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022B1 - 감압 밸브 - Google Patents

감압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022B1
KR101250022B1 KR1020117020314A KR20117020314A KR101250022B1 KR 101250022 B1 KR101250022 B1 KR 101250022B1 KR 1020117020314 A KR1020117020314 A KR 1020117020314A KR 20117020314 A KR20117020314 A KR 20117020314A KR 101250022 B1 KR101250022 B1 KR 101250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iaphragm
chamber
back pressure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0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155A (ko
Inventor
히로아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게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게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게힌
Publication of KR20110122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 G05D16/063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 G05D16/064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 G05D16/0655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using one spring-loaded membran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16K17/22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 F16K17/24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 F16K17/28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operat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K17/30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operating in one direction only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with a mechanism, other than pulling-or pushing-rod, between fluid motor and closure member
    • F16K31/16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with a mechanism, other than pulling-or pushing-rod, between fluid motor and closure member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9/00Means in or on valves for heating or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Safety Valve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밸브 하우징과의 사이에 환상의 시일 부재가 개재된 상태로 밸브체가 밸브 하우징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배압실이 밸브 시트와는 반대측의 밸브체의 단부를 향하여 밸브 하우징 내에 형성되고, 밸브 시트보다 하류측의 유체압이 배압실에 도입되며, 밸브체에, 밸브 시트보다 하류측의 유체압에 따라서 작동하는 압력 수동 부재가 연결되는 감압 밸브로서, 밸브체(34)에 동축으로 마련된 가이드부(34c)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도록, 시일 부재(35)에 의한 밸브체(34)의 시일 직경보다 소직경인 가이드 구멍(31)이 밸브 하우징에 마련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시트 직경이 커지더라도, 밸브체의 미끄럼 이동부의 길이를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감압 밸브{PRESSURE REDUCING VALVE}
본 발명은, 고압의 유체가 도입되는 밸브실을 향하는 밸브 시트에 안착될 수 있는 밸브체가, 밸브 하우징과의 사이에 환상의 시일 부재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밸브 하우징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상기 밸브실과의 사이가 상기 시일 부재에 의해 격절된 배압실이 상기 밸브 시트와 반대측의 상기 밸브체의 단부를 향하여 상기 밸브 하우징 내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 시트보다 하류측의 유체압이 상기 배압실에 도입되며, 상기 밸브체에, 상기 밸브 시트보다 하류측의 유체압에 따라서 작동하는 압력 수동 부재가 연결되는 감압 밸브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감압 밸브에 있어서는, 밸브 시트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사이에서 생기는 압력차에 의해서, 밸브체에 축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여기서 감압 밸브에 공급되는 유체압이 항상 일정하면 상기 압력차에 의해서 밸브체에 작용하는 힘이 일정하게 되어, 감압 후의 유체압을 일정압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탱크에 저류된 유체를 감압 밸브에 공급하는 경우에는, 탱크 내의 유체 잔량에 의해서 감압 밸브로의 유체 공급압이 변동하게 된다. 이 경우에, 탱크 내의 유체 잔량(유체 공급압)의 변동에 의해서 밸브 시트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사이에서 생기는 압력차도 변동되어, 밸브체에 작용하는 힘이 변동하여, 감압 후의 유체압도 변동하게 된다. 따라서 밸브실을 향하는 밸브 시트에 안착될 수 있는 밸브체의 밸브 시트와는 반대측의 단부를, 밸브 시트보다 하류측의 유체압이 도입되는 배압실을 향하게 하고, 상기 밸브실과 배압실 사이를 격절하는 환상의 시일 부재를 밸브 하우징과 밸브체 사이에 개재시킴으로써, 유체압에 의해서 밸브체에 작용하는 축방향의 힘을 균형을 이루도록 한 CNG용 감압 밸브가 특허문헌 1 등에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27859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에서는, 밸브체의 밸브축이 밸브 하우징에 마련된 가이드 구멍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밸브실과 배압실 사이를 이격시키는 환상의 시일 부재가 상기 밸브축의 외면과 가이드 구멍의 내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그런데 밸브체에 작용하는 축방향의 힘을 균형을 이루게 하기 위해서는, 밸브체와 밸브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시일 부재에 의한 시일 직경과, 밸브체가 밸브 시트에 착좌했을 때의 시트 직경이 거의 동일한 것이 요구되며,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에서도, 시일 부재에 의한 시일 직경과 시트 직경이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CNG용의 감압 밸브에서는, 상기 특허문헌 1에서 개시된 구성이라도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CNG와 비교해서 저압인 LPG 연료를 감압하는 감압 밸브에서는, 감압 후의 LPG 연료를 필요량 확보하기 위해서 밸브 시트의 직경, 즉 시트 직경을 크게 설정해야 한다. 이 경우, 시일 직경도 마찬가지로 크게 설정해야 하지만, 밸브체의 쓰러짐 및 긁힘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밸브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구멍의 직경인 가이드 직경과, 밸브체의 미끄럼 이동부의 길이의 비(미끄럼 이동부의 길이/가이드 직경)를, 어떤 일정한 값 이상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특허문헌 1의 개시 구조를 그대로 적용하면, 시트 직경이 커지는 데 따라서 가이드 직경이 커지기 때문에, 미끄럼 이동부의 길이도 크게 할 필요가 있어, 감압 밸브의 대형화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시트 직경이 커지더라도, 밸브체의 미끄럼 이동부의 길이를 작게 설정할 수 있게 하여,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 감압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고압의 유체가 도입되는 밸브실을 향하는 밸브 시트에 안착될 수 있는 밸브체가, 밸브 하우징과의 사이에 환상의 시일 부재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밸브 하우징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상기 밸브실과의 사이가 상기 시일 부재에 의해 격절된 배압실이 상기 밸브 시트와 반대측의 상기 밸브체의 단부를 향하여 상기 밸브 하우징 안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 시트보다 하류측의 유체압이 상기 배압실에 도입되며, 상기 밸브체에, 상기 밸브 시트보다 하류측의 유체압에 따라서 작동하는 압력 수동 부재가 연결되는 감압 밸브로서, 상기 밸브체에 동축으로 마련된 가이드부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도록, 상기 시일 부재에 의한 상기 밸브체의 시일 직경보다 소직경인 가이드 구멍이 상기 밸브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을 제1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밸브실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폐색단으로 하여 바닥이 있게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 구멍과, 이 가이드 구멍보다 대직경으로 가이드 구멍의 개구단에 환상 단차부를 매개로 연속해 있는 수용 구멍이 동축으로 상기 밸브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환상 단차부와의 사이에 대직경 배압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용 구멍의 내면과의 사이에 상기 시일 부재를 개재시킨 상태로 상기 수용 구멍에 수용되는 대직경부와, 상기 가이드 구멍의 폐색단과의 사이에 소직경 배압실을 형성하면서 상기 가이드 구멍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대직경 배압실 및 소직경 배압실에 상기 밸브 시트보다 하류측의 유체압이 도입되는 것을 제2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2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밸브 시트보다 하류측의 유체압을 상기 대직경 배압실에 도입하기 위한 배압 도입 통로가 상기 밸브 하우징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외면 또는 상기 가이드 구멍의 내면에, 상기 대직경 배압실과 상기 소직경 배압실 사이를 연결하는 연통로를 상기 가이드부의 외면과 상기 가이드 구멍의 내면 사이에 형성하는 절결부가 마련되는 것을 제3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2 또는 제3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밸브체의 대직경부의 외면 또는 상기 수용 구멍의 내면에 장착되는 O링인 것을 제4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4 특징의 구성 중 어느 것에 더하여, 상기 유체가 LPG 연료인 것을 제5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형태의 다이어프램(16)이 본 발명의 압력 수동 부재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시일 부재에 의한 상기 밸브체의 시일 직경보다 소직경인 가이드 구멍이, 상기 밸브체에 동축으로 마련된 가이드부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도록 하여 상기 밸브 하우징에 마련되기 때문에, 밸브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구멍의 직경인 가이드 직경과, 밸브체의 미끄럼 이동부의 길이의 비(미끄럼 이동부의 길이/가이드 직경)를 확보하여 밸브체의 쓰러짐 및 긁힘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도, 밸브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구멍이 소직경이기 때문에, 미끄럼 이동부의 길이를 짧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감압 밸브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밸브체의 대직경부를 수용 구멍에 수용하면서 수용 구멍의 환상 단차부와 대직경부 사이에 대직경 배압실을 형성하고, 가이드 구멍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가이드부와 가이드 구멍의 폐색단 사이에 소직경 배압실을 형성하도록 하여, 배압실 전체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가이드부의 외면 또는 가이드 구멍의 내면에 절결부가 마련되기만 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소직경 배압실에, 밸브 시트보다 하류측의 유체압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르면, 밸브체는, 그 대직경부의 외면 또는 수용 구멍의 내면에 장착되는 O링에 의해서도 가이드되고, O링과 가이드 구멍이, 사이에 대직경 배압실이 개재된 상태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체의 쓰러짐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르면, 시트 직경을 크게 설정해야 하는 LPG 연료용 감압 밸브에서도 가이드부를 작게 하여, 감압 밸브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LPG 연료용 감압 밸브의 종단면도로서, 도 2의 1-1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
도 2는 도 1의 2-2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
도 3은 도 1의 화살표 3의 부분의 확대도이다. (제1 실시예)
도 4는 가스 통로 커버 및 보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
도 5는 도 1의 5-5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
도 6은 가열 유체 통로 구조를 도시하기 위하여 가열 유체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보디의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
도 7은 가스 통로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보디의 정면도이다. (제1 실시예)
도 8은 다이어프램 및 밸브 축부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도 1의 화살표 8 부분의 확대도이다. (제1 실시예)
도 9는 다이어프램 조립체의 조립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
도 10은 조립 시의 상태에서의 LPG 연료용 감압 밸브의 분해 종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
부호의 설명
16···압력 수동 부재인 다이어프램 21···밸브 하우징
25···밸브 시트 30···밸브실
31···가이드 구멍 32···수용 구멍
33···환상 단차부 34···밸브체
34 a···대직경부 34 c···가이드부
35···시일 부재인 O링 55···대직경 배압실
56···소직경 배압실 57···배압 도입 통로
58···연통로 59···절결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해서 설명하면, 우선 도 1에 있어서, LPG 연료용 감압 밸브는, LPG 연료를 감압하여 엔진(도시하지 않음)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밸브 기구(15)와, 이 밸브 기구(15)를 개폐 구동하기 위한 다이어프램(16)을 구비한다.
