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032B1 - 발열, 보온 및 축열 기능을 갖는 섬유 및 직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발열, 보온 및 축열 기능을 갖는 섬유 및 직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032B1
KR101253032B1 KR1020110067993A KR20110067993A KR101253032B1 KR 101253032 B1 KR101253032 B1 KR 101253032B1 KR 1020110067993 A KR1020110067993 A KR 1020110067993A KR 20110067993 A KR20110067993 A KR 20110067993A KR 101253032 B1 KR101253032 B1 KR 101253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iber
carbon
fibers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133A (ko
Inventor
정진태
심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테크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테크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테크글로벌
Priority to KR1020110067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0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06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with carbon or graphite; with carbides; with graphit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4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2 or 12 of the Periodic Table; Zincates; Cadm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5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Alumin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6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Titanates; Zirconates; Stannates; Plumb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8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with halides or oxyhalides of silicon; with fluorosilic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08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applied in powder or granular for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2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4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2Cott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11/00Protein-based fibres, e.g. animal fibres
    • D10B2211/01Natural animal fibres, e.g. keratin fibres
    • D10B2211/02Woo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본블랙, 탄소섬유, 탄소나노섬유 및 탄소나노튜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탄소소재를 물, 용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분산시키고, 수득된 분산액을 섬유 또는 직물에 분무, 침지, 살포 또는 전사 방식으로 적용하고, 결과된 섬유 또는 직물을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발열, 보온 및 축열 기능을 갖는 기능성 섬유 또는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우 적은 양의 탄소소재를 섬유 또는 직물에 코팅함으로써, 발열, 보온 및 축열기능을 갖는 섬유 또는 직물을 매우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해준다.

Description

발열, 보온 및 축열 기능을 갖는 섬유 및 직물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fiber and fabric with heating, heat-retaining and heat storage function}
본 발명은 발열, 보온 및 축열 기능을 구현하는 기능성 섬유 또는 직물, 및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섬유 또는 직물에 발열, 보온 및 축열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 예를 들면 탄소소재, 무기소재 및/또는 금속소재를 적용하여 발열, 보온 및 축열 기능을 구현하는 기능성 섬유 또는 직물 및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 의류용의 합성섬유 소재 분야에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기능성 및 감성이 추가된 새로운 섬유소재가 끊임없이 개발되어 출현되고 있다. 그 중에서 아웃도어용 섬유소재는 운동성, 심미성, 안전성, 생리학적 쾌적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기술적으로는 보온성, 발수성, 경량성, 흡수성, 투습 방수성, 통기성 등을 종합적으로 동시에 부여해야 하는 하이테크가 필요하며 특히 겨울용 아웃도어 섬유는 보온 기능이 중요하다.
보온섬유는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첫째는 인체에서 발생하는 열이 스포츠웨어 외부로 방열하는 것을 최대한 막아주는 소극적 보온섬유이고 둘째는 외부로부터 열을 끌어들이는 적극적 보온섬유이다. 소극적 보온섬유 기능만으로는 가볍고, 얇고, 따뜻하고, 움직이기 쉬워야 하는 겨울철 스포츠웨어소재로 그 성능이 불충분하다.
