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358B1 - 자연증발식 가습기, 그 가습 엘리먼트 및 그 가습기용케이스 - Google Patents
자연증발식 가습기, 그 가습 엘리먼트 및 그 가습기용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0358B1 KR101260358B1 KR1020067020821A KR20067020821A KR101260358B1 KR 101260358 B1 KR101260358 B1 KR 101260358B1 KR 1020067020821 A KR1020067020821 A KR 1020067020821A KR 20067020821 A KR20067020821 A KR 20067020821A KR 101260358 B1 KR101260358 B1 KR 1012603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humidifying
- humidification
- humidifier
- case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분한 가습능력을 발휘하고, 또한 저렴하고 휴대 가능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와 그 가습 엘리먼트와 그 가습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가습편(24)을 신축 가능하게 연결한 한쪽의 가습 엘리먼트(12)의 한쪽 끝을 제 1 케이스부(28)에 고정하고, 동일한 구성의 다른쪽의 가습 엘리먼트(12)의 한쪽 끝을 제 2 케이스부(30)에 고정하여, 상기 2개의 가습 엘리먼트(12)의 다른쪽 끼리를 연결부재(48)로 연결한다. 제 1 케이스부(28)와 제 2 케이스부(30)에 물저류부로서의 내부 공간(42)을 설치한다.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제 1 케이스부(28)와 제 2 케이스부(30)를 폐쇄하여 가습 엘리먼트(12)와 연결부재(48)를 내부 공간(42)에 수용하고, 사용시에는 제 1 케이스부(28)와 제 2 케이스부(30)를 개방하여 가습 엘리먼트(12)를 신장시킨다. 내부 공간(38)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가습편(24)의 한쪽 끝이 물에 침지되고,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가습 엘리먼트(12) 전체가 습윤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의 자연증발에 의하여 공기를 가습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와 그 가습 엘리먼트와 그 가습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난방장치 등에 의한 실내공기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자연증발식 가습기가 사용되고 있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가습기(220)는, 가습소재(222), 물탱크(224), 수조(226), 커버(228) 등으로 구성된다. 가습소재(222)에는 흡수성이 있는 합성수지 등을 사용하고 있고, 이 가습소재(222)의 일부[흡상부(suck portion, 222a)]를 수조(226) 내에 넣은 물에 침지시킴으로써 모세관현상을 이용하여 물을 빨아 올려 가습소재(222) 전체에 물을 함유하게 한다. 가습소재(222)에 흡수된 물은 커버(228)에 설치된 슬릿(230)을 지나는 실내공기와 접촉함으로써 가습소재(222)의 표면[가습부(222b)]에서 자연증발하여 실내에 습기를 준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1-102227호 공보
그러나 상기 구성의 가습기(220)는 대규모의 구성이기 때문에 휴대가 불가능하다. 휴대하기 위해서는 가습기를 소형화 또한 경량화하지 않으면 안되나, 원하는 가습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습소재의 매수를 증가시키거나, 가습소재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이 가습기의 소형화나 경량화는 가습능력과 상반되는 것이기 때문에, 소형화나 경량화는 매우 곤란하기 때문에 휴대는 불가능하였다. 또 가습소재가 크면 클 수록 침지위치로부터 먼 부분의 습윤은 어렵게 되어 가습소재 전체가 습윤되기까지 시간이 걸려 조기 가습이 어려운 등의 문제도 있다. 게다가 상기 구성의 가습기(220)에서는 비용적으로도 고가가 되어 쉽게 구입하여 설치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숙박료가 비교적 저가인 비지니스호텔 등에서는 가습기가 설치된 방은 적고, 또한 난방장치를 비롯한 에어컨디셔너 등으로는 습도조절을 할 수 없는 것이 많기 때문에, 겨울철 등은 에어컨디셔너 등에 의하여 실내공기가 건조하여 목을 아프게 하는 등의 건강을 해치는 예도 많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건강피해도 숙박손님이 가습기를 휴대하여 지참할 수 있으면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충분한 가습능력을 발휘하고, 또한 저렴하고 휴대 가능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와 그 가습 엘리먼트와 그 가습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연증발식 가습기는, 흡수성을 가지는 가습 엘리먼트와, 상기 가습 엘리먼트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개폐 가능한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상기 케이스를 개방하였을 때에 상기 가습 엘리먼트가 신장 변형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상기 케이스를 개방하였을 때에 상기 가습 엘리먼트의 위치가 변위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상기 가습 엘리먼트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착탈 자유롭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상기 가습 엘리먼트에 슬릿 또는 노치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상기 슬릿 또는 노치를 파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상기 내부 공간이 상기 가습 엘리먼트를 가습시키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저류부이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상기 가습 엘리먼트를 연결부를 거쳐 연결한 복수의 가습편으로 구성하고, 상기 모든 가습편의 일부를 상기 액체 저류부 내의 액체에 침지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상기 복수의 가습편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복수의 접어 구부림부로 하고, 그 복수의 접어 구부림부를 접어 구부려 복수의 가습편을 주름상자형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상기 가습 엘리먼트의 상기 접어 구부림부의 위치에 슬릿 또는 노치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상기 슬릿 또는 노치를 파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상기 케이스를 제 1 케이스부와 제 2 케이스부로 구성하여, 상기 제 1 케이스부에 제 1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케이스부에는 상기 제 1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과 걸어맞추기 위한 제 2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제 1 케이스부와 상기 제 2 케이스부를 개방하였을 때에, 상기 제 1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과 상기 제 2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을 걸어맞추게 하여 상기 제 1 케이스부와 상기 제 2 케이스부를 고정상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상기 케이스를 제 1 케이스부와 제 2 케이스부로 구성하고, 상기 제 1 케이스부와 제 2 케이스부의 양쪽에 상기 가습 엘리먼트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가습 엘리먼트의 한쪽 끝을 상기 제 1 케이스부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가습 엘리먼트의 다른쪽 끝을 상기 제 2 케이스부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상기 가습 엘리먼트를 2개의 부재로 구성하여, 한쪽의 가습 엘리먼트의 한쪽 끝을 상기 제 1 케이스부에 고정하고, 다른쪽의 가습 엘리먼트의 한쪽 끝을 상기 제 2 케이스부에 고정하여, 2개의 가습 엘리먼트에서의 상기 케이스부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다른쪽 끝끼리를 변형 가능한 연결부재로 연결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상기 케이스를 제 1 케이스부와 제 2 케이스부로 구성하여, 상기 가습 엘리먼트의 한쪽 끝을 상기 제 1 케이스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다른쪽 끝을 상기 제 2 케이스부에 설치하고, 상기 제 1 케이스부에 한쪽 끝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케이스부에 다른쪽 끝을 설치하는 것으로 신축 가능하고 발수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액체 저류부로서의 물받이부를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상기 가습 엘리먼트가 상기 제 1 케이스부와 상기 제 2 케이스부에 대하여 착탈 자유롭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상기 물받이부가 상기 제 1 케이스부와 상기 제 2 케이스부에 대하여 착탈 자유롭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상기 케이스 내에 가습 엘리먼트와 걸어맞추기 위한 제 2 위치결정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가습 엘리먼트에 상기 제 2 위치결정수단과 걸어맞추기 위한 제 1 위치결정수단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상기 가습 엘리먼트의 부근에 송풍기를 구비하고, 그 송풍기로부터의 바람을 상기 가습 엘리먼트에 닿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 엘리먼트는, 흡수성을 가지는 시트형상의 부재를 접어 구부려 복수의 가습편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 엘리먼트는, 복수의 가습편이 접어 구부림 위치를 경계로 하여 변위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 엘리먼트는, 상기 가습편에 슬릿 또는 노치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 엘리먼트는, 상기 시트형상의 부재를 둘로 접는 중앙 접어 구부림부를 지그재그로 접어 구부리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 엘리먼트는, 상기 중앙 접어 구부림부를 따라 슬릿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 엘리먼트는, 상기 중앙 접어 구부림부를 따라 둘로 접어 구부린 것을 상기 중앙 접어 구부림부에 대략 직각방향으로 복수의 구획 접어 구부림부에서 주름상자형상으로 접어 구부려, 상기 중앙 접어 구부림부와 상기 복수의 구획 접어 구부림부로 복수의 가습편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 엘리먼트는, 상기 구획 접어 구부림부에 슬릿 또는 노치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 엘리먼트는, 상기 슬릿 또는 노치를 파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 엘리먼트는, 상기 중앙 접어 구부림부가 상기 구획 접어 구부림부와 교차할 때마다 접어 구부림방향이 바뀌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 엘리먼트는, 상기 복수의 가습편의 모든 한쪽 끝을 묶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1개의 가습편과 연락하는 연결편과, 그 연락편에 형성되는 제 1 걸어맞춤수단과, 적어도 1개의 가습편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걸어맞춤수단과 걸어맞추기 위한 제 2 걸어맞춤수단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걸어맞춤수단이 삽입편이나 슬릿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걸어맞춤수단이 슬릿이나 삽입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가습 엘리먼트는, 흡수성을 가지는 복수의 가습편의 한쪽 끝을 연결부로 연결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 엘리먼트는, 상기 가습편에 슬릿 또는 노치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 엘리먼트는, 상기 슬릿 또는 노치를 파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용 케이스는, 가습 엘리먼트를 내부에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가습 엘리먼트를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기 위한 걸어멈춤부를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용 케이스는, 제 1 케이스부와 제 2 케이스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어멈춤부는 상기 제 1 케이스부와 제 2 케이스부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는 것으로, 그 케이스부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설치하여 상기 가습 엘리먼트의 일부를 끼우는 아암부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용 케이스는, 상기제 1 케이스부에 상기 케이스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 1 폐쇄 유지용 걸어맞춤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케이스부에 상기 제 1 폐쇄 유지용 걸어맞춤수단에 걸어맞추는 제 2 폐쇄 유지용 걸어맞춤수단을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용 케이스는 상기 제 1 폐쇄 유지용 걸어맞춤수단이 외력에 의하여 변위하는 변위부재로 하고, 상기 제 2 폐쇄 유지용 걸어맞춤수단이 상기 덮개에 구비된 돌기로 하여, 상기 변위부재의 변위에 따라 상기 돌기가 상기 변위부재에 계탈(係脫)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용 케이스는, 상기 제 1 케이스부에 상기 케이스를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 1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케이스부에 상기 제 1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에 걸어맞추는 제 2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을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용 케이스는, 제 1 케이스부와 제 2 케이스부 중의 한쪽을 상기 내부 공간을 가지는 용기로 하고, 다른쪽을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로 하여, 상기 용기에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락하는 액체 배출 간극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용 케이스는, 제 1 케이스부와 제 2 케이스부 중의 한쪽을 상기 내부 공간을 가지는 용기로 하고, 다른쪽을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로 하여, 상기 용기 내에 가습 엘리먼트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수단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용 케이스는, 제 1 케이스부와 제 2 케이스부 중의 한쪽을 상기 내부 공간을 가지는 용기로 하고, 다른쪽을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로 하여, 상기 용기 내에 상기 가습 엘리먼트와 걸어맞추기 위한 위치결정수단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연증발식 가습기는, 가습 엘리먼트를 개폐 가능한 케이스의 내부 공간 내에 수용함으로써 소형으로 경량화가 가능해져 숙박지나 기타 원하는 장소에 손쉽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습 엘리먼트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케이스를 폐쇄함으로써 축소하여 케이스 내부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소형화나 휴대가 가능해진다. 