투과성 시트에 신장 가능한 가공(예를 들면 슬릿(slit) 가공)을 실시한 후, 별도의 신장 가공(예를 들면 플리트 가공처리)을 실시한 표면시트를 복합화해도 된다. 또한, 액 투과성 시트에 신장 가능한 가공(예를 들면 슬릿 가공)을 실시한 후, 신장 가능한 표면시트, 예를 들면 개공(開孔) 필름이나 개공 부직포를 적층해도 된다.
또한, 제3발명의 실시형태의 기저귀(10)에 있어서는, 중앙 흡수체(13)를 종래의 흡수체와 동일하게 플랩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의 적섬체로 구성할 수 있고, 혹은 고흡수성 폴리머가 매몰 담지된 친수성의 권축 장섬유를 갖는 웹을 구비한 신축성의 흡수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웹의 배향방향을 기저귀(10)의 길이방향에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웹을 도 15, 도 17 또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 투과성 시트로 싸도 된다.
또한, 기저귀(110)의 각 레그플랩(115)에 측부 흡수체(101)를 각각 배치하면서, 레그플랩 사이에 중앙 흡수체(113)를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레그플랩 사이에 중앙 흡수체(113)를 배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레그플랩 사이에 착탈 가능한 뇨(尿) 흡수 패드 등의 흡수 패드를 장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기저귀(110)에 있어서는, 레그플랩의 레그 탄성 스트랜드(115a)의 위쪽에 측부 흡수체(101)가 배치되어 있었으나, 이것을 대신하여 레그 탄성 스트랜드의 하방 또는 측방(중앙 흡수체에 대하여 레그 탄성 스트랜드보다 외측)에 측부 흡수체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제2발명에 따른 흡수체(101)를 레그플랩 이외의 부위에 배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중앙 흡수체의 주연(周緣) 또는 주연보다도 외방의, 기저귀의 좌우 양측부 또는 전후 단부에 있어서,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영역인 웨이스트부나 입체 개더부에 흡수체(101)를 배치할 수 있다. 흡수체(101)를 웨이스트부에 배치한 경우에는, 주로 웨이스트 주변로부터의 샘 방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입체 개더부에 배치한 경우에는, 주로 고하부로부터의 샘 방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혹은 흡수체(101)를 이들 2곳 이상의 부위에 조합하여 배합해도 좋다. 배치 부위의 조합에 따라, 향상시키고자 하는 샘방지성능을 설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웨이스트부와 레그플랩에 각각 흡수체(101)를 배치한 경우나, 웨이스트부와 입체 개더부에 각각 흡수체(101)를 배치한 경우에는, 웨이스트 주변과 레그부로부터의 샘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입체 개더와 레그플랩에 각각 흡수체(101)를 배치한 경우에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도 고하부로부터의 샘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발수성 부직포(114)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경우에는 레그 탄성 스트랜드(115a)를 이면시트(112)와 흡수체(101)를 구성하는 액 투과성 시트(104)에 의해 끼워 고정하면 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
베이비용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는 흡수체를 제조하였다. 우선 권축(捲縮)한 아세테이트 장섬유의 토우를 준비하였다. 이 장섬유의 섬유 지름은 2.1dtex, 토우의 전(全) 섬유량은 2.5만dtex였다. 이 토우를, 공기 개섬장치를 사용하여 폭 100mm로 개섬한 후, 최대 신장길이의 1/2까지 신장시켜, 개섬 웹을 얻었다. 이 때, 권축율은 70%, 1㎝당의 권축수는 15개였다. 이 상태하에, 개섬 웹의 상면에 핫멜트 점착제를 스프레이 도공하였다. 도공량은 5g/㎡였다. 이어서, 핫멜트 점착제의 도공면에, 고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산포 평량 130g/㎡로 층상으로 균일하게 산포하였다. 산포 완료 후, 개섬 웹의 신장상태를 해제하였다. 이것에 의해 개섬 웹은 수축하여 고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는 개섬 웹 중에 매설 유지되었다.
이후, 이 조작과 동일한 조작을 한번 더 반복하여, 웹 2층과 폴리머층 2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 위에 평량 50g/㎡의 플랩 펄프층을, 또한 적층체 밑에 평량 100g/㎡의 플랩 펄프층을 배치하였다. 이어서 이들 전체를 평량 16g/㎡의 티슈페이퍼로 감싸, 흡수체를 얻었다. 흡수체 전체의 평량은 488g/㎡, 두께는 2.2mm였다. 또한 각 웹의 평량은 13g/㎡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에 있어서, 웹간을 핫멜트 점착제로 접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흡수체를 얻었다. 흡수체 전체의 평량은 443g/㎡, 두께는 2.7mm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2에 있어서, 적층체의 상하에 플랩 펄프층을 배치하지 않고, 각 웹의 평량을 60g/㎡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동일하게 하여 흡수체를 얻었다. 흡수체 전체의 평량은 422g/㎡, 두께는 1.9mm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고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개섬 웹 중에 매설 우지된 층을 얻었다. 웹의 평량은 25g/㎡, 고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은 180g/㎡였다. 또한, 개섬한 플랩 펄프 100중량부와 고흡수성 폴리머 100중량부를 기류 중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합계 평량 150g/㎡의 혼합체를 얻었다. 이들 고흡수 폴리머를 담지한 웹과, 펄프/고흡수 폴리머를 균일하게 혼합한 혼합체의 층을 적층하여(층간은 핫멜트 5g/㎡로 접착) 적층체를 얻었다. 이어서, 적층체를 평량 16g/㎡의 티슈페이퍼로 감싸(적층체의 상하면과 티슈페이퍼 사이는 핫멜트 5g/㎡로 접착) 흡수체를 얻었다. 흡수체 전체의 평량은 402g/㎡, 두께는 2.0mm였다.
〔실시예 1-5〕
우선, 권축을 갖는 아세테이트 장섬유의 토우를 준비하였다. 이 장섬유의 섬유 지름은 2.1dtex, 토우의 전 섬유량은 2.5만dtex였다. 이 토우를 신장하에 반송하고 공기 개섬장치를 사용해 개섬하여 개섬 웹을 얻었다. 이 때 권축율은 70%, 1㎝당의 권축수는 15개였다. 이어서, 다수의 원반이 축 주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끼워 넣어진 롤과, 평활한 받침롤 사이에 개섬 웹을 통과시켜, 상기 웹을 정렬하였다. 그 후, 웹을 폭 100mm로 조절하여, 그 반송속도를 감속한 상태에서 진공 컨베이어상에 전사(轉寫)하고, 상기 진공 컨베이어상에서의 웹의 장력을 완화하여 권축을 발현시켰다. 이것에 의해 장섬유간의 공간을 넓히고, 고흡수성 폴리머를 들어가게 하기 쉽게 하고, 또한 웹을 두껍게 하여 고흡수성 폴리머의 매몰 담지성을 향상시켰다. 웹상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산포하여,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를 개섬 웹 중에 매몰 담지시켰다. 웹의 평량은 26g/㎡, 고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은 110g/㎡였다.