적극적 보온섬유로는 특수 배터리를 이용하는 전기발열섬유, 철분이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여 산화할 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화학반응발열섬유, 흡습에 의한 흡착열을 이용하는 흡습발열섬유, 태양광을 열로 변환하는 태양광축열섬유 등이 개발되어 있다. 이 중에서, 전기발열섬유나 화학반응발열섬유 등은 특수 목적에 대해 한정된 시간에만 사용할 수 있고 내구성이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예를 들면, 한국특허 10-0337267 (출원번호 10-1994-0037442), 일본특허공개 소64-41764호, 일본특허공개 평1-132816호 등에는,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은 물질 (예.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은 세라믹 물질로서 알려진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실리카(SiO2), 산화크롬(Cr2O3), 석회석(CaCO3), 첨정석(MgO·Al2O3), 산화칼슘(CaO2), 산화바륨(BaO), 실리카카바이드(SiC), 티타늄카바이드(TiC), 산화지르코늄(ZrO2), 지르코늄카바이드(ZrC)) 을 섬유 내에 혼입시키거나 직물에 코팅함으로써, 태양광을 흡수한 후 원적외선으로 변환시켜 신체에 재 방사되도록 하여, 축열 보온 효과와 생체리듬의 활성화효과를 발휘하도록한 보온소재의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은 세라믹 물질은 태양광을 받으면 근적외선을 흡수하여 열 에너지로 축열하고 인체로부터의 열을 반사하는 특성을 갖고 있는데, 이런 물질을 혼입한 섬유는 섬유 그 자체가 태양광 에너지를 내부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은 일반섬유와 동등하고 에너지원은 영구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은 세라믹 물질을 섬유 내에 혼입하는 경우, 세라믹 성분이 섬유 내에 적어도 0.1wt% 이상 함유되어야 목적하는 보온성을 얻을 수 있으며, 세라믹 물질의 첨가량이 10wt% 이상이면 방사 작업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인해, 새로운 보온, 축열 섬유소재에 대한 강렬한 요구가 있어 왔으며 이를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 또는 직물에 발열, 보온 및 축열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이용하여 발열, 보온 및 축열기능을 갖는 섬유 또는 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섬유 또는 직물에 탄소소재, 예를 들면 카본블랙, 탄소섬유(Carbon Fiber), 탄소나노튜브, 구체적으로는 다중벽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 및 단일벽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를 섬유 또는 직물에 코팅하면, 섬유 또는 직물에 발열, 보온 및 축열기능을 부여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자들은 탄소나노튜브 또는 탄소파이버와 같은 탄소소재는 매우 적은 양을 섬유 또는 직물에 코팅하여도 섬유 또는 직물에 발열, 보온 및 축열기능을 부여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매우 적은 양의 탄소소재를 섬유 또는 직물에 코팅함으로써, 발열, 보온 및 축열기능을 갖는 섬유 또는 직물을 매우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섬유의 전자현미경 사진으로서, 섬유 (큰 원통형 물체)에 부착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직경 100나노미터, 길이 100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선형 물체)의 모습을 보여 준다.
도 2 는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시험직물 A-1 및 대조직물 C-1 의 보온성 시험 결과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첫째, 섬유 또는 직물에 발열, 보온 또는 축열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를 물 또는 유기용매에 분산시키고, 둘째, 수득된 분산액을 섬유 또는 직물에 분무, 침지, 살포 또는 전사 방식으로 적용하고, 셋째, 결과된 섬유 또는 직물을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발열, 보온 및 축열 기능을 갖는 기능성 섬유 또는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섬유 또는 직물에 발열, 보온 또는 축열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로는 탄소소재, 무기소재 및 금속소재를 언급할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탄소소재는 전기 및 열전도성을 가지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카본블랙(Carbon Black, CB), 탄소섬유(Carbon Fiber, CF),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 Fiber, CNF), 탄소나노튜브, 구체적으로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 및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 등을 언급할 수 있다. 도전성을 가지는 다른 탄소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탄소소재로는 탄소나노섬유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특별히 언급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및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국특허 제0432056호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언급할 수 있다.
무기소재는 빛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특성이 있는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이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알루미나(Al2O3), 지르코니아(ZrO2), 실리카(SiO2) 등을 언급할 수 있다. 무기소재는 백색물질이므로 탄소소재와 달리 섬유의 색상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며, 따라서 다른 소재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금속소재는 발생한 열을 축열하는 효과를 가지는데, 최근 발전한 나노기술을 응용하여 제조된 분말 또는 콜로이드 형태의 금속나노입자, 예를 들면, 은, 금, 구리, 알루미늄, 니켈, 크롬, 철, 망간, 티타늄, 아연, 주석과 같은 전이금속의 금속나노입자를 언급할 수 있다. 금속나노입자는 탈리되었을 경우 인체유해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나노 실 또는 나노 네트워크를 구성하거나, 나노 단위보다 조금 더 큰 단위인 마이크로 단위의 크기를 갖는 실 또는 네트워크를 섬유 표면에 구성하여 사용하게 된다.