한편 덮개를 개방한 사용시에는 가습 엘리먼트를 신장 변형함으로써 가습 표면적을 크게 취하여 충분한 가습능력을 얻을 수 있다. 또 덮개를 개방하면 가습 엘리먼트를 변위시킴으로써 공기에 닿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습 엘리먼트를 케이스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장기사용에 의하여 물의 증발효과가 감소되었을 때에, 가습 엘리먼트를 적절하게 교환할 수 있어, 장기간 위생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가습 엘리먼트에 슬릿이나 노치를 설치함으로써 공기의 유통을 좋게 하여 가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어 구부림부에 슬릿이나 노치를 설치함으로써 가습 엘리먼트를 접어 구부리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자연증발식 가습기는, 가습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모든 가습편의 일부를 물에 침지시킴으로써, 물에 침지한 부분으로부터 각 가습편의 선단까지의 거리가 균일해져, 물이 전체에 골고루 퍼지기 쉽게 되어 조기 가습도 가능해진다. 또한 가습 엘리먼트를 신축 자유로운 주름상자형상으로 함으로써 소형화나 단위체적당의 가습편의 개수를 증가하는 것이 가능해져, 가습능력을 증가시키고, 경량화와 비용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케이스를 제 1 케이스부와 제 2 케이스부로 구성하여, 양쪽의 케이스부에 가습 엘리먼트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큰 가습 엘리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케이스를 제 1 케이스부와 제 2 케이스부로 구성하여 각 케이스부에 서로의 걸어맞춤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케이스를 개방하였을 때에 개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에 의하여 가습 엘리먼트에 인공적으로 바람을 보내면, 슬릿 등과의 상승효과에 의하여 가습능력은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가습기 엘리먼트는, 시트형상의 것을 접어 구부려 복수의 가습편을 형성함으로써, 저비용으로 복수의 가습편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접어 구부림 위치를 중심으로 외력에 의하여 복수의 가습편을 변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케이스의 덮개를 개방하였을 때에 가습기 엘리먼트를 자동적으로 공기에 닿은 상태로 할 수 있다. 시트형상의 것을 중앙 접어 구부림부에서 둘로 접어 구부림과 동시에 둘로 접어 구부린 것을 복수의 구획 접어 구부림부에서 주름상자형상으로 접어 구부림으로써 2열의 가습편을 교대로 위치를 바꾸어 배치할 수 있어, 단위 체적당에 많은 가습편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둘로 접어 구부리는 중앙 접어 구부림부를 직선형상이 아닌 지그재그로 형성하고, 또한 그 중앙 접어 구부림부에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두께가 있는 가습기 엘리먼트의 시트이더라도 중앙 접어 구부림부 위치에서 용이하게 둘로 접어 구부릴 수 있다. 가습편이나 구획 접어 구부림부에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그 슬릿을 공기가 통과하여 가습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구획 접어 구부림부를 용이하게 접어 구부릴 수 있다. 가습편이나 구획 접어 구부림부에 형성하는 슬릿을 파형으로 함으로써 슬릿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모든 가습편의 일부를 연결편으로 묶음으로써 그 연결편으로 묶은 위치를 케이스의 바닥에 배치하면 케이스 내의 물이 줄더라도 모든 가습편에 물이 골고루 퍼져 양호한 가습효율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습편의 한쪽 끝끼리를 연결부로 연결함으로써, 그 연결부 부분을 케이스의 바닥에 배치하면, 케이스 내의 물이 줄더라도 모든 가습편에 물이 골고루 퍼져 양호한 가습효율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습기용 케이스는, 가습기 엘리먼트를 설치하기 위한 걸어멈춤부를 구비함으로써 가습기 엘리먼트를 용이하게 가습기용 케이스에 착탈할 수 있다. 또 덮개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용기와 덮개에 서로 걸어맞춰지는 폐쇄 유지용 걸어맞춤수단을 설치하고, 덮개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용기와 덮개에 서로 걸어맞춰지는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간단하고 저렴한 걸어맞춤수단을 만들 수 있다. 가습기용 케이스를 용기와 덮개로 구성하여 용기에 내외로 통하는 액체배출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덮개를 덮은 채로 용기 내의 물을 배출할 수 있어, 손을 적시지 않고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용기 내에 가습기 엘리먼트와 끼워맞추기 위한 핀을 형성함으로써 용기 내에서의 가습기 엘리먼트의 위치결정이나 가습기 엘리먼트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사용시의 부분 단면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사용시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자연증발식 가습기를 사용하지 않을때의 부분 단면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연증발식 가습기에 사용하는 가습 엘리먼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에 사용하는 가습 엘리먼트의 가습량을 비교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에 사용하는 가습 엘리먼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7의 가습 엘리먼트를 접어 구부려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7의 가습 엘리먼트의 주요부 확대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가습 엘리먼트를 케이스나 덮개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
도 11은 도 8의 가습 엘리먼트를 사용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케이스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나타내는 케이스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케이스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시의 부분 단면 정면도,
도 16은 도 15의 수평방향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자연증발식 가습기에서 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4는 도 23의 Y-Y 선 단면도,
도 25는 종래의 자연증발식 가습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연증발식 가습기 12 : 가습 엘리먼트
14 : 케이스 20 : 슬릿
22 : 연결부 24 : 가습편
24a : 단부 가습편 24b : 단부 가습편
24c : 중간 가습편 28 : 제 1 케이스부
30 : 제 2 케이스부 34 : 오목부
36 : 볼록부 38 : 내부 공간
48 : 연결부재 54 : 자연증발식 가습기
56 : 제 2 케이스부 58 : 가습 엘리먼트
60 : 중앙 접어 구부림부 62 : 구획 접어 구부림부
64 : 슬릿 66 : 슬릿
68 : 가습편 70 : 걸어맞춤용 슬릿
72 : 구멍 74 : 연결편
82 : 삽입편 90 : 자연증발식 가습기
92 : 케이스 94 : 내부 공간
96 : 용기 100 : 덮개
106 : 핀 108a : 유지 아암
108b : 유지 아암
114 : 제 1 폐쇄 유지용 걸어맞춤수단
120 : 돌기 122 : 간극
124 : 자연증발식 가습기 126 : 물저류부
128 물받이부 132 : 자연증발식 가습기
134 : 내부 공간 136 : 용기
138 : 덮개 140 : 케이스
142 : 자연증발식 가습기 144 : 덮개
146 : 케이스 152 : 자연증발식 가습기
154 : 물저류부 156 : 용기
162 : 가습 엘리먼트 164 : 가습편
166 : 연결부 168 : 슬릿
170 : 자연증발식 가습기 172 : 가습편
174 : 내부 공간 176 : 용기
178 : 덮개 182 : 자연증발식 가습기
184 : 케이스 186 : 가습 엘리먼트
188 : 가습편 190 : 용기
192 : 덮개 194 : 내부 공간
196 : 유지 아암 198 : 자연증발식 가습기
200 : 송풍기 202 : 제 1 공간
210 : 가습 엘리먼트 218 : 가습편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에어컨디셔너 등에 의한 실내공기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물의 자연증발에 의하여 공기를 가습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가습을 촉진하기 위한 가습 엘리먼트 및 그 가습 엘리먼트를 유지하기 위한 가습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먼저, 본 발명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의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사용시의 정면에서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자연증발식 가습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실시예 1에 관한 자연 증발식 가습기(10)는, 주로 가습 엘리먼트(12)와 케이스(14)를 가진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내는 자연증발식 가습기에 사용하는 가습 엘리먼트(12)의 일례를 도 4에 정면도로 나타낸다. 가습 엘리먼트(12)는, 흡수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대략 장방형 형상의 1매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장방형 형상의 가습 엘리먼트(12)에는 긴 변(16a, 16b)의 길이에 걸쳐 등간격 위치에 짧은 변(18)과 평행하게 슬릿(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릿(20) 대신에 노치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하 “슬릿(20)"은, 슬릿뿐만 아니라 노치도 포함한 것으로 한다. 이 슬릿(20)은 직선형상이 아닌 파형이어도 좋다. 가습 엘리먼트(12)는, 슬릿(20)의 형성위치에서 교대로 지그재그로 복수개소를 접어 구부려 신축 자유로운 주름상자형상으로 하고, 그때 접어 구부림부(22)에 의하여 복수의 가습편(가습영역)(24)을 형성한다. 접어 구부림부(22)는, 복수의 가습편(24)을 연결하는 것으로, 연결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슬릿(20)은 가습 엘리먼트(12)를 접어 구부리기 쉽게 하기 위함과, 그 슬릿(20)의 위치를 통하여 공기를 통과시켜 액체의 증발을 촉진하기 위함이다. 도 4에서는 접어 구부림부(22)에 형성되는 슬릿(20)의 개수를 2개로 하였으나, 슬릿(20)의 개수는 2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가습 엘리먼트(12)는, 슬릿(20)을 설치한 접어 구부림부(22)의 위치에서 교대로 지그재그로 복수개소 접어 구부림으로써 신축 자유로운 주름상자형상의 것이 된다. 가습 엘리먼트(12)를 지그재그로 복수개소 접어 구부림으로써 긴 변 16a도 긴 변 16b도 접어 구부린 능선이 된다. 신축 자유롭게 주름상자형상으로 접어 구부러진 복수의 가습편(24)은, 양쪽 끝의 부분을 단부 가습편(24a, 24b)으로 하고, 단부 가습편(24a)과 단부 가습편(24b) 사이의 주름상자형상으로 접어 구부러진 복수의 개소를 중간 가습편(24c)으로 한다. 한쪽의 단부 가습편(24a)은 케이스(14)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는 것으로, 그 단부 가습편(24a)에는 케이스(14)에 설치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구멍(26a)(예를 들면 2개소)이 설치되어 있다. 또 한쪽의 단부 가습편(24b)에는 긴 변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편(24d)과 연결되어 있고, 그 돌출편(24d)에는 케이스(14)에 설치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구멍(26d)(예를 들면 2개소)이 설치되어 있다. 돌출편(24d)은 단부 가습편(24b)에 대하여 용이하게 접어 구부러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단부 가습편(24b)에서의 돌출편(24d)과 연결위치의 반대측의 단부 부근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연결부재(48)를 설치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구멍(26b)(예를 들면 2개소)이 설치되어 있다.
