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207B1 -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207B1
KR101261207B1 KR1020110126189A KR20110126189A KR101261207B1 KR 101261207 B1 KR101261207 B1 KR 101261207B1 KR 1020110126189 A KR1020110126189 A KR 1020110126189A KR 20110126189 A KR20110126189 A KR 20110126189A KR 101261207 B1 KR101261207 B1 KR 101261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seat belt
spool
seat
low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창규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6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60R2022/266Rear seats, e.g. be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02Retractor casing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차량의 후열시트에 구비되는 시트벨트 버클이 시트에 고정되어 있어서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벨트를 체결시켜주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에 있어서, 상부 끝단에는 버클(100)이 결합되는 버클 고정부(210)가 형성되고, 하부 끝단에는 핀 결합홀(230)이 형성되는 시트벨트 웨빙(200);과 가로로 긴 원통형으로, 시트벨트 웨빙(200) 하부 끝단이 끼워진 후 웨빙 고정핀(250)으로 고정결합되는 웨빙 결합홀(310)이 중앙에 가로로 형성되며, 일단에는 스프링 고정홈(350)이 구비되는 스풀(300);과 서로 대양되게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부 연결프레임(410)과 하부 연결프레임(420)으로 결합되며, 스풀(300)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스풀 결합홀(430)이 상부에 각각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부 샤프트홀 결합홀(450)과 하부 샤프트홀 결합홀(460)이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프레임(400);과 한쌍의 프레임(400)을 결합시키는 하부 프레임(420)에 용접 결합되며 마운팅 볼트(550)로 차체에 고정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500);과 프레임(400)의 스풀 결합홀(430)에 끼워져 결합되는 스풀(300)의 노출되는 양단이 결합되는 스풀 결합홀(610)이 중앙에 구비되되, 일단에는 스프링 고정핀(650)이 끼워져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핀홀(620)이 형성되어 원형스프링(700)의 일단과 끝단이 각각 스풀(300)의 스프링 고정홈(350)과 스프링 고정핀(650)에 결합되고 원형스프링(700)이 상부에는 스프링 커버(750)가 설치되는 한쌍의 스풀 홀더(600);와 스풀(300) 하단에 구비되며, 시트벨트 웨빙(200)이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상부 샤프트(810) 및 하부 샤프트(820);와 상부에는 상부 샤프트(810)의 양단이 결합되는 상부 샤프트홀(850)이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 샤프트(820)의 양단이 결합되는 하부 샤프트홀(860)이 형성되되, 하부 샤프트홀(860)은 하부 샤프트(820)가 상하로 일정간격 유동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한쌍의 프레임(400)에 구비되는 상부 샤프트홀 결합홀(450)과 하부 샤프트홀 결합홀(460)에 끼워져 고정되는 한쌍의 샤프트 홀더(800);와 차량의 시트 프레임(920)의 크로스멤버(910)에 결합되며 전면에는 버클(100)은 상부에 고정되며 시트벨트 웨빙(200)이 관통되는 시트벨트 웨빙홈(950)이 형성되는 버클 행거(960);와 버클 행거(960)의 시트벨트 웨빙홈(950) 상부에 고정되는 버클(100)이 노출되도록 버클 설치홀(970)이 구비되는 시트(9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buckle structure for seat-bel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탑승자가 차량의 후열 시트 하단에 설치되는 시트벨트 버클에 시트 상단에 있는 시트벨트를 편리하게 체결시킬 수 있게, 탑승자가 시트 하단의 버클을 당기면 버클이 시트 상부로 일정길이만큼 올라오고 다시 탑승자가 시트 상부의 시트벨트를 버클에 체결시킨 후 버클을 놓으면 버클이 시트 하부로 자동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의 후열시트 버클은 대부분 웨빙 타입의 버클 또는 스틸(steel) 구조물의 버클을 주로 사용하는데, 버클의 길이는 주로 후열시트 쿠션의 높이에 의해서 결정된다.
