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987B1 - Uv 진공전사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Uv 진공전사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987B1
KR101246987B1 KR1020100114687A KR20100114687A KR101246987B1 KR 101246987 B1 KR101246987 B1 KR 101246987B1 KR 1020100114687 A KR1020100114687 A KR 1020100114687A KR 20100114687 A KR20100114687 A KR 20100114687A KR 101246987 B1 KR101246987 B1 KR 101246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vity
transparent
transfer printing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3418A (ko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김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1020100114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987B1/ko
Publication of KR20120053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006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006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 B41F16/0073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with means for printing on specific materials or products
    • B41F16/008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with means for printing on specific materials or products for printing on three-dimension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2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textil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pply, Installation And Extraction Of Printed Sheets Or Plates (AREA)

Abstract

UV 진공전사 인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상부자외선발광원을 하부로 개방된 상부 캐비티에 배치하고, 상기 상부 캐비티의 내부면에 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캐비티의 개방된 하부를 가로지도록 배치되는 투명흡착판을 구비하는 상부유니트 ; 상기 상부캐비티와 대응하는 상부면에 투명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투명지지판의 상부면에 피전사물이 올려지는 적어도 하나의 지그를 배치한 하부유니트 ; 상기 투명흡착판과 지그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그와 대응하는 하부면에 사전에 설정된 다자인이 형성된 다자인층과 자외선 경화층을 구비하는 전사지 ; 및 상기 투명흡착판과 전사지와 피전사물이 다층으로 밀착되도록 상기 투명판과 상부캐비티사이에 형성되는 밀폐공간과 진공흡입유로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밀폐공간에 진공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흡입부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UV 진공전사 인쇄장치{UV Vaccum Sublimination Transfer Printing Device}
본 발명은 UV 및 진공방식으로 전사하는 인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전사지 및 피전사물의 손상이나 변형없이 전사지의 디자인을 피전사물에 선명하게 전사할 수 있고, 피전사물의 소재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한편, 전사 후 피전사물을 냉각하는데 별도의 시간이 불필요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UV 진공전사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화전사란 인쇄기술과 염색기술을 복합한 디지털 인쇄방식으로 제판과정 없이 전사잉크로 디자인을 프린트한 전사지를 피전사물인 제품에 접합시켜 특정온도와 압력으로 열 압착해 주어 제품의 표면에 디자인을 인쇄하도록 전사하는 것이다.
즉, 승화형 열전사방식에서 승화란, 고체에 열을 가열하면 녹아서 액체가 되고, 더욱 가열하여 빙점을 넘으면 기화되며 이렇게 고체에서 바로 기체가 되는 것을 승화라 한다.
이와 같이 열 압착하면 디자인이 프린트된 전사지의 잉크는 고온상태에서 액체과정을 거치지 않고 기화되며 동시에 피 전사물인 제품 표면의 조직 내로 기체화된 염료가 유입되어 온도가 다시 떨어졌을 때 그 기체 상태의 염료는 피전사물 표면에 침투한 상태에서 제3의 고분자 물질로 남게 되어 돌출부분이나 아무런 층이 지지 않는 상태로 일체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승화전사 인쇄장치는 상부에 피전사물인 제품이 올려지는 하부유니트와, 상기 하부유니트와의 사이에 전사지의 열전사/접착성형을 위한 성형작업챔버를 형성하는 상부유니트, 상기 상부유니트측에 설치되어 성형작업챔버에 전사지의 연화를 위해 고온의 열원을 제공하는 히터수단 및 상기 성형작업챔버내에서 고온에 의해 연화된 코팅된 전사지가 피전사물에 압착되도록 상기 성형작업챔버의 내부를 진공화하기 위한 진공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유니트에 올려진 피전사물의 굴곡진 표면에 디자인이 인쇄된 전사지를 씌우고, 상기 상,하부유니트를 상하합형하여 밀폐공간인 성형작업챔버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진공흡착을 하면서 상기 히터수단을 통하여 150 내지 200도의 고열을 제공함과 동시에 압력을 가하여 피전사물에 디자인이 전사되어 인쇄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승화전사 인쇄장치는 진공 흡착과 동시에 고열에 의해 전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전사지의 손상 및 전사면의 변형이 빈번하게 일어나며 무늬 등의 핀트와 선명함이 저하되어 제품 불량률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상기 피전사물이 고열에 강한 금속소재로 이루어지지 않고 고열에 