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997B1 - 글로브박스 - Google Patents

글로브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997B1
KR101394997B1 KR1020130004375A KR20130004375A KR101394997B1 KR 101394997 B1 KR101394997 B1 KR 101394997B1 KR 1020130004375 A KR1020130004375 A KR 1020130004375A KR 20130004375 A KR20130004375 A KR 20130004375A KR 101394997 B1 KR101394997 B1 KR 101394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rod
housing
upper hous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완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4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26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글로브박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는, 앞쪽이 개방되어 차량의 크래쉬패드에 장착되는 어퍼하우징; 어퍼하우징의 개방된 앞쪽을 개폐할 수 있도록 어퍼하우징에 결합되는 박스하우징; 및 어퍼하우징에 고정되는 로드조립체를 포함하고, 로드조립체는, 어퍼하우징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로드; 이동로드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이 박스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는 후크; 및 후크를 하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후크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로드의 좌우방향 이동에 따라 좌측 및 우측의 후크에 의한 걸림이 같은 정도로 해제되면서 박스하우징이 오픈되어, 어느 한쪽(푸쉬노브와 먼쪽)의 후크가 불완전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동이 양호하게 이루어지고, 후크의 이동범위가 걸림홈의 형성범위에 한정되어 다른 구성과의 간섭가능성을 최소화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설계가 용이한 글로브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글로브박스{GLOVE BOX}
본 발명은 글로브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글로브박스의 개폐동작이 우수하고 개폐를 위한 설계가 용이한 글로브박스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설치되는 글로브박스는 일반적으로 조수석 쪽의 크래쉬패드에 설치되어, 물품을 보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글로브박스는 그래쉬패드 쪽에 일체로 고정되는 어퍼 하우징과, 어퍼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고 내부에 물품이 놓여 지기 위한 수납함을 형성하는 글로브박스 하우징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31989호는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을 개시하며, 구체적으로, 전면이 개방되며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는 어퍼 하우징; 어퍼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어퍼 하우징에 결합되는 글로브박스 커버; 내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도록 글로브박스 커버에 일체로 결합되는 글로브박스 하우징; 어퍼 하우징에 글로브박스 하우징을 락킹(Locking)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의 배면에 마련되는 락킹유닛; 및 차량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어퍼 하우징으로부터 글로브박스 하우징을 언락킹(Unlocking)시킬 수 있도록 글로브박스 하우징이 락킹된 상태에서 락킹유닛에 연결되며, 글로브박스 커버의 두께를 줄임과 동시에 헤드 임팩트 테스트시 타격부위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어퍼 하우징의 일측을 따라 연장 배치되는 언락킹유닛을 포함하도록 하고 있으며, 개폐장치(락킹유닛 및 언라킹유닛)를 구비하여 글로브박스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글로브박스 모듈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고 헤드임팩트 테스트시 타격부위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종래의 글로브박스는 그 개폐를 위하여 개폐장치를 구비하도록 하고 있는데, 글로브박스의 열림을 저지하는 후크(hook)와 같은 구성을 글로브박스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하고 후크의 작동을 위한 푸쉬버튼이 글로브박스의 전면 일측에 형성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개폐장치의 경우에는 개폐동작시 좌측 후크와 우측 후크 각각에 전달되는 이동량(개방을 위한 후크의 움직임)이 동일하지 않아 어느 한쪽의 후크의 걸림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즉, 푸쉬버튼에서 좌측 및 우측 후크까지 움직임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다수의 로드가 연결되어 있는데, 연결부분에서의 이격, 움직임 등에 의하여 어느 한쪽의 후크의 걸림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푸쉬버튼에서 가까운 쪽의 후크는 걸림이 해제되더라도 먼 쪽의 후크는 걸림이 해제되지 않아 개폐작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푸쉬버튼(푸쉬노브)에 의하여 개방작동이 이루어지더라도 글로브박스 좌우 양측에 형성된 후크의 이동량이 동일하여 개폐를 위한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개폐장치가 작동함에 따라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차량의 다른 구성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설계 우수성을 도모할 수 있는 글로브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앞쪽이 개방되어 차량의 크래쉬패드에 장착되는 어퍼하우징; 상기 어퍼하우징의 개방된 앞쪽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어퍼하우징에 결합되는 박스하우징; 및 상기 어퍼하우징에 고정되는 로드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조립체는, 상기 어퍼하우징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로드; 상기 이동로드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박스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를 하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후크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박스하우징의 좌측벽 상단에 형성되는 제1 걸림홈과 우측벽 상단에 형성되는 제2 걸림홈으로 구분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제1 걸림홈에 삽입되는 제1 후크와 상기 제2 걸림홈에 삽입되는 제2 후크로 구분되며, 상기 후크스프링은 상기 제1 후크를 탄력 지지하는 제1 후크스프링과 상기 제2 후크를 탄력 지지하는 제2 후크스프링으로 구분된다.