이와는 별도로, 개섬한 플랩 펄프 100중량부와 고흡수성 폴리머 100중량부를 기류 중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합계 평량 300g/㎡의 적섬체를 얻었다. 이 적섬체와, 앞서 제조해 둔 고흡수 폴리머를 포함하는 웹을 적층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적섬체와 웹 사이는, 평량 5g/㎡의 핫멜트 점착제로 접착되어 있었다. 이 적층체를 평량 16g/㎡의 티슈페이퍼로 감싸 흡수체를 얻었다. 적층체의 상하면과 티슈페이퍼 사이는 평량 5g/㎡의 핫멜트 점착제로 접착되어 있었다. 흡수체 전체의 평량은 488g/㎡이고, 두께는 2.1mm였다.
〔비교예 1-1〕
개섬한 플랩 펄프 100중량부와 고흡수성 폴리머 100중량부를 기류 중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합계 평량 520g/㎡의 혼합체를 얻었다. 플랩 펄프 및 고흡수 폴리머의 평량은 각각 260g/㎡였다. 얻어진 혼합체를 평량 16g/㎡의 티슈페이퍼로 감싸 흡수체를 얻었다. 혼합체와 티슈페이퍼 사이는 핫멜트 점착제 5g/㎡를 스프레이 도공하여 접착하였다. 흡수체 전체의 평량은 562g/㎡, 두께는 4.3mm였다.
〔비교예 1-2〕
비교예 1-1에 있어서 합계 평량 300g/㎡의 혼합체를 얻었다. 이 때, 플랩 펄프 및 고흡수 폴리머의 평량은 150g/㎡였다. 그 이외에는 비교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흡수체를 얻었다. 흡수체 전체의 평량은 342g/㎡, 두께는 2.7mm였다.
〔비교예 1-3〕
비교예 1-1에 있어서, 개섬한 플랩 펄프 100중량부와 고흡수성 폴리머 200중량부를 기류 중에서 혼합하여, 합계 평량 375g/㎡의 혼합체를 얻기 위해 시도하였으나, 혼합체로부터 고흡수성 폴리머가 탈락하여 적층체가 얻어지지 않았다.
〔성능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흡수체에 대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흡수 용량을 측정하고, 또한 구조 안정성 및 유연성을 평가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흡수 용량〕
얻어진 흡수체를 45°의 경사판에 고정하고, 흡수체의 상방측의 단부로부터 200mm의 위치에 생리식염수를 일정량, 일정 간격마다 반복 주입하여, 흡수체의 하방측의 단부로부터 새어나올 때까지의 주입량을 비교하였다. 비교예 1-1의 흡수 용량을 1.0으로 했을 때의 상대치를 이하의 계산식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흡수 용량(상대치)=(샘플의 흡수 용량)/(비교예 1-1의 흡수 용량)
〔구조 안정성〕
(1)드라이시
100×200mm로 제작한 흡수체의 중앙부를 절단하여 100×100mm의 흡수체를 얻었다. 절단면을 바로 밑으로 하고, 진폭 5㎝이며 1회/1초의 속도로 20회 진동을 부여했을 때, 절단면으로부터의 낙하한 폴리머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하의 판단기준에 따라 고흡수 폴리머의 매몰 담지성을 평가하였다.
혼합한 고흡수 폴리머 중,
○ : 탈락한 고흡수 폴리머의 비율이 10%이하이다.
△ : 탈락한 고흡수 폴리머의 양이 10%를 넘고, 25%이하이다.
× : 탈락한 고흡수 폴리머의 양이 25%를 넘는다.
(2)웨트(wet)시
100×200mm로 절단한 흡수체 전면에, 생리식염수 200g을 거의 균등하게 흡수시킨 후, 차분히 흡수체를 들어올렸을 때 흡수체가 파괴되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 : 탈락한 고흡수 폴리머의 비율이 10%이하이고, 흡수체의 파괴가 없다.
△ : 탈락한 고흡수 폴리머의 비율이 10%를 넘고, 25%이하이며, 흡수체의 파괴가 없다.
× : 탈락한 고흡수 폴리머의 비율이 25%를 넘거나, 혹은 흡수체가 파괴된다.
〔유연성〕
핸들 오 미터를 사용하여 흡수체의 유연성을 평가하였다. 핸들 오 미터의 측정치는 그 수치가 작을수록 장착하기 용이함이나 피트성이 양호한 것을 나타낸다. 핸들 오 미터에 의한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JIS L1096(강연성(剛軟性) 측정법)에 준하여 측정을 행한다. 폭 60mm의 도랑을 새긴 지지대(支持臺)상에, 길이방향으로 150mm, 폭방향으로 50mm 절단한 흡수체를, 도랑과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한다. 흡수체의 중앙을 두께 2mm의 블레이드로 눌렀을 때에 요하는 힘을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장치는, 다이에이 카가쿠 세이키 세이사쿠쇼 제조, 촉감 시험기(핸들 오 미터법), HOM-3형이다. 3점의 평균치를 측정치로 한다. 얻어진 측정치에 기초하여, 이하의 기준에 따라 유연성을 평가하였다.
○ : 핸들 오 미터의 측정치가 2N이하이다.
△ : 핸들 오 미터의 측정치가 2N을 넘고, 4N이하이다.
