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377B1 - 공간활용을 갖는 공동주택용 욕조 - Google Patents

공간활용을 갖는 공동주택용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377B1
KR101245377B1 KR1020120087695A KR20120087695A KR101245377B1 KR 101245377 B1 KR101245377 B1 KR 101245377B1 KR 1020120087695 A KR1020120087695 A KR 1020120087695A KR 20120087695 A KR20120087695 A KR 20120087695A KR 101245377 B1 KR101245377 B1 KR 101245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member
blocking plate
members
plate member
fasten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희상
Original Assignee
(주)시명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명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시명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20087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6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6Devices for fastening baths to floors or walls; Adjustable bath feet ; Lining panels or attach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18Easily movable or transportable swimming pools
    • E04H4/0043Easily movable or transportable swimming pools mainly made of pan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활용을 갖는 공동주택의 욕조에 관한 것으로서, 분리되어 서로 접이가능한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펼침시 좌우측부를 차폐하는 막음판부재로 이루어진 욕조와; 상기 욕조의 바닥부재 중 어느 하나의 바닥부재 좌우측 단부를 힌지로 연결하여 바닥부재의 접이시 회동하는 바닥부재를 지지하는 써포트와; 상기 바닥부재의 좌우편을 차폐하는 막음판 부재가 수압에 의해 탈거됨을 방지하도록 막음판부재를 바닥부재에 가압체결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간활용을 갖는 공동주택의 욕조를 제공한다.
상기 바닥부재는,
써포트 하단봉에 일체된 체결편의 장공에 삽입되어 힌지되도록 좌우편 일측단부로 돌출을 이룬 돌기봉, 좌우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막음판부재의 돌조부를 끼움체결하는 제1 요홈조, 분리된 두개의 바닥부재를 연결하여 접이를 이루도록 두 바닥부재의 좌우편 타측 단부에 각각 힌지로 연결된 채 힌지핀 연결로 소정의 유격을 가지면서 연결을 이루게 되는 장공을 형성한 한쌍의 힌지편, 두 바닥부재가 합치되는 면 상부가 각각 소정의 경사로 이루어져 두 바닥부재의 펼침시 두 바닥부재가 V형을 이루며 연결되도록 하는 경사면, 두 바닥부재 중 어느 하나의 바닥부재 경사면 길이를 따라 돌출되어 나머지 하나의 바닥부재 경사면 길이를 따라 형성된 제2 요홈조에 끼움체결되는 돌기부, 상기 나머지 하나의 바닥부재 경사면 길이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를 끼움체결하는 제2 요홈조, 상기 두 바닥부재의 경사면이 서로 가압하는 상태로 접지를 이루게 두 바닥부재의 저부 단부에 구비되어 바닥부재의 높낮이 조절을 이루게 하는 조절구, 두 바닥부재가 서로 접이를 이룸시 펼침 방지를 위해 두 바닥부재 중 어느 하나의 바닥부재 일측면에 돌기된 돌기에 힌지되고 나머지 하나의 바닥부재 일측면에 돌기된 걸림돌기에 걸림을 이루는 후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재의 펼침시 바닥부재 좌우편을 차폐하는 막음판 부재는, 펼쳐진 채 두 경사면이 접지되어 V형태로 펼쳐진 상태의 바닥부재에 형성된 제1 요홈조에 끼움체결되는 돌출된 한쌍의 돌조부와; 바닥부재의 두 경사면이 접지일 경우 두 경사면 하부인 바닥부재의 양단부 벌어짐을 기밀히 밀폐하는 상기 한쌍의 돌조부 상부에 마련된 돌기고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부재의 제1,2 요홈조 및 돌기부와 막음판부재의 돌조부에는 기밀한 밀폐에 의해 누수 방지를 이룰 수 있는 방수고무재를 더 부가하여 접착하며,
