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720B1 - 치패류 카운터 - Google Patents

치패류 카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720B1
KR101248720B1 KR1020120101157A KR20120101157A KR101248720B1 KR 101248720 B1 KR101248720 B1 KR 101248720B1 KR 1020120101157 A KR1020120101157 A KR 1020120101157A KR 20120101157 A KR20120101157 A KR 20120101157A KR 101248720 B1 KR101248720 B1 KR 101248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nveyor belt
counter
guide plat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태
Original Assignee
김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태 filed Critical 김병태
Priority to KR1020120101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3/00Counters with additional facilities
    • G06M3/02Counters with additional facilities for performing an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value of the count, e.g. arresting a mach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패류 카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벨트를 일정한 구간으로 구획하여 한 구간에 들어가 있는 치패들을 일군(一群)으로 인식하여 카운트를 하는 치패류 카운터이다.

Description

치패류 카운터{counter for spat}
본 발명은 치패류 카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벨트를 일정한 구간으로 구획하여 한 구간에 들어가 있는 치패들을 일군(一群)으로 인식하여 카운트를 하는 치패류 카운터이다.
일반적으로 치패(spat)란 어린 패류를 말하며, 보통의 패류는 산란 수정한 다음 일정한 기간 부유생활을 하고 이 부유생활을 한 뒤 바닥에서 생활하는 저서생활로 들어가는데 이 상태에 있는 것을 치패라 한다.
이러한 치패는 그 역시 생물이므로 각각의 크기가 천차만별이고 무게 또한 제각기 달라 무게에 의하거나 하나하나의 치패를 감지하여 그 수를 정확히 세기는 어려우며, 치패의 수를 일정하지 않게 뿌려둘 경우 조개 양식에 차질이 생길 수 있는데, 많은 수가 좁은 면적에 들어가면 먹이가 풍부하지 않아 발육이 느리고 적은 수가 넓은 면적에 들어가면 노력에 비해 얻을 수 있는 개체수가 적어진다.
종래 제품의 수를 세기 위한 제품 카운터로서는 공개특허 제10-2011-0113866호에 개시되어 있는 계량장치 및 이를 갖는 제품 카운터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제품을 카운트하여 일정 수량의 제품을 공급하기 위한 카운팅 유닛을 갖는 제품 카운터에 설치되어 상기 카운팅 유닛을 통과한 제품들의 무게를 검출하기 위한 계량장치로, 상기 카운팅 유닛을 통과하는 제품을 임시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 및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된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갖는 임시 저장 박스; 상기 임시 저장 박스에 저장되는 제품들의 전체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임시 저장 박스가 얹히는 무게 검출장치; 상기 임시 저장 박스의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받침부, 상기 받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와 연결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상기 받침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대해 상기 임시 저장 박스의 배출구를 막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받침대 폐쇄장치; 및 상기 받침대에 대해 상기 임시 저장 박스의 배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기 위한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를 진퇴시키기 위한 가압부재 구동장치를 갖는 받침대 개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계량장치의 경우 알약과 같이 크기가 작고 다량으로 판매되는 제품의 수량을 카운트하여 공급하는 장치에 설치되어 제품을 정확한 수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제품의 크기가 크거나 그 형상이 일정하지 못한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종래의 카운터로서는 공개특허 제10-1998-021764호에 개시되어 있는 볼트 카운터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볼트가 적재되는 볼트박스와, 상기 볼트박스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중심으로부터 소정거리 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구성된 영구자석과,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영구자석이 구성된 위치까지 장홈이 형성된 분리구와, 상기 분리구의 일단에 연결되어 볼트를 공급시키는 공급호스와, 상기 공급호스의 일단에 취부되어 볼트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공급호스의 일단에 취부되어 볼트를 피딩시키는 고압공기가 공급되는 에어호스와, 상기 공급호스의 타단에 구성되어 일정개수의 볼트를 적재시키는 적재함과, 일측에 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적재함을 개폐시키는 개폐기와, 상기 개폐기의 상단에 구성되어 개폐기의 개폐를 감지하는 리세트스위치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로 볼트의 수가 적산되고, 리세트스위치의 리세트신호로 초기화되며, 일정갯수의 볼트가 적산되었을 때에 차단신호를 출력시키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에서 출력된 신호를 