탄소소재, 무기소재 및 금속소재는 각각 빛 흡수, 색상, 그리고 축열의 방면에서 뛰어나기 때문에 구현하고자 하는 섬유 또는 직물의 특성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때로는 복합 형태로 사용하거나 하나의 소재를 다른 소재에 담지시킨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하나의 변법에 따르면, 상기 섬유 또는 직물의 건조 단계 또는 후에, 섬유 또는 직물을 가온 또는 가열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소재의 섬유 또는 직물에의 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변법에 따르면, 상기 탄소소재, 무기소재 및 금속소재는 하나의 분산액으로 만들어 동시에 적용하거나 별개의 분산액으로 만들어 별도의 단계로 적용될 수 있다.
발열, 보온 및 축열기능은 겨울철뿐만 아니라 사시사철에 유용한 기능으로서, 겨울용 외출복 등 의류계 소재로부터 비닐 하우스 등의 보온재로서의 산업적인 용도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섬유로는 면, 마, 양모, 생사(견) 등과 같은 천연섬유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나일론, 비닐론,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아세테이트, 레이온 등과 같은 합성섬유, 반합성섬유, 재생섬유 등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기능성 소재를 섬유 또는 직물에 코팅 또는 부착시키는 방법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섬유 또는 직물의 종류에 따라 또한 기능성 소재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물 또는 유기용매 중에 용해, 분산 또는 현탁시킨 용액, 분산액 또는 현탁액의 형태로 제조하여 섬유에 살포, 분무, 침지, 전사한 후 건조시켜 코팅 또는 부착시킬 수 있다. 유기용매의 예로는 알콜 (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필알콜 등),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과 같은 케톤, 에테르, 에스테르 등을 언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소재의 경우 물 또는 알콜에 분산이 잘 되므로, 제조된 분산액을 이용하여 기본적인 염색방법과 유사하게 분무법 또는 침지법, 전사법 등으로 섬유 또는 직물에 코팅 또는 부착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분산액을 얇게 코팅할수록 섬유 및 직물의 기본적인 특성을 더 잘 유지할 수 있다. 무기 및 금속소재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분산을 위하여 다양한 첨가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런 경우, 물과 유기용매에 모두 사용이 가능하나, 의류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냄새등의 이유로 물 또는 알콜이 선호된다.
코팅 또는 부착이 잘 되지 않는 기능성 소재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유기 또는 무기 바인더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바인더의 예로는,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탄소나노섬유 또는 탄소나노튜브와 같은 탄소소재를 물 또는 알콜에 분산시켜 제조된 분산액에 섬유 또는 직물을 침지시킨 다음 꺼내어 건조시켜 발열, 보온 또는 축열기능을 갖는 섬유 또는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산액에서 탄소나노섬유 또는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은 엄밀하게 제한되지 않으나, 공정의 편의성 및 경제성을 위해 0.001~3wt%, 특별하게는 0.01~2.0wt%, 바람직하게는 0.05~1.5wt%의 함량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침지시간은 1초 내지 1시간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지만, 이로써 제한되지 않으며, 섬유 유형과 기능성 소재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침지시간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섬유 또는 직물에 탄소나노섬유 또는 탄소나노튜브와 같은 탄소소재의 적용 비율을, 탄소소재의 함량을 기준으로, 5~500mg/㎡ (섬유 또는 직물 1㎡ 당 탄소소재의 첨가량), 특별하게는 10~300mg/㎡, 바람직하게는 15~200mg/㎡ 이 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탄소소재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원하는 효과를 얻기에 부족하거나 직물의 감촉이나 색상이 안 좋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섬유 또는 직물에 코팅 또는 부착된 탄소섬유 또는 탄소나노튜브는 섬유 또는 직물에의 부착성이 우수하여 잘 제거되거나 탈리되지 않는데, KS K 0472 규정에 의한 반복 세탁에 대한 내구성 시험 결과는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소소재와 같은 기능성 소재들은 섬유에 혼입되지 않고 코팅방식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직물 또는 섬유에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발열, 보온 또는 축열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1
케이에이치케미컬에서 제조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0.05g 과 분산제 0.5g을 물 100ml 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농도는 0.05wt%이었다. 우수한 분산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20kHz, 500W 초음파 조건으로 5분간 처리 후, 30,000psi 압력 하에서 고압분산 처리를 행하였다.
