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570B1 -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방법 및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방법 및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570B1
KR101245570B1 KR1020077002171A KR20077002171A KR101245570B1 KR 101245570 B1 KR101245570 B1 KR 101245570B1 KR 1020077002171 A KR1020077002171 A KR 1020077002171A KR 20077002171 A KR20077002171 A KR 20077002171A KR 101245570 B1 KR101245570 B1 KR 101245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ope
elevator car
hoisting
compens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5207A (ko
Inventor
에스코 알랑코
조르마 무스타라티
종 조하네스 드
페카 란타넨
Original Assignee
코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코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45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2Mining-hoist operation installing or exchanging guide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균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의 보상 시스템이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호이스팅 로프의 부분을 엘리베이터 카 하부의 호이스팅 로프의 부분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보상 시스템에 의해서 로프의 장력은 엘리베이터 카 하부 부분 보다 엘리베이터 카 상부 부분에서 더 크게 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동 높이를 한 번 이상의 횟수로 상승시켜서 엘리베이터가 설치된다. 이동 높이를 상승시키는 경우, 호이스팅 로프의 연장은 상기 보상 시스템을 통해서 또는 상기 보상 시스템의 로프 잠금기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Figure 112007008442818-pct00001
엘리베이터 카, 점프 리프트, 전환 풀리, 엘리베이터 샤프트, 로프

Description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방법 및 엘리베이터{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AND ELEVATOR}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서 규정된 방법에 관련되고, 청구항 6의 전제부에서 규정된 엘리베이터에 관련된다.
고층 빌딩에서는 종종 빌딩이 완성되기 전 건축단계에서도 엘리베이터가 필요하다. 엘리베이터는 건설 작업자들이 엘리베이터를 타고 될 수 있는 한 높이 올라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유사하게 빌딩의 하부 층이 상부 층보다 이전에 완성되는 경우, 엘러베이터는 완성된 층에서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건축이 진행됨에 따라 엘리베이터는 가능한 높은 층까지 운행될 수 있어야 한다.
건축 도중에 이러한 형태의 해결을 위해서 종래에는 점프-리프트를 사용하였는데, 여기서 건축 작업이 이전 점프에 대한 관계에서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팅 높이는 단계적으로 상승한다.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은 위에서 설명한 층수에 따라서 위로 옮겨지고, 호이스팅 높이에 의존하는 모든 구성품 예를 들어 카 케이블, 가이드 레일, 과속 조절 로프 및 샤프트에 장착되는 부품들, 전기 장치, 샤프트 케이블 등을 샤프트 전체의 높이를 커버하기 위해서 연장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기계실은 빌딩 자체의 건설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다른 것과 함께 올려진다. 이경우 문제점은 엘리베이터 설치는 건설용 호이스트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건설용 호이스트는 빌딩의 다른 곳에서 동시에 필요할 수도 있고, 이 경우 호이스트는 원하는 시간에 또는 장시간 사용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일시적인 사용을 위해서 건설용 호이스트를 이용하는 기회를 가지는 것이 어렵게 된다.
엘리베이터의 설치를 위한 다른 종래 기술은 PCT 출원번호 WO2004/050526의 명세서에 나타나 있는데, 건설용 호이스트를 사용하는 대신에,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팅 기계와 다른 부품들은 빌딩 건설이 진행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한 번에 하나의 점프씩 상승하고,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 사이의 로프는 증가된 이동 높이를 커버하기 위해서 연장된다.
엘리베이터 개발 작업의 목적 중 하나는 빌딩 공간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최근, 이러한 개발 작업에서 기계실이 없는 다양한 엘리베이터를 생산하였다.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좋은 예는 EP 0631967(A1) 및 EP 0631968의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명세서에 개시된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확대하지 않고서도 빌딩 내에서 기계실에 필요한 공간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공간 활용 면에서 상당히 효율적이다. 상기 명세서에서 개시된 기계는 적어도 한 방향에서는 간단한 구조이나 다른 방향에서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기계보다 치수가 크다.
이러한 양호한 엘리베이터에서도 호이스팅 기계에 의해 요구되는 공간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배치에서 선택의 폭이 좁아지게 된다. 호이스팅 로프의 배치에도 공간이 필요하다. 엘리베이터의 성능과 작동 능력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합리적인 비용으로, 트랙에서 엘리베이터 카 자체에 의해 요구되는 공간 및 균형추에 의해 요구되는 공간을 줄이는 것도 어렵다. 호이스팅 기계는 상당한 중량의 큰 몸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계실이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호이스팅 기계를 장착하는 것은 종종 어렵게 된다. 특히, 큰 하중, 빠른 속도 및/또는 높은 호이스팅 높이를 가진 경우에는 상기 기계의 크기와 중량은 설치에 문제가 되고, 필요한 기계의 크기와 중량은 실제로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라는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고 있거나 또는 적어도 큰 엘리베이터에서 이러한 개념의 도입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엘리베이터를 근대화하는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이용가능한 공간은 종종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개념의 적용분야를 제한한다. 종래 기술에서 해결방안의 하나는 미국특허번호 US5788018에서 나타나 있는데, 엘리베이터 카가 서스펜션 비 1:1로 매달려 있고 다양한 장력 장치들이 사용되어 연속적인 로프에 장력을 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명세서에 개시된 보상 시브는 별도의 제어 시스템에 의해서 규율되고, 상기 시스템은 외부 제어기에 의해서 제어되어, 이 시스템은 복잡한 외부 제어 수단에 의해서 실행된다. 최근의 균형추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 해결방안은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이 트랙션 시브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팅 로프로부터 발생하는 트랙션 마찰력에 기초하고 있다. 이 엘리베이터의 방안은 주로 낮은 빌딩을 목표로 하거나 호이스팅 높이가 낮은 경우를 목표로 한다. 여기에서 해 결하려는 문제는 주로 상대적으로 낮은 빌딩의 사용에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개념은 또한 상당한 호이스팅 높이에도 적용되지만 호이스팅 높이가 높고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해결해야 하는 새로운 문제를 도출시킨다. 균형추가 없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해결책에서는 호이스팅 로프의 장력은 중량이나 스프링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것은 호이스팅 로프의 장력 발생에 좋지 않다. 균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 해결책의 또 다른 문제는, 예를 들면 빌딩이 높고 호이스팅 높이가 높아서 큰 서스펜션 비에 따라 긴 로프가 사용되는 경우, 로프의 신장(elongation)과 상기 로프의 신장에 따라 트랙션 시브와 호이스팅 로프 사이의 마찰이 엘리베이터의 작동을 위해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목적 중 적어도 하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장애를 극복하고 경제적이고 신뢰성 있는 엘리베이터 설치공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기계실이 없고 나아가서는 균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를 개발하여 빌딩이나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종전보다 더욱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하는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특히 엘리베이터 설치를 개선하여 건축 단계에서 빌딩에 엘리베이터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엘리베이터는 가능하다면 상당히 좁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서 설치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호이스팅 로프가 트랙션 시브에서 양호한 접촉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균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를 얻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로프 신장의 영향을 없애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균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를 고층 빌딩에서 실행시키거나 균형추가 없는 고속의 엘리베이터를 실행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장착을 위한 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건설 기간 동안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를 적용하여 빌딩 건설이 진행됨에 따라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의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빌딩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건설과정 중에 이용될 수도 있고 빌딩이 완성되었을 때도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본적인 엘리베이터 배치를 변경하지 않고 얻을 수 있어야 한다.
