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085B1 - 아크릴계 폼을 포함하는 문풍지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크릴계 폼을 포함하는 문풍지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085B1
KR101251085B1 KR1020070057395A KR20070057395A KR101251085B1 KR 101251085 B1 KR101251085 B1 KR 101251085B1 KR 1020070057395 A KR1020070057395 A KR 1020070057395A KR 20070057395 A KR20070057395 A KR 20070057395A KR 101251085 B1 KR101251085 B1 KR 101251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ic
weight
meth
monom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9275A (ko
Inventor
조익환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70057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085B1/ko
Publication of KR20080109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0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계 수지, 고분자 미소구 및 고흡습성 수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폼을 포함하는 문풍지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문풍지 테이프는 우수한 내습성 및 보온성을 가지는 동시에 항균성이 뛰어나, 겨울철 실내 단열 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 고분자 미소구, 고흡습성 수지, 아크릴계 폼, 문풍지, 항균성

Description

아크릴계 폼을 포함하는 문풍지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Weather strip tapes comprising acrylic foams and preparation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아크릴계 수지, 고분자 미소구 및 고흡습성 수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폼을 포함하는 문풍지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새집 또는 헌집 증후군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는 등 실내 청결문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특히 집안에서 번식하는 각종의 세균에 대한 대처 문제가 이슈화되고 있다. 세균은 특히 욕실, 부엌 및 베란다와 같은 고온 다습한 곳에서 잘 번식하여 호흡기 질환이나 피부 질환을 유발하는 등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된다. 또한 이러한 균들은 체내에 감염되면 빠른 속도로 퍼지며, 공기, 물 및 음식 등을 매개로 전염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세균은 특히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이가 높고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겨울철에 잘 번식하여 특별한 주의가 요구되지만, 현재 이에 대한 대비는 미흡한 실정이다.
건축물의 보온 재료로 대표적인 문풍지 테이프의 경우 종래에는 우레탄 폼 또는 부직포를 이용하여 캐리어층을 만들고, 그 표면에 점착제를 코팅하여 외부로 부터 찬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상기 우레판 폼 또는 부직포로 되는 문풍지 테이프의 경우 외부의 찬 공기의 유입 방지나 보온 효과는 어느 정도 얻을 수 있으나, 항균성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겨울철에 번식하는 세균에 대한 대비 효과는 전혀 없었으며, 따라서 보온성, 내습성 등이 우수하면서 항균성을 가지는 문풍지 테이프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아크릴계 수지, 고분자 미소구 및 고흡습성 수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폼을 문풍지 등의 단열재의 소재로 사용하면 우수한 보온성 및 내습성과 함께, 뛰어난 항균성이 발휘되어 습기 등으로 인한 세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아크릴계 수지, 고분자 미소구 및 고흡습성 수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폼을 포함하는 문풍지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문풍지 테이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크릴계 수지, 고분자 미소구 및 고흡습성 수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폼을 포함하는 문풍지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단열재의 경우 특히 항균성이 부족하여 습기 등으로 인한 세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없 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포함되는 아크릴계 폼의 뛰어난 항균성으로 인해 내습성, 보온성 및 항균성이 동시에 우수한 문풍지 테이프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문풍지 테이프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폼은 아크릴계 수지, 고분자 미소구 및 고흡습성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상기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극성 단량체의 중합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단량체의 벌크(bulk) 중합물로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의 바람직한 예로는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의 단독 또는 상기 중 2종 이상의 조합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극성 단량체 역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및/또는 질소 함유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및 푸마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고, 질소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아크릴 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및 N-비닐 카프로 락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극성 단량체의 비율은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선택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극성 단량체가 1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폼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는 전술한 단량체가 중합, 바람직하게는 벌크 중합된 수지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아크릴계 폼은 상기 단량체들을 벌크 중합하여 얻어지는 수지에 아크릴계 단량체 및 광개시제 등을 추가로 첨가한 후, 광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폼은 고분자 미소구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는 아크릴계 폼의 제조공정에서 기포 등을 방출하여 발포공정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분자 미소구로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아크릴로니트릴로 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미소구는 발포 공정 중에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첨가량은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발포 공정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다한 기포가 발생하여 발포 공정이 저해되거나 또는 목적하는 발포 배율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폼은 또한 고흡습성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고흡습성 수지는 수분이나 습기를 자체 중량의 수십 내지 수천 배로 흡수하여 유지할 수 있는 기능성 수지로서,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계 폼에 포함되어 내습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고흡습성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기저귀 및 생리용품 등의 위생재료나 농업용 등에 사용되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아크릴계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고흡습성 수지는 1 내지 100 ㎛의 중량평균 입자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평균 입자직경의 범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미반응 단량체가 잔류하거나, 지나친 팽창으로 인하여 점착성이 감소될 우려가 있다. 