나아가 상기 제1 걸림홈, 제2 걸림홈, 제1 후크 및 제2 후크는 뒤쪽 면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앞쪽 면은 하측을 향할수록 뒤쪽으로 경사지거나 굴곡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로드에는, 상기 이동로드의 이동시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로드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퍼하우징 상측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이동로드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삽입되어 걸리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로드스프링은 상기 가이드돌기와 상기 이동로드를 서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하우징의 상측에는 상기 가이드돌기를 중심으로 좌측에 제1 지지리브가 형성되고 우측에 제2 지지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로드는 상기 제1 지지리브 및 제2 지지리브를 관통하여 지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에서 상기 이동로드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단부를 향할수록 앞쪽에서 뒤쪽으로 경사진 조절경사면을 갖는 조절로드가 고정되고, 상기 어퍼하우징의 좌측 또는 우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뒤쪽을 향할수록 바깥쪽으로 경사지며 상기 조절경사면과 밀착되는 가압경사면이 형성된 가압로드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하우징에는 상기 가압로드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감싸는 가압하우징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가압로드를 앞쪽으로 탄력 지지하는 가압스프링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압로드의 앞쪽 단부에는 푸쉬노브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푸쉬노브는 상기 박스하우징의 앞쪽에 노출된다.
또한 상기 박스하우징은 하단에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로드의 좌우방향 이동에 따라 좌측 및 우측의 후크에 의한 걸림이 같은 정도로 해제되면서 박스하우징이 오픈(open)되어, 어느 한쪽(푸쉬노브와 먼 쪽)의 후크가 불완전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동이 양호하게 이루어지고, 후크의 이동범위가 걸림홈의 형성범위에 한정되어 다른 구성과의 간섭 가능성을 최소화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설계가 용이한 글로브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글로브박스에서 박스하우징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어퍼하우징을 배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로드조립체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에서 후크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글로브박스(1)에서 박스하우징(20)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1)는 어퍼하우징(10), 박스하우징(20) 및 로드조립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1)는 푸쉬조립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로드조립체(30) 및 푸쉬조립체(40)는 글로브박스(1)의 개폐동작을 위하여 사용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1)의 전체적인 외형은, 통상의 차량에 설치되는 글로브박스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차량의 크래쉬패드(crash pad)에 장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1)는, 크래쉬패드 쪽에 고정되는 어퍼하우징(10)과 어퍼하우징(10)에서 개폐될 수 있는 박스하우징(20)을 포함한다.
어퍼하우징(10)은 크래쉬패드에 결합되는 부분이고, 글로브박스(1)의 뒤쪽을 구성한다. 어퍼하우징(10)의 앞쪽은 크게 개구된 형태를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앞쪽이 개구된 용기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퍼하우징(10)의 뒤쪽 일측에는 냉기공급구가 형성되고, 냉기공급구는 차량의 공조장치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냉기공급구는 차량의 공조장치 중 에어컨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에어컨의 작동시 냉기공급구를 통하여 냉기가 어퍼하우징(10) 안쪽 및 앞쪽으로 전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어퍼하우징(10)의 상부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11)가 형성된다. 가이드돌기(11)는 어퍼하우징(10) 상부면 중앙에서 앞쪽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어퍼하우징(10) 상측에서 가이드돌기(11) 좌측에는 제1 지지리브(12)가 형성되고 가이드돌기(11) 우측에는 제2 지지리브(13)가 형성된다. 제1 지지리브(12)와 제2 지지리브(13)는 좌우 방향으로 중앙이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로드조립체(30)의 이동로드(31)가 끼워지게 된다.
