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408B1 -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금형장치 및 그 방법과 금형장치로 사출되는 안경전면테 - Google Patents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금형장치 및 그 방법과 금형장치로 사출되는 안경전면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408B1
KR101260408B1 KR1020120067990A KR20120067990A KR101260408B1 KR 101260408 B1 KR101260408 B1 KR 101260408B1 KR 1020120067990 A KR1020120067990 A KR 1020120067990A KR 20120067990 A KR20120067990 A KR 20120067990A KR 101260408 B1 KR101260408 B1 KR 101260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lding
injection molding
injection
fro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윤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브아이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브아이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브아이웨어
Priority to KR1020120067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2/00Producing frames
    • B29D12/02Spectacl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금형장치 및 그 방법과 금형장치로 사출되는 안경전면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전면테의 사출 시 완제품의 안경전면테를 사출할 수 있고, 안경전면테의 색상을 양면으로 사출할 수 있으며, 이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 및 그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안경전면테를 성형하여 사출 시 각각의 색상이 다른 1차사출물, 2차결합사출물로 안경전면테를 완성할 수 있도록 좌측금형과 우측금형으로 나눠진 금형판에 1차사출물을 사출할 수 있는 성형홈을 제 1금형판에 형성시키고, 상기 1차사출물이 완성된 제 1금형판을 2차결합사출물 할 수 있도록 성형홈이 형성된 제 2금형판과 밀착하여 1차사출물, 2차결합사출물이 완성된 안경전면테를 사출하되 각각의 1차사출물과 2차결합사출물의 성형 시 사출되는 1차사출물과 2차결합사출물이 후가공이 필요 없는 완제품이 될 수 있도록 성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성형홈으로 사출되어 완성되는 안경전면테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금형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Description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금형장치 및 그 방법과 금형장치로 사출되는 안경전면테{ injection molding is spectacles front edge in ways and molds devices manufacturing the rear made-up necessary spectacles front edge injection product which there isn't and the way and molds device }
본 발명은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금형장치 및 그 방법과 금형장치로 사출되는 안경전면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전면테의 사출 시 완제품의 안경전면테를 사출할 수 있고, 안경전면테의 색상을 양면으로 사출할 수 있으며, 이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 및 그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을 보조하는 기구로 널리 사용되지만 근래 들어 자신의 개성을 나타내는 패션소품으로 인식되어 디자인 및 장식이 화려한 안경이 선호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고글과 같이 격한 움직임이나 외부의 충격 및 눈에 유해한 광선을 차단하여 눈을 보호하는 기능성 안경 또한 다양하게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에 다색상, 이중색상에 대한 종래 기술들을 살펴보면,
공개번호 10-2008-0110315호는 ‘다색상 안경다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안경다리를 제조함에 있어서, 1차금형을 구성하는 좌측금형에 1차성형홈을 구성하고, 상기 좌측금형에 성형홈이 없는 우측금형을 위치시킨 다음 좌측금형의 1차성형홈에 색상을 갖는 수지를 주입, 경화, 탈형하여 1차안경다리를 얻고, 상기 1차안경다리를 2차금형의 좌측금형에 구성된 성형홈에 끼운 다음 2차성형홈이 형성된 우측금형을 결합시키고, 상기 우측금형의 2차성형홈에 다른 색상의 수지를 주입, 경화, 탈형시켜 2차안경다리를 성형하여, 1, 2차안경다리가 일체형으로 구성되게 하고 상기 1, 2차안경다리를 통상의 방법으로 연마가공 후 코팅하여 다색상의 안경다리를 제조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공개번호 특1998-052266호는 ‘2중 구조를 갖는 제품의 성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금형을 이용하여 일정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제 1성형품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과, 이 제 2성형품을 제작하고자 하는 금형의 고정(이동)다이에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금형에 상기 제 1성형품과 다른 기계적 특성을 갖는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이 제 2성형품과 상기 제 1성형품을 하나로 몰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고 있다.
