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285B1 - 글로브 박스 - Google Patents

글로브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285B1
KR101458285B1 KR1020120152796A KR20120152796A KR101458285B1 KR 101458285 B1 KR101458285 B1 KR 101458285B1 KR 1020120152796 A KR1020120152796 A KR 1020120152796A KR 20120152796 A KR20120152796 A KR 20120152796A KR 101458285 B1 KR101458285 B1 KR 101458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s
link
locking
flow
box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3259A (ko
Inventor
박병희
염병윤
서동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라코
Priority to KR1020120152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285B1/ko
Publication of KR20140083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구비되어 물건을 담을수 있도록 개폐되면서 공간이 형성되되, 그 개폐를 하기 위한 장치의 형성 부피를 최소화 한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는, 차량의 차체(130)에서 회동 되면서 개폐되는 박스몸체(100); 상기 박스몸체(100)의 전면 외부에서 상기 박스몸체(100)의 측면으로 관통하면서 외부의 가압에 의해 유동 되는 전후유동링크(200); 상기 전후유동링크(200)의 전후유동에 의해 좌우유동 되는 좌우유동링크(300);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의 좌우유동에 연동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 되고, 그 유동을 통해 상기 차체(130)에 연결 또는 분리되며 한 쌍이 상호 마주보면서 연동되되 상기 박스몸체(100)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1,2잠금링크(400, 400'); 및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가 동시에 연결되어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직선운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상호 간격이 가까워 지거나 멀어지도록 하는 회전링크(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글로브 박스{GLOBE BOX}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구비되어 물건을 담을수 있도록 개폐되면서 공간이 형성되되, 그 개폐를 하기 위한 장치의 형성 부피를 최소화 한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글로브박스(Glove Box)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조수석에 설치되어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힌지결합에 의해 회동하면서 개폐되는 차량용 보관박스를 지칭하는 말이다.
자동차 산업이 발전하면서 단순 물품 보관함으로만 사용되어 왔던 글로브박스가 근래에는 냉/온 기능이 부가되어 기능적인 면에서 사용자들에게 한층 더 높은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글로브박스는 잠금장치와 개폐장치가 설치되는데, 잠금장치는 키(key)를 이용하여 타인이 함부로 개방하지 못하게 잠금 시킬 때 사용하며, 개폐장치는 글로브박스를 개방할 때 잠금장치가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하여 글로브박스를 개방한다.
이러한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는 꾸준한 기술개발로 인하여 조작의 편의성, 설치의 간소화, 단순 메카니즘으로 인한 비용절감 등 여러 방면으로 개폐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글로브박스는 개폐를 위한 잠금장치 모듈이 글로브박스의 덮개에 내장되도록 형성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잠금장치 모듈이 형성된 부피만큼 글로브박스 내부의 수납공간은 줄어들 수 밖에 없는 구조로, 사용자가 글로브박스 내부에 물건을 수납하기에는 협소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글로브박스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글로브박스의 덮개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개폐손잡이를 잡아당김으로써 글로브박스를 개방하였는데, 잦은 사용으로 인해 손잡이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글로브박스 내부의 수납물이 글로브박스의 잠금장치 모듈에 끼이 거나 걸려, 글로브박스 덮개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지 않은 상태에서 글로브박스의 덮개가 개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 1997-0038668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는, 글로브박스를 개폐하는 잠금장치를 글로브박스의 뒤쪽인 차체부위에 가깝도록 배치하여 글로브박스 내부의 수납공간을 최대화 하는 글로브 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는, 글로브 박스를 개폐하기 위한 잠금장치를 간편하게 누를 수 있도록 된 버튼으로 하되, 그 버튼을 글로브 박스의 테두리 부위에 설치하여 잡아당김으로 인한 잠금장치의 파손을 최소화 하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글로브 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는, 글로브박스 내부의 수납물이 글로브박스의 잠금장치에 끼이거나 걸리는 것을 차단하여 글로브 박스 덮개의 개폐가 원활하고 견고하도록 하는 글로브 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는, 차량의 차체(130)에서 회동 되면서 개폐되는 박스몸체(100); 상기 박스몸체(100)의 전면 외부에서 상기 박스몸체(100)의 측면으로 관통하면서 외부의 가압에 의해 유동 되는 전후유동링크(200); 상기 전후유동링크(200)의 전후유동에 의해 좌우유동 되는 좌우유동링크(300);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의 좌우유동에 연동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 되고, 그 유동을 통해 상기 차체(130)에 연결 또는 분리되며 한 쌍이 상호 마주보면서 연동되되 상기 박스몸체(100)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1,2잠금링크(400, 400'); 및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가 동시에 연결되어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직선운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상호 간격이 가까워 지거나 멀어지도록 하는 회전링크(500);를 포함한다.