또한, 유럽에 수출되는 차종은 유럽지역의 자동차 법규에 의해서, 시트벨트의 인증을 받을 때, UCF(Universal Category Fixture)를 앞 좌석 승객석과 뒷 좌석 등 모든 좌석에 설치하여 시트벨트의 텅과 버클헤드가 맞닿는 부위가 UCF 하단에 있는 버클 안착 면보다 높으면 안 되는 규정 때문에, 버클길이를 길게 설치하지 못한다.
그리고, 승객이 시트에 착좌하여 벨트를 체결할 때에는 버클길이가 긴 제품이 사용하기에 편리하나, 전방충돌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버클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승객 골반의 둥그런 부위에 닿게 되기 때문에 버클이 시트벨트의 텅에서 해리될 가능성도 높아서 승객의 안전성 측면에서는 불리하게 된다.
종래에는 제 1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용 앞 좌석 및 뒷 좌석에 적용된 시트벨트 버클길이가 고정되어 있어서, 승객이 시트에 앉아 시트벨트의 텅과 버클의 체결하려고 할 때에 버클의 길이가 짧다 보니까 불편하여 잘 체결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버클의 길이는 길게 하면 할수록 텅과 체결하기에는 편리하지만 길면 길수록 충돌 시 승객이 받게 되는 상해치가 올라가게 되어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차를 유럽지역에 수출 할 경우에는 유럽 인증을 통과하여야 하는데, 자동차의 시트에 UCF라고 하는 일종의 신체모형화 한 구조물을 시트에 얹어서 차량용 버클과 시트벨트의 TONGUE이 체결되는 부위가 UCF의 평면구간에 오게 함으로써, 충돌 시 버클이 텅에서 해리되지 않게 하는 강제법규 규정상, 버클의 길이를 제한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후열시트에 설치된 버클은 길이가 길면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승객이 앉았을 때 버클헤드 부분이 엉덩이 밑으로 와서 이물감을 느끼게 되고, 또한 충돌 상황 발생시에는 승객이 상해를 더 입게 되며, 그리고 미관상의 문제로 인하여 길게 하지를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2011년 올해부터는 자동차 뒷좌석에 앉은 사람도 시속 90㎞ 이하 자동차 전용도로에서는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해야 하며, 이를 어길 시에는 과태료가 부과되어 후열시트 안전벨트의 착용성 및 안전성이 그만큼 더 중요하게 되었지만, 자동차의 전열시트는 대부분 시트벨트의 텅을 버클에 체결하기가 쉽게 만들어져 있으나, 자동차의 후열시트는 대부분 자동차 시트쿠션이 평평하게 3인용으로 제작되어지다 보니, 앞 좌석처럼 버클높이를 시트쿠션에서 높게는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만약 후열시트의 버클 높이를 높게 설치하게 되면, 3인용 시트의 뒷 좌석에 승객이 앉을 경우 엉덩이나 대퇴부에 버클이 닿아서 이물감이 느껴지게 되며, 자동차의 후열시트의 버클이 대부분 후열시트에 묻혀져 있거나, 설령 돌출되어져 있다 하더라도 그 돌출 량이 많지 않아 승객이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이중적으로 모순되는 구조를 해결하여, 차량용 좌석에 승객이 착좌할 때에는 버클 길이를 길게 조절하여 착용하기가 용이하게 하고, 또한 시트벨트를 착용한 후에는 버클이 원래의 짧은 길이상태로 자동으로 돌아가서, 만약 전방충돌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본 발명에서 고안된 메커니즘에 의해서 승객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해를 입는 것을 막아주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자동차의 버클을 쉽게 착용도 가능하고 또한 승객의 안전성도 고려 한 버클구조이다.