가이드돌기(11), 제1 지지리브(12) 및 제2 지지리브(13)는 로드조립체(30)를 지지하는 동시에 좌우방향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가이드돌기(11), 제1 지지리브(12) 및 제2 지지리브(13)는 로드조립체(30)가 상하 방향 또는 전후 방향의 이동 없이 좌우 방향으로 안정되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제1 지지리브(12) 및 제2 지지르브의 관통된 구멍에는 리테이너(retainer)가 결합될 수 있으며, 리테이너는 로드조립체(30)(특히 이동로드(31))를 감싸면서 이동로드(31)의 안정된 지지와 부드러운 이동을 돕는다. 리테이너는 아세탈(acetal)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글로브박스에서와 같이, 어퍼하우징(10) 앞쪽에 결합되는 박스하우징(20)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박스하우징(20)은 어퍼하우징(10)과 결합된 상태에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어퍼하우징(10) 자체가 물품을 수납할 있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박스하우징(20)은 어퍼하우징(10)의 개방된 앞쪽을 차폐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어떠한 경우든지, 박스하우징(20)은 어퍼하우징(10) 앞쪽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지며, 글로브박스(1)가 개방되는 경우 어퍼하우징(10) 내부 및 박스하우징(20) 안쪽이 노출되게 된다.
박스하우징(20)은 어퍼하우징(10)에서 회동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박스하우징(20) 하단에는 회전축(S)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박스하우징(20)에서 앞쪽부분(글로브박스(1)가 닫힌 경우 전면을 형성하는 부분)은 박스커버(24)로 칭하고, 박스커버(24)를 앞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방향을 정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서 어퍼하우징(10)을 배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로드조립체(30)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1)에서 후크(32a, 32b)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박스하우징(20)에는, 앞쪽면을 이루는 박스커버(24) 뒤쪽으로 좌측벽(21) 및 우측벽(22)이 구비되고, 좌측벽(21)과 우측벽(22) 상단에는 일부가 삭제된 형태로 제1 걸림홈(23a)과 제2 걸림홈(23b)이 각각 형성된다. 좌측벽(21)과 우측벽(22)은 서로 평행하거나 대칭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나아가 차량의 형상 및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제1 걸림홈(23a) 및 제2 걸림홈(23b))은 아래쪽을 향할수록 폭이 좁게 형성되는데, 특히 뒤쪽 면은 수직하게 형성되고 앞쪽 면은 하측을 향할수록 뒤쪽으로 경사지거나 굴곡지게 형성된다.
푸쉬조립체(40)는 푸쉬노브(44), 가압로드(41), 가압하우징(42) 및 가압스프링(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푸쉬노브(44)는 박스하우징(20)의 앞쪽에서 노출되고, 사용자가 뒤쪽 방향으로 누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푸쉬노브(44)를 뒤쪽으로 가압함으로써 로드조립체(30)가 작동하여 박스하우징(20)이 어퍼하우징(10)으로부터 개방되게 된다. 푸쉬노브(44)는 박스커버(24)의 어느 한쪽에 치우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차량에서의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박스커버(24)의 좌측 상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푸쉬노브(44)를 포함한 푸쉬조립체(40)가 글로브박스(1)의 좌측 상단에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가압로드(41)는 푸쉬노브(44)의 뒤쪽에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가압로드(41)는 가압하우징(42)에 의하여 어퍼하우징(10)에 고정되는데, 다만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가압로드(41)의 뒤쪽 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끼움돌기(41b)가 형성되고, 이러한 끼움돌기(41b)에 가압스프링(43)이 끼워진다.
끼움돌기(41b)의 앞쪽에서 오른쪽(로드조립체(30)를 향하는 쪽)에는 가압경사면(41a)이 형성된다. 가압경사면(41a)은 뒤쪽을 향할수록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가압하우징(42)은 어퍼하우징(10)에 고정조립되며 가압로드(41)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코일스프링 형태의 가압스프링(43)은 끼움돌기(41b)에 끼워진 상태로 가압하우징(42) 내부에 위치한다.
가압하우징(42) 내부에서 가압로드(41)의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의 이동은 저지되고, 가압로드(41)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압스프링(43)에 의해 앞쪽으로 탄력지지된다.