밸브 기구(15)는 보디(17)에 수용되는 것으로, 보디(17)와, 이 보디(17)의 일면에 체결되는 가스 통로 커버(18)와, 상기 보디(17)의 다른 면에 체결되는 가열 유체 통로 커버(19)와, 상기 보디(17)에 나사 결합되는 밸브 시트 부재(20)에 의해 밸브 하우징(21)이 구성되고, 보디(17), 가스 통로 커버(18) 및 가열 유체 통로 커버(19)는 복수 개의 볼트(22…) 및 너트(23…)에 의해 함께 체결된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보디(17)는, 링형으로 형성되는 외주링부(17a)와, 외주링부(17a)의 일단면보다 내측에 일단이 배치되도록 보디(17)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중앙 원통부(17b)와, 외주링부(17a)의 일단면보다 내측에 일단이 배치되도록 외주링부(17a)와 중앙 원통부(17b)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원통부(17c)와, 이 중간 원통부(17c)의 일단과 상기 외주링부(17a)의 중간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환상 연결판부(17d)와, 상기 중간 원통부(17c)의 타단과 상기 중앙 원통부(17b)의 타단 사이를 연결하는 제2 환상 연결판부(17e)를 일체로 구비하고, 중간 원통부(17c)는, 그 일단측을 향할수록 대직경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밸브 시트 부재(20)는, 일단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20a)를 갖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20a)의 중앙에, 밸브 구멍(24)이 중앙부에 개구된 환상의 밸브 시트(25)가 형성된다. 상기 중앙 원통부(17b)에는, 보디(17)의 일면측에 일단이 개구되고 바닥이 있는 밸브실 형성 구멍(26)이 동축으로 마련되고, 밸브 시트 부재(20)는, 상기 밸브실 형성 구멍(26)의 일단측에 마련되는 나사 구멍부(27)에 나사 결합하도록 상기 밸브실 형성 구멍(26)의 개구단측에 끼워 넣어져 고정되고, 밸브 시트 부재(20)의 타단부 외주에는 중앙 원통부(17b)의 내주에 탄발적으로 접촉하는 O링(28)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원통부(17b) 내에는, 상기 밸브 시트 부재(20)의 내주 및 중앙 원통부(17b)의 내주에 의해 외주가 규정되도록 밸브실(30)이 형성되고, 밸브 시트(25)는 밸브실(30)의 일단을 향하여 배치된다. 아울러, 밸브실(30)은, 밸브 시트(25)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밸브 구멍(24)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원의 측면을 따르도록 밸브 하우징(21) 내에 형성된다.
상기 중앙 원통부(17b) 내에는, 일단부가 상기 밸브 시트(25)보다 내측에 간격을 둔 위치에 배치되도록 소직경 원통부(17f)가 동축으로 배치되고, 이 소직경 원통부(17f)는 중앙 원통부(17b)의 타단에 일체로 연달아 설치된다. 이 소직경 원통부(17f)에는, 상기 밸브실(30)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폐색단으로 하여 바닥이 있게 형성되는 가이드 구멍(31)과, 이 가이드 구멍(31)보다 대직경으로 가이드 구멍(31)의 개구단에 환상 단차부(33)를 통해 연속해 있는 수용 구멍(32)이 동축으로 마련된다.
상기 밸브 시트(25)에 안착될 수 있는 밸브체(34)는, 일단을 상기 밸브 시트(25)에 안착시켜 얻은 원통형의 시트 부재와, 이 시트 부재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축 부재가 동축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수용 구멍(32)에 수용되는 대직경부(34a)와, 대직경부(34a)보다 소직경으로 대직경부(34a)의 일단으로부터 동축으로 돌출하여 상기 밸브 구멍(24)을 관통하는 밸브 축부(34b)와, 대직경부(34a)보다 소직경으로 대직경부(34a)의 타단으로부터 동축으로 돌출하여 상기 가이드 구멍(31)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가이드부(34c)를 갖도록 구성된다.
도 3에 있어서, 밸브체(34)의 대직경부(34a)의 외면 및 상기 수용 구멍(32)의 내면 사이에는, 대직경부(34a)의 외면 또는 수용 구멍(32)의 내면에 장착되도록 환상의 시일 부재인 O링(35)이 개재되어 있으며, 이 실시예 1에서는, 대직경부(34a)의 외주에 탄발적으로 미끄럼 접촉하는 O링(35)이 상기 수용 구멍(32)의 내면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이드부(34c)의 외경 및 가이드 구멍(31)의 내경(D1)은, 상기 O링(35)에 의한 시일 직경(D2)보다 소직경이며, 상기 시일 직경(D2)은, 상기 밸브 시트(25)에 의한 시트 직경(D3)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된다.
또한 밸브체(34)는, 후술하는 연결 구조에 의해 다이어프램(16)에 연결되고, 다이어프램(16)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이지만, 다이어프램(16)의 작동에 대한 밸브체(34)의 추종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밸브체(34)의 대직경부(34a)와, 보디(17)에 있어서의 환상 단차부(33)의 사이에는, 밸브체(34)를 상기 다이어프램(16) 측으로 압박하는 코일형의 스프링(53)이 수축 상태로 설치되고, 이 스프링(53)의 세트 하중은, 밸브체(34)를 다이어프램(16)에 추종시킬 정도의 극히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상기 보디(17)의 측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탱크로부터 LPG 연료를 유도하는 관로(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는 입구측 접속 관로 부재(36)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보디(17)의 외주부에는, 상기 입구측 접속 관로 부재(36)에 일단이 연속하는 입구 통로(37)가 대략 직선형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이 입구 통로(37)의 타단은, 상기 보디(17)의 측면에 부착된 차단 밸브(38)를 통해 가스 도입 통로(39)에 접속되며, 이 가스 도입 통로(39)는, 감압할 LPG 연료를 밸브실(30)에 도입할 수 있도록, 차단 밸브(38)와 밸브실(30) 사이를 연결하여 직선형으로 연장되도록 보디(17)에 마련된다.
그런데 상기 밸브실(30)은, 측면이 밸브 구멍(24)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원을 따르도록 밸브 하우징(21) 내에 형성되며, 상기 가스 도입 통로(39)는, 상기 가상원의 접선 방향으로 밸브실(30)에 개구하도록 보디(17)에 마련되며, 가스 도입 통로(39)의 밸브실(30)로의 개구단은, 밸브 시트(25)로부터 축방향으로 격리된 위치에 배치된다.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보디(17)에 있어서의 중앙 원통부(17b)의 외면 및 중간 원통부(17c)의 내면에는, 각각 복수의 핀(40…, 41…)이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중앙 원통부(17b)의 외면, 중간 원통부(17c)의 내면 및 각 핀(40…, 41…)에 의해서 보디(17)의 일면측으로 개구되는 가스 통로 홈(42)이 형성되고, 이 가스 통로 홈(42)이 가스 통로 커버(18)로 덮이는 것에 의해 상기 밸브 기구(15)를 주위로부터 덮는 가스 통로(43)가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핀(40…, 41…)에 의해 가스 통로(43)는 굴곡된 미로형으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핀(40…, 41…)은, 가스 통로 홈(42)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벽면, 즉 중앙 원통부(17b)의 외벽면 및 중간 원통부(17c)의 내벽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지만, 가스 통로(43)의 시점(PS)으로부터 종점(PE)까지의 LPG 연료의 주 유동 방향(44)에 대하여 상류측을 지향하도록 경사지면서 상기 주 유동 방향(44)으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중앙 원통부(17b)의 외벽면 및 중간 원통부(17c)의 내벽면에 돌출 설치된다.