상기 써포트는 상하단에 미끌림 방지를 이루며 천장과 욕실 바닥에 기밀히 접착되는 흡착고무판과, 하단봉에 일체되어 어느 하나의 바닥부재 돌기봉을 힌지 연결한 채 상기 바닥부재의 회동 젖힘을 가능하도록 장공을 형성한 체결편으로 이루어지고, 가압부재는, 막음판부재의 저부 및 측부와 두 바닥부재의 저부 및 측부에 각각 제1 볼트체결편과 제2 볼트체결편을 마련하여 상기 제1 볼트체결편과 제2 볼트체결편에 삽입되는 장볼트의 회동으로 막음판부재와 두 바닥부재간의 가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수압에 따른 막음판부재의 탈거를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욕조의 접이를 이루게 함으로써 욕실 내 공간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접이된 욕조는 기타 욕실 내에 필요한 물건들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공간활용을 갖는 공동주택용 욕조{A bathtub for apartment houses which can maximize space practical use}
본 발명은 공간활용을 갖는 공동주택용 욕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욕실 내에서 욕조의 접이를 이루도록 하여 욕실 내부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고, 접이된 욕조는 욕실에 필요한 기타 물건들을 거치가능한 용도로 사용하도록 하는 공간활용을 갖는 공동주택용 욕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욕실에는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이용하여 목욕을 할수 있는 욕조가 욕실의 일측벽에 설치되며, 사용자는 그 욕조에 몸을 담아 목욕 또는 반신욕을 하게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욕실에 설치되는 욕조는 성인 한 명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제작되므로서, 욕조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욕조의 부피가 커 욕실의 일정부분을 차지함에 따라 욕실의 공간활용에 큰 장애로 작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욕실 내에 구비되어 설치되는 욕조의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 10-0420838, 등록특허 10-0650950, 등록특허 10-0723347, 공개특허 10-2009-0060860 등의 기술이 안출된 바 있는데 등록특허 10-0420838의 경우, 욕조의 접이를 이루기는 하나 접이된 욕조의 구조상 욕실 내 물건들을 거치할 수 없는 구조이면서 접이를 이루는 기술적 구성이 본 발명과는 상이함을 알 수 있고, 등록특허 10-0650950의 경우, 욕조 자체의 접이가 아닌 욕조 전체의 접이로 이루어져 접이 구현이 본 발명과 다르고 접이를 이루는 구성부도 상이함과 아울러 이 욕조 또한 물건을 거치하기란 불가능한 구조임을 알 수 있으며, 등록특허 10-0723347의 경우, 욕실 측벽에 다단으로 형성된 매립홈에 욕조를 슬라이드하여 밀어넣는 구조로 구성되어 욕실 내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본 발명의 접이 기술과는 상이하고, 이 욕조 또한 물건을 거치할 수 없는 구조를 갖게 되고, 공개특허 10-2009-0060860의 경우, 욕조가 바닥부재, 측면부재, 전후면부재 모두가 분리가능하고, 상기 전후면부재가 연결바에 의한 연결로 전면부재가 후면부재 상단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접이를 이루면서 욕실내 공간을 활용하는 기술이지만 욕조의 바닥부재, 측면부재, 전후면부재 모두가 분리가능한 점에서 본 발명과는 상이하고, 이 또한 욕실 내 기타 물건들을 거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420838호, 등록특허 제10-0650950호, 등록특허 제10-0723347호, 공개특허 제10-2009-0060860호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함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활용을 갖는 공동주택용 욕조는, 욕실 내에서 욕조의 접이를 이루게 하여 욕실 내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아울러 접이된 욕조는 기타 욕실 내에 필요한 물건들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함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활용을 갖는 공동주택용 욕조는, 분리되어 서로 접이가능한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펼침시 좌우측부를 차폐하는 막음판부재로 이루어진 욕조와;
상기 욕조의 바닥부재 중 어느 하나의 바닥부재 좌우측 단부를 힌지로 연결하여 바닥부재의 접이시 회동하는 바닥부재를 지지하는 써포트와;
