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848B1 -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848B1
KR101260848B1 KR1020110050529A KR20110050529A KR101260848B1 KR 101260848 B1 KR101260848 B1 KR 101260848B1 KR 1020110050529 A KR1020110050529 A KR 1020110050529A KR 20110050529 A KR20110050529 A KR 20110050529A KR 101260848 B1 KR101260848 B1 KR 101260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od
glove box
upper hous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1989A (ko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0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848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6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linking the rods to other lock parts, e.g. to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은, 전면이 개방되며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는 어퍼 하우징; 어퍼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어퍼 하우징에 결합되는 글로브박스 커버; 내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도록 글로브박스 커버에 일체로 결합되는 글로브박스 하우징; 어퍼 하우징에 글로브박스 하우징을 락킹(Locking)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의 배면에 마련되는 락킹유닛; 및 차량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어퍼 하우징으로부터 글로브박스 하우징을 언락킹(Unlocking)시킬 수 있도록 글로브박스 하우징이 락킹된 상태에서 락킹유닛에 연결되며, 글로브박스 커버의 두께를 줄임과 동시에 헤드 임팩트 테스트시 타격부위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어퍼 하우징의 일측을 따라 연장 배치되는 언락킹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글로브박스 모듈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고 헤드 임팩트 테스트시 타격부위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Glove box modu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글로브박스 모듈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고 헤드 임팩트 테스트시 타격부위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설치되는 글로브박스는 보조석 쪽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물품을 보관하는 구성이다. 글로브박스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일체로 고정되는 어퍼 하우징과, 어퍼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글로브박스 커버와, 글로브박스 커버와 함께 내부에 물품이 놓여 지기 위한 수납함을 형성하는 글로브박스 하우징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종래의 글로브박스는 글로브박스 하우징을 오픈시키기 위한 락킹 시스템이 글로브박스 커버의 배면에 장착됨에 따라 글로브박스 커버의 두께가 증가되고 락킹 시스템의 로드가 접촉되는 부분에서 스크레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글로브박스는 글로브박스 커버의 배면에 락킹 시스템을 장착함에 따라 락킹 시스템의 로드(후크)가 접촉되는 부분에서 스크레치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외관을 해치게 되고, 락킹 시스템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이를 덮기 위해 별도의 커버를 사용하여 글로브박스 커버의 배면을 덮도록 함에 따라 글로브박스 커버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글로브박스는 헤드 임팩트 테스트시 충격이 가하여지는 부분에 인접하게 락킹 시스템이 마련됨에 따라 충격이 그대로 락킹 시스템에 전달되고 이로 인해 글로브박스 커버가 법규에서 정하는 기준에 못 미치는 충격에도 열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글로브박스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고 헤드 임팩트 테스트시 타격부위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글로브박스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글로브박스 모듈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고 헤드 임팩트 테스트시 타격부위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면이 개방되며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는 어퍼 하우징; 상기 어퍼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어퍼 하우징에 결합되는 글로브박스 커버; 내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도록 상기 글로브박스 커버에 일체로 결합되는 글로브박스 하우징; 상기 어퍼 하우징에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을 락킹(Locking)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의 배면에 마련되는 락킹유닛; 및 차량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어퍼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을 언락킹(Unlocking)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이 락킹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글로브박스 커버의 두께를 줄임과 동시에 헤드 임팩트 테스트시 타격부위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어퍼 하우징의 일측을 따라 연장 배치되는 언락킹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언락킹유닛은, 상기 어퍼 하우징의 상단부 일측에 마련되는 푸시 버튼; 상기 푸시 버튼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어퍼 하우징의 일측을 따라 상기 어퍼 하우징의 배면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는 연장 로드; 및 상기 어퍼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이 언락킹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 로드의 운동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락킹유닛을 이동시키는 운동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 변환부는, 상기 연장 로드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랙 기어의 선형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운동을 상기 랙 기어의 선형운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의 선형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피니언 기어의 중앙 부분에 관통 삽입되는 캠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의 내주면 일측에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캠 로드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운동을 선형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언락킹유닛은, 상기 연장 로드의 일단부 및 상기 운동 변환부가 수용되는 조절 하우징; 및 상기 푸시 버튼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연장 로드를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절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는 리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리턴부 수용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리턴부는, 상기 푸시 