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594B1 - 푸시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594B1
KR101250594B1 KR1020110061768A KR20110061768A KR101250594B1 KR 101250594 B1 KR101250594 B1 KR 101250594B1 KR 1020110061768 A KR1020110061768 A KR 1020110061768A KR 20110061768 A KR20110061768 A KR 20110061768A KR 101250594 B1 KR101250594 B1 KR 101250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contact
fixed contact
peripheral fixed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9989A (ko
Inventor
히데카즈 가토
가즈나리 다카하시
도시히코 다자와
도시아키 미즈코시
가즈히코 아마노
하루오 도미나가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contact-making surface, e.g. groov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8Actuators to avoid tilting or skewing of contact area or actu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02Switch site location superimposed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과제) 조작 감촉이 안정적으로 얻어지는 2 단 동작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수납부 (11S) 를 갖는 케이싱체 (11) 와, 수납부에 배치된 중앙 고정 접점부 (12) 와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와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와, 압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하고, 복수의 다리부 (17f) 와 중앙에 구멍부 (17h) 를 갖는 돔부 (17d) 를 가져,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와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에 접촉하는 제 1 가동 접점 (17) 과, 압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하고, 돔부 (18d) 를 갖고, 구멍부를 덮도록 제 1 가동 접점 상에 재치되어, 중앙 고정 접점부와 접리 가능한 제 2 가동 접점 (18) 을 구비하고,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접촉부 (15) 를 갖고,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접촉부 (25) 를 갖고, 복수의 접촉부 (15, 25) 는, 제 1 가동 접점에 대하여 대략 3 점 지지 가능한 3 지점의 위치에 배치되어, 제 1 가동 접점이 반전 동작하였을 때에, 접촉 가능하도록 대향하여 배치하였다.

Description

푸시 스위치 {PUSH SWITCH}
본 발명은 압압 조작됨으로써 가동(可動) 접점이 반전 동작하여 접점의 접리(接離)를 행하는 푸시 스위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2 단 동작의 푸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 전화나 카메라의 셔터 부분에 사용되는 푸시 스위치는, 1 단째의 동작에 추가하여 2 단째의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요구되고 있다. 이 2 단의 동작을 달성하기 위하여, 판스프링 접점을 2 지점에 사용하거나, 돔 형상 접점을 2 장 중첩시키거나 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에서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돔 형상 접점을 2 장 중첩시킨 푸시 스위치가 제안되어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푸시 스위치는, 스위치 케이스 (921) 와, 스위치 케이스 (921) 의 오목부 중앙에 중앙 고정 접점 (922) 과, 이 중앙 고정 접점 (922) 을 사이에 두고 점대칭 위치의 2 지점에 배치된 서로 독립한 주변 고정 접점 (923, 924) 과, 중앙 구멍 (930a) 을 가진 돔 형상의 제 1 가동 접점 (930) 과, 제 1 가동 접점 (930) 에 재치된 돔 형상의 제 2 가동 접점 (931) 과, 하면에 점착층을 가진 가요성을 구비한 절연 수지 필름제의 보호 시트 (932) 로 구성되어 있고, 금속 박판제의 커버 (933) 가 구성 부재를 덮도록 스위치 케이스 (921) 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원형 구멍 (933a) 으로부터 보호 시트 (932) 를 개재하여 제 2 가동 접점 (931) 의 돔 형상 중앙부를 압압하면, 제 1 가동 접점 (930) 의 돔 형상 부분이 절도감을 발생시켜 탄성 반전되고, 제 1 가동 접점 (930) 이 대향한 주변 고정 접점 (923, 924) 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또한, 제 2 가동 접점 (931) 의 돔 형상 중앙부를 압압해 나가면, 제 2 가동 접점 (931) 의 돔 형상 부분이 절도감을 발생시켜 탄성 반전되고, 제 2 가동 접점 (931) 이 중앙 고정 접점 (922) 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그리고, 이 제 1 가동 접점 (930) 의 돔 형상 부분의 탄성 반전시의 절도감이 1 단째의 절도감이 되고, 이 제 2 가동 접점 (931) 의 돔 형상 부분의 탄성 변형시의 절도감이 2 단째의 절도감이 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에서는, 제 1 가동 접점 (930) 의 고리형부 (930b) 의 4 개의 돌출부 (930d) 는, 4 개의 다리부 (930c) 가 형성된 위치와 동일 방향의 각도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압력을 받았을 때에, 다리부 (930c) 가 그 힘을 지지하고, 다리부 (930c) 에 가까운 돌출부 (930d) 가 돔 형상의 고리형부 (930b) 를 탄성 반전시키는 힘으로서 효율적으로 작용시켜, 양호한 절도감이 얻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제 1 가동 접점 (930) 의 고리형부 (930b) 의 외주연으로부터 연장된 4 개의 다리부 (930c) 는, 동일 원주 상에 등각 배치되어 있으므로, 고리형부 (930b) 에 가해지는 제 2 가동 접점 (931) 으로부터의 압압력을 균등하게 양호한 밸런스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절도감을 수반하여 제 2 가동 접점 (931) 의 탄성 반전시에도 안정적인 조작 감촉이 얻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게 하였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41603호
그러나, 제 1 가동 접점 (930) 의 4 개의 다리부 (930c) 는, 동일 원주 상에 등각 배치되어 있어, 제 2 가동 접점 (931) 으로부터의 압압력을 균등하게 양호한 밸런스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특허문헌 1 과 같은 구성에서는, 제 1 가동 접점 (930) 이 반전 동작하여, 제 1 가동 접점 (930) 과 주변 고정 접점 (923, 924) 이 맞닿은 후에는, 주로, 주변 고정 접점 (923, 924) 이 제 1 가동 접점 (930) 을 지지하게 된다. 그 때문에, 주변 고정 접점 (923, 924) 이 대칭 위치의 2 지점밖에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 2 가동 접점 (931) 을 반전 동작시킬 때에, 제 1 가동 접점 (930) 에 균등하지 않은 압압이 가해진 경우, 제 1 가동 접점 (930) 이 밸런스를 무너뜨려, 제 2 가동 접점 (931) 의 반전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고, 조작 감촉이 나빠진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조작 감촉이 안정적으로 얻어지는 2 단 동작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수납부를 갖는 케이싱체와, 상기 수납부 내에 배치된 중앙 고정 접점부와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와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와, 압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하고, 복수의 다리부와 중앙에 구멍부를 갖는 돔 형상의 돔부를 가져, 상기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와 상기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에 접촉하는 제 1 가동 접점과, 압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하고, 돔 형상의 돔부를 갖고, 