상기 바닥부재의 좌우편을 차폐하는 막음판부재가 수압에 의해 탈거됨을 방지하도록 막음판부재를 바닥부재에 가압체결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간활용을 갖는 공동주택의 욕조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부재는,
써포트 하단봉에 일체된 체결편의 장공에 삽입되어 힌지되도록 좌우편 일측단부로 돌출을 이룬 돌기봉, 좌우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막음판부재의 돌조부를 끼움체결하는 제1 요홈조, 분리된 두개의 바닥부재를 연결하여 접이를 이루도록 두 바닥부재의 좌우편 타측 단부에 각각 힌지로 연결된 채 힌지핀 연결로 소정의 유격을 가지면서 연결을 이루게 되는 장공을 형성한 한쌍의 힌지편, 두 바닥부재가 합치되는 면 상부가 각각 소정의 경사로 이루어져 두 바닥부재의 펼침시 두 바닥부재가 V형을 이루며 연결되도록 하는 경사면, 두 바닥부재 중 어느 하나의 바닥부재 경사면 길이를 따라 돌출되어 나머지 하나의 바닥부재 경사면 길이를 따라 형성된 제2 요홈조에 끼움체결되는 돌기부, 다른 하나의 바닥부재 경사면 길이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를 끼움체결하는 제2 요홈조, 상기 두 바닥부재의 경사면이 서로 가압하는 상태로 접지를 이루게 두 바닥부재의 저부 단부에 구비되어 바닥부재의 높낮이 조절을 이루게 하는 조절구, 두 바닥부재가 서로 접이를 이룸시 펼침 방지를 위해 두 바닥부재 중 어느 하나의 바닥부재 일측면에 돌기된 돌기에 힌지되고 나머지 하나의 바닥부재 일측면에 돌기된 걸림돌기에 걸림을 이루는 후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재의 펼침시 바닥부재 좌우편을 차폐하는 막음판 부재는, 펼쳐진 채 두 경사면이 접지되어 V형태로 펼쳐진 상태의 바닥부재에 형성된 제1 요홈조에 끼움체결되는 돌출된 한쌍의 돌조부와; 바닥부재의 두 경사면이 접지일 경우 두 경사면 하부인 바닥부재의 양단부 벌어짐을 기밀히 밀폐하는 상기 한쌍의 돌조부 상부에 마련된 돌기고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부재의 제1,2 요홈조 및 돌기부와 막음판부재의 돌조부에는 기밀한 밀폐에 의해 누수 방지를 이룰 수 있는 방수고무재를 더 부가하여 접착하는 공간활용을 갖는 공동주택의 욕조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써포트는 상하단에 미끌림 방지를 이루며 천장과 욕실 바닥에 기밀히 접착되는 흡착고무판과, 하단봉에 일체되어 어느 하나의 바닥부재 돌기봉을 힌지 연결한 채 상기 바닥부재의 회동 젖힘을 가능하도록 장공을 형성한 체결편으로 이루어지고,
가압부재는, 막음판 부재의 저부 및 측부와 두 바닥부재의 저부 및 측부에 각각 제1 볼트체결편과 제2 볼트체결편을 마련하여 상기 제1 볼트체결편과 제2 볼트체결편에 삽입되는 장볼트의 회동으로 막음판부재와 두 바닥부재간의 가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수압에 따른 막음판부재의 탈거를 방지하는 공간활용을 갖는 공동주택의 욕조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활용을 갖는 공동주택용 욕조는, 욕조의 접이를 이루게 함으로써 욕실 내 공간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접이된 욕조는 기타 욕실 내에 필요한 물건들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이 욕실 내에 펼침 상태로 결합을 이룬 욕조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욕조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욕조 접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욕조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욕조(10)는 두 개의 바닥부재(11)가 접이와 펼침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바, 이러한 두 바닥부재(11)의 접이와 펼침을 이루기 위해서는, 욕실 코너쪽에서 천장과 욕실 바닥에 지지하며 기립하는 한쌍의 써포트(40)가 마련되고, 상기 써포트(40)의 상하단부에는 흡착고무판(41)이 마련되며, 상단봉과 하단봉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하단의 흡착고무판(41)이 천장과 욕실 바닥부를 기밀하게 밀착하며 지지하고, 하단봉에 일체로 마련된 장공(42a)을 형성한 체결편(42)에서 상기 두 바닥부재(11) 중 어느 하나의 바닥부재(11)를 힌지 연결한다.
즉 상기 어느 하나의 바닥부재(11) 좌우편 일측부에 돌설된 돌기봉(12)이 써포트(40)의 체결편(42) 장공(42a)에 수용된 채로 체결되어 바닥부재(11)의 회동을 이루고, 두 바닥부재(11)가 힌지되어 접이를 이룸에 있어서는, 두 바닥부재(11)의 각 좌우측에 마련되는 힌지된 한쌍의 힌지편(15)과, 상기 힌지편(15)에 형성된 장공(15a)에 힌지핀(16) 체결에 의해 두 바닥부재(11)의 힌지연결에 따른 접이가 이루어진다.