가습 엘리먼트(12)의 소재에는, 예를 들면 경량으로 마찰에 강한 폴리에스테르나 페놀수지 등의 흡수성이 있는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물을 흡착한 채로도 잡균이나 곰팡이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항균·곰팡이방지제를 합성수지에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가습 엘리먼트(12)는 경량 또한 소형화를 실현하기 위해서 여기서는 예를 들면 판 두께를 0.5 mm, 짧은 변(18)의 길이를 약 110 mm로 한다. 이 짧은 변(18)의 길이가 50 mm 이하이면 가습능력이 불충분한 한편, 150 mm 이상이면 물의 빨아올림 능력이 불충분해져 조기 가습이 어렵게 되기 때문에, 그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크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습 엘리먼트(12)의 소재는 상기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물을 흡수하여 증발시킬수 있는 것이면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케이스(14)는 발수성의 소재, 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4)는 용기형상의 제 1 케이스부(28)와 제 2 케이스부(30)로 이루어지고, 제 1 케이스부(28)와 제 2 케이스부(30)는 힌지(32)를 거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각 케이스부(28, 30)의 힌지(32)측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케이스(14)의 개방상태를 유지 고정하기 위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부(28)에는 제 1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으로서의 오목부(34)를 구비하고, 제 2 케이스부(30)에는 그 오목부(34)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 2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으로서의 볼록부(3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부(28)와 제 2 케이스부(30)가 직선형상으로 넓혀진 상태에서는 제 1 케이스부(28)와 제 2 케이스부(30)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근접 이간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제 1 케이스부(28)의 오목부(34)와 제 2 케이스부(30)의 볼록부(36)는 걸어맞춤 이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1 케이스부(28) 및 제 2 케이스부(30)에는 케이스(14)의 폐쇄시에 서로 대향하는 개소에 오목부, 즉 내부 공간(3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내부 공간(38)은, 가습 엘리먼트(12)를 습윤시키는 가습용 물(또는 각종 액체)을 저류하기 위한 액체 저류부이다. 이 내부 공간(38)의 용적은, 케이스(14)의 폐쇄시에 접은 가습 엘리먼트(12)를 그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하고 있다. 제 1 케이스부(28)와 제 2 케이스부(30)는 동일한 형상, 동일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폐쇄시에는 서로의 개구부를 맞추어서 그 내부 공간(38)을 밀폐하도록 설정한다. 내부 공간(38)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하여 제 1 케이스부(28)와 제 2 케이스부(30)의 접 합개소에 팩킹 등(도시 생략)을 사용하면 가습기(10)를 접어 휴대할 때에 가습 엘리먼트(12)에 물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도 물이 샐 염려가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케이스부(28) 및 제 2 케이스부(30)의 각각에 가습 엘리먼트(12)을 1개씩 설치하여, 모두 2매의 가습 엘리먼트(12)를 사용한다. 제 1 케이스부(28)에의 가습 엘리먼트(12)의 설치와, 제 2 케이스부(30)에의 가습 엘리먼트(12)의 설치는 동일하기 때문에 제 1 케이스부(28)에의 가습 엘리먼트(12)의 설치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 2 케이스부(30)에의 설치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가습 엘리먼트(12)에서의 단부 가습편(24a)과 돌출편(24d)을 제 1 케이스부(28)의 내부 공간(38)측의 벽면에 고정한다. 이 때문에 제 1 케이스부(28)에서는 내부 공간(38)측의 벽면에서 내부 공간(38) 내를 향하여 단부 가습편(24a)과 접촉하기 위한 2개의 돌기부(40a)와, 돌출편(24d)과 접촉하기 위한 1개의 돌기부(40b)를 형성한다(도 3 참조). 돌기부(40a)의 선단에서 안쪽을 향하여 단부 가습편(24a)의 구멍(26a)과 합치시키기 위한 구멍(도시 생략)이 설치되고, 돌기부(40b)의 선단에서 안쪽을 향하여 돌출편(24d)의 구멍(26d)과 합치시키기 위한 부분에 구멍(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40a, 40b)의 선단에 형성되는 구멍(도시 생략)은, 케이스(14)를 관통하지 않도록 한다.
제 1 케이스부(28)와 제 2 케이스부(30)에서 내부 공간(38)측의 벽면에서 내부 공간(38) 내를 향하여 핀(42)을 소정 또는 임의의 간격으로 형성한다(도 2). 이 핀(42)은, 제 1 케이스부(28) 및 제 2 케이스부(30)의 내부 공간(38)에 물을 넣었을 때에, 진동 등에 의하여 물이 제 1 케이스부(28)나 제 2 케이스부(30)로부터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14)의 바깥쪽에 내부 공간(38)과 같은 스페이스를 설치하여(도시 생략), 가습 엘리먼트(12) 이외의 것(예를 들면 출장시의 필수품 인 칫솔이나 빗 등)도 수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가습 엘리먼트(12)를 제 1 케이스부(28)의 내부 공간(38)측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습 엘리먼트(12)의 단부 가습편(24a)을 제 1 케이스부(28)의 2개의 돌기부(40a)에 접촉시켜, 단부 가습편(24a)의 구멍(26a)의 위치와 돌기부(40a)의 도시 생략한 구멍의 위치를 합치시키고, 두부가 넓은 우산형상의 핀(고정수단)(44)을 단부 가습편(24a)의 구멍(26a)과 돌기부(40a)의 도시 생략한 구멍에 삽입하여 핀(44)으로 단부 가습편(24a)을 돌기부(40a)에 고정한다(도 3 참조). 이것에 의하여 가습 엘리먼트(12)의 단부 가습편(24a)은 제 1 케이스부(28)에 고정된다. 또한 핀(44)은 돌기부(40a)에 대하여 착탈 자유롭게 한다. 또 가습 엘리먼트(12)의 단부 가습편(24b)과 연락하고 있는 돌출편(24d)을 돌기부(40b)에 접촉시켜, 돌출편(24d)의 구멍(26d)의 위치와 돌기부(40b)의 구멍(도시 생략)의 위치를 합치시키고, 두부가 넓은 우산형상의 핀(고정수단)(46)을 돌출편(24d)의 구멍(26d)과 돌기부(40b)의 구멍(도시 생략)에 삽입하여 핀(46)으로 돌출편(24d)을 돌기부(40b)에 고정한다(도 3 참조). 단부 가습편(24b)의 긴 변(16b)측은 돌출편(24d)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단부 가습편(24b)의 긴 변(16b)측은, 제 1 케이스부(28)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핀(46)은 돌기부(40b)에 대하여 착탈 자유롭게 한다. 돌출편(24d)을 돌기부(40b)에 고정할 때에, 핀(46)의 두부와 가습 엘리먼트(12)의 돌출편(24d)의 사이에 실리콘 고무 등의 와셔(50)를 끼우면 고정력이 향상하여 진동 등에 의해서도 핀(46)이 느슨해지기 어렵게 된다.
가습 엘리먼트(12)의 단부 가습편(24a)과 돌출편(24d)을 제 1 케이스부(28)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신축 자유로운 주름상자형상으로 접어 구부러진 가습 엘리먼트(12)의 한쪽의 긴 변(16b)측은 대략 부채의 사북의 위치가 되어 크게 개방하지 않도록 설정한다. 또 이 부채의 사북의 위치가 되는 한쪽의 긴 변(16b)측은 내부 공간(38)의 깊은 위치에 배치된다. 즉, 내부 공간(38)에 물 등의 액체가 공급된 경우에 물이 어느 정도 증발하여도 부채의 사북의 위치가 되는 긴 변(16b)측은 반드시 수면하에 위치하도록 설정한다. 그 반대로, 가습 엘리먼트(12)의 다른쪽의 긴 변(능선)(16a)측을 부채형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뒤에서 설명한다). 또 가습 엘리먼트(12)에서의 모든 중간 가습편(24c)은 제 1 케이스부(28)에 고정되어 있지는 않다.
단부 가습편(24b)의 긴 변(16a)측 부근은 제 1 케이스부(28)에는 고정되지 않도록 한다. 이것과 마찬가지로 제 2 케이스부(30)에 설치되는 가습 엘리먼트(12)에서도 단부 가습편(24b)의 긴 변(16a)측 부근은 제 2 케이스부(30)에는 고정되지 않도록 한다. 2개의 가습 엘리먼트(12)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제 1 케이스부(28)에 설치한 가습 엘리먼트(12)의 단부 가습편(24b)의 긴 변(16a)측 부근과, 제 2 케이스부(30)에 설치한 가습 엘리먼트(12)의 단부 가습편(24b)의 긴 변(16a)측 부근을 변형 가능한 연결부재(48)에 의하여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케이스부(28) 및 제 2 케이스부(30)의 양쪽에서 연결부재(48)에 구멍(도시 생략)을 형성하고, 그 연결부재(48)의 도시 생략한 구멍과 단부 가습편(24b)의 구멍(26b)을 합치시켜 그들의 구멍에 핀(고정수단)(52)을 관통시켜, 연결부재(48)와 단부 가습편(24b)의 긴 변(16a)측 부근을 고정한다. 이 연결부재(48)에 의하여 2개의 가습 엘리먼트(12)를 연결한다. 연결부재(48)는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져 소정의 강도를 구비함과 동시에 가변성을 가지고 가습기(10)의 사용시에는 가습 엘리먼트(12)의 신장시의 형상(예를 들면 부채형형상)을 유지하는 한편, 가습기(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가습 엘리먼트(12)와 함께 폐쇄된 케이스(14)의 내부 공간(38)에 수납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가습기(10)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습기(10)를 사용할 때는 케이스(14)를 폐쇄한 상태(도 3)로부터 제 1 케이스부(28)와 제 2 케이스부(30)를 개방하고, 제 1 케이스부(28)와 제 2 케이스부(30)를 동일 직선방향으로 신장하여 제 1 케이스부(28)의 오목부(34)에 제 2 케이스부(30)의 볼록부(36)를 끼워 맞춘다(도 1). 이것에 의하여 제 1 케이스부(28)와 제 2 케이스부(30)는 고정상태로 유지된다. 제 1 케이스부(28)의 내부 공간(38)에 수납되어 있는 가습 엘리먼트(12)의 단부 가습편(24b)의 긴 변(16a)측과, 제 2 케이스부(30)의 내부 공간(38)에 수납되어 있는 가습 엘리먼트(12)의 단부 가습편(24b)의 긴 변(16a)측은 연결부재(48)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14)를 개방한 도 1의 상태에서는 제 1 케이스부(28)에 설치된 각 가습 엘리먼트(12)의 단부 가습편(24b)과 제 2 케이스부(30)에 설치된 각 가습 엘리먼트(12)의 단부 가습편(24b)은 연결부재(48)에 의하여 서로 인장되어 형이 변형되고, 2개의 가습 엘리먼트(12)에 의하여 부채형 형상이 형성된다.
케이스(14)를 개방하여 도 1의 상태로 한 가습기(10)를 책상 등의 적절한 곳에 설치할 때에, 제 1 케이스부(28)의 내부 공간(물저류부)(38)과 제 2 케이스부(34)의 내부 공간(물저류부)(38)에 물 등의 액체를 공급한다. 또한 액체는 수돗물이어도, 방부제나 방향제 등을 함유한 전용액이어도 상관없다. 제 1 케이스부(28)의 내부 공간(38)과 제 2 케이스(34)의 내부 공간(38)에 공급하는 물 등의 액체는, 부채의 사북의 위치가 되는 가습 엘리먼트(12)의 지그재그로 접어 구부러진 긴 변(16b)측보다 높은 위치로 한다. 이것에 의하여 단부 가습편(24a)의 전체와 단부 가습편(24b)의 일부[돌출편(24d)와 연락하고 있다]와, 모든 중간 가습편(24c)의 일부[긴 변(16b)]측이 물에 침지된다. 따라서 모든 가습편(24a, 24b, 24c)에서 물에 침지한 부분으로부터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각 가습편(24a, 24b, 24c)의 윗쪽에 물이 습윤된다. 물로 습윤된 가습 엘리먼트(12)의 표면에, 건조한 실내공기가 접촉하면 습윤된 가습 엘리먼트(12)로부터 수분이 증발하여 실내공기를 가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 엘리먼트(12)에서의 각 가습편(24a, 24b, 24c)의 한쪽 끝을 물에 침지시키기 때문에 각 가습편(24a, 24b, 24c)에서 물에 침지되어 있지 않은 선단부분까지의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모세관현상이 유효하게 작용하여 물의 빨아올림 능력이 향상하여 조기 가습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복수의 중간 각 가습편(24c)의 긴 변(16b)측이 물에 침지되지 않은 경우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양쪽 끝의 단부 가습편(24a, 24b)에서 중앙의 복수의 중간 각 가습편(24c)을 향하여 물을 습윤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가습기(10)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주름상자형상의 가습 엘리 먼트(12)을 접어 제 1 케이스부(28)의 내부 공간(38)과 제 2 케이스부(30)의 내부 공간(38)에 수납함으로써 가습기(10)를 콤팩트한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도 3 참조), 휴대가 가능하여 임의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사용시에는 가습 엘리먼트(12)는 폭이 넓은 부채형상으로 변형되어 퍼지기 때문에, 넓은 가습 표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또 사용할 때에는 제 1 케이스부(28)와 제 2 케이스부(30)를 개방하여 제 1 케이스부(28)의 오목부(34)에 제 2 케이스부(30)의 볼록부(36)를 걸어맞추게 할 뿐이기 때문에 조립에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오목부(34)와 볼록부(36)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제 1 케이스부(28)와 제 2 케이스부(30)를 안정된 고정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장기사용에 의하여 물 속에 함유되는 칼크 등이 가습 엘리먼트(12)에 고여 물의 빨아올림 능력이 저하되는 일이 있다. 또 가습 엘리먼트(12)의 색이 바래거나, 가습 엘리먼트(12)에 잡균이 번식하여 비위생적인 상태가 되는 일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 엘리먼트(12)를 제 1 케이스부(28)나 제 2 케이스부(30)로부터 착탈하여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습기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또, 본 발명에서는 가습 엘리먼트(12)에 복수의 슬릿(20)을 설치하고 있고, 그 슬릿(20)을 실내공기가 통과함으로써 물의 증발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가습능력을 기대할 수 있다. 슬릿(20)의 형성위치를 접어 구부림 위치인 접어 구부림부(22)로 함으로써, 실내공기가 슬릿(20)을 더욱 통과하기 쉽게 되어 가습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슬릿(20)을 파형으로 하면, 공기의 통과면적을 더욱 넓게 할 수 있다. 이하, (A) 슬릿(20)을 설치한 가습 엘리먼트(12)를 사용한 것과, (B) 슬릿(20)을 설치하고 있지 않은 가습 엘리먼트(12)를 사용한 것과, (C) 가습 엘리먼트(12)를 사용하지 않는 것[단지 케이스(14)에 물을 넣은 것]의 가습량의 비교 실험예를 도 5에 나타낸다. 이 실험에서는 온도 26 ± 1℃, 습도 23.4 ± 2%의 조건하에서 가습 엘리먼트(12)에 닿는 풍속을 변화시켜 가습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가습 엘리먼트의 판두께, 크기, 매수 등, 그 밖의 조건은(A) (B) (C) 모두 동일하게 한다.