상기 제 1 가동 접점의 구멍부를 덮도록 상기 제 1 가동 접점 상에 재치되어, 상기 중앙 고정 접점부와 접리 가능한 제 2 가동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접촉부를 갖고, 복수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 1 가동 접점에 대하여 대략 3 점 지지 가능한 3 지점의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가동 접점이 상기 압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하였을 때에, 접촉 가능하도록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의 접촉부 및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의 접촉부가, 제 1 가동 접점에 대하여 대략 3 점 지지 가능한 3 지점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압 조작에 의해 제 1 가동 접점이 반전 동작하였을 때에, 제 1 가동 접점이 복수의 접촉부에 의해 대략 3 점 지지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추가적인 압압 조작에 의해, 제 2 가동 접점이 반전 동작할 때에, 제 1 가동 접점이 2 지점에서 지지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가동 접점이 안정적으로 제 2 가동 접점을 지지할 수 있어, 제 2 가동 접점의 반전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작 감촉이 양호하고 안정적으로 얻어지는 2 단 동작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상기 3 지점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접촉부는, 상기 중앙 고정 접점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동심적으로 대략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의 상기 적어도 2 개 이상의 접촉부는, 상기 3 지점의 위치 중, 2 지점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의 상기 1 개 이상의 접촉부는, 상기 3 지점의 위치 중, 나머지 1 지점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3 지점의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접촉부는, 중앙 고정 접점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동심적으로 대략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압 조작에 의해 제 1 가동 접점이 반전 동작하였을 때에, 제 1 가동 접점이 3 지점의 위치에 대략 균등 배치된 복수의 접촉부에 의해, 양호한 밸런스로 균등하게 지지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추가적인 압압 조작에 의해, 제 2 가동 접점이 반전 동작할 때에, 제 1 가동 접점이 2 지점에서 지지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가동 접점이 안정적으로 제 2 가동 접점을 지지할 수 있어, 제 2 가동 접점의 반전 동작을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접촉부의 상기 제 1 가동 접점과의 접촉하는 면의 뒤쪽 면에 대향한 상기 케이싱체의 일부분에, 상기 케이싱체를 성형할 때에 상기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및 상기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를 누르는 누름 지그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상기 복수의 접촉부와 대향하도록 적어도 3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및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를 누르는 누름 지그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복수의 접촉부와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접촉부를 누름 지그로 누르면서 케이싱체를 성형할 수 있어, 복수의 접촉부의 접촉하는 면의 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가동 접점은, 높이가 일정해진 복수의 접촉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추가적인 압압 조작에 의해, 제 2 가동 접점이 반전 동작할 때에, 제 1 가동 접점이 안정적으로 제 2 가동 접점을 지지할 수 있어, 제 2 가동 접점의 반전 동작을 보다 더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상기 제 1 가동 접점을 상기 케이싱체의 상기 수납부 내에 장착하였을 때에, 상기 제 1 가동 접점의 상기 복수의 다리부는, 상기 복수의 다리부가 접한 상기 케이싱체의 장착면에 대하여, 15°이상 20°이하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복수의 다리부는, 복수의 다리부가 접한 케이싱체의 장착면에 대하여, 15°이상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다리부가 15°보다 작은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가동 접점의 동작 스트로크가 충분히 얻어져, 제 1 가동 접점의 반전 동작이 안정적으로 얻어진다. 또한, 20°이하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다리부가 20°보다 큰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복수의 다리부의 선단이 케이싱체의 장착면에 파고드는 양이 억제되어, 복수의 다리부가 접한 케이싱체의 장착면이 깎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가동 접점의 반전 동작이 안정적으로 얻어지는 데다가, 깎임 가루에 의한 절연 불량이나 장착면이 깎인 것에 따른 반전 동작에 대한 악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 푸시 스위치의 장수명화가 도모된다.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상기 제 1 가동 접점의 상기 복수의 다리부는, 상기 돔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평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복수의 다리부는 평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다리부가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달리, 복수의 다리부 부분에서 반전 동작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압압 조작에 의해 제 1 가동 접점이 반전 동작할 때에, 제 1 가동 접점의 반전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의 접촉부 및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의 접촉부가, 제 1 가동 접점에 대하여 대략 3 점 지지 가능한 3 지점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압 조작에 의해 제 1 가동 접점이 반전 동작하였을 때에, 제 1 가동 접점이 복수의 접촉부에 의해 대략 3 점 지지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추가적인 압압 조작에 의해, 제 2 가동 접점이 반전 동작할 때에, 제 1 가동 접점이 2 지점에서 지지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가동 접점이 안정적으로 제 2 가동 접점을 지지할 수 있어, 제 2 가동 접점의 반전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작 감촉이 양호하고 안정적으로 얻어지는 2 단 동작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2(a) 는 케이싱체의 평면도이고, 도 2(b) 는 케이싱체에 제 1 가동 접점을 장착한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b) 에 나타내는 Ⅲ-Ⅲ 선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4(a) 는 케이싱체의 바닥면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4(b) 는 도 4(a) 의 케이싱체를 제외하고 남은 중앙 고정 접점부,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및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만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케이싱체에 대한 제 1 가동 접점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6(a) 는 케이싱체에 필름 및 커버를 장착한 스위치의 평면도이고, 도 6(b) 는 케이싱체에 제 1 가동 접점 및 제 2 가동 접점을 장착한 평면도이다.