아울러, 두 바닥부재(1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편 측부에 제1 요홈조(13)를 형성하여 두 바닥부재(11)가 펼쳐질 시에 바닥부재(11) 좌우편 개방부를 차폐하는 막음판부재(30)의 돌조부(31)를 끼움체결하기 위함이고, 이때 상기 제1 요홈조(13)와 돌조부(31)에는 방수고무재(60)를 부가 접착하여 기밀하게 밀폐됨으로써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방수고무재(60)는 리벳(14)에 의해 접착체결될 수 있고, 이 리벳(14)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기타의 체결구 등을 이용하여 접착체결할 수도 있다.
또한, 두 바닥부재(11)가 서로 합치디는 양면 상부는 각각 경사면(18)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18) 중 어느 하나의 경사면(18) 길이에 따라 돌기부(19)를 형성하며, 나머지 하나의 경사면(18) 길이에 따라 제2 요홈조(2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돌기부(19)와 제2 요홈조(20)의 끼움체결로 펼쳐진 상태의 두 바닥부재(11) 연결을 이룬다. 이때의 상기 돌기부(19)와 제2 요홈조(20)에도 기밀한 밀폐에 의해 누수를 방지하도록 방수고무재(60)의 부가적 접착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 돌기부(19)와 제2 요홈조(20)가 끼움체결될 시 서로 가압됨을 이루도록 두 바닥부재(11)의 저부 양단부에 형성된 조절구(21)의 렌치삽입공(21a)으로 렌치를 삽입하여 회동함으로써 높이 조절이 됨에 따라 두 경사면(18)의 접지에 가압력을 제공하게 되고 상기 돌기부(19)와 제2 요홈조(20)의 끼움체결에도 가압력을 제공함에 따라 기밀한 접촉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목욕하는 자의 무게 하중에 의해서도 더욱 가압을 받은 채로 기밀한 접촉을 이룰 수 있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두 바닥부재(11)의 펼침시에 두 바닥부재(11)는 상기 두 경사면(18)의 기밀한 접촉에 의하여 V형의 펼침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두 바닥부재(11)의 펼침시나 접이시 상기 대향된 두 힌지편(15) 모두는 바닥부재(11)와 힌지된 상태로 연결되고 장공(15a)을 형성함은 두 바닥부재(11)의 펼침과 접이 동작시 소정의 유격이 발생함으로서 이 유격을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기 때문이다.
두 바닥부재(11)가 접이될 시에는 두 바닥부재(11)의 양 경사면(18) 쪽이 상방향으로 솟게 되면서 접이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접이된 두 바닥부재(11)가 펼쳐짐을 방지하도록 두 바닥부재(11) 중 어느 하나의 바닥부재(11)에 돌출된 돌기(22)와 나머지 하나의 바닥부재(11)에 돌출된 걸림돌기(24)를 마련한 상태에서 상기 돌기(22)에 일측단부가 힌지된 후크부(23)의 타단부를 상기 걸림돌기(24)에 걸어 두 바닥부재(11)의 펼침을 방지하게 된다.
두 바닥부재(11)의 바닥에는 배수를 이루기 위하여 배수구(25)가 설치된다.
한편, 두 바닥부재(11)의 좌우편 개방부를 차폐하는 막음판부재(30)는 두 바닥부재(11)에 형성된 제1 요홈조(13)와 동일하게 한쌍의 돌조부(31)를 마련하게 되고, 상기 돌조부(31)의 중앙 상부에는 돌기고무(32)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돌조부(31)는 두 바닥부재(11)의 펼침시 V형을 이룰 때에 제1 요홈조(13)에 끼움체결되고, 돌기고무(32)는 두 바닥부재(11)의 양 경사면(18) 접촉시 경사면(18) 하부방향의 벌어진 공간부를 기밀히 밀폐함으로써 막음판부재(30)가 펼쳐진 두 바닥부재(11)의 좌우편 개방부를 차폐하게 된다.
상기 돌조부(31)와 제1 요홈조(13) 역시 기밀한 밀폐를 이루도록 방수고무재(60)가 부가 접착됨을 이룬다.