이 실험결과인 (A)와 (B), (B)와 (C) 및 (A)와 (C)를 대비하면, 풍속이 강해짐에 따라 가습량이 커짐과 동시에 그 차도 커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풍속 0.3 m/s의 경우에 있어서는, 가습량은 (A) 약 22 g/h, (B) 약 16.5 g/h, (C) 약 4 g/h 이다. (B)와 (C)를 대비하면 (B)의 쪽이 (C)보다 약 4.1배의 가습량이 생겨 있고, (A)와 (C)를 대비하면 (A)의 쪽이 (C)보다 약 5.5배의 가습량이 생겨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가습 엘리먼트(12)를 사용한 경우와, 가습 엘리먼트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서는 가습량에 대폭적인 차가 생긴다. 또 (A)와 (B)를 대비하면, (A)의 쪽이 (B)보다 약 1.33배의 가습량이 생겨 있고, 가습 엘리먼트(12)에 슬릿(20)을 설치하는 경우의 쪽이, 슬릿(20)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보다 가습능력이 향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풍속 0.5 m/s의 경우에서도 (A) 약 29 g/h, (B) 약 21 g/h로 되어 있고, (A)의 쪽이 (B)보다 약 1.38배의 가습량이 생겨 있다. 따라서, 통상 오피스나 호텔 등의 실내에서도 실제로는 풍속 0.3 m/s ∼ 0.5 m/s의 공기의 흐름이 있기 때문에, 가습기(10)를 보통으로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가습 엘리먼트(12)에 슬릿(20)을 설치함으로써 약 30∼40% 가습능력이 향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실시예 2에서의 사용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에서 도 1 내지 도 4와 동일부호는 동일부재를 나타낸다. 실시예 2의 가습기(54)는, 물저류부 인 내부 공간(38)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부(한쪽의 케이스부)(28)와, 그것과 힌지(도시 생략)를 거쳐 개폐 자유롭게 설치되는 덮개를 겸하는 제 2 케이스부(다른쪽의 케이스부)(56)를 가진다. 본 실시예의 가습기(54)에서는 가습 엘리먼트(12)를 1개 사용하고,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하는 것과 동일치수이고 동일형상의 것을 사용한다. 가습 엘리먼트(12)의 한쪽의 단부 가습편(24a)을 제 1 케이스부(28)에 설치하고, 다른쪽의 단부 가습편(24b)을 제 2 케이스부(56)에 설치한다. 단부 가습편(24b)의 제 2 케이스부(56)에의 설치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탈 자유롭게 하나,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가습 엘리먼트(12)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실시예 1보다 더욱 콤팩트하고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2개의 가습 엘리먼트(12)를 연결부재(48)를 거쳐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가습기(54)를 사용할 때에는, 제 1 케이스부(28)의 제 2 케이스부(56)를 개방한다. 이것에 의하여 내부 공간(38)에 수납되어 있는 가습 엘리먼트(12)는 제 1 케이스부(28)와 제 2 케이스부(56)에 의하여 반대방향으로 인장하여 변형되고, 가 습 엘리먼트(12)는 부채형으로 개방된다. 그후 제 1 케이스부(28)의 내부 공간(38)에 물 등의 액체를 공급한다. 가습 엘리먼트(12)에서의 부채형의 사북의 위치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모든 가습편(24a, 24b, 24c)의 한쪽 끝이 위치하여 내부 공간(38)에 물을 공급한 경우에 모든 가습편(24a, 24b, 24c)의 긴 변(16b)측의 한쪽 끝에 물이 침지하여 어느 정도 물이 증발하여도 긴 변(16b)측의 한쪽 끝은 반드시 수면하에 위치하도록 설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실시예 2의 가습기(54)에서도 실시예 1의 가습기(10)와 마찬가지로 물에 침지되어 있는 부분에서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각 가습편(24a, 24b, 24c)의 윗쪽으로 단시간에 물을 습윤시킬 수 있다. 또 가습기(54)는 콤팩트하기 때문에 휴대가 가능하고 또한 임의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에 사용하는 가습 엘리먼트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가습 엘리먼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7의 가습 엘리먼트를 접어 구부려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가습 엘리먼트(58)는 흡수성을 가지는 시트형상의 것으로 이루어지고, 한 변측이 다른 변측보다 긴 1매의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습 엘리먼트(58)의 소재는, 도 4에서 나타낸 가습 엘리먼트(12)와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가습 엘리먼트(58)는 도 7의 평면상태에서 몇번인가의 접어 구부림을 행하여 도 8에 나타내는 상태로 접어 올리는 것이다. 이 가습 엘리먼트(58)에서는 길이방향의 중앙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즉 둘로 접어 구부리기 위한 중앙 접어 구부림부(60)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중앙 접어 구부림부(60)는 직선형상이 아니라, 직선이 좌우로 몇번이나 접어 구부러진 형상으로 하는 것이다. 이 가습 엘리먼트(58)에서는 중앙 접어 구부림부(60)에서 둘로 나눈 영역의 각각에 중앙 접어 구부림부(60)에 대략 직각방향에 등간격으로 평행한 복수의 구획 접어 구부림부(62)를 설정하고, 그것들 복수의 구획 접어 구부림부(62)를 따라 순서대로 접어 구부림방향을 바꾸도록 접어 구부린다. 즉, 중앙 접어 구부림부(60)는 구획 접어 구부림부(62)와 교차할 때마다 접어 구부림방향을 바꾸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접어 구부림부(60)를 따라 슬릿(64)을 형성한다. 이 슬릿(64)은 중앙 접어 구부림부(60)를 따라 시트형상의 것을 둘로 접어 구부리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구획 접어 구부림부(62)를 따라 그 구획 접어 구부림부(62)의 길이의 일부에 슬릿(66)을 형성한다. 이 슬릿(66)은 구획 접어 구부림부(62)에서의 접어 구부림을 쉽게 하기 위함과, 그 슬릿(66)의 위치를 통하여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함이다. 이 슬릿(66)은 파형으로 하여도 좋다. 슬릿(66)을 파형으로 함으로써 그 위치를 통하여 공기를 더욱 많이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슬릿(66) 대신에 노치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하 “슬릿(66)"은, 슬릿뿐만 아니라 노치도 포함한 것으로 한다. 가습 엘리먼트(58)는, 예를 들면 프레스에 의한 펀칭에 의하여 형성하나, 그 때에 슬릿(64, 66)을 형성함과 동시에, 중앙 접어 구부림부(60)와 구획 접어 구부림부(62)의 접어 구부림을 형성한다. 또 가습 엘리먼트(58)의 중앙 접어 구부림부(60)와 구획 접어 구부림부(62)의 위치에 있어서, 그 두께에 오목부 또는 홈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가습 엘리먼트(58)를 중앙 접어 구부림부(60)와 구획 접어 구부림부(62)에서 접어 구부림으로써 복수의 가습편(가습영역)(68)이 형성된다. 가습 엘리먼트(58)의 한쪽 끝측에서 중앙 접어 구부림부(60)에서 2개로 나누어진 부분을 가습편(68aa)과 가습편(68ab)으로 하면, 가습편(68aa)과 가습편(68ab)의 옆폭은 다른 가습편(68)보다 넓게 설정한다. 한쪽의 가습편(68aa)에는 제 2 걸어맞춤수단(걸어맞춤용 슬릿)(70)과, 뒤에서 설명하는 핀(106)과 걸어맞추기 위한 제 1 위치결정수단으로서의 구멍(72)이 형성된다.
가습 엘리먼트(58)의 다른쪽 끝측에서 중앙 접어 구부림부(60)에서 둘로 나누어진 부분의 한쪽측에는 가장 끝에 형성되어 있는 가습편(68ba)으로부터는 분리되어 있는 연결편(74)과, 가습편(68ba)과 접속되어 있는 되접어 꺽음편(76)이 형성되어 있다. 가습 엘리먼트(58)의 다른쪽 끝측에서 중앙 접어 구부림부(60)에서 둘로 나누어진 부분의 다른쪽측에는 가장 끝에 형성되어 있는 가습편(68bb)과 접속되어 있는 되접어 꺽음편(7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편(74)은 중앙 접어 구부림부(60)를 거쳐 가습편(68bb)과 접속되어 있다. 연결편(74)의 중앙에는 예를 들면 반원형상의 절삭선(80)이 형성되고, 이 절삭선(80)에 의하여 제 1 걸어맞춤수단(삽입편)(82)이 형성된다. 이 삽입편(82)은 상기 가습편(68aa)에 형성되는 걸어맞춤용 슬릿(70)에 걸어 맞출 수 있는 크기나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걸어맞춤수단을 삽입편(82)으로 하고, 제 2 걸어맞춤수단을 걸어맞춤용 슬릿(70)으로 하였으나, 제 1 걸어맞춤수단을 걸어맞춤용 슬릿으로 하고, 제 2 걸어맞춤수단을 삽입편으로 하여도 좋다. 되접어 꺽음편(76)과 접속되어 있는 가습편(68ba)에 는 그 되접어 꺽음편(76)과의 접속부분의 일부에 걸어 맞춤용 구멍(84)이 형성되어 있다. 가습편(68bb)에는 되접어 꺽음편(78)과의 접속부분의 일부에 걸어 맞춤용 구멍(86)이 형성되어 있다. 가습편(68bb)에는 그 가습편(68bb)과 그것에 인접하는 것으로서 되접어 꺽음편(78)과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가습편(68)과의 양쪽에 걸치는 걸어맞춤용 구멍(88)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가습 엘리먼트(58)의 조립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가습 엘리먼트(58)를 중앙 접어 구부림부(60)를 따라 접어 구부리고, 접어 구부린 2개의 영역을 겹친다. 2개의 영역을 겹친 것을, 복수의 구획 접어 구부림부(62)를 순서대로 접어 구부려 신축 자유로운 주름상자형상으로 한다. 그후 연결편(74)을 가습편(68aa)측으로 접어 구부려, 연결편(74)의 삽입편(82)을 가습편(68aa)의 걸어맞춤용 슬릿(70)에 삽입한다. 이것에 의하여 조립이 완료된다(도 8). 조립한 상태의 가습 엘리먼트(58)에서는 가습편(68aa, 68ab, 68ba, 68bb)의 한쪽 끝과 그것들에 끼워진 모든 가습편(68)의 한쪽 끝이 연결편(74)에 의하여 묶인다. 이 때문에 연결편(74)이 수면하에 위치하면, 가습편(68aa, 68ab, 68ba, 68bb)의 한쪽 끝과 모든 가습편(68)의 한쪽 끝에 물을 흡수시킬 수 있다. 중앙 접어 구부림부(60)를 직선이 아닌 지그재그로 함으로써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획 접어 구부림부(62)를 순서대로 교대로 배치시킬 수 있고, 동일한 측을 향하는 복수의 구획 접어 구부림부(62)를 깨끗하게 2열로 정렬시킬 수 있다. 또 두께가 있는 가습 엘리먼트(58)의 구획 접어 구부림부(62)를 평행하게 접어 구부리기 쉽게 할 수 있다. 중앙 접어 구부림부(60)를 지그재그가 아닌 직선으로 한 경우에는, 동일한 측을 향 하는 구획 접어 구부림부(62)를 깨끗하게 정렬시킬 수 없고, 또한 두께가 있는 가습 엘리먼트(58)의 구획 접어 구부림부(62)를 접어 구부리는 것을 간단하게 행할 수 없다.