또한 고흡습성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완성된 폼의 흡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아크릴계 수지의 함량이 저하됨에 따라서 목적하는 접착력이 얻어지지 않거나, 고흡습성 수지의 팽창으로 인해 접착력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폼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의 펄프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완성된 폼의 흡습성이나 보온성이 더욱 배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풍지 테이프는 전술한 각각의 성분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폼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아크릴계 폼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된 지지 기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지지 기재를 아크릴계 폼에 부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크릴계 폼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이 분야에서 공지된 점착층 등을 형성한 후 지지 기재를 부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때 아크릴계 폼과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지 기재 역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 (PVC)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풍지 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문풍지 테이프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극성 단량체를 벌크 중합하여 수지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수지에 아크릴계 단량체, 고분자 미소구, 고흡습성 수지, 광개시제, 열개시제 및 기타 첨가제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상기 혼합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시키는 제 3 단계; 및
상기 광중합물에 열을 가하여 후경화 및 발포시켜 아크릴계 폼을 제조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풍지 테이프의 제조방법에서는 또한,
아크릴계 폼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점착층에 지지 기재를 부착시키는 제 6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단계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벌크 중합시켜 고분자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이며, 이 때 사용되는 아크릴계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 1 단계에서 벌크 중합을 수행하는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벌크 중합은 5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2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중합되는 단량체를 한꺼번에 첨가하거나, 분할 또는 연속하여 첨가할 수 있으며, 분할 또는 연속 첨가 시에 단량체를 개시제와 같은 기타 첨가제와 함께 첨가하거나 또는 첨가제를 미리 첨가하여 두고 단량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분할 또는 연속하여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단계는 제 1 단계에서 제조된 벌크 중합물에 아크릴계 단량체, 고분자 미소구, 고흡습성 수지, 광개시제, 열개시제 및 기타 첨가제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 때 사용되는 고분자 미소구 및 고흡습성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그 구체적인 예 및 첨가량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아크릴계 단량체는 전술한 제 1 단계의 벌크 중합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광개시제로는 이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광개시제의 예로는 벤조인 메틸에테르,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α,α-메톡시-α-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2-벤조일-2-(디메틸아미노)-1-[4-(4-몰포닐)페닐]-1-부타논 및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개시제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벤조일 퍼옥사이드와 같은 통상의 개시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이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단계에서 제조되는 혼합물에는 펄프가 추가로 첨가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조된 아크릴계 폼의 흡습성 및 보온성이 더욱 배가될 수 있다. 펄프의 첨가량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단계에서는 또한 가교제가 추가로 첨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아크릴계 폼에 가교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우수한 압축 회복성 및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예로는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1,2-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1,12-도데칸디올 아크릴레이트과 같은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가교제;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다관능 에폭시계 가교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교제의 첨가량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펄프 및 가교제 외에 첨가될 수 있는 기타 첨가제로는 다공성 필러, 커플링제, 대전방지제, 계면활성제, 점착 부여제 및 가공유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는 이 분야의 통상의 것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단계 및 제 4 단계는 제조된 혼합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시킨 후, 열을 가하여 후경화 및 발포를 진행시켜 아크릴계 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 광중합은 90 내지 100W의 출력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1 내지 3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중합을 수행한 후 열을 가하여 후경화 및 발포 공정을 진행하여 아크릴계 폼을 제조한다. 