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532B1 - 울템 소재를 이용한 투톤 칼라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울템 소재를 이용한 투톤 칼라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532B1
KR101277532B1 KR1020120042632A KR20120042632A KR101277532B1 KR 101277532 B1 KR101277532 B1 KR 101277532B1 KR 1020120042632 A KR1020120042632 A KR 1020120042632A KR 20120042632 A KR20120042632 A KR 20120042632A KR 101277532 B1 KR101277532 B1 KR 101277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mold
injection
spectacle frame
pol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열
Original Assignee
(주)성산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산정공 filed Critical (주)성산정공
Priority to KR1020120042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2/00Producing frames
    • B29D12/02Spectacl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yeglass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울템소재를 이용한 투톤 칼라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울템소재를 이용하여 주입단계(10)와 성형단계(20)와 상기 사출단계(30) 후 얻은 안경테(100)를 원하는 색상의 일반안료로 도포하는 색상도포단계(40)와, 상기 색상도포단계(40) 후 상기 안경테(100)의 측면(130)과 경계를 이루는 전면(110)에 색상이 도포된 부분을 연마하여 제거하는 연마단계(50)로 이루어져 투톤 칼라의 안경테(100)를 얻게 됨으로써 상기 사출단계(30)후 표면 전체 또는 색상이 도포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샌드블라스트 하여 색상 도포 시 침착이 잘 될 수 있도록 하고, 이중 사출을 할 필요가 없어 제조공정이 줄어들어 원가를 절감시키고, 색상도포단계(40)와 연마단계(50)에서 사용되는 색상도포금형(210)과 연마금형(300)의 안착 깊이를 조절하여 색상이 도포되는 부분 및 연마하는 부분을 조절 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의 안경테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울템 소재를 이용한 투톤 칼라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 Using a two-tone color in ultem frame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본 발명은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울템소재를 이용하여 안경테를 제조하되, 상기 안경테의 전면과 후면, 측면의 색상을 선택적으로 달리하여 투톤 칼라를 형성하고, 전면은 유광, 후면과 측면은 무광이 형성함으로써 이중사출 후 결합하지 않아도 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작업공정이 줄어들며 다양한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는 울템 소재를 이용한 투톤 칼라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안경은 대부분이 광학적인 시력 교정 및 시력이 저하된 사람들이 착용하는 것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미용적인 이미지메이킹을 위해서 착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안경은 안경테의 디자인과 색상 등 안경착용자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독특한 디자인, 흔치않은 디자인과 색상 등이 소비자들이 안경을 선택하는 주요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 안경제조업체에서도 다양한 디자인과 컬러를 가진 안경을 개발하여 출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사출하여 안경테를 제조함에 있어 하나의 안경에 하나의 색상만을 부여하여 제조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소비자들이 다양한 색상의 안경을 필요로 할 때 다양하게 구매할 수밖에 없어 비용이 많이 부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근래 들어 TR소재를 사용하여 각각의 색상이 다른 안경테를 이중사출 하여 각각의 사출물을 결합하여 제조되고 있고, 반면에 이중사출을 하지 않고 TR소재를 이용하여 안경테를 사출하여 페인팅 작업을 통해 투톤 칼라를 형성한 안경테도 제조되고 있지만, TR소재에 페인팅을 