× : 핸들 오 미터의 측정치가 4N을 넘는다.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명백하듯이, 각 실시예의 흡수체는, 비교예의 흡수체보다도 섬유재료의 사용 비율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흡수체의 구조가 안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얇고, 저평량(低坪量)이면서 유연함에도 불구하고, 높은 흡수 용량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6〕
본 실시예는, 장섬유의 웹의 권축율과 고흡수성 폴리머의 담지율의 관계를 조사한 것이다. 우선, 권축을 갖는 아세테이트 장섬유의 토우를 준비하였다. 이 장섬유의 섬유 지름은 2.1dtex였다. 이 토우를, 신장하에 반송하고 공기 개섬장치를 사용해 개섬하여 개섬 웹을 얻었다. 이어서, 다수의 원반(圓盤)이 축 주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끼워 넣어진 롤과, 평활한 받침롤 사이에 개섬 웹을 통과시켜 상기 웹을 정렬하였다. 그 후, 웹을 폭 100mm로 조절하여, 그 반송속도를 감속한 상태에서 진공 컨베이어상에 전사하고, 상기 진공 컨베이어상에서의 웹의 장력을 완화하여 권축을 발현시켰다. 웹의 장력을 제어하여, 다양한 권축율을 갖는 아세테이트 장섬유의 웹을 조제하였다. 이것에 의해 장섬유간의 공간을 넓혀, 고흡수성 폴리머를 들어가게 쉽게 하고, 또한 웹을 두껍게 하여 고흡수성 폴리머의 매몰 담지성을 향상시켰다. 웹상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산포하여,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를 개섬 웹 중에 매몰 담지시켰다. 웹의 평량은 26g/㎡였다. 폴리머의 산포 평량은 260g/㎡였다. 폴리머로서는 평균 입자지름 330㎛의 덩어리상 타입의 것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흡수체에 대하여, 상술한 구조 안정성(드라이시)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후에 웹 중에 담지되어 있었던 고흡수성 폴리머의 중량을 웹의 중량으로 나누어 100을 승(乘)하여, 얻어진 값을 고흡수성 폴리머의 담지율(%)로 하였다. 결과를 도 23에 나타낸다. 도 23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명백하듯이, 장섬유의 웹의 권축율이 40∼90%의 범위인 경우 담지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7〕
본 실시예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형상과 그 담지율의 관계를 조사한 것이다. 우선, 권축을 갖는 아세테이트 장섬유의 토우를 준비하였다. 이 장섬유의 섬유 지름은 2.1dtex였다. 이 토우를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개섬시켜, 권축율 70%의 장섬유 웹을 조정하였다. 개섬한 웹상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산포하여,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를 개섬 웹 중에 매몰 담지시켰다. 웹의 평량은 26g/㎡였다. 폴리머로서는 덩어리상 타입 및 구상 입자 응집 타입의 것을 사용하였다. 이들 폴리머의 평균 입자지름은, 덩어리상 타입의 것은 330㎛, 구상 입자 응집 타입의 것은 400㎛였다. 폴리머의 산포 평량을 다양하게 변경시켜 복수의 흡수체를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흡수체에 대하여, 상술한 구조 안정성(드라이시)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후의 웹에 대하여 폴리머의 담지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도 24에 나타낸다. 도 24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명백하듯이, 덩어리상 타입의 폴리머가 구상 입자 응집 타입의 폴리머보다도 담지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8〕
본 실시예는, 장섬유의 섬유 지름과 고흡수성 폴리머의 담지율의 관계를 조사한 것이다. 우선, 섬유 지름이 다른 2종류의 아세테이트 장섬유의 토우를 준비하였다. 이 장섬유의 섬유 지름은 각각 2.2dtex 및 5.6dtex였다. 이 토우를 실시예 6과 동일하게 개섬시키고, 권축율을 70%로 조정한 상태에서 개섬한 웹상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산포하여,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를 개섬 웹 중에 매몰 담지시켰다. 웹의 평량은 26g/㎡였다. 폴리머로서는 평균 입자지름 330㎛의 덩어리상 타입의 것을 사용하였다. 폴리머의 산포 평량을 다양하게 변경시켜 복수의 흡수체를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흡수체에 대하여, 상술한 구조 안정성(드라이시)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후의 웹에 대하여 폴리머의 담지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도 25에 나타낸다. 도 25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명백하듯이, 2.2dtex 및 5.6dtex의 장섬유를 사용하면 담지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고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입자지름은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고흡수성 폴리머 50g을 진탕기(레취(Retsch)사 제조, AS200형)를 사용하여 체로 분리하였다. 사용한 체는 JIS Z 8801에서 규정된 토쿄 스크린사 제조의 표준 체이며, 체 구멍 850, 600, 500, 355, 300, 250, 150인 것을 사용하였다. 진탕의 조건은 50Hz, 진폭 0.5mm, 10분간으로 하였다. 측정은 3회 행하고, 평균치를 체상의 중량으로 하였다. 얻어진 각 체상의 중량을 50으로 나누어 상대 빈도를 구하고, 입도 누적곡선을 그렸다. 누적곡선의 중앙 누적치(50%)에 상당하는 입자 지름을 평균 입자지름으로 하였다.
〔실시예 2-1〕
우선, 권축한 아세테이트 섬유의 웹을 준비하였다. 이 섬유의 섬유 지름은 2.1dtex, 웹의 전 섬유량은 2.5만dtex였다. 이 웹을 공기 개섬장치를 사용해 폭 100mm로 개섬하여 개섬 웹을 얻었다. 개섬 웹을 최대 신장길이까지 신장시켰다. 이 상태하에, 개섬 웹의 상면에 핫멜트 점착제를 스프레이 도공하였다. 도공량은 5g/㎡였다. 이어서, 핫멜트 점착제의 도공면에, 고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산포 평량 130g/㎡로 층상으로 균일하게 산포하였다. 산포 완료 후 개섬 웹의 신장상태를 해제하였다. 이 때 장섬유의 권축율은 70%, 1㎝당의 권축수는 15개였다. 이것에 의해, 개섬 웹은 수축하여 고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개섬 웹 중에 매몰 담지된 제1적층체를 얻었다. 이후, 이 조작과 동일한 조작을 한번 더 반복하여, 고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매몰 담지된 웹으로 이루어지는 제2적층체를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제1적층체와 제2적층체 사이에 평량 50g/㎡의 플랩 펄프층을 끼웠다.
또한 제2적층체 아래에 평량 100g/㎡의 플랩 펄프층을 배치하였다. 이들 전체를, 핫멜트 점착제를 스프레이 도공한 평량 16g/㎡의 티슈페이퍼로 감싸 중앙 흡수체를 얻었다. 중앙 흡수체 전체에는 웹의 배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릿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슬릿은,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슬릿의 폭이 2mm, 폭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슬릿과의 간격이 2mm, 길이방향의 슬릿간격이 2mm로, 서로의 슬릿이 번갈아 존재하도록 형성하였다. 슬릿은 그 길이방향이 웹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하였다. 이것에 의해, 중앙 흡수체는 웹의 배향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었다. 중앙 흡수체에 있어서는, 피부로부터 가장 먼 면측에, 평량 100g/㎡의 플랩 펄프층이 위치하고 있다. 중앙 흡수체 전체의 평량은 488g/㎡, 두께는 2.2mm였다. 또한 각 웹의 평량은 13g/㎡였다.