아울러, 각 핀(40…, 41…)의 기단부는, 굴곡부(40a…, 41a…)를 갖고 상기 중앙 원통부(17b)의 외벽면 및 중간 원통부(17c)의 내벽면에 돌출 설치되며, 이에 따라, 각 핀(40…, 41…)의 기단부는 선단부에 비하여 굵어지도록 상기 중앙 원통부(17b)의 외벽면 및 중간 원통부(17c)의 내벽면에 일체로 연달아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스 통로 홈(42)은, 그 가스 통로 홈(42)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 즉 중앙 원통부(17b)의 외벽 및 중간 원통부(17c)의 내벽 사이의 간격이 상기 가스 통로 커버(18) 측을 향할수록 커지도록 경사지게 상기 보디(17)에 설치되고, LPG 연료용 감압 밸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기구(15)의 축선을 수평으로 한 자세로 차량에 탑재된다.
그런데 상기 가스 통로 커버(18)는, 상기 보디(17)의 외주링부(17a)의 일면과의 사이에 환상의 시일 부재(45)가 개재되는 링형의 외주 평판부(18a)와, 상기 외주링부(17a)에 끼워 맞춰지도록 일단부가 외주 평판부(18a)의 내주 모서리에 연속해 있는 외측 원통부(18b)와, 상기 보디(17)의 제1 환상 연결판부(17d)에 근접 대향하도록 외측 원통부(18b)의 타단에 외주가 연속해 있는 링형의 중간 평판부(18c)와, 이 중간 평판부(18c)의 내주에 일단이 연속하고 상기 보디(17)에 있어서의 중앙 원통부(17b)의 일단이 끼워 넣어지는 내측 원통부(18d)와, 상기 중앙 원통부(17b)의 일단에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상기 내측 원통부(18d)의 타단에 연속해 있는 원판형의 중간 평판부(18e)를 일체로 갖는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스 통로 커버(18)에는, 가스 통로 홈(42)의 내벽, 즉 상기 중앙 원통부(17b)의 외벽면 및 중간 원통부(17c)의 내벽면을 따르도록 가스 통로 홈(42) 내에 돌입하는 돌출벽(46)이, 상기 중간 평판부(18c)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일체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스 통로 커버(18)는 형 성형되며, 이러한 형 성형 시에 상기 돌출벽(46)이 일체 성형된다.
상기 가스 통로 커버(18)의 중앙 평판부(18e)와 상기 보디(17)의 중앙 원통부(17b) 사이에는, 상기 밸브 구멍(24)에 통하는 감압실(4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감압실(48)을 상기 가스 통로(43)에 통하게 하기 위한 연통로(49)를, 가스 통로 커버(18)와 상기 중앙 원통부(17b) 사이에 형성하기 위한 절결부(50)가, 상기 중앙 원통부(17b)의 일단부 외주에 마련된다. 즉 상기 가스 통로(43)의 시점(PS)은, 상기 연통로(49)의 가스 통로(43)로의 개구단이다.
감압된 후의 LPG 연료를 엔진측으로 유도하는 관로(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하는 출구측 접속 관로 부재(51)가, 상기 가스 통로(43)의 주위 방향으로 상기 연통로(49)에 대략 대응하여 설정되는 종점(PE)에서 상기 가스 통로(43)에 연속해 있도록 상기 보디(17)의 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종점(PE)에 근접한 위치에서 보디(17)의 측면에는 릴리프 밸브(52)가 부착된다.
그런데 밸브체(34)의 대직경부(34a)와, 이 대직경부(34a)가 수용된 수용 구멍(32)의 내측단의 환상 단차부(33)의 사이에서 상기 중앙 원통부(17b) 내에는 대직경 배압실(5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 시트(25)보다 하류측의 LPG 연료압을 상기 대직경 배압실(55)에 도입하기 위한 배압 도입 통로(57)가 밸브 하우징(21)의 보디(17)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구멍(31)의 폐색단과 상기 가이드부(34c)의 사이에 소직경 배압실(56)이 형성되어 있지만, 도 5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34c)의 외면 또는 상기 가이드 구멍(31)의 내면에, 상기 대직경 배압실(55)과 상기 소직경 배압실(56) 사이를 연결하는 연통로(58)를, 상기 가이드부(34c)의 외면과 상기 가이드 구멍(31)의 내면 사이에 형성하는 절결부(59)가 마련되고, 이 실시예 1에서는, 대직경 배압실(55)과 소직경 배압실(56) 사이를 연결하는 연통로(58)를 가이드 구멍(31)의 내면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절결부(59)가,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이드부(34c)의 외면에 마련된다.
상기 밸브 기구(15)에 있어서, 밸브실(30)로부터 밸브 구멍(24)측으로 유통하는 LPG 연료는 밸브 하우징(21)에 설치되는 제1 가열 수단(60)에 의해 가열되며, 이 제1 가열 수단(60)은, 상기 밸브실(30)을 둘러싸도록 밸브 하우징(21)에 마련되는 가열 유체 통로(61)를, 가열 유체, 예를 들면 엔진에 의해 따뜻해진 엔진 냉각수가 유통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가열 유체 통로(61)는, 상기 보디(17)의 다른 면에 개구하도록 상기 보디(17)에 마련되는 가열 유체 통로 홈(62)이, 보디(17)의 외주링부(17a)와의 사이에 환상의 시일 부재(63)가 개재된 상태로 보디(17)에 체결되는 가열 유체 통로 커버(19)로 덮임으로써 이루어지며, 가스 통로(43)에 있어서 핀(40…, 41…)이 돌출 설치되는 한 쌍의 벽면의 각각이 가열 유체 통로(61)로 덮이도록, 상기 가열 유체 통로 홈(62)이 형성되며, 상기 각 핀(40…, 41…) 안에도 가열 유체 통로(61)의 일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열 유체 통로(61)는, 상기 밸브실(30)을 상기 밸브 시트(25)와는 반대측으로부터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보디(17)에는, 엔진으로부터의 엔진 냉각수를 유도하는 관로(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는 입구관(64)이 가열 유체 통로(61)에 통하도록 부착되고, 가열 유체 통로(61)로부터의 엔진 냉각수를 도출하기 위한 출구관(65)이 가열 유체 통로(61)에 통하도록 부착되어 있고, 입구관(64)을 통하여 가열 유체 통로(61)에 도입된 엔진 냉각수는, 도 2의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유체 통로(61) 내를 대략 360도의 범위에 걸쳐 유통하고, 상기 출구관(65)으로부터 도출된다. 또한 상기 보디(17)에는, 가열 유체 통로(61) 내를 유통하는 엔진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 센서(66)가 부착된다.
상기 가스 통로(43)를 유통하는 LPG 연료는, 제2 가열 수단인 전기 히터(68)에 의해서도 가열되며, 이 전기 히터(68)는, 가스 통로(43)를 따르는 환상 배치로 밸브 하우징(21)에 배치되며, 이 실시예 1에서는, 가스 통로 커버(18)에 있어서, 외측 원통부(18b)와 내측 원통부(18d) 사이에 형성되어 보디(17)와는 반대측으로 개방된 환상의 오목부(69)에 수용되도록 전기 히터(68)가 가스 통로 커버(18)의 외면에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가열 유체 통로(61)는, 적어도 그 일부에서 상기 가스 통로(43)가 상기 전기 히터(68)와의 사이에 있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21)에 설치된다.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전기 히터(68)는, 복수의 PTC 소자(70…)가 전극(71…) 사이에 있도록 홀더(72)에 유지되는 것으로, 이 홀더(72)는 상기 오목부(69)에 수용된다. 이렇게 하여, 보디(17), 가스 통로 커버(18) 및 가열 유체 통로 커버(19)를 볼트(22…)와 함께 동시 체결하는 너트(23…)와 가스 통로 커버(18)의 사이에 파형 와셔(73)가 끼워져 있고, 상기 오목부(69) 내의 상기 홀더(72)에 파형 와셔(73)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홀더(72), 즉 전기 히터(68)가 가스 통로 커버(18)의 외면에 고정된다.
아울러, 복수의 상기 PTC 소자(70…)는, 가스 통로(43)를 따르도록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밸브 기구(15)의 축선 방향에서 본 때에, 전기 히터(68)의 상기 가스 통로(43)와 중첩되는 부위가 가스 통로(43)와 중첩되지 않는 부위보다 넓게 되도록 전기 히터(68)가 가스 통로 커버(18)의 외면에 배치된다.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다이어프램(16)은, 적어도 그 주연부 및 중앙부의 판 두께가 자연 상태에서는 일정한 원판형의 고무판으로 이루어지며, 이 실시예 1에서는 다이어프램(16) 전체가 자연 상태에서 판 두께가 일정한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이 다이어프램(16)의 주연부는, 상기 가스 통로 커버(18)의 중앙 평판부(18e)에 복수의 볼트(76…)에 의해 체결되는 다이어프램 플랜지(77)와, 다이어프램 플랜지(77)에 코킹 결합되는 주발형의 다이어프램 커버(78)의 사이에 유지되고, 다이어프램 플랜지(77)와 다이어프램(16) 사이에는, 상기 가스 통로 커버(18)의 중앙 평판부(18e) 및 상기 다이어프램 플랜지(77)에 마련되는 압력 도입 구멍(75)을 통해 감압실(48)의 압력이 도입되는 압력 작용실(79)이 다이어프램(16)의 일면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다이어프램(16)과 다이어프램 커버(78) 사이에는 다이어프램(16)의 다른 면을 향하는 스프링실(80)이 형성되며, 다이어프램 커버(78)와 다이어프램(16) 사이에는, 코일형의 제1 스프링(81)과, 스프링 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코일형의 제2 스프링(82)이 수축 설치된다.