또한, 승객이 자동차 후열시트의 버클을 체결할 때에는 손으로 버클 부분을 위로 당겨서 쉽게 시트벨트를 착용하게 해주고, 또한 착용 후에는 버클이 원래 상태대로 시트 쿠션에서 약간만 돌출된 상태로 돌아감으로써, 충돌 시에도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벨트를 체결시켜주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에 있어서, 상부 끝단에는 버클이 결합되는 버클 고정부가 형성되고, 하부 끝단에는 핀 결합홀이 형성되는 시트벨트 웨빙;과 가로로 긴 원통형으로, 시트벨트 웨빙 하부 끝단이 끼워진 후 웨빙 고정핀으로 고정결합되는 웨빙 결합홀이 중앙에 가로로 형성되며, 일단에는 스프링 고정홈이 구비되는 스풀;과 서로 대양되게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부 연결프레임과 하부 연결프레임으로 결합되며, 스풀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스풀 결합홀이 상부에 각각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부 샤프트홀 결합홀과 하부 샤프트홀 결합홀이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프레임;과 한쌍의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하부 프레임에 용접 결합되며 마운팅 볼트로 차체에 고정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과 프레임의 스풀 결합홀에 끼워져 결합되는 스풀의 노출되는 양단이 결합되는 스풀 결합홀이 중앙에 구비되되, 일단에는 스프링 고정핀이 끼워져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핀홀이 형성되어 원형스프링의 일단과 끝단이 각각 스풀의 스프링 고정홈과 스프링 고정핀에 결합되고 원형스프링이 상부에는 스프링 커버가 설치되는 한쌍의 스풀 홀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스풀( 하단에 구비되며, 시트벨트 웨빙이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상부 샤프트 및 하부 샤프트;와 상부에는 상부 샤프트의 양단이 결합되는 상부 샤프트홀이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 샤프트의 양단이 결합되는 하부 샤프트홀이 형성되되, 하부 샤프트홀은 하부 샤프트가 상하로 일정간격 유동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한쌍의 프레임에 구비되는 상부 샤프트홀 결합홀과 하부 샤프트홀 결합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한쌍의 샤프트 홀더;와 차량의 시트 프레임의 크로스멤버에 결합되며 전면에는 버클은 상부에 고정되며 시트벨트 웨빙이 관통되는 시트벨트 웨빙홈이 형성되는 버클 행거;와 버클 행거의 시트벨트 웨빙홈 상부에 고정되는 버클이 노출되도록 버클 설치홀이 구비되는 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 샤프트가 유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하부 샤프트홀의 하부 일측에 단턱부를 형성하여, 시트벨트 웨빙의 당김에 의해 하부 샤프트가 단턱부 상부로 올라가면 올라간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부 샤프트와 하부 샤프트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지그재그 형태의 요철부와 요입부를 형성하되, 상부 샤프트의 요철부 및 요입부가 하부 샤프트의 요철부 및 요입부와 엇갈리게 형성하여, 시트벨트 웨빙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며, 스풀 홀더와 샤프트 홀더의 상부 샤프트홀과 하부 샤프트홀에는 각각 스냅핀을 구비하고 한쌍의 프레임에는 각각의 스냅핀이 끼워져 결합되는 스냅핀홀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탑승자가 시트 하단의 버클을 당기면 버클이 시트 상부로 일정길이만큼 노출되고 다시 탑승자가 시트 상부의 시트벨트를 버클에 체결시킨 후 버클을 놓으면 버클이 시트 하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시트벨트의 버클이 시트벨트를 체결한 후 시트 내부로 들어가기 때문에 탑승자가 후열시트에 착석시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시트벨트를 체결한 후에는 시트벨트 버클이 시트 쿠션에서 약간만 돌출된 상태로 되어 탑승자의 엉덩이 부분보다 아래에 버클의 체결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정면 충돌 발생 시, 시트벨트 텅이 충격에 의해 버클에서 해리가 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특히, 충돌 발생 시 본 발명에 적용된 구속 메카니즘에 의하여 탑승자는 안전하게 보호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가 후열시트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의 샤프트 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의 상부 샤프트와 하부 샤프트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
도 6,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
도 8,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가 장착되는 시트를 보여주는 하부 사시도.