이 때의 발포 배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포 배율은 1.1 내지 1.5배가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폼의 체적 비중 (bulk density)는 0.7 내지 0.99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아크릴계 폼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점착층을 형성한 후, 지지 기재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으로는 이 분야의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아크릴계 점착층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크릴계 점착제의 예로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상기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극성 단량체가 공중합된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 분야의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술한 아크릴계 폼의 제조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단량체 및 극성 단량체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극성 단량체의 비율은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극성 단량체가 1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층을 이루는 점착 조성물에는, 점착층의 중합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부의 광개시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 조성물에는, 점착층의 점착 특성의 제어를 위하여,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2 중량부의 가교제가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개시제 및 가교제로는 이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술한 아크릴계 폼의 제조에 사용된 개시제 및 가교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이 외에도 실란 커플링제와 같은 커플링제; 안료; 산화 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분산제; 소포제; 증점제; 가소제; 및 점착성 부여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본 발명의 점착 조성물에 적절히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층은 전술한 아크릴계 수지 및 필요에 따라서 광개시제나 가교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여 이 분야의 통상의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층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극성 단량체를 열 등에 의해 부분 중합시키고, 가교제 또는 광개시제 등을 적절히 첨가한 후 교반 혼합하여 혼합물의 제조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아크릴계 폼에 도포한 후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해 광중합반응 및 가교반응을 진행시켜 점착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혼합물을 아크릴계 폼의 일면 또는 양면 도포함으로써 일면 또는 양면에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점착층을 형성한 후에 폴리염화비닐 (PVC)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과 같은 지지 기재를 부착시켜 본 발명의 문풍지 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에 제시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연성 아크릴계 단량체) 92 중량부, 아크릴산 (경성 아크릴계 단량체) 8 중량부, 광개시제로서 벤조인 메틸에테르 1 중량부, 열개시제로서 벤조일퍼옥사이드 0.8 중량부, 가교제로서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3 중량부, 다공성 필러로서 엑스판셀 551디유(expancel 551DU; 악조 노벨사(제)) 3중량 부, 커플링제 0.5중량부, 대전방지제 2중량부, 계면활성제 0.3중량부, 점착부여제 9중량부, 가공유 3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로 되는 고분자 미소구 2 중량부 및 아크릴계 고흡습성 수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를 PET 필름 상에 1 mm의 두께로 코팅한 후, 100W 출력의 자외선을 2분간 조사하고, 150℃로 승온하여 후경화 및 발포 공정을 수행하여 아크릴계 폼을 수득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아크릴계 폼에 아크릴산 8 중량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92 중량부 및 1,6-헥사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을 도포하고, 50W 출력의 UV 램프를 1 분간 조사하여 두께가 25㎛인 점착층을 형성시켰으며, 이와 같이 형성된 점착층에 PVC 필름을 합판하여 문풍지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고분자 미소구 및 고흡습성 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크릴계 문풍지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그리고 시판되는 우레판 폼(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의 축합 중합물)을 사용한 문풍지 테이프 (비교예 2)를 대상으로 흡수율 및 함수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흡수율 * 0.5 ~ 1 g 0.1 g 이하 0.1 g 이하
함수율 ** 1% 이하 1% 이하 1% 이하
* 문풍지 테이프 1 g이 항온조에서 1 시간 동안 흡수하는 무게
** 항온조에서 24 시간 동안 보관 후, 100℃ 오븐에서 2시간 유지시킨 후의 무게 변화
상기 표 1로 부터, 본 발명의 문풍지 테이프의 경우 고흡습성 수지 등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종래 시판되는 우레탄 폼을 사용한 문풍지 테이프 (비교예 2)에 비해 우수한 흡수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내습성 및 보온성이 우수하게 유지될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문풍지 테이프는 아크릴계 수지, 고분자 미소구 및 고흡습성 수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폼을 포함하며, 이를 통하여 항균성, 내습성 및 보온성이 뛰어난 문풍지 테이프를 제공하여 겨울철 실내 단열 재료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6)

  1.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상기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극성 단량체의 중합물로 된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의 아크릴로니트릴로 된 고분자 미소구 및 1 내지 5 중량부의 고흡습성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폼을 포함하는 문풍지 테이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는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풍지 테이프.
  4. 제 1 항에 있어서,
    극성 단량체가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및 질소 함유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풍지 테이프.
  5. 제 1 항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해서 극성 단량체 1 내지 20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풍지 테이프.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고흡습성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평균 입자직경이 1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풍지 테이프.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폼은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의 펄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풍지 테이프.