실시예 3의 자연증발식 가습기(90)는 도 8과 같이 조립한 가습 엘리먼트(58)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케이스(92)로 이루어진다. 케이스(92)는 물저류부 인 내부 공간(94)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부(한쪽의 케이스부)로서의 용기(96)와, 그것과 힌지(98)를 거쳐 개폐 자유롭게 설치되는 제 2 케이스부(다른쪽의 케이스부)로서의 덮개(100)로 이루어진다. 용기(96)는 기초부(102)와, 그 기초부(102)로부터 내부 공간(94)측으로 내밀은 내밀음부(104)(도 10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내밀음부[(104a, 104b)라 한다]를 끼워 넣어 접착 등으로 고정한 것으로, 그 내밀음부(104a, 104b)의 하단과 기초부(102)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이 내밀음부(104)는 가습 엘리먼트(58)를 용기(96)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단, 가습 엘리먼트(58)를 용기(96)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수단은, 내밀음부(104)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기초부(102)의 바닥면에는 내부 공간(94) 내를 향하여 돌출하는 제 2 위치결정수단으로서의 핀(10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용기(96)에 가습 엘리먼트(58)의 한쪽 끝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습편(68aa)의 바깥 가장자리[구획 접어 구부림부(62)와 반대측의 바깥 가장자리]를, 한쪽의 내밀음부(104a)의 하단과 용기(96)의 바닥면과의 사이의 간극에 삽입시켜 용기(96)의 핀(106)에 가습편(68aa)의 구멍(72)을 걸어맞추게 한다. 또한 가습편(68ab)의 바깥 가장자리[구획 접어 구부림부(62)와 반대측의 바깥 가장자리]를, 다른쪽의 내밀음부(104b)의 하단과 용기(96)의 바닥면과의 사이의 간극에 삽입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가습 엘리먼트(58)의 한쪽 끝을 용기(96)에 설치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과는 반대로 핀(106)으로부터 가습편(68aa)의 구멍(72)을 빼어 내고, 가습편(68aa)을 한쪽의 내밀음부(104a)의 하단과 용기(96)의 바닥면과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빼어 내어 가습편(68ab)을 다른쪽의 내밀음부(104b)의 하단과 용기(96)의 바닥면과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빼어 냄으로써 가습 엘리먼트(58)의 한쪽 끝을 용기(96)로부터 용이하게 빼어낼 수 있다.
또한 가요성이 있는 가늘고 긴 판(도시 생략)으로 가습편(68aa)과 가습편(68ab)을 위에서 눌러 슬릿(66)(제7도)에 그 가늘고 긴 판을 통과시키고, 그 가늘고 긴 판의 양쪽 끝을 좌우의 내밀음부(104a, 190b)의 하단과 용기(96)의 바닥면과의 사이의 간극에 삽입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 도시 생략한 가늘고 긴 판을 사용하면 가습 엘리먼트(58)의 한쪽 끝을 용기(96)에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100)에는 좌우의 유지 아암(108a, 108b)이 일체로 형성된다. 좌우의 유지 아암(108a, 108b)과 덮개(100)의 안쪽 표면과의 사이에는 1∼3매 정도의 가습편을 삽입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가습 엘리먼트(58)의 다른쪽 끝을 덮개(100)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습편(68ba)과 되접어 꺽음편(78)과의 사이의 구획 접어 구부림부(110)(도 8, 도 10)측을 유지 아암(108a)과 덮개(100) 사이의 간극에 삽입하여 가습편(68ba)에 형성한 걸어맞춤용 구멍(84)과 유지 아암(108a)을 걸어맞추게 한다. 이것에 의하여 가습편(68ba)과 연락하는 되접어 꺽음편(76)을 덮개(100)에 설치할 수 있다. 다른쪽의 유지 아암(108b)과 덮개(100) 사이의 간극에는 가습편(68bb)과 되접어 꺽음편(78) 사이의 구획 접어 구부림부(112)(도 10)측을 삽입하여 가습편(68bb) 등에 형성한 걸어맞춤용 구멍(86) 및 걸어맞춤용 구멍(88)에 유지 아암(108b)를 걸어맞추게 한다. 이것에 의하여 가습편(68bb)과 연락하는 되접어 꺽음편(78)을 덮개(100)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결과, 가습 엘리먼트(58)의 다른쪽 끝은 덮개(100)에 빠지지 않고 설치된다. 또 유지 아암(108a)이나 유지 아암(108b)에서 그것들과 걸어맞춰지는 가습편을 빼어 냄으로써 가습 엘리먼트(58)의 다른쪽 끝을 덮개(100)로부터 용이하게 빼어낼 수 있다. 또한 가습 엘리먼트(58)의 한쪽 끝을 용기(96)에 설치함과 동시에, 가습 엘리먼트(58)의 다른쪽 끝을 덮개(100)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가습 엘리먼트(58)에서의 부채형의 사북의 위치에 있는 연결편(74)은 용기(96)의 내부 공간(94)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가습 엘리먼트(58)의 크기나 형상을 설정한다.
가습 엘리먼트(58)를 용기(96)와 덮개(100)에 설치한 상태를 도 11에 나타낸다. 가습기(90)를 사용할 때에는 용기(96)에 대하여 덮개(100)를 개방한다. 이것에 의하여 내부 공간(94) 내에 수납되어 있는 가습 엘리먼트(58)의 양쪽 끝은 용기(96)와 덮개(100)에 의하여 반대방향으로 인장되고, 가습 엘리먼트(58)는 변형되어 부채형으로 개방된다. 즉, 가습 엘리먼트(58)에서 구획 접어 구부림부(62)를 거쳐 연락하는 가습편(68)은 외력에 의하여 구획 접어 구부림부(62)를 경계로 변위한다. 가습 엘리먼트(58)는 조립시에 중앙 접어 구부림부(60)를 따라 접어 구부려 2개의 영역을 겹치고, 그후 복수의 구획 접어 구부림부(62)를 따라 신축 자유로운 주름상자형상으로 접어 구부려진다. 이 때문에 도 11에 나타내는 사용시에서는 가습 엘리먼트(58)의 가습편(68)은 2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가습편(68)이 2열로 또한 교대로 꽃잎의 위치를 바꾼 것처럼 배치된다. 즉, 모든 가습편(68)이 각각 떨어진 상태가 되어, 각 가습편(68)으로부터의 수분의 증발을 촉진할 수 있다.
또, 용기(96)의 내부 공간(94)에 물 등의 액체를 넣은 경우, 가습 엘리먼트(58)에서의 부채형의 사북의 위치에 있는 연결편(74)(도 8)은, 용기(96)의 내부 공간(94)의 바닥에 위치하기 때문에, 가습편(68aa, 68ab, 68ba, 68bb)의 한쪽 끝과 모든 가습편(68)의 한쪽 끝이 물에 잠겨, 용기(96) 내의 물이 어느 정도 증발하여도 가습편(68aa, 68ab, 68, 68ba, 68bb)의 한쪽 끝은 반드시 수면하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하여 물에 침지되어 있는 부분에서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각 가습편(68aa, 68ab, 68, 68ba, 68bb)의 윗쪽에 단시간에 물을 습윤시킬 수 있다. 또한 가습기(90)는 콤팩트하기 때문에 휴대가 가능하고, 또한 임의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용기(96)에는 도 11,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제 1 폐쇄 유지용 걸어맞춤수단(114)이 구비되어 있다. 이 제 1 폐쇄 유지용 걸어맞춤수단(114)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밀음부(104)에 연결된 2개의 아암부(116)와, 그 2개의 아암부(116)에 연결된 판형상부(118)로 이루어진다. 판형상부(118)를 윗쪽에서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힘이 작용하면 아암부(116)가 변형되어 판형상부(118)가 용기(96)의 바깥쪽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덮개(100)의 자유선단 중앙부에는 상기 제 1 폐쇄 유지용 걸어맞춤수단(114)에 걸어 맞추기 위한 제 2 폐쇄유지용 걸어맞춤수단으로서의 돌기(1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100)의 개폐에 대하여 도 14에서 설명한다. 도 14(a)는 덮개(100)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덮개(10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덮개(100)는 내밀음부(104)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고, 또한 덮개(100)의 돌기(120)의 상면[도 14(a)에서의 상면]은, 판형상부(118)의 하면[도 14(a)에서의 하면]과 접촉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덮개(100)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부(118)를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힘을 가함으로써 판형상부(118)는 용기(96)의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돌기(120)의 윗쪽에는 판형상부(118)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 덮개(100)를 개방할 수 있다. 그 반대로 덮개(100)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도 14(b)와 같이 판형상부(118)를 아래쪽으로 미는 힘을 가한 상태에서 덮개(100)를 내밀음부(104)의 상면에 접촉시키고, 그후 판형상부(118)를 아래쪽으로 미는 힘을 제거하면 판형상부(118)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 돌기(120)의 윗쪽으로 이동한다[도 14(a)]. 이것에 의하여 판형상부(118)가 돌기(120)의 윗쪽으로의 이동을 저지하여 덮개(100)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또한 덮개(100)를 기세좋게 폐쇄한 경우에도 덮개(100)의 선단의 돌기(120)가 판형상부(118)를 일시적으로 용기(96)의 바깥쪽으로 이동시키고, 그후 판형상부(118)가 자동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 돌기(120)가 판형상부(118)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덮개(100)가 폐쇄된다.
또한 이 케이스(92)에서도 용기(96)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제 1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하고, 덮개(100)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제 2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하고, 제 1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과 제 2 개방 유지용 걸어맞 춤수단을 결합시킴으로써 용기(96)와 덮개(100)의 개방상태의 양자의 위치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부(118)의 하면과 기초부(102)[용기(96)]의 상단과의 사이에는 간극(122)을 형성하고, 이 간극(122)은 용기(96)의 내부 공간(94)과 외부와 항상 연락하도록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용기(96)의 내부 공간(94)에 액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또한 덮개(100)를 폐쇄한 상태에서 자연증발식 가습기(90)를 기울어지게 하면 간극(122)으로부터 내부 공간(94)에 수용한 액체를 배출할 수 있어 액체의 배출을 손을 적시지 않고 행할 수 있다.