다이어프램 커버(78)는, 다이어프램(16)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폐색단으로 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부(78a)와, 이 바닥이 있는 원통부(78a)의 개구단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78b)와, 이 플랜지부(78b)의 외주에 연달아 설치되고 다이어프램 플랜지(77) 측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통부(78c)를 일체로 갖도록 박육 금속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주발형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다이어프램 커버(78)의 통부(78c)는, 상기 다이어프램 플랜지(77)의 외주에 접촉하며, 이 통부(78c)의 선단부는, 상기 다이어프램 플랜지(77)의 외주에 결합되는 결합부(78d)를 형성하도록 반경 방향 내측에 코킹된다. 즉, 다이어프램(16)의 주연부를 상기 다이어프램 플랜지(77)의 외주부와 상기 플랜지부(78b) 사이에 압축하여 협지함으로써, 다이어프램 커버(78)에 있어서의 상기 통부(78c)가 다이어프램 플랜지(77)에 고정된다.
상기 다이어프램(16)의 압력 작용실(79)을 향하는 면의 중앙부에는 링형의 제1 리테이너(83)가 접촉되고, 상기 다이어프램(16)의 스프링실(80)을 향하는 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다이어프램(16)의 중앙부를 제1 리테이너(83)와의 사이에 협지하는 링형의 제2 리테이너(84)가 접촉된다.
제1 리테이너(83)는, 다이어프램 로드(85)에 일체로 설치된다. 이 다이어프램 로드(85)는, 일단이 폐쇄되고 밸브 기구(15)측의 타단이 개방된 형상의 바닥이 있는 원통부(85a)와, 이 바닥이 있는 원통부(85a)의 일단 폐색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기 제1 리테이너(83)와,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부(85a)의 일단 폐색부 중앙에 동축으로 연속해 있는 축부(85b)를 일체로 구비하며, 바닥이 있는 원통부(85a)보다 소직경인 상기 축부(85b)는, 다이어프램(16)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중심 구멍(87)에 삽입 관통된다.
도 9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실(80) 측으로 돌출한 다이어프램 로드(85)의 일단부, 즉 축부(85b)의 일단부는 코킹 지그(88)에 의해서 코킹되고, 이러한 코킹에 의해서 형성되는 결합부(89)와 다이어프램(16)의 다른 면의 사이에, 적어도 제2 리테이너(84)가 끼워지고, 이 실시예 1에서는 제2 리테이너(84) 및 스프링 받침 부재(86)가 상기 결합부(89)와 다이어프램(16) 사이에 끼워진다.
이렇게 하여, 다이어프램 로드(85)의 일단을 코킹함으로써 제1 리테이너(83)를 일체로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로드(85), 다이어프램(16), 제2 리테이너(84) 및 스프링 받침 부재(86)를 포함하는 다이어프램 조립체(90)가 구성된다.
아울러, 금속제인 제1 및 제2 리테이너(83, 84)는, 다이어프램(16)의 중앙부에 마련된 중심 구멍(87) 내에서 직접 또는 금속제의 와셔를 통해 접촉되며, 이 실시예 1에서는, 제1 리테이너(83)의 일부가 상기 중심 구멍(87) 내에 배치되어, 제2 리테이너(84)에 직접 접촉된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16)의 내주가장자리의 판 두께는 자연 상태에서는 일정하며, 제1 및 제2 리테이너(83, 84) 사이의 간격 중 최소 간격으로 되는 부분이 최대 간격으로 되는 부분보다 다이어프램(16)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제1 리테이너(83)의 다이어프램(16)을 향하는 면은, 다이어프램(16)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제2 리테이너(84)에 근접하게 각도 α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제1 리테이너(83) 및 제2 리테이너(84)의 다이어프램(16) 측의 면 중 적어도 한쪽, 이 실시예 1에서는 제1 리테이너(83)의 다이어프램(16) 측의 면에 단면 형상이 대략 V 자형인 복수의 홈(91…)이 다이어프램(16)의 일부에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다이어프램 로드(85)의 바닥이 있는 원통부(85a)는, 다이어프램 플랜지(77)의 중앙부에 마련된 관통 구멍(97)에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관통 구멍(97)의 내면에는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부(85a)의 외면에 탄발적으로 미끄럼 접촉하는 O링(98)이 장착된다. 또한 볼트(76…)에 의해 다이어프램 플랜지(77)에 부착되는 가스 통로 커버(18)의 중앙 평판부(18e)에는,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부(85a)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99)이 상기 관통 구멍(97)에 동축으로 연속해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압력 도입 구멍(75) 및 상기 관통 구멍(97)을 둘러싸도록 O링(101)이 가스 통로 커버(18)의 중앙 평판부(18e)와 다이어프램 플랜지(77) 사이에 개재된다.
도 1에 주목하면, 제1 스프링(81)은 다이어프램 커버(78)에 있어서 바닥이 있는 원통부(78a)의 폐색단과 제2 리테이너(84) 사이에 수축 설치되도록 스프링실(80)에 수용된다. 또한 바닥이 있는 원통부(78a)의 폐색단 중앙부에는 지지통(92)이 고정되어 있고, 다이어프램 커버(78)의 외측으로부터의 회전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정 나사(93)가 그 일단이 스프링실(80) 내에 돌입하면서 상기 지지통(92)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조정 나사(93)의 일단을 폐색단 중앙부에 접촉시켜 상기 지지통(92)을 덮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스프링 받침 부재(94)와, 상기 스프링 받침 부재(86)의 사이에 제2 스프링(82)이 수축 설치된다.
이렇게 하여 감압 밸브의 조립 시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이어프램(16), 상기 다이어프램(16)과의 사이에 스프링실(80)을 형성하는 다이어프램 커버(78), 상기 다이어프램(16)과의 사이에 상기 압력 작용실(79)을 형성하고 상기 다이어프램(16)의 주연부를 상기 다이어프램 커버(78)와의 사이에 협지하면서 다이어프램 커버(78)에 결합되는 다이어프램 플랜지(77), 상기 다이어프램 커버(78)와 상기 다이어프램(16)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및 제2 스프링(81, 82), 그리고 상기 다이어프램(16)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다이어프램 플랜지(77)에 삽입 관통되는 다이어프램 로드(85)를 적어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집합체(96)를 미리 준비한다. 이 실시예 1에서는, 제1 리테이너(83)를 일체로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로드(85), 다이어프램(16), 제2 리테이너(84) 및 스프링 받침 부재(86)를 포함하여 다이어프램 조립체(90)가 구성되어 있고, 다이어프램 집합체(96)는 다이어프램 조립체(9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적어도 상기 밸브 기구(15)가 상기 보디(17)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보디 집합체(100)가 준비되고, 다이어프램 플랜지(77)와 상기 보디(17), 그리고 상기 다이어프램 로드(85)와 상기 밸브 축부(34b)를 직접 혹은 다른 부재를 개재시켜 연결하도록 상기 다이어프램 집합체(96)와 상기 보디 집합체(100)를 서로 조립함으로써 감압 밸브가 조립된다. 이렇게 하여, 이 실시예 1에서는, 상기 다이어프램 집합체(96)의 다이어프램 플랜지(77)에, 전기 히터(68)가 조립된 상태의 가스 통로 커버(18)가 볼트(76…)에 의해 부착되고, 가스 통로 커버(18) 및 가열 유체 통로 커버(19)가 볼트(22…) 및 너트(23…)에 의해 보디(17)에 조립되며, 상기 밸브 기구(15)의 밸브 축부(34b)가 다이어프램 로드(85)에 동축으로 연결된다.
상기 밸브 축부(34b) 및 상기 다이어프램 로드(85) 중 한쪽, 이 실시예에서는 밸브 축부(34b)에 삽입부(103)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 축부(34b) 및 상기 다이어프램 로드(85) 중 다른 쪽, 이 실시예 1에서는 다이어프램 로드(85)에 상기 삽입부(103)가 삽입되는 바닥이 있는 삽입 구멍(104)이 마련되고, 삽입부(103)의 외주와 삽입 구멍(104)의 내주 사이의 탄발 결합부(105)에 의해 밸브 축부(34b)와 다이어프램 로드(85)가 연결된다.