건축기간 중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청구항 6의 특징부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청구항에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와 특징 그리고 실시예들의 세부적인 사항들은 서로 다른 것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아래의 잇점 중 하나 이상이 얻어질 수 있다.
- 엘리베이터의 설치는 건설의 초기 단계에서 시작할 수 있다.
- 엘리베이터의 기계실과 장비들은 이하의 경우에 상기 엘리베이터를 위해 개발된 별도의 리프팅 장비나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올릴 수 있다.
ㆍ 건설 호이스트가 불필요하고 따라서 다른 건설 작업이 방해되거나 지연되지 않는 경우
ㆍ 엘리베이터 설치가 빌딩 크래인 사용과 무관한 경우
ㆍ 기계실이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벽이나 중간 층 슬래브에 의해서 지지될 필요가 없을 경우
ㆍ 기계실,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의 중량의 전체 혹은 일부가 엘리베이터 설치 중에 가이드 레일에 의해서 지탱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설치가 상기 벽이나 중간 층 슬래브에 추가적인 하중을 가하지 않는 경우
ㆍ엘리베이터 설치를 위해 빌딩의 콘크리트 구조에 별도의 개구나 강화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
ㆍ 본 발명은 종래의 건설 기간 엘리베이터보다 적어도 4배 향상된 운송 능력과 물류 이용이 가능한 경우
- 건설업체나 하청업체의 시간 절약이 가능하고 빌딩 프로젝터의 빠른 완성이 가능하다.
- 안전한 설치 환경이 가능하다.
- 완성된 층은 정상적인 엘리베이터 운행이 조기에 가능하다.
- 빌딩의 외측에 소요되는 공간이 보다 적어진다.
- 표준화된 설치방법으로 설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균형추가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의 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모습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균형추가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모습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균형추가 없으며 보상 시스템을 가진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의 제 3 실시예의 개략적인 모습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균형추가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의 제 4 실시예의 개략적인 모습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균형추가 없으며 보상 시스템을 가진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모습이며,
도 6은 엘리베이터 높이의 증가를 가능하게 하는 배치의 개략적인 모습이며,
도 7은 기초 층에 이미 엘리베이터 카가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 상황의 개략적인 전면 모습이며,
도 8은 엘리베이터 카가 1 층으로 올려진,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 상황의 개략적인 전면 모습이며,
도 9는 점프 리프트가 수행되고 엘리베이터 카가 6 층으로 올려진,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 상황의 개략적인 전면 모습이며,
도 10 점프 리프트가 수행되고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팅 로프 및 과속 조절 로프가 이 높이로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 상황의 개략적인 전면 모습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균형추가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의 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모습이며, 본 발명에 따른 보상 시스템은 샤프트의 상부 즉, 도 1의 경우 기계실(17)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는 기계실(17)에 놓인 드라이 브 기(4)를 가진 기계실이 설치되어 있다. 그림에서 보이는 엘리베이터는 균형추가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로서, 엘리베이터 카(1)는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움직인다. 호이스팅 높이가 높은 엘리베이터에서는 호이스팅 로프의 신장은 이를 보상할 필요가 있고, 이것은 허용된 한계값 내에서 신뢰할 수 있도록 행해져야 한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의 운행과 안전을 위해서 엘리베이터 카 아래 부분의 로프가 충분히 팽팽하여야 한다. 도 1에 제공된 본 발명의 로프 힘 보상 시스템(16)에서는 로프 신장을 보상하기 위해서 상당히 긴 움직임이 있어야 한다. 이것은 종종 단순한 레버 해결방안이나 스프링 해결방안에서는 불가능한 상당한 신장을 보상할 수 있게 한다. 도 1에서 보이는 본 발명의 보상 시스템(16)은 일정한 비율(T1/T2)으로 트랙션 시브에 작용하는 로프 장력(T1) 및 (T2)을 유지시킨다. 도 1에서 보인 경우는 T1/T2 비율은 2/1이다.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와 하부에서 짝수의 서스펜션 비를 가진 경우, 보상 시스템(16)은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되지 않을 목적으로 기계실 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또는 다른 적절한 곳에 배치되고,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와 하부에 홀수의 서스펜션 비를 가진 경우는 보상 시스템(16)은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된다.
도 1에서 호이스팅 로프의 연결은 다음과 같다. 호이스팅 로프(3)의 일단이 전환 풀리(15) 및/또는 상기 전환 풀리의 서스펜션 장치에 고정된다. 전환 풀리(14, 15)는 도 1의 보상 시스템(16)을 이룬다. 보상 시스템(16)은 엘리베이터의 기계실(17)에 배치된다. 전환 풀리(15)로부터 호이스팅 로프(3)는 위로 진행하여 보상 시스템(16)의 다른 전환 풀리(14)를 만나고, 로프는 전환 풀리(14)에 있는 로프 그루브(1)를 통해서 이를 지나간다. 이 로프 그루브는 폴리우레탄이나 다른 적절한 재료로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코팅이 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다. 엘리베이터의 모든 전환 풀리 또는 일부의 전환 풀리 및/또는 트랙션 시브가 상기 재료로 코팅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전환 풀리(14)를 지난 다음, 로프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아래로 내려가 엘리베이터 카의 위에 장착된 전환 풀리(10)에 도달하여 이 풀리를 지나서, 로프(3)은 엘리베이터 카(1)의 상부 및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다른 쪽에 장착된 전환 풀리(9)까지 엘리베이터 카(1)의 상부를 가로지른다. 호이스팅 로프(3)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다른 쪽으로 배열될 수 있는 것은 전환 풀리(10, 9) 덕분이며, 엘리베이터 카(1)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호이스팅 로프의 배열의 바람직한 방법은 엘리베이터 카의 질량중심을 지나서 대각선으로 통과하는 것이다. 전환 풀리(9)를 통과한 후는 로프는 위로 기계실(17)에 위치한 호이스팅 기계(4)와 트랙션 시브(5)를 향한다. 전환 풀리(14, 10, 9)는 호이스팅 기계(4)의 트랙션 시브(5)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서스펜션 장치를 구성하고, 이것의 서스펜션 비는 엘리베이터 카 하부의 서스펜션 장치의 그것과 동일하며, 도 1에서 서스펜션 비는 2:1이다.