로드조립체(30)는 조절로드(35), 이동로드(31), 후크(32a, 32b), 후크스프링(33a, 33b) 및 로드스프링(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로드조립체(30)는 전체적으로로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조절로드(35)는 로드조립체(30)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조립체(40)가 글로브박스(1)의 왼쪽에 형성되는 경우 조절로드(35) 또한 글로브박스(1)의 왼쪽에 형성되고, 푸쉬조립체(40)가 글로브박스(1)의 오른쪽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조절로드(35)도 글로브박스(1)의 오른쪽에 형성되게 된다.
조절로드(35)에는 단부를 향할수록 앞쪽에서 뒤쪽으로 경사진 조절경사면(35a)이 형성된다. 조절경사면(35a)은 가압경사면(41a)과 닿는 부분으로서 가압경사면(41a)과 경사의 각도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푸쉬조립체(40)의 푸쉬노브(44)를 가압하여 가압로드(41)를 뒤쪽으로 이동시키면, 가압로드(41)의 가압경사면(41a)이 조절로드(35)의 조절경사면(35a)을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조절로드(35)가 안쪽(도 4에서 오른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조절로드(35)는, 푸쉬조립체(40)의 작동에 따라 로드조립체(30)가 우측 방향(또는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한다.
이동로드(31)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동로드(31)는 제1 지지리브(12) 및 제2 지지리브(13)와 교차하는 부분에서는, 안정된 이동을 위하여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스커버(24)는 크래쉬패드의 앞면에서 연속된 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므로, 박스커버(24)가 결합되는 지점의 크래쉬패드가 좌우대칭 형태가 아닌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이동로드(31)가 약간의 굴곡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로드(31)는 가이드돌기(11), 제1 지지리브(12) 및 제2 지지리브(13)에 의해 구속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리고 가이드돌기(11)와의 결합을 위하여 이동로드(31)의 중앙에는 가이드홈(36a)이 형성된다. 이동로드(31)에서 가이드홈(36a)이 형성되는 부분을 중앙부(36)로 칭하도록 한다.
가이드홈(36a)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고, 가이드돌기(11)가 가이드홈(36a)에 끼워져 걸리며, 가이드돌기(11)를 기준으로 이동로드(31)가 좌우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로드스프링(34)은 코일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며, 로드스프링(34)의 일단은 가이드돌기(11)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이동로드(31)의 중앙부(36)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돌기(11)를 기준으로 이동로드(31)가 좌우 일측(도 4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로드스프링(34)은 이동로드(31)를 반대쪽(도 4에서 왼쪽)으로 가압하며 탄력지지한다.
이동로드(31)의 좌우 양쪽에는 후크하우징(37)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하우징(37)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어 후크(32a, 32b)가 위쪽에서 삽입되며 상단에 캡(38)이 조립된다. 후크하우징(37)은 이동로드(31)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하우징(37)의 하단은, 후크(32a, 32b)의 하단부가 밖으로 노출되되 후크(32a, 32b)가 아래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후크하우징(37) 내부에는 후크스프링(33a, 33b)이 함께 수용되며, 후크스프링(33a, 33b)은 후크를 하측 방향으로 탄력지지한다.
후크는 이동로드(31)에 고정된 후크하우징(37)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후크의 하단은 박스하우징(20)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후크(32a, 32b)는 걸림홈(23a, 23b)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후크(32a, 32b)는 아래쪽을 향할수록 폭이 좁게 형성되고, 특히 뒤쪽 면은 수직하게 형성되며 앞쪽 면은 하측을 향할수록 뒤쪽으로 경사지거나 굴곡지게 형성된다.
즉, 후크(32a, 32b)가 걸림홈(23a, 23b)에 삽입된 상태에서 박스하우징(20)의 상측이 앞쪽으로 이동(회동)할 수 없도록 하고, 개방된 박스하우징(20)이 닫히는 경우에는 박스하우징(20)에서 걸림홈(23a, 23b) 뒤쪽의 좌측벽(21) 및 우측벽(22) 부분이 후크(32a, 32b)의 하단을 위쪽으로 밀면서 자연스럽게 후크(32a, 32b)가 걸림홈(23a, 23b)에 다시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처럼 후크(32a, 32b)는 이동로드(31)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후크는 서로 대칭된 제1 후크(32a)와 제2 후크(32b)로 나뉘어 구비되어 이동로드(3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후크스프링 또한 제1 후크스프링(33a)과 제2 후크스프링(33b)으로 구분되어 구비된다. 후크하우징(37) 또한 2개로 구비되어 제1 후크(32a)와 제2 후크(32b)쪽에 각각 구비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1)에서 박스하우징(20)의 개폐과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도 1과 같이 박스하우징(20)이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푸쉬노브(44)를 뒤쪽 방향으로 누르면 가압로드(41)가 뒤쪽으로 이동한다.
