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502B1 - 의안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의안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502B1
KR102347502B1 KR1020190028050A KR20190028050A KR102347502B1 KR 102347502 B1 KR102347502 B1 KR 102347502B1 KR 1020190028050 A KR1020190028050 A KR 1020190028050A KR 20190028050 A KR20190028050 A KR 20190028050A KR 102347502 B1 KR102347502 B1 KR 102347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sublimation
sublimation transfer
prosthetic
transfer paper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5711A (ko
Inventor
이병극
이광민
안지훈
Original Assignee
(주)캐리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캐리마 filed Critical (주)캐리마
Priority to KR1020190028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502B1/ko
Publication of KR20200115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41Artificial e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33Y40/20Post-treatment, e.g. curing, coating or pol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006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 B41F16/0073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with means for printing on specific materials or products
    • B41F16/008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with means for printing on specific materials or products for printing on three-dimension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006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 B41F16/0093Attachments or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3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curved surfaces of essentially spherical, or part-spheric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07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spe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41M5/385 - B41M5/395
    • B41M5/38221Apparatus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의안제조방법은 의안성형물과 열승화전사지에 의안이미지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의안성형물과 열승화전사지를 해당 열승화전사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열승화전사지의 의안이미지를 의안성형물에 압착시키는 단계 및 열승화전사프린터를 이용하여 의안성형물을 압착한 열승화전사지에 열을 가하여 열승화전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안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FICIAL EYE}
본 발명은 의안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D 프린팅 공정에 의해 성형된 의안성형물에 진공흡착공정을 이용하여 의안이미지를 도포하는 의안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안은 몰딩성형법으로 성형된 후 표면에 안구 채색을 하여 의안을 제조한다. 채색이 된 의안은 표면을 코팅처리하기도 하고 표면에 굴곡을 주는 등 표면처리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의안의 채색을 작업자가 직접하므로 채색의 정밀도 및 사실감이 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홍채를 비롯한 핏줄 등의 채색은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하지만 이를 위하여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열승화전사법을 이용하여 안구 채색을 하고는 있으나 채색시간이 줄어들기는 했으나 열승화전사지와 의안성형물의 매칭이 정밀하지 못하여 여전히 채색의 정밀도 및 사실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D 프린팅 공정에 의해 성형된 의안성형물의 채색을 신속 정밀하고 사실감있게 할 수 있는 의안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의안제조방법은, 의안성형물과 열승화전사지에 의안이미지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상기 의안성형물과 상기 열승화전사지를 해당 열승화전사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열승화전사지의 상기 의안이미지를 상기 의안성형물에 압착시키는 단계; 및 열승화전사프린터를 이용하여 상기 의안성형물을 압착한 상기 열승화전사지에 열을 가하여 열승화전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열승화전사 방식으로 의안성형물에 열승화전사지의 의안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승화전사프린터는, 곡률을 갖는 단면형상이 형성된 일면을 갖는 의안성형물이 안착 고정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배면측의 설치면을 갖는 성형물안착부; 상기 설치면을 지지하며 결합되는 결합영역이 형성된 일면을 갖는 안착부지지부; 상기 안착부지지부를 지지하며 외부에 연통된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열승화전사지를 가열하는 히터를 갖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열승화전사지의 배치를 안내하는 전사지안내부를 갖는 프레임부;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기밀하게 결합시키는 실링부; 상기 흡입공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흡입하는 진공흡입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기밀하게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열승화전사지가 상기 의안성형물에 압착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흡입하도록 상기 진공흡입부를 제어하며, 상기 의안성형물에 압착된 상기 열승화전사지에 열을 가하도록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면 의안성형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열승화전사를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지지부는, 상기 일면의 배면과 상기 일면과 상기 배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갖는 판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결합영역 외의 영역의 상기 일면과 상기 측면 중 적어도 하나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지지부와 상기 하부프레임 중 일측에 타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 타측에 상기 고정돌기가 물려 고정되는 고정홈을 갖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면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은 상기 다수의 흡입공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물려 상기 안착부지지부가 상기 하부프레임에 고정되면 해당 상기 다수의 흡입공과 다수의 관통공은 연통되면 의안성형물이 안착된 영역 외의 모든 영역에서 진공 흡입이 이루어지므로 열승화전사지가 의안성형물에 정확하게 압착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착지지부의 안착면은 상기 의안성형물이 열승화전사위치에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고정가이드를 더 포함하면 정확한 열승화전사위치에 의안성형물이 위치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승화전사지는 상기 상부프페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실링부에 의해 테두리를 따른 연부가 파지되며, 상기 전사지안내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판면방향에 대한 상기 실링부의 범위 내에 배치되면 열승화전사지의 열승화전사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승화전사 방식으로 의안성형물에 열승화전사지의 의안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의안성형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열승화전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의안성형물이 안정적으로 안착된 영역 외의 모든 영역에서 진공 흡입이 이루어지므로 안정적으로 열승화전사지가 의안성형물에 정확하게 압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정가이드로 인하여 정확한 열승화전사위치에 의안성형물이 위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링부에 의해 테두리를 따른 열승화전사지의 연부가 파지되고, 전사지안내부가 실링부의 범위 내에 배치되면 열승화전사지의 열승화전사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안제조방법의 흐름도.