제 1 로프 장력(T1)은 엘리베이터 카(1)의 상부의 호이스팅 로프의 부분에 작용한다. 트랙션 시브(5) 주위를 지난 다음 로프는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따라 전환 풀리(8)로 향하고, 상기 전환 풀리(8)는 유리하게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아래 부분에 배치된다. 전환 풀리(8)을 지나서, 로프(3)는 위쪽으로 엘리베이터 카 위에 장착된 전환 풀리(11)를 향하고, 상기 전환 풀리는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전환 풀리(11)를 지나서 계속해서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와 유사한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1)를 가로질러 엘리베이터 카의 다른 쪽에 위치한 전환 풀리(12)를 향해 가고, 동시에 호이스팅 로프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다른 쪽으로 이동한다. 전환 풀리(12)를 지난 후, 호이스팅 로프(3)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아래에 위치한 전환 풀리(13)을 지나고, 엘리베이터의 기계실(17) 내부의 보상 시스템(16)의 다른 전환 풀리(15)로 돌아가서, 호이스팅 로프는 호이스팅 로프의 다른 단부의 고정점으로 가게 되고, 고정점은 기계실(17)이나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적절한 곳에 위치한다. 전환 풀리(8, 11, 12, 13)는 엘리베이터 카 하부의 호이스팅 로프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룬다. 호이스팅 로프의 다른 로프 장력(T2)는 엘리베이터 카 하부의 호이스팅 로프의 부분에 작용한다. 엘리베이터 샤프트 하부의 전환 풀리는 가이드 레일(2)로 이루어진 프레임 구조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거나,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끝단에 위치한 빔 구조에 고정되거나 또는 각각이 별도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부분에 고정되거나 상기 목적에 적절한 고정 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샤프트 상부의 전환 풀리는 카 슬링과 같은 엘리베이트 카(1)의 프레임 구조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거나,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빔 구조에 고정되거나 또는 각각이 별도로 엘리베이터 카에 고정되거나 상기 목적에 적절한 고정 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전환 풀리는 또한 모듈 구조일 수 있어서 즉, 각각 이 카세트 타입과 같이 별개의 모듈 구조로 되어 엘리베이터의 샤프트 구조에, 엘리베이터 카의 구조 및/또는 카 슬링에 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다른 적절한 장소에 또는 엘리베이터 카 및/또는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위치한 전환 풀리와 호이스팅 기계의 장치 및/또는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된 전환 풀리는 엘리베이터 카와 엘리베이터 샤프트 사이의 공간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한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으 다른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기계실(17)에 놓여있는 드라이브 기(4)는 바람직하게는 평평한 구조 다시 말하면, 폭이나 높이에 비해서 작은 두께를 가진다. 균형추를 갖지 않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서는 공간에 맞는 어떤 형상이나 디자인의 드라이브 기(4)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를 가진 또는 기어가 없는 기어리스 기계일 수 있다. 상기 기계는 컴팩트한 및/또는 평형한 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 방안에서는 로프의 속도는 엘리베이터의 속도에 비해서 종종 고속이 되고 따라서 기본적으로 복잡하지 않은 기계 타입도 사용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은 유리하게는 트랙션 시브(5)를 구동하는 모터에 전력공급을 위해 필요한 장비가 엘리베이터 제어에 필요한 장비와 함께 제공되고, 그것은 양자 모두가 공통의 인스트루먼트 패널(6)에 놓여지거나 서로 별개로 장착되거나 또는 드라이브 기(4)와 전체적으로 또는 일부분이 일체적으로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영구 자석 모터를 가지는 기어리스 기계이다. 도 1은 바람직한 서스펜션을 보여주는데, 엘리베이터 상부 및 엘리베이터 하부의 전환 풀리의 서스펜션 비는 모두 동일하게 2:1이다. 이 비율을 시각적으로 보이면, 이것은 호이스팅 로프가 이동한 거리의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한 거리에 대한 비율을 의미한다. 엘리베이터 카(1) 상부의 서스펜션은 전환 풀리(14, 10, 9)와 트랙션 시브(5)에 의해서 수행되고 엘리베이터 카(1) 하부의 서스펜션 장치는 전환 풀리(13, 12, 11, 8)에 의해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 또는 하부의 수개의 전환 풀리에 의해서 수행되는 큰 서스펜션 비와 같은 다른 서스펜션 장치들도 본 발명의 실행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기계실이 없는 해결 방안으로 실행되거나 기계가 엘리베이터와 함께 움직이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보상 시스템(16)을 엘리베이터의 상부 바람직하게는 기계실에 두는 것이 유리한데, 특히 통상적으로 이동 속도가 빠른 경우인 고층의 경우에 그러하다. 이경우 본 발명에 따른 보상 시스템의 배치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팅 로프의 전반적인 로프 신장이 상당히 줄게 되는데, 이것은 보상 시스템을 이렇게 배치함에 따라 큰 장력을 받는 호이스팅 로프의 상부 부분이, 즉 보상 시스템의 위쪽에 위치한 부분이 짧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상 시스템의 아래 부분에 위치한 호이스팅 로프 부분은 증가한다. 보상 시스템을 기계실에 두는 것은 또한 이곳에 접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에 보이는 엘리베이터에서 로프 힘에 대한 보상 시스템(16)이 전환 풀리(15)의 이동에 의해서 로프 신장을 보상한다. 전환 풀리(15)는 제한된 거리를 이동하여 호이스팅 로프(3)의 신장을 균등하게 한다. 또한 상기 배열은 트랙션 시브(5) 위의 로프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로프 장력 사이의 비(T1/T2)는 도 1의 경우 약 2/1이다. 도 1에서 보상 풀리로 기능하는 전환 풀리(15)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서 바람직한 트랙에 머물도록 제어될 수 있고, 특히 보상 시스템(16)이 강력한 충격을 받는 경우,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웨지 그리핑 동안에 그러하다. 전환 풀리(15)의 가이드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카와 보상 시스템 사이의 거리가 유지되고 보상 시스템의 이동이 제어된다. 상기 보상 시스템을 위해 사용되는 가이드 레일은 상기 목적에 맞다면 어떠한 형태의 가이드 레일도 가능하고 예를 들어 로프 가이드라는 목적에 맞는 한 금속이나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보상 시스템(16)에는 버퍼가 개입되어 보상 시스템의 전환 풀리의 충격을 완화시키고 보상 시스템의 약화를 방지한다.