등록번호 10-1097298호는 ‘합성수지재 안경다리의 이중사출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1차사출을 통하여 반제품의 안경다리를 얻고 금형을 교환하여 2차 사출공정에서 수지의 종류 및 색상을 변경하여 사출함으로서 내, 외면이 이종수지 또는 이종색상을 갖는 완성된 안경다리를 얻는 합성수지재 안경다리의 이중사출제조방법에 있어서, 암금형의 내측에 사출홈이 일체로 형성되는 1차사출홈을 형성하고 관통공을 가진 심재의 표면이 1차숫금형의 내면과 밀착하게 1차사출홈에 장치하며 1차숫금형의 내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도형홈을 심재의 관통공 상부에 위치하게 하여 암금형의 1차사출홈에 투입된 수지가 심재의 관통공을 통하여 1차숫금형의 도형홈에 투입되게 하여 심재의 하면에 안경다리의 두께를 반분하는 수지층을 형성하여 심재의 상면에 돌부가 심재의 외측으로 일정량 돌출되는 1차사출물을 얻고, 2차숫금형의 내측에 돌부의 돌출폭의 깊이로 일체로 형성되는 2차사출홈을 형성하여 암금형에 1차사출물을 인서트하여 암금형과 2차숫금형을 밀착하여 1차수지와 색상을 달리하는 2차수지를 2차사출홈에 주입하여 완성된 안경다리인 2차사출물을 얻어 내, 외측이 이종색상을 갖는 합성수지재 안경다리의 내측 수지를 이용하여 안경다리의 외면에 장식무늬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공개번호 10-2010-0071575호는 ‘금속장식면을 가진 합성수지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물건’에 관한 것으로서, 보강심의 전면에 단차를 가진 다수의 장식물을 형성하여 보강심의 후면 및 전면의 단차부에 사출수지를 주입하여 장식물의 표면이 사출수지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하여 금속장식면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방법들이 공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이는 안경다리에 관한 다색상의 사출금형방법 및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 적용하려는 안경전면테는 착용자의 인상과 함께 이미지를 보는 이로 하여금 좌우할 수 있는 매우 크고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안경전면테는 사출금형 시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되는 안경전면테는 단일소재의 합성수지재로 단일색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단일색상으로 성형된 안경전면테는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할 뿐 아니라 디자인의 변형, 특히 다색상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되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안경전면테의 사출 후 후가공이 필요하며, 후가공으로 인해 발생되는 작업시간과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그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안경전면테를 성형하여 사출 시 각각의 색상이 다른 1차사출물, 2차결합사출물로 안경전면테를 완성할 수 있도록 좌측금형과 우측금형으로 나눠진 금형판에 1차사출물을 사출할 수 있는 성형홈을 제 1금형판에 형성시키고, 상기 1차사출물이 완성된 제 1금형판을 2차결합사출물 할 수 있도록 성형홈이 형성된 제 2금형판과 밀착하여 1차사출물, 2차결합사출물이 완성된 안경전면테를 사출하되 각각의 1차사출물과 2차결합사출물의 성형 시 사출되는 1차사출물과 2차결합사출물이 후가공이 필요 없는 완제품이 될 수 있도록 성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성형홈으로 사출되어 완성되는 안경전면테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금형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전면테의 1차사출물을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홈이 형성된 제 1금형판이 구성되고, 상기 제 1금형판의 성형홈이 형성된 단면과 상기 성형홈이 없이 마주하는 받침판의 단면이 상호 밀착한 후 상기 제 1금형판의 성형홈으로 색상을 갖는 합성수지재를 주입, 경화하여 1차사출물을 사출하는 과정과, 안경전면테의 2차결합사출물을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홈이 형성된 상기 제 1금형판이 구성되고, 상기 제 1금형판의 성형홈과 마주하는 성형홈이 형성된 제 2금형판이 구성되어 상기 제 1금형판의 성형홈의 단면과 제 2금형판의 성형홈의 단면이 상호 밀착하도록 한 후 상기 제 2금형판의 성형홈으로 상기 1차사출물과 다른 색상을 갖는 합성수지재를 주입, 경화하여 2차결합사출물을 사출하는 과정으로 안경전면테가 제조되되, 상기 제 1금형판의 성형홈과 제 2금형판의 성형홈에는 1차사출물과 2차결합사출물의 사출 시 사출된 안경전면테가 완제품이 되도록 성형되어 있고, 상기 제 1금형판을 번갈아가며 연속적으로 제 2금형판에 결속하여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경전면테의 후가공이 필요 없도록 완제품의 1차사출물을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홈이 형성된 제 1금형판과 상기 제 1금형판과 동일선상에 구성되되 성형홈이 형성된 제 1금형판으로 구성된 좌측금형과, 상기 제 1금형판의 성형홈이 형성된 단면과 마주하여 밀착되되 상기 성형홈이 없는 받침판과 상기 금형판의 성형홈이 형성된 단면과 마주하여 밀착되되 안경전면테의 후가공이 필요 없도록 완제품의 2차결합사출물을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홈이 