도 7 은, 도 6(a) 에 나타내는 Ⅶ-Ⅶ 선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6(b) 에 나타내는 Ⅷ-Ⅷ 선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의 변형예 1 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9(a) 는 변형예 1 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b) 는 변형예 1 의 중심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의 변형예 2 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은, 종래예의 푸시 스위치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 (1) 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 (1) 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2(a) 는 케이싱체 (11) 의 평면도이고, 도 2(b) 는 케이싱체 (11) 에 제 1 가동 접점 (17) 을 장착한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b) 에 나타내는 Ⅲ-Ⅲ 선의 단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시 스위치 (1) 는, 수납부 (11S) 를 갖는 케이싱체 (11) 와, 수납부 (11S) 내에 배치된 중앙 고정 접점부 (12) 와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와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와, 압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하며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와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에 접촉하는 제 1 가동 접점 (17) 과, 압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하며 중앙 고정 접점부 (12) 와 접리 가능한 제 2 가동 접점 (18) 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압압 조작을 받는 조작부 (16s) 를 가진 필름 (16) 을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커버 (19) 가 케이싱체 (11) 에 장착되어 있다.
도 1 및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체 (11) 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에 의해 내부에 수납부 (11S) 를 갖는 외형이 사각형 형상이며 상면이 개구된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 (11S) 는, 케이싱체 (11) 의 중앙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원형 형상의 기부 (11b) 와, 이 기부 (11b) 에 연장되며 케이싱체 (11) 의 대각선 상의 4 모퉁이에 연장되는, 사각형 형상의 수용 오목부 (11c) 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수납부 (11S) 에 제 1 가동 접점 (17) 이 재치되고, 수용 오목부 (11c) 에는 제 1 가동 접점 (17) 의 다리부 (17f) 가 각각 수용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체 (11) 의 수납부 (11S) 내 바닥면 중앙에는, 도전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중앙 고정 접점부 (12) 가, 상면측이 표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중앙 고정 접점부 (12) 는, 후술하는 제 2 가동 접점 (18) 의 돔부 (18d) 와 접촉하는 볼록부 (12t) 가 3 지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동일하게 도전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와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가, 수납부 (11S) 내 바닥면의 중앙 고정 접점부 (12) 를 사이에 끼운 위치에 상면측이 표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중앙 고정 접점부 (12),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및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의 케이싱체 (11) 의 수납부 (11S) 에 대한 배치는, 케이싱체 (11) 의 형성시, 인서트 성형으로 동시에 행해진다.
또한, 케이싱체 (11) 의 외측면 중, 대향하는 2 면에는, 중앙 고정 접점부 (12) 로부터 도출된 접속 단자 (52a) 와,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로부터 도출된 접속 단자 (53a 및 53b) 와,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로부터 도출된 접속 단자 (54a) 가, 기기 등의 회로 기판에 대한 접속용으로 바깥쪽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는 2 개의 접촉부 (15 : 15a, 15b) 를 갖고,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는 2 개의 접촉부 (25 : 25a, 25b) 를 갖고,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의 접촉부 (15a) 와,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의 접촉부 (15b) 와,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의 접촉부 (25 : 25a, 25b) 의 3 지점의 접촉부는, 제 1 가동 접점 (17) 에 대하여 대략 3 점 지지 가능한 3 지점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제 1 가동 접점 (17) 이 압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하였을 때에, 제 1 가동 접점 (17) 의 접점 영역 (17r) 과 접촉 가능하도록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의 접촉부 (15) 및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의 접촉부 (25) 가, 제 1 가동 접점 (17) 에 대하여 대략 3 점 지지 가능한 3 지점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압압 조작에 의해 제 1 가동 접점 (17) 이 반전 동작하였을 때에, 제 1 가동 접점 (17) 이 복수의 접촉부 (15, 25) 에 의해 대략 3 점 지지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후술하는 추가적인 압압 조작에 의해, 제 2 가동 접점 (18) 이 반전 동작할 때에, 도 11 의 제 1 가동 접점 (930) 이 2 지점에서 지지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가동 접점 (17) 이 안정적으로 제 2 가동 접점 (18) 을 지지할 수 있어, 제 2 가동 접점 (18) 의 반전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 (1) 는, 외경 사이즈나 가공 조건 등 때문에, 접촉부 (15, 25) 를 대략 3 점 지지 가능한 3 지점의 위치에 배치하였지만, 접촉부 (15, 25) 를 중앙 고정 접점부의 중앙부 (12c) 를 중심으로 하여, 동심적으로 대략 균등하게 배치시킨 편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2 중의 중앙 고정 접점부의 중앙부 (12c) 가 가리키는 부분은, 후술하는 제 2 가동 접점 (18) 의 돔부 (18d) 의 중심점을 평면시로 투영한 설계상의 점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중앙 고정 접점부의 중앙부 (12c) 는, 각각의 접촉부 (15, 25) 를 동심적으로 대략 균등하게 배치시키고 있으면 되기 때문에, 약간 어긋나 있어도 된다. 