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 신장이 호이스팅 로프 특히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로프 부분으로 완전히 풀리기 전에, 보상 풀리(15)는 버퍼에 의해 지지되어 유지되도록 버퍼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에서 하나의 설계 기준은, 보상 시스템의 정상적인 보상 영역의 밖으로 이르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로프 부분 방향으로 로프를 공급하는 것을 막아서 호이스팅 로프에 어느 정도의 장력을 유지하는는 것이다. 보상 시스템의 전환 풀리 사이에 서로 다른 서스펜션 비를 부가하여 더욱 복잡한 서스펜션 장치와 같이, 상기 보상 시스템(16)을 위에서 설명한 것과 다르게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와 같은 목적에 적합하다면, 레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보상 시스템(16)과 같은 목적에 적합하다면 보상 풀리나 다른 로프 장력 보상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에 주어진 서스펜션 비 2:1을 가진 엘리베이터의 실시예는 약 6 m/s의 속력을 가진 엘리베이터이며, 엘리베이터 카의 질량과 최대 가능한 하중은 약 4000kg이며 각각이 13mm 지름인 6 개의 호이스팅 로프를 가지고 있다. 서스펜션 비 2:1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바람직한 적용분야는 속도가 4 m/s이상의 범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의 개략적이니 모습을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엘리베이터는 도 1의 엘리베이터와 유사하나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의 보상 시스템(216), 호이스팅 기계(204), 모터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 및 엘리베이터 제어를 위한 장치(206)들이 유리하게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에 배치된다는 것이 다르다. 도 2에 보이는 엘리베이터는 기계실이 없으며 균형추를 가지지 않고 권선기를 상부에 가진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이며, 도 1과 마찬가지로 가이드 레일(202)을 따라 엘리베이터 카(201)가 이동한다. 도 2에서 호이스팅 로프(203)의 경로는 도 1과 유사하다. 도 1의 엘리베이터와 차이점은 엘리베이터의 상부에서 엘리베이터 카(201)와 전환 풀리들 사이에서 얼마나 호이스팅 로프(203)가 자나가느냐 하는 것이며, 또한 엘리베이터의 하부에서 엘리베이터 카(201)와 전환 풀리들 사이에서 얼마나 호이스팅 로프(203)가 자나가느냐 하는 것이다. 도 2는 서스펜션 비가 6:1인 엘리베이터를 보여주는데, 엘비베이터 카 상부의 서스펜션 비는 전환 폴리(214, 213, 212, 211, 210, 209)와 트랙션 시브(205)에 의해서 6:1로 증가되었다. 엘리베이터 카 하부의 서스펜션 비도 상부와 동일한게 6:1이다. 이것은 전환 풀리(208, 217, 218, 219, 220, 221, 222)에 의해서 얻어진다. 도 2의 보상 시스템(216)은 도 1에서와 유사하며 그 동작도 도 1과 유사하다. 본 실시 예에서 보여준 것과 다른 타입의 보상 시스템 역시 도 2의 엘리베이터에서 사용될 ㅅ수 있다.
도 2에서 보이는 균형추 없이 서스펜션 비 6:1인 엘리베이터의 실시예는 속도는 1.8 m/s이고, 엘리베이터 카의 질량과 관련 장치 및 최대하중을 모두 포함한 가동질량이 약 2000 kg이고, 지름 8 mm인 호이스팅 로프를 단지 5 개 필요로 한다. 서스펜션 비 6:1을 가진 본 엘리베이터의 바람직한 적용분야는 속도가 약 1 m/s 범위의 엘리베이터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보여준다. 본 엘리베이터는 기계실이 없으며 드라이브 기(304)와 보상 시스템(316)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배치된다. 도면에서 보상 시스템(316)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에 위치하나,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 또는 기계실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보이는 엘리베이터는 균형추 없이 권선기를 상부에 가진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이며 엘리베이터 카(301)는 가이드 레일(302)을 따라서 움직인다. 도 3의 호이스팅 로프의 경로는 도 1과 유사하나, 도 3에서의 호이스팅 로프는 전환 풀리(308, 309, 310, 312, 313, 315)와 보상 시스템(316) 및 그 전환 풀리(315, 314) 그리고 호이스팅 기계(304)의 트랙션 시브(305) 등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카의 한쪽 측면만을 지나가도록 배열된다. 도 3의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와 하부의 서스펜션 비가 모두 2:1이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보상 시스템(316)을 제공하는데 상기 보상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도 3에서는 보상 시스템의 움직이는 전환 풀리(315)는 가이드(318)를 따라 트랙 위를 이동하도록 배열되고, 전환 풀리(315)는 프레임(317)위에 유지되고, 따라서 전환 풀리는 가이드(318)을 따라서 움직인다. 브레이크 부재를 잡는 잠금 수단(319)는 전환 풀리(315)의 프레임(317)에 장착되고 브레이킹 부재는 가이드(318)나 다른 유사한 것을 잡아서 상기 보상 시스템의 이동을 멈추거나 느리게 한다. 엘리베이터 안전기어가 작동하거나 엘리베이터가 버퍼 위로 움직이는 경우 또는 이와 유사한 상황에서는 호이스팅 로프마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가 갑자기 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보상 시스템에 강한 힘이 작용하게되고 이것은 보상 시스템의 보상 풀리에 갑작스런 움직임을 초래하여, 호이스팅 로프가 느슨해지거나 손상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또 다른 결과로는 보상 풀리에 손상을 주거나 트랙에 손상을 줄 수도 있다. 이런 문제는 엘리베이터가 고속으로 운행하거나 고층에서 운행하는 경우 특히 두드러진다. 이 문제는 본 발명에서는 보상 시스템의 움직이는 속도나 가속도가 미리 설정한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잠금 수단(319)이 전환 풀리(315) 또는 프레임을 잡게하여 해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개략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본 엘리베이터는 바람직하게는 기계실이 없고 드라이브 기(404)와 보상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배치된다. 도면에서 보이는 엘리베이터는 균형추가 없으며 상부에 기계실을 가진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이며 엘리베이터 카(401)는 가이드 레일(402)을 따라 움직인다. 보상 시스템(416)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부분에 배치된다. 도 4에 있는 보상 시스템(416)은 중력의 도움을 받는데 보상 시스템의 작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다면 추가적인 중량을 부가할 수도 있다. 보상 시스템(416) 에 추가되는 힘이 배치될 수 있고, 이 추가적인 힘은 실질적으로 제 1 로프 장력(T1)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한다. 추가적인 힘에 의해서 제 2 로프 장력(T2)은 제 1 로프 장력(T1)에 대하여 증가한다.