표면시트로서 평량 25g/㎡의 통기성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표면시트에는 직경 5mm의 금속핀으로 개공처리가 실시되어 있었다. 통기성 부직포는, 심(芯)이 폴리프로필렌, 초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심초형 복합섬유(굵기 2.1dtex, 계면활성제로 표면처리, 액 투과성을 갖는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면시트로서 평량 20g/㎡의 다공질 필름에, 평량 20g/㎡의 폴리프로필렌제 스펀본드 부직포를 핫멜트 1.5g/㎡로 접착하여 복합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다공질 필름은, 밀도 0.925g/㎠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탄산칼슘 150중량부, 및 제3성분으로서 에스테르 화합물 4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인플레이션 성형한 후, 세로방향으로 2배로 1축 연신한 필름이었다. 그것 이외에는,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방법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를 얻었다. 중앙 흡수체는 웹의 배향방향이 기저귀의 길이방향에 일치하도록 배치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2-1에 있어서, 적층체의 상하에 플랩 펄프층을 배치하지 않고, 각 웹의 평량을 60g/㎡로 하고, 적층체를 감싸는 티슈페이퍼 대신에, 친수화 처리한 평량 16g/㎡의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부직포(SMS)를 사용하였다. 이 부직포에는 실시예 2-1과 동일한 슬릿가공이 실시되어 있었다. 이들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얻었다.
〔실시예 2-3〕
실시예 2-1에 있어서, 적층체의 상하에 플랩 펄프층을 배치하지 않고, 각 웹의 평량을 60g/㎡로 하여, 웹이 신장하에 있는 상태에, 친수화 처리한 평량 16g/㎡의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부직포(SMS)로 감쌌다. 이들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하여 흡수체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체를 사용하고 실시예 2-2와 동일하게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얻었다.
〔실시예 2-4〕
측부 흡수체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우선 권축한 아세테이트 섬유의 웹을 준비하였다. 이 섬유의 섬유 지름은 2.1dtex, 웹의 전 섬유량은 2.5만dtex였다. 이 웹을 공기 개섬장치를 사용해 폭 50mm로 개섬하여 개섬 웹을 얻었다. 개섬 웹을 최대 신장길이까지 신장시켰다. 이 상태하에, 개섬 웹의 상면에 핫멜트 점착제를 스프레이 도공하였다. 도공량은 5g/㎡였다. 이어서, 핫멜트 점착제의 도공면에, 고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산포 평량 150g/㎡로 층상으로 균일하게 산포하였다. 산포 완료 후, 다른 개섬 웹을 포개고 신장상태를 해제하였다. 이 때 장섬유 웹의 권축율은 70%, 1㎝당의 권축수는 15개였다. 이것에 의해 개섬 웹은 수축하여 고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는 개섬 웹 중에 매설 유지되었다. 이어서 이들 전체를 평량 16g/㎡의 친수화 처리한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부직포(SMS, 실시예 2-3과 동일한 슬릿가공을 실시한 것)로 감싸 측부 흡수체를 얻었다. 측부 흡수체 전체의 평량은 173g/㎡, 두께는 1.0mm였다. 또한 각 웹의 평량은 13g/㎡였다. 이 측부 흡수체를, 실시예 2-1에서 얻어진 일회용 기저귀에 끼워 넣어, 도 19에 나타내는 일회용 기저귀를 얻었다. 측부 흡수체는, 웹의 배향방향이 기저귀의 길이방향에 일치하도록 배치하였다.
〔비교예 2-1〕
개섬한 플랩 펄프 100중량부와 고흡수성 폴리머 100중량부를 기류 중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합계 평량 520g/㎡의 혼합체를 얻었다. 플랩 펄프 및 고흡수 폴리머의 평량은 각각 260g/㎡였다. 얻어진 혼합체를 평량 16g/㎡의 티슈페이퍼로 감싸 중앙 흡수체를 얻었다. 혼합체와 티슈페이퍼의 사이는 핫멜트 점착제 5g/㎡를 스프레이 도공하여 접착하였다. 흡수체 전체의 평량은 562g/㎡, 두께는 4.3mm였다. 이들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얻었다.
〔비교예 2-2〕
측부 흡수체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개섬한 플랩 펄프 100중량부와 고흡수성 폴리머 100중량부를 기류 중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합계 평량 300g/㎡의 혼합체를 얻었다. 플랩 펄프 및 고흡수 폴리머의 평량은 각각 150g/㎡였다. 얻어진 혼합체를 평량 16g/㎡의 티슈페이퍼로 감싸 흡수체를 얻었다. 혼합체와 티슈페이퍼 사이는 핫멜트 점착제 5g/㎡를 스프레이 도공하여 접착하였다. 흡수체 전체의 평량은 342g/㎡, 두께는 2.6mm였다. 이 측부 흡수체를 비교예 2-1에서 얻어진 일회용 기저귀에 끼워 넣어 일회용 기저귀를 얻었다.
〔성능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기저귀에 있어서의 흡수체에 대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흡수 용량, 유연성 및 구조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기저귀에 대하여 피트성을 평가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흡수 용량〕
얻어진 흡수체를 45°의 경사판에 고정하고, 흡수체의 상방측의 단부로부터 200mm의 위치에 생리식염수를 일정량, 일정 간격마다 반복 주입하였다. 흡수체의 하방측의 단부로부터 새어나올 때까지의 주입량을 비교하였다. 비교예 2-1의 흡수 용량을 1.0으로 했을 때의 상대치를 이하의 계산식을 사용해 산출하였다.
흡수 용량(상대치)=(샘플의 흡수 용량)/(비교예 2-1의 흡수 용량)
〔유연성〕
흡수체에 대하여 핸들 오 미터 시험을 행하고, 이하의 판단 기준에 따라 유연성을 평가하였다. 수치가 작을수록 접촉성이나 피트성이 양호한 것을 나타낸다.
○ : 핸들 오 미터의 측정치가 2N이하이다.
△ : 핸들 오 미터의 측정치가 2N을 넘고, 4N이하이다.
× : 핸들 오 미터의 측정치가 4N을 넘는다.
〔구조 안정성〕
(1)드라이시
50mm×200mm로 제작한 흡수체의 중앙부를 절단하여 50×100mm의 흡수체를 얻었다. 절단면을 바로 밑으로 하고, 진폭 5㎝이며 1회/1초의 속도로 20회 진동을 부여했을 때, 절단면으로부터의 낙하한 폴리머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하의 판단기준에 따라 고흡수 폴리머의 매몰 담지성을 평가하였다.