상기 밸브 축부(34b)의 선단에는 T 자형의 결합부(109)가 설치되고, 이 결합부(109)에 결합되는 T 자형의 결합 홈(110)이 삽입부(103)에 마련되며, 결합부(109)를 결합 홈(110)에 결합함으로써 밸브 축부(34b)의 선단에 삽입부(103)가 설치되게 된다. 아울러 삽입부(103)는, 선단측의 소직경부(103a)와 후단측의 대직경부(103b)가 전방을 향하는 환상의 단차부(103c)를 사이에 형성하면서 동축으로 연속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삽입 구멍(104)은, 상기 다이어프램 로드(85)에 있어서 바닥이 있는 원통부(85a)에 동축으로 마련되고, 단차가 있는 상기 삽입부(103)에 대응하여 소직경 구멍부(104a) 및 대직경 구멍부(104b)가 동축으로 연속됨으로써 이루어지며, 소직경 구멍부(104a)와 대직경 구멍부(104b) 사이에, 상기 삽입부(103)의 단차부(103c)에 접촉하여 삽입부(103)의 삽입 구멍(104)으로의 삽입단을 규제하는 환상의 단차부(104c)가 형성된다.
상기 탄발 결합부(105)는, 상기 삽입부(103)에 있어서의 소직경부(103a)의 외주 및 상기 삽입 구멍(104)에 있어서의 소직경 구멍부(104a)의 내주에 각각 마련되는 링형의 결합 홈(106, 107)과, 반경 방향의 탄발적인 확장 수축이 가능하여 상기 양 결합 홈(106, 107)에 결합되는 C 형의 결합 링(108)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이 실시예 1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하면, 밸브실(30)을 향하는 밸브 시트(25)에 안착될 수 있는 밸브체(34)가, 밸브 하우징(21)의 보디(17)와의 사이에 O링(35)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보디(17)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상기 밸브실(30)과의 사이가 상기 O링(35)에 의해 격절된 대직경 배압실(55) 및 소직경 배압실(56)이 밸브체(34)의 타단측을 향하여 보디(17) 내에 형성되며, 밸브 시트(25)보다 하류측인 가스 통로(43)의 LPG 연료의 압력이 대직경 배압실(55) 및 소직경 배압실(56)에 도입되며, 상기 O링(35)에 의한 상기 밸브체(34)의 시일 직경(D2)보다 소직경인 가이드 구멍(31)은, 밸브체(34)에 동축으로 설치된 가이드부(34c)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도록 상기 보디(17)에 설치된다. 따라서 밸브체(34)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구멍(31)의 직경인 가이드 직경(D1)과, 밸브체(34)의 미끄럼 이동부의 길이의 비(미끄럼 이동부의 길이/가이드 직경)를 확보하여 밸브체(34)의 쓰러짐 및 긁힘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도, 밸브체(34)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구멍(31)이 소직경이기 때문에, 미끄럼 이동부의 길이를 짧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감압 밸브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시트 직경을 크게 설정해야 하는 LPG 연료용 감압 밸브에 있어서도 가이드부(34c)를 작게 하여 감압 밸브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밸브실(30)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폐색단으로 하여 바닥이 있게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 구멍(31)과, 이 가이드 구멍(31)보다 대직경으로 가이드 구멍(31)의 개구단에 환상 단차부(33)를 통해 연속해 있는 수용 구멍(32)이, 동축으로 상기 밸브 하우징(21)의 보디(17)에 마련되고, 상기 밸브체(34)는, 상기 환상 단차부(33)와의 사이에 대직경 배압실(55)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용 구멍(32)의 내면과의 사이에 상기 O링(35)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수용 구멍(32)에 수용되는 대직경부(34a)와, 상기 가이드 구멍(31)의 폐색단과의 사이에 소직경 배압실(56)을 형성하면서 상기 가이드 구멍(31)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가이드부(34c)를 구비하여, 대직경 배압실(55) 및 소직경 배압실(56)에 밸브 시트(25)보다 하류측인 가스 통로(43)의 LPG 연료의 압력이 도입되기 때문에, 대직경 배압실(55) 및 소직경 배압실(56)로 이루어지는 배압실 전체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가스 통로(43) 내의 LPG 연료의 압력을 상기 대직경 배압실(55)에 도입하기 위한 배압 도입 통로(57)가 밸브 하우징(21)의 보디(17)에 마련되고, 상기 대직경 배압실(55)과 상기 소직경 배압실(56) 사이를 연결하는 연통로(58)를 상기 가이드 구멍(31)의 내면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절결부(59)가 상기 가이드부(34c)의 외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가이드부(34c)의 외면에 절결부(59)가 설치될 뿐인 간단한 구조에 의해, 소직경 배압실(56)에 밸브 시트(25)보다 하류측의 유체압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런데 밸브체(34)는 그 대직경부(34a)와 보디(17)의 사이에 개재되는 O링(35)에 의해서도 가이드되고, O링(35) 및 가이드 구멍(31)이, 대직경 배압실(55)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밸브체(34)의 쓰러짐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밸브 기구(15)의 밸브실(30)은, 그 측면이 밸브 구멍(24)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원을 따르면서 밸브 하우징(21)에 형성되어 있고, 밸브실(30)로부터 밸브 구멍(24) 측으로 유통하는 가스를 가열하는 제1 가열 수단(60)이 밸브 하우징(21)에 설치되어 있으며, 감압할 LPG 연료를 밸브실(30)에 도입하는 가스 도입 통로(39)가, 상기 가상원의 접선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고 밸브 시트(25)로부터 축방향으로 격리된 위치에서 밸브실(30)에 개구되도록 밸브 하우징(21)의 보디(17)에 설치되기 때문에, 가스 도입 통로(39)로부터 밸브실(30) 내에 도입되는 LPG 연료는, 밸브실(30) 내에서 선회류를 형성하면서 밸브 구멍(24) 측으로 유통하게 되고, 선회류에 의해서 생기는 원심력에 의해 LPG 연료가 밸브실(30)의 내주면에 확실하게 접촉하면서 밸브 구멍(24) 측으로 유통하므로, 밸브실(30)의 벽면에 대한 LPG 연료의 접촉 면적을 증대하여 밸브실(30)에서의 LPG 연료로의 열전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밸브실(30)이 밸브 시트(25)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밸브실(30) 내에서의 선회류에 의해서 생기는 원심력에 의해 LPG 연료 중의 액체 성분이 밸브실(30) 내에서 벽면에 가까운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흐르고, LPG 연료의 기체 성분이 밸브실(30)의 중심측에서 집중적으로 흐르게 되어, LPG 연료의 기체 성분을 우선적으로 밸브 구멍(24) 측으로 유통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 가열 수단(60)은, 상기 밸브실(30)을 둘러싸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21)에 마련되는 가열 유체 통로(61)에 가열 유체로서의 엔진 냉각수가 유통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횡단면 원형의 밸브실(30)의 내주 벽면을 효과적으로 가열하여, 밸브실(30) 내에서의 가스로의 열전도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유체 통로(61)는, 밸브 시트(25)와 반대측에서 상기 밸브실(30)을 둘러싸는 부분을 구비하여 밸브 하우징(21)에 설치되기 때문에, 밸브실(30) 내에서의 LPG 연료로의 열전도 효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그런데 밸브 하우징(21)은, 보디(17)와, 밸브 시트(25) 및 밸브 구멍(24)을 갖고 상기 보디(17)에 고정되는 밸브 시트 부재(20)를 구비하며, 보디(17)에는 그 일면에 개구하는 바닥이 있는 밸브실 형성 구멍(26)이 마련되고, 상기 보디(17)와 협동하여 상기 밸브실(30)을 형성하는 상기 밸브 시트 부재(20)가 상기 밸브실 형성 구멍(26)의 개구단측에서 상기 보디(17)에 고정되며, 상기 밸브실 형성 구멍(26)의 측면 및 저면을 둘러싸는 가열 유체 통로 홈(62)이 상기 보디(17)의 다른 면에 개구되도록 상기 보디(17)에 마련되고, 가열 유체 통로 홈(62)의 개구단을 막아 상기 가열 유체 통로(61)를 형성하는 가열 유체 통로 커버(19)가, 보디(17)의 다른 면에 체결되기 때문에, 밸브실(30)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보디(17)에 설치되는 밸브실 형성 구멍(26)의 주위에, 가열 유체 통로(61)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밸브 하우징(21) 내에 형성되는 가스 통로(43)는, 밸브 하우징(21)의 보디(17)에 설치되는 복수의 핀(40…, 41…)에 의해 미로형으로 굴곡되지만, 가스 통로(43)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벽면, 즉 보디(17)에 있어서의 중앙 원통부(17b)의 외면 및 중간 원통부(17c)의 내면에는, 가스 