하되 색상이 소재의 침착이 잘 되지 않으며 페인팅 된 부분이 벗겨지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별도의 코팅작업을 하여 페인팅 된 부분이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공정을 거쳐 완성됨으로써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10-0895713 (특) 사출물이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1차 사출유로 및 2차 사출유로가 각각 형성되면서 고정 설치되는 고정측 사출 금형, 상기 고정측 사출 금형과의 대향면 중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요입 형성되어 제품의 사출 영역을 제공하면서 사출물을 각각 제공받아 제품을 사출하도록 캐비티가 요입 형성된 한 쌍의 캐비티 코어를 가지며, 상기 고정측 사출 금형으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측 사출 금형, 상기 가동측 사출 금형이 상기 고정측 사출 금형으로부터 멀어질 경우 사출 완료된 제품을 상기 고정측 사출 금형으로부터 이젝팅시키는 이젝팅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등록번호 10-1097298(특) 1차사출을 통하여 반제품의 안경다리를 얻고 금형을 교환하여 2차 사출공정에서 수지의 종류 및 색상을 변경하여 사출함으로서 내, 외면이 이종수지 또는 이종색상을 갖는 완성된 안경다리를 얻는 합성수지재 안경다리의 이중사출제조방법에 있어서, 암금형의 내측에 사출홈이 일체로 형성되는 1차사출홈을 형성하고 관통공을 가진 심재의 표면이 1차숫금형의 내면과 밀착하게 1차사출홈에 장치하며 1차숫금형의 내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도형홈을 심재의 관통공 상부에 위치하게 하여 암금형의 1차사출홈에 투입된 수지가 심재의 관통공을 통하여 1차숫금형의 도형홈에 투입되게 하여 심재의 하면에 안경다리의 두께를 반분하는 수지층을 형성하여 심재의 상면에 돌부가 심재의 외측으로 일정량 돌출되는 1차사출물을 얻고, 2차숫금형의 내측에 돌부의 돌출폭의 깊이로 일체로 형성되는 2차사출홈을 형성하여 암금형에 1차사출물을 인서트하여 암금형과 2차숫금형을 밀착하여 1차수지와 색상을 달리하는 2차수지를 2차사출홈에 주입하여 완성된 안경다리인 2차사출물을 얻어 내, 외측이 이종색상을 갖는 합성수지재 안경다리의 내측 수지를 이용하여 안경다리의 외면에 장식무늬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공개번호 10-2010-0076432 (특) 하부금형에 안경다리 두께의 절반에 해당하는 깊이로 1차성형물이 성형될 사출요부를 형성하고 일측단에는 심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멍을 형성하며, 상부금형은 2개를 구비하되, 1차상부금형에는 요홈을 구비하지 않고 장식물을 삽입할 장식요부를 형성할 돌출부를 형성하되, 돌출부는 장식물 두께의 절반 내지 장식물 두께와 같은 두께가 되도록 하며, 상기 1차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맞댄 다음 사출재료를 탕로를 통하여 압송하여 사출요부의 내에 재료가 채워지도록 하며, 삽입구멍에는 삽입핀을 막아두었다가 사출 재료가 어느 정도 채워지면 삽입핀으로 심재를 일정한 깊이까지 밀어 넣고 다시 삽입구멍을 막은 상태로 나머지 사출을 계속함으로써 안경다리 절반 두께만큼만 두께를 갖고 장식물이 삽입될 장식요부를 가지면서 귀걸이가 되는 부분에 심재가 삽입된 1차성형물을 사출하며, 상기 1차 사출에서 마련된 장식요부에 장식물을 삽입하되, 장식물은 별도의 공정을 통하여 합성수지를 재료로 한 사출물이거나 또는 금속판재를 가공한 것으로, 외형 또는 모양으로 문양이나 문자를 각인 또는 사출시 성형한 것이며, 상기 장식물을 장식요부에 삽입한 다음 2차 사출을 위한 2차상부금형을 준비하되, 상기 2차상부금형은 안경다리의 나머지 절반 전체인 2차성형부가 성형되도록 하는 요부를 형성하고 ,2차상부금형을 하부금형의 상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다시 나머지 요부만큼의 공간을 채워 사출하여 이중사출을 하여 안경다리의 다양한 디자인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은 안경테를 제조하는 방법이 아닌 안경테를 이중사출하기 위한 금형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이중사출을 하는 금형장치로서 안경테를 제조하는데 있어 구체적으로 제조되는 방법을 언급하고 있지 않으며 각각의 사출물을 성형하여 결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완제품 시 제조원가가 높으며 무게가 무겁고,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다른 형태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이중사출을 이용하여 안경다리를 제조하되 각각의 사출물에 각각 다른 색상과 디자인으로 형성되는 방법을 중심적으로 기재 하고 있다. 