혼합한 고흡수 폴리머 중
○ : 탈락한 고흡수 폴리머의 비율이 10%이하이다.
△ : 탈락한 고흡수 폴리머의 양이 10%를 넘고, 25%이하이다.
× : 탈락한 고흡수 폴리머의 양이 25%를 넘는다.
(2)웨트시
50×200mm로 절단한 흡수체 전면에 생리식염수 100g을 거의 균등하게 흡수시킨 후, 차분히 흡수체를 들어올렸을 때 흡수체가 파괴되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 : 탈락한 고흡수 폴리머의 비율이 10%이하이고, 흡수체의 파괴가 없다.
△ : 탈락한 고흡수 폴리머의 비율이 10%를 넘고, 25%이하이며, 흡수체의 파괴가 없다.
× : 탈락한 고흡수 폴리머의 비율이 25%를 넘거나, 혹은 흡수체가 파괴된다.
〔피트성〕
얻어진 기저귀를 M사이즈 기저귀를 사용하는 유유아 5명(7개월∼14개월 유아)에게 장착시키고, 엄마의 인상을 조사하였다.
○ : 깔끔하게 피트되어 있고, 고간(股間)이 헐렁헐렁하지 않다.
△ : 다소 깔끔하다.
× : 헐렁거림이 있어 깔끔하지 않으며, 피트되어 있지 않다.
〔실시예 3-1〕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하여 측부 흡수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측부 흡수체를 사용해 도 19에 나타내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표면시트로서 평량 25g/㎡의 통기성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통기성 부직포는, 심이 폴리프로필렌, 초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심초형 복합섬유(두께 2.1dtex, 계면활성제로 표면처리, 액 투과성을 갖는다)로 구성되어 있었다. 표면시트에는 직경 5mm의 금속핀으로 개공처리가 실시되어 있었다. 이면시트로서 평량 20g/㎡의 다공질 필름에, 평량 20g/㎡의 폴리프로필렌제 스펀본드 부직포를 핫멜트 1.5g/㎡로 접착하여 복합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다공질 필름은, 밀도 0.925g/㎤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탄산칼슘 150중량부, 및 제3성분으로서 에스테르 화합물 4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인플레이션 성형한 후 세로방향으로 2배로 1축 연신한 필름이었다. 중앙 흡수체로서, 개섬한 플랩 펄프 100중량부와 고흡수성 폴리머 100중량부를 기류 중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얻어진 합계 평량 520g/㎡의 혼합체를 평량 16g/㎡의 티슈페이퍼로 감싼 것을 사용하였다. 혼합체에 있어서의 플랩 펄프 및 고흡수 폴리머의 평량은 각각 260g/㎡였다. 그것 이외에는,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방법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를 얻었다.
〔실시예 3-2〕
우선 권축한 아세테이트 섬유의 웹을 준비하였다. 이 섬유의 섬유 지름은 2.1dtex, 웹의 전 섬유량은 2.5만dtex였다. 이 웹을 공기 개섬장치를 사용해 폭 50mm로 개섬하여 개섬 웹을 얻었다. 개섬 웹을 최대 신장길이까지 신장시켰다. 이 상태하에, 개섬 웹의 상면에 핫멜트 점착제를 스프레이 도공하였다. 도공량은 5g/㎡였다. 이어서, 핫멜트 점착제의 도공면에, 고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산포 평량 100g/㎡로 층상으로 균일하게 산포하였다. 산포 완료 후, 다른 개섬 웹을 포개고, 웹이 신장하에 있는 상태에 친수화 처리한 평량 16g/㎡의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부직포(SMS)로 감싸고, 신장상태를 해제하였다. 이것에 의해 개섬 웹은 수축하여 고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는 개섬 웹 중에 매몰 담지되었다. 이 때 장섬유의 권축율은 70%, 1㎝당의 권축수는 15개였다. 이어서 이들 전체를, 친수화 처리하면 슬릿가공을 실시한 평량 16g/㎡의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부직포(SMS)로 감싸 측부 흡수체를 얻었다. 슬릿은,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슬릿의 폭이 2mm, 폭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슬릿과의 간격이 2mm, 길이방향의 슬릿간격이 2mm이며, 서로의 슬릿이 번갈아 존재하도록 형성하였다. 슬릿은, 그 길이방향이 웹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하였다. 이들 이외에는 실시예 3-1과 동일하게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얻었다.
〔실시예 3-3〕
실시예 3-1에 있어서, 얻어진 측부 흡수체를 웨이스트부 및 레그부에 사용해서, 실시예 3-1과 동일하게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얻었다.
〔비교예 3-1〕
실시예 3-1에 있어서, 측부 흡수체를 이하와 같이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1과 동일하게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얻었다. 개섬한 플랩 펄프 100중량부와 고흡수성 폴리머 100중량부를 기류 중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얻어진 합계 평량 200g/㎡의 혼합체를, 평량 16g/㎡의 티슈페이퍼로 감싸 측부 흡수체를 얻었다. 혼합체에 있어서의 플랩 펄프 및 고흡수 폴리머의 평량은 각각 100g/㎡였다. 혼합체와 티슈페이퍼 사이에는, 핫멜트 점착제 5g/㎡를 스프레이 도공하여 양자를 접착시켰다. 측부 흡수체 전체의 평량은 242g/㎡, 두께는 2.1mm였다.
〔성능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기저귀에 있어서의 흡수체에 대하여,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연성 및 구조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기저귀에 대하여 피트성을 평가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이하의 표 3에 나타낸다.
표 3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명백하듯이, 각 실시예의 기저귀에 있어서의 흡수체는, 비교예의 기저귀에 있어서의 흡수체보다도 섬유재료의 사용 비율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흡수체의 구조가 안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연하고, 기저귀의 접촉성이나 피트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이상,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의 흡수체를, 종래의 흡수체와 같은 정도의 흡수 용량을 유지하면서, 박형화 및 저평량화(低坪量化)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가 격한 동작을 행하더라도 흡수체의 구조가 파괴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체는 신축성을 가지므로, 이것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 특히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부 및/또는 전후 단부의 탄성영역에 상기 흡수체가 배치된 것은 착용자의 신체와의 피트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을 착용하면,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흡수성 물품이 충분히 추종한다. 또한 착용자의 움직임을 받더라도 흡수체가 변형할 수 있으므로 흡수체가 꼬이거나 하는 일이 적다. 그 결과,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의 신체 사이에 틈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샘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체는 웹을 가지므로, 같은 정도의 흡수 용량을 갖는 플랩 펄프 주체의 흡수체에 비해 유연하면서 박형이다. 따라서 상기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은 장착이 쉬운 것이며, 또한 착용 중에 위화감이 발생하기 어렵다.