통로(43)의 시점(PS)으로부터 종점(PE)까지의 LPG 연료의 주 유동 방향(44)에 대하여 상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면서 상기 주 유동 방향(44)으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각각 복수의 핀(40…, 41…)이 일체로 돌출 설치되기 때문에, 가스 통로(43)를 미로형으로 굴곡시키는 핀(40…, 41…)의 길이를 길게 하여 각 핀(40…, 41…)의 방열 면적을 넓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가스 통로(43) 내에서의 LPG 연료의 유통 경로를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LPG 연료로의 열전도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아울러 각 핀(40…, 41…)이, 가스 통로(43)의 시점(PS)으로부터 종점(PE)까지의 LPG 연료의 주 유동 방향(44)에 대하여 상류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LPG 연료 중 비중이 높은 액체 성분이 각 핀(40…, 41…)의 기단부에서 포착되기 쉽게 되어, 액체 성분을 우선적으로 가열하여 LPG 연료가 기액 혼합 상태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상기 핀(40…, 41…)의 기단부가, 이들 핀(40…, 41…)의 선단부에 비해서 굵게 되도록 보디(17)에 있어서의 중앙 원통부(17b)의 외면 및 중간 원통부(17c)의 내면에 일체로 연달아 설치되기 때문에, 냉각된 LPG 연료에 의해 핀(40…, 41…) 자체가 냉각되는 것을 억제하여, 열전도 효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가스 통로(43)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벽면 각각이 제1 가열 수단(60)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가스 통로(43)의 양측에 가열 수단(60)이 존재하게 되어, 열전도 효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가열 수단(60)은, 엔진 냉각수가 밸브 하우징(21)에 마련되는 가열 유체 통로(61)를 유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핀(40…, 41…) 안에 상기 가열 유체 통로(61)의 일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핀(40…, 41…) 안에도 엔진 냉각수가 들어가게 되어, 열전도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스 통로(43)는, 밸브 하우징(21)의 일부를 구성하는 보디(17)의 일면에 개구하도록 이 보디(17)에 마련되는 가스 통로 홈(42)이, 밸브 하우징(21)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보디(17)의 일면에 체결되는 가스 통로 커버(18)로 덮이도록 구성되며, 가열 유체 통로(61)는, 보디(17)의 다른 면에 개구하도록 이 보디(17)에 마련되는 가열 유체 통로 홈(62)이 밸브 하우징(21)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보디(17)에 체결되는 가열 유체 통로 커버(19)로 덮이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가스 통로(43) 및 가열 유체 통로(61)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밸브 하우징(21)에, LPG 연료를 감압하여 상기 가스 통로(43)에 도입하기 위한 밸브 기구(15)가 수용되고, 이 밸브 기구(15)에 의해 감압된 LPG 연료를 유통시키도록 상기 가스 통로(43)가 마련되며, 이 가스 통로(43)가 상기 밸브 기구(15)를 주위에서 덮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LPG 연료를 감압하기 위한 감압 밸브에 가열 장치를 콤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보디(17)의 일면에 개구되도록 마련되는 가스 통로 홈(42)의 개구단을 폐쇄하여 가스 통로(43)를 형성하는 가스 통로 커버(18)에, 가스 통로 홈(42)의 내벽을 따르면서 상기 가스 통로 홈(42) 내에 돌입하도록 가스 통로 커버(18)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벽(46)이 일체로 설치되기 때문에, 가스 통로 커버(18)를 보디(17)에 체결한 상태에서는, 미로형으로 굴곡된 가스 통로 홈(42) 내에, 그 가스 통로 홈(42)의 내벽을 따르는 돌출벽(46)이 돌입하게 되어, 보디(17)와 가스 통로 커버(18) 사이를 통하여 LPG 연료가 쇼트커트(shortcut)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형상의 시일 부재를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일 부재의 재료비용이 들지 않고, 또한 시일 부재의 조립 공정이 더 추가되는 일도 없다.
또한 가스 통로 커버(18)는 형 성형되며, 그 형 성형 시에 상기 돌출벽(46)이 일체 성형되기 때문에, 돌출벽(46)의 성형 비용을 저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스 통로 홈(42)을 미로형으로 굴곡시키는 복수의 핀(40…, 41…)이 상기 보디(17)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지만, 가스 통로 홈(42)을 미로형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핀(40…, 41…)과 가스 통로 커버(18) 사이를 통하여 LPG 연료가 쇼트커트되는 것을 돌출벽(46)에 의해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핀(40…, 41…)에 의해서 보디(17)와 LPG 연료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핀(40…, 41…) 원래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통로(43)를 유통하는 LPG 연료를 가열하기 위한 전기 히터(68)가 가스 통로(43)의 외측에서 가스 통로 커버(18)의 외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기 히터(68)로부터 가스 통로 커버(18)를 통해 가스 통로(43)의 LPG 연료에 열이 전달되게 되고, 돌출벽(46)에 의해서 방열 면적이 증대하기 때문에, 열전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가스 통로(43)는 밸브 기구(15)를 환상으로 둘러싸도록 밸브 하우징(21)에 설치되며, 전기 히터(68)는, 가스 통로(43)를 따라 환상 배치로 밸브 하우징(21)에 배치되기 때문에, 가스 통로(43)를 환상으로 하여 통로 길이를 길게 하면서 전기 히터(68)로부터 LPG 연료로의 열전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전기 히터(68)는, 보디(17)와의 사이에 가스 통로(43)를 형성하고 이 보디(17)에 체결되는 가스 통로 커버(18)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기 히터(68)를 가스 통로(43)에 근접시켜 배치하여 열전도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기 히터(68)가 가스 통로(43) 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가스 통로(43)의 통로 형상이 복잡하면, 이에 맞추어 전기 히터(68)의 형상도 복잡하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전기 히터(68)를 위한 시일 구조도 필요하게 되지만, 전기 히터(68)가 가스 통로 커버(18)의 외면에 배치됨으로써, 전기 히터(68)의 배치가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시일 부재도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가스 통로 커버(18)를 박판으로 형성함으로써 가스 통로(43) 내로의 열의 전달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전기 히터(68)는, 밸브 기구(15)의 축선 방향으로 본 때에 상기 가스 통로(43)와 중첩되는 부위가 중첩되지 않는 부위보다 넓게 되도록 하여, 상기 가스 통로 커버(18)의 외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기 히터(68)로부터 가스 통로(43)를 유통하는 LPG 연료로의 열전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스 통로(43)를 형성하도록 보디(17)에 설치되는 가스 통로 홈(42)은, 그 양 측벽을, 이들 측벽 사이의 간격이 가스 통로 커버(18)에 근접할수록 커지게 경사지게 하여 상기 보디(17)에 마련되고, 밸브 하우징(21)은 밸브 기구(15)의 축선 방향을 수평으로 한 자세로 차량에 탑재되기 때문에, 가스 통로(43) 내를 유통하는 LPG 연료의 액체 성분이 가스 통로 홈(42)의 측벽을 따라 전달되어 가스 통로 커버(18) 측으로 치우침으로써, 가스 통로 커버(18)와의 사이의 열교환이 촉진되고, 액체 성분의 가열, 기화가 우선적으로 행해지게 된다.
또한 가스 통로(43)를 따르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그 일부에서 전기 히터(68)와의 사이에 가스 통로(43)를 협지하도록 가열 유체 통로(61)가 밸브 하우징(21)에 설치되기 때문에, 전기 히터(68)를 가스 통로(43)에 근접하게 배치하여 LPG 연료를 조속히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가스 통로(43)와의 사이에 가열 유체 통로(61)를 협지한 상태로 전기 히터(68)를 배치한 경우에는, 전기 히터(68)로부터의 열을 가열 유체 통로(61)를 유통하는 엔진 냉각수에 빼앗기고, LPG 연료를 전기 히터(68)에 의해 조속히 가열하는 것이 곤란이다.