이는 상기한 종래기술과 차이가 없는 기술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종래의 기술과 차별화된 기술로 인해 무게가 가볍고 강도가 높으며 이중사출을 하지 않고 안경테의 전면과 후면, 측면의 색상을 달리하여 투톤 칼라의 안경테를 형성하여 제조원가를 줄이고, 안경테 전면은 유광, 후면, 측면은 무광으로 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착용자의 인상을 좌우 할 수 있으며 제조 시 선택적으로 색상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더불어 유광, 무광의 범위도 조절 할 수 있는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을 제공하는 안경테가 제조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울템소재를 이용하여 사출 후 얻은 안경테를 금형에 안착 시켜 원하는 색상으로 도포하여 안경테를 투톤 칼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사출 후 표면 전체 또는 색상을 도포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샌드블라스트 하여 안경테에 일반안료가 잘 침착 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색상도포 후 상기 안경테의 측면과 경계를 이루는 전면에 색상이 도포된 부분을 연마하여 전면은 유광, 후면과 측면은 무광으로 형성되는 제품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용융된 울템소재를 사출기를 통해 금형에 주입하는 주입단계와, 상기 금형에 주입된 상기 울템소재를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단계 후 성형된 안경테를 사출하는 사출단계로 이루어지는 울템소재를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출단계(30) 후 얻은 안경테(100)를 원하는 색상의 페인트로 도포하는 색상도포단계(40)와, 상기 색상도포단계(40)후 상기 안경테(100)의 측면(130)과 경계를 이루는 전면(110)에 색상이 도포된 부분을 연마하여 제거하는 연마단계(5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사출단계(30)후 상기 안경테(100)의 표면 전체 또는 색상을 도포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샌드블라스트 하여 색상의 침착이 잘되고, 색상이 침착되지 않는 부분으로는 무광의 느낌이 나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색상도포단계(40)에는 안경테(100)에 색상을 입히는 단계로서 통상의 도포과정으로 할 수 도 있고 도포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안경테(100)를 안착 시켜 색상을 도포할 수 있도록 색상도포금형(210)을 구성하여 색상을 도포하되, 상기 색상도포금형(210)의 안착 깊이를 조절하여 상기 안경테(100)의 표면으로 색상을 도포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조절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마단계(50)에는 도포된 색상을 선택적으로 벗겨내는 것으로 통상의 연마공정을 통하여 처리할 수 있지만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안경테(100)를 안착시켜 연마할 수 있도록 연마금형(220)을 구성하여 연마하되, 상기 연마금형(220)의 안착깊이를 조절하여 연마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조절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울템소재를 이용한 투톤 칼라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울템소재를 이용하여 안경테의 후면과 측면을 원하는 색상으로 도포하되 일반안료가 잘 침착 될 수 있도록 샌드블라스트를 선택적으로 하여 투톤 칼라의 안경테를 형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별도의 이중 사출을 할 필요가 없어 제조공정이 줄어 듬과 동시에 제조원가를 절감 시킬 수 있고, 색상도포와 연마 시 각각의 색상도포금형과 연마금형에 안경테가 안착되는 부분의 높이를 조절하여 시켜 색상을 도포하는 부분 및 연마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조절 할 수가 있어 선택의 폭이 넓으며 차별화된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을 가질 수 있고, 안경테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광택 층을 형성시키는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전면은 유광, 후면과 측면은 무광으로 형성되어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색상이 도포되지 않는 부분을 유광 또는 무광으로 형성할 수 있어 시각적으로 미려함을 더하는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색상도포단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색상도포단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연마단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안경테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용융된 