버튼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연장 로드를 원위치시키는 리턴 스프링; 및 상기 리턴 스프링이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리턴부 수용공을 따라 삽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리턴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 로드는, 상기 가이드 홈이 표면에 형성되며 일측면이 원주의 일부를 절취한 평면으로 마련되는 캠 로드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하우징에는, 상기 캠 로드의 임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캠 로드바디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캠 로드수용공이 관통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락킹유닛은, 일단부에 제1 후크가 마련되는 제1 로드; 상기 제1 로드로부터 이격 배치되되 일단부에 제2 후크가 마련되는 제2 로드;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선형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를 상호 연결하는 로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하우징은,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이 락킹되는 경우 상기 제1 후크 및 상기 제2 후크가 걸림될 수 있도록 양측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한 쌍의 제1 후크삽입공; 및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이 미리 결정된 범위만큼만 열릴 수 있도록 상기 제1 후크삽입공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양측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한 쌍의 제2 후크삽입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이 완전히 열릴 수 있도록 상기 제1 로드 또는 상기 제2 로드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로드 또는 상기 제2 로드를 강제로 선형운동시키는 개폐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에는, 상기 개폐노브가 상기 수납함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표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노브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어퍼 하우징에는, 상기 어퍼 하우징에 대한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의 락킹 및 언락킹 동작에 따라 상기 락킹유닛이 수용된 락킹 하우징이 삽탈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락킹 하우징 수용공이 관통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후크는 일단부에 제1 경사면이 마련되며, 상기 운동 변환부는, 상기 연장 로드의 이동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로드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2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글로브박스 락킹 시스템을 후방에 배치하여 글로브박스 모듈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고 헤드 임팩트 테스트시 타격부위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후방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전방에서 바라본 도 1의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의 어퍼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의 글로브박스 커버, 글로브박스 하우징 및 락킹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의 언락킹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언락킹유닛의 피니언 기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언락킹유닛의 캠 로드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후방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후방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전방에서 바라본 도 1의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의 어퍼 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의 글로브박스 커버, 글로브박스 하우징 및 락킹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의 언락킹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언락킹유닛의 피니언 기어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언락킹유닛의 캠 로드의 사시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도 1의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0은 후방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100, 이하 '글로브박스 모듈(100)'이라 함)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미도시)에 장착되는 어퍼 하우징(110)과, 어퍼 하우징(110)의 전면을 개폐하는 글로브박스 커버(120)와, 글로브박스 커버(120)에 일체로 결합되는 글로브박스 하우징(130)과, 어퍼 하우징(110)에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을 락킹시키는 락킹유닛(140)과, 락킹유닛(140)에 연결되어 어퍼 하우징(110)으로부터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을 언락킹시키는 언락킹유닛(150)을 포함한다.
어퍼 하우징(110)은 전면이 개방되며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일체로 장착되는 구성이다.
어퍼 하우징(110)의 상측에는 후술하는 락킹 하우징(149)이 삽입되거나 분리되기 위한 락킹 하우징 수용공(110a)이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후술하는 제1 후크(142) 및 제2 후크(144)가 각각 삽입되거나 이탈되기 위한 한 쌍의 제1 후크삽입공(110b) 및 한 쌍의 제2 후크삽입공(110c)이 각각 형성된다.
글로브박스 커버(120)는 어퍼 하우징(1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어퍼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글로브박스 커버(120)의 상단부 일측에는 후술하는 푸시 버튼(151)이 전후방향(도 1의 X 또는 -X 방향, 이하 동일)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종래의 글로브박스는 어퍼 하우징에 글로브박스 하우징을 락킹시키거나 어퍼 하우징으로부터 글로브박스 하우징을 언락킹시키기 위한 락킹 시스템이 글로브박스 커버의 배면에 밀집되어 배치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락킹 시스템을 배치하게 되면 글로브 박스 커버의 전체 두께가 증가하게 되어 외관 품질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헤드 임팩트 테스트시 충격이 직접 가해지는 부분에 인접하게 락킹 시스템이 배치되는 관계상 법규에서 정한 기준에 못 미치는 충격에도 불구하고 글로브박스 하우징이 오픈되어 결국 품질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글로브박스 모듈(100)은, 락킹유닛(140)을 글로브박스 커버(120)의 배면이 아닌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의 배면으로 이동시키고 락킹유닛(140)을 조절하는 언락킹유닛(150)을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의 일측면에 배치함으로써 전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은 내부에 각종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함(R)이 형성되도록 글로브박스 커버(120)에 일체로 결합되는 구성이다.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의 배면에는 락킹유닛(140)이 배치되며,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의 일측을 관통하여서는 락킹유닛(140)의 제2 로드(143)에 일체로 연결되는 개폐노브(148)가 관통되기 위한 노브관통공(130a)이 형성된다(도 8 참조).