도 12,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가 장착되는 시트를 보여주는 상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가 후열시트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의 샤프트 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의 상부 샤프트와 하부 샤프트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며, 도 6,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 도 8,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0,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가 장착되는 시트를 보여주는 하부 사시도이고, 도 12,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가 장착되는 시트를 보여주는 상부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벨트를 체결시켜주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에 있어서, 상부 끝단에는 버클(100)이 결합되는 버클 고정부(210)가 형성되고, 하부 끝단에는 핀 결합홀(230)이 형성되는 시트벨트 웨빙(200);과 가로로 긴 원통형으로, 시트벨트 웨빙(200) 하부 끝단이 끼워진 후 웨빙 고정핀(250)으로 고정결합되는 웨빙 결합홀(310)이 중앙에 가로로 형성되며, 일단에는 스프링 고정홈(350)이 구비되는 스풀(300);과 서로 대양되게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부 연결프레임(410)과 하부 연결프레임(420)으로 결합되며, 스풀(300)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스풀 결합홀(430)이 상부에 각각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부 샤프트홀 결합홀(450)과 하부 샤프트홀 결합홀(460)이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프레임(400);과 한쌍의 프레임(400)을 결합시키는 하부 프레임(420)에 용접 결합되며 마운팅 볼트(550)로 차체에 고정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5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프레임(400)의 스풀 결합홀(430)에 끼워져 결합되는 스풀(300)의 노출되는 양단이 결합되는 스풀 결합홀(610)이 중앙에 구비되되, 일단에는 스프링 고정핀(650)이 끼워져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핀홀(620)이 형성되어 원형스프링(700)의 일단과 끝단이 각각 스풀(300)의 스프링 고정홈(350)과 스프링 고정핀(650)에 결합되고 원형스프링(700)이 상부에는 스프링 커버(750)가 설치되는 한쌍의 스풀 홀더(600);와 스풀(300) 하단에 구비되며, 시트벨트 웨빙(200)이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상부 샤프트(810) 및 하부 샤프트(820);와 상부에는 상부 샤프트(810)의 양단이 결합되는 상부 샤프트홀(850)이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 샤프트(820)의 양단이 결합되는 하부 샤프트홀(860)이 형성되되, 하부 샤프트홀(860)은 하부 샤프트(820)가 상하로 일정간격 유동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한쌍의 프레임(400)에 구비되는 상부 샤프트홀 결합홀(450)과 하부 샤프트홀 결합홀(460)에 끼워져 고정되는 한쌍의 샤프트 홀더(8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차량의 시트 프레임(920)의 크로스멤버(910)에 결합되며 전면에는 버클(100)은 상부에 고정되며 시트벨트 웨빙(200)이 관통되는 시트벨트 웨빙홈(950)이 형성되는 버클 행거(960);와 버클 행거(960)의 시트벨트 웨빙홈(950) 상부에 고정되는 버클(100)이 노출되도록 버클 설치홀(970)이 구비되는 시트(9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 샤프트(820)가 유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하부 샤프트홀(860)의 하부 일측에 단턱부(865)를 형성하여, 시트벨트 웨빙(200)의 당김에 의해 하부 샤프트(820)가 단턱부(865) 상부로 올라가면 올라간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부 샤프트(810)와 하부 샤프트(8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지그재그 형태의 요철부와 요입부를 형성하되, 상부 샤프트(810)의 요철부(812) 및 요입부(813)가 하부 샤프트(820)의 요철부(822) 및 요입부(823)와 엇갈리게 형성하여, 시트벨트 웨빙(2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며, 스풀 홀더(600)와 샤프트 홀더(800)의 상부 샤프트홀(850)과 하부 샤프트홀(860)에는 각각 스냅핀을 구비하고 한쌍의 프레임(400)에는 각각의 스냅핀이 끼워져 결합되는 스냅핀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버클(100)은 탑승자가 착용하기에 편리하게 버클(100)을 길게 당긴 후 기존 상부 시트벨트의 텅에 체결한 후에 손을 놓게 되면 버클(100)이 원래 위치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충돌 시에는 상부 샤프트(810)와 하부 샤프트(820)의 치차 구조에 의해 버클(100)에 구비되는 시트벨트 웨빙(200)을 물고 구속하여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커니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스풀(spool)(300)과 원형스프링(700)의 조합이다.
기존에는 스풀(300)을 보통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으로 제작하여 그 강도를 유지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스풀(300)을 일반 플라스틱 제품으로도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스풀(300)의 양쪽 끝은 한쌍의 프레임(400)에 연결시키는 데, 프레임(400)은 스틸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300)이 회전하면서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고, 또한 원형스프링(700)을 안착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중간 매개체인 스풀 홀더(600)를 구비하였다.