울템소재를 사출기를 통해 금형에 주입하는 주입단계와, 상기 금형에 주입된 상기 울템소재를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단계 후 성형된 안경테를 사출하는 사출단계와, 상기 사출단계(30)후 상기 안경테(100)를 샌드블라스트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울템소재를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샌드블라스트 단계에서 상기 안경테(100)를 안착 시킨 후 샌드블라스트 한 부분에 색상을 도포 할 수 있도록 색상도포금형(210)을 구성하여 색상을 도포하되, 상기 색상도포금형(210)을 가변시켜 상기 안경테(100)의 표면으로 색상을 도포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도포하는 색상도포단계(40)와, 상기 색상도포단계(40) 후 상기 안경테(100)를 안착시켜 측면(130)의 색상도포부분 경계를 초과하여 안경테(100)의 전면(110)과 측면(130)에 도포된 안료를 제거할 수 있도록 연마금형(220)을 구성하되, 상기 연마금형(220)을 가변 시켜 연마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제거하는 연마단계(50); 로 이루어져, 울템소재로 제조되는 상기 안경테(100)의 표면에 도포되는 색상과 연마되는 부분을 조절하여 안경테(100)에 투톤 칼라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가장기초적인 부분으로서 통상의 사출기에 본 제조방법의 소재로 사용되는 울템소재를 넣은 다음 용융된 울템소재를 상기 사출기를 통해 사출하여 캐비티가 구성된 금형에 알맞게 주입하는 주입단계(10)를 거치게 된다.
상기 주입단계(10) 후 상기 금형에 주입된 울템소재에 가장 알맞은 온도와 시간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20)를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성형단계(20)에서 상기 울템소재를 성형하는 조건이 적절하지 못하면 완 제품이 불량제품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의 조건으로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성형단계(20)를 거친 후에는 적절한 온도와 시간에 의해 금형에서 성형된 안경테(100)를 사출하는 사출단계(30)를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사출단계(30)에서는 통상의 사출방법을 통하여 상기 안경테(100)의 중앙부와 양측을 동시에 사출하여 불량률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주입단계(10), 성형단계(20), 사출단계(30) 후 얻은 안경테(100)는 울템소재를 이용하여 완성된 것으로써 상기 울템소재의 특성상 완성된 안경테는 광택층이 자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울템소재의 특성에 의해 하기될 제조방법에서 다양한 완제품의 안경테(100)를 제조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사출단계(30)후에는 상기 안경테(100)의 표면을 통상의 샌드블라스트 공법을 적용하여 무광처리 하거나 미세 요철 면으로 마무르게 하여 하기될 색상도포단계(40)에서 색상을 도포 시 색상이 잘 침착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출단계(30)후 표면을 전체적으로 샌드블라스트 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색상을 도포하려고 하는 부분만을 샌드블라스트로 구분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 사출단계(30) 후에는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출단계(30) 후 얻은 안경테(100)를 원하는 색상의 일반안료로 도포하는 색상도포단계(40)를 하게 된다. 상기 색상도포단계(40)는 사출단계(30)에서 얻은 안경테(100)를 반대로 뒤집어 전면(110)을 구비된 색상도포금형(210)에 안착 시킨 다음 후면(120)과 측면(130)을 상기 일반안료로 도포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 있어 통상적으로 TR소재를 사용하여 투톤 칼라로 형성되는 안경테가 제조되어 왔지만 이는, 색상을 도포하는 과정에 있어 색상침착이 잘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로 페인팅을 하여 페인팅한 부분이 벗겨지지 않도록 코팅을 하는 공정을 하여 소요되는 시간이 많고 매우 번거로웠으며, 코팅을 한다 하더라도 코팅한 부분이 부분적으로 벗겨지거나 햇볕에 심하게 노출이 되면 심하게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TR소재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위해 이중 사출이 가능한 금형을 이용하여 이중사출을 한 다음 각각의 사출물을 결합하여 투톤 칼라의 안경테를 제조한 후 별도의 광택층 및 연마공정으로 