또한 밸브 기구(15)의 밸브 축부(34b)에 연결되는 다이어프램(16)의 외주 가장자리는, 밸브 하우징(21)과는 별개의 부재인 다이어프램 플랜지(77)와, 이 다이어프램 플랜지(77)의 외주에 결합되는 다이어프램 커버(78)의 사이에 유지되고, 밸브 기구(15)의 축선 방향으로 전기 히터(68)가 다이어프램 플랜지(77)와 밸브 하우징(21)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LPG 연료의 유량 변화에 대한 제어압의 변화를 적게 하여 조압(調壓)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다이어프램(16)의 수압 면적을 크게 하면, 밸브 하우징(21)과 다이어프램 플랜지(77) 사이에 전기 히터(68)가 상기 다이어프램 플랜지(77)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고, 다이어프램 플랜지(77)를 밸브 하우징(21)과는 별도의 부재로 함으로써, 전기 히터(68)의 밸브 하우징(21)에의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전기 히터(68)는, PTC 소자(70…)가 전극(71…) 사이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PTC 소자(70…)는 자기 온도 제어성을 갖기 때문에, 전기 히터(68)를 일정 온도로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전기 히터(68)는, 복수의 PTC 소자(70…)가 상기 가스 통로(43)를 따르도록 환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전기 히터(68)의 환상 배치가 가능해진다. 즉 하나의 PTC 소자를 환상으로 형성하면 제조비용이 비싸게 되는 데 대하여, 단순화된 형상인 복수의 PTC 소자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전기 히터(68)의 환상 배치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보디(17)에 수용되는 밸브 기구(15)의 밸브체(34)에 구비되는 밸브 축부(34b)는, 일면이 압력 작용실(79)을 향하고 다른 면이 스프링실(80)을 향하는 다이어프램(16)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스프링실(80)에는 압력 작용실(79)의 용적을 축소하는 측으로 다이어프램(16)을 압박하는 스프링력을 발휘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81, 82)이 수용되지만, 다이어프램(16)의 일면에 접촉하는 제1 리테이너(83)를 일체로 갖는 다이어프램 로드(85)가 상기 다이어프램(16)의 중앙부에 삽입 관통되고, 상기 스프링실(80) 측에서 상기 다이어프램 로드(85)의 일단부를 코킹하여 형성되는 결합부(89)와 상기 다이어프램(16)의 다른 면 사이에 적어도 제2 리테이너(84), 이 실시예 1에서는 제2 리테이너(84) 및 스프링 받침 부재(86)가 협지됨으로써, 제1 리테이너(83)를 일체로 갖는 다이어프램 로드(85), 다이어프램(16), 제2 리테이너(84) 및 스프링 받침 부재(86)를 포함하는 다이어프램 조립체(90)가 구성되고, 이 다이어프램 조립체(90)의 상기 다이어프램 로드(85)가 상기 밸브 축부(34b)에 연결되기 때문에, 종래의 너트를 이용한 조립에 비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다이어프램 로드(85)를 지그에 의해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코킹 공법이 성립하는 것이며, 이에 대하여, 종래와 같이 밸브축에 각 부품을 쌓아 설치하는 방식의 것에서는, 밸브축이 보디측에 삽입된 상태로 있으므로, 밸브축 측을 지그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며, 그대로 코킹을 행하면, 감압 밸브의 구성 부품에 코킹 압력이 작용하여, 상기 구성 부품의 변형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밸브 축부(34b) 및 다이어프램 로드(85) 중 한쪽에 있는 밸브 축부(34b)에 삽입부(103)가 설치되고, 이 삽입부(103)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104)이, 상기 밸브 축부(34b) 및 상기 다이어프램 로드(85) 중 다른 쪽인 다이어프램 로드(85)에 마련되고, 상기 삽입부(103)의 외주 및 상기 삽입 구멍(104)의 내주 사이의 탄발 결합부(105)에 의해 밸브 축부(34b)와 다이어프램 로드(85)가 연결되기 때문에, 삽입부(103)를 삽입 구멍(104)에 삽입하기만 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다이어프램 로드(85)에 밸브 축부(34b)를 동축으로 연결할 수 있어, 감압 밸브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탄발 결합부(105)가, 삽입부(103)의 외주 및 상기 삽입 구멍(104)의 내주에 각각 마련되는 링형의 결합 홈(106, 107)과, 반경 방향의 탄발적인 확장 수축이 가능하여 상기 양 결합 홈(106, 107)에 결합하는 결합 링(108)으로 이루어지며, 결합 링(108)을 이용한 소형이면서 간이한 구조에 의해, 밸브 축부(34b) 및 다이어프램 로드(85)를 빠르고 강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런데 제1 및 제2 리테이너(83, 84)는 모두 금속제이고, 제1 및 제2 리테이너(83, 84)가, 다이어프램 로드(85)가 삽입 관통하도록 상기 다이어프램(16)의 중앙부에 마련된 중심 구멍(87) 내에서 직접 또는 금속제의 와셔를 통해 접촉되기 때문에, 열 등의 영향에 의해서 다이어프램(16)이 열화하여, 다이어프램(16)의 탄발력이 약해지더라도, 제1 및 제2 리테이너(83, 84)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는 일은 없으며, 다이어프램(16)의 중앙부에 대한 다이어프램 로드(85)의 연결이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다이어프램(16)과, 제1 및 제2 리테이너(83, 84) 사이의 시일성 및 내탈락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 리테이너(83, 84) 사이의 치수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고, 제1 및 제2 리테이너(83, 84)에 의한 다이어프램(16)의 압축값을 적절한 값으로 관리해야 하지만, 코킹을 이용하더라도 금속끼리의 접촉에 의해서 제1 및 제2 리테이너(83, 84) 사이의 간격을 높은 정밀도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시일성 및 내탈락성에 있어서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금속끼리의 접촉이 없는 경우에는, 압축율의 관리를 코킹 하중의 설정만으로 행하지 않으면 안 되고, 코킹 하중은 핀포인트로 설정해야 하므로, 적절한 코킹 하중을 찾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하중으로 코킹을 행하고, 압축률을 그 때마다 측정하는 수증가 시험 등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코킹 후에는 압축률을 직접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최적의 코킹 하중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험용 워크가 필요할 뿐 아니라 번잡한 작업이 필요하여, 개발비용의 증대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다이어프램(16)의 내주 가장자리의 판 두께는, 자연 상태에서는 일정하며, 제1 및 제2 리테이너(83, 84) 사이의 간격 중 최소 간격으로 되는 부분이 최대 간격으로 되는 부분보다 다이어프램(16)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다이어프램(16)의 내주부에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 인장 하중이 작용한 때에, 다이어프램(16) 중 최소 간격의 부분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있는 부분이 제1 및 제2 리테이너(83, 84) 사이의 최소 간격 부위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압축되는 것이 필요하므로, 플랫 형상의 염가의 다이어프램(16)을 이용한 경우라도, 다이어프램(16)의 탈락 방지 하중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테이너(83) 및 제2 리테이너(84)의 다이어프램(16) 측의 면 중 적어도 한쪽, 이 실시예 1에서는, 제1 리테이너(83)의 다이어프램(16)을 향하는 면에, 단면 형상이 대략 V 자형인 복수의 홈(91…)이 다이어프램(16)의 일부에 맞물리도록 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V 자형의 홈(91…)에 다이어프램(16)의 일부가 맞물림으로써 다이어프램(16)의 시일성 및 탈락 방지 하중을 높일 수 있다.
그런데 감압 밸브의 조립 시에는, 상기 다이어프램(16), 상기 다이어프램(16)과의 사이에 스프링실(80)을 형성하는 다이어프램 커버(78), 상기 다이어프램(16)과의 사이에 상기 압력 작용실(79)을 형성하고 상기 다이어프램(16)의 주연부를 상기 다이어프램 커버(78)와의 사이에 협지하도록 하여 다이어프램 커버(78)에 결합되는 다이어프램 플랜지(77), 상기 다이어프램 커버(78)와 상기 다이어프램(16)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및 제2 스프링(81, 82), 그리고 상기 다이어프램(16)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다이어프램 플랜지(77)에 삽입 관통되는 다이어프램 로드(85)를 적어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집합체(96)를 미리 준비하고, 적어도 밸브 기구(15)가 상기 보디(17)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보디 집합체(100)를 미리 준비하여, 다이어프램 플랜지(77)와 상기 보디(17), 및 상기 다이어프램 로드(85)와 상기 밸브 축부(34b)를 직접 혹은 다른 부재를 개재시켜 연결시키도록 상기 다이어프램 집합체(96)와 상기 보디 집합체(100)를 서로 조립하여 감압 밸브를 조립하는 것이며, 이 실시예 1에서는, 상기 다이어프램 집합체(96)의 다이어프램 플랜지(77)에, 전기 히터(68)가 조립된 상태의 가스 통로 커버(18)가 볼트(76…)에 의해 부착되고, 가스 통로 커버(18) 및 가열 유체 통로 커버(19)가 볼트(22…) 및 너트(23…)에 의해 보디(17)에 조립되며, 상기 밸브 기구(15)의 밸브 축부(34b)가 다이어프램 로드(85)에 동축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감압 밸브의 조립 시의 제약이 적고, 설계 자유도를 증대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다이어프램(16) 및 다이어프램 로드(85)를 밸브 축부(34b)와는 무관하게 연결함으로써 작업성을 높일 수 있고, 다이어프램(16)의 주연부를 다이어프램 커버(78)와 다이어프램 플랜지(77) 사이에 협지하는 작업도 공간적인 제약이 없는 상태로 행할 수 있으므로, 보디(17)측에 공구 배치를 위한 쓸데없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불필요하여, 감압 밸브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보디 집합체(100) 측에서 밸브 기구(15)의 기밀 검사를 하고, 다이어프램 집합체(96) 측에서 다이어프램(16)의 기밀 검사를 하도록 하여 보디 집합체(100) 및 다이어프램 집합체(96)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기능 검사를 할 수 있어,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각 부분에 있어서의 조립 상태의 확인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다이어프램 집합체(96)에 있어서의 스프링(81, 82)의 스프링 정수를 상이하게 하거나, 다이어프램(16)의 면적을 상이하게 하거나 하여, 복수 종류의 다이어프램 집합체(96)를 준비해 둠으로써, 보디 집합체(100)를 공통으로 하면서 제어압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감압 밸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 집합체(96)를 준비하는 데 있어서는, 주발형으로 프레스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다이어프램 커버(78)의 개구부 주연부를 코킹하여 상기 다이어프램 플랜지(77)의 외주부에 결합하기 때문에, 다이어프램 커버(78)로서 프레스 성형품을 이용하고, 다이어프램 커버(78)의 다이어프램 플랜지(77)에 대한 결합에 코킹을 이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이러한 코킹 시에, 공간의 제약 없이 코킹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보디(17)를 유지하였던 종래의 것에 비해서 다이어프램 플랜지(77)를 유지하여 코킹 작업을 하면 되기 때문에, 코킹 지그를 작고 또한 단순화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으면서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5)