취약한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고열로 전사하는 과정에서 피전사물의 손상이나 치수변형을 유발하여 피전사물에 대한 선택이 폭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사를 위한 고열 및 고압에 의한 전사 후 작업자의 취급이 가능한 온도까지 피전사물을 냉각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사지 및 피전사물의 손상이나 변형없이 전사지의 디자인을 피전사물에 선명하게 전사할 수 있고, 피전사물의 소재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한편, 전사 후 피전사물을 냉각하는데 별도의 시간이 불필요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UV 진공전사 인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상부자외선발광원을 하부로 개방된 상부 캐비티에 배치하고, 상기 상부 캐비티의 내부면에 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캐비티의 개방된 하부를 가로지도록 배치되는 투명흡착판을 구비하는 상부유니트 ; 상기 상부캐비티와 대응하는 상부면에 투명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투명지지판의 상부면에 피전사물이 올려지는 적어도 하나의 지그를 배치한 하부유니트 ; 상기 투명흡착판과 지그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그와 대응하는 하부면에 사전에 설정된 다자인이 형성된 다자인층과 자외선 경화층을 구비하는 전사지 ; 및 상기 투명흡착판과 전사지와 피전사물이 다층으로 밀착되도록 상기 투명판과 상부캐비티사이에 형성되는 밀폐공간과 진공흡입유로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밀폐공간에 진공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흡입부 ; 를 포함하는 UV 진공전사 인쇄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유니트는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는 단면상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사부는 상기 상부캐비티의 내부면에 적어도 한층 이상 코팅되는 반사층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상부캐비티의 내부면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거울부재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유니트의 하부면 또는 상기 하부유니트의 상부면에는 대응하는 유니트의 하부단과 접하여 경계면에 대한 실링이 완벽하게 수행하도록 고무패킹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유니트는 상기 투명지지판의 직하부에 상부로 개방된 하부캐비티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캐비티의 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자외선발광원을 배치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캐비티는 내부면에 상기 하부자외선발광원에서 발생한 자외선을 직상부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반사부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반사부는 상기 하부캐비티의 내부면에 적어도 한층 이상 코팅되는 반사층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하부캐비티의 내부면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거울부재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캐비티는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는 단면상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사지는 상기 상부유니트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수평대의 단부에 구비되는 풀림롤로부터 풀려져 상기 상부유니트의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수평대에 구비되는 감김롤에 감겨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공흡입유로는 상기 밀폐공간에 전달되는 진공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로의 개도크기를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흡착력에 의해서 자외선경화층을 사이에 두고 디자인층이 형성된 전사지를 피전사물의 표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자외선광원의 발광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경화을 경화시킴으로써 전사지의 디자인층을 피전사물에 선명하게 전사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고열을 사용하지 않아 전사지 및 피전사물에 대한 손상이나 변형을 근본적으로 예방하여 제품불량율을 현저히 낮출 수 있고, 피전사물에 대한 소재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어 제품의 다양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한편, 전사 후 피전사물을 냉각하는데 별도의 시간이 불필요하여 작업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V 진공전사 인쇄장치에서 상부유니트와 하부유니트가 서로 분리된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V 진공전사 인쇄장치에서 상부유니트와 하부유니트가 서로 상하합형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V 진공전사 인쇄장치에서 상부유니트와 하부유니트가 서로 분리되면서 전사인쇄를 완료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하네 실시예에 따른 UV 진공전사 인쇄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유니트(110), 하부유니트(120), 전사지(130) 및 진공흡입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유니트(110)는 상기 하부유니트(120)가 위치고정되는 경우 상기 하부유니트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하 왕복이동되는 이동구조물로 구비되는 반면에 상기 하부유니트(120)가 이동구조물로 구비되는 경우 반대로 고정구조물로 구비된다.