Claims (28)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권축을 가지는 장섬유로 이루어지는 웹 중에 입자상이 덩어리상 타입인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는 흡수체의 제조방법으로서,상기 웹의 원단(original fabric)에 장력을 가해 길이방향으로 신장한 상태로 개섬(開纖)하는 공정과, 개섬한 상기 웹의 장력을 완화한 상태에서 상기 웹에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를 공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4-00240670 | 2004-08-20 | ||
JP2004240670 | 2004-08-20 | ||
JP2004368393 | 2004-12-20 | ||
JPJP-P-2004-00368393 | 2004-12-20 | ||
JP2004368618 | 2004-12-21 | ||
JPJP-P-2004-00368618 | 2004-12-21 | ||
JPJP-P-2005-00082913 | 2005-03-23 | ||
JP2005082913A JP3910202B2 (ja) | 2004-08-20 | 2005-03-23 | 吸収体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3181A KR20060053181A (ko) | 2006-05-19 |
KR101262139B1 true KR101262139B1 (ko) | 2013-05-14 |
Family
ID=35385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6447A KR101262139B1 (ko) | 2004-08-20 | 2005-08-19 | 흡수성 물품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060184149A1 (ko) |
EP (1) | EP1627618B1 (ko) |
KR (1) | KR101262139B1 (ko) |
CN (1) | CN1736355B (ko) |
DE (1) | DE602005019503D1 (ko) |
TW (1) | TWI35828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813236B1 (en) | 2003-02-12 | 2013-07-10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 for an Absorbent Article |
EP1913912B2 (en) | 2003-02-12 | 2020-03-18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 for an absorbent article |
US20090264845A1 (en) * | 2004-07-30 | 2009-10-22 | Mitsubishi Chemical | Absorbent composi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sorbent article and nozzle |
US8241263B2 (en) | 2005-08-26 | 2012-08-14 | Medline Industries, Inc. | Absorbent article |
EP2005926B1 (en) * | 2006-03-23 | 2012-08-15 | Kao Corporation | Absorbent memb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JP4901433B2 (ja) * | 2006-03-23 | 2012-03-21 | 花王株式会社 | 吸収体及びその製造方法 |
CN101453971B (zh) * | 2006-05-31 | 2013-02-06 | 大王制纸株式会社 | 吸收性物品和吸收单元的制造方法 |
JP4829139B2 (ja) * | 2007-01-29 | 2011-12-07 |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 吸収性物品 |
JP5114078B2 (ja) | 2007-03-16 | 2013-01-09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及び、吸収体 |
TW200911209A (en) * | 2007-03-26 | 2009-03-16 | Uni Charm Corp |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absorbent article |
MX2009013906A (es) * | 2007-06-18 | 2010-01-28 | Procter & Gamble | Articulo absorbente desechable con nucleo absorbente sellado con material polimerico particulado absorbente practicamente distribuido en forma continua. |
AU2008264838A1 (en) * | 2007-06-18 | 2008-12-24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and method |
EP2285326A1 (en) * | 2008-04-29 | 2011-02-2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Process for making an absorbent core with strain resistant core cover |
CN102271913B (zh) * | 2008-12-29 | 2014-07-23 | 住友精化株式会社 | 吸水片材组合物 |
JP5396131B2 (ja) * | 2009-04-03 | 2014-01-22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を製造する方法 |
EP2238957A1 (en) * | 2009-04-10 | 2010-10-1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 |
EP2329803B1 (en) | 2009-12-02 | 2019-06-1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material |
US9260808B2 (en) | 2009-12-21 | 2016-02-16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Flexible coform nonwoven web |
US20110152808A1 (en) | 2009-12-21 | 2011-06-23 | Jackson David M | Resilient absorbent coform nonwoven web |
US8329219B2 (en) * | 2009-12-22 | 2012-12-11 | Cook Biotech Incorporated | Methods for producing ECM-based biomaterials |
US20110162989A1 (en) * | 2010-01-06 | 2011-07-07 | Ducker Paul M | Ultra thin laminate with particulates in dense packages |
US20110184365A1 (en) * | 2010-01-28 | 2011-07-28 | Glatfelter Falkenhagen Gmbh | Flexible, highly absorbent material |
US8969652B2 (en) * | 2010-09-21 | 2015-03-0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
US10117792B2 (en) | 2010-10-19 | 2018-11-06 | Medline Industries, Inc. |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
MX344365B (es) | 2010-10-19 | 2016-12-14 | Medline Ind Inc * | Articulos absorbentes y metodos para fabricarlos. |
JP5475890B2 (ja) * | 2010-11-18 | 2014-04-16 | 正一 中村 | 手術用パッド |
CN102018601A (zh) * | 2010-11-26 | 2011-04-20 |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 一种一次性吸收物品 |
JP2012152471A (ja) * | 2011-01-27 | 2012-08-16 | Unicharm Corp | パッド形態を有する吸水性物品 |
RU2013156991A (ru) | 2011-06-10 | 2015-07-20 |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 Абсорбирующая сердцевина для одноразовых абсорбирующих изделий |
MX2013014588A (es) | 2011-06-10 | 2014-01-24 | Procter & Gamble | Estructura absorbente para articulos absorbentes. |
PL2532328T3 (pl) | 2011-06-10 | 2014-07-31 | Procter & Gamble | Sposób i urządzenie do wytworzenia struktur chłonnych z materiałem chłonnym |
EP2532329B1 (en) | 2011-06-10 | 2018-09-19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
JP6339009B2 (ja) | 2011-06-10 | 2018-06-06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 吸収性物品の吸収性構造体 |
CN105816277A (zh) | 2011-06-10 | 2016-08-03 | 宝洁公司 | 一次性尿布 |
ES2484695T5 (es) | 2011-06-10 | 2018-02-1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Pañal desechable que tiene una unión reducida entre el núcleo absorbente y la lámina de respaldo |
JP5978048B2 (ja) * | 2011-08-26 | 2016-08-24 | 花王株式会社 | 使い捨ておむつ |
AU2015203071A1 (en) * | 2011-09-20 | 2015-07-02 | Mcneil-Ppc, Inc. | Resilient absorbent composite material |
US20130072889A1 (en) * | 2011-09-20 | 2013-03-21 | Morris Yang | Resilient absorbent composite material |
