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793B1 - 안경테 림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안경테 림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793B1
KR101359793B1 KR1020120014898A KR20120014898A KR101359793B1 KR 101359793 B1 KR101359793 B1 KR 101359793B1 KR 1020120014898 A KR1020120014898 A KR 1020120014898A KR 20120014898 A KR20120014898 A KR 20120014898A KR 101359793 B1 KR101359793 B1 KR 101359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frame
thickness
lower rim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3355A (ko
Inventor
이병구
Original Assignee
이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구 filed Critical 이병구
Priority to KR1020120014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793B1/ko
Publication of KR20130093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02C1/08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the rims being tranversely split and provided with secur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의 핵심 요소인 림(rim)의 제조시, 상부림과 하부림을 각각 별도로 제작 후 신속 간단한 체결/조립을 통해 제조함에 따라 기존과 같이 일체로 동시 성형할 때 수반되는 성형 및 사출의 기술적 어려움과 생산성 및 품질상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요자의 취향에 따라 상부림과 하부림의 모양이나 색상 및 재질 등을 각각 다르게 적용할 수도 있어 안경테 패션의 또 다른 연출방법으로도 유용하게 활용 가능한 새로운 안경테 림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안경렌즈(10)가 끼워지는 안경테(A)의 림(rim, 100) 중 상부림(두께가 두꺼운 위쪽 부분, 110), 하부림(상부림에 비해 두께가 가는 아래측 부분, 120)을 각각 별도로 구성시키되, 상기 상부림(110)의 양측 하단에는 걸림홈(111)을 각각 음각 형성시키고, 상기 걸림홈(111)과 맞대응하는 상기 하부림(120)의 양측 상단에는 암수로 끼워지는 걸림돌기(121)를 각각 돌출시켜서된 것이다.

Description

안경테 림의 결합구조{The union structureof rim frame of a pair of spectacles}
본 발명은 안경테의 핵심 요소인 림(rim)의 제조시, 상부림과 하부림을 각각 별도로 제작 후 신속 간단한 체결/조립을 통해 제조함에 따라 기존과 같이 일체로 동시 성형할 때 수반되는 성형 및 사출의 기술적 어려움과 생산성 및 품질상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요자의 취향에 따라 상부림과 하부림의 모양이나 색상 및 재질 등을 각각 다르게 적용할 수도 있어 안경테 패션의 또 다른 연출방법으로도 유용하게 활용 가능한 새로운 안경테 림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안경테를 이루는 림(rim)은 안경렌즈의 외곽둘레를 감싸면서 지지하고, 안경의 전체골격을 유지할 뿐 아니라 안경의 형태나 스타일 및 패션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핵심요소로서, 과거에는 주로 합금소재인 금속재로 만들어졌으나, 최근에는 플라스틱 소재 및 사출성형기술의 발전으로 합성수지재질로 사출성형 되는 안경테가 급속히 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상부림은 그 폭과 두께가 비교적 두껍고 넓게 형성되는 것에 반면, 하부림은 아주 좁고 가늘게 바뀌고 있어, 이와 같은 스타일의 안경테 림(rim)을 제작하는 것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하지만, 상부는 넓지만 하부는 극히 가늘고 좁은 온테 안경의 림을 기존과 같이 일체형으로 동시 성형과 사출을 실시하는 것은, 그 하부림의 굵기 및 폭이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그 플라스틱 성형 및 사출과정에서 상당한 기술적 어려움이 따름으로, 많은 작업시간과 비용과 고도의 사출기술이 요구될 뿐 아니라, 불량률이 높고 일정한 성형품질을 맞추는 것 또한 쉽지가 않다.
즉, 상부와 하부가 일체형인 안경테의 림(rim)의 사출성형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림에 비해 하부림의 두께 및 폭이 아주 가늘면, 사출 성형시 그 상부와 하부간 큰 두께 차이에 따른 플라스틱 수축률의 급격한 차이를 맞추기가 무척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금형 캐비티에 주입되는 용융 플라스틱 재료의 응고속도 또한, 급격하게 달라짐으로 제품의 완전한 사출 또는 성형품질이 제대로 이루 지기가 아주 까다롭다.