통하여 완성된 안경테를 얻을 수 있었지만 이는 결합된 각각의 사출물들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각각의 사출물을 결합하여 안경테가 두껍고 무거우며, 공정이 많아짐에 따라 제조원가가 매우 높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울템소재의 특성상 사출 후 얻은 안경테(100)는 자체적으로 표면 전체가 유광을 띄게 되며 상기 안경테(100)의 후면(120)과 측면(130)에 색상을 도포 하는 일반안료가 울템소재에는 침착이 잘되며 그대로 사용하거나 상기 사출단계(30)후 샌드블라스트 하여 일반안료가 침착이 잘 될 수 있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일반안료를 선정하여 원하는 색상으로 형성 할 수가 있어 다양한 색상을 가진 투톤 칼라 안경테(100)를 제조할 수 있게 되고, 별도의 이중사출을 하여 결합할 필요가 전혀 없이 공정이 간소화 되어 제조 원가를 절감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중사출을 하지 않고 투톤 칼라의 안경테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안경테의 무게가 감소되어 착용 시 기존의 TR소재 또는 이중칼라 안경테에 반해 무게감을 전혀 느낄 수가 없어 착용감과 편리성이 부여되어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울템소재의 특성상 성형 후 사출하게 되면 광이 나게 되어 별도의 광택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필요 없게 되며, 여기서 일반안료로 후면(120)과 측면(130)에 색상도포를 하게 되면 안경테(100)의 전면(110)은 유광, 후면(120), 측면은(130)은 무광인 안경테(100)를 제조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출단계(30)후 안경테(100) 표면 전체를 샌드블라스트 공법을 적용함으로써 색상도포 시 일반안료가 잘 침착 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색상을 도포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샌드블라스트 공법을 적용하여 작업을 진행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경테(100)의 후면(120)과 측면(130)에 색상을 도포하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경테(100)를 색상도포금형(210)에 안착시키되 선택적으로 상기 색상도포금형(210)에 안경테(100)가 안착되는 부분의 깊이를 조절하여 색상을 도포하는 부분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색상도포금형(210)에 안경테(100)를 안착 시키되 전면(110)과 후면(120), 측면(130)의 경계 부분 보다 적게 색상을 도포 할 경우에는 색상도포금형(210)에 안경테(100)가 안착되는 부분을 깊숙이 형성하여 제조할 수도 있고, 반면에 전면(110)과 후면(120), 측면(130)의 경계 부분 보다 많게 색상을 도포 할 경우에는 반대로 색상도포금형(210)에 안경테(100)가 안착되는 부분을 낮게 형성하여 제조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제조방법에서 안경테(100) 표면을 전체적으로 유광 또는 무광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표면 전체를 유광으로 형성할 때에는 사출한 안경테(100)를 그대로 사용하면 되고, 반대로 표면 전체를 무광으로 형성할 때에는 표면 전체적으로 일반안료로 색상을 도포 하게 되면 무광으로 형성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색상도포단계(40)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완성되는 안경테(100)를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을 갖는 안경테가 완성되며 사용자들이 착용 시 보는 이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미려하게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경테(100) 전면(110)을 일반안료로 색상을 도포하게 되면 전면(110)이 무광으로 형성되고 후면(120), 측면(130)이 유광으로 형성하여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색상도포단계(40)를 거친 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경테(100)를 꺼낸 다음 뒤집어 상기 안경테(100)의 측면(130)과 후면(120)의 경계를 벗어나 전면(110)으로 색상이 도포된 부분을 연마하여 제거하는 연마단계(50)를 하게 된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색상도포단계(40)에서 색상도포금형(210)과 안경테(100) 사이의 틈으로 색상을 도포한 일반안료가 후면(120)과 측면(130)의 경계를 벗어나 전면(110)로 미세하게 흘러들어가게 되고, 색상도포단계(40) 후 안경테(100)를 꺼내어 전면(110)을 보게 되면 부분적으로 일반안료가 도포된 부분이 생기게 된다.