상기 박스몸체(100)는, 내부에 물건이 수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는 수납함(110)과, 상기 수납함(110)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덮개(120)와, 상기 수납함(110)이 상기 차체(130)에 연결되어 회동 되면서 개폐되도록 상기 차체(130)에 구비되는 개폐축(140)을 포함한다.
상기 전후유동링크(200)는, 상기 박스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가압버튼(210)과, 상기 가압버튼(210)에서 상기 박스몸체(100)의 측면을 따라 연장형성되되 중단이 절곡되는 절곡단(220)을 포함하고, 상기 박스몸체(100)는, 상기 박스몸체(100)에 고정형성되되 상기 절곡단(220)에 밀착되어 상기 전후유동링크(200)가 상기 가압버튼(210)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전후스프링(240)을 포함한다.
상기 전후유동링크(200)는,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와 연결되는 부위에 경사각을 갖으면서 형성되는 밀음경사면(230)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유동링크(300)는, 상기 밀음경사면(230)과 대응된 형태로 밀착되어 상기 밀음경사면(230)을 통해 밀리면서 상기 좌우유동링크(300)가 좌우로 유동 될 수 있도록 경사각을 갖으면서 형성되는 밀림경사면(310)과,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잠금링크(400)가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와 연동 되도록 하는 연동돌기(320)와,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에 연결되어 상기 좌우유동링크(300)가 상기 전후유동링크(200)가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좌우스프링(3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잠금링크(400)는, 상기 회전링크(500)의 하부에 고정형성되는 제1축핀(410)에 선단이 연결되고 말단이 상기 제1잠금링크(400)에 고정형성되는 제2축핀(420)에 연결되는 제1반회전링크(430)와, 상기 제1잠금링크(400)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박스몸체(1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차체(130)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제1잠금핀(440)과, 상기 제1잠금링크(400)에 연결되어 상기 제1잠금링크(400)가 상기 제1잠금핀(440)의 형성 방향으로 이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1잠금스프링(450)과, 상기 제1잠금링크(400)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의 유동에 연동되도록 하는 밀림돌기(46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잠금링크(400')는, 상기 회전링크(500)의 측면상부에 형성되는 제1축핀(410')에 선단이 연결되고 말단이 상기 제2잠금링크(400')에 형성되는 제2축핀(420')에 연결되는 제2반회전링크(430')와, 상기 제2잠금링크(400')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박스몸체(100)를 관통하여 상기 차체(130)에 연결 또는 분리 되는 제2잠금핀(440')과, 상기 제2잠금링크(400')에 연결되어 상기 제2잠금링크(400')가 상기 제2잠금핀(440')의 형성 방향으로 이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2잠금스프링(45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링크(500)는, 상기 박스몸체(100)에 고정형성되는 회전축(134)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134) 상에서 회전되되, 상기 회전링크(50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상호 간격이 가까워지면서 상기 박스몸체(100)의 내부가 외부로 개방되고, 상기 회전링크(500)가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상호 간격이 멀어지면서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가 상기 차체(130)에 연결되어 상기 박스몸체(100)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폐쇄되도록 한다.
상기 차체(130)는, 상기 박스몸체(100)를 관통한 상기 제1,2잠금핀(440, 440')이 각각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잠금홈(136, 136')을 포함한다.
상기 박스몸체(100)는, 상기 전후유동링크(200)를 감싸면서 상기 전후유동링크(200)의 유동을 안내하는 전후안내판(150)과, 상기 좌우유동링크(300)를 감싸면서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의 유동을 안내하는 좌우안내판(160)과,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와 상기 회전링크(500)를 감싸면서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와 상기 회전링크(500)의 유동을 안내하는 잠금안내판(1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는, 글로브박스 내부의 수납공간을 최대화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는, 버튼방식으로 개폐되는 글로브 박스를 통해, 잡아당김으로 인한 잠금장치의 파손을 최소화 하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는, 글로브박스 내부의 수납물이 글로브박스의 잠금장치에 끼이거나 걸리는 것을 차단하여 글로브 박스 덮개의 개폐가 원활하고 견고하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차량 내부에 구비되어 물건을 담을수 있도록 개폐되면서 공간이 형성되되, 그 개폐를 하기 위한 장치의 형성 부피를 최소화 한 글로브 박스 [특히, 전후유동링크, 좌우유동링크, 회전링크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차량은 차체(130)와, 상기 차체(130)의 내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시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체(130)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사용하는 물건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글로브박스인 박스몸체(1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박스몸체(100)는 상기 차체(130)에서 회동 되면서 개폐되게 된다.