상기 분산액에 폴리에스터 섬유 75데니어[제조사 효성, AEROCOOL]로 만들어진 직물을 완전히 침지시키고, 5분 후에 꺼내서 탈수하고 60℃에서 건조시킨 후 분산제 제거를 위해 수세-건조 공정을 통해 시험직물 A-1를 제조하였다. 시험직물 A-1에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은 약 27.9mg/㎡ 이었다.
시험예 1
(1) 흡광축열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험직물 A-1 및 대조직물 C-1 (시험직물 A-1과 동일한 폴리에스터 직물이지만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으로 처리하지 않음)에 대하여 발열성을 시험하였다.
주위온도 20℃로 유지되는 실험실에서, 시험직물 A-1 및 대조직물 C-1을 바닥에 나란히 놓고, 위쪽 50cm 떨어진 곳에 백열전구 (500W, 100V)를 위치시킨 다음 빛을 15분 동안 조사한 후, 상기 두 직물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시험직물 A-1의 온도는 48.7℃ 이었고 대조직물 C-1의 온도는 35℃이었다. 백열전구를 15분 이상 계속 조사하는 경우에, 두 직물에서 상기 온도가 계속 유지되었다.
(2) 보온성 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험직물 A-1 및 대조직물 C-1 (시험직물 A-1과 동일한 폴리에스터 직물이지만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으로 처리하지 않음)에 대하여 보온성을 시험하였다.
주위온도 20℃로 유지되는 실험실에서, 시험직물 A-1 및 대조직물 C-1을 바닥에 나란히 놓고, 위쪽 50cm 떨어진 곳에 백열전구 (500W, 100V)를 위치시킨 다음 빛을 15분 동안 조사한 후 광원을 제거하고 15분간 상기 두 직물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도 2 에서와 같이 광원을 제거하고 15분간 두 직물의 평균 온도차는 2℃를 나타내었다. 시험직물 A-1은 우수한 보온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3) 세탁내구성 시험
KS K 0472 규정으로 20회 반복 세탁에 대한 내구성을 시험하였다.
20회 세탁 후 흡광축열시험 결과 시험 직물 A-1의 온도는 46℃로 대조 직물 C-1과의 온도 차이가 11℃ 이상으로 세탁 전 성능의 85% 수준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한국의 제이오 주식회사에서 제조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0.1g 및 티타니아 [제조사 데구사, 제품명 P-25] 0.1g과 분산제 1g을 물 100ml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및 티타니아의 농도는 각각 0.11wt%이었다. 우수한 분산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음파와 고압분산 처리를 행하였다.
상기 분산액에 아크릴 섬유[제조사 미쓰비시레이온, 주문제작품]로 만들어진 직물을 완전히 침지시키고, 5분 후에 꺼내서 탈수하고 60℃에서 건조시켜 시험직물 A-2를 제조하였다. 시험직물 A-2에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은 약 47.9mg/㎡ 이었다.
시험예 2
시험예 1-(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직물 A-2 및 대조직물 C-2(시험직물 A-2과 동일한 아크릴 섬유로 제조된 직물이지만 상기 분산액으로 처리하지 않음)의 흡광축열효과 및 보온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백열전구로 15분 조사 후에, 시험직물 A-2의 온도는 50℃ 이었고 대조직물 C-2의 온도는 37℃이었다.
실시예 3
일본 Toray사의 탄소섬유 0.05 g과 분산제 1g을 이소프로필알콜(IPA) 및 메틸에틸케톤(MEK)의 혼합용액 100 ml 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탄소섬유의 농도는 2wt%이었다. 우수한 분산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음파 처리를 행하였다.
상기 분산액에 나일론 섬유[제조사 효성, 아쿠아-X]로 만들어진 직물을 완전히 침지시키고, 5분 후에 꺼내서 탈수하고 실온에서 자연 건조시켜 시험직물 A-3를 제조하였다. 시험직물 A-3에서 탄소섬유의 함량은 약 27mg/㎡ 이었다.