이렇게 색상도포단계(40)후 얻은 안경테(100)를 연마하기 위해 연마금형(220)에 안착 시킨 후 일반안료가 도포된 부분을 상기 사출단계(30)에서 얻은 안경테(100)의 전면(110)표면과 동일하게 광이 날 수 있도록 연마하여 제거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마단계(50)를 거쳐 안경테 전면(110)으로 도포된 부분 또는 후면(120), 측면으로 도포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연마를 할 수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색상도포단계(40)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연마금형(220)에 안경테(100)가 안착되는 공간의 깊이를 깊게 하게 되면 연마하는 부분이 적어지게 되고, 반대로 상기 안경테(100)가 안착되는 공간의 깊이를 낮게 하게 되면 연마하는 부분이 많아지게 되어 다양한 디자인의 안경테(100)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순차적인 주입단계(10), 성형단계(20), 사출단계(30), 색상도포단계(40), 연마단계(50)를 거치게 되면 최종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110)은 유광, 후면(120)과 측면(130)은 무광이며 울템소재를 이용한 투톤 칼라가 형성된 안경테가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완성된 투톤 칼라 안경테(100)의 색상을 다른 색상으로 변형시키고 싶을 때는 일반안료가 도포된 부분을 벗겨내면 다시 사출단계(30)에서 사출된 안경테(100)와 동일하게 되어 재차 색상도포단계(40)와 연마단계(50)를 거쳐 다른 색상의 안경테(100)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서는 울템소재를 이용한 투톤 칼라 안경테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변형되어 제조할 수 있어 한정짓지 않는다.
상기한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울템소재를 이용하여 안경테(100)의 후면(120)과 측면(130)을 원하는 색상으로 도포작업을 하되 상기 안경테(100) 표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샌드블라스트 공법을 적용하여 색상을 도포 시 침착이 잘 되어 될 수 있도록 하여 투톤 칼라의 안경테(100)를 형성할 수 있어 별도의 이중 사출을 할 필요가 없어 제조공정이 줄어듦과 동시에 제조원가를 절감 시킬 수 있고, 색상도포와 연마 시 각각의 색상도포금형(210)과 연마금형(220)에 안경테(100)가 안착되는 부분의 높이를 조절하여 색상을 도포하는 부분 및 연마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조절 할 수가 있어 선택의 폭이 넓으며 차별화된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을 가질 수 있고, 안경테(100)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광택층을 형성시키는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전면(110)은 유광, 후면(120)과 측면(130)은 무광으로 형성되어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안경테(100) 표면 전체를 유광 또는 무광으로 형성할 수 있는 시각적으로 미려함을 더하는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10 : 주입단계 20 : 성형단계 30 : 사출단계
40 : 색상도포단계 50 : 연마단계
100 : 안경테 110 : 전면 120 : 후면
130 : 측면
210 : 색상도포금형 220 : 연마금형

Claims (6)

  1. 용융된 울템소재를 사출기를 통해 금형에 주입하는 주입단계와, 상기 금형에 주입된 상기 울템소재를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단계 후 성형된 안경테를 사출하는 사출단계와, 상기 사출단계(30)후 상기 안경테(100)를 샌드블라스트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울템소재를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샌드블라스트 단계에서 상기 안경테(100)를 안착시킨 후 샌드블라스트 한 부분에 색상을 도포할 수 있도록 색상도포금형(210)을 구성하여 색상을 도포하되, 상기 색상도포금형(210)을 가변시켜 상기 안경테(100)의 표면으로 색상을 도포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도포하는 색상도포단계(40);
    상기 색상도포단계(40) 후 상기 안경테(100)를 안착시켜 측면(130)의 색상도포부분 경계를 초과하여 안경테(100)의 전면(110)과 측면(130)에 도포된 안료를 제거할 수 있도록 연마금형(220)을 구성하되, 상기 연마금형(220)을 가변시켜 연마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제거하는 연마단계(50); 로 이루어져,