가압로드(41)가 뒤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가압로드(41)의 가압경사면(41a)이 조절로드(35)의 조절경사면(35a)을 밀게되고, 이에 따라 조절로드(35) 및 이동로드(31)가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동로드(31)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후크(32a)와 제2 후크(32b)가 동시에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걸림홈(23a)과 제2 걸림홈(23b)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제1 후크(32a)와 제2 후크(32b)는 이동로드(31)의 좌측 및 우측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결합되게 되므로 이동량 또한 동일하게 되고, 제1 후크(32a)와 제2 후크(32b) 중 어느 하나가 제1 걸림홈(23a) 또는 제2 걸림홈(23b)에서 이탈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푸쉬조립체(40)를 뒤쪽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로드조립체(30)의 이동로드(31)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에 있어서 제1 후크(32a)의 이동변위와 제2 후크(32b)의 이동변위는 차이가 없게 된다.
로드조립체(30) 및 푸쉬조립체(40)는 어퍼하우징(1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후크(32a, 32b)가 걸림홈(23a, 23b)에서 완전히 이탈함으로써, 박스하우징(20)은 회전축(S)을 기준으로 앞쪽으로 회전하게 된다.(박스하우징(20)의 회전축(S)은 박스하우징(20)의 무게중심 뒤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걸림이 해제되는 경우 박스하우징(20)이 자연스럽게 앞쪽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함)
그리고 푸쉬노브(44)에 가해진 외력이 해제된 경우 가압스프링(43)에 의하여 가압로드(41) 및 푸쉬노브(44)는 다시 앞쪽으로 이동한다. 아울러 로드스프링(34)에 의하여 이동로드(31), 제1 후크(32a) 및 제2 후크(32b) 또한 좌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회복한다.
개방된 박스하우징(20)을 닫는 경우에는 박스하우징(20)의 좌측벽(21) 및 우측벽(22) 상단 부분(제1 걸림홈(23a) 및 제2 걸림홈(23b) 뒤쪽 부분) 후크(32a, 32b)의 하단을 위쪽으로 밀면서 자연스럽게 후크(32a, 32b)가 후크하우징(37)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박스하우징(20)이 완전히 닫히면 후크(32a, 32b)가 걸림홈(23a, 23b)에 다시 삽입되게 된다.
박스하우징(20)이 닫히는 경우, 후크(32a, 32b)는 상하방향으로만 슬라이드 이동하고 이러한 후크(32a, 32b)의 이동범위가 후크(32a, 32b)의 본래 위치 및 후크하우징(37)의 형성범위에 한정되므로, 다른 구성과의 간섭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1)에 의하면, 이동로드(31)의 좌우방향 이동에 따라 제1 후크(32a)와 제2 후크(32b)에 의한 걸림이 같은 정도로 해제되면서 박스하우징(20)이 개방되어, 어느 한쪽(푸쉬노브(44)와 먼 쪽)의 후크(32a, 32b)가 불완전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동이 양호하게 이루어지고, 후크(32a, 32b)의 이동범위가 걸림홈(23a, 23b)의 형성범위에 한정되어 다른 구성과의 간섭 가능성을 최소화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설계가 용이한 글로브박스(1)를 제공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글로브박스 10 : 어퍼하우징
11 : 가이드돌기 12 : 제1 지지리브
13 : 제2 지지리브
20 : 박스하우징 21 : 좌측벽
22 : 우측벽
23a, 23b : 걸림홈 24 : 박스커버
30 : 로드조립체
31 : 이동로드 32a, 32b : 후크
33a, 33b : 후크스프링 34 : 로드스프링
35 : 조절로드 35a : 조절경사면
36 : 중앙부 36a: 가이드홈
37 : 후크하우징 38 : 캡
40 : 푸쉬조립체 41 : 가압로드
41a : 가압경사면 42 : 가압하우징
43 : 가압스프링 44 : 푸쉬노브

Claims (10)

  1. 앞쪽이 개방되어 차량의 크래쉬패드에 장착되는 어퍼하우징;
    상기 어퍼하우징의 개방된 앞쪽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어퍼하우징에 결합되는 박스하우징; 및
    상기 어퍼하우징에 고정되는 로드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조립체는,
    상기 어퍼하우징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로드;
    상기 이동로드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박스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를 하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후크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박스하우징의 좌측벽 상단에 형성되는 제1 걸림홈과 우측벽 상단에 형성되는 제2 걸림홈으로 구분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제1 걸림홈에 삽입되는 제1 후크와 상기 제2 걸림홈에 삽입되는 제2 후크로 구분되며,
    상기 후크스프링은 상기 제1 후크를 탄력 지지하는 제1 후크스프링과 상기 제2 후크를 탄력 지지하는 제2 후크스프링으로 구분되고,
    상기 이동로드에는, 상기 이동로드의 이동시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로드스프링이 결합되며,