전선을 통해 입력받아 상하로 구동되어 영구자석에 붙은 볼트를 볼트박스로 떨어뜨리거나 분리구로 공급시키는 솔레노이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카운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볼트 카운터 역시 그 형상이 일정하여야만 정확한 개수로 공급할 수 있고 이로써 전술한 공개특허 제10-2011-0113866호 개시되어 있는 제품 카운터와 같이 제품의 크기가 크거나 그 형상이 일정하지 못한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운터를 제공하되, 상기 카운터는 일정한 크기와 무게를 가지고 있지 않은 치패류와 같은 제품도 정확하게 그 수를 셀 수 있는 치패류 카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카운터에 구획된 구간에 제품을 정확한 수로 넣지 못한 경우 다음 구간에 부족하거나 남는 수량만큼 넣어 정확한 개수를 헤아릴 수 있는 치패류 카운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치패류 카운터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일측에 형성된 모터(12)와, 상기 모터(12)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구획판(3)에 의해 일정한 구간으로 구획되어 있는 컨베이어 벨트(2)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에서 이송된 치패류가 자유 낙하할 때 제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가이드판(4) 및 막음판(5)과, 상기 가이드판(4)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6)와, 상기 가이드판(4)과 배출구(6) 사이에 형성되어 낙하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7)로 이루어진 치패류 카운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12)는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기어드 모터로서, 상기 기어드 모터(12)에 인가하는 전류량에 따라 회전속도가 가감되는 것이며, 상기 센서(7)에는 최초 치패류의 감지 후 일정시간 동안 감지하지 않는 지연시간을 두되, 상기 지연시간은 컨베이어 벨트(2)의 회전속도에 따라 가감되는 것으로, 상기 지연시간은 한 칸에 들어가 있는 제품이 낙하되고 다음 칸에 들어가 있는 제품이 낙하될 때까지의 시간보다 짧게 설정되게 하여, 최초 감지된 때부터 지연시간인 일정시간 이내에는 다른 제품이 떨어지더라도 이를 감지하지 않고 있다가 지연시간인 일정시간 이후부터 제품의 낙하를 감지하게 되므로, 한 칸마다 들어가 있는 일군의 제품을 하나로 인식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제품 투입을 위한 멈춤 시간을 설정하여, 제품을 투입시 작업자가 다른 칸에 넣는 실수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치패류 카운터는 일정한 크기와 무게를 가지고 있지 않은 치패류와 같은 제품도 정확하게 그 수를 셀 수 있으며, 상기 카운터에 구획된 구간에 제품을 정확한 수로 넣지 못한 경우 다음 구간에 부족하거나 남는 수량만큼 넣어 정확한 개수를 헤아릴 수 있는 치패류 카운터를 제공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 예시도
도 2는 도 1을 타관점에서 본 구성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예시도
본 발명은 치패류 카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벨트를 일정한 구간으로 구획하여 한 구간에 들어가 있는 치패들을 일군(一群)으로 인식하여 카운트를 하는 치패류 카운터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치패류 카운터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일정한 구간으로 구획되어 있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이송된 치패류가 자유 낙하할 때 제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가이드판 및 막음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가이드판과 배출구 사이에 형성되어 낙하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는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기어드 모터로서, 상기 기어드 모터에 인가하는 전류량에 따라 회전속도가 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최초 치패류의 감지 후 일정시간 동안 감지하지 않는 지연시간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연시간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속도에 따라 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타관점에서 본 구성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치패류 카운터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일측에 형성된 모터(12)와, 상기 모터(12)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구획판(3)에 의해 일정한 구간으로 구획되어 있는 컨베이어 벨트(2)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에서 이송된 치패류가 자유 낙하할 때 제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가이드판(4) 및 막음판(5)과, 상기 가이드판(4)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6)와, 상기 가이드판(4)과 배출구(6) 사이에 형성되어 낙하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7)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먼저, 몸체(1)는 각 구성들이 결합되어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의 몸체(1)는 좌우가 분리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컨베이어 벨트(2)가 구성되고 내부가 비어 있어 모터축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나 기어 등의 동력전달구성이 수납된다.