도 2는 열승화전사프린터의 분해도.
도 3은 안착부지지부의 상세도.
도 4는 성형물안착부의 상세도.
도 5는 의안성형물의 설명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안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안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의안성형물(2)과, 열승화전사지(3)에 의안이미지를 각각 출력한다(S11). 여기서, 의안성형물(2)은 3D 프린팅 공정에 의해 성형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처리장치(6, 미도시)에서 사용자가 의안을 착용할 의안사용자의 눈의 형태, 크기 등을 고려하여 의안을 제조하기 위한 3D의안성형데이터를 생성한다. 3D의안성형데이터는 의안성형물(2)의 외측 형태에 대한 3D성형데이터를 포함하며, 의안성형물(2)의 표면에 인쇄되는 2D프린팅데이터를 포함한다. 3D성형데이터는 의안성형물(2)을 성형하기 위한 의안성형물(2)의 3D형상정보이다. 3D형상정보는 3D프린팅을 위해 다시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2D프린팅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이렇게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2D프린팅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를 기초로 3D프린팅장치(4, 미도시)를 이용하여 3D출력물을 3D출력한다. 2D프린팅데이터는 홍채영역을 포함하는 인쇄이미지정보, 3D형상정보에 기초한 의안성형물(2) 외표면의 X-Y-Z 축을 따른 표면위치정보 및 왜곡보정정보를 포함한다. 이 정보처리장치(6)에서 2D프린터(5, 미도시)로 전송된 3D프린팅데이터를 이용하여 2D프린터(5)에서 열승화전사지(3)에 의안이미지를 2D출력한다.
출력된 의안성형물(2)과 열승화전사지(3)를 해당 열승화전사위치에 배치시킨다(S12). 열승화전사위치는 후술할 열승화전사프린터(1)의 성형물안착부(10)가 의안성형물(2)의 열승화전사위치이며, 전사지안내부(33)가 열승화전사지(3)의 열승화전사위치이다. 의안성형물(2)과 열승화전사지(3)가 성형물안착부(10)와 전사지안내부(33)에 배치된 이후에 열승화전사프린터(1)의 상부프레임(32)이 하부프레임(32)에 기밀하게 결합된다.
열승화전사지(3)의 의안이미지를 의안성형물(2)에 압착시킨다(S13). 상부프레임(32)이 하부프레임(32)에 기밀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진공흡입부(50)에서 의안성형물(2)이 안착된 수용공간의 공기를 흡입한다. 이에 의해 열승화전사지(3)는 의안성형물(2)의 표면 방향으로 이동되며 표면에 압착되게 된다.
열승화전사프린터(1)를 이용하여 의안성형물(2)을 압착한 열승화전사지(3)에 열을 가하여 열승화전사를 수행한다(S14). 열승화전사지(3)가 의안성형물(2)에 압착된 상태에서 상부프레임(31)의 히터(321)가 의안성형물(2)에 열을 가한다. 이에 의해 열승화전사지(3)에 그려진 의안이미지가 의안성형물(2)의 표면에 전사되면서 인쇄된다.