이러한 상부유니트(110)는 몸체에 하부로 개방된 상부캐비티(113)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캐비티(113)는 후술하는 상부자외선발광원(111)의 발광시 발생하는 자외선을 직하부로 고르게 확산하여 조사할 수 있도록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커지는 대략 원뿔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유니트(110)의 내부몸체에 형성되는 상부 캐비티(113)에는 전원인가시 일정세기의 자외선 파장을 발생시키도록 점등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자외선발광원(111)을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자외선 발광원(111)은 전원인가시 자외선을 발생하는 램프 또는 엘이디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상부자외선 발광원(111)은 300 내지 3000mJ 의 세기로 자외선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캐비티(113)에는 상기 상부자외선발광원(111)에서 발생한 빛을 직하부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반사부(115)를 구비한다.
이러한 반사부(115)는 상기 상부캐비티(113)의 내부면에 알루미늄, 니켈과 같이 반사효율이 높은 반사물질이 적어도 한층 이상 코팅되는 반사층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상부캐비티(113)의 내부면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거울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캐비티(113)에는 상기 상부 자외선발광수단(111)의 점등 또는 점멸상태에 따라 상기 상부 자외선발광수단(111)을 전체적으로 덮어 보호하고 발광시 노출시키도록 개폐작동되는 개폐기(117)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유니트(110)에는 상기 상부 캐비티(113)의 개방된 하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자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과율이 높고 탄성 및 신축성을 갖는 투명흡착판(119)을 구비한다.
이러한 투명흡착판(119)의 외측테두리는 진공흡착시 발생하는 외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캐비티(113)의 하부단 내측테두리에 확고히 고정된다.
상기 하부유니트(120)는 상기 상부유니트(110)가 위치고정되는 경우 상기 상부유니트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하 왕복이동되는 이동구조물로 구비되는 반면에 상기 상부유니트(110)가 이동구조물로 구비되는 경우 반대로 고정구조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유니트(110) 또는 하부유니트(120)는 고정대상물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하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실린더부와 같은 왕복작동수단과 연결된다.
상기 하부유니트(1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캐비티(113)와 대응하는 영역에 일정두께의 투명지지판(124)을 구비하며, 이러한 투명지지판(124)은 진공흡착시 충분한 외력을 견딜 수 있도록 투과율이 높은 투명소재의 강화유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명지지판(124)의 상부면에는 통기성이 불량한 금속소재 또는 통기성이 양호한 PC, ABS와 같은 플라스틱 수지소재로 이루어진 피전사물(10)이 올려져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그(12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지그(122)는 하나의 피전사물(10)이 올려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전사물을 탑재하여 동시에 배치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비되어 전사인쇄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유니트(110)의 하부면 또는 상기 하부유니트(1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하부유니트(110,120)의 상하합형시 경계면에 대한 실링이 완벽하게 이루어져 진공흡착시 내부 밀폐공간으로 외부공기가 침투되지 않도록 각 유니트의 외측테두리를 따라 연속되어 각 유니트의 하부면과 접하는 고무패킹부재(129)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유니트(123)는 상기 투명지지판(124)의 직하부에 상부로 개방된 하부캐비티(123)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캐비티(123)의 저부에는 전원인가시 일정세기의 자외선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자외선발광원(121)을 배치하며, 이러한 하부자외선발광원(121)은 상부자외선발광원과 마찬가지로 300 내지 3000mJ 의 세기로 