상기 박스몸체(100)가 개폐되기 위해서는 상기 박스몸체(100)의 전면 외부에서 상기 박스몸체(100)의 측면으로 관통하면서 외부의 가압에 의해 유동 되는 전후유동링크(2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유동링크(200)의 전후 유동에 의해 좌우유동 되는 좌우유동링크(3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의 좌우유동에 연동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 되고, 그 유동을 통해 상기 차체(130)에 연결 또는 분리되며 한 쌍이 상호 마주보면서 연동 되되 상기 박스몸체(100)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1,2잠금링크(400, 40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2 잠금링크(400, 400')는 좌우유동링크(300)의 작동시 회전링크(500)를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제1, 2 잠금링크(400, 400')는 좌우유동링크(300)의 작동시 동시에 상기 회전링크(500)를 향해 이동하거나 상기 좌우유동링크(3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사이에는,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가 동시에 연결되어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직선운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상호 간격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하는 회전링크(5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후유동링크(200)는, 상기 박스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가압버튼(21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가압버튼(210)을 누름으로써, 상기 가압버튼(210)과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전후유동링크(200)가 유동 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박스몸체(100)는, 내부에 물건이 수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는 수납함(110)과, 상기 수납함(110)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덮개(120)를 갖는다.
이하에서, 상기 차체(130)에 연결되는 상기 박스몸체(100)는, 차량에서 상기 전면덮개(120)가 보이는 부분을 전면이라 하고, 상기 차체(130)의 내부에 수용된 박스몸체(100)의 전면과 마주보는 내측은 배면이라 하며, 전면과 배면 사이의 상기 박스몸체(100)의 테두리 부위는 측면이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체(130)에는, 상기 수납함(110)이 상기 차체(130)에 연결되어 회동 되면서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축(140)이 고정형성된다.
즉, 상기 박스몸체(100)는, 상기 차체(130)에 연결되면서 상기 개폐축(140) 상에서 회동 되면서 상기 수납함(110)이 상기 차체(130)의 외부로 노출되어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박스몸체(100)가 상기 개폐축(140) 상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동 되면 상기 박스몸체(100)가 상기 차체(130) 내부로 수용되면서 상기 수납함(110)이 폐쇄되게 된다.
상기 가압버튼(210)은, 상기 박스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가압버튼(210)을 누르면 상기 전후유동링크(200)는, 상기 박스몸체(100)의 배면 방향으로 유동 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후유동링크(200)는, 상기 박스몸체(100)에 지지 되되 상기 박스몸체(100)의 측면 외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후유동링크(200)가 유동 되면서 상기 좌우유동링크(300)가 좌우 방향으로 유동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전후유동링크(200)는 상기 좌우유동링크(300)가 좌우로 유동 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좌우유동링크(300)가 유동 되면,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에 연결되는 상기 제1잠금링크(400)가 연동 되면서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 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유동링크(300)는, 상기 박스몸체(100)에 지지 되되 상기 박스몸체(100)의 배면 외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좌우유동링크(300)는 상기 제1잠금링크(400)가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 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잠금링크(400)는,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는, 상기 회전링크(5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링크(500)와 연결되면서 상호 마주보며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잠금링크(400)의 좌우 유동으로 인해 상기 회전링크(500)가 회전되면 상기 제2잠금링크(400')도 연동 되어 유동 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링크(500)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유동으로 인해,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는 상호 간격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양측 말단은 각각 상기 차체(130)에 연결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상호 간격이 가까워 지게 되면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양측 말단은 상기 차체(130)에서 이탈되어 상기 박스몸체(100)가 상기 차체(130)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수납함(110)이 개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박스몸체(100)가 상기 수납함(110)이 개방될 때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차체(130) 내부로 수용되게 되면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는 상호 간격이 멀어지면서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양측 말단이 각각 상기 차체(130)에 연결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양측 말단이 각각 상기 차체(130)에 연결되면서 상기 박스몸체(100)의 상기 수납함(110)은 폐쇄되게 된다.