    상기 어퍼하우징 상측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이동로드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삽입되어 걸리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로드스프링은 상기 가이드돌기와 상기 이동로드를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홈, 제2 걸림홈, 제1 후크 및 제2 후크는 뒤쪽 면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앞쪽 면은 하측을 향할수록 뒤쪽으로 경사지거나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하우징의 상측에는 상기 가이드돌기를 중심으로 좌측에 제1 지지리브가 형성되고 우측에 제2 지지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로드는 상기 제1 지지리브 및 제2 지지리브를 관통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7. 제1항, 제3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드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단부를 향할수록 앞쪽에서 뒤쪽으로 경사진 조절경사면을 갖는 조절로드가 고정되고,
    상기 어퍼하우징의 좌측 또는 우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뒤쪽을 향할수록 바깥쪽으로 경사지며 상기 조절경사면과 밀착되는 가압경사면이 형성된 가압로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하우징에는 상기 가압로드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감싸는 가압하우징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가압로드를 앞쪽으로 탄력 지지하는 가압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로드의 앞쪽 단부에는 푸쉬노브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푸쉬노브는 상기 박스하우징의 앞쪽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하우징은 하단에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KR1020130004375A 2013-01-15 2013-01-15 글로브박스 KR101394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375A KR101394997B1 (ko) 2013-01-15 2013-01-15 글로브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375A KR101394997B1 (ko) 2013-01-15 2013-01-15 글로브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997B1 true KR101394997B1 (ko) 2014-05-15

Family

ID=50894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375A KR101394997B1 (ko) 2013-01-15 2013-01-15 글로브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9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4192A (ja) 2003-09-29 2005-04-21 Kojima Press Co Ltd グローブボックス用開閉ロック装置
KR100814516B1 (ko) * 2006-11-24 2008-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록킹장치
KR101178414B1 (ko) * 2011-03-25 2012-08-30 덕양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글로브 박스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4192A (ja) 2003-09-29 2005-04-21 Kojima Press Co Ltd グローブボックス用開閉ロック装置
KR100814516B1 (ko) * 2006-11-24 2008-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록킹장치
KR101178414B1 (ko) * 2011-03-25 2012-08-30 덕양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글로브 박스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7378B2 (ja) 車両用収納装置
US7726705B2 (en) Locking device of tray for vehicle
US9102277B2 (en) Storage structure for vehicle
KR102211505B1 (ko) 차일드 시트
JP5336247B2 (ja) 引出し装置
JP5698613B2 (ja) スライド構造
US20160052426A1 (en) Locking device for baby car seat
EP2857259B1 (en) Vehicle seat
JP5728281B2 (ja) ロック装置
KR101394997B1 (ko) 글로브박스
JP6301148B2 (ja) ロック装置
JP7447544B2 (ja) ワイヤレス給電ホルダ
CN113492743A (zh) 安装在车辆的控制台上的扶手组件
JP2017202732A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
WO2015146351A1 (ja) 乗物用シートのテーブル
KR20150094857A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록킹장치
JP6107723B2 (ja) 乗物用シートのテーブル
KR101260848B1 (ko)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JP6125198B2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6961637B2 (ja) ロック機構
JP2017172128A (ja) ロック装置
KR101172138B1 (ko) 콘솔 암레스트 구조
JP7232418B2 (ja) 車両用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装置
JP5800201B2 (ja) サイドロック装置
JP2009143449A (ja) 容器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