(실시예 4)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실시예 4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정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부분 단면 평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서 도 1 내지 도 4와 동일부호는 동일부재를 나타낸다. 실시예 4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124)는 주로 신축 자유로운 주름상자형상의 가습 엘리먼트(12)와, 제 1 케이스부(28) 및 제 2 케이스부(30)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4)와, 내부에 물저류부(126)를 형성한 신축 자유로운 주름상자형상의 물받이부(128)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케이스부(28)와 제 2 케이스부(30)는 서로 착탈 개폐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물받이부(128)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의 발수성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 가능한 가습 엘리먼트(12)는 한쪽의 단부 가습편(24a)을 제 1 케이스부(28)의 내부 공간(38)을 형성하는 내벽에 핀(고정수단)(44)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고, 다른쪽의 단부 가습편(24b)을 제 2 케이스부(30)의 내부 공간(38)을 형성하는 내벽에 핀(고정수단)(44)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다. 신축 가능한 물받이부(128)는 한쪽 끝을 제 1 케이스부(28)의 내부 공간(38)을 형성하는 내벽에 고정수단(도시생략)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고, 다른쪽 끝을 제 2 케이스부(30)의 내부 공간(38)을 형성하는 내벽에 고정수단(도시 생략)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저류부(126)를 물받이부(128)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38)은 가습 엘리먼트(12)와 물받이부(128)의 수납부로서 사용된다.
제 1 케이스부(28)와 제 2 케이스부(30)를 접합시킨 상태[케이스(14)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접힌 가습 엘리먼트(12)와 접힌 물받이부(128)가 제 1 케이스부(28)의 내부 공간(38)과 제 2 케이스부(30)의 내부 공간(38) 속에 수용되도록 설정한다. 또 제 1 케이스부(28)와 제 2 케이스부(30)가 접합한 상태[케이스(14)를 폐쇄한 상태]이더라도, 떨어진 상태[케이스(14)를 개방한 상태]이더라도 가습 엘리먼트(12)의 모든 가습편(24a, 24b, 24c)의 하단 가장자리(130)(점선 도시)가 물받이부(128)의 물저류부(126) 내의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정한다. 도 15에서는 가습 엘리먼트(12)의 하단 가장자리(130)와 물받이부(128)의 바닥면과는 접촉하고 있지 않으나, 접촉상태로 하여도 고정상태로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의 가습기(124)는 사용시에는 제 1 케이스부(28)와 제 2 케이스부(30)를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떼어 놓고 변형시켜 케이스(14)의 내부 공간(38) 에 수납되어 있는 가습 엘리먼트(12)와 물받이부(128)를 동일 수평방향으로 신장시킨다. 이 가습기(124)는 가습 엘리먼트(12)를 윗쪽으로 접음과 동시에 물받이부(128)를 아래쪽으로 하여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부(30)를 책상 등의 위에 얹어 물받이부(128)의 물저류부(126) 내에 물을 공급한다. 물저류부(126) 내의 물에 의하여 가습 엘리먼트(12)의 모든 가습편(24a, 24b, 24c)의 하단부는 물에 침지하기 때문에 모든 가습편(24a, 24b, 24c)의 수면 면보다 상부의 위치에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물이 단시간에 습윤된다. 이 결과, 수면보다 윗쪽에 위치하는 가습 엘리먼트(12)에 외기가 접촉함으로써 실내 공기가 가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 엘리먼트(12)도 물받이부(128)도 동일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기 때문에 제 1 케이스(28)와 제 2 케이스부(30) 사이의 이간 거리, 즉 개방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가습량을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5)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실시예 5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17에서 도 4와 동일부호는 동일부재를 나타낸다. 실시예 5의 가습기(132)는 물저류부로서의 내부 공간(134)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부로서의 용기(136)와, 제 2 케이스부로서의 개폐 덮개(138)와, 가습 엘리먼트(12)로 구성된다. 용기(136)와 덮개(138)로 케이스(140)를 구성한다. 덮개(138)는 힌지 등으로 용기(136)에 설치되는 구조로 하여도 좋고, 용기(136)에 대하여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용기(136)의 내부 공간(134)에 도 4에 나타내는 가습 엘리먼트(12)를, 슬릿(20)의 위치에서 접어 구부려 신축 자유로운 주름상자상태로 하여 삽입한다. 이때, 주름상자상태의 가습 엘리먼트(12)는 양쪽 끝측이 압축된 상태로 하여 내부 공간(134) 내에 장착하면 가습 엘리먼트(12)에 발생하는 신장방향의 힘이 용기(136)의 내벽을 밀기 때문에, 가습 엘리먼트(12)는 용기(136)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용기(136)에 핀 등의 고정수단으로 가습 엘리먼트(12)를 고정하지 않아도 좋다. 사용시에는 덮개(138)를 취하여 용기(136)의 내부 공간(134) 내에 물을 넣고, 가습 엘리먼트(12)의 모든 가습편(24a, 24b, 24c)의 일부를 물에 침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모든 가습편(24a, 24b, 24c)에서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물에 침지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물에 침지되어 있지 않은 상부로 단시간에 물을 습윤시킬 수 있다.
(실시예 6)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실시예 6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도 19에서 도 4 및 도 17과 동일부호는 동일부재를 나타낸다. 자연증발식 가습기(142)는, 물저류부로서의 내부 공간(134)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부로서의 용기(136)와, 제 2 케이스부로서의 덮개 개폐(144)를 가진다. 용기(136)와 덮개(144)로 케이스(146)를 구성한다. 자연증발식 가습기(142)는 다시 덮개(144)에 고정되는 지지축(148)과, 덮개(144)는 반대측 위치의 지지축(148)에 고정되는 지지판(150)과, 지지판(150)의 위에 얹혀져 지지축(148)을 감아들이도록 배치되는 가습 엘리먼트(12)를 가진다. 가습 엘리먼트(12)는 지지축(148)의 주위를 일주시켜 한쪽의 단부 가습편과 다른쪽 의 단부 가습편을 접합 고정한다.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지지판(150)을 선두로 하여 내부 공간(134)에 삽입하여 덮개(144)로 용기(136)의 개구부를 폐쇄한다. 또한 용기(136)는 원통형상으로 하고, 지지판(150)과 덮개(144)를 원판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시에는 덮개(144)를 용기(136)의 개구부보다 윗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습 엘리먼트(12)의 위치를 변위시켜 가습 엘리먼트(12)의 상부를 용기(136)의 윗쪽에 노출시킨다. 즉, 덮개(144)를 개방함으로써 가습 엘리먼트(12)의 상부를 공기에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후 가습 엘리먼트(12)의 하단이 충분히 물에 침지되도록 용기(136) 내의 내부 공간(134)에 물을 공급한다. 이것에 의하여 모든 가습편(24)에서 수면보다 윗쪽에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단시간에 물이 습윤되고, 용기(136)로부터 노출된 가습 엘리먼트(12)가 외기와 접촉하여 실내공기를 가습한다.
(실시예 7)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실시예 7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가습기(152F), 물저류부(154)를 내부에 가지는 제 1 케이스부로서의 용기(156)와 제 2 케이스부로서의 덮개(158)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60)와, 물저류부(154)에 삽입하는 가습 엘리먼트(162)로 이루어진다. 가습 엘리먼트(162)는 복수의 가습편(164)의 한쪽 끝끼리를 연결부(166)로 연결한 것이다. 도 20에 나타내는 가습 엘리먼트(162)는 예를 들면 모든 가습편(164)을 동일형상으로 하고, 모든 가습편(164)의 하단끼리[연결부(166)]를 접착이나 접어 구부림 등으로 연결한다. 또 각 가습편(164)에 슬릿(168)이나 노치(도시 생략)를 형성하거나 색채를 가함으로써 특종의 캐릭터를 그릴 수 있다. 슬릿(168)은 파형으로 하는 쪽이 공기를 더욱 통과시킬 수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가습 엘리먼트(162)에서는 일 부분의 연결부(166)로 복수의 가습편(164)을 연결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것 대신에 가습편(164)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순으로 주름상자형상으로 연결하도록 하여도 좋다. 사용시에는 용기(156)의 물저류부(154)에 물을 넣고, 주름상자형상의 모든 가습편(164)의 한쪽 끝을 선두로 하여 가습 엘리먼트(162)를 용기(156)의 물저류부(154) 내에 넣는다. 이 결과, 모든 가습편(164)의 하단측이 물에 의하여 침지하여 모든 가습편(164)의 상부가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단시간에 습윤된다. 습윤된 가습 엘리먼트(162)가 외기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수분이 증발하여 실내공기가 가습된다.
(실시예 8)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실시예 8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1에서 도 4 및 도 20과 동일부호는 동일부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의 가습기(170)는 주름상자형상으로 신축 자유롭게 접어 구부려 복수의 가습편(24a, 24b, 24c)을 형성한 가습 엘리먼트(12)(도 4)와, 도 20으로 나타낸 한쪽 끝끼리를 연결부(166)로 연결한 복수의 가습편(164)으로 구성되는 가습 엘리먼트(162)(외형형상이 다르다)와, 물저류부인 내부 공간(174)을 가지는 한쪽의 케이스부로서의 용기(176)와, 다른쪽의 케이 스부로서의 덮개(178)로 이루어진다. 주름상자형상의 가습 엘리먼트(12)는 한쪽 끝의 단부 가습편(24a)이 용기(176)의 내부 공간(174)측의 바닥면에 착탈 자유롭게 고정되고, 다른쪽 끝의 단부 가습편(24b)이 용기(176)와 덮개(178)의 양쪽에 고정되어 용기(176)를 덮개(178)로 폐쇄함으로써 주름상자형상의 가습 엘리먼트(12)는 줄어들어 용기(176)의 내부 공간(174)에 수납되도록 설정한다. 이 주름상자형상의 가습 엘리먼트(12)에서의 모든 가습편(24a, 24b, 24c)의 한쪽 끝은, 용기(176)의 내부 공간(174)의 아래쪽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습 엘리먼트(162)는 각 가습편(164)의 연결부(166)가 용기(176)의 내부 공간(174)측의 바닥면에 착탈 자유롭게 고정되고, 덮개(178)에 가까운 위치의 가습편(164)은 신축 자유로운 주름상자형상의 연결부재(180)에 의하여 덮개(178)와 착탈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으며, 용기(176)를 덮개(178)로 폐쇄함으로써 가습 엘리먼트(162) 및 연결부재(180)는 접혀서 용기(176)의 내부 공간(174)에 수납되도록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시에는 덮개(178)를 개방하여 용기(176)의 내부 공간(174)에 물을 넣는다. 주름상자형상의 가습 엘리먼트(12)에서는 모든 가습편(24a, 24b, 24c)의 하단부가 물에 침지되기 때문에, 모든 가습편(24a, 24b, 24c)은 단시간에 습윤된다. 가습 엘리먼트(162)에서는 연결부(166)를 포함하는 가습편(164)의 하단부가 물에 침지되기 때문에, 모든 가습편(164)은 단시간에 습윤된다. 습윤된 가습 엘리먼트(12, 162)가 외기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수분이 증발하여 실내 공기가 가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시에는 임의의 형상으로 디자인한 가습 엘리먼트(12, 162)가 변형되어 덮개(178)와 함께 상승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입체적이고 시각적으로도 즐거운 가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 엘리먼트(12)와 가습 엘리먼트(162)의 2종류의 가습 엘리먼트를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1종류만을 사용하여도 좋다.