시험예 3
시험예 1-(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직물 A-3 및 대조직물 C-3(시험직물 A-2과 동일한 나일론 섬유로 제조된 직물이지만 상기 분산액으로 처리하지 않음)의 흡광축열효과 및 보온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백열전구로 15분 조사 후에, 시험직물 A-2의 온도는 41℃ 이었고 대조직물 C-2의 온도는 35℃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및 티타니아로 분산액 (함량 각각 0.1wt%)을 제조하고,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제조된 직물을 침지 처리하여 시험직물 A-4를 제조하였다. 시험직물 A-4에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및 티타니아의 함량은 각각 약 47mg/㎡ 및 약 45mg/㎡ 이었다.
시험직물 A-4는 우수한 흡광축열효과 및 보온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다양한 양의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한 실시예들 )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1/2, 1/4, 1/8로 희석하여 농도 0.05wt%, 0.025wt%, 0.0125wt%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분산액에 폴리에스터 섬유로 만들어진 직물을 완전히 침지시키고, 5분 후에 꺼내서 탈수하고 60℃에서 건조시켜 시험직물 A-5, A-6, A-7을 제조하였다. 시험직물 A-5, A-6, A-7에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은 각각 약 13.9mg/㎡, 6.98mg/㎡, 3.49mg/㎡ 이었다.
시험예 4
시험예 1-(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직물 A-5, A-6, A-7 및 대조직물 C-5, C-6, C-7(시험직물 A-5, A-6, A-7과 동일한 폴리에스터 섬유로 제조된 직물이지만 상기 분산액으로 처리하지 않음)의 흡광축열효과 및 보온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백열전구로 15분 조사 후에, 시험직물 A-5, A-6, A-7의 온도는 각각 44, 41, 38℃ 이었고 대조직물 C-5, C-6, C-7의 온도는 35℃이었다.
실시예 6 (바인더를 사용한 실시예 )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0.1g 및 아크릴 바인더 0.01g, 분산제 0.5g을 물 100ml에 분산시켜 일액형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우수한 분산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음파와 고압분산 처리를 행하였다.
상기 분산액에 폴리에스터 섬유로 만들어진 직물을 완전히 침지시키고, 5분 후에 꺼내서 탈수하고 60℃에서 건조시킨 후 140℃에서 가교를 시켜 시험직물 A-8 을 제조하였다. 시험직물 A-8에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은 약 27.8mg/㎡ 이었다.
실시예 7 (탄소나노튜브와 금속나노입자를 함께 사용한 실시예 )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0.1 g 및 1,000ppm 은나노 용액[제조사 잉크테크, 제품명 실비오] 20ml와 분산제 0.5g을 물 80ml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우수한 분산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음파와 고압분산 처리를 행하였다.
상기 분산액에 폴리에스터 섬유로 만들어진 직물을 완전히 침지시키고, 5분 후에 꺼내서 탈수하고 60℃에서 건조시켜 시험직물 A-9를 제조하였다. 시험직물 A-9에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은 약 29.9mg/㎡ 이었다.
시험예 5
실시예 7에서 제조한 시험직물 A-9 및 대조직물 C-9 (시험직물 A-9과 동일한 폴리에스터 직물이지만 탄소나노튜브-은나노 분산액으로 처리하지 않음)에 대하여 발열성을 시험하였다.
주위온도 20℃로 유지되는 실험실에서, 시험직물 A-1 및 대조직물 C-1을 바닥에 나란히 놓고, 위쪽 50cm 떨어진 곳에 백열전구 (500W, 100V)를 위치시킨 다음 빛을 15분 동안 조사한 후, 상기 두 직물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시험직물 A-1의 온도는 50.2℃ 이었고 대조직물 C-1의 온도는 35.6℃이었다. 백열전구를 15분 이상 계속 조사하는 경우에, 두 직물에서 상기 온도가 계속 유지되었다.

