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933Y1 -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933Y1
KR200454933Y1 KR2020090010788U KR20090010788U KR200454933Y1 KR 200454933 Y1 KR200454933 Y1 KR 200454933Y1 KR 2020090010788 U KR2020090010788 U KR 2020090010788U KR 20090010788 U KR20090010788 U KR 20090010788U KR 200454933 Y1 KR200454933 Y1 KR 200454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over
locking member
locking
rotary knob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906U (ko
Inventor
조태형
노홍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2020090010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93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9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9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9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트레이 커버 누름 방식의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는 사용이 편리하기는 하지만 자동차의 충돌이나 그 밖의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트레이 커버가 열리게 되어 자동차의 안전성을 저해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던 바,
트레이 커버에 고정 설치되는 노브 하우징과; 상기 노브 하우징에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회전노브와; 상기 회전노브의 좌우방향 회전을 전후방향의 왕복 이동으로 절환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작동부재에 접속되어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트레이 커버를 트레이 본체에 록킹시키거나 언록킹시키는 록킹부재와; 상기 록킹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인위적인 힘으로 회전노브를 회전시킬 때에만 트레이 커버의 록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되므로 외부 충격이나 오동작에 의해 트레이 커버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승객의 편의성과 자동차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트레이 커버, 노브 하우징, 회전노브, 피니언기어, 슬라이드 작동부재, 래크, 록킹부재, 압축스프링