상기 전후유동링크(200)와 상기 좌우유동링크(300),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 및 상기 회전링크(500)의 작동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3 및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전후유동링크(200)는, 상기 박스몸체(100)의 상기 전면덮개(120) 외부로 돌출되는 가압버튼(21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전후유동링크(200)는, 상기 가압버튼(210)에서 상기 박스몸체(100)의 측면을 따라 연장형성되되 중단이 절곡되는 절곡단(220)을 갖는다.
또한, 상기 박스몸체(100)는, 상기 박스몸체(100)에 고정형성되되 상기 절곡단(220)에 밀착되어 상기 전후유동링크(200)가 상기 가압버튼(210)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전후스프링(2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후유동링크(200)는, 상기 절곡단(220)에 밀착배치되는 상기 전후스프링(240)의 탄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가압버튼(210)에서 손을 뗄 경우, 상기 전후유동링크(200)가 다시 상기 가압버튼(210)의 형성 방향으로 유동 되게 된다.
즉, 상기 전후스프링(240)은, 상기 전후유동링크(200)가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유동 된 후, 사용자의 가압 반대 방향으로 유동 되어 원위치 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전후유동링크(200)는,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와 연결되는 부위에 경사각을 갖으면서 형성되는 밀음경사면(2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유동링크(300)는, 상기 밀음경사면(230)과 대응된 형태로 밀착되어 상기 밀음경사면(230)을 통해 밀리면서 상기 좌우유동링크(300)가 좌우로 유동 될 수 있도록 경사각을 갖으면서 형성되는 밀림경사면(310)을 갖는다.
이러한 상기 밀음경사면(230)과 상기 밀림경사면(310)은, 상호 대응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밀착되고, 이때 형성되는 경사는 각각 45˚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밀음경사면(230)과 상기 밀림경사면(310)의 경사각은 상기 전후유동링크(200)의 유동을 통해 상기 좌우유동링크(300)가 좌우로 원활하게 유동 될 수 있다면 다양한 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유동링크(300)는,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잠금링크(400)가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와 연동 되도록 하는 연동돌기(320)를 갖는다.
또한, 상기 좌우유동링크(300)는,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에 연결되어 상기 좌우유동링크(300)가 상기 전후유동링크(200)가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좌우스프링(33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전후유동링크(200)의 상기 밀음경사면(230)이 상기 밀림경사면(310)에 밀착된 채로, 상기 밀림경사면(310)을 밀게 되면, 상기 밀림경사면(310)의 경사면으로 인해 상기 좌우유동링크(300)는, 상기 밀림경사면(310)이 형성된 반대 방향으로 유동 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유동링크(300)가 유동 되면서,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에 돌출 형성되는 연동돌기(320)가 상기 제1잠금링크(40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밀림돌기(460)를 가압하면서 상기 제1잠금링크(400)도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 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잠금링크(400)가 유동 되면서 상기 제1잠금링크(400)와 마주보는 제2잠금링크(400')도 연동 되고, 와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링크(500)도 회전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사이 간격이 가까워 지게 되면, 상기 차체(130)에 연결되었던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양측 말단이 상기 차체(130)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수납함(110)이 개방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후유동링크(200)는, 상기 박스몸체(100)의 측면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박스몸체(100)의 측면을 따라 전후로 유동 되면서 상기 좌우유동링크(300)가 유동 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유동링크(300)는, 상기 전후유동링크(20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을 상기 제1잠금링크(400)로 전달하여,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 및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와 연결되는 상기 회전링크(500)가 동작 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 및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와 연결되는 상기 회전링크(500)의 동작을 통하여 상기 수납함(110)은 개방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좌우유동링크(300)가 유동 된 후, 사용자가 상기 가압버튼(210)의 가압을 중지하게 되면, 상기 전후유동링크(200)의 가압이 완료되면서 상기 전후스프링(24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전후유동링크(200)는 상기 가압버튼(210)의 형성 방향으로 유동 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좌우유동링크(300)도 상기 좌우스프링(330)의 탄성에 의해 상기 밀림경사면(310)이 형성된 방향으로 유동 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 및 상기 회전링크(500)도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는데,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 및 상기 회전링크(500)에 대한 작동내용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도 5 및 도 6을 살펴보면, 막대형태로 형성되는 제1잠금링크(400)는, 상기 제1잠금링크(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좌우유동링크(300)의 좌우 직선운동에 의해 연동 된다.
이때, 상기 좌우유동링크(300)는,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잠금링크(400)가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와 연동 되도록 하는 연동돌기(320)를 갖는다.