자외선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유니트(123)는 상기 상부유니트(113)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캐비티(123)의 내부면에 상기 하부자외선발광원(121)에서 발생한 자외선을 직상부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반사부(125)를 구비하며, 이러한 반사부(125)는 상기 하부캐비티(123)의 내부면에 알루미늄, 니켈과 같이 반사효율이 높은 반사물질이 적어도 한층 이상 코팅되는 반사층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하부캐비티(123)의 내부면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거울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캐비티(123)는 상기 하부자외선발광원(121)의 발광시 발생하는 자외선을 직상부로 고르게 확산하여 조사할 수 있도록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커지는 단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캐비티(123)에도 상기 하부 자외선발광수단(121)의 점등 또는 점멸상태에 따라 상기 상부 자외선발광수단(121)을 전체적으로 덮어 보호하고 발광시 노출시키도록 개폐작동되는 개폐기(127)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전사지(130)는 상기 지그(122)에 올려진 피전사물(10)과 투명흡착판(119)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사필름이며, 이러한 전사지(130)는 상기 피전사물과 대응하는 하부면에 사전에 설정된 다자인이 특수잉크로 인쇄되거나 증착, 칼라도장된 다자인층(131)과 일정세기의 자외선 조사시 경화되는 자외선 경화층(132)을 적층하여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전사지(130)는 상기 상부유니트(110)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수평대(134a)의 단부에 구비되는 풀림롤(134)로부터 풀려져 상기 상부유니트(110)의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수평대(135a)에 구비되는 감김롤(135)에 감겨짐으로써 1회 전사인쇄공정 후 상기 풀림롤(134)으로부터 풀려져 상기 감김롤(135)에 풀림 및 감김처리될 수 있다.
상기 풀림롤(134)과 감김롤(135)에는 전사지(130)의 풀림 및 감김작동을 수행하도록 이들을 일방향으로 일정량씩 회전시키는 모터부재(미도시)를 각각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진공흡입부(140)는 상기 상부유니트(110)와 하부유니트(120)간의 상하합형시 이들사이에 형성되는 밀폐공간에 일정세기의 진공흡입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하부유니트(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진공펌프와 같은 진공흡입수단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진공흡입부(140)는 상기 상부자외선발광원과 하부자외선발광원의 발광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투명흡착판(119)과 전사지(130)와 피전사물(10)이 다층으로 밀착되도록 상기 밀폐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유니트에 형성되는 진공흡입유로(142)를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진공흡입유로(142)에는 상기 밀폐공간에 전달되는 진공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로의 개도크기를 조절하는 조절밸브(144)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지지판(124)에는 상기 진공흡입유로(142)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밀폐공간으로 흡입력을 전달하는 흡입구(142a)을 관통형성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장치를 이용하여 피전사물인 제품의 표면에 디자인을 전사하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먼저 상부유니트(110)와 하부유니트(120)가 상하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유니트(120)의 투명지지판(124)상에 구비된 지그(122)상에 입체면을 갖는 피전사물(10)을 올려 놓아 배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고정물인 하부유니트(120)에 대하여 상부이동물인 상부유니트(110)를 하강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상부유니트(110)의 하부단과 상기 하부유니트(120)의 상부단이 접하게 되면, 상기 상부캐비티(113)와 투명지지판(124)사이에 지그(122)상에 올려진 피전사물(10)이 배치되는 밀폐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캐비티(113)의 개방된 하부를 가로지는 투명흡착판(119)의 하부에는 사전에 설정된 디자인층(131)과 더불어 자외선 경화층(132)이 하부면에 적층된 필름형 전사지(130)를 배치한다.