또한,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의 하단부에는 어퍼 하우징(110) 및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을 힌지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이 삽입되기 위한 브래킷이 마련된다(도 4 참조).
한편, 락킹유닛(140)은 어퍼 하우징(110)에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을 락킹(Locking)시킬 수 있도록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의 배면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락킹유닛(140)은 일단부에 제1 후크(142)가 마련되는 제1 로드(141)와, 제1 로드(141)의 하측으로 이격되며 일단부에 제2 후크(144)가 마련되는 제2 로드(143)와, 제1 로드(141) 및 제2 로드(143)를 연결하는 로터리(145)와, 제1 로드(141) 및 제2 로드(143)의 이동이 완료된 후 이를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스프링(146, 147)과, 전술한 모든 구성이 내부에 수용되는 락킹 하우징(149)을 포함한다.
제1 로드(141)는 후술하는 언락킹유닛(150)의 캠 로드(163)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좌측방향(도 1의 Y 방향, 이하 동일)으로 이동하는 바(Bar) 형상의 구성이며, 제2 로드(143)는 로터리(145)에 의해 제1 로드(141)에 연결되어 제1 로드(141)의 이동방향과 반대되는 우측방향(도 1의 -Y 방향, 이하 동일)으로 이동하는 바(Bar) 형상의 구성이다.
즉, 캠 로드(163)의 선형운동에 따라 제1 로드(141)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로터리(145)가 회전하면서 제2 로드(143)를 우측방향으로 당기게 됨으로써 제1 로드(141)의 제1 후크(142) 및 제2 로드(143)의 제2 후크(144)가 각각 제1 후크삽입공(110b)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개폐노브(148)는 어퍼 하우징(110)으로부터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을 완전히 여는 경우 사용되는 구성이다. 개폐노브(148)는 제2 로드(143)에 일체로 연결되는데, 이에 따라 개폐노브(148)를 우측방향으로 당기면 제2 로드(143)가 강제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로터리(145)가 회전하면서 제1 로드(141)가 강제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결국 제1 후크(142) 및 제2 후크(144)가 제2 후크삽입공(110c)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락킹 하우징(149)은 전술한 제1 로드(141), 제2 로드(143), 로터리(145) 및 리턴 스프링(146, 147)이 내부에 수용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구성이다.
락킹유닛(140)을 구성하는 여러 구성품들이 락킹 하우징(149)에 수용됨으로써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을 완전히 여는 경우에도 이러한 구성품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파손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락킹 하우징(149)은 어퍼 하우징(110)에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이 락킹된 상태에서는 어퍼 하우징(110)의 락킹 하우징 수용공(110a)에 삽입된 상태가 되며, 어퍼 하우징(110)으로부터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이 언락킹된 상태에서는 락킹 하우징 수용공(110a)으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된다.
한편, 언락킹유닛(150)은 차량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어퍼 하우징(110)으로부터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을 언락킹(Unlocking)시킬 수 있도록 락킹유닛(140)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언락킹유닛(150)은 탑승자가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마련되는 푸시 버튼(151)과, 푸시 버튼(151)의 이동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장 로드(152)와, 연장 로드(152)의 이동방향을 이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제1 로드(141)를 강제 이동시키는 운동변환부(160)와, 이러한 각 구성(152, 160)이 내부에 수용되는 조절 하우징(170)과, 탑승자가 가하는 힘이 해제되면 연장 로드(152)를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리턴부(180)를 포함한다.
푸시 버튼(151)은 차량의 탑승자가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을 오픈시키고자 하는 경우 간편하게 손가락을 사용하여 누를 수 있도록 마련되는 버튼 타입의 구성이며, 연장 로드(152)는 푸시 버튼(151)의 배면으로부터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의 배면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는 바(Bar) 형상의 구성이다.
운동변환부(160)는 어퍼 하우징(110)으로부터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이 언락킹될 수 있도록 연장 로드(152)의 운동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락킹유닛(140)을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운동변환부(160)는 연장 로드(152)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랙 기어(161)와, 랙 기어(161)의 선형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피니언 기어(162)와, 피니언 기어(162)의 회전운동을 랙 기어(161)의 선형운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의 선형운동으로 전환하는 캠 로드(163)를 포함한다.