  1. 고압의 유체가 도입되는 밸브실(30)을 향하는 밸브 시트(25)에 안착될 수 있는 밸브체(34)가, 밸브 하우징(21)과의 사이에 환상의 시일 부재(35)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밸브 하우징(21)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상기 밸브실(30)과의 사이가 상기 시일 부재(35)에 의해 격절된 배압실(55, 56)이 상기 밸브 시트(25)와는 반대측의 상기 밸브체(34)의 단부를 향하여 상기 밸브 하우징(21) 안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 시트(25)보다 하류측의 유체압이 상기 배압실(55, 56)에 도입되며, 상기 밸브체(34)에, 상기 밸브 시트(25)보다 하류측의 유체압에 따라서 작동하는 압력 수동(受動) 부재(16)가 연결되는 감압 밸브로서,
    상기 밸브체(34)에 동축으로 마련된 가이드부(34c)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도록, 상기 시일 부재(35)에 의한 상기 밸브체(34)의 시일 직경보다 소직경인 가이드 구멍(31)이 상기 밸브 하우징(21)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30)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폐색단으로 하여 바닥이 있게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 구멍(31)과, 이 가이드 구멍(31)보다 대직경으로 가이드 구멍(31)의 개구단에 환상 단차부(33)를 매개로 연속해 있는 수용 구멍(32)이 동축으로 상기 밸브 하우징(21)에 마련되고, 상기 밸브체(34)는, 상기 환상 단차부(33)와의 사이에 대직경 배압실(55)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용 구멍(32)의 내면과의 사이에 상기 시일 부재(35)를 개재시킨 상태로 상기 수용 구멍(32)에 수용되는 대직경부(34a)와, 상기 가이드 구멍(31)의 폐색단과의 사이에 소직경 배압실(56)을 형성하면서 상기 가이드 구멍(31)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가이드부(34c)를 구비하여, 대직경 배압실(55) 및 소직경 배압실(56)에 상기 밸브 시트(25)보다 하류측의 유체압이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25)보다 하류측의 유체압을 상기 대직경 배압실(55)에 도입하기 위한 배압 도입 통로(57)가 상기 밸브 하우징(21)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부(34c)의 외면 또는 상기 가이드 구멍(31)의 내면에, 상기 대직경 배압실(55)과 상기 소직경 배압실(56) 사이를 연결하는 연통로(58)를 상기 가이드부(34c)의 외면과 상기 가이드 구멍(31)의 내면 사이에 형성하는 절결부(59)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밸브.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35)는, 상기 밸브체(34)의 대직경부(34a)의 외면 또는 상기 수용 구멍(32)의 내면에 장착되는 O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밸브.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LPG 연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밸브.
KR1020117020314A 2009-02-02 2010-02-01 감압 밸브 KR1012500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21999 2009-02-02
JP2009021999A JP5162486B2 (ja) 2009-02-02 2009-02-02 減圧弁
PCT/JP2010/051343 WO2010087476A1 (ja) 2009-02-02 2010-02-01 減圧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155A KR20110122155A (ko) 2011-11-09
KR101250022B1 true KR101250022B1 (ko) 2013-04-02

Family

ID=4239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0314A KR101250022B1 (ko) 2009-02-02 2010-02-01 감압 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277854A1 (ko)
EP (1) EP2392984B1 (ko)
JP (1) JP5162486B2 (ko)
KR (1) KR101250022B1 (ko)
CN (1) CN102301299B (ko)
CA (1) CA2751240A1 (ko)
WO (1) WO20100874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5590B2 (ja) * 2010-09-14 2014-08-20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減圧弁
JP5982703B2 (ja) 2012-07-02 2016-08-31 株式会社ケーヒン 減圧弁
CN103133735A (zh) * 2013-03-13 2013-06-05 成都莱达机械电子有限公司 一种减压阀
JP6114167B2 (ja) * 2013-11-28 2017-04-12 愛三工業株式会社 圧力調整弁
US9624960B2 (en) * 2014-03-14 2017-04-18 Keihin Corporation Two-member connecting structure
CN105782527A (zh) * 2016-04-01 2016-07-20 成都科盛石油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更换阀芯的气体减压阀
CN105864441B (zh) * 2016-04-01 2018-12-04 成都科盛石油科技有限公司 一种降压装置
CN105605261B (zh) * 2016-04-01 2018-09-11 广州广钢气体能源有限公司 一种可实现故障自关闭的气体减压阀
CN109339965B (zh) * 2018-12-19 2021-07-23 重庆红江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共轨系统的压力控制阀
DE102019111981A1 (de) * 2019-05-08 2020-11-12 Pittway Sarl Druckminder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10A (ja) * 1992-06-19 1994-01-14 Sony Corp 再生等化器の調整方法
JP2001249722A (ja) * 2000-03-03 2001-09-14 Kanbishi:Kk 圧力調整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1975A (en) * 1956-01-24 boals
US2581429A (en) * 1948-03-03 1952-01-08 Jr Franklin Meyer Fluid pressure regulator and valve structure thereof
US3332445A (en) * 1963-12-06 1967-07-25 Westinghouse Air Brake Co Solenoid actuated valve with manual over-ride
US3586037A (en) * 1969-05-26 1971-06-22 Victor Equipment Co Single stage, compensated pressure regulator
US3586045A (en) * 1969-10-07 1971-06-22 Victor Equipment Co Flow measuring device controlling both pressure and flow rate
JPH064810Y2 (ja) * 1988-06-24 1994-02-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化粧用コンパクト
JP2560523Y2 (ja) * 1992-06-24 1998-01-26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減圧弁
US5234026A (en) * 1992-06-29 1993-08-10 Tescom Corporation Pressure reducing regulator
US5285810A (en) * 1993-02-11 1994-02-15 Itt Corporation Pressure-reducing regulator for compressed natural gas
US6176256B1 (en) * 1998-03-24 2001-01-23 Keihin Corporation Gas pressure-reducing valve
JP4145382B2 (ja) * 1998-03-24 2008-09-03 株式会社ケーヒン ガス用減圧弁
JP2958884B1 (ja) * 1998-06-19 1999-10-06 株式会社三栄水栓製作所 一軸減圧弁
ITPC20000023A1 (it) * 2000-06-02 2001-12-02 Poliauto Di P Parietti & C S N Riduttore di pressione per gas compressi.
US6629544B2 (en) * 2000-12-11 2003-10-07 Keihin Corporation Gas pressure-reducing valve
US20040099313A1 (en) * 2002-11-26 2004-05-27 Gotthelf Jeffrey Bryan Fluid flow pressure regulator
JP4226486B2 (ja) * 2004-02-10 2009-02-18 株式会社ケーヒン ガス用レギュレータ
CN201028076Y (zh) * 2007-03-01 2008-02-27 谢家洪 减压阀
JP5004702B2 (ja) * 2007-07-19 2012-08-22 株式会社コガネイ 減圧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10A (ja) * 1992-06-19 1994-01-14 Sony Corp 再生等化器の調整方法
JP2001249722A (ja) * 2000-03-03 2001-09-14 Kanbishi:Kk 圧力調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155A (ko) 2011-11-09
EP2392984B1 (en) 2013-10-16
CA2751240A1 (en) 2010-08-05
WO2010087476A1 (ja) 2010-08-05
EP2392984A4 (en) 2012-08-01
JP2010176643A (ja) 2010-08-12
CN102301299A (zh) 2011-12-28
US20110277854A1 (en) 2011-11-17
EP2392984A1 (en) 2011-12-07
CN102301299B (zh) 2013-08-21
JP5162486B2 (ja)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022B1 (ko) 감압 밸브
KR101254897B1 (ko) 감압 밸브
RU2473108C2 (ru) Регулятор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CN101589255B (zh) 气体用减压阀
EP3454161B1 (en) Pressure reducing valve
JP2010176643A5 (ko)
JP5243289B2 (ja) Lpg燃料の加熱装置
JP5135247B2 (ja) 減圧弁の組立方法および減圧弁
KR102244779B1 (ko) 가스밸브장치
JP2010174869A (ja) Lpg燃料の加熱装置
JP2010174871A (ja) Lpg燃料用減圧弁
JP2010176644A (ja) ガス用減圧弁
EP3507669B1 (en) Compact and pressure compensated gas pressure regulator
JP5606760B2 (ja) ガスの加熱装置
JP7437911B2 (ja) 流体制御装置
US9684315B2 (en) Control valve
JP5712092B2 (ja) パイロット機能付き弁
JP2013096310A (ja) Lpg燃料用減圧弁
JP2011202609A (ja) ガスの加熱装置
JP2011202608A (ja) ガスの加熱装置
JP2011012648A (ja) ヒータユニットおよびガス用減圧弁
JP2024026258A (ja) パワーエレメ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膨張弁
JP5416533B2 (ja) 減圧弁の弁軸連結構造および方法
CN112413172A (zh) 流路切换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