상기 좌우유동링크(300)는,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에 연결되어 상기 좌우유동링크(300)가 상기 전후유동링크(200)가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좌우스프링(3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잠금링크(400)는,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상기 연동돌기(320)에 의해 가압 되어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와 연동 되게 된다.
상기 제1잠금링크(400)는, 상기 회전링크(500)의 하부에 고정형성되는 제1축핀(410)에 선단이 연결되고 말단이 상기 제1잠금링크(400)에 고정형성되는 제2축핀(420)에 연결되는 제1반회전링크(43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1반회전링크(430)는, 상기 제1잠금링크(400)와 상기 회전링크(500)의 사이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1잠금링크(400)의 직선운동을 상기 회전링크(500)에 전달하여 상기 회전링크(5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잠금링크(400)는, 상기 제1잠금링크(400)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박스몸체(1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차체(130)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제1잠금핀(440)을 갖는다.
이때, 상기 제1잠금핀(440)은, 상기 제1잠금링크(400)의 직선운동을 통해 상기 박스몸체(100)가 상기 차체(130)에서 고정 또는 유동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납함(110)이 폐쇄 또는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잠금링크(400)는, 상기 제1잠금링크(400)에 연결되어 상기 제1잠금링크(400)가 상기 제1잠금핀(440)의 형성 방향으로 이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1잠금스프링(450)을 갖는다.
더불어, 상기 제1잠금링크(400)는, 상기 제1잠금링크(400)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의 유동에 연동 되도록 하는 밀림돌기(4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밀림돌기(460)는,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연동돌기(320)에 의해 가압 되어, 상기 제1잠금링크(400)가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와 연동 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잠금링크(400')는, 상기 제1잠금링크(400)를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1잠금링크(40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잠금링크(400')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회전링크(500)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링크(500)는, 상기 제1잠금링크(400)와 상기 제2잠금링크(4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잠금링크(400)와 상기 제2잠금링크(400')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제1잠금링크(400)의 동작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2잠금링크(400')가 연동 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잠금링크(400')는, 상기 회전링크(500)의 측면상부에 형성되는 제1축핀(410')에 선단이 연결되고 말단이 상기 제2잠금링크(400')에 형성되는 제2축핀(420')에 연결되는 제2반회전링크(430')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반회전링크(430')는, 상기 제2잠금링크(400')와 상기 회전링크(500)의 사이에 연결되면서 상기 회전링크(500)의 회전운동이 상기 제2잠금링크(400')에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제2잠금링크(400')가 수평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잠금링크(400')는, 상기 제2잠금링크(400')에 연결되어 상기 제2잠금링크(400')가 상기 제2잠금핀(440')의 형성 방향으로 이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2잠금스프링(45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잠금핀(440')은, 상기 제2잠금링크(400')의 직선운동을 통해 상기 박스몸체(100)가 상기 차체(130)에서 고정 또는 유동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납함(110)이 폐쇄 또는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링크(500)는, 상기 박스몸체(100)에 고정형성되는 회전축(134)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134) 상에서 회전되되, 상기 회전링크(50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상호 간격이 가까워지면서 상기 박스몸체(100)의 내부가 외부로 개방되도록 한다.
즉, 상기 회전축(134)은, 상기 박스몸체(100)의 배면에 고정배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34)은, 상기 회전링크(500)가 상기 회전축(134) 상에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134)은, 상기 회전링크(50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고, 동력을 제공하지 않으며, 다만 상기 제1잠금링크(400)의 동작에 연동 되어 상기 회전링크(5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링크(500)의 축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링크(500)가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상호 간격이 멀어지면서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가 상기 차체(130)에 연결되어 상기 박스몸체(100)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폐쇄되도록 한다.
상기 차체(130)는, 상기 박스몸체(100)를 관통한 상기 제1,2잠금핀(440, 440')이 각각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잠금홈(136, 136')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잠금링크(400)의 직선운동을 통해 상기 회전링크(500)가 회전되면, 상기 회전링크(500)에 연결되는 상기 제2잠금링크(400')가 연동 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간격이 상호 멀어지게 되면, 상기 제1,2잠금핀(440, 440')이 각각 상기 잠금홈(136, 136')에 연결되면서 상기 박스몸체(100)의 상기 수납함(110)이 폐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간격이 상호 가까워지게 되면, 상기 제1,2잠금핀(440, 440')이 각각 상기 잠금홈(136, 136')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박스몸체(100)가 상기 차체(130)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수납함(110)이 개방상태가 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2잠금핀(440, 440')은, 상기 잠금홈(136, 136')에 연결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수납함(110)이 밀폐 또는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도 7을 살펴보면, 차체(130)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사용하는 물건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글로브박스인 박스몸체(1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박스몸체(100)는 상기 차체(130)의 개폐축(140)과 연결되어, 상기 차체(130)에서 회동 되면서 개폐되게 된다.