상기 진공흡입유로(142)에 구비된 조절밸브(144)를 개방한 다음 상기 하부유니트(120)에 설치된 진공흡입부(14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밀폐공간을 진공화하게 되면, 상기 투명흡착판(119)은 지그(122)측으로 밀착되면서 상기 전사지(130)의 자와선경화층(132)을 피전사물(10)의 표면 전체에 고르게 밀착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밀폐공간을 진공화하기 위해서 상기 진공흡입유로(142)를 통해 전달되는 진공흡입력은 2.0 내지 10.0 ㎏/㎠ 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캐비티(113)에 배치된 상부자외선광원(111)과 더불어 하부캐비티(123)에 배치된 하부자외선광원(121)에 전원을 인가하여 일정세기의 자외선을 발생시켜 피전사물(110)측으로 조사하게 되면, 상기 투명흡착판 및 투명지지판을 통과하는 자외선에 의해서 상기 자외선경화층(132)이 경화되면서 접착력을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디자인층(131)은 경화된 자외선경화층(132)을 매개로 하여 피전사물(10)의 표면에 접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피전사물(10)은 고열에 의한 손상이나 변형없이 초기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한편 금속소재 및 플라스틱 수지소재에 관계없이 전사인쇄작업을 제품불량없이 균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사지(130)와 디자인층(131)간의 접착강도에 비하여 상기 경화된 자외선층(132)을 매개로 접착된 디자인층(131)과 피전사물(10)간의 접착강도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상기 상부유니트(110)의 상승복귀시 상기 디자인층(131)은 전사지(130)로부터 자연스럽게 박리되어 피전사물(10)의 표면에 전류하도록 전사인쇄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고열에 의한 전사인쇄시 가열된 피전사물(10)의 냉각시까지 장시간 기다릴 필요없이 단시간, 15초내에 지그(122)로부터 피전사물(10)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이탈하고, 다음 피전사물에 대한 전사인쇄작업을 연속하여 수행할 수 있어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10 : 상부유니트 111 : 상부자외선광원
113 : 상부캐비티 115,125 : 반사부
117,127 : 개폐기 119 : 투명흡착판
120 : 하부케이스 121 : 하부자외선광원
122 : 지그 123 : 하부캐비티
124 : 투명지지판 129 : 고무패킹부재
130 : 전사지 131 : 디자인층
132 : 자외선 경화층 140 : 진공흡입부
142 : 진공흡입유로 144 : 조절밸브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상부자외선발광원을 하부로 개방된 상부 캐비티에 배치하고, 상기 상부 캐비티의 내부면에 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캐비티의 개방된 하부를 가로지도록 배치되는 투명흡착판을 구비하는 상부유니트 ;
    상기 상부캐비티와 대응하는 상부면에 투명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투명지지판의 상부면에 피전사물이 올려지는 적어도 하나의 지그를 배치한 하부유니트 ;
    상기 투명흡착판과 지그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그와 대응하는 하부면에 사전에 설정된 다자인이 형성된 다자인층과 자외선 경화층을 구비하는 전사지 ;
    상기 투명흡착판과 전사지와 피전사물이 다층으로 밀착되도록 상기 투명지지판과 상부캐비티사이에 형성되는 밀폐공간과 진공흡입유로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밀폐공간에 진공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흡입부 ; 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상부캐비티의 내부면에 적어도 한층 이상 코팅되는 반사층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상부캐비티의 내부면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거울부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UV 진공전사 인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니트는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는 단면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UV 진공전사 인쇄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니트의 하부면 또는 상기 하부유니트의 상부면에는 대응하는 유니트의 하부단과 접하여 경계면에 대한 실링이 완벽하게 수행하도록 고무패킹부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UV 진공전사 인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니트는 상기 투명지지판의 직하부에 상부로 개방된 하부캐비티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캐비티의 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자외선발광원을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UV 진공전사 인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캐비티는 내부면에 상기 하부자외선발광원에서 발생한 자외선을 직상부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반사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UV 진공전사 인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하부캐비티의 내부면에 적어도 한층 이상 코팅되는 반사층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하부캐비티의 내부면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거울부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UV 진공전사 인쇄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캐비티는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는 단면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UV 진공전사 인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지는 상기 상부유니트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수평대의 단부에 구비되는 풀림롤로부터 풀려져 상기 상부유니트의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수평대에 구비되는 감김롤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진공전사 인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유로는 상기 밀폐공간에 전달되는 진공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로의 개도크기를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UV 진공전사 인쇄장치.