(실시예 9)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실시예 9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시예 9의 자연증발식 가습기(182)는 케이스(184)와, 그 케이스(184) 내에 수용되는 가습 엘리먼트(186)로 이루어진다. 가습 엘리먼트(186)는 예를 들면 1매의 시트형상의 것을 접어 구부려 복수의 가습편(188)을 신축 자유로운 주름상자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케이스(184)는 제 1 케이스부로서의 용기(190)와, 제 2 케이스부로서의 덮개(192)로 이루어지고, 용기(212)에는 내부 공간(194)이 형성되어, 이 내부 공간(194)에 가습 엘리먼트(186)가 구비된다. 용기(190)의 바닥부 부근에는 가습 엘리먼트(186)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아암(196)이 구비되고, 이 유지 아암(196)에 의하여 가습 엘리먼트(186)의 한쪽 끝을 용기(190)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한다. 덮개(192)를 폐쇄하였을 때에는 가습 엘리먼트(186)가 줄어 들어 내부 공간(194)에 수용된다. 한편, 덮개(192)를 개방한 경우에는 가습 엘리먼트(186)는 신장 변형되어 그 일부가 용기(190)의 외부로 돌출한다. 즉, 가습 엘리먼트(186)의 복수의 가습편(188)은 외력에 의하여 접어 구부림부의 위치를 경계로 변위한다. 내부 공간(194)에 물 등의 액체를 넣으면, 가습 엘리먼트(186)에 모세관현상으로 물이 골고루 퍼져 가습 엘리먼트(186)로부터 물의 증발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 엘리먼 트(186)는 한쪽의 끝을 용기(190)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였으나, 가습 엘리먼트(186)의 한쪽 끝을 덮개(192)에 형성한 유지 아암(도시 생략)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고, 그 다른 쪽 끝을 용기(190)측에 고정하지 않은 자유단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덮개(192)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가습 엘리먼트(186)는 줄어들어 용기(190)의 내부 공간(194)에 수납할 수 있다.
(실시예 10)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에 관한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실시예 10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4는 도 23의 Y-Y 선 단면도이다. 실시예 10의 가습기(198)는 송풍기(200)와, 물저류부인 제 1 공간(202) 및 송풍기(200)를 구비하는 제 2 공간(204)을 형성한 한쪽의 케이스부로서의 용기(206)와, 그 용기(206)를 덮는 다른쪽의 케이스부로서의 덮개(208)와, 제 1 공간(202)에 구비되는 것으로 지그재그로 접어 구부린 신축 가능한 주름상자형상의 가습 엘리먼트(210)로 이루어진다. 송풍기(200)는 모터(212)와 팬(214)과 스위치(216)를 가진다. 가습 엘리먼트(210)는 접어 구부림에 의하여 복수의 가습편(218)을 형성하고, 모든 가습편(218)은 송풍기(200)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이동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한다. 물저류부인 제 1 공간(202)에 구비되는 모든 가습편(218)의 일부는, 제 1 공간(202)의 바닥부 부근에 위치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206) 내에 송풍기(200)를 구비하고 있으나, 송풍기(200)를 용기(206)와는 별개로 하여도 상관없다.
이 가습기(198)의 사용시에 물저류부인 제 1 공간(202)에 물을 공급하면 모 든 가습편(218)의 일부는 액체로서의 물에 침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모든 가습편(218)의 수면보다 상위에는 모세관현상으로 신속하게 물이 습윤된다. 여기서 송풍기(200)에 의하여 바람을 물의 윗쪽에 노출하는 가습 엘리먼트(210)에 보내면, 복수의 가습편(218)의 표면을 따라 바람이 통과하기 때문에, 가습편(218)으로부터 효율좋게 물이 증발하여 실내공기를 가습할 수 있다. 이 실시예 10에서는 송풍기(200)의 바람에 의한 전면 풍속은 도 5의 그래프의 표시를 대폭으로 오른쪽으로 넘은 위치가 되고, 그 전면 풍속에 대응하는 가습량은 (A)의 직선의 연장상에서 그래프의 표시를 대폭으로 윗쪽으로 넘은 위치가 되기 때문에, 막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송풍기(200)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41)
- 흡수성을 가지는 시트형상의 부재를 지그재그인 중앙 접어 구부림부(60)를 따라 접어 구부려 복수의 가습편(6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엘리먼트.
- 제 1항에 있어서,복수의 가습편(68)이 접어 구부림 위치를 경계로 하여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엘리먼트.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가습편(68)에 슬릿(64, 66) 또는 노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엘리먼트.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중앙 접어 구부림부(60)를 따라 슬릿(6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엘리먼트.
-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중앙 접어 구부림부(60)를 따라 둘로 접어 구부린 것을 상기 중앙 접어 구부림부(60)에 직각방향으로 복수의 구획 접어 구부림부(62)에서 주름상자형상으로 접어 구부리고, 상기 중앙 접어 구부림부(60)와 상기 복수의 구획 접어 구부림부(62)로 복수의 가습편(6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엘리먼트.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구획 접어 구부림부(62)에 슬릿(66) 또는 노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엘리먼트.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슬릿(66) 또는 노치를 파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엘리먼트.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중앙 접어 구부림부(60)가 상기 구획 접어 구부림부(62)와 교차할 때마다 접어 구부림방향이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엘리먼트.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가습편(68)의 모든 한쪽 끝을 묶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1개의 가습편과 연락하는 연결편(74)과, 그 연결편(74)에 형성되는 제 1 걸어맞춤수단(82)과, 적어도 1개의 가습편(68)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걸어맞춤수단(82)과 걸어맞추기 위한 제 2 걸어맞춤수단(7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엘리먼트.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걸어맞춤수단(82)이 삽입편이나 슬릿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걸어맞춤수단(70)이 슬릿이나 삽입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엘리먼트.
- 제 1항에 있어서,흡수성을 가지는 복수의 가습편(68)의 한쪽 끝을 연결부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엘리먼트.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가습편(68)에 슬릿(64, 66) 또는 노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엘리먼트.
-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슬릿(64, 66) 또는 노치를 파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엘리먼트.
- 흡수성을 가지는 시트형상의 부재를 지그재그인 중앙 접어 구부림부(60)를 따라 접어 구부림으로써 복수의 가습편(68)을 형성하는 가습 엘리먼트(58)와, 상기 가습 엘리먼트(58)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94)을 가지는 개폐 가능한 케이스(9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92)를 개방하였을 때에 상기 가습 엘리먼트(58)의 위치가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 제 14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92)를 개방하였을 때에 상기 가습 엘리먼트(58)가 신장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 제 14항에 있어서,상기 가습 엘리먼트(58)가 상기 케이스(92)에 대하여 착탈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 제 14항에 있어서,상기 가습 엘리먼트(58)에 슬릿(64, 66) 또는 노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 제 17항에 있어서,상기 슬릿(64, 66) 또는 노치를 파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 제 14항에 있어서,상기 내부 공간(94)이 상기 가습 엘리먼트(58)를 가습시키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저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 제 19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가습편(68)이 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가습편(68) 모두의 일부를 상기 액체 저류부 내의 액체에 침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 제 20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가습편(68)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복수의 접어 구부림부로 하고, 그 복수의 접어 구부림부를 접어 구부려 복수의 가습편을 주름상자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 제 21항에 있어서,상기 가습 엘리먼트(58)의 상기 접어 구부림부의 위치에 슬릿(64, 66) 또는 노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 제 22항에 있어서,상기 슬릿(64, 66) 또는 노치를 파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 제 14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92)를 제 1 케이스부(96)와 제 2 케이스부(100)로 구성하여, 상기 제 1 케이스부(96)에 제 1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34)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케이스부(100)에는 상기 제 1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34)과 걸어맞추기 위한 제 2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36)을 설치하여, 상기 제 1 케이스부(96)와 상기 제 2 케이스부(100)를 개방하였을 때에, 상기 제 1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34)과 상기 제 2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36)을 걸어맞추게 하여 상기 제 1 케이스부(92)와 상기 제 2 케이스부(100)를 고정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 제 14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92)를 제 1 케이스부(96)와 제 2 케이스부(100)로 구성하여, 상기 제 1 케이스부(96)와 제 2 케이스부(100)의 양쪽에 상기 가습 엘리먼트(58)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내부 공간(94)을 형성하고, 상기 가습 엘리먼트(58)의 한쪽 끝을 상기 제 1 케이스부(96)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가습 엘리먼트(58)의 다른쪽 끝을 상기 제 2 케이스부(100)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 제 25항에 있어서,한쪽의 가습 엘리먼트(58)의 한쪽 끝을 상기 제 1 케이스부(96)에 고정하고, 다른쪽의 가습 엘리먼트(58)의 한쪽 끝을 상기 제 2 케이스부(100)에 고정하며, 2개의 가습 엘리먼트(58)에서의 상기 케이스부(96, 100)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다른쪽 끝끼리를 변형 가능한 연결부재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 제 14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92)를 제 1 케이스부(96)와 제 2 케이스부(100)로 구성하여, 상기 가습 엘리먼트(58)의 한쪽 끝을 상기 제 1 케이스부(96)에 설치함과 함께 다른쪽 끝을 상기 제 2 케이스부(100)에 설치하고,상기 제 1 케이스부(96)에 한쪽 끝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제 2 케이스부(100)에 다른쪽 끝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신축 가능하고 발수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액체 저류부로서의 물받이부(1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 제 27항에 있어서,상기 가습 엘리먼트(58)가 상기 제 1 케이스부(96)와 상기 제 2 케이스부(100)에 대하여 착탈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 제 27항에 있어서,상기 물받이부(128)가 상기 제 1 케이스부(96)와 상기 제 2 케이스부(100)에 대하여 착탈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 제 14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92) 내에 상기 가습 엘리먼트(58)와 걸어맞추기 위한 제 1 위치결정수단(106)을 형성하고, 상기 가습 엘리먼트(58)에 상기 제 1 위치결정수단(106)과 걸어맞추기 위한 제 2 위치결정수단(7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 제 14항에 있어서,상기 가습 엘리먼트의 부근에 송풍기(200)를 구비하고, 그 송풍기로부터의 바람을 상기 가습 엘리먼트에 닿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 흡수성을 가지는 시트형상의 부재를 지그재그인 중앙 접어 구부림부(60)를 따라 접어 구부림으로써 복수의 가습편(68)을 형성하는, 시트형상이고 흡수성을 가지는 가습 엘리먼트(58)를 내부에 수용하는 내부 공간(94)을 가지는 것으로서,상기 가습 엘리먼트(58)를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기 위한 걸어멈춤부(10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용 케이스.
- 제 32항에 있어서,제 1 케이스부(96)와 제 2 케이스부(100)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어멈춤부(108)는 상기 제 1 케이스부(96)와 제 2 케이스부(100)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케이스부(96)의 내벽면과의 사이 또는 상기 제 2 케이스부(100)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설치하여 상기 가습 엘리먼트(58)의 일부를 끼우는 아암부(108)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용 케이스.
- 제 33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케이스부(96)에 상기 가습기용 케이스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 1 폐쇄 유지용 걸어맞춤수단(114)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케이스부(100)에 상기 제 1 폐쇄 유지용 걸어맞춤수단(114)에 걸어 맞추는 제 2 폐쇄 유지용 걸어맞춤수단(12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용 케이스.
- 제 34항에 있어서,상기 제 1 폐쇄 유지용 걸어맞춤수단(114)이 외력에 의하여 변위되는 변위부재(114)로 하고, 상기 제 2 폐쇄유지용 걸어맞춤수단(120)이 상기 제2 케이스부(100)에 구비된 돌기(120)로 하여, 상기 변위부재(114)의 변위에 따라 상기 돌기(120)가 상기 변위부재에 걸어맞춤되거나 또는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용 케이스.