상기 박스몸체(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 되는 수납함(110)과 그 수납함(110)의 일 측인 상기 박스몸체(100)의 전면을 덮는 전면덮개(12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박스몸체(100)가 개폐된다는 말은, 상기 차체(130)에 연결되면서 상기 개폐축(140) 상에서 회동 되면서 상기 수납함(110)이 상기 차체(130)의 외부로 노출되어 개방되거나 다시 상기 차체(130)의 내부로 진입되면서 폐쇄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박스몸체(100)가 상기 개폐축(140) 상에서 일 방향으로 회동 되면 상기 박스몸체(100)가 상기 차체(130)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수납함(110)이 개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박스몸체(100)가 상기 개폐축(140) 상에서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 되면 상기 박스몸체(100)가 상기 차체(130) 내부로 수용되면서 상기 수납함(110)이 폐쇄되게 된다.
하기에서는 상기 수납함(110)의 개방되는 과정과 폐쇄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박스몸체(100)가 개폐되기 위해서는 상기 박스몸체(100)의 전면 외부에서 상기 박스몸체(100)의 측면으로 관통하면서 외부의 가압에 의해 유동 되는 전후유동링크(2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유동링크(200)의 전후 유동에 의해 좌우유동 되는 좌우유동링크(3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의 좌우유동에 연동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 되고, 그 유동을 통해 상기 차체(130)에 연결 또는 분리되며 한 쌍이 상호 마주보면서 연동되되 상기 박스몸체(100)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1,2잠금링크(400, 40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2 잠금링크(400, 400')는 좌우유동링크(300)의 작동시 회전링크(500)를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제1, 2 잠금링크(400, 400')는 좌우유동링크(300)의 작동시 동시에 상기 회전링크(500)를 향해 이동하거나 상기 좌우유동링크(3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사이에는,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가 동시에 연결되어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직선운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상호 간격이 가까워 지거나 멀어지도록 하는 회전링크(500)가 구비된다.
상기 박스몸체(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가압버튼(210)이 돌출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가압버튼(210)은,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후유동링크(200)는, 상기 박스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가압버튼(21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가압버튼(210)을 누름으로써, 상기 가압버튼(210)과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전후유동링크(200)가 유동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압버튼(210)은, 상기 박스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가압버튼(210)을 누르면 상기 전후유동링크(200)는, 상기 박스몸체(100)의 배면 방향으로 유동 되게 된다.
상기 전후유동링크(200)가 상기 박스몸체(100)의 배면 방향으로 유동 되면, 상기 전후유동링크(200)에 의해 상기 좌우유동링크(300)가 상기 박스몸체(100)의 측면에서 마주보는 측면 방향으로 유동 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의 유동에 의해 상기 제1잠금링크(400)가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 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1잠금링크(400)가 유동 되면 상기 제1잠금링크(400)에 연결되는 상기 회전링크(500)가 회전되게 된다.
상기 제1잠금링크(400)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기 회전링크(500)를 사이에 두고 제2잠금링크(400')가 배치된다.
상기 제2잠금링크(400') 또한 상기 회전링크(500)와 연결되어 연동 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링크(50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2잠금링크(400')도 연동 되어 직선운동 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가 직선운동 하면서,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상호 간격이 좁아지면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양 끝단에 형성되는 제1,2잠금핀(440, 440')이 차체(130)에 형성되는 홈인 잠금홈(136, 136')에서 이탈된다.
상기 제1,2잠금핀(440, 440')이 상기 잠금홈(136, 136')에서 이탈되면, 상기 박스몸체(100)가 상기 개폐축(140) 상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수납함(110)이 개방 되게 된다.
개방된 상기 수납함(110)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물품을 인출하거나 수용시킨 후, 상기 전면덮개(120)를 손으로 가압하여 상기 박스몸체(100)가 다시 상기 개폐축(140)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차체(130)의 내부로 진입되게 된다.
상기 박스몸체(100)가 상기 차체(130) 내부로 진입함으로써, 상기 수납함(110)은 밀폐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전후유동링크(200)와 상기 좌우유동링크(300),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 및 상기 회전링크(500)는, 상기 박스몸체(100)의 측면을 통해 상기 박스몸체(100)의 배면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구성요소들이 그 배치 위치를 이탈하지 않고 견고하게 작동 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박스몸체는, 상기 전후유동링크(200)를 감싸면서 상기 전후유동링크(200)의 유동을 안내하는 전후안내판(150)을 갖는다.