KR1020100114687A 2010-11-17 2010-11-17 Uv 진공전사 인쇄장치 KR101246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687A KR101246987B1 (ko) 2010-11-17 2010-11-17 Uv 진공전사 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687A KR101246987B1 (ko) 2010-11-17 2010-11-17 Uv 진공전사 인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418A KR20120053418A (ko) 2012-05-25
KR101246987B1 true KR101246987B1 (ko) 2013-04-01

Family

ID=46269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687A KR101246987B1 (ko) 2010-11-17 2010-11-17 Uv 진공전사 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9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913B1 (ko) * 2013-11-25 2014-11-12 주식회사 윌리언스 전사필름 고정장치를 이용한 전사방법
KR101718439B1 (ko) 2016-12-29 2017-03-21 (주)동우로테크 복합 용해로
KR102248612B1 (ko) 2020-10-15 2021-05-06 (주)앤픽스시스템즈 특수소재용 연속 uv인쇄장치 및 그 인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9414B2 (en) 2013-04-04 2016-08-09 Nike, Inc. Vacuum cylinder with recessed portions for holding articles for printing
CN107187189B (zh) * 2017-07-20 2019-12-06 阜阳佰恩得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军用多功能纺织面料印花设备
KR102347502B1 (ko) * 2019-03-12 2022-01-07 (주)캐리마 의안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5068A (ja) 2008-01-16 2008-08-28 Kochi Prefecture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に模様を転写する転写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5068A (ja) 2008-01-16 2008-08-28 Kochi Prefecture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に模様を転写する転写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913B1 (ko) * 2013-11-25 2014-11-12 주식회사 윌리언스 전사필름 고정장치를 이용한 전사방법
KR101718439B1 (ko) 2016-12-29 2017-03-21 (주)동우로테크 복합 용해로
KR102248612B1 (ko) 2020-10-15 2021-05-06 (주)앤픽스시스템즈 특수소재용 연속 uv인쇄장치 및 그 인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418A (ko) 201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987B1 (ko) Uv 진공전사 인쇄장치
US9661718B2 (en) Method for producing organic EL panel and device for sealing organic EL panel
JP5266378B2 (ja) 絵付装置
CN108349151B (zh) 热成型装置以及热成型方法
KR102111112B1 (ko) 진공 필름 라미네이션 시스템 및 방법
EP3348400B1 (en) System for vacuum film lamination
KR102454217B1 (ko) 층 재료로 라미네이트된 3-d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389567B2 (ja) 一体型全密閉液晶スクリーンとその製造方法
KR20110082124A (ko) 열판 가열에 의한 열 성형 장치 및 열 성형 방법
TW201316875A (zh) 電子裝置外殼及其製造方法
CN106132673B (zh) 使用透气聚乙烯真空膜形成复合叠层堆叠的方法和装置
CN108667958A (zh) 一种手机面板边框孔区透明胶层的制备方法
CN104488121A (zh) 用于连接燃料电池的部件的方法及装置
US20170057152A1 (en) Thermoforming apparatus
KR101184042B1 (ko) 라미네이팅 히팅롤러
KR20130078796A (ko) 유기발광소자의 밀봉재 지지장치,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소자의 봉지장치 및 봉지방법
US11065901B2 (en) Transfer method
JP2011088286A (ja) ワーク加飾方法及びワーク加飾装置
KR101813896B1 (ko) 임프린트 장치
JPS6161979B2 (ko)
KR102572162B1 (ko) 표면 문양을 갖는 유리 판재 제조방법
JP2021041639A (ja) 熱成形装置および熱成形方法
FI91225C (fi) Menetelmä ja laitteisto levymäisten kappaleiden pinnoittamiseksi muovikalvolla
JP7363109B2 (ja) 複合材料製造装置及び複合材料製造方法
KR20190138508A (ko) 포장 필름 공급부를 포함하는 스킨 포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