형성된 제 2금형판으로 구성된 우측금형이 구성되는 것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금형장치 및 그 방법과 금형장치로 사출되는 안경전면테에 의하면, 안경전면테를 성형하여 사출 시 후가공이 필요 없는 완제품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사출 후 발생하는 공정이 필요 없게 되어 많은 비용절감과 더불어 생산에 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생산비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도 높일 수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 중 플라즈마 헤드를 상세히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 중 플라즈마 헤드의 작동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안경전면테의 좌측금형과 우측금형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안경전면테의 좌측금형과 우측금형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안경전면테의 좌측금형과 우측금형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안경전면테의 좌측금형과 우측금형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안경전면테의 좌측금형과 우측금형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안경전면테의 좌측금형과 우측금형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인 안경전면테의 좌측금형과 우측금형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은 볼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배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 1 내지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 하는 금형장치의 구성, 방법 중 본 발명을 제외하고, 통상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사출을 위해 합성수지재를 주입하는 게이트 및 완성된 사출물에 대한 배출을 위한 밀핀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은 통상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우선 본 발명에 대한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금형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 1 내지 5를 참고로 살펴보게 되면, 안경전면테(20)의 후가공이 필요 없도록 완제품의 1차사출물(21)을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홈(120)이 형성된 제 1금형판(110)과, 상기 제 1금형판(110)과 동일선상에 구성되되 성형홈(120a)이 형성된 제 1금형판(110a)으로 구성된 좌측금형(100)과, 상기 제 1금형판(110)의 성형홈(120)이 형성된 단면과 마주하여 밀착되되 상기 성형홈(120)이 없는 받침판(210)과, 상기 금형판(110a)의 성형홈(120a)이 형성된 단면과 마주하여 밀착되되 안경전면테(20)의 후가공이 필요 없도록 완제품의 2차결합사출물(22)을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홈(221)이 형성된 제 2금형판(220)으로 구성된 우측금형(200)이 구성된 금형장치가 구성된다.
이는 도 6 내지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금형(100)에 성형홈(120)이 형성된 제 1금형판(110)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 1금형판(110)과 일정간격 이격된 부분에 성형홈(120a)이 형성된 제 1금형판(110a)을 형성시킨 것이며, 우측금형은 상기 좌측금형(100)의 제 1금형판(110)과 제 1금형판(110a)과 마주하도록 받침판(210)과 제 2금형판(220)을 형성시킨 것이다.
상기 좌측금형(100)과 우측금형(200)으로 구성된 본 발명은 통상적인 사출금형장치에 구성되어 안경전면테(20)를 금형 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를 주입하는 주입부재 및 금형이 완료된 안경전면테(20)를 탈형하는 부재는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상기 좌측금형(100)에 형성된 성형홈(120, 120a)과 우측금형(200)의 성형홈(221)으로 합성수지재를 주입시키는 게이트는 성형되는 1차사출물(21)과 2차결합사출물(22)의 배면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안경전면테(20)의 완제품 성형 시 엔드피스(30)의 성형을 하게되는데, 이때 1차사출물(21)의 엔드피스(31)에 2차결합사출물(22)의 엔드피스(32)에 감싸지도록 성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1차사출물(21)과 2차결합사출물(22)의 결합력을 높여 완제품의 안경전면테(20)에 대한 불량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성형홈(120, 120a, 221)으로 주입되는 합성수지재가 게이트에서 주입 시 미세하게 돌출부(t)가 표시되지만,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사출물(21)의 배면에 돌출부(t)가 표시되며, 표시된다 하여도 상기 1차사출물(21)에 성형되는 2차결합사출물(22)로 인해 1차사출물(21)의 돌출부(t)가 감춰지게 된다.