도 4에서 호이스팅 로프의 경로는 다음과 같다. 호이스팅 로프(403)의 일단이 전환 풀리(417) 및/또는 그 서스펜션 장치에 고정되고, 전환 풀리(417)는 전환 풀리(418)에서부터 내려오는 로프의 위에 놓여지고, 호이스팅 로프는 전환 풀리(417)를 지나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호이스팅 로프(403)의 다른 끝단의 고정 점으로 향한다. 보상 시스템(416)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일정 장소에 놓인다. 전환 풀리(415)로부터 호이스팅 로프(403)는 위로 향해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 부분에 위치한 전환 풀리(414)를 만나고 그리고 전환 풀리(414)의 그루브를 통해서 지나간다. 전환 풀리(414)를 지난 후 로프는 계속해서 아래로 내려가서 엘리베이터 카(401) 위에 장착된 전환 풀리(413)에 이르고 전환 풀리(413)를 지나서 엘리베이터 카(401)를 가로질러 엘리베이터 카(401)의 상부 및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반대 쪽에 장착된 전환 풀리(412)에 이른다.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반대 쪽으로 진행하는 호이스팅 로프(403)의 경로는 전환 풀리(413, 412)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전환 풀리(412)를 지난 후 로프는 위로 돌아가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전환 풀리(411)에 이르고, 이 전환 풀리를 지난 후 다시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된 전환 풀리(410)에 이르고, 이 전환 풀리를 지난 후 엘리베이터 카를 가로질러 엘리베이터 카 위에 장착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전환 풀리(409)에 도달한다. 전환 풀리(409)를 지난 후 호이스팅 로프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에 놓인 호이스팅 기계(404)와 이것의 트랙션 시브(405)로 향하게 된다. 도 4의 전환 풀리(414, 413, 412, 411, 410, 409)와 호이스팅 기계(404)의 트랙션 시브(405)는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서스펜션 장지를 형성하며, 서스펜션 비는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의 서스펜션 장치와 같이 4:1이다. 제 1 로프 장력(T1)은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호이스팅 로프 부분에 작용한다. 트랙션 시브(405) 주위를 지난 호이스팅 로프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부분에 놓인 전환 풀리(408)를 향한다. 전환 풀리(408)을 지난 후 로프(403)는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된 전환 풀리(422)를 향해 위로 올라간다. 전환 풀리(422)를 지난 후 호이스팅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의 아래에서 엘리베이터 카(401) 상부의 로프와 유사하게 진행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반대 쪽에 놓인 전환 풀리(419)로 진행하여 호이스팅 로프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다른 쪽으로 이동한다. 전환 풀리(419)를 지난 후 호이스팅 로프(403)는 아래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부분의 전환 풀리(420)에 이르고, 그리고 다시 엘리베이터 카(401)로 돌아가서 엘리베이터 카에 부착된 전환 풀리(421)에 도달하고, 그리고는 호이스팅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 아래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전환 풀리(418)를 향하여 이동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다른 쪽으로 이동한다. 전환 풀리(418)를 지난 후 호이스팅 로프는 보상 시스템(416)의 전환 풀리(417)로 향하고, 전환 풀리(417)를 지난 후 호이스팅 로프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적절한 장소에 놓인 호이스팅 로프의 다른 쪽 끝단부 를 위한 고정 점을 향한다. 전환 풀리(408, 422, 419, 420, 421, 418, 417)는 엘리베어터 카의 하부에서 호이스팅 로프의 서스펜션 장치를 형성한다. 호이스팅 로프의 다른 로프 장력(T2)은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에서 호이스팅 로프의 이 부분에 작용한다.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의 전환 풀리는 가이드 레일(402)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 구조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끝단부에 위치한 빔 구조에 고정되거나 또는 각각이 별개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부분에 또는 상기 목적에 적절한 다른 고정 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상의 전환 풀리는 카 슬링이나 빔 구조와 같은 엘리베이터 카(401)의 프레임 구조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거나 또는 각각이 별개로 엘리베이터 카 또는 상기 목적에 적절한 다른 고정 장치에 고정된다. 전환 풀리는 카세트 타입과 같은 별개의 모듈 구조일 수도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샤프트 구조 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구조 및/또는 카 슬링이나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적절한 장소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위치한 전환 풀리, 호이스팅 기계의 장치 및/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연결된 전환 풀리는 엘리베이터 카와 엘리베이터 샤프트 사이의 공간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한 쪽에 모두 배치되거나 또는 바람직한 방법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다른 쪽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이는 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 로핑, 전환 풀리, 호이스팅 기계 및 그 장비들이 엘리베이터 카의 한 쪽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하는 바로 위쪽 및/또는 아래쪽에는 전환 풀리나 호이스팅 기계가 없다. 이것 은 엘리베이터 카의 위 및/또는 아래에 약간의 안전성을 보장한다. 또한 전환 풀리, 호이스팅 기계 및 호이스팅 로프의 경로 등 엘리베이터의 구성품들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다른 쪽에서 서로 대칭이되게 배치된다. 도 5에서 보여준 서스펜션 비 4:1의 엘리베이터는 속도는 4 m/s이고, 엘리베이터 카와 그 장비의 질량과 최대 하중의 질량으로 된 가동 질량이 약 4000 kg이며, 지름 8 mm인 호이스팅 로프 8 개를 필요로 한다. 서스펜션 비 4:1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바람직한 적용 영역은 속도가 1.6 m/s - 4.0 m/s의 범위이다.