상기 몸체(1)의 하부에는 몸체(1)의 지지를 위한 다리(9)가 형성되고, 몸체(1)의 일측에는 컨베이어 벨트(2)가 형성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2)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무한궤도의 벨트이고 플라스틱이 원재료인 비탄력성 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2)를 플라스틱이 원재료인 비탄력성 벨트로 사용하는 것은 벨트가 탄력성이 높을 경우 제품이 외부로 튀어나올 수 있고 몸체(1) 내로 치패류가 머금고 있는 물기가 내부로 들어가 모터(12) 등의 부품을 부식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2)는 일정한 간격으로 칸을 나누는 구획판(3)이 형성되어 있어 컨베이어 벨트(2)를 따라 같이 회전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2)의 일측에는 이송된 치패류가 자유 낙하할 때 제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가이드판(4) 및 막음판(5)이 형성되는데, 도 3의 경우 막음판(5)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가이드판(4)은 몸체(1)에 고정 결합되며, 막음판(5)은 가이드판(4)에서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4)의 하부에는 배출구(6)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4)과 배출구(6) 사이에는 낙하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7)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7)는 관용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말굽형 빔 센서를 사용하는데, 빔 센서는 발사된 빔의 반사를 이용해 낙하하는 물체를 감지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ㄷ"자 말굽형 빔 센서를 2개 마주보도록 설치하여 감지 오류를 방지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2)와 몸체(1) 사이에는 가름막(13)을 형성하여 컨베이어 벨트(2)에 공급되는 제품이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며, 가이드판(4) 사이로 안내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2)의 일측에는 몸체(1)에 고정되어 있는 감지센서(14)가 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14)는 구획판(3)의 위치를 감지하여 컨베이어 벨트(2)가 일시적으로 멈추는 위치를 지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컨베이어 벨트(2)에서 구획된 칸에 5개씩의 치패류가 투입되면 모터(12)의 구동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2)가 가이드판(4) 쪽으로 이동되고 이후 배출구(6) 쪽으로 자유 낙하하게 된다. 이때 배출구(6)의 상부에는 센서(7)가 형성되어 있어 낙하하는 물체를 감지하게 되는데, 컨베이어 벨트(2)의 한 칸에는 5개씩 치패류가 들어가 있어 100번을 카운터 하게 되면 총 500개의 치패류가 카운트된 것이다.
즉, 컨베이어 벨트(2)의 한 칸마다 일정한 수의 제품(치패류)가 들어가게 되므로 센서(7)에 의해 한 번 감지되면 감지된 수에 한 칸마다 넣은 제품 수를 곱하여 카운트한 제품의 수를 산정하게 된다.
상기 센서(7)는 물체가 지나갈 때마다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한 번 감지한 후에는 일정한 지연시간을 두고 감지하게 된다. 즉, 낙하하는 치패류를 하나씩 감지하게 되면 크기가 비교적 큰 치패류의 뒤에 숨어서 낙하되는 치패는 감지되지 못하게 되거나 하나의 제품이라도 크기가 큰 치패의 경우 두 번 감지되는 등 부정확한 카운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2)의 한 칸에 정확한 수의 치패가 공급된다고 가정할 경우 센서(7)에 의해 감지된 수에 한 칸마다 넣은 제품수를 곱하게 되면 정확한 제품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연시간은 컨베이어의 이송속도에 따라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컨베이어의 이송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면 지연시간이 짧아지고, 컨베이어의 이송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면 지연시간 또한 늘어난다.