한편, 안경테는 사용자의 안구 및 그 시력을 돕거나 보호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장식의 성격도 아주 강하여 다양한 패션과 신미감의 연출에도 상당히 중요하고,
특히 개성이 뚜렷하고 취향 또한 독특한 현시대 사용자들의 특성에 따라 안경테를 고르거나 기 안경테의 사용과정에서 스타일의 변화를 계속적으로 요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안경테의 상부림과 하부림이 일체 동시로 제조되는 종래의 안경테 는, 그 스타일이 안경을 구입하는 당시에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사용 중 다른 패션이나 스타일로 바꾸고자 한다면, 별도의 추가비용을 들여 다른 스타일의 안경을 추가로 구매하지 않으면 아니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부림(두께나 폭이 비교적 두꺼운 윗 부분)과 하부림(두께나 폭이 상부림에 비해 아주 가늘게 구성되는 아랫부분)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한 다음 이들을 신속 용이하게 체결/조립하는 새로운 결합구조를 확립하여 기존과 같이 일체화 동시적으로 사출 성형할 때 수반되었던 상당한 기술적 어려움을 자연스럽게 해소할 뿐 아니라, 그 체결 결합성 또한 아주 간단하면서도 렌즈의 외곽에 대한 지지기반을 확실히 제시함에 따라 필요에 따라 더욱 다양한 모양의 안경테 생산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상부림과 하부림의 색상이나 재질 또한 서로 상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안경테의 디자인 및 패션의 더욱 다변화된 연출이 가능한 새로운 안경테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경렌즈(10)가 끼워지는 안경테(A)의 림(rim, 100) 중 두께가 두꺼운 위쪽의 상부림(110)과 그 상부림(110)에 비해 두께가 가는 아래 측의 하부림(120)을 각각 별도 구분하여 제작하되, 그 상부림(110)의 하측에는 걸림홈(111)을 음각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하부림(120)에는 상기 걸림홈(111)에 암수관계로 끼워지는 걸림돌기(121)를 돌출시킨 다음, 상기 걸림돌기(121)를 상기 걸림홈(111)에 체결시키는 것을 통해 하나의 안경테 림(100)을 완성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안경테 제조방법과 그 안경테는 전술된 바와 같이 안경테의 상부림과 하부림을 각각 별도로 구분하여 제작한 다음 아주 간단하게 결속/조립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상부림의 플리스틱 사출성형시 가는 굵기의 하부림이 제외됨으로 특별한 기술적 어려움 없는 일반적인 사출 성형/방법에 의한 대량 생산이 가능할 뿐 아니라, 하부림 역시 굵기는 가늘지만 하부림 끼리만 모아 사출/성형하면 됨으로 상, 하부림 동시 일체화 사출법인 기존에 비해 월등히 손쉬운 성형과 사출이 가능하고, 특히 상기 하부림을 바꾸면 그 하부림의 모양이나 칼라, 재질 및 굵기를 다변화할 수 있게 때문에 안경테의 새로운 패션과 디자인의 연출방법으로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바가 실로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K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확대도
도 3~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안경테 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상태도
본 발명의 안경테 제조방법과 그 안경테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본 발명은 안경렌즈(10)가 끼워지는 안경테(A)의 림(rim, 100) 중 상부림(100)과 하부림(120)은 각각 별도로 제작한 후 상호 체결 구성시키되,
상기 상부림(110)의 양측 하단에는 걸림홈(111)을 각각 음각 형성시키고, 상기 걸림홈(111)과 맞대응하는 상기 하부림(120)의 양측 상단에는 걸림돌기(121)를 각각 돌출시켜서 상호 암수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하부림(120)의 양측 끝단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돌기(121)는 하부림(120)의 좌,우측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형성시킨 것과;
상기 상부림(110)의 양쪽 하단에 음각 형성되는 상기 걸림홈(111)은 상기 걸림돌기(121)과 상호 맞물림될 수 있게 좌, 우방향 내측에 일정한 깊로 음각되는 것을 그 특징적 요지로 하였다.