- 제 33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케이스부(96)에 상기 가습기용 케이스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 1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34)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케이스부(100)에 상기 제 1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34)에 걸어 맞추는 제 2 개방 유지용 걸어맞춤수단(3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용 케이스.
- 제 33항에 있어서,제 1 케이스부(96)와 제 2 케이스부(100) 중의 한쪽을 상기 내부 공간(94)을 가지는 용기로 하고, 다른쪽을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로 하여, 상기 용기에 상기 내부 공간(94)과 외부를 연락하는 액체 배출 간극(12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용 케이스.
- 제 33항에 있어서,제 1 케이스부(96)와 제 2 케이스부(100) 중의 한쪽을 상기 내부 공간(94)을 가지는 용기로 하고, 다른쪽을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로 하여, 상기 용기 내에 상기 가습 엘리먼트(58)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수단(10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용 케이스.
- 제 33항에 있어서,제 1 케이스부(96)와 제 2 케이스부(100) 중의 한쪽을 상기 내부 공간(94)을 가지는 용기로 하고, 다른쪽을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로 하여, 상기 용기 내에 상기 가습 엘리먼트(58)와 걸어맞추기 위한 위치결정수단(10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용 케이스.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113769 | 2004-04-08 | ||
JPJP-P-2004-00113769 | 2004-04-08 | ||
JP2005102515A JP4398398B2 (ja) | 2004-04-08 | 2005-03-31 | 自然蒸発式加湿器 |
JPJP-P-2005-00102515 | 2005-03-31 | ||
PCT/JP2005/006457 WO2005098323A1 (ja) | 2004-04-08 | 2005-04-01 | 自然蒸発式加湿器,その加湿エレメント及びその加湿器用ケース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22244A KR20070022244A (ko) | 2007-02-26 |
KR101260358B1 true KR101260358B1 (ko) | 2013-05-07 |
Family
ID=3512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20821A KR101260358B1 (ko) | 2004-04-08 | 2005-04-01 | 자연증발식 가습기, 그 가습 엘리먼트 및 그 가습기용케이스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006960B2 (ko) |
EP (1) | EP1736713A4 (ko) |
JP (1) | JP4398398B2 (ko) |
KR (1) | KR101260358B1 (ko) |
TW (1) | TW200538687A (ko) |
WO (1) | WO2005098323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1752U (ko) | 2015-11-11 | 2017-05-19 | 주식회사 이티엔커머스 | 시트형 가습기 |
KR200483547Y1 (ko) | 2015-12-09 | 2017-05-26 | 주식회사 이티엔커머스 | 자연 증발 가습기 |
KR20170002875U (ko) | 2017-07-07 | 2017-08-11 | 주식회사 이티엔커머스 | 시트형 가습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08498A (ja) * | 2006-06-27 | 2008-01-17 | Mikuni Corp | 加湿器 |
WO2010032438A1 (ja) | 2008-09-18 | 2010-03-25 | 株式会社ミクニ | 自然蒸発式加湿器 |
US8881895B2 (en) | 2010-07-30 | 2014-11-11 | Samplemax,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samples |
JP2012197971A (ja) * | 2011-03-22 | 2012-10-18 | Kuraray Co Ltd | 加湿エレメ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13068385A (ja) * | 2011-09-26 | 2013-04-18 | Mikuni Corp | 自然蒸発式加湿器 |
JP2014115073A (ja) * | 2012-11-15 | 2014-06-26 | Taisei Shiki Insatsu Kk | ペーパー加湿器 |
KR101363945B1 (ko) * | 2013-05-10 | 2014-02-18 | 아이투엠 주식회사 | 부직포의 표면적 변화에 따라 가습량이 조절되는 자연가습기 |
JP6327807B2 (ja) * | 2013-08-06 | 2018-05-23 | エステー株式会社 | 揮散装置 |
CN107847708B (zh) | 2015-06-29 | 2021-08-17 | 皇家飞利浦有限公司 | 可塌缩增湿器 |
CN108939747A (zh) * | 2017-05-17 | 2018-12-07 | 金泳良 | 空气净化流通管道及利用其的空气净化方法 |
CN111089377A (zh) * | 2020-02-20 | 2020-05-01 | 成都中邦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 静音式正压蒸发加湿器 |
CN111351164B (zh) * | 2020-04-30 | 2023-12-08 | 中邦(成都)电器有限公司 | 具有空气加湿、除异味和净化功效的复合滤芯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14769B1 (en) | 1991-12-31 | 1999-08-02 | Minnesota Mining & Mfg | Filter system for filtering fluids |
Family Cites Families (3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959032A (en) * | 1960-11-08 | Apparatus for cooling air | ||
US1213940A (en) * | 1915-09-13 | 1917-01-30 | Spray Engineering Co | Humidifier. |
US1638605A (en) * | 1926-10-28 | 1927-08-09 | Lars M Thorson | Combination warm-air cleaner and heat converter |
US2018274A (en) * | 1933-07-10 | 1935-10-22 | William J Madd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itioning air in railway passenger cars |
US2214269A (en) * | 1937-06-26 | 1940-09-10 | C L Bryant Corp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US2717148A (en) * | 1953-11-19 | 1955-09-06 | Hall Michael Frank | Air cleaner and humidifier |
US2914308A (en) * | 1955-07-25 | 1959-11-24 | Jr William M Bock | Evaporating device |
JPS3627033Y1 (ko) * | 1959-09-18 | 1961-10-16 | ||
US3136829A (en) * | 1959-11-09 | 1964-06-09 | Roy P Skerritt | Horizontal-air-flow humidifier |
US3400919A (en) * | 1966-09-20 | 1968-09-10 | Bernard J. Schall | Furnace air humidifier |
JPS49130053A (ko) * | 1973-04-13 | 1974-12-12 | ||
US3954920A (en) * | 1973-09-04 | 1976-05-04 | Parkland International Inc. | Gas humidification system |
JPS51105253U (ko) * | 1975-02-21 | 1976-08-23 | ||
JPS51105253A (ko) | 1975-03-12 | 1976-09-17 | Mitsubishi Electric Corp | |
JPS5215866A (en) | 1975-07-25 | 1977-02-05 | Hisaka Works Ltd | Batch type continuous pasteurizing and cooking apparatus for food |
DE2626657A1 (de) * | 1976-03-29 | 1977-10-27 | Paul Steiner | Luftreinigungs- und befeuchtungsgeraet |
JPS579639Y2 (ko) * | 1977-08-18 | 1982-02-24 | ||
JPS5436357A (en) | 1977-08-25 | 1979-03-17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Preparation of silane-crosslinked polyolefin molded product |
JPS56172617U (ko) * | 1980-05-26 | 1981-12-19 | ||
US4460025A (en) | 1982-01-29 | 1984-07-17 | Scholle William J | Filling valve assembly with fiber shearing edge |
JPS58183422U (ja) * | 1982-05-27 | 1983-12-07 | 中澤 龍夫 | 乾燥しすぎ防止器 |
JPH01102227A (ja) | 1987-10-14 | 1989-04-19 | Daikin Ind Ltd | 加湿装置 |
JPH01174835A (ja) * | 1987-12-29 | 1989-07-11 | Daikin Ind Ltd | 空気調和機 |
IL85817A (en) * | 1988-03-22 | 1993-03-15 | Dsb Eng Ltd | Evaporative cooler |
CA2070030A1 (en) * | 1992-05-29 | 1993-11-30 | Ed Stengel | Humidifier |
US5324230A (en) * | 1993-06-11 | 1994-06-28 | Hist L Frank | Portable room humidifier |
JP3022381U (ja) | 1995-09-04 | 1996-03-22 | シマダ商事株式会社 | 粘着ネズミ取りにおける組立ハウス |
DE29603429U1 (de) | 1996-02-24 | 1996-04-25 | Loucatos, Marinos, 48149 Münster | Halterung für Luftbefeuchterfließe |
JP2980243B2 (ja) | 1997-12-03 | 1999-11-22 | 西松建設株式会社 | 筒状展開構造物 |
JPH11224677A (ja) | 1998-02-10 | 1999-08-17 | Denso Corp |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
JP2001314217A (ja) | 2000-05-08 | 2001-11-13 | Akira Nakayama | 骨なし扇 |
KR20010112205A (ko) * | 2001-12-01 | 2001-12-20 | 이만희 | 다수의 증발포를 갖고 공기대류를 개선하는 구조의자연증발 가습기 |
JP2003252324A (ja) | 2001-12-27 | 2003-09-10 | Sakamoto Seisakusho:Kk | 合成樹脂ケース及び合成樹脂ケースの製造方法 |
-
2005
- 2005-03-31 JP JP2005102515A patent/JP4398398B2/ja active Active
- 2005-04-01 KR KR1020067020821A patent/KR10126035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4-01 EP EP05727519A patent/EP1736713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5-04-01 WO PCT/JP2005/006457 patent/WO2005098323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5-04-01 US US10/593,562 patent/US800696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4-08 TW TW094111236A patent/TW200538687A/zh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14769B1 (en) | 1991-12-31 | 1999-08-02 | Minnesota Mining & Mfg | Filter system for filtering fluid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1752U (ko) | 2015-11-11 | 2017-05-19 | 주식회사 이티엔커머스 | 시트형 가습기 |
KR200483547Y1 (ko) | 2015-12-09 | 2017-05-26 | 주식회사 이티엔커머스 | 자연 증발 가습기 |
KR20170002875U (ko) | 2017-07-07 | 2017-08-11 | 주식회사 이티엔커머스 | 시트형 가습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5098323A1 (ja) | 2005-10-20 |
EP1736713A4 (en) | 2010-08-04 |
TW200538687A (en) | 2005-12-01 |
JP2005321184A (ja) | 2005-11-17 |
JP4398398B2 (ja) | 2010-01-13 |
EP1736713A1 (en) | 2006-12-27 |
KR20070022244A (ko) | 2007-02-26 |
US8006960B2 (en) | 2011-08-30 |
US20070182034A1 (en) | 2007-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0358B1 (ko) | 자연증발식 가습기, 그 가습 엘리먼트 및 그 가습기용케이스 | |
JP4880012B2 (ja) | 自然蒸発式加湿器の加湿エレメント | |
US11859891B2 (en) | Appliance air freshener | |
EP2336658A1 (en) | Natural evaporation type humidifier | |
US5148984A (en) | Device for dispensing a vaporizable material | |
JP5811166B2 (ja) | 不織布の表面積の変化により加湿量が調節される自然加湿器(ahumidifier) | |
JP2007107768A (ja) | 自然気化式加湿器とその加湿エレメント | |
JP4859021B2 (ja) | 自然蒸発式加湿器、その加湿エレメント及びその加湿器用ケース | |
JP2005512006A (ja) | 自然蒸発式加湿器 | |
JP2009058209A (ja) | 自然蒸発式加湿器 | |
CN107076440B (zh) | 加湿元件以及加湿装置 | |
WO2013073669A1 (ja) | 自然気化式加湿装置 | |
KR102237457B1 (ko) | 급수형 에어워셔 | |
US1954893A (en) | Deodorant container | |
KR100596211B1 (ko) | 화장지 상자 | |
JP2008008498A (ja) | 加湿器 | |
KR20140132061A (ko) | 무동력 제습겸용 가습기 | |
KR101493247B1 (ko) | 판재를 이용한 자연가습기 | |
JPH0219154Y2 (ko) | ||
JP3079766U (ja) | 切手等湿潤器 | |
JP2016070562A (ja) | 自然気化式加湿具 | |
JPH0742490Y2 (ja) | 除湿装置 | |
KR101644115B1 (ko) | 자연 가습장치 | |
JP3057544U (ja) | シート入り容器 | |
JPH048984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