Description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 {a Tray Cover Locking Apparatus for a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회전노브(Knob)를 회전시켜 트레이 커버의 록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트레이는 트레이 본체의 상부에 트레이 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 충격에 의해 트레이 본체에서 트레이 커버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록킹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종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는 트레이 커버를 눌러서 록킹을 해제하는 방식의 것이 주로 사용되었다.
상기 종래의 트레이 커버 누름 방식의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는 사용이 편리하기는 하지만 자동차의 충돌이나 그 밖의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트레이 커버가 열리게 되어 자동차의 안전성을 저해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공간상의 문제로 트레이 커버 상단에 누름노브를 설치할 경우 누름노브 작동시에 트레이 커버를 누를 수밖에 없게 되어 본의 아니게 트레이 커버가 열릴 수 있게 되며, 외부 충격에 의한 트레이 커버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강한 스프링력이 필요하게 되므로 작동성이 나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외부 충격이나 오동작에 의해 트레이 커버가 열리지 않도록 하면서도 보다 간단한 구조로 안정적으로 트레이 커버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는 트레이 커버에 고정 설치되는 노브 하우징과; 상기 노브 하우징에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회전노브와; 상기 회전노브의 좌우방향 회전을 전후방향의 왕복 이동으로 절환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작동부재에 접속되어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트레이 커버를 트레이 본체에 록킹시키거나 언록킹시키는 록킹부재와; 상기 록킹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에 있어서 노브 하우징은 내부 상 부 전방에 회전노브 접속부가 마련되고, 내부 중앙 전방에 슬라이드 작동부재 가이드부가 마련되는 동시에 내부 하부 전방에 록킹부재 가이드부가 마련되며, 회전노브 접속부의 하단 중앙에 회전노브의 회전중심축이 접속되는 힌지 접속구멍이 형성되고, 록킹부재 가이드부의 후면 중앙에 록킹부재 접속구멍이 형성된다.
회전노브는 내부 중앙 하부에 회전중심축이 돌출 형성되고, 하부 플랜지의 양측에 돌출부가 마련되는 동시에 좌측 돌출부의 외측면에 피니언기어가 형성된다.
슬라이드 작동부재는 양측 상부에 회전노브의 돌출부와 대응되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좌측 돌출부에 회전노브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래크가 형성되며,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전방 중앙에 록킹부재 접속턱이 형성된다.
록킹부재는 전방에 트레이 본체에 설치되는 록킹부재의 록킹홈에 삽입되는 록킹돌기가 마련되고, 록킹돌기의 후방에 슬라이드 작동부재 접속턱이 마련되며, 후방 중앙에 노브 하우징의 록킹부재 접속구멍에 삽입되는 가이드봉이 마련된다.
압축스프링은 록킹부재의 가이드봉 둘레에 설치되고, 노브 하우징의 록킹부재 가이드부 내부 후면과 록킹부재의 후면 사이에서 압축 및 신장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인위적인 힘으로 회전노브를 회전시킬 때에만 트레이 커버의 록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되므로 외부 충격이나 오동작에 의해 트레이 커버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승객의 편의성과 자동차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요부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요부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및 도 4에는 도 2의 A-A 선 단면도 및 B-B 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a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 록킹 상태의 요부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b에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 록킹 해제상태의 요부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b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는 트레이 커버(100)에 고정 설치되는 노브 하우징(10)과; 상기 노브 하우징(10)에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회전노브(20)와; 상기 회전노브(20)의 좌우방향 회전을 전후방향의 왕복 이동으로 절환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30)와; 상기 슬라이드 작동부재(30)에 접속되어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트레이 커버(100)를 트레이 본체(200)에 록킹시키거나 언록킹시키는 록킹부재(40)와; 상기 록킹부재(40)를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50)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에 있어서 노브 하우징(10)의 내부 상부 전방에 회전노브 접속부(11)가 마련되고, 회전노브 접속부(11)의 하단 중앙에 회전노브(20)의 회전중심축(21)이 접속되는 힌지 접속구멍(12)이 형성된다.
그리고 노브 하우징(10)의 내부 중앙 전방에 슬라이드 작동부재 가이드 부(13)가 마련되며, 노부 하우징(10)의 내부 하부 전방에 록킹부재 가이드부(14)가 마련되고, 록킹부재 가이드부(14)의 후면 중앙에 록킹부재 접속구멍(15)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에 있어서 회전노브(20)는 내부 중앙 하부에 회전중심축(21)이 돌출 형성되고, 하부 플랜지(22)의 양측에 돌출부(23)가 마련되며, 좌측 돌출부(23)의 외측면에 피니언기어(24)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에 있어서 노브 하우징(10)의 슬라이드 작동부재 가이드부(13)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30)는 양측 상부에 회전노브(20)의 돌출부(23)와 대응되는 돌출부(33)가 마련되고, 좌측 돌출부(33)에 회전노브 피니언기어(24)와 맞물리는 래크(34)가 형성되며, 슬라이드 작동부재(30)의 전방 중앙에 록킹부재 접속턱(35)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에 있어서 노브 하우징(10)의 록킹부재 가이드부(14)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록킹부재(40)는 전방에 트레이 본체(200)에 설치되는 록킹부재(60)의 록킹홈(61)에 삽입되는 록킹돌기(41)가 마련되고, 록킹돌기(41)의 후방에 슬라이드 작동부재 접속턱(43)이 마련되며, 후방 중앙에 노브 하우징(10)의 록킹부재 접속구멍(15)에 삽입되는 가이드봉(44)이 마련된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에 있어서 록킹부재(40)를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50)은 록킹부재(40)의 가이드봉(44) 둘레에 설치되고, 노브 하 우징(10)의 록킹부재 가이드부(14) 내부 후면과 록킹부재(40)의 후면 사이에서 압축 및 신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에 있어서 트레이 커버(100)의 록킹 상태에서는 도 4 및 도 5a와 같이 압축스프링(50)으로 탄성 지지되는 록킹부재(40)의 록킹돌기(41)가 트레이 본체(200)에 고정 설치된 록킹부재(60)의 록킹홈(61)에 삽입 결합되어 트레이 커버(100)가 열릴 수 없게 된다.
상기의 트레이 커버 록킹 상태에서 회전노브(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노브(20)의 피니언기어(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피니언기어(24)에 래크(34)가 접속된 슬라이드 작동부재(3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슬라이드 작동부재(30)가 그의 록킹부재 접속턱(35)에 슬라이드 작동부재 접속턱(43)을 통해 접속된 록킹부재(4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그에 따라 록킹부재(40)의 록킹돌기(41)가 트레이 본체 록킹부재(60)의 록킹홈(61)으로부터 이탈되어 트레이 커버(100)의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트레이 커버 언록킹 상태에서는 록킹부재(4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압축스프링(50)을 압축시키게 되며 회전노브(20)에 대한 작용력을 제거하게 되면 압축스프링(50)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록킹부재(40)가 전방으로 원위치하게 되면서 슬라이드 작동부재(30) 및 회전노브(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요부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 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선 단면도
도 5a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 록킹 상태의 요부 평면도
도 5b는 동 실시예의 트레이 커버 록킹 해제상태의 요부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트레이 커버 10 : 노브 하우징
11 : 회전노브 접속부 12 : 힌지 접속구멍
13 : 슬라이드 작동부재 가이드부 14 : 록킹부재 가이드부
15 : 록킹부재 접속구멍 20 : 회전노브
21 : 회전중심축 24 : 피니언기어
30 : 슬라이드 작동부재 34 : 래크
35 : 록킹부재 접속턱 40 : 록킹부재
41 : 록킹돌기 43 : 슬라이드 작동부재 접속턱
44 : 가이드봉 50 : 압축스프링
60 : 록킹부재 61 : 록킹홈
200 : 트레이 본체