도 2는 열승화전사프린터(1)의 분해도이다. 열승화전사프린터(1)는 성형물안착부(10), 안착부지지부(20), 프레임부(30), 실링부(40), 진공흡입부(50), 고정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한다.
성형물안착부(10)는 곡류을 갖는 단면형상이 형성된 일면을 갖는 의안성형물(2)이 안착 고정되는 안착면(11)과 안착면(11)의 배면측의 설치면(12, 미도시)을 갖는다. 안착면(11)은 의안성형물(2)이 고정되게 하는 고정가이드(110)를 갖는다. 안착면(11)과 의안성형물(2) 중 일측은 돌출 연장 형성되는 돌출가이드가 형성되고, 타측은 돌출가이드가 물림결합되도록 하는 물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고정가이드(110)에 의해 의안성형물(2)이 성형물안착부(10)의 안착면(11)에 쉽게 안내되며 곡류을 갖는 단면형상이 형성된 의안성형물(2)의 일면과 의안성형물(2)의 곡류을 갖는 단면형상이 형성된 일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안착면(11)이 상호 곡률에 맞게 결합되게 되어 정확한 위치를 갖게 한다.
안착부지지부(20)는 설치면(12)을 지지하며 결합되는 결합영역이 형성된 일면을 갖는다. 안착부지지부(20)는 상면(21), 하면(22), 측면(23) 및 관통공(24)을 갖는다. 안착부지지부(20)는 일면(21, 상면)의 배면(22, 하면)과 일면과 배면을 연결하는 측면(23)을 갖는 판상으로 마련되며, 배면(22)으로부터 결합영역 외의 영역의 일면(21)과 측면(23) 중 적어도 하나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관통공(24)이 형성된다. 관통공(24)의 형상은 하면(22)으로부터 상면(21)으로 갈수록 관통공의 영역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23)에 형성된 관통공(24)의 영역은 적어도 상면(21)에 형성된 관통공(24)의 영역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22, 하면)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24)은 다수의 흡입공(311)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후술할 고정돌기(61)가 고정홈(62)에 물려 안착부지지부(20)가 하부프레임(31)에 고정되면 해당 다수의 흡입공(311)과 다수의 관통공(24)은 연통될 수 있다.
프레임부(30)는 하부프레임(31), 상부프레임(32) 및 전사지안내부(33)을 갖는다. 하부프레임(31)은 흡입공(311)이 형성된 하부바닥면(312)을 갖는다. 하부프레임(31)은 안착부지지부(20)를 지지하며 외부에 연통된 다수의 흡입공(311, 미도시)이 형성된다. 하부바닥면(312) 상에는 공기의 흡입이 원만하도록 카페트와 같이 상방으로의 지지력도 있고 공기가 연통될 수 있는 것이 깔려 있을 수 있다. 하부프레임(31)은 하부바닥면(312)의 외측 연부로부터 상방으로 각도를 갖고 외향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상부프레임(32)은 히터(321)와 투명창(322)을 갖는다. 히터(321)는 상부프레임(32)의 내측에 배치되어 열승화전사지(3)를 가열한다. 투명창(322)은 상부프레임(32)의 내측을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부프레임(32)은 투명창(322)의 연부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각도를 갖고 외향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상부프레임(32)과 하방프레임(31)은 외향 연장된 테두리의 연부영역이 평평하거나 상호 접근하여 결합되기 편한 형상의 돌출형상과 함몰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상부프레임(32)과 하방프레임(31)이 결합하는 경우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전사지안내부(33)는 하부프레임(31)과 상부프레임(32)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열승화전사지(3)의 배치를 안내한다. 전사지안내부(33)는 하부프레임(31)의 판면방향에 대한 후술할 실링부(40)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하부프레임(31)과 상부프레임(32)이 결합되며 열승화전사지(3)를 안정적으로 고정 또는 안착시킬 수 있다. 전사지안내부(33)는 하부프레임(31)과 상부프레임(32)으로부터 상호의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전사지안내부(33)가 돌출형성되는 경우 열승화전사지(3)의 테두리 영역에는 전사지안내부(33)가 삽입 또는 끼이거나 물리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전사지안내부(33)가 파지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열승화전사지(3)는 상부프페임(32)과 하부프레임(31)이 결합되는 경우 실링부(40)에 의해 테두리를 따른 연부가 파지된다.