부연하면, 한 칸에 들어가 있는 제품이 낙하되고 다음 칸에 들어가 있는 제품이 낙하될 때까지의 시간이 2초라면 통상 1~1.5초 사이에 지연시간을 정하면 된다. 즉, 최초 감지된 때부터 1~1.5초 이내에는 다른 제품이 떨어지더라도 이를 감지하지 않고 있다가 1~1.5초 이후부터 제품의 낙하를 감지하게 되면 한 칸마다 들어가 있는 일군(一群)의 제품을 하나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모터(12)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기어드모터(geared motor)를 사용할 수 있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DC 기어드모터를 사용하여 인버터(도시하지 않음)에 인가하는 전류량 조절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2)의 이송속도를 일정하게 가져가는 것보다는 잠깐씩 멈추는 시간을 가져갈 필요가 있다.
즉, 컨베이어 벨트(2)가 계속하여 동일한 속도로 이송되면 제품을 투입할 때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다른 칸에 넣을 수도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제품 투입을 위한 멈춤 시간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2)의 멈춤 시간은 인버터에 의해 모터에 인가하는 전류량에 따라 프로그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이송되는 시간은 1초 정도로 주고 멈춤 시간은 0.5초 정도로 주면 치패류의 경우 원하는 량(5~10개)씩 정확하게 칸마다 투입할 수 있다.
만약, 컨베이어 벨트(2)의 이송속도가 빠르거나 기타 이유에 의해 빈칸이 발생할 경우 빈칸에는 아무런 제품이 들어있지 않아 낙하되는 제품이 없어 이러한 경우에는 센서(7)에서 감지하지 않아 카운트되는 제품의 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한 칸마다 5개의 제품을 넣고 싶었으나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어떤 칸에 4개를 넣게 되면 다음 칸에 의식적으로 1개를 추가한 6개를 넣음으로써 2칸에 총 10개의 제품을 넣은 것으로 맞추어주어 카운트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몸체(1)의 일측에는 컨트롤박스(10)가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박스(10)의 일측에는 경광등(11)이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0)에는 원하는 수만큼 카운터를 설정해주게 되면 설정된 수만큼 카운트 되었을 때 컨베이어 벨트(2)의 이송이 멈추면서 경광등(11)이 발광하여 기계를 비상정지시킬 수 있다.
이후 배출구(6) 하부에 놓여 있는 포장지를 교체하고 컨트롤박스(10)의 리셋스위치를 눌러 리셋한 뒤 다시 카운트를 하는 작업을 반복 진행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대해 치패류에 대해서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크기와 무게가 일정치 않은 다른 제품이나 생물들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1. 몸체 2. 컨베이어 벨트
3. 구획판 4. 가이드판
5. 막음판 6. 배출구
7. 센서 8. 배출판
9. 다리 10. 컨트롤박스
11. 경광등 12. 모터
13. 가름막 14. 감지센서
S. 치패

Claims (4)

  1.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일측에 형성된 모터(12)와, 상기 모터(12)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구획판(3)에 의해 일정한 구간으로 구획되어 있는 컨베이어 벨트(2)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에서 이송된 치패류가 자유 낙하할 때 제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가이드판(4) 및 막음판(5)과, 상기 가이드판(4)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6)와, 상기 가이드판(4)과 배출구(6) 사이에 형성되어 낙하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7)로 이루어진 치패류 카운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12)는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기어드 모터로서, 상기 기어드 모터(12)에 인가하는 전류량에 따라 회전속도가 가감되는 것이며,