또한, 대략 균등은, 제 1 가동 접점 (17) 을 균등하게 3 점 지지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엄밀한 120°분할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접촉부 (15, 25) 를 4 지점 이상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4 지점 이상 중 3 지점의 위치가 동심적으로 대략 균등한 위치에 배치되고, 이 3 지점의 위치에서 제 1 가동 접점 (17) 을 3 점 지지할 수 있으면 된다. 이로 인해, 3 지점의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접촉부 (15, 25) 는, 중앙 고정 접점부의 중앙부 (12c) 를 중심으로 하여, 동심적으로 대략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압압 조작에 의해 제 1 가동 접점 (17) 이 반전 동작하였을 때에, 제 1 가동 접점 (17) 이 3 지점의 위치에 대략 균등 배치된 복수의 접촉부 (15, 25) 에 의해, 양호한 밸런스로 균등하게 지지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후술하는 추가적인 압압 조작에 의해, 제 2 가동 접점 (18) 이 반전 동작할 때에, 도 11 의 제 1 가동 접점 (930) 이 2 지점에서 지지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가동 접점 (17) 이 안정적으로 제 2 가동 접점 (18) 을 지지할 수 있어, 제 2 가동 접점 (18) 의 반전 동작을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는, 커먼 고정 접점으로 하여, 접촉부 (15a) 와 접촉부 (15b) 의 2 개로 하고 있다. 이는,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의 각 접촉부 (15) 의 배치가 제 1 가동 접점 (17) 의 다리부 (17f) 부근에 있기 때문에, 제 1 가동 접점 (17) 의 반전 동작시에 다리부 (17f) 가 부상하여 불량이 되지 않도록, 확실하게 커먼 고정 접점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과 제 1 가동 접점 (17) 의 접촉을 유지시키기 위해서이다. 단, 상기 효과를 감안하여 커먼 고정 접점은,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로 하였지만, 설계의 편의상 등에 의해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로 해도 된다.
또한,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는 2 개의 접촉부 (25a, 25b) 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접촉부 (25) 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접점 성능이 얻어지고, 보다 안정적으로 제 1 가동 접점 (17) 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 (11c) 에 수용된 다리부 (17f) 의 접지면인, 수지 부분의 2 지점의 장착면 (11p) 과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의 금속 부분의 2 지점의 장착면 (11p) 은, 제 1 가동 접점 (17) 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모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 1 가동 접점 (17) 의 접점 영역 (17r) 과 접하는 면인, 각 접촉부 (15, 25) 의 접촉하는 면 (15p) (25p) 은, 제 1 가동 접점 (17) 의 접촉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각각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 (1) 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4(a) 는 케이싱체 (11) 의 바닥면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4(b) 는 도 4(a) 의 케이싱체 (11) 를 제외하고 남은 중앙 고정 접점부 (12),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및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만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접촉부 (15, 25) 와 제 1 가동 접점 (17) 의 접촉하는 면 (15p, 25p) 의 뒤쪽 면 (15r, 25r) 에 대향한 케이싱체 (11) 의 일부분에, 케이싱체 (11) 를 성형할 때에,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및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를 누르는 누름 지그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 (11k) 가, 복수의 접촉부 (15, 25) 와 대향하도록 3 개 형성되어 있다. 그 밖에, 중앙 고정 접점부 (12) 를 누르는 누름 지그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 (K) 가 2 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및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를 누르는 누름 지그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 (11k) 가, 복수의 접촉부 (15, 25) 와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접촉부 (15, 25) 를 누름 지그로 누르면서 케이싱체 (11) 를 성형할 수 있어, 복수의 접촉부 (15, 25) 의 접촉하는 면 (15p, 25p) 의 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가동 접점 (17) 은, 높이가 일정해진 복수의 접촉부 (15, 25) 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후술하는 추가적인 압압 조작에 의해, 제 2 가동 접점 (18) 이 반전 동작할 때에, 제 1 가동 접점 (17) 이 안정적으로 제 2 가동 접점 (18) 을 지지할 수 있어, 제 2 가동 접점 (18) 의 반전 동작을 보다 더 안정시킬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 (1) 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제 1 가동 접점 (17) 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 중의 케이싱체 (11) 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평판 형상의 것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 (1) 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6(a) 는 케이싱체 (11) 에 필름 (16) 및 커버 (19) 를 장착한 스위치의 평면도이고, 도 6(b) 는 케이싱체 (11) 에 제 1 가동 접점 (17) 및 제 2 가동 접점 (18) 을 장착한 평면도이다. 도 7 은, 도 6(a) 에 나타내는 Ⅶ-Ⅶ 선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가동 접점 (17) 은, 도전성의 금속 판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구멍부 (17h) 를 갖는 반전 가능한 돔 형상의 돔부 (17d) 를 가지며, 이 돔부 (17d) 에 연속해서 십자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다리부 (17f) 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십자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돔부 (17d) 의 최대 외경이 제 2 가동 접점 (18) 의 외경보다 대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가동 접점 (17) 을 케이싱체 (11) 의 수납부 (11S) 내에 장착하였을 때에, 복수의 다리부 (17f) 는, 복수의 다리부 (17f) 가 접한 케이싱체 (11) 의 장착면 (11p) 에 대하여 15°이상 20°이하의 각도 (θ1) 로 형성되어 있다.