랙 기어(161)는 연장 로드(152)의 일단부에 기어 이빨이 형성되어 마련되는 구성이며, 피니언 기어(162)는 랙 기어(161)의 기어 이빨에 치합(齒合)되는 기어 이빨을 갖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연장 로드(152)가 후방(도 1의 -X 방향, 이하 동일)으로 이동하게 되면 랙 기어(161)도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 피니언 기어(162)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캠 로드(163)는 피니언 기어(162)의 중앙 부분에 관통 삽입되어 피니언 기어(162)의 회전에 따라 좌측방향으로 선형운동하는 구성이다.
캠 로드(163)는 가이드 홈(163a)이 형성되는 캠 로드바디(164)와, 캠 로드바디(164)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로드푸시부(165)를 포함한다.
캠 로드바디(164)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 홈(163a)이 형성되며 이러한 가이드 홈(163a)에는 피니언 기어(162)의 가이드 돌기(162a)가 삽입된다.
이에 피니언 기어(162)가 회전하게 되면 가이드 돌기(162a)가 가이드 홈(163a)에 접촉된 상태에서 캠 로드바디(164)를 가압하게 되며, 이러한 힘에 따라 캠 로드(163)가 좌측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로드푸시부(165)가 제1 후크(142)를 밀게 되어 결국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이 어퍼 하우징(110)으로부터 언락킹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캠 로드바디(164)의 일측면(164a)은 원주(圓柱)의 일부를 절취한 평면으로 마련되는데(도 7 참조), 이와 같이 캠 로드바디(164)의 형상을 특정한 것은 캠 로드(163)가 피니언 기어(16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후술하는 조절 하우징(170)에는 캠 로드바디(164)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캠 로드수용공(170b)이 관통형성되므로 이에 삽입된 캠 로드(163)는 피니언 기어(162)가 회전하더라도 함께 회전하지 않고 선형운동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피니언 기어(162)로부터 전달되는 힘은 캠 로드(163)를 선형운동시키는 데만 사용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인 힘의 전달이 가능해진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캠 로드바디(164)의 형상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캠 로드바디(164)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운동변환부(160)는 경사부(260)로 마련될 수도 있다.
경사부(260)의 일단부에는 제1 후크(142)의 제1 경사면(142a)에 대응되는 제2 경사면(260a)이 마련되며, 이에 따라 연장 로드(152)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 경사면(260a)이 제1 경사면(142a)을 밀게 되어 제1 로드(141)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 제1 후크(142) 및 제2 후크(144)가 각각 제1 후크삽입공(110b)으로부터 이탈되어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이 언락킹될 수 있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운동변환부(160)는 연장 로드(152)의 이동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제1 로드(141)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조절 하우징(170)은 연장 로드(152), 피니언 기어(162) 및 캠 로드(163)가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이다.
조절 하우징(170)에는 연장 로드(152)의 일단부가 관통 삽입되기 위한 연장 로드 수용공(170c)과, 캠 로드(163)가 관통 삽입되기 위한 캠 로드수용공(170b)과, 후술하는 리턴부(180)의 리턴 하우징(182)이 삽입되거나 이탈되기 위한 리턴부 수용공(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조절 하우징(170)의 내부에는 피니언 기어(162)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피니언 기어(162)를 구속하는 별도의 구성(미도시)이 마련된다.
조절 하우징(170)은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연장 로드 수용공(170c)을 따라서는 연장 로드(152)가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캠 로드수용공(170b)을 따라서는 캠 로드(163)가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며, 리턴부 수용공을 따라서는 리턴 하우징(182)이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게 된다.
리턴부(180)는 푸시 버튼(151)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 눌린 푸시 버튼(151)을 원위치시킴으로써 이에 일체로 연결된 연장 로드(152)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리턴부(180)는 연장 로드(152)가 원위치될 수 있는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리턴 스프링(181)과, 리턴 스프링(181)이 수용되는 리턴 하우징(182)을 포함한다.
리턴 스프링(181)은 푸시 버튼(151)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 연장 로드(152)를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리턴 스프링(181)은 일반적인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된다.