    상기 센서(7)에는 최초 치패류의 감지 후 일정시간 동안 감지하지 않는 지연시간을 두되, 상기 지연시간은 컨베이어 벨트(2)의 회전속도에 따라 가감되는 것으로, 상기 지연시간은 한 칸에 들어가 있는 제품이 낙하되고 다음 칸에 들어가 있는 제품이 낙하될 때까지의 시간보다 짧게 설정되게 하여, 최초 감지된 때부터 지연시간인 일정시간 이내에는 다른 제품이 떨어지더라도 이를 감지하지 않고 있다가 지연시간인 일정시간 이후부터 제품의 낙하를 감지하게 되므로, 한 칸마다 들어가 있는 일군의 제품을 하나로 인식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제품 투입을 위한 멈춤 시간을 설정하여, 제품을 투입시 작업자가 다른 칸에 넣는 실수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패류 카운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101157A 2012-09-12 2012-09-12 치패류 카운터 KR101248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157A KR101248720B1 (ko) 2012-09-12 2012-09-12 치패류 카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157A KR101248720B1 (ko) 2012-09-12 2012-09-12 치패류 카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720B1 true KR101248720B1 (ko) 2013-04-02

Family

ID=48441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157A KR101248720B1 (ko) 2012-09-12 2012-09-12 치패류 카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7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088A (ko) * 2017-03-03 2018-09-12 정태선 치패 계수장치
CN111296318A (zh) * 2020-03-25 2020-06-19 刘怀明 一种动植物互补养殖系统
JP2022007880A (ja) * 2020-06-26 2022-01-13 マルハニチロ株式会社 カウン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853Y1 (ko) * 1994-06-03 1997-04-03 김순중 계란의 승하강 이송장치
KR101089376B1 (ko) * 2008-10-27 2011-12-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853Y1 (ko) * 1994-06-03 1997-04-03 김순중 계란의 승하강 이송장치
KR101089376B1 (ko) * 2008-10-27 2011-12-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088A (ko) * 2017-03-03 2018-09-12 정태선 치패 계수장치
KR101983611B1 (ko) * 2017-03-03 2019-05-29 정태선 치패 계수장치
CN111296318A (zh) * 2020-03-25 2020-06-19 刘怀明 一种动植物互补养殖系统
JP2022007880A (ja) * 2020-06-26 2022-01-13 マルハニチロ株式会社 カウンタ
JP7016397B2 (ja) 2020-06-26 2022-02-04 マルハニチロ株式会社 カウン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81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t counting, grouping and discharging
US7174693B2 (en) Article portioning head system
CN104260944A (zh) 光电式纽扣计数机
KR101248720B1 (ko) 치패류 카운터
KR101896434B1 (ko)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
KR101431410B1 (ko) 조합 저울
JP2007304082A (ja) 組合せ秤
US9796496B2 (en) Apparatus for packaging dosed quantities of solid drug portions comprising moving collecting containers and an ancillary dosing station
CN102640172B (zh) 用于对作为散装物料供给的物品计数的设备
JP2010105742A (ja) ホッパ
KR101248847B1 (ko) 혼합식품 제조장치
CN109238422B (zh) 称重计数方法和装置
JP3577378B2 (ja) 組合せ計量方法及び組合せ秤
CN211587559U (zh) 一种圆柱电池分选机
JPH05310220A (ja) 農産物の設定個数取出し装置
JP2003212201A (ja) 定量供給装置、及び該定量供給装置を用いた計数装置
KR20080085615A (ko) 반알과 같이 등분된 특수형상의 정제투입장치를 가지는정제자동분배기
KR200440890Y1 (ko) 제품이송장치
KR101248849B1 (ko) 식품 제조장치
JP3647549B2 (ja) 組合せ秤
CN109775015A (zh) 一种双尖灯泡包装机
KR101248852B1 (ko) 혼합식품 제조방법
JP3687820B2 (ja) 組合せ計量方法及び組合せ秤
JP3617863B2 (ja) 組合せ秤
ES2534387T3 (es) Aparato de pesaje de cabezal múlti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