표 1 은, 복수의 다리부 (17f) 의 각도 (θ1) 를 바꾸었을 때, 2 단 동작의 푸시 스위치의 조작 감촉과, 푸시 스위치의 조작을 반복한 후의 장착면 (11p) 의 깎임 상태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수지 부분의 장착면 (11p) 쪽의 금속 부분의 장착면 (11p) 보다 깎임량이 크게 되어 있었지만, 그 경향은 동일하였다. 표 1 중의 실례 1 내지 실례 3 은 각도 (θ1) 를 15°에서 20°로 바꾼 것이고, 비교 1, 비교 2 는 각도 (θ1) 를 13°이하로 바꾸고, 비교 3, 비교 4 는 각도 (θ1) 를 22°이상으로 바꾼 것을 나타내고 있다.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다리부 (17f) 의 각도 (θ1) 가 15°이상이면, 제 1 가동 접점 (17) 의 동작 스트로크가 충분히 얻어져, 제 1 가동 접점 (17) 의 반전 동작이 안정적으로 얻어진다. 또한, 복수의 다리부 (17f) 의 각도 (θ1) 가 20°이하이면, 복수의 다리부 (17f) 의 선단이 케이싱체 (11) 의 장착면 (11p) 에 파고드는 양이 억제되어, 복수의 다리부 (17f) 가 접한 케이싱체 (11) 의 장착면 (11p) 이 깎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가동 접점 (17) 의 반전 동작이 안정적으로 얻어지는 데다가, 깎임 가루에 의한 절연 불량이나 장착면 (11p) 이 깎인 것에 따른 반전 동작에 대한 악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 푸시 스위치의 장수명화가 도모된다.
다리부의 각도, θ1
(°)
조작 감촉 장착면의
깎임 상태
비교 1 10 ×
비교 2 13
실례 1 15
실례 2 18
실례 3 20
비교 3 22
비교 4 25 ×
○ ; 양호, △ ; 부적합, × ; 나쁨
또한, 복수의 다리부 (17f) 는, 돔부 (17d) 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평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다리부가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달리, 복수의 다리부 (17f) 부분에서 반전 동작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후술하는 압압 조작에 의해 제 1 가동 접점 (17) 이 반전 동작할 때에, 제 1 가동 접점 (17) 의 반전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일정한 각도의 다리부 (17f) 를 얻기 위하여, 복수의 다리부 (17f) 를 절곡하는 방법 중 하나로서, 절곡 지그를 사용하여, 프레스 가공을 실시한다. 그 때에, 다리부 (17f) 각각에 대응한 지그 부재를 바꿈으로써, 다리부 (17f) 각각의 각도나 절곡 위치 등을 바꿀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최대 저항 하중이나 그 발생 타이밍 등의 조작 감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동 접점 (17) 의 외경 가공은, 프레스 몰드를 사용하여 판 형상의 금속판을 블랭킹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마찬가지로, 프레스 몰드의 몰드 형상을 바꿈으로써 다리부 (17f) 각각의 길이를 바꿀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최대 저항 하중이나 그 발생 타이밍 등의 조작 감촉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 도 6(b)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가동 접점 (18) 은, 돔 형상의 돔부 (18d) 를 갖고, 제 1 가동 접점 (17) 의 구멍부 (17h) 를 덮도록 제 1 가동 접점 (17) 상에 재치되어 있다. 제 2 가동 접점 (18) 도 동일하게, 도전성의 금속 판스프링으로 소경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반전 가능한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돔부 (18d) 의 정상부 하면이, 중앙 고정 접점부 (12) 의 볼록부 (12t) 와 접촉하는 접점 중앙부 (18c) 로 되어 있다. 또한, 제 2 가동 접점 (18) 이 압압 조작되어 반전 동작할 때의 동작 하중은, 제 1 가동 접점 (17) 이 압압 조작되어 반전 동작할 때의 동작 하중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1 단째의 압압 조작시에 제 1 가동 접점 (17) 이 반전 동작할 때에, 제 2 가동 접점 (18) 은 반전 동작하지 않고 제 1 가동 접점 (17) 상에 재치된 채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2 단째의 압압 조작시에는, 제 2 가동 접점 (18) 은 제 1 가동 접점 (17) 에 지지되어 반전 동작하게 된다. 즉, 1 단째의 압압 조작시에는 제 1 가동 접점 (17) 만이 반전 동작하고, 2 단째의 압압 조작시에는 제 2 가동 접점 (18) 만이 반전 동작하기 때문에, 각각의 압압 조작시의 조작 감촉이 양호한 것이 된다.