    울템소재로 제조되는 상기 안경테(100)의 표면에 도포 되는 색상과 연마되는 부분을 조절하여 안경테(100)에 투톤 칼라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템소재를 이용한 투톤 칼라 안경테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템소재를 이용한 투톤 칼라 안경테
KR1020120042632A 2012-04-24 2012-04-24 울템 소재를 이용한 투톤 칼라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KR101277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632A KR101277532B1 (ko) 2012-04-24 2012-04-24 울템 소재를 이용한 투톤 칼라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632A KR101277532B1 (ko) 2012-04-24 2012-04-24 울템 소재를 이용한 투톤 칼라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532B1 true KR101277532B1 (ko) 2013-06-21

Family

ID=4886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632A KR101277532B1 (ko) 2012-04-24 2012-04-24 울템 소재를 이용한 투톤 칼라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5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825B1 (ko) 2019-04-09 2020-08-31 (주)제이씨에스몰드 Mim공법을 이용한 안경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397Y1 (ko) * 1999-02-01 2002-06-03 박영우 칼라 블라스트에 의해 표면처리한 안경테
KR100776963B1 (ko) * 2006-08-22 2007-11-29 김정순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안경테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397Y1 (ko) * 1999-02-01 2002-06-03 박영우 칼라 블라스트에 의해 표면처리한 안경테
KR100776963B1 (ko) * 2006-08-22 2007-11-29 김정순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안경테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825B1 (ko) 2019-04-09 2020-08-31 (주)제이씨에스몰드 Mim공법을 이용한 안경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81527A1 (en) Multi-molded eyewear apparatus
KR20180033584A (ko) 안경 프레임의 전면 덮개용 장식 요소, 및 상기 장식 요소를 포함하는 안경
CN111031160A (zh) 一种复合板手机后盖的生产工艺
JP6561191B1 (ja) 模型部品、及び、模型部品の製造方法
CN106514153A (zh) 一种天线隐藏式手机后盖及其制作工艺
KR20110035543A (ko) 합성수지 안경테의 제조방법
KR101097298B1 (ko) 합성수지재 안경다리의 이중사출제조방법
KR101277532B1 (ko) 울템 소재를 이용한 투톤 칼라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JP6755248B2 (ja) 眼鏡用レンズを製造する方法、その方法で作製されたレンズ、およびそのレンズを備えた眼鏡
KR101281334B1 (ko) 촉감과 질감을 겸비한 안경의 제조방법 및 그 안경
KR20130093355A (ko) 안경테 림의 결합구조
KR20080110315A (ko) 다색상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KR101244060B1 (ko) 후가공이 필요한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금형장치
TW201708892A (zh) 眼鏡的庄頭的製造方法
KR100966017B1 (ko) 합성수지안경다리제조용 금형의 장식문양형성방법 및 장식문양이 형성된 금형
KR101260408B1 (ko) 후가공이 필요 없는 안경전면테 사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금형장치 및 그 방법과 금형장치로 사출되는 안경전면테
KR101579746B1 (ko)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다중 색상을 갖는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07191A (ko) 무게경량화와 탄성력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투톤 색상을 갖는 도금 안경테 제조방법
KR20200102202A (ko) 착용이 편리하고 심미감을 가지는 안경 조립체
CN211662555U (zh) 一种泳镜及生产模具
KR102189460B1 (ko) 안경테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N209327711U (zh) 一种具有可拆装饰镜框的无框眼镜
CN204556998U (zh) 模内镶件注塑成型一体眼镜
CN203250072U (zh) 一种覆膜塑料眼镜框架
CN105824132B (zh) 金属眼镜框架无焊接压铸一次性成型模具及其成型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