실링부(40)는 하부프레임(31)과 상부프레임(32) 사이에 개재되어 하부프레임(31)과 상부프레임(32)을 기밀하게 결합시킨다.
진공흡입부(50)는 흡입관(51, 미도시)과 진공펌프(52, 미도시)를 갖는다. 흡입관(51)은 하부프레임(31)에 형성된 흡입공(311)과 연결되며 연통된다. 진공펌프(52)는 흡입관(51)과 연결되어 흡입공(311)으로 공기를 흡입한다.
고정부(60)는 안착부지지부(20)와 하부프레임(31) 중 일측에 타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61), 타측에 고정돌기(61)가 물려 고정되는 고정홈(62)을 갖다. 고정부(60)에 의해 안착부지지부(20)가 하브프레임(31)의 하부바닥면(312)에 정확하게 안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착지지부(20)의 관통공(24)과 하부프레임(31)의 흡입공(311)이 효율적으로 연통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70, 미도시)는 하부프레임(31)과 상부프레임(32)을 기밀하게 결합시킨 상태에서 열승화전사지(3)가 의안성형물(2)에 압착되도록 수용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흡입하도록 진공흡입부(50)를 제어하며, 의안성형물(2)에 압착된 열승화전사지(3)에 열을 가하도록 히터(321)를 제어한다.
도 3은 안착부지지부(20)의 상세도이다.
안착부지지부(20)는 성형물안착부(10)가 결합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상면(21), 하면(22), 측면(23)을 연통시키는 다수의 관통공(24)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진공흡입부(50)에서 흡입을 하는 경우 열승화전사지(3)가 의안성형물(2)의 표면으로 압착되는데 안착부지지부(20)에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다면 하부프레임(31)의 흡입공(311)에 의한 흡입이 하부바닥면(312) 전체에서 균등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열승화전사지(3)의 의안이미지가 의안성형물(2)에 정확하게 압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진공흡입부(50)에서의 흡입이 하부프레임(31)의 하부바닥면(312) 전체에서 균등하게 이루어지게 하려면 안착부지지부(20) 영역에서도 흡입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관통공(24)이 안착부지지부(20)의 상면(21), 하면(22), 측면(23) 모두가 연통되는 것이 열승화전사의 정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성형물안착부(10)의 상세도이다.
의안성형물(2)의 하면과 안착면(11)은 동일한 곡률정보를 가지고 형성된다. 이에 의해 의안성형물(2)의 하면이 안착면(11)에 정확하게 맞물리면서 결합이 된다. 고정가이드(110)에 의해 의안성형물(2)이 안착면에 가이드되어 상호 대응하여 형성된 곡류을 갖는 단면형상은 맞물려 정화한 위치에 고정된다. 이후 열승화전사가 이루어진다.
도 5는 의안성형물(2)의 설명도이다.
도 5 (a) 컬러 프린팅 작업시에, 의안성형물(2)의 홍채에 해당되는 영역(이하, 홍채영역)의 중심이 최고점에 위치되도록 한다. 홍채영역의 중심에 접하는 접선은 안착부지지부(20)의 판면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홍채영역의 중심에 접하는 접선과 직교하는 방향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이된다.
도 5 (b) 홍채영역의 중심점을 지나는 홍채 중심선은 열승화전사지(3)에 인쇄된 홍채에 해당되는 영역의 중심점을 지나며, 열승화전사지(3) 면과 수직한다.