또한, 2차결합사출물(22)의 성형 시 1차사출물(21)의 성형과 같이 배면으로 합성수지재가 주입되어 성형되는데, 이때 1차사출물(21)과 같이 안경의 코다리가 부착되는 부분으로 주입하게 되며 이는 돌출부(t1)가 홈의 내부에 형성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한 1차사출물(21)의 성형 시 합성수지재가 주입되는 부분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사출물(21)의 양측 끝부로 주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돌출부(t)와 돌출부(t1)를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는 본 발명인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금형장치 및 금형장치로 사출되는 안경전면테에 대한 핵심적인 요소이다.
통상적으로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한 사출 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돌출부(t)로 인해 사출 후 후가공이 필요하였지만, 본 발명을 적용 시 상기한 돌출부(t)가 형성되어도 홈의 내부에 형성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후가공이 필요하지 않도록 하였다.
현재 안경의 전면테와 다리부분을 성형하여 사출 시 해결되지 않은 방법으로서 안경전면테 및 다리부분을 성형 시 부득이하게 발생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도록 하여 돌출부로 인해 발생하는 공정을 많이 줄였다.
상기한 본 발명으로 인해 종래의 사출 후 발생하는 여러 단계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사출 후 완제품이 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1차사출물(21)과 2차결합사출물(22)의 결합력과 불량률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1차사출물(21)을 성형하는 성형홈(120)에는 성형되는 1차사출물(21)의 엔드피스(31) 배면에 공간부(h)가 형성되도록 성형된다.
또한, 상기 2차결합사출물(22)을 성형하는 성형홈(221)에는 성형된 1차사출물(21)의 공간부(h)를 충진 하여 형성되도록 성형된다.
이는 상기 1차사출물(21)의 성형 시 1차사출물(21)의 엔드피스(31)가 성형되는 배면에 공간부(h)가 형성되도록 성형하고, 성형된 1차사출물(21)에 2차결합사출물(22)을 성형 시 상기 공간부(h)에 2차결합사출물(22)이 유입되어 충진 하여 성형되도록 하였다.
이로써 1차사출물(21)과 2차결합사출물(22)의 결합력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추후 1차사출물(21)과 2차결합사출물(22)에 대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좌측금형(100)의 제 1금형판(110, 110a)은 상호 마주하여 밀착되는 우측금형(200)의 받침판(210)과 제 2금형판(220)에 번갈아가며 결착될 수 있게 회전 가능토록 구성되어 1차사출물(21)과 2차결합사출물(22)을 성형할 수 있다.
이는 좌측금형(100)인 제 1금형판(110, 110a)을 우측금형(200)인 받침판(210)과 제 2금형판(220)과 각각 상호 마주하도록 구성한 후 상기 좌측금형(100)인 제 1금형판(110)과 우측금형(200)인 받침판(210)과의 밀착으로 1차사출물(21)이 완성되면 좌측금형(100)이 회전하여 1차사출물(21)이 완성된 제 1금형판(110)과 우측금형(200)인 제 2금형판(220)과 마주하도록 하여 상기 제 2금형판(220)과의 밀착으로 2차결합사출물(22)이 완성된다.
이때 상기 좌측금형(100)의 회전으로 2차결합사출물(22)이 완성될 때 좌측금형(100)의 제 1금형판(110a)에는 1차사출물(21a)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도 6 내지 도 12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와 같은 금형장치의 구성을 토대로 본 발명인 안경전면테(20)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안경전면테(20)의 1차사출물(21)을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홈(120)이 형성된 제 1금형판(110)이 구성되고, 상기 제 1금형판(110)의 성형홈(120)이 형성된 단면과 상기 성형홈(120)이 없이 마주하는 받침판(210)의 단면이 상호 밀착한 후 상기 제 1금형판(110)의 성형홈(120)으로 색상을 갖는 합성수지재를 주입, 경화하여 1차사출물(21)을 사출하는 과정과, 안경전면테(20)의 2차결합사출물(22)을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홈(120a)이 형성된 상기 제 1금형판(110a)이 구성되고, 상기 제 1금형판(110a)의 성형홈(120a)과 마주하는 성형홈(221)이 형성된 제 2금형판(220)이 구성되어 상기 제 1금형판(110a)의 성형홈(120a)의 단면과 제 2금형판(220)의 성형홈(221)의 단면이 상호 밀착하도록 한 후 상기 제 2금형판(220)의 성형홈(221)으로 상기 1차사출물(21)과 다른 색상을 갖는 합성수지재를 주입, 경화하여 2차결합사출물(22)을 사출하는 과정으로 안경전면테(20)가 제조되되, 상기 제 1금형판(110, 110a)의 성형홈(120, 120a)과 제 2금형판(220)의 성형홈(221)에는 1차사출물(21)과 2차결합사출물(22)의 사출 시 사출된 안경전면테(20)가 완제품이 되도록 성형되어 있고, 상기 제 1금형판(110, 110a)을 번갈아가며 연속적으로 제 2금형판(220)에 결속하여 안경전면테(20) 사출물을 연속적으로 제조한다.