상기 전후안내판(150)은, 상기 전후유동링크(200)의 상기 가압버튼(210)이 가 가압 되면서 상기 박스몸체(100)의 배면 방향으로 이동된 후 다시 원위치 되는 동안 그 배치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박스몸체(100)는, 상기 좌우유동링크(300)를 감싸면서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의 유동을 안내하는 좌우안내판(160)을 갖는다.
상기 좌우안내판(160)은, 상기 전후유동링크(200)의 유동에 의해 연동 되는 상기 좌우유동링크(300)가 유동 되면서 그 유동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와 상기 회전링크(500)를 감싸면서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와 상기 회전링크(500)의 유동을 안내하는 잠금안내판(170)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잠금안내판(170)은,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와 상기 회전링크(500)가 유동 되면서 그 유동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글로브박스 내부의 수납공간을 최대화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버튼방식으로 개폐되는 글로브 박스를 통해, 잡아당김으로 인한 잠금장치의 파손을 최소화 하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글로브박스 내부의 수납물이 글로브박스의 잠금장치에 끼이거나 걸리는 것을 차단하여 글로브 박스 덮개의 개폐가 원활하고 견고하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 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박스몸체 110 : 수납함
120 : 전면덮개 130 : 차체
134 : 회전축 136, 136' : 잠금홈
140 : 개폐축 150 : 전후안내판
160 : 좌우안내판 170 : 잠금안내판
200 : 전후유동링크 210 : 가압버튼
220 : 절곡판 230 : 밀음경사면
240 : 전후스프링
300 : 좌우유동링크 310 : 밀림경사면
320 : 연동돌기 330 : 좌우스프링
400, 400' : 제1,2잠금링크 410, 410' : 제1축핀
420, 420' : 제2축핀 430, 430' : 제1,2반회전링크
440, 440' : 제1,2잠금핀 450, 450 ': 제1,2잠금스프링
460 : 밀림돌기
500 : 회전링크

Claims (8)

  1. 차량의 차체(130)에서 회동 되면서 개폐되는 박스몸체(100);
    상기 박스몸체(100)의 전면 외부에서 상기 박스몸체(100)의 측면으로 관통하면서 외부의 가압에 의해 유동 되는 전후유동링크(200);
    상기 전후유동링크(200)의 전후유동에 의해 좌우유동 되는 좌우유동링크(300);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의 좌우유동에 연동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 되고, 그 유동을 통해 상기 차체(130)에 연결 또는 분리되며 한 쌍이 상호 마주보면서 연동되되 상기 박스몸체(100)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1,2잠금링크(400, 400'); 및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가 동시에 연결되어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직선운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상호 간격이 가까워 지거나 멀어지도록 하는 회전링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잠금링크(400)는,
    상기 회전링크(500)의 하부에 고정형성되는 제1축핀(410)에 선단이 연결되고 말단이 상기 제1잠금링크(400)에 고정형성되는 제2축핀(420)에 연결되는 제1반회전링크(430)와,
    상기 제1잠금링크(400)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박스몸체(1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차체(130)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제1잠금핀(440)과,
    상기 제1잠금링크(400)에 연결되어 상기 제1잠금링크(400)가 상기 제1잠금핀(440)의 형성 방향으로 이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1잠금스프링(450)과,
    상기 제1잠금링크(400)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의 유동에 연동되도록 하는 밀림돌기(46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잠금링크(400')는,
    상기 회전링크(500)의 측면상부에 형성되는 제1축핀(410')에 선단이 연결되고 말단이 상기 제2잠금링크(400')에 형성되는 제2축핀(420')에 연결되는 제2반회전링크(430')와,
    상기 제2잠금링크(400')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박스몸체(100)를 관통하여 상기 차체(130)에 연결 또는 분리 되는 제2잠금핀(440')과,
    상기 제2잠금링크(400')에 연결되어 상기 제2잠금링크(400')가 상기 제2잠금핀(440')의 형성 방향으로 이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2잠금스프링(450')을 포함하는 글로브 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몸체(100)는,
    내부에 물건이 수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는 수납함(110)과,
    상기 수납함(110)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덮개(120)와,
    상기 수납함(110)이 상기 차체(130)에 연결되어 회동 되면서 개폐되도록 상기 차체(130)에 구비되는 개폐축(140)을 포함하는 글로브 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유동링크(200)는,
    상기 박스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가압버튼(210)과,
    상기 가압버튼(210)에서 상기 박스몸체(100)의 측면을 따라 연장형성되되 중단이 절곡되는 절곡단(220)을 포함하고,
    상기 박스몸체(100)는,
    상기 박스몸체(100)에 고정형성되되 상기 절곡단(220)에 밀착되어 상기 전후유동링크(200)가 상기 가압버튼(210)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전후스프링(240)을 포함하는 글로브 박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유동링크(200)는,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와 연결되는 부위에 경사각을 갖으면서 형성되는 밀음경사면(230)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유동링크(300)는,