스풀 홀더(600)의 재질은 플라스틱을 사용하되, 강성과 마찰저항을 줄여주기 위하여 나일론 계통의 플라스틱을 사용하며, 표면 위에는 원형스프링(700)이 회전하면서 마찰을 줄여주기 위하여 별도의 윤활제를 바른다.
스풀(300)의 양쪽 끝에는 스프링 고정홈(350)을 형성하여 원형 스피링(700)의 일단을 끼울 수 있도록 하였으며, 원형스프링(700)의 타단은 스프링 고정핀(650)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되면 원형스프링(700)은 스풀 홀더(600)에 안착되면서 스풀(300)의 스프링 고정홈(350)과 스프링 고정핀(650)에 의해서 고정이 된다.
그리고 원형스프링(700)은 안전상 스프링 커버(750)으로 가려준다.
스프링 커버(750)는 원형스프링(700)이 설치되는 한쪽만 있으면 되며, 원형스프링(700) 또한 한쪽만 있으면 된다.
차량의 충돌 상황이 발생 하게 되면, 탑승자는 차량의 가속도와 관성 모멘트에 의해서 차량의 전방으로 상체가 기울어지게 되고, 그 결과 버클(100)에 구비되며 상부 샤프트(810)와 하부 샤프트(820) 사이에 지그재그로 감겨 있는 시트벨트 웨빙(200)은 하부 샤프트(820)를 샤프트 홀더(800)의 하부 샤프트홀(860)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스풀(300)에는 웨빙 결합홀(310)이 있으며, 이는 시트벨트 웨빙(200)의 한쪽 끝에 끼우고 나서 스풀(300)에 걸어주기만 하면 된다.
시트벨트 웨빙(200)의 한쪽 끝은 웨빙 결합홀(310)에 웨빙 고정핀(250)으로 고정하고 나서 풀리지 않도록 미리 재봉처리가 되어 있다.
그리고 나서 이번에는 샤프트 홀더(800)를 프레임(400)의 양쪽에 삽입시킨다.
샤프트 홀더(800)는 충돌시 승객을 구속시켜 주는 가이드 기능 및 상부 샤프트(810)와 하부 샤프트(820)를 고정시켜 주면서 하부 샤프트(82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샤프트 홀더(800)에는 두개의 샤프트가 끼워지는데, 상부 샤프트(810)는 항상 고정되어져 있는데 반하여, 하부 샤프트(820)는 샤프트 홀더(800)의 하부 샤프트홀(860)에 형성되는 단턱부(865)에 의하여 항상 고정되어져 있으나, 충돌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차량에서 전해져 오는 가속도 및 모멘트로 인하여 승객의 상체부위가 전방으로 급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시트벨트 웨빙(200)이 하부 샤프트(820)를 상부 샤프트(81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전달해 지면서, 하부 샤프트(820)가 하부 샤프트홀(860)의 단턱부(865)을 타고 상부 샤프트(810) 방향으로 넘어가게 된다.
하부 샤프트홀(860)의 단턱부(865)는 강성도 필요하고 또한 어느정도의 힘이 전해지면 하부 샤프트(820)가 타고 넘어가야 하는 슬라이딩 조건을 허용하여야 하기때문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한다.
그리고, 하부 샤프트홀(860)의 단턱부(865)는 충돌 상황 발생시 형상이 뭉개지는 것이 아니라, 하부 샤프트(820)가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재질을 어느 정도의 탄성이 있는 특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일반 플라스틱인 나일론 계통의 재질을 사용하게 되면 그 형상이 뭉개진 후 복원이 되지 않게 하여 일회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샤프트 홀더(800)의 재질을 특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충돌 상황이 끝나고 난 후, 하부 샤프트(820)의 양쪽 끝을 아래로 누르면 하부 샤프트(820)가 원래의 아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또한, 상부 샤프트(810)와 하부 샤프트(8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지그재그 형태의 요철부와 요입부를 형성하되, 상부 샤프트(810)의 요철부(812) 및 요입부(813)가 하부 샤프트(820)의 요철부(822) 및 요입부(823)와 엇갈리게 형성하여, 충돌 상황 발생시 상부 샤프트(810) 방향으로 이동된 하부 샤프트(820)에 의하여 시트벨트 웨빙(200)이 완전히 치차 형상 사이에 물리게 되어져 있어서 승객을 안전하게 구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400)의 한쪽에 조립한 후에는 반대편 프레임(400)을 조립하고 나서, 상부 연결프레임(410)과 하부 연결프레임(420)을 위와 아래에 대고 리벳(490)으로 고정시킨다.