리턴 하우징(182)은 리턴 스프링(181)이 수용되며 리턴부 수용공(170a)을 따라 삽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구성이다. 리턴 하우징(182)은 조절 하우징(170)에 인접한 연장 로드(152)의 일측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탑승자가 푸시 버튼(151)를 누르게 되면 연장 로드(152)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리턴 하우징(182)이 리턴부 수용공(170a)을 따라 삽입된다. 이때 리턴 스프링(181)의 일단부는 조절 하우징(170)의 일측면에 접촉된 상태이므로 리턴 하우징(182)이 리턴부 수용공(170a)에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리턴 스프링(181)이 압축된다.
탑승자가 푸시 버튼(151)을 누르던 힘을 해제하게 되면 리턴 스프링(181)에 저장된 탄성력이 리턴 하우징(182)을 원위치시키고, 이에 따라 연장 로드(152)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언락킹유닛(150)은 제1 로드(141)에 연결되는 상태를 가정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언락킹유닛(150)은 제2 로드(143)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언락킹유닛(150)은 어퍼 하우징(110)에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이 락킹된 상태에서만 락킹유닛(140)에 연결되고, 어퍼 하우징(110)으로부터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이 언락킹되면 더 이상 락킹유닛(140)에 연결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글로브박스 모듈(100)의 사용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탑승자의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 락킹유닛(140)의 제1 후크(142) 및 제2 후크(144)는 각각 어퍼 하우징(110)에 형성된 제1 후크삽입공(110b)에 걸림된 상태이므로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은 어퍼 하우징(110)에 락킹된 상태가 된다.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을 오픈시키고자 하는 탑승자는 푸시 버튼(151)을 누르게 되며, 푸시 버튼(151)이 눌리면 이에 일체로 연결된 연장 로드(152)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랙 기어(161)가 피니언 기어(162)를 회전시킨다.
피니언 기어(162)의 회전에 따라 그 내주면에 마련된 가이드 돌기(162a)가 캠 로드(163) 측으로 힘을 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캠 로드(163)가 좌측방향으로 선형운동하게 된다.
캠 로드(163)가 선형운동함에 따라 제1 로드(141)가 좌측방향으로 함께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로터리(145)가 회전하면서 제2 로드(143)를 우측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이러한 제1 로드(141) 및 제2 로드(143)의 이동에 따라 제1 후크(142) 및 제2 후크(144)는 제1 후크삽입공(110b)으로부터 이탈되며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의 자중에 의해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이 어퍼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되어 오픈된다.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이 오픈되는 과정 중 리턴 스프링(146, 147)은 계속하여 제1 로드(141) 및 제2 로드(143)를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제1 후크(142) 및 제2 후크(144)가 어퍼 하우징(110)의 제2 후크삽입공(110c)이 형성된 지점에 이르게 되면 리턴 스프링(146, 147)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따라 제1 후크(142) 및 제2 후크(144)가 각각 제2 후크삽입공(110c)에 걸림되어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은 미리 결정된 범위만큼만 열릴 수 있게 된다.
만약 차량의 에어 필터 청소 등의 목적으로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을 완전히 오픈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탑승자가 개폐노브(148)를 우측방향으로 당기게 되며, 이렇게 개폐노브(148)를 당기면 이에 일체로 연결된 제2 로드(143)가 우측방향으로 강제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1 후크(142) 및 제2 후크(144)가 각각 제2 후크삽입공(110c)으로부터 이탈되어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이 완전히 오픈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탑승자가 푸시 버튼(151)을 누르던 힘을 해제하면 리턴 스프링(181)이 연장 로드(15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되어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을 닫은 후 이를 다시 오픈시킬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글로브박스 모듈(100)은 기존의 글로브박스 락킹 시스템을 후방에 배치할 수 있도록 락킹유닛(140)을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의 배면에 위치시키고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이 어퍼 하우징(110)에 연결된 상태에서 락킹유닛(140)에 연결되는 언락킹유닛(150)을 글로브박스 하우징(130)의 측면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글로브박스 모듈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고 헤드 임팩트 테스트시 타격부위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글로브박스 모듈 110 : 어퍼 하우징
120 : 글로브박스 커버 130 : 글로브박스 하우징
140 : 락킹유닛 150 : 언락킹유닛
152 : 연장 로드 160 : 운동변환부
161 : 랙 기어 162 : 피니언 기어
163 : 캠 로드 180 : 리턴부

Claims (12)

  1. 글로브박스 하우징에 마련되는 락킹유닛; 및
    어퍼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을 언락킹(Unlocking)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어퍼 하우징의 일측을 따라 연장 배치되는 언락킹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언락킹유닛은,
    상기 어퍼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는 푸시 버튼;
    상기 푸시 버튼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어퍼 하우징의 일측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 로드; 및
    상기 락킹유닛을 이동시키는 운동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 변환부는,
    상기 연장 로드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랙 기어의 선형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운동을 상기 랙 기어의 선형운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의 선형운동으로 전환하는 캠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하우징은 전면이 개방되며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고,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에는 수납합이 형성되며,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의 배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로드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중앙 부분에 관통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의 내주면 일측에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캠 로드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운동을 선형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언락킹유닛은,