삭제
이러한, 본 발명은 양단에 걸림돌기(121)를 갖는 상기 하부림(120)을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누르면, 그 하부림이 탄력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양단의 걸림돌기(121) 사이의 간격을 어느 정도 좁힐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하부림(120) 양측의 걸림돌기(121)를 아주 쉽고 간단하게 상부림(110)의 걸림홈(111) 각각에 끼울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한 경우 위 과정을 역순으로 수행하면 쉽게 탈락(분리)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림(120)의 전체 길이에 대한 내측에는 안경렌즈(10)가 끼워질 수 있는 렌즈 안착홈(11)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림(110)의 하측에 하부림(120)을 결합한 다음 그 사이에 안경렌즈(10)를 압박히여 끼우면,
상기 체결된 하부림(120)은 사용자가 강제로 렌즈를 빼내지 않는 한 임의적으로는 절대 빠지지 않고 튼튼한 체결 성이 계속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림(120)의 양측 끝단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돌기(121)는 하부림(120)의 바깥쪽으로 좀 더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111)에 삽입된 후 걸림 되면 아래로 빠지지 않는 구조를 가지며, 상부림(110)의 양쪽 하단에 음각 형성되는 상기 걸림홈(111)은 상기 걸림돌기(121)의 형태에 맞는 모양과 깊로 형성하면 된다.
또한, 상기 하부림(110)은 상황에 따라 그 두께와 폭은 물론 재질 및 색상 까지 아주 다양하게 만들어 질 수 있고, 제조방법 또한 그 재질, 형태 등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수지인 경우에는 사출성형방법, 금속인 경우에는 인발, 기타 가공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하부림(120)은 온테에 적용할 경우에는 외부에서 볼 때 하부림(120)의 존재에 대하여 충분히 확인될 수 있는 정도의 폭과 두께를 갖도록 구성하면 되지만,
반테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안경렌즈의 외곽둘레에 음각 형성된 홈속에 완전히 삽입되어 감춰져 외부에서는 하부림(120)의 존재가 확인이 않될 경도로 가는(반테용 렌즈받침줄과 같이 아주 가는 직경으로 형성) 굵기로 형성하면 반테용으로도 얼마든지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돌기(121)와 걸림홈(111)의 형태는 도 3에서 ~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데,
그 예로서, 도 3의 경우는 상기 걸림돌기(121)의 두께와 걸림홈(111)의 폭이 상기 상부림(110)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림(110) 속에 감춰져 깔끔한 음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도 3의 하나는 걸림돌기(121) 두께가 하부림(120)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에 반해, 도 3의 다른 하나는 걸림돌기(121) 두께가 하부림(120)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는 예시만 다를 뿐이다.
도 4는 상황에 따라서 상기 걸림홈(111)이 상기 상부림(11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관통된 것과 같이 보여지고, 이의 상대물인 상기 걸림돌기(121) 역시 상기 상부림(11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다만, 도 4의 하나와 도 4의 다른 하나의 차이는 하부림(120)의 두께가 상황에 따라 좁거나 상기 상부림(110)의 두께와 동일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만 다를 뿐이다.
도 5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도 5와 같은 형태를 갖추고 있다, 다만 보기에 좋지 않을 수 있는 그 결합 상태가. 후방에서는 나타나지만, 안경의 전면에서 나타나지 않게, 상기 걸림홈(111)의 전측은 가려지고 후측만 뚫려있는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6에서 언급된 걸림돌기(121)과 걸림홈(111)의 형태와 상관없이 상기 하부림(120)의 굵기를 아주 가늘게 형성하여 반테용으로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는 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결국, 본원에서 주지된 상기 걸림돌기(121)과 걸림홈(111)은 도 3 ~ 6에서 예시한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 도시되지 않았으나 동일 내지 극히 유사한 기술사상의 형태 또한 이에 속한다고할 것이고,
상기 하부림(120) 또한 그 두께와 폭, 굵기를 비롯한 재질, 칼라 등을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다변화할 수 있다.