도 1, 도 6(a)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16) 은 제 2 가동 접점 (18) 의 상면측을 덮도록 재치되어 있다. 필름 (16) 은, 압압 조작을 받기 위한 조작부 (16s) 를 갖고, 필름 (16) 을 개재하여 제 2 가동 접점 (18) 에 압압력을 전하기 때문에, 가요성을 갖는 합성 수지제의 재질이 사용된다. 또한, 필름 (16) 은, 케이싱체 (11) 의 수납부 (11S) 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제 2 가동 접점 (18) 에 탄성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가동 접점 (18) 의 수납부 (11S) 로부터의 돌출이나 수납부 (11S) 내로의 진애의 침입이나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6(a)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19) 는 판 형상의 금속판으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큰 조작 개구부 (19a)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방에는 수직으로 절곡된 측판 (19i) 이 형성되고, 이 측판 (19i) 을 케이싱체 (11) 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부 (11e) 에 걺으로써, 필름 (16) 을 협지함과 함께, 케이싱체 (11) 의 수납부 (11S) 내에 수용된 제 1 가동 접점 (17) 및 제 2 가동 접점 (18) 을 고정시키고 있다. 이 때, 커버 (19) 와 케이싱체 (11) 사이에 개재된 필름 (16) 의 조작부 (16s) 가 조작 개구부 (19a) 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푸시 스위치 (1) 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 (1) 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6(b) 에 나타내는 Ⅷ-Ⅷ 선의 단면도이다. 도 8(a) 는 비압압 조작 상태를 나타내고, 도 8(b) 는 압압 조작에 의해 제 1 가동 접점 (17) 이 반전 동작하여 접촉부 (15) (25) 와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8(c) 는 추가적인 압압 조작에 의해 제 2 가동 접점 (18) 이 반전 동작하여 볼록부 (12t) 와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시 스위치 (1) 가 비압압 조작 상태에서는, 제 1 가동 접점 (17) 의 다리부 (17f) 는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와 접촉하고 있지만, 제 1 가동 접점 (17) 의 접점 영역 (17r) 이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의 접촉부 (25) 와는 이간된 상태로 되어 있고, 또한 제 2 가동 접점 (18) 의 주연부는 제 1 가동 접점 (17) 과 접촉하고 있지만, 접점 중앙부 (18c) 가 중앙 고정 접점부 (12) 의 볼록부 (12t) 와는 이간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제 1 가동 접점 (17) 과,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와,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로부터 1 단째의 스위치가 구성되고, 제 1 가동 접점 (17) 과, 제 2 가동 접점 (18) 과, 중앙 고정 접점부 (12) 와,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로부터 2 단째의 스위치가 구성되어 있으며, 비압압 조작 상태에서는, 푸시 스위치 (1) 는 1 단째와 2 단째의 스위치가 함께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도 7 에 나타내는 커버 (19) 의 조작 개구부 (19a) 로부터 키탑 등 (도시 생략) 에 의해, 필름 (16) 의 조작부 (16s) 가 압압되면, 필름 (16) 을 개재하여 제 2 가동 접점 (18) 이 압압되어 접점 중앙부 (18c) 를 하방으로 압하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제 2 가동 접점 (18) 이 하방으로 압압됨으로써, 제 1 가동 접점 (17) 의 돔부 (17d) 가 하방으로 반전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가동 접점 (17) 의 접점 영역 (17r) 의 하면이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의 접촉부 (15 : 15a, 15b) 와 접촉함과 함께,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의 접촉부 (25 : 25a, 25b) 와도 접촉한다. 이로 인해, 제 1 가동 접점 (17) 과 제 2 가동 접점 (18) 을 도통 경로로 하여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와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가 도통되어서, 1 단째의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된다. 또한,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의 접촉부 (15 : 15a, 15b) 와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의 접촉부 (25 : 25a, 25b) 가, 3 지점의 위치에 대략 균등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가동 접점 (17) 이 복수의 접촉부 (15, 25) 에 의해 양호한 밸런스로 균등하게 지지되게 된다.
다음으로, 이 상태로부터, 추가로 키탑이 압압 조작되면, 제 2 가동 접점 (18) 의 접점 중앙부 (18c) 가 더욱 하방으로 압하되어, 돔부 (18d) 가 반전 동작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도 8(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가동 접점 (18) 의 접점 중앙부 (18c) 의 하면이 중앙 고정 접점부 (12) 의 볼록부 (12t) 와 접촉하여, 제 1 가동 접점 (17) 을 개재하여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와 중앙 고정 접점부 (12) 가 도통되어서, 2 단째의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된다. 제 2 가동 접점 (18) 의 돔부 (18d) 가 반전 동작할 때에, 대략 균등 배치된 복수의 접촉부 (15, 25) 에 의해 지지된 제 1 가동 접점 (17) 이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가동 접점 (18) 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제 2 가동 접점 (18) 의 반전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키탑으로 필름 (16) 의 조작부 (16s) 를 압압하면, 제 1 가동 접점 (17) 이 반전 동작하여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에 접촉함으로써, 1 단째의 스위치의 온과 함께, 클릭감이 발생하고, 추가로 압압 조작되는 것에 의해, 제 2 가동 접점 (18) 이 반전하여 중앙 고정 접점부 (12) 와 접촉함으로써, 2 단째의 스위치의 온과 함께, 클릭감이 발생하게 되어, 2 단 동작의 푸시 스위치 (1) 가 얻어지는 것이 된다.