상기 실시 예 이외의 변형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열승화전사지(3)가 하부프레임(31)과 상부프레임(32)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만 설명되어 있으나, 하부프레임(31)과 상부프레임(32)의 결합됨에 따라 열승화전사지(3)가 의안성형물(2)에 접근되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는 승강부재를 더 가질 수 있다. 승강부재는 상부프레임(32)이 하부프레임(31)에 접근함에 따라 상부프레임(32)이 하부프레임(31)에 접근하는 정도보다 열승화전사지(3)가 상부프레임(32)으로부터 하부프레임(31)으로 더 접근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열승화전사지(3)가 상부프레임(32)으로부터는 점점 이격되며 하부프레임(31)에 점점 더 접근되어 의안성형물(2)에 접근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안착부지지부(20)에는 열승화전사지(3)가 의안성형물(2)에 압착되는 과정에서 열승화전사지(3)를 의안성형물(2)로 안내하는 가이드가 없으나 흡입에 다라 열승화전사지(3)가 의안성형물(2)로 이동되어 압착되는 것을 안내하는 전사지압착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전사지압착가이드는 안착부지지부로부터 돌출된 핀형상의 가이드이며 열승화전사지(3)는 전사지압착가이드가 관통되는 안내공이 형성되어 진공흡입부(50)에 의해 흡입이 되는 경우에 열승화전사지(3)의 이동을 안내하여 의안성형물(2)의 열승화전사 위치에 정확히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의안제조방법으로 인하여, 열승화전사 방식으로 의안성형물(2)에 열승화전사지(3)의 의안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다. 의안성형물(2)을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열승화전사를 할 수 있다. 의안성형물(2)이 안정적으로 안착된 영역 외의 모든 영역에서 진공 흡입이 이루어지므로 안정적으로 열승화전사지(3)가 의안성형물에 정확하게 압착될 수 있다. 고정가이드(110)로 인하여 정확한 열승화전사위치에 의안성형물(2)이 위치할 수 있다. 실링부(40)에 의해 테두리를 따른 열승화전사지(3)의 연부가 파지되고, 전사지안내부(33)가 실링부(40)의 범위 내에 배치되면 열승화전사지(3)의 열승화전사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의안의 품질이 향상된다.
1 : 열승화전사프린터 2 : 의안성형물
3 : 열승화전사지 4 : 3D프린터
5 : 2D프린터 6 : 정보처리장치
10 : 성형물안착부 11 : 안착면
12 : 설치면 20 : 안착부지지부
21 : 상면 22 : 하면
23 : 측면 24 : 관통공
30 : 프레임부 31 : 하부프레임
32 : 상부프레임 33 : 전사지안내부
40 : 실링부 50 : 진공흡입부
51 : 흡입관 52 : 진공펌프
60 : 고정부 61 : 고정돌기
62 : 고정홈 70 : 제어부

Claims (6)

  1. 의안제조방법에 있어서,
    의안성형물과 열승화전사지에 의안이미지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상기 의안성형물과 상기 열승화전사지를 해당 열승화전사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열승화전사지의 상기 의안이미지를 상기 의안성형물에 압착시키는 단계; 및
    열승화전사프린터를 이용하여 상기 의안성형물을 압착한 상기 열승화전사지에 열을 가하여 열승화전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열승화전사프린터는,
    곡률을 갖는 단면형상이 형성된 일면을 갖는 의안성형물이 안착 고정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배면측의 설치면을 갖는 성형물안착부;
    상기 설치면을 지지하며 결합되는 결합영역이 형성된 일면을 갖는 안착부지지부;
    상기 안착부지지부를 지지하며 외부에 연통된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열승화전사지를 가열하는 히터를 갖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열승화전사지의 배치를 안내하는 전사지안내부를 갖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안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승화전사프린터는,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기밀하게 결합시키는 실링부;
    상기 흡입공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흡입하는 진공흡입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기밀하게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열승화전사지가 상기 의안성형물에 압착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흡입하도록 상기 진공흡입부를 제어하며, 상기 의안성형물에 압착된 상기 열승화전사지에 열을 가하도록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안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지지부는,
    상기 일면의 배면과 상기 일면과 상기 배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갖는 판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결합영역 외의 영역의 상기 일면과 상기 측면 중 적어도 하나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안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지지부와 상기 하부프레임 중 일측에 타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 타측에 상기 고정돌기가 물려 고정되는 고정홈을 갖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면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은 상기 다수의 흡입공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물려 상기 안착부지지부가 상기 하부프레임에 고정되면 해당 상기 다수의 흡입공과 다수의 관통공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안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지지부의 안착면은 상기 의안성형물이 열승화전사위치에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고정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안제조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승화전사지는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실링부에 의해 테두리를 따른 연부가 파지되며,
    상기 전사지안내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판면방향에 대한 상기 실링부의 범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안제조방법.