US10272001B2 (en) | 2011-09-20 | 2019-04-30 |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 Absorbent article including resilient absorbent composite material |
USD716938S1 (en) | 2011-10-19 | 2014-11-04 | Medline Industries, Inc. | Absorbent core |
CN102499817A (zh) * | 2011-10-21 | 2012-06-20 | 瑞光(上海)电气设备有限公司 | 一次性吸收制品及其中间芯体层的制造方法 |
CA2890759C (en) | 2012-11-13 | 2018-03-2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
EP2740450A1 (en) | 2012-12-10 | 2014-06-1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
US9216118B2 (en) | 2012-12-10 | 2015-12-2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
US10639215B2 (en) | 2012-12-10 | 2020-05-0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
EP2740449B1 (en) | 2012-12-10 | 2019-01-2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
US8979815B2 (en) | 2012-12-10 | 2015-03-1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
EP2740452B1 (en) | 2012-12-10 | 2021-11-10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
US9216116B2 (en) | 2012-12-10 | 2015-12-2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
CN103061042B (zh) * | 2013-02-05 | 2016-09-14 |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 一种非织造布及其制造方法 |
WO2014145668A1 (en) * | 2013-03-15 | 2014-09-18 | Dsg Technology Holdings Ltd |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 core |
US9789014B2 (en) | 2013-03-15 | 2017-10-17 | Dsg Technology Holdings Ltd. |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
US9566198B2 (en) | 2013-03-15 | 2017-02-14 | Dsg Technology Holdings Ltd. |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
ES2655690T3 (es) | 2013-06-14 | 2018-02-2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rtículo absorbente y canales de formación de núcleo absorbente cuando están húmedos |
MX2016002608A (es) | 2013-08-27 | 2016-06-17 | Procter & Gamble | Articulos absorbentes con canales. |
US9987176B2 (en) | 2013-08-27 | 2018-06-0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
US11207220B2 (en) | 2013-09-16 | 2021-12-28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
CA2924828C (en) | 2013-09-16 | 2017-07-18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
EP3351225B1 (en) | 2013-09-19 | 2021-12-2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
US20150129751A1 (en) * | 2013-11-12 | 2015-05-14 | Baker Hughes Incorporated | Distributed sensing system employing a film adhesive |
US9486368B2 (en) | 2013-12-05 | 2016-11-08 | Medline Industries, Inc. | Disposable hygienic article with means for diagnostic testing |
US9789009B2 (en) | 2013-12-19 | 2017-10-1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
PL2886092T3 (pl) | 2013-12-19 | 2017-03-31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Wkłady chłonne z obszarami tworzącymi kanały i zgrzewami osłony c |
EP2905001B1 (en) | 2014-02-11 | 2017-01-04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channels |
US9375367B2 (en) | 2014-02-28 | 2016-06-28 | Medline Industries, Inc. | Fastener for an absorbent article |
CN103908377B (zh) * | 2014-03-07 | 2016-02-17 | 江苏米咔婴童用品有限公司 | 一种抗离子型复合吸湿芯体 |
CN103892966B (zh) * | 2014-04-18 | 2016-02-17 | 湖南康程护理用品有限公司 | 一种双层结构芯体的吸收制品及其制造方法 |
US9622922B2 (en) | 2014-04-21 | 2017-04-18 | Medline Industries, Inc. | Stretch breathable protective absorbent article using bilaminate |
US10226388B2 (en) | 2014-04-21 | 2019-03-12 | Medline Industries, Inc. | Stretch breathable protective absorbent article using tri-laminate |
ES2643577T3 (es) | 2014-05-27 | 2017-11-2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Núcleo absorbente con diseño de material absorbente |
EP2949300B1 (en) | 2014-05-27 | 2017-08-02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
JP6399826B2 (ja) * | 2014-06-30 | 2018-10-03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ES2811094T3 (es) * | 2014-07-30 | 2021-03-10 | Joa Curt G Inc | Núcleo absorbente sin pulpa y método de formación del núcleo |
CN107405242A (zh) | 2015-03-16 | 2017-11-28 | 宝洁公司 | 带有改善的芯的吸收制品 |
CN107405223B (zh) | 2015-03-16 | 2021-03-02 | 宝洁公司 | 具有改善的强度的吸收制品 |
US10736795B2 (en) | 2015-05-12 | 2020-08-1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core-to-backsheet adhesive |
JP6743057B2 (ja) | 2015-05-29 | 2020-08-19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 チャネル及び湿り度インジケータを有する吸収性物品 |
JP6185033B2 (ja) * | 2015-09-30 | 2017-08-23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用の吸収体 |
JP6226434B2 (ja) * | 2015-09-30 | 2017-11-08 | 大王製紙株式会社 | 使い捨ておむつ |
EP3167859B1 (en) | 2015-11-16 | 2020-05-06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
AU2016359627B2 (en) * | 2015-11-24 | 2020-12-03 | Dsg Technology Holdings Ltd. | An elastic core composite or assembly, and a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the elastic composite assembly |
JP6212531B2 (ja) * | 2015-11-30 | 2017-10-11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6186416B2 (ja) * | 2015-11-30 | 2017-08-23 | 大王製紙株式会社 | 失禁用吸収性物品 |
JP6279015B2 (ja) * | 2015-12-22 | 2018-02-14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CN105520810A (zh) * | 2016-01-24 | 2016-04-27 | 厦门源创力科技服务有限公司 | 一种具有多分散粘接点的吸收芯体与一次性吸收用品 |
US20190053960A1 (en) * | 2016-03-04 | 2019-02-21 | Mitsui Chemicals, Inc. | Absorber and sanitary article |
RU2698084C1 (ru) | 2016-03-31 | 2019-08-21 | Кимберли-Кларк Ворлдвайд, Инк. | Впитывающие сердцевины и способы формирования впитывающих сердцевин |
KR102615974B1 (ko) * | 2016-03-31 | 2023-12-21 |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 흡수성 코어 및 흡수성 코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
WO2017171781A1 (en) | 2016-03-31 | 2017-10-05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Absorbent cores and methods for forming absorbent cores |