상기 제 1금형판(110, 110a)의 성형홈(120, 120a)과 제 2금형판(220)의 성형홈(221)은 1차사출물(21)과 2차결합사출물(22)의 성형을 위해 합성수지재의 주입 시 사출물(21, 22)의 배면으로 합성수지재를 주입한다.
이는 본 발명으로 인해 완제품이 사출 성형되는 안경전면테(20)에 대한 불량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1차사출물(21)의 엔드피스(31)가 2차결합사출물(22)의 엔드피스(32)와 결합 시 2차결합사출물(22)의 엔드피스(32)가 1차사출물(21)의 엔드피스(31)보다 내측에 성형되도록 하였다. 이는 1차사출물(21)과 2차결합사출물(22)의 결합으로 인한 완제품인 안경전면테(20)의 엔드피스(30) 부분에 발생하는 불량률을 최소화한 것이다.
도 8, 12를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좌측금형(100)의 제 1금형판(110, 110a)은 상호 마주하는 우측금형(200)의 받침판(210)과 제 2금형판(220)으로 순차적으로 회전하며 1차사출물(21)과 2차결합사출물(22)을 성형한다.
이는 좌측금형(100)인 제 1금형판(110, 110a)을 우측금형(200)인 받침판(210)과 제 2금형판(220)과 각각 상호 마주하도록 구성한 후 상기 좌측금형(100)인 제 1금형판(110)과 우측금형(200)인 받침판(210)과의 밀착으로 1차사출물(21)이 완성되면 좌측금형(100)이 회전하여 1차사출물(21)이 완성된 제 1금형판(110)과 우측금형(200)인 제 2금형판(220)과 마주하도록 하여 상기 제 2금형판(220)과의 밀착으로 2차결합사출물(22)이 완성된 후 탈형한다.
이때 상기 좌측금형(100)의 회전으로 2차결합사출물(22)이 완성될 때 좌측금형(100)의 제 1금형판(110a)에는 1차사출물(21a)이 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설명하게 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성형홈(120, 120a)이 형성된 제 1금형판(110, 110a)을 구비한 좌측금형(100)이 상기 제 1금형판(110)의 성형홈(120)이 형성된 부분과 마주하는 부분에 구성된 받침판(210)과 상기 제 1금형판(110a)의 성형홈(120a)이 형성된 부분과 마주하는 부분에 성형홈(221)이 형성된 제 2금형판(220)을 구비한 우측금형(200)이 상호 마주하여 밀착하게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측금형(100)과 우측금형(200)이 마주하여 밀착하게 되면, 우선 좌측금형(100)의 제 1금형판(110)에 형성된 성형홈(120)으로 합성수지재가 주입, 경화하게 되어 1차사출물(21)이 성형된다.
도 8, 9를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좌측금형(100)과 우측금형(200)이 상호 밀착하여 1차사출물(21)이 완성되면 상기 좌측금형(100)과 우측금형(200)이 상호 이탈하게 되고, 이탈된 좌측금형(100)은 회전하여 상기 1차사출물(21)이 완성된 제 1금형판(110)의 부분이 우측금형(200)의 제 2금형판(220)과 마주하게 되고, 상호 마주한 좌측금형(100)과 우측금형(200)은 1차사출물(21)의 성형 시와 같이 상호 밀착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좌측금형(100)과 우측금형(200)이 상호 마주하게 되면, 상기 우측금형(200)의 제 2금형판(220)에 형성된 성형홈(221)으로 합성수지재가 주입, 경화하게 되고, 그로 인해 2차결합사출물(22)이 성형되어 안경전면테(20)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1차사출물(21)과 2차결합사출물(22)의 결합 시 상기 좌측금형(100)의 제 1금형판(110a)에 형성된 성형홈(120a)은 우측금형(200)의 받침판(210)과 마주하게 되며, 상기 성형홈(120a)으로 합성수지재가 주입, 경화하여 1차사출물(21a)을 성형하는 것이다.