이 상태로부터, 키탑으로의 압압력을 해제하면, 제 1 가동 접점 (17) 의 돔부 (17d) 및 제 2 가동 접점 (18) 의 돔부 (18d) 가,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 복귀 동작하여 비압압 조작 상태로 복귀함과 함께, 이 때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키탑이 상방으로 압압되어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된다. 이 때, 제 1 가동 접점 (17) 의 돔부 (17d) 및 제 2 가동 접점 (18) 의 돔부 (18d) 가 복귀하는 것에 수반하여, 접점 중앙부 (18c) 와 볼록부 (12t) 가 이간하여, 제 1 가동 접점 (17) 의 접점 영역 (17r) 의 하면과 접촉부 (15, 25) 가 이간하는 것이 되고, 1 단째와 2 단째의 스위치는 각각 오프 상태가 된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 (1) 는,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의 접촉부 (15) 및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의 접촉부 (25) 가, 제 1 가동 접점 (17) 에 대하여 대략 3 점 지지 가능한 3 지점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압 조작에 의해 제 1 가동 접점 (17) 이 반전 동작하였을 때에, 제 1 가동 접점 (17) 이 복수의 접촉부 (15, 25) 에 의해 대략 3 점 지지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추가적인 압압 조작에 의해, 제 2 가동 접점 (18) 이 반전 동작할 때에, 도 11 의 제 1 가동 접점 (930) 이 2 지점에서 지지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가동 접점 (17) 이 안정적으로 제 2 가동 접점 (18) 을 지지할 수 있어, 제 2 가동 접점 (18) 의 반전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작 감촉이 양호하며 안정적으로 얻어지는 2 단 동작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3 지점의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접촉부 (15, 25) 는, 중앙 고정 접점부의 중앙부 (12c) 를 중심으로 하여, 동심적으로 대략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압 조작에 의해 제 1 가동 접점 (17) 이 반전 동작하였을 때에, 제 1 가동 접점 (17) 이 3 지점의 위치에 대략 균등 배치된 복수의 접촉부 (15, 25) 에 의해, 양호한 밸런스로 균등하게 지지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추가적인 압압 조작에 의해, 제 2 가동 접점 (18) 이 반전 동작할 때에, 도 11 의 제 1 가동 접점 (930) 이 2 지점에서 지지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가동 접점 (17) 이 안정적으로 제 2 가동 접점 (18) 을 지지할 수 있어, 제 2 가동 접점 (18) 의 반전 동작을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3) 및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4) 를 누르는 누름 지그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 (11k) 가, 복수의 접촉부 (15, 25) 와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접촉부 (15, 25) 를 누름 지그로 누르면서 케이싱체 (11) 를 성형할 수 있어, 복수의 접촉부 (15, 25) 의 접촉하는 면 (15p) 의 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가동 접점 (17) 은, 높이가 일정해진 복수의 접촉부 (15, 25) 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추가적인 압압 조작에 의해, 제 2 가동 접점 (18) 이 반전 동작할 때에, 제 1 가동 접점 (17) 이 안정적으로 제 2 가동 접점 (18) 을 지지할 수 있어, 제 2 가동 접점 (18) 의 반전 동작을 보다 더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다리부 (17f) 의 각도 (θ1) 가 15°이상이면, 제 1 가동 접점 (17) 의 동작 스트로크가 충분히 얻어져, 제 1 가동 접점 (17) 의 반전 동작이 안정적으로 얻어진다. 또한, 복수의 다리부 (17f) 의 각도 (θ1) 가 20°이하이면, 복수의 다리부 (17f) 의 선단이 케이싱체 (11) 의 장착면 (11p) 에 파고드는 양이 억제되어, 복수의 다리부 (17f) 가 접한 케이싱체 (11) 의 장착면 (11p) 이 깎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가동 접점 (17) 의 반전 동작이 안정적으로 얻어지는 데다가, 깎임 가루에 의한 절연 불량이나 장착면 (11p) 이 깎인 것에 따른 반전 동작에 대한 악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 푸시 스위치의 장수명화가 도모된다.
또한, 복수의 다리부 (17f) 는, 돔부 (17d) 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평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다리부가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달리, 복수의 다리부 (17f) 의 부분에서 반전 동작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압압 조작에 의해 제 1 가동 접점 (17) 이 반전 동작할 때에, 제 1 가동 접점 (17) 의 반전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들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변형예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가동 접점 (18) 은 단순한 돔 형상이었지만,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돔부 (28d) 의 정상부 부분에 오목 형상의 돌기부 (28a) 를 형성한 제 2 가동 접점 (28) 이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압압 조작시에 압압 위치나 압압 각도가 다소 어긋난 경우에도, 오목 형상의 돌기부 (28a) 전체로 돔부 (28d) 의 정상부 부분을 압압하게 되기 때문에, 확실하게 압압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오목 형상 부분에 대응한 볼록 부분을 가진 키탑을 사용한 경우, 오목 형상 부분과 볼록 부분이 겹쳐,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확실하게 압압 조작을 실시할 수도 있다.
<변형예 2>
또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의 제 2 가동 접점 (18) 과 필름 (16) 사이에, 소형의 스페이서 (56) 를 삽입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압압 조작시에 압압 위치나 압압 각도가 다소 어긋난 경우에도, 소형의 스페이서 (56) 전체로 돔부 (18d) 의 정상부 부분을 압압하게 되기 때문에, 확실하게 압압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변형예 3>
또한, 필름 (16) 을, 편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가요성을 갖는 합성 수지제의 시트로 해도 된다. 단, 제 2 가동 접점 (18) 의 돔 형상의 돔부 (18d) 가 압압 조작에 의해 반전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반전 동작에 추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가동 접점 (18) 의 고정이 확실한 것이 된다.