엘리베이터 카가 1:1, 2:1, 3:1 또는 4:1과 같은 작은 서스펜션 비로 구성되는 경우는 큰 지름의 전환 풀리와 큰 두께의 호이스팅 로프가 사용된다.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에는 필요하다면 작은 전환 풀리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호이스팅 로프의 장력이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보다 작아서 호이스팅 로프의 굽힘 반경이 작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에 공간이 작은 경우 엘리베이터 카 하부의 로프의 지름이 작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데 왜냐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프 장력 보상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 하부의 로프 부분의 장력이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 부분의 장력보다 T1/T2의 비율 만큼 작게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호이스팅 로프의 유용한 수명을 실질적으로 줄이지 않고서 엘리베이터 카 하부의 로프 부분의 전환 풀리의 지름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전환 풀리의 지름(D)의 로프의 지름(d)에 대한 비(D/d)는 40 보다 작으며 바람직하게는 D/d = 25 ... 30 인데,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의 로프 부 분에서 전환 풀리의 지름의 호이스팅 로프의 지름에 대한 비는 D/d = 40 이다. 작은 지름의 전환 풀리를 이용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의 필요 공간이 감소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단지 200 mm 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권선기를 상부에 가진 별도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이며, 드리이브 기는 코팅된 트랙션 시브와 실질적으로 단면이 둥근 얇은 호이스팅 로프를 가진다. 엘리베이터에서 호이스팅 로프와 트랙션 시브의 접촉각은 180도 보다 크다. 엘리베이터는 드라이브 기가 장착되는 장착 베이스를 가진 유닛, 트랙션 시브 및 상기 트랙션 시브에 대해서 일정 각도로 장착된 전환 풀리를 포함한다. 상기 유닛은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에 고정된다. 엘리베이터는 균형추 없이 서스펜션 비 9:1로 작동되며, 엘리베이터 상부 및 하부의 서스펜션 비는 모두 9:1이며 엘리베이터의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벽 사이의 공간을 지나간다. 호이스팅 로프의 신장을 보상하기 위한 방법은 한 세트의 보상 시브를 포함하는데, 상기 보상 시브 시스템에 의해서 T1/T2의 비가 일정하게 2:1로 되며 필요한 보상 거리는 로프 신장 크기의 절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균형추가 없으면서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 및 하부에서 서스펜션 비가 10:1인 엘리베이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름이 8 mm 인 통상의 호이스팅 로프와 적어도 로프 그루브의 범위에서는 캐스트 아이언으로 만들어진 트랙션 시브를 사용한다. 트랙션 시브는 언더컷 로프 그루브를 가지며, 트랙션 시브의 접촉각은 전환 풀리에 의해서 180도 또는 그이상으로 맞추어진다. 통상의 8 mm 로프가 사용 되는 경우 트랙션 시브의 지름은 바람직하게는 340 mm 이다. 통상의 8 mm 호이스팅 로프의 경우, 전환 풀리는 지름이 320, 330, 340 mm 또는 그 이상의 로프 시브이다. 로프 힘은 일정하게 유지되어 T1/T2의 비는 3/2 이다.
도 6은 엘리베이터 높이의 증가를 가능하게 하는 배치의 개략적인 모습이다. 이것은 호이스팅 기계(601)와 상부 전환 풀리를 포함하며, 도시된 그림에서 상부 전환 풀리(602)는 콘솔(603) 내부에 있으며, 콘솔(603)은 단지 건설 기간동안의 구조일 수도 있고 또는 그후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이나 다른 기계장치가 놓이는 장소가 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콘솔의 일부분은 실제 기계실의 구조나 다른 기계 장치들을 놓는 장소로 사용된다. 건설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엘비베이터의 샤프트의 높이가 높아지고, 초기단계에서 엘리베이터 트래픽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의 이동 높이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건설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다시 말해서 엘리베이터의 이동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콘솔(603)이 상승하고 호이스팅 로프(604)가 릴(605) 또는 코일로부터 호이스팅 로프(606)으로 공급되어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호이스팅 로프가 길어진다. 로프는 보상 시스템(607)이나 보상 시스템의 로프 잠금기(608)를 통해 공급된다. 실제로, 이것은 보상 시스템의 로프 잠금기(608) 또는 보상 시스템을 지나가는 로프 끝단의 잠금기(609)를 개방하여 로프에 이동 높이의 증가에 따라 필요한 여분의 길이를 공급하고 그리고 로프 잠금기(608, 609)를 다시 잠금으로써 행해진다. 바람직한 방법은 보상 시스템을 통해서 새로운 로프를 공급하는 것이며 이 경우 로프를 고정하는 것은 보상 시스템과는 독립적으로 일어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설치 과정의 주된 단계는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샤프트(1001)에 이동 가능한 방수 지지 플렛폼(1007)을 5 층의 플로어 슬래브에 먼저 장착한 후 실제 엘리베이터 설치 작업이 시작된다. 우선, 작업 플렛폼(1008)과 엘리베이터 부품을 끌어올리기 위한 보조 호이스트가 지지 플렛폼(1007)에 고정된다. 그리고 작업 플렛폼(1008)은 슬라이드 슈즈가 제공되어 이것에 의해서 작업 플렛폼은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로 안내된다. 그리고나서 실제 엘리베이터 설치의 제 1 단계에서,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1002)이 샤프트(1001)의 하부에 고정된다. 이 과정 동안에 5 개의 가이드 바가 차례로 장착되고, 그 중에서 가장 아래쪽의 가이드 바와 가장 위쪽의 가이드 바(1010)ms 길이가 서로 같은 나머지 3 개의 가이드 바에 비해 길이가 짧다. 정상적인 플로어 높이에서 가이드 레일은 5 층의 높이에 가까이 뻗게된다. 설치 과정의 제 2 단계에서는 전등 등의 전기설비와 랜딩 도어가 이 단계에서 가능한 높은 수준으로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장비는 5 층의 수준까지 설치된다.
설치의 제 3 단계에서는 임시적인 프레임이 엘리베이터 기계실(1004)을 위해서 설치되고, 호이스팅 기계(1005)와 제어 판넬과 함께 기계실은 이 프레임에 장착되고 엘리베이터의 기초 층에 놓여진다. 동시에 과속 제어기가 기계실에 설치되고 리프팅 수단의 역할을 하는 호이스트(1017)가 설치되어 장래의 점프 리프트를 수행한다. 호이스팅 로프(1018)나 호이스트 대응물의 호이스팅 지점은 쉽게 해제가능한 특별한 고정 구조(1019)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의 상부 끝단에 위치 된다. 호이스트(1017) 자체는 기계실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점프 리프트와 함께 호이스팅 로프나 엘리베이트 가이드 레일 끝단에 지지된 대응물을 이용하여 기계실을 위로 올리는데 사용된다. 작업 플렛폼(1008)이 고정 구조(1019)의 이동에 방해가 된다면 점프 리프트를 수행하는 동안 적절한 장소로 옮길 수 있다.
도 7은 설치 작업의 제 4 단계를 보여주는데, 카 프레임을 세우고 카의 벽이나 천장 그리고 바닥 부재들은 서로서로 그리고 카 프레임에 고정함으로써, 기계실(1004)이 2 층으로 올려지고 엘리베이터 카(1003)는 기초층의 샤프트에 설치되어 있다. 이 단계에서 카의 전기설비도 설치된다. 그리고, 카의 도어가 설치되어 카의 마무리가 완료된다. 이 단계에서 엘리베이터는 로프 드럼에 감겨있는 호이스팅 로프가 제공된다. 제 4 단계와 관련하여, 엘리베이터 카(1003)는 점프 리프트를 위한 체인(1006)에 의해서 또한 기계실(1004)에 연결된다.