KR1020190028050A 2019-03-12 2019-03-12 의안제조방법 KR102347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050A KR102347502B1 (ko) 2019-03-12 2019-03-12 의안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050A KR102347502B1 (ko) 2019-03-12 2019-03-12 의안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711A KR20200115711A (ko) 2020-10-08
KR102347502B1 true KR102347502B1 (ko) 2022-01-07

Family

ID=72897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050A KR102347502B1 (ko) 2019-03-12 2019-03-12 의안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5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9027A (zh) * 2020-11-07 2021-02-05 泗阳捷锋帽业有限公司 一种高温转移升华印花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4382A (ja) 2010-07-26 2012-02-09 Mic:Kk 人形用眼球の製造方法および人形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497A (ko) * 2003-08-28 2005-03-10 천현수 열전사 장치
KR100890370B1 (ko) * 2007-09-10 2009-03-25 (주)뷰팅크 3차원 곡면의 열승화 전사 인쇄 장치 및 그 방법
KR101246987B1 (ko) * 2010-11-17 2013-04-01 김근수 Uv 진공전사 인쇄장치
KR101798925B1 (ko) * 2016-04-04 2017-11-21 주식회사 캐리마 3d 성형방법
KR101839481B1 (ko) * 2016-06-17 2018-03-16 주식회사 캐리마 3d 프린팅 및 진공흡착 공정을 이용한 인공안구 제조방법
KR101966334B1 (ko) * 2017-06-28 2019-04-08 주식회사 캐리마 의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4382A (ja) 2010-07-26 2012-02-09 Mic:Kk 人形用眼球の製造方法および人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711A (ko)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5825B1 (ko) 열판 가열에 의한 열 성형 장치 및 열 성형 방법
KR102347502B1 (ko) 의안제조방법
EP3315467A2 (en) Substrate vacuum forming mold and method
TW201538442A (zh) 成形站及用於形成具有橫向曲率的熱玻璃片之方法
CA2304853C (en) Method for automatic manufacture of and printing on astigmatic contact lenses and apparatus therefor
CN110696333B (zh) 一种壳状牙齿矫治器生产用压膜系统及方法
CN107771067B (zh) 利用三维打印工艺及真空吸附工艺的人工眼球制造方法
JP5651263B1 (ja) 熱板加熱による熱成形装置
KR101765299B1 (ko) 곡면 합착기
US20090308542A1 (en) Device for applying a coating on a lens, the device including means for inflating a membrane
KR102278070B1 (ko) 특수 기능성 폴리머 압출 이미징 정렬화 장치 및 방법
TW201722868A (zh) 用於玻璃片材成形系統之塑模往返器定位系統
TWI752922B (zh) 用於玻璃片材形成系統之真空塑模往返系統
JP2010131838A (ja) 繊維強化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798925B1 (ko) 3d 성형방법
KR101280247B1 (ko) 3차원 곡면의 열전사 인쇄장치
AU2016370603B2 (en) Printing on to a 3-dimensional article
CN112092349B (zh) 压膜系统
KR102562792B1 (ko) 3d 조형물과 시트필름을 분리하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d 프린터
US20220144467A1 (en) Molding station for molding packaging trays
RU2799352C1 (ru) Челночная система вакуумной формы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горячего листа стекла и трехступенчатая станция формования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горячего листа стекла (варианты)
CN220616335U (zh) 用于火山口结构的贴膜组件、贴膜装置
CN115042510B (zh) 一种电动车塑件生产用热转印机
EP002166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flexible diaphragms
US20220305740A1 (en) Lay-up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