  12.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폼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된 지지 기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풍지 테이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지지 기재가 PVC 필름 또는 PET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풍지 테이프.
  14.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상기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극성 단량체를 벌크 중합하여 수지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수지에 아크릴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로 된 고분자 미소구, 고흡습성 아크릴계 수지, 광개시제, 열개시제 및 기타 첨가제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상기 혼합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시키는 제 3 단계; 및
    상기에서 얻은 광중합물에 열을 가하여 후경화 및 발포시켜 아크릴계 폼을 제조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문풍지 테이프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폼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점착층에 지지 기재를 부착시키는 제 6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폼의 발포 배율이 1.1 내지 1.5배이며, 체적 비중이 0.7 내지 0.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070057395A 2007-06-12 2007-06-12 아크릴계 폼을 포함하는 문풍지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251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395A KR101251085B1 (ko) 2007-06-12 2007-06-12 아크릴계 폼을 포함하는 문풍지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395A KR101251085B1 (ko) 2007-06-12 2007-06-12 아크릴계 폼을 포함하는 문풍지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275A KR20080109275A (ko) 2008-12-17
KR101251085B1 true KR101251085B1 (ko) 2013-04-04

Family

ID=4036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395A KR101251085B1 (ko) 2007-06-12 2007-06-12 아크릴계 폼을 포함하는 문풍지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851B1 (ko) * 2018-08-20 2020-07-10 주식회사 영우 디스플레이 기기용 내충격성 양면테이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2818A (ja) * 1999-06-23 2001-01-09 Nagano Nova Form Kk 発泡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85316A (ko) * 1998-07-31 2001-09-07 캐롤린 에이. 베이츠 중합체 발포체를 포함하는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1253003A (ja) * 2000-03-08 2001-09-18 Dainippon Printing Co Ltd 断熱層付化粧シート及び断熱部材
JP2002179983A (ja) * 2000-12-13 2002-06-26 Nippon Tokushu Toryo Co Ltd 超軽量アクリルプラスチゾル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5316A (ko) * 1998-07-31 2001-09-07 캐롤린 에이. 베이츠 중합체 발포체를 포함하는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1002818A (ja) * 1999-06-23 2001-01-09 Nagano Nova Form Kk 発泡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53003A (ja) * 2000-03-08 2001-09-18 Dainippon Printing Co Ltd 断熱層付化粧シート及び断熱部材
JP2002179983A (ja) * 2000-12-13 2002-06-26 Nippon Tokushu Toryo Co Ltd 超軽量アクリルプラスチゾル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275A (ko)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5026B1 (ko) 천연 고무 및 폴리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감압 접착제
JP4847324B2 (ja) ライナレス両面感圧接着剤フォームテープ
KR101603641B1 (ko) 아크릴-실리콘계 하이브리드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20276379A1 (en) Adhesive compositions, adhesive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CN111518482B (zh) 一种高性能丙烯酸发泡体胶带及其制备方法
KR101736536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CA2356468C (en) Adhesive composition for skin and adhesive tape or sheet for skin comprising the composition
WO2008047636A1 (en) Acrylic adhesive tape or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4204126A (zh) 用于晶圆加工薄膜的粘合剂组合物
CN101636461A (zh) 丙烯酸系粘合带或粘合片及其制造方法
KR101614341B1 (ko) 점착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000338A (ja) 医療用粘着剤組成物
KR101400558B1 (ko) 폼 테이프 기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폼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51085B1 (ko) 아크릴계 폼을 포함하는 문풍지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6835A (ko) 수분산형 가교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80051485A1 (en) Hot-Melt Composition Comprising Hydrocolloids
JP2003292913A (ja) 両面粘着テープ
JP2017179329A (ja) 粗面用感圧性粘着剤層、及びこれを用いた粘着テープ及び構成物
EP0964003B1 (en) Free radical polymerization process using a monochromatic radiation source
JP2004051812A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2017132893A (ja) 建築材料用感圧性接着剤層
JP2003253224A (ja) 両面粘着テープ
JP2018521154A (ja) エポキシ官能基及びトリアジン架橋剤を含む(メタ)アクリルポリマーを含む感圧接着剤
KR20180104426A (ko) 폼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폼 점착 테이프
KR101534375B1 (ko) 기포 분산형 폼 테이프 기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폼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