도 8에 도시된 제 5 단계에서는 기계실과 엘리베이터 카의 조합이 호이스트(1017)에 의해서 한층 거리 만큼 위로 올려지고, 상기 조합은 이미 설치된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1002)에 의해 유지된다. 이 단계에서는 또한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의 가장 위쪽의 타이 플레이트가 확실히 고정된다.
도 8에 보이는 설치의 제 6 단계에서 방수 지지 플렛폼(1007)은 장래의 점프 리프트를 위해 5 층 위로 올려지고 플로어 슬래브에 고정된다. 설치 작업은 계속해서 다음 5 층에 필요한 파이핑과 전기 설비 그리고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1002)과 랜딩 도어를 장착한다.
도 9에서 보이는 제 7 단계에서는 실제 점프 리프트가 수행된다. 엘리베이 터 카(1003)와 함께 엘리베이터 기계실(1004)은 5 층 거리만큼 위로 올려지고,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는 1 층에서 6층으로 올려진다. 상기 리프팅은 호이스트(1017)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리프팅 힘은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1002)의 상부 끝단으 지지먼에서 받는다. 따라서, 리프팅에 의한 하중은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1002)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리프팅이 벽이나 중간층의 플로어 슬래브 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벽 등의 빌딩의 구조에 어떠한 스트레스도 발생시키지 않는다. 점프 리프트가 수행된 후 기계실과 엘리베이터 카의 조합은 이미 설치된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1002)에 균일하게 유지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의 가장 위쪽 타이 플레이트는 다시 확실하게 고정된다.
도 10에 엘리베이터 설치의 제 8 단계를 보여주는데, 필요한 로프가 설치되어 있다. 호이스팅 로프(1013)는 기계(1005)의 트랙션 시브로부터 카 프레임의 전환 풀리(1014) 주위로 지나간다. 과속 제어기 로프가 또한 설치된다. 로프 설치는 미리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로프는 점프 리프트가 수행될 때 길이가 펴진다. 추가적으로, 필요한 샤프트 부품들과 스위치가 설치되고 엘리베이터는 검사를 받고 6 층 이하에서 운행될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 방수 지지 플렛폼(1007)은 다시 점프 리프트를 위해 5 층만큼 올려지고 플로어 슬래브에 고정된다. 설치 과정은 다음 5 개 층에 대해서 위에서 설명한 6 - 8 단계에 해당하는 방식으로 계속된다. 설치 작업은 이렇게 한 번에 5 층씩 올려지는 방법으로 수행되어, 빌딩 건설이 진행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작동이 점점 높은 수준에서 운행될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10에서 로프 및 로프 풀리의 일부는 도면의 단순화/명확화를 위해서 생략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위에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청구범위 내에서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은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일이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의해서 당업자는 점프 리프트 거리를 5 층이 아닌 다른 거리로 함으로써 실시예를 변경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층의 높이와 같은 어떠한 거리도 적절한 거리일 수 있다. 따라서 1 층과 8 층 사이의 모든 층간의 거리, 적절하게는 3 층 내지 7 층 사이 또는 4 층 내지 6 층 사이거리일 수 있다. 작업 방법뿐만 아니라 설치 방법의 순서들이 변경될 수 있다는 것 역시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그리고 기계실을 올리기 위해 사용된 호이스트의 작동과 사용 모드는 위의 설명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방법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고,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건물을 건설하여 산업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6)

  1. 균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방법에서, 보상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의 전환 풀리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팅 로프를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로핑 부분과 엘리베이터 카 하부의 로핑 부분으로 분리하고, 상기 보상 시스템의 상기 전환 풀리에 의해서 로프의 장력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 하부의 로핑 부분 보다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로핑 부분에서 더 크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동 높이는 한 번 이상의 횟수로 상승되어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높이를 상승시키는 경우 호이스팅 로프의 연장은 상기 보상 시스템의 상기 전환 풀리를 통해서 또는 상기 보상 시스템의 로프 잠금기를 통해서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로핑 부분 또는 엘리베이터 카 하부의 로핑 부분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호이스팅 수단; 기계실 또는 콘솔; 및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이 포함되고, 기계 및 하나 이상의 로프 풀리를 지지하는 기계실 또는 콘솔 을 상승시키는 동안 기계실에 고정된 호이스팅 수단은 호이스팅 로프에 의해서 상기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의 상부 끝단에서 지지되는 잠금 구조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계실에 일시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카는, 기계실 또는 콘솔을 상승시키는 동안 대응되는 거리만큼 위쪽으로 동시에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계실 또는 콘솔; 및 엘리베이터 카는 한 번에 1 층에서 8 층 사이의 거리 만큼 상승되거나 또는 3 층에서 7 층 사이의 거리 만큼 상승되거나 또는 5 층 만큼의 거리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계실과 엘리베이터 카의 각각의 상승 후 기계실과 엘리베이터 카는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지지되고, 그리고 잠금 구조가 상기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의 상부 끝단에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방법.