    상기 밀음경사면(230)과 대응된 형태로 밀착되어 상기 밀음경사면(230)을 통해 밀리면서 상기 좌우유동링크(300)가 좌우로 유동 될 수 있도록 경사각을 갖으면서 형성되는 밀림경사면(310)과,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잠금링크(400)가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와 연동 되도록 하는 연동돌기(320)와,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에 연결되어 상기 좌우유동링크(300)가 상기 전후유동링크(200)가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좌우스프링(330)을 포함하는 글로브 박스.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크(500)는,
    상기 박스몸체(100)에 고정형성되는 회전축(134)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134) 상에서 회전되되, 상기 회전링크(50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상호 간격이 가까워지면서 상기 박스몸체(100)의 내부가 외부로 개방되고, 상기 회전링크(500)가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의 상호 간격이 멀어지면서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가 상기 차체(130)에 연결되어 상기 박스몸체(100)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폐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130)는,
    상기 박스몸체(100)를 관통한 상기 제1,2잠금핀(440, 440')이 각각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잠금홈(136, 136')을 포함하는 글로브 박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몸체(100)는,
    상기 전후유동링크(200)를 감싸면서 상기 전후유동링크(200)의 유동을 안내하는 전후안내판(150)과,
    상기 좌우유동링크(300)를 감싸면서 상기 좌우유동링크(300)의 유동을 안내하는 좌우안내판(160)과,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와 상기 회전링크(500)를 감싸면서 상기 제1,2잠금링크(400, 400')와 상기 회전링크(500)의 유동을 안내하는 잠금안내판(170)을 포함하는 글로브 박스.
KR1020120152796A 2012-12-26 2012-12-26 글로브 박스 KR101458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796A KR101458285B1 (ko) 2012-12-26 2012-12-26 글로브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796A KR101458285B1 (ko) 2012-12-26 2012-12-26 글로브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259A KR20140083259A (ko) 2014-07-04
KR101458285B1 true KR101458285B1 (ko) 2014-11-04

Family

ID=51733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796A KR101458285B1 (ko) 2012-12-26 2012-12-26 글로브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2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645A (ko) * 2009-12-08 2011-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그로브박스 개폐장치
KR101178414B1 (ko) * 2011-03-25 2012-08-30 덕양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글로브 박스 모듈
KR20120131989A (ko) * 2011-05-27 2012-12-05 덕양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645A (ko) * 2009-12-08 2011-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그로브박스 개폐장치
KR101178414B1 (ko) * 2011-03-25 2012-08-30 덕양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글로브 박스 모듈
KR20120131989A (ko) * 2011-05-27 2012-12-05 덕양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259A (ko) 201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3206B2 (en)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device
CN109421559B (zh) 滑动装置和交通工具用座椅
CN105636876B (zh) 锁止机构及开闭装置
JP7036356B2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
US20140049058A1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KR101176345B1 (ko) 차량용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글로브박스 조립체
JP2015074976A (ja) ラッチ装置
JP5788253B2 (ja) ロック装置
US11541818B2 (en) Storage device
CN112943011B (zh) 全板玻璃设备及车辆
JP2018517084A (ja) 可動家具部分のためのエジェクション装置
KR101458285B1 (ko) 글로브 박스
JP4591375B2 (ja) ストライカカバー
EP2940235B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KR101260682B1 (ko)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
JP2003038406A (ja) 収納装置
JP2009243148A (ja) 車両のドアハンドル
JP4948265B2 (ja) ラッチ錠用の受け具
JP6020059B2 (ja) 車両用副開閉体のラッチ切替装置
JP4689465B2 (ja) ロック装置
JP2005307638A (ja) ドアチェック装置
CN220285529U (zh) 锁定结构、储物盒及车辆
KR102172998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TWI410556B (zh) 門扉用鎖把
US20240001856A1 (en) Console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