CN108779594A (zh) | 2016-03-31 | 2018-11-09 |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 吸收芯和形成吸收芯的方法 |
CN108697542B (zh) | 2016-03-31 | 2022-05-24 |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 吸收芯和形成吸收芯的方法 |
EP3238676B1 (en) | 2016-04-29 | 2019-01-02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
EP3238678B1 (en) | 2016-04-29 | 2019-02-27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
CN107582243A (zh) * | 2016-07-07 | 2018-01-16 | 叶正瑜 | 一种具有新型吸收层的乳垫 |
JP6360540B2 (ja) * | 2016-11-29 | 2018-07-18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CN109963538A (zh) * | 2016-11-30 | 2019-07-02 |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 用于一次性吸收制品的三维成形体 |
KR20190082844A (ko) * | 2016-11-30 | 2019-07-10 |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 3차원 기능성 구조물 |
CN108236542B (zh) * | 2016-12-27 | 2023-03-10 | 大王制纸株式会社 | 吸收性物品的制造方法和吸收性物品 |
US11168420B2 (en) | 2017-08-31 | 2021-11-09 | Kao Corporation | Nonwoven fabric |
CN111565690B (zh) * | 2017-12-29 | 2022-04-12 | 花王株式会社 | 吸收体和吸收性物品 |
WO2019148156A1 (en) | 2018-01-29 | 2019-08-01 | Curt G. Joa, Inc. |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astic composite structure for an absorbent sanitary product |
JP7032963B2 (ja) * | 2018-03-12 | 2022-03-09 | 呉羽テック株式会社 | フィルター補強材及びこれを含む脱臭フィルター用濾材 |
CN111989073A (zh) * | 2018-05-24 | 2020-11-24 | 株式会社大赛璐 | 吸收体及吸收性物品 |
EP3829511B1 (en) * | 2018-08-01 | 2024-02-14 | Basf Se | Fluid-absorbent core |
US20220008892A1 (en) * | 2018-11-09 | 2022-01-13 | Clayton Julian Postma | Fluid retention compound |
WO2020122161A1 (ja) * | 2018-12-13 | 2020-06-18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US11925538B2 (en) | 2019-01-07 | 2024-03-12 | Curt G. Joa, Inc. |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astic composite structure for an absorbent sanitary product |
JP7194037B2 (ja) * | 2019-02-15 | 2022-12-21 |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
JP7194038B2 (ja) * | 2019-02-15 | 2022-12-21 |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
CN109998791A (zh) * | 2019-04-28 | 2019-07-12 | 厦门延江新材料股份有限公司 | 一种卫生吸收制品 |
CN113520726A (zh) * | 2019-06-21 | 2021-10-22 | 爹地宝贝股份有限公司 | 一种隔湿效果好的具有高透气性的纸尿裤 |
JP2021052897A (ja) * | 2019-09-27 | 2021-04-08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CN114845677B (zh) * | 2019-12-23 | 2024-02-20 | 花王株式会社 | 吸收性片和吸收性物品、以及吸收性片的制造方法 |
CN112353564B (zh) * | 2020-12-10 | 2021-09-24 | 贵州卡布婴童用品有限责任公司 | 一种具有可引导结构的纸尿裤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18419A (ja) | 1997-10-08 | 2001-10-16 |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不均質な層領域を有する層状吸収構造 |
US20030134559A1 (en) | 2002-01-16 | 2003-07-17 | Troy Delzer | System and method for dry forming absorbent cores |
WO2003061524A2 (en) | 2002-01-17 | 2003-07-31 | Paragon Trade Brands, Inc. | Absorbent laminat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10312B2 (ja) | 1993-12-28 | 1998-10-15 | 花王株式会社 | 生理用ナプキン |
US6627789B1 (en) * | 1999-10-14 | 2003-09-30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Personal care product with fluid partitioning |
US6459016B1 (en) * | 1999-12-23 | 2002-10-01 | Mcneil-Ppc, Inc. | Absorbent article with multiple high absorbency zones |
JP3611838B2 (ja) * | 2001-12-28 | 2005-01-19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
JP3979923B2 (ja) * | 2002-11-11 | 2007-09-19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
2005
- 2005-08-18 US US11/205,982 patent/US2006018414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5-08-18 TW TW094128215A patent/TWI358283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8-19 CN CN2005100926769A patent/CN173635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8-19 KR KR1020050076447A patent/KR10126213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5-08-22 DE DE602005019503T patent/DE602005019503D1/de active Active
- 2005-08-22 EP EP05018160A patent/EP1627618B1/en not_active Not-in-forc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18419A (ja) | 1997-10-08 | 2001-10-16 |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不均質な層領域を有する層状吸収構造 |
US20030134559A1 (en) | 2002-01-16 | 2003-07-17 | Troy Delzer | System and method for dry forming absorbent cores |
WO2003061524A2 (en) | 2002-01-17 | 2003-07-31 | Paragon Trade Brands, Inc. | Absorbent laminat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627618A1 (en) | 2006-02-22 |
TWI358283B (en) | 2012-02-21 |
CN1736355A (zh) | 2006-02-22 |
KR20060053181A (ko) | 2006-05-19 |
US20060184149A1 (en) | 2006-08-17 |
EP1627618B1 (en) | 2010-02-24 |
CN1736355B (zh) | 2010-12-08 |
DE602005019503D1 (de) | 2010-04-08 |
TW200614971A (en) | 2006-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2139B1 (ko) | 흡수성 물품 | |
JP6514253B2 (ja) | 環境に優しい吸収性構造体 | |
TWI375552B (ko) | ||
KR101400703B1 (ko) | 흡수체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83921B1 (ko) | 흡수성 물품 | |
EP1782784B1 (en) | Absorber and absorbent article | |
EP2052705B1 (en) | Pants-type paper diaper | |
JP4557914B2 (ja) | 使い捨ておむつ | |
JP3980043B2 (ja) | 吸収性物品 | |
JP2006110329A (ja) | 吸収性物品 | |
JP4901433B2 (ja) | 吸収体及びその製造方法 | |
JP4519095B2 (ja) | 吸収性物品 | |
JP3910202B2 (ja) | 吸収体の製造方法 | |
JP2007105494A (ja) | 吸収性物品 | |
JP4526490B2 (ja) | 吸収体 | |
JP4863847B2 (ja) | 吸収体 | |
JP2008125602A (ja) | 吸収体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 |
JP2007222673A (ja) | 吸収性物品 | |
JP2006198397A (ja) | 吸収性物品 | |
CN113518716B (zh) | 吸湿片、一次性穿着物品及其制造方法 | |
JP2006198396A (ja) | 伸縮性吸収体 | |
JP2021501671A (ja) | 吸収性物品の構成要素 | |
JP3907682B2 (ja) | 吸収性物品 | |
CN113507911A (zh) | 连结式一次性穿着物品 | |
KR20040052167A (ko) | 적층 구조의 흡수체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