Claims (7)

  1. 탄소섬유, 탄소나노섬유 및 탄소나노튜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탄소소재를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분산시키고, 수득된 분산액을 섬유 또는 직물에 분무, 침지, 살포 또는 전사 방식으로 적용하고, 결과된 섬유 또는 직물을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섬유 또는 직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탄소소재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또는 직물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이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알루미나(Al2O3), 지르코니아(ZrO2) 및 실리카(SiO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무기소재를 탄소소재와 함께 또는 별도로 섬유 또는 직물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또는 직물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전이금속에서 선택된 금속나노입자로 된 1종 이상의 금속소재를 탄소소재와 함께 또는 별도로 섬유 또는 직물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또는 직물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또는 직물은 면, 모, 견, 폴리에스터, 나일론 섬유, 아크릴 섬유 또는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또는 직물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수득된 섬유 또는 직물.
  7. 제 6 항에 있어서, 탄소소재를 5~500mg/㎡의 양으로 함유하는 섬유 또는 직물.
KR1020110067993A 2011-07-08 2011-07-08 발열, 보온 및 축열 기능을 갖는 섬유 및 직물의 제조 방법 KR101253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993A KR101253032B1 (ko) 2011-07-08 2011-07-08 발열, 보온 및 축열 기능을 갖는 섬유 및 직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993A KR101253032B1 (ko) 2011-07-08 2011-07-08 발열, 보온 및 축열 기능을 갖는 섬유 및 직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133A KR20130006133A (ko) 2013-01-16
KR101253032B1 true KR101253032B1 (ko) 2013-04-10

Family

ID=4783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993A KR101253032B1 (ko) 2011-07-08 2011-07-08 발열, 보온 및 축열 기능을 갖는 섬유 및 직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03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017B1 (ko) * 2013-05-08 2013-10-23 고경찬 광발열 섬유시트
KR101577403B1 (ko) * 2014-04-16 2015-12-17 주식회사 지클로 광에 의해 발열하는 항균섬유 및 원단
WO2016072694A1 (ko) * 2014-11-05 2016-05-12 고경찬 볼 형태를 갖는 광발열 충전재
KR101647486B1 (ko) * 2015-06-10 2016-08-10 손영기 탄소소재가 함유된 분산액 제조방법, 분산액, 발열용 섬유 및 발열 사우나복
WO2016163710A1 (ko) * 2015-04-06 2016-10-13 주식회사 지클로 항균성 발열 보온 부직포 및 이를 사용한 다층구조의 원단
KR101679843B1 (ko) 2014-04-23 2016-11-28 벤텍스 주식회사 감온변색 보온원단
WO2017034054A1 (ko) * 2015-08-26 2017-03-02 벤텍스 주식회사 보온성이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광발열 충전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969B1 (ko) * 2015-02-26 2016-03-02 (주)미즈라인 파동에너지 방사체가 함유된 다기능성 직물의 제조방법
KR20170026160A (ko) * 2015-08-26 2017-03-08 벤텍스 주식회사 광발열 섬유집합체
KR101597176B1 (ko) 2015-11-12 2016-02-24 주식회사 파인 흡광발열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의류
WO2019065517A1 (ja) * 2017-09-28 2019-04-0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379164A (zh) * 2020-04-14 2020-07-07 廖国庆 一种防污防静电抗缩羊毛面料及其制备方法
IT202000008734A1 (it) * 2020-04-23 2021-10-23 Gaap Tech Oȕ Prodotto laminare perfezionato
CN111764158B (zh) * 2020-07-28 2023-01-24 唐山烯彤科技有限公司 一种导电短纤维的制备方法
CN112900076A (zh) * 2021-01-31 2021-06-04 福建沃凯丝化纤有限公司 一种多功能涤纶纤维及其制备方法
WO2023127923A1 (ja) * 2021-12-28 2023-07-0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複合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熱電変換素子