그러고 나서 마운팅 브라켓(500)을 하부 연결프레임(420)에 용접시키고 그 다음 마운팅 볼트(550)을 차량에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버클구조는 차량의 차체 판넬에 고정시킬 수도 있고, 시트(900)가 슬라이딩 되는 조건이라면 시트(900)의 시트 프레임(92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버클구조가 기존 시트(9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시트(900)에 시트벨트 웨빙홀(950)을 뚫어서 버클(100)를 관통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시트(900)에 취부 되어져 있는 크로스멤버(910)의 한쪽 부분에 버클(1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버클 설치홈(970)이 형성되는 버클 행거(960)를 구성하여 시트(900)를 관통한 버클(100)이 버클 행거(960)에 안착 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시트(900)에 장착되는 버클구조의 조립과정은 먼저, 미리 시트(900)의 크로스멤버(910)에 본 발명품의 한 가지인 버클 행거(960)를 용접시킨다.
그 다음 본 발명품의 가장 중요한 부품인 버클(100)을 시트(900)에 뚫려 있는 시트벨트 웨빙홀(950)을 통과시키고 나서, 버클 행거(960)의 버클 설치홈(970) 으로 버클(100)의 시트벨트 웨빙(200)을 후방으로 밀어서 통과시킨다.
이렇게 되면 버클(100)이 자연적으로 버클 행거(960)의 윗 부분에 안착되고 그 상태에서 시트(900)을 조립하게 되면 버클(100)은 위치가 고정되고, 시트(900)의 전,후, 좌,우 구속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버클구조의 프레임(400) 부분은 시트(900) 밑 부분에 적절하게 임시적인 방법인 스트랩이나 테이핑을 하여 납품한 후, 자동차의 조립공정에서 이를 제거하고 마운팅 볼트로 차체에 고정시키면 자동차 생산 라인에서 최종 조립이 완성된다.
100 : 버클 200 : 시트벨트 웨빙
300 : 스풀 400 : 프레임
500 : 마운팅 브라켓 600 : 스풀 홀더
610 : 스풀 결합홀 650 : 스프링 고정핀
700 : 원형스프링 800 : 샤프트 홀더
810 : 상부 샤프트 820 : 하부 샤프트
850 : 상부 샤프트홀 860 : 하부 샤프트홀
900 : 시트 920 : 시트 프레임
960 : 버클 행거

Claims (4)

  1. 차량의 안전벨트를 체결시켜주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에 있어서,
    상부 끝단에는 버클(100)이 결합되는 버클 고정부(210)가 형성되고, 하부 끝단에는 핀 결합홀(230)이 형성되는 시트벨트 웨빙(200);과
    가로로 긴 원통형으로, 시트벨트 웨빙(200) 하부 끝단이 끼워진 후 웨빙 고정핀(250)으로 고정결합되는 웨빙 결합홀(310)이 중앙에 가로로 형성되며, 일단에는 스프링 고정홈(350)이 구비되는 스풀(300);과
    서로 대양되게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부 연결프레임(410)과 하부 연결프레임(420)으로 결합되며, 스풀(300)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스풀 결합홀(430)이 상부에 각각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부 샤프트홀 결합홀(450)과 하부 샤프트홀 결합홀(460)이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프레임(400);과
    한쌍의 프레임(400)을 결합시키는 하부 프레임(420)에 용접 결합되며 마운팅 볼트(550)로 차체에 고정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500);과
    프레임(400)의 스풀 결합홀(430)에 끼워져 결합되는 스풀(300)의 노출되는 양단이 결합되는 스풀 결합홀(610)이 중앙에 구비되되, 일단에는 스프링 고정핀(650)이 끼워져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핀홀(620)이 형성되어 원형스프링(700)의 일단과 끝단이 각각 스풀(300)의 스프링 고정홈(350)과 스프링 고정핀(650)에 결합되고 원형스프링(700)이 상부에는 스프링 커버(750)가 설치되는 한쌍의 스풀 홀더(600);와
    스풀(300) 하단에 구비되며, 시트벨트 웨빙(200)이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상부 샤프트(810) 및 하부 샤프트(820);와
    상부에는 상부 샤프트(810)의 양단이 결합되는 상부 샤프트홀(850)이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 샤프트(820)의 양단이 결합되는 하부 샤프트홀(860)이 형성되되, 하부 샤프트홀(860)은 하부 샤프트(820)가 상하로 일정간격 유동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한쌍의 프레임(400)에 구비되는 상부 샤프트홀 결합홀(450)과 하부 샤프트홀 결합홀(460)에 끼워져 고정되는 한쌍의 샤프트 홀더(800);와