도 11, 12를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1차사출물(21)과 2차결합사출물(22)의 결합으로 안경전면테(20)가 완성되면, 상호 밀착된 좌측금형(100)과 우측금형(200)이 이탈하고, 상기 좌측금형(100)이 회전하여 상기 1차사출물(21a)에 대하여 2차결합사출물(22)을 실시 할 수 있도록 준비하며, 완성된 안경전면테(20)는 통상적인 탈형의 방법으로 제 1금형판(110)에서 이탈시킨다.
상기한 설명 중 1차사출물(21)과 2차결합사출물(22)을 성형하는 성형홈(120, 120a, 221)에는 각각 성형하려는 1차사출물(21)과 2차결합사출물(22)의 형상이 그대로 성형되어 있어야 하며, 그로 인해 1차사출물(21)의 성형 시 1차사출물(21)의 완제품이 성형되고, 2차결합사출물(22)의 성형 시 2차결합사출물(22)의 완제품이 성형되어 각각의 1차사출물(21)과 2차결합사출물(22)의 결합으로 인해 완제품의 안경전면테(20)가 사출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본 발명인 후가공이 필요 없는 금형장치와 제조방법을 통해 사출되는 안경전면테(20)는 완제품이 사출되어 종래의 사출 후 연마가공 및 코팅 등에 관한 작업이 필요 없도록 하였다.
상기 본 발명에서는 좌측금형(100)의 회전을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이는 우측금형(200)의 회전으로도 작업이 가능한 것으로서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면 안경전면테(20)의 제조 시 사출품이 완제품이므로 사출 후 후가공이 필요 없으며,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안경전면테(20)를 소비자가 원하는 다색상으로 제조할 수 있어 시각적인 면과 상품성을 높였다.
20 : 안경전면테 21 : 1차사출물 22 : 2차결합사출물
30 : 엔드피스 31 : 1차사출물의 엔드피스 32 : 2차결합사출물의 엔드피스
100 : 좌측금형 110, 110a : 제 1금형판 120, 120a : 성형홈
200 : 우측금형
210 : 받침판 220 : 제 2금형판 221 : 성형홈
h : 공간부 t : 돌출부

Claims (9)

  1. 삭제
  2. 안경전면테(20)의 1차사출물(21)을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홈(120)이 형성된 제 1금형판(110)이 구성되고, 상기 제 1금형판(110)의 성형홈(120)이 형성된 단면과 상기 성형홈(120)이 없이 마주하는 받침판(210)의 단면이 상호 밀착한 후 상기 제 1금형판(110)의 성형홈(120)으로 색상을 갖는 합성수지재를 주입, 경화하여 1차사출물(21)을 사출하는 과정과,
    안경전면테(20)의 2차결합사출물(22)을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홈(120a)이 형성된 상기 제 1금형판(110a)이 구성되고, 상기 제 1금형판(110a)의 성형홈(120a)과 마주하는 성형홈(221)이 형성된 제 2금형판(220)이 구성되어 상기 제 1금형판(110a)의 성형홈(120a)의 단면과 제 2금형판(220)의 성형홈(221)의 단면이 상호 밀착하도록 한 후 상기 제 2금형판(220)의 성형홈(221)으로 상기 1차사출물(21)과 다른 색상을 갖는 합성수지재를 주입, 경화하여 2차결합사출물(22)을 사출하는 과정으로 안경전면테(20)가 제조되되,
    상기 제 1금형판(110, 110a)의 성형홈(120, 120a)과 제 2금형판(220)의 성형홈(221)에는 1차사출물(21)과 2차결합사출물(22)의 사출 시 사출된 안경전면테(20)가 완제품이 되도록 성형되어 있고, 상기 제 1금형판(110, 110a)을 번갈아가며 연속적으로 제 2금형판(220)에 결속하여 안경전면테(20) 사출물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되,
    상기 제 1금형판(110, 110a)의 성형홈(120, 120a)과 제 2금형판(220)의 성형홈(221)은 1차사출물(21)과 2차결합사출물(22)의 성형을 위해 합성수지재의 주입 시 사출물(21, 22)의 배면으로 합성수지재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3. 안경전면테(20)의 후가공이 필요 없도록 완제품의 1차사출물(21)을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홈(120)이 형성된 제 1금형판(110)과, 상기 제 1금형판(110)과 동일선상에 구성되되 성형홈(120a)이 형성된 제 1금형판(110a)으로 구성된 좌측금형(100);
    상기 제 1금형판(110)의 성형홈(120)이 형성된 단면과 마주하여 밀착되되 상기 성형홈(120)이 없는 받침판(210)과, 상기 금형판(110a)의 성형홈(120a)이 형성된 단면과 마주하여 밀착되되 안경전면테(20)의 후가공이 필요 없도록 완제품의 2차결합사출물(22)을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홈(221)이 형성된 제 2금형판(220)으로 구성된 우측금형(200); 이 구성되되,
    상기 좌측금형(100)에 형성된 성형홈(120, 120a)과 우측금형(200)의 성형홈(221)으로 합성수지재를 주입시키는 게이트는 성형되는 1차사출물(21)과 2차결합사출물(22)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금형장치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1차사출물(21)을 성형하는 성형홈(120)에는 성형되는 1차사출물(21)의 엔드피스(31) 배면에 공간부(h)가 형성되도록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금형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차결합사출물(22)을 성형하는 성형홈(221)에는 성형된 1차사출물(21)의 공간부(h)를 충진 하여 형성되도록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금형장치