Claims (2)

  1. 트레이 커버에 고정 설치되는 노브 하우징과; 상기 노브 하우징에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회전노브와; 상기 회전노브의 좌우방향 회전을 전후방향의 왕복 이동으로 절환하는 슬라이드 작동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작동부재에 접속되어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트레이 커버를 트레이 본체에 록킹시키거나 언록킹시키는 록킹부재와; 상기 록킹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노브 하우징은 내부 상부 전방에 회전노브 접속부가 마련되고, 내부 중앙 전방에 슬라이드 작동부재 가이드부가 마련되는 동시에 내부 하부 전방에 록킹부재 가이드부가 마련되며, 회전노브 접속부의 하단 중앙에 회전노브의 회전중심축이 접속되는 힌지 접속구멍이 형성되고, 록킹부재 가이드부의 후면 중앙에 록킹부재 접속구멍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회전노브는 내부 중앙 하부에 회전중심축이 돌출 형성되고, 하부 플랜지의 양측에 돌출부가 마련되는 동시에 좌측 돌출부의 외측면에 피니언기어가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슬라이드 작동부재는 양측 상부에 회전노브의 돌출부와 대응되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좌측 돌출부에 회전노브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래크가 형성되며, 슬라이드 작동부재의 전방 중앙에 록킹부재 접속턱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록킹부재는 전방에 트레이 본체에 설치되는 록킹부재의 록킹홈에 삽입되는 록킹돌기가 마련되고, 록킹돌기의 후방에 슬라이드 작동부재 접속턱이 마련되며, 후방 중앙에 노브 하우징의 록킹부재 접속구멍에 삽입되는 가이드봉이 마련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압축스프링은 록킹부재의 가이드봉 둘레에 설치되고, 노브 하우징의 록킹부재 가이드부 내부 후면과 록킹부재의 후면 사이에서 압축 및 신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
KR2020090010788U 2009-08-19 2009-08-19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 KR2004549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788U KR200454933Y1 (ko) 2009-08-19 2009-08-19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788U KR200454933Y1 (ko) 2009-08-19 2009-08-19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906U KR20110001906U (ko) 2011-02-25
KR200454933Y1 true KR200454933Y1 (ko) 2011-08-04

Family

ID=4420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788U KR200454933Y1 (ko) 2009-08-19 2009-08-19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9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33787B1 (en) * 2018-10-02 2022-02-2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One-hand mounting system for fixing an antenna module on a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752A (ko) * 1996-12-30 1998-09-25 김영귀 차량용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KR100812069B1 (ko) 2007-01-02 2008-03-0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덮개 록킹장치
KR20100008895A (ko) * 2008-07-17 2010-01-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752A (ko) * 1996-12-30 1998-09-25 김영귀 차량용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KR100812069B1 (ko) 2007-01-02 2008-03-0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덮개 록킹장치
KR20100008895A (ko) * 2008-07-17 2010-01-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용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906U (ko) 201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6787B2 (ja)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KR101244046B1 (ko) 로크장치
JP6076269B2 (ja) 車両用内装装置
JP4648965B2 (ja) 収納ボックスの開閉機構
JP4969295B2 (ja) 蓋体開閉装置
CN108372815B (zh) 车辆用滑动扶手
US20180162219A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fuel tank inlet cover of vehicle
KR20080091044A (ko) 덮개체 개폐장치
KR101176345B1 (ko) 차량용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글로브박스 조립체
KR102422966B1 (ko) 차량의 센터 암레스트
CN111902595A (zh) 具有集成有按钮式致动机构的可打开件的车辆存储设备
JP2016199937A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CN115075667A (zh) 用于手套箱的开闭装置
KR200454933Y1 (ko)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
JP5550240B2 (ja) 車両用コンソール装置
JP6424360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2006177040A (ja) ロック装置
KR101585661B1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장치
JP2019157425A (ja)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JP2016097882A (ja) グラブボックス
KR20100008895A (ko) 글로브 박스용 잠금장치
KR100561816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
JP3987969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5122926B2 (ja) リッド開閉機構
KR20120041015A (ko)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