    차량의 시트 프레임(920)의 크로스멤버(910)에 결합되며 전면에는 버클(100)은 상부에 고정되며 시트벨트 웨빙(200)이 관통되는 시트벨트 웨빙홈(950)이 형성되는 버클 행거(960);와
    버클 행거(960)의 시트벨트 웨빙홈(950) 상부에 고정되는 버클(100)이 노출되도록 버클 설치홀(970)이 구비되는 시트(9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샤프트(820)가 유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하부 샤프트홀(860)의 하부 일측에 단턱부(865)를 형성하여,
    시트벨트 웨빙(200)의 당김에 의해 하부 샤프트(820)가 단턱부(865) 상부로 올라가면 올라간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부 샤프트(810)와 하부 샤프트(8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지그재그 형태의 요철부와 요입부를 형성하되, 상부 샤프트(810)의 요철부(812) 및 요입부(813)가 하부 샤프트(820)의 요철부(822) 및 요입부(823)와 엇갈리게 형성하여,
    시트벨트 웨빙(2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스풀 홀더(600)와 샤프트 홀더(800)의 상부 샤프트홀(850)과 하부 샤프트홀(860)에는 각각 스냅핀을 구비하고 한쌍의 프레임(400)에는 각각의 스냅핀이 끼워져 결합되는 스냅핀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
KR1020110126189A 2011-11-29 2011-11-29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 KR101261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189A KR101261207B1 (ko) 2011-11-29 2011-11-29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189A KR101261207B1 (ko) 2011-11-29 2011-11-29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1207B1 true KR101261207B1 (ko) 2013-05-10

Family

ID=48665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189A KR101261207B1 (ko) 2011-11-29 2011-11-29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2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9982A (ja) 2008-09-17 2010-04-02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9982A (ja) 2008-09-17 2010-04-02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69411A1 (en) Add-on safety harness for vehicles
KR20090067189A (ko) 좌석벨트 고정 장치 및 시스템
KR101623438B1 (ko) 휴대용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JP2993923B2 (ja) 安全ベルトを備えた自動車用座席
JPH031171B2 (ko)
JPH05112205A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261207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
JP2002200934A (ja) 自動車用シートレールのロッキングシステム
KR101282527B1 (ko) 자동차용 3점식 시트벨트 웨빙의 끼임 방지구조
JPH05112204A (ja) 車両等の座席におけるシートベルト装置
KR200361144Y1 (ko)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KR101330231B1 (ko) 시트벨트
US20090014619A1 (en) Multi adjustment for motor vehicle restriant positioning device
JP3649425B2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CN214324943U (zh) 一种儿童安全座椅的底座
KR200153330Y1 (ko) 어린이용 안전밸트
CN210116410U (zh) 一种儿童安全座椅的束缚系统及儿童安全座椅
JP3482613B2 (ja) 車両の安全ベルト取付装置
JP2531417Y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0267957Y1 (ko)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JP2760178B2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KR200196884Y1 (ko)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KR200148853Y1 (ko) 자동차 리어시트 벨트 가변 장치
KR200213499Y1 (ko) 어린이용 안전밸트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100206434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