  7. 제 3항 또는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금형(100)의 제 1금형판(110, 110a)은 상호 마주하여 밀착되는 우측금형(200)의 받침판(210)과 제 2금형판(220)에 번갈아가며 결착될 수 있게 회전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금형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1차사출물(21)의 엔드피스(31) 끝부는 2차결합사출물(22)의 엔드피스(32)에 감싸지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금형장치
  9. 제2항 또는 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과 금형장치를 이용하여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KR1020120067990A 2012-06-25 2012-06-25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금형장치 및 그 방법과 금형장치로 사출되는 안경전면테 KR101260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990A KR101260408B1 (ko) 2012-06-25 2012-06-25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금형장치 및 그 방법과 금형장치로 사출되는 안경전면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990A KR101260408B1 (ko) 2012-06-25 2012-06-25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금형장치 및 그 방법과 금형장치로 사출되는 안경전면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408B1 true KR101260408B1 (ko) 2013-05-07

Family

ID=48665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990A KR101260408B1 (ko) 2012-06-25 2012-06-25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금형장치 및 그 방법과 금형장치로 사출되는 안경전면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4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841A (ko) 2021-09-02 2023-03-09 전명희 플라스틱 안경테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841A (ko) 2021-09-02 2023-03-09 전명희 플라스틱 안경테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54017B (zh) 着色偏振光学元件和用于制造这样的元件的方法
WO2012132597A1 (ja) 多層成形用金型装置及び多層成形品
KR101097298B1 (ko) 합성수지재 안경다리의 이중사출제조방법
KR101457062B1 (ko) 투톤 색상을 갖는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KR101260408B1 (ko)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금형장치 및 그 방법과 금형장치로 사출되는 안경전면테
KR101244060B1 (ko) 후가공이 필요한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금형장치
KR101359793B1 (ko) 안경테 림의 결합구조
US8911081B2 (en) Nylon polarized lens and moulding mold thereof
KR100872314B1 (ko)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317591B1 (ko) 섬유 복합재료 보강재를 이용한 안경테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안경테
CN202071290U (zh) 一种尼龙偏光镜片的成型模具
KR101284123B1 (ko) 안경테의 외측으로 사출성형이 가능한 안경테 제조용 금형 및 그 금형방법
KR20080110315A (ko) 다색상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KR101393071B1 (ko) 멀티 사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사출물의 사출방법
KR20120137832A (ko)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KR100950609B1 (ko) 비금속 인공소재 안경부속품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안경부속품
JP6344408B2 (ja) 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JP3098047U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モダン
KR20170107191A (ko) 무게경량화와 탄성력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투톤 색상을 갖는 도금 안경테 제조방법
KR101277532B1 (ko) 울템 소재를 이용한 투톤 칼라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TWI516355B (zh) Optical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65520B1 (ko) 도광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판 제조방법
KR20140009637A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안경테의 제조방법
JP6856841B2 (ja) 眼鏡レンズ
CN203250072U (zh) 一种覆膜塑料眼镜框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