Claims (5)

  1. 안경렌즈(10)가 끼워지는 안경테(A)의 림(rim, 100) 중 상부림(100)과 하부림(120)은 각각 별도로 제작한 후 상호 체결 구성시키되,
    상기 상부림(110)의 양측 하단에는 걸림홈(111)을 각각 음각 형성시키고, 상기 걸림홈(111)과 맞대응하는 상기 하부림(120)의 양측 상단에는 걸림돌기(121)를 각각 돌출시켜서 상호 암수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하부림(120)의 양측 끝단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돌기(121)는 하부림(120)의 좌,우측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형성시킨 것과;
    상기 상부림(110)의 양쪽 하단에 음각 형성되는 상기 걸림홈(111)은 상기 걸림돌기(121)과 상호 맞물림될 수 있게 좌, 우방향 내측에 일정한 깊로 음각되는 것과;
    상기 하부림((120의 두께는 상기 상부림(100) 보다 더 가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안경테 림의 결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14898A 2012-02-14 2012-02-14 안경테 림의 결합구조 KR101359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898A KR101359793B1 (ko) 2012-02-14 2012-02-14 안경테 림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898A KR101359793B1 (ko) 2012-02-14 2012-02-14 안경테 림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355A KR20130093355A (ko) 2013-08-22
KR101359793B1 true KR101359793B1 (ko) 2014-02-10

Family

ID=4921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898A KR101359793B1 (ko) 2012-02-14 2012-02-14 안경테 림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7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202A (ko) 2019-02-21 2020-08-31 강동현 착용이 편리하고 심미감을 가지는 안경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400A1 (ko) * 2014-10-31 2016-05-06 김용구 결합이 용이한 안경테 림의 결합구조
IT201700020206A1 (it) * 2017-02-22 2018-08-22 New Optic Italia S R L Montatura per occhiali in due pezzi con dispositivo di aggancio di una coppia di lenti
KR102470751B1 (ko) * 2021-05-05 2022-11-28 문난수 안경테용 결속선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와 안경테의 조합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5979A (ja) * 2002-02-26 2003-09-02 Mikio Ibe メガネ用合成樹脂部品の実矧ぎ接合方法、および同方法で作製した合成樹脂部品を用いたメガネ
US7354149B2 (en) 2004-06-24 2008-04-08 Chris E. Maling Durable eyeglasses frame assembly
KR20090011690U (ko) * 2008-05-14 2009-11-18 신명환 합성수지 안경의 렌즈테
US8313191B2 (en) 2010-10-15 2012-11-20 Miro Optix Llc Eyewear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5979A (ja) * 2002-02-26 2003-09-02 Mikio Ibe メガネ用合成樹脂部品の実矧ぎ接合方法、および同方法で作製した合成樹脂部品を用いたメガネ
US7354149B2 (en) 2004-06-24 2008-04-08 Chris E. Maling Durable eyeglasses frame assembly
KR20090011690U (ko) * 2008-05-14 2009-11-18 신명환 합성수지 안경의 렌즈테
US8313191B2 (en) 2010-10-15 2012-11-20 Miro Optix Llc Eyewear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202A (ko) 2019-02-21 2020-08-31 강동현 착용이 편리하고 심미감을 가지는 안경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355A (ko)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793B1 (ko) 안경테 림의 결합구조
KR101457062B1 (ko) 투톤 색상을 갖는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US20130070197A1 (en) Eyeglasses assembly
US20090122257A1 (en) Eyeglasses structure
KR101625290B1 (ko) 합성수지 안경테의 보조안경테 결합구조체
KR20170005593A (ko) 안경테
KR101192887B1 (ko) 합성수지재 반테형 안경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02202A (ko) 착용이 편리하고 심미감을 가지는 안경 조립체
KR200435380Y1 (ko) 안경
KR101260408B1 (ko)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금형장치 및 그 방법과 금형장치로 사출되는 안경전면테
KR20080110315A (ko) 다색상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KR101244060B1 (ko) 후가공이 필요한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금형장치
TW201708892A (zh) 眼鏡的庄頭的製造方法
KR20120137832A (ko)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KR20150138752A (ko) 쇠심을 활용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0971A (ko)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635687B1 (ko)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안경다리
KR101277532B1 (ko) 울템 소재를 이용한 투톤 칼라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TWI581032B (zh)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iddle beam of glasses
KR20100076432A (ko) 디자인이 개선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4203U (ko) 금속재 미미를 끼워서 조립하는 플라스틱 안경테
KR20150095433A (ko)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745072B1 (ko) 안경테의 데코레이션 림 결합구조체
KR20160037490A (ko)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프레임이 구비된 안경테
KR20190135580A (ko) 안경테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