  6. 균형추가 없으며, 보상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의 전환 풀리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팅 로프를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로핑 부분과 엘리베이터 카 하부의 로핑 부분으로 분리하고, 상기 보상 시스템의 상기 전환 풀리에 의해서 로프의 장력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 하부의 로핑 부분 보다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로핑 부분에서 더 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동 높이는 한 번 이상의 횟수로 상승되고, 호이스팅 로프의 연장을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로핑 부분 또는 엘리베이터 카 하부의 로핑 부분에 공급하는 것은 상기 보상 시스템의 상기 전환 풀리를 통해서 또는 상기 보상 시스템의 로프 잠금기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KR1020077002171A 2004-07-30 2005-06-06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방법 및 엘리베이터 KR101245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41043A FI117335B (fi) 2004-07-30 2004-07-30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ja hissi
FI20041043 2004-07-30
PCT/FI2005/000263 WO2006010782A2 (en) 2004-07-30 2005-06-06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and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207A KR20070045207A (ko) 2007-05-02
KR101245570B1 true KR101245570B1 (ko) 2013-03-20

Family

ID=32749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171A KR101245570B1 (ko) 2004-07-30 2005-06-06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방법 및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70137946A1 (ko)
EP (1) EP1789357B1 (ko)
JP (1) JP5095401B2 (ko)
KR (1) KR101245570B1 (ko)
CN (1) CN1993290A (ko)
AR (1) AR050270A1 (ko)
FI (1) FI117335B (ko)
TW (1) TWI343895B (ko)
WO (1) WO200601078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9232B (fi) * 2006-05-08 2008-09-15 Kone Corp Menetelmä hissin nostoköysistön asentamiseksi
FI20090085L (fi) * 2009-03-06 2010-09-30 Kone Corp Hissijärjestely ja menetelmä
FR2949625B1 (fr) * 2009-08-27 2011-09-30 Leroy Somer Moteurs Moteur equipe d'un systeme de freinage
FI20090389A (fi) 2009-10-23 2011-04-24 Kone Corp Menetelmä hissin valmistamisessa
FI122066B (fi) * 2009-12-31 2011-08-15 Kone Corp Menetelmä hissin valmistamisessa
FI125115B (fi) * 2010-12-31 2015-06-15 Kone Corp Menetelmä ja hissijärjestely
CN103459294B (zh) 2011-04-06 2016-03-02 奥的斯电梯公司 包括4:1拉绳布置的电梯系统
KR101393441B1 (ko) * 2013-04-29 2014-05-1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점프 엘리베이터용 단일 와이어 로프 구조
CN104340813B (zh) * 2014-10-30 2016-09-14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安装施工方法
CN108137282A (zh) * 2015-09-25 2018-06-08 通力股份公司 用于在建筑物的建筑阶段安装升降机的方法
CA3006023A1 (en) * 2015-12-14 2017-06-22 Inventio Ag Method for erecting an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system which can be adapted to an increasing building height
EP3865449B1 (en) * 2020-02-12 2024-01-17 KONE Corporation Movable machine room,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elevator
CN113148806B (zh) * 2021-04-26 2022-05-17 海阳中集来福士海洋工程有限公司 升降机的安装方法
CN113401762B (zh) * 2021-06-23 2022-12-20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限速器绳张紧装置及其使用方法
US11738971B2 (en) 2021-06-25 2023-08-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governor tension frame damper
US11702318B2 (en) * 2021-07-19 2023-07-18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of expanding an elevator system in a hoistwa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8462A (en) * 1966-01-17 1967-01-17 Beaver Advance Corp Traction lift for scaffolding towers
JPH03264482A (ja) * 1990-03-15 1991-11-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据付工法
WO2004041701A1 (en) * 2002-11-04 2004-05-21 Kone Corporation Traction sheave elevator without counterweight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163A (en) * 1892-11-01 Gearing for elevators
US99016A (en) * 1870-01-18 Improved sewer-excavator
US646049A (en) * 1896-11-27 1900-03-27 Otis Elevator Co Elevator.
US718762A (en) * 1902-03-08 1903-01-20 Nelson Hiss Traction apparatus.
US912256A (en) * 1905-11-22 1909-02-09 Michael E Neenan Elevator.
US988016A (en) * 1907-04-01 1911-03-28 Otis Elevator Co Elevator.
US1562781A (en) * 1923-03-26 1925-11-24 Walter Schindler Builder's hoisting device
DE1251926B (de) * 1965-04-28 1967-10-12 Haushahn Fa C Aufzug fuer hohe, seitlichen Ausbiegungen unterliegende Tuerme
US3519101A (en) * 1968-01-10 1970-07-07 Otis Elevator Co Construction elevator system
US3614994A (en) * 1968-08-07 1971-10-26 Samuel F Goodrum Construction hoist
US3759349A (en) * 1972-03-13 1973-09-18 Otis Elevator Co Elevator system with temporary hoistway structure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3835959A (en) * 1973-04-02 1974-09-17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GB1442584A (en) * 1974-04-05 1976-07-14 Johns & Waygood Ltd Drive systems for lifts and hoists
FI119237B (fi) * 2003-01-31 2008-09-15 Kone Corp Hissi, menetelmä hissin muodostamiseksi ja tasauslaitteiston käyttö
DE9201374U1 (ko) * 1992-02-05 1992-04-02 C. Haushahn Gmbh & Co, 7000 Stuttgart, De
DE19632850C2 (de) * 1996-08-14 1998-09-10 Regina Koester Treibscheibenaufzug ohne Gegengewicht
US5788018A (en) * 1997-02-07 1998-08-04 Otis Elevator Company Traction elevators with adjustable traction sheave loading, with or without counterweights
JP2004067365A (ja) * 2002-08-09 2004-03-04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装置
US6857508B2 (en) * 2002-10-31 2005-02-22 Inventio Ag Elevator hoist machine installation apparatus
FI114458B (fi) * 2002-12-02 2004-10-29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n asentamiseksi rakennuksen rakentamisvaiheessa
US7635049B2 (en) * 2002-12-02 2009-12-22 Kon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 elevator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FI116562B (fi) * 2003-11-17 2005-12-30 Kone Corp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FI119233B (fi) * 2005-11-14 2008-09-15 Kone Corp Menetelmä hissin köysistön vaihtamiseksi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8462A (en) * 1966-01-17 1967-01-17 Beaver Advance Corp Traction lift for scaffolding towers
JPH03264482A (ja) * 1990-03-15 1991-11-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据付工法
WO2004041701A1 (en) * 2002-11-04 2004-05-21 Kone Corporation Traction sheave elevator without counterwe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207A (ko) 2007-05-02
FI20041043A0 (fi) 2004-07-30
FI20041043A (fi) 2006-02-13
EP1789357B1 (en) 2015-09-09
EP1789357A2 (en) 2007-05-30
FI117335B (fi) 2006-09-15
CN1993290A (zh) 2007-07-04
WO2006010782A2 (en) 2006-02-02
AR050270A1 (es) 2006-10-11
WO2006010782A3 (en) 2006-05-26
JP5095401B2 (ja) 2012-12-12
TWI343895B (en) 2011-06-21
TW200609172A (en) 2006-03-16
JP2008508159A (ja) 2008-03-21
US20070137946A1 (en)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570B1 (ko)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방법 및 엘리베이터
JP5122953B2 (ja) エレベータ
JP5873884B2 (ja) エレベータ
US8291568B2 (en) Method of installing an elevator
JP4468823B2 (ja) エレベータおよびエレベータの製造
US20070017750A1 (en)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and elevator delivery assembly
US9415974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oving a heavy load
US20060196730A1 (en) Elevator and arrangement
US6305499B1 (en) Drum drive elevator using flat belt
JP6813123B2 (ja) エレベーターの揚程延長技術の適用方法
US6619433B1 (en) Elevator system using minimal building space
EP1042211A1 (en) Drum drive elevator using flat belt
US20240017964A1 (en) Construction elevator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0288350Y1 (ko) 엘리베이터
KR20040019492A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