<변형예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가동 접점 (17) 의 다리부 (17f) 는, 4 지점에 형성하도록 구성하였지만, 다리부 (17f) 의 수를 바꾸어도 된다. 제 1 가동 접점 (17) 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면, 예를 들어 6 지점으로 증가시키거나, 3 지점, 5 지점이라는 홀수 지점으로 형성하는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 푸시 스위치
11 : 케이싱체
11k : 개구부
11p : 장착면
11S : 수납부
12 : 중앙 고정 접점부
12c : 중앙 고정 접점부의 중앙부
13 :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14 :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
15, 15a, 15b, 25, 25a, 25b : 접촉부
15p, 25p : 접촉하는 면
15r, 25r : 뒤쪽 면
17 : 제 1 가동 접점
17d : 돔부
17f : 다리부
17h : 구멍부
18, 28 : 제 2 가동 접점
18d, 28d : 돔부

Claims (7)

  1. 수납부를 갖는 케이싱체와, 상기 수납부 내에 배치된 중앙 고정 접점부와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와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와, 압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하고, 복수의 다리부와 중앙에 구멍부를 갖는 돔 형상의 돔부를 가져, 상기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와 상기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에 접촉하는 제 1 가동 접점과, 압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하고, 돔 형상의 돔부를 갖고, 상기 제 1 가동 접점의 구멍부를 덮도록 상기 제 1 가동 접점 상에 재치되어, 상기 중앙 고정 접점부와 접리 가능한 제 2 가동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접촉부를 갖고,
    복수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 1 가동 접점에 대하여 3 점 지지 가능한 3 지점의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가동 접점이 상기 압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하였을 때에, 접촉 가능하도록 대향하여 배치됨과 함께, 상기 제 1 가동 접점과 접하는 면인, 상기 접촉부의 접촉하는 면은, 각각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 지점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접촉부는, 상기 중앙 고정 접점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동심적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의 상기 적어도 2 개 이상의 접촉부는, 상기 3 지점의 위치 중, 2 지점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의 상기 적어도 1 개 이상의 접촉부는, 상기 3 지점의 위치 중, 나머지 1 지점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의 상기 제 1 가동 접점과의 접촉하는 면의 뒤쪽 면에 대향한 상기 케이싱체의 일부분에, 상기 케이싱체를 성형할 때에 상기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및 상기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를 누르는 누름 지그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상기 복수의 접촉부와 대향하도록 적어도 3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의 상기 제 1 가동 접점과의 접촉하는 면의 뒤쪽 면에 대향한 상기 케이싱체의 일부분에, 상기 케이싱체를 성형할 때에 상기 제 1 주변 고정 접점부 및 상기 제 2 주변 고정 접점부를 누르는 누름 지그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상기 복수의 접촉부와 대향하도록 적어도 3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 접점을 상기 케이싱체의 상기 수납부 내에 장착하였을 때에, 상기 제 1 가동 접점의 상기 복수의 다리부는, 상기 복수의 다리부가 접한 상기 케이싱체의 장착면에 대하여, 15°이상 20°이하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 접점의 상기 복수의 다리부는, 상기 돔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평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 접점의 상기 복수의 다리부는, 상기 돔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평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KR1020110061768A 2010-09-17 2011-06-24 푸시 스위치 KR101250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09765 2010-09-17
JP2010209765A JP5111580B2 (ja) 2010-09-17 2010-09-17 プッシュ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989A KR20120029989A (ko) 2012-03-27
KR101250594B1 true KR101250594B1 (ko) 2013-04-03

Family

ID=45944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768A KR101250594B1 (ko) 2010-09-17 2011-06-24 푸시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11580B2 (ko)
KR (1) KR101250594B1 (ko)
CN (1) CN1024200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3072B2 (en) 2013-04-26 2017-10-17 Citizen Electronics Co., Ltd. Push switch and switch module
JP6689284B2 (ja) * 2015-09-30 2020-04-28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WO2017115415A1 (ja) * 2015-12-28 2017-07-06 株式会社カタログハウス 握力検出機構及び該握力検出機構を備える運動具並びに該運動具の使用方法
CN106298361A (zh) * 2016-10-10 2017-01-04 黄思亮 一种垂直运动的风压开关
JP2023032929A (ja) * 2021-08-27 2023-03-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0273A (ja) * 1999-10-06 2001-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8041603A (ja) * 2006-08-10 2008-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517A (ja) * 1984-07-09 1986-01-31 東光株式会社 スイツチ筐体の成形方法
JP2002343184A (ja) * 2001-05-10 2002-11-29 Alps Electric Co Ltd 押釦スイッチ
JP5083057B2 (ja) * 2008-06-13 2012-11-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0273A (ja) * 1999-10-06 2001-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8041603A (ja) * 2006-08-10 2008-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11580B2 (ja) 2013-01-09
CN102420064B (zh) 2015-01-21
KR20120029989A (ko) 2012-03-27
JP2012064530A (ja) 2012-03-29
CN102420064A (zh)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594B1 (ko) 푸시 스위치
US6936777B1 (en) Two-step switch
US7429707B2 (en) Push switch
JP2014099398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7129435B2 (en) Movable contact element and panel switch using the same
US8022326B2 (en) Push switch
TWI616916B (zh) 按鈕開關以及可動接點構件
KR102017435B1 (ko) 푸시 스위치
JP3178218U (ja) クリックバネとそのクリックバネを用いたプッシュスイッチ
US7057128B1 (en) Push-on switch
US6423911B2 (en) 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capable of being operated in both depressing direction and tilting direction
US11295908B2 (en) Electrical tactile switch with axial positioning of the actuating section of the deformable actuator
CN103928241B (zh) 控制机构及应用该控制机构的电子装置
US8546708B2 (en) Electrical switch with a tactile effect and a dual action
EP2515315B1 (en) Movable contact member and switch device using movable contact member
CN102403145A (zh) 按键结构及具有该按键结构的电子装置
JP2022043622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1350581A (ja) 入力装置
JP4418378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JP7369206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の押圧機構、及び、プッシュスイッチ
US20240087825A1 (en) Pressing operation body and switch device
JP2013225426A (ja) 基板のスイッチ構造
JP2003151404A (ja) 多方向入力装置
KR20080074040A (ko) 스위치 장치
CN115458355A (zh) 按键结构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