    상기 연장 로드의 일단부 및 상기 운동 변환부가 수용되는 조절 하우징; 및
    상기 푸시 버튼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연장 로드를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절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는 리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리턴부 수용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리턴부는,
    상기 푸시 버튼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연장 로드를 원위치시키는 리턴 스프링; 및
    상기 리턴 스프링이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리턴부 수용공을 따라 삽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리턴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캠 로드는, 상기 가이드 홈이 표면에 형성되며 일측면이 원주의 일부를 절취한 평면으로 마련되는 캠 로드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하우징에는, 상기 캠 로드의 임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캠 로드바디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캠 로드수용공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닛은,
    일단부에 제1 후크가 마련되는 제1 로드;
    상기 제1 로드로부터 이격 배치되되 일단부에 제2 후크가 마련되는 제2 로드;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선형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를 상호 연결하는 로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하우징은,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이 락킹되는 경우 상기 제1 후크 및 상기 제2 후크가 걸림될 수 있도록 양측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한 쌍의 제1 후크삽입공; 및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이 미리 결정된 범위만큼만 열릴 수 있도록 상기 제1 후크삽입공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양측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한 쌍의 제2 후크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이 완전히 열릴 수 있도록 상기 제1 로드 또는 상기 제2 로드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로드 또는 상기 제2 로드를 강제로 선형운동시키는 개폐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에는, 상기 개폐노브가 상기 수납함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표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노브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하우징에는,
    상기 어퍼 하우징에 대한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의 락킹 및 언락킹 동작에 따라 상기 락킹유닛이 수용된 락킹 하우징이 삽탈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락킹 하우징 수용공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12. 삭제
KR1020110050529A 2011-05-27 2011-05-27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KR101260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529A KR101260848B1 (ko) 2011-05-27 2011-05-27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529A KR101260848B1 (ko) 2011-05-27 2011-05-27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989A KR20120131989A (ko) 2012-12-05
KR101260848B1 true KR101260848B1 (ko) 2013-05-06

Family

ID=4751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529A KR101260848B1 (ko) 2011-05-27 2011-05-27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8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285B1 (ko) * 2012-12-26 2014-11-04 주식회사 프라코 글로브 박스
CN113982388A (zh) * 2021-07-26 2022-01-28 长春富维安道拓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断电可解锁式电动手套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0003A (ja) 2005-04-05 2006-10-26 Toyoda Gosei Co Ltd 車両における収納装置
JP2010132027A (ja) 2008-12-02 2010-06-17 Calsonic Kansei Corp グローブボックス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0003A (ja) 2005-04-05 2006-10-26 Toyoda Gosei Co Ltd 車両における収納装置
JP2010132027A (ja) 2008-12-02 2010-06-17 Calsonic Kansei Corp グローブボックス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989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8965B2 (ja) 収納ボックスの開閉機構
US8567069B2 (en) Blade lock and release mechanisms for utility knives
JP5336247B2 (ja) 引出し装置
KR101172576B1 (ko) 이동체의 로크기구
KR102422966B1 (ko) 차량의 센터 암레스트
JP2006022482A (ja) プッシュボタン式ボックス開放構造
KR101260848B1 (ko)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KR101178414B1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 모듈
JP5172397B2 (ja) 小物入れ
JP2018203071A (ja) リッドロック機構およ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5862343B2 (ja) ドア装置
JP2013116710A (ja) 棒状物用保持装置
KR101264180B1 (ko) 히든락 글로브박스 모듈
JP2007290458A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5308191B2 (ja) 蓋部材
JP5222182B2 (ja) アームレスト
KR200471689Y1 (ko)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KR100931262B1 (ko)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
JP4689465B2 (ja) ロック装置
KR101164664B1 (ko)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
JP4306569B2 (ja) 引き出し装置
KR101823383B1 (ko) 글로브박스
KR200454933Y1 (ko)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
KR101394997B1 (ko) 글로브박스
KR200451275Y1 (ko) 차량용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