CN117090057B (zh) * 2023-09-15 2024-02-20 波司登羽绒服装有限公司 一种蓄热保温整理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6222A (ja) * 2004-03-12 2005-09-22 Okayama Univ 天然繊維に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被覆する方法
JP2005256221A (ja) 2004-03-12 2005-09-22 Univ Okayam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天然繊維へ被覆する方法
KR20060124866A (ko) * 2005-05-26 2006-12-06 배종호 카본코팅 발열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36724B1 (ko) * 2011-03-15 2011-05-24 박용준 면상발열체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6222A (ja) * 2004-03-12 2005-09-22 Okayama Univ 天然繊維に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被覆する方法
JP2005256221A (ja) 2004-03-12 2005-09-22 Univ Okayam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天然繊維へ被覆する方法
KR20060124866A (ko) * 2005-05-26 2006-12-06 배종호 카본코팅 발열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36724B1 (ko) * 2011-03-15 2011-05-24 박용준 면상발열체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제조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017B1 (ko) * 2013-05-08 2013-10-23 고경찬 광발열 섬유시트
WO2014181927A1 (ko) * 2013-05-08 2014-11-13 벤텍스 주식회사 광발열 섬유시트
JP2015524027A (ja) * 2013-05-08 2015-08-20 ベンテ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光発熱繊維シート
CN104968854A (zh) * 2013-05-08 2015-10-07 Ventex株式会社 利用光发热的织物薄片
KR101577403B1 (ko) * 2014-04-16 2015-12-17 주식회사 지클로 광에 의해 발열하는 항균섬유 및 원단
KR101679843B1 (ko) 2014-04-23 2016-11-28 벤텍스 주식회사 감온변색 보온원단
WO2016072694A1 (ko) * 2014-11-05 2016-05-12 고경찬 볼 형태를 갖는 광발열 충전재
WO2016163710A1 (ko) * 2015-04-06 2016-10-13 주식회사 지클로 항균성 발열 보온 부직포 및 이를 사용한 다층구조의 원단
KR20160119938A (ko) * 2015-04-06 2016-10-17 주식회사 지클로 항균성 발열 보온 부직포를 사용한 다층구조의 원단
KR101709079B1 (ko) * 2015-04-06 2017-02-23 주식회사 지클로 항균성 발열 보온 부직포를 사용한 다층구조의 원단
KR101647486B1 (ko) * 2015-06-10 2016-08-10 손영기 탄소소재가 함유된 분산액 제조방법, 분산액, 발열용 섬유 및 발열 사우나복
WO2017034054A1 (ko) * 2015-08-26 2017-03-02 벤텍스 주식회사 보온성이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광발열 충전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133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032B1 (ko) 발열, 보온 및 축열 기능을 갖는 섬유 및 직물의 제조 방법
Pakdel et al. Nanocoatings for smart textiles
CN113235202B (zh) 一种多功能织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822141B1 (ko) 기능성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섬유
KR101174272B1 (ko) 탄소나노튜브 축열우모 및 이를 이용한 방한의류
CN108866816A (zh) 一种抑菌无纺布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558179A (zh) 基于层层自组装银纳米线/石墨烯的导电纺织品
Xu et al. Fast solar-to-thermal conversion/storage nanofibers for thermoregulation, stain-resistant, and breathable fabrics
US20210254273A1 (en) Treatment method for cotton textile
CN205601313U (zh) 一种可释放负氧离子的无纺布
CN109825914A (zh) 一种抗静电、负离子保健面料
KR101463522B1 (ko) 광발열성 직물의 제조방법
CN111535024A (zh) 一种具有汗液超快速蒸发与单向导湿性能的无纺布及其制备方法
CN215152603U (zh) 一种用于制作抗病毒上衣的面料
CN108842270A (zh) 能对温度微调节的三维立体结构面料
CN210362784U (zh) 具有防暑降温功能的保健布料
WO2020255377A1 (ja) 糸、織物およびその糸の製造方法
KR102030791B1 (ko) 기능성 복합포 제조방법
CN209224657U (zh) 一种经编绒面料
Perera et al. The use of nanoparticles to enhance performance in the textile industry-A concise review
CN115805737A (zh) 一种含石墨烯的透湿蓄热面料制备方法及其透湿蓄热面料
WO2021044574A1 (ja) 糸材料、糸、織物および糸材料の製造方法
CN109677048A (zh) 一种防水抗紫外线面料
KR101497078B1 (ko) 발열체 조성물,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Pandit Advanced applications of green materials in text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