이때 물이 욕조(10)에 가득차면 수압에 의해 막음판부재(30)가 두 바닥부재(11)로부터 탈거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막음판부재(30)의 저부 및 양측부와 두 바닥부재(11)의 저부 및 양측부에 각각 제1 볼트체결편(51)과 제2 볼트체결편(52)을 마련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볼트체결편(51)과 제2 볼트체결편(52)에 장볼트(53)를 삽입회동함으로써 막음판부재(30)와 두 바닥부재(11) 간의 체결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막음판부재(30)의 탈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욕조는, 욕실 내에서 접이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욕실 내부의 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고, 접이된 상태의 욕조는 기립됨을 이루기 때문에 욕실 내부의 기타 다른 물건들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욕조
11:바닥부재, 12:돌기봉, 13:제1요홈조,
14:리벳, 15:힌지편, 15a:장공, 16:힌지핀,
18:경사면, 19:돌기부, 20:제2 요홈조, 21:조절구,
21a:렌치삽입공, 22:돌기, 23:후크부, 24:걸림돌기, 25:배수구
30:막음판부재, 31:돌조부, 32:돌기고무,
40:써포트, 41:흡착고무판, 42:체결편, 42a:장공,
50:가압부재, 51:제1 볼트체결편, 52:제2 볼트체결편, 53:장볼트
60:방수고무재

Claims (3)

  1. 분리되어 서로 접이가능한 바닥부재(11), 상기 바닥부재의 펼침시 좌우측부를 차폐하는 막음판부재(30)로 이루어진 욕조(10)와; 상기 욕조(10)의 바닥부재(11) 중 어느 하나의 바닥부재 좌우측 단부를 힌지로 연결하여 바닥부재의 접이시 회동하는 바닥부재를 지지하는 써포트(40)와; 상기 바닥부재(11)의 좌우편을 차폐하는 막음판부재(30)가 수압에 의해 탈거됨을 방지하도록 막음판부재를 바닥부재에 가압체결하는 가압부재(50)를;포함하며,
    상기 써포트(40)는 상하단에 미끌림 방지를 이루며 천장과 욕실 바닥에 기밀히 접착되는 흡착고무판(41)과, 하단봉에 일체되어 어느 하나의 바닥부재(11) 돌기봉(12)을 힌지 연결한 채 상기 바닥부재의 회동 젖힘을 가능하도록 장공(42a)을 형성한 체결편(42)으로 이루어지고,
    가압부재(50)는, 막음판부재(30)의 저부 및 측부와 두 바닥부재(11)의 저부 및 측부에 각각 제1 볼트체결편(51)과 제2 볼트체결편(52)을 마련하여 상기 제1 볼트체결편(51)과 제2 볼트체결편(52)에 삽입되는 장볼트(53)의 회동으로 막음판부재(30)와 두 바닥부재(11) 간의 가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수압에 따른 막음판부재(30)의 탈거를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활용을 갖는 공동주택의 욕조.
  2. 제1항에 있어서, 바닥부재(11)는,
    써포트(40) 하단봉에 일체된 체결편(42)의 장공(42a)에 삽입되어 힌지되도록 좌우편 일측단부로 돌출을 이룬 돌기봉(12), 좌우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막음판부재(30)의 돌조부(31)를 끼움체결하는 제1 요홈조(13), 분리된 두개의 바닥부재를 연결하여 접이를 이루도록 두 바닥부재의 좌우편 타측 단부에 각각 힌지로 연결된 채 힌지핀(16) 연결로 소정의 유격을 가지면서 연결을 이루게 되는 장공(15a)을 형성한 한쌍의 힌지편(15), 두 바닥부재가 합치되는 면 상부가 각각 소정의 경사로 이루어져 두 바닥부재의 펼침시 두 바닥부재가 V형을 이루며 연결되도록 하는 경사면(18), 두 바닥부재 중 어느 하나의 바닥부재 경사면 길이를 따라 돌출되어 나머지 하나의 바닥부재 경사면 길이를 따라 형성된 제2 요홈조(20)에 끼움체결되는 돌기부(19), 상기 나머지 하나의 바닥부재(11) 경사면(18) 길이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19)를 끼움체결하는 제2 요홈조(20), 상기 두 바닥부재(18)의 경사면(18)이 서로 가압하는 상태로 접지를 이루게 두 바닥부재의 저부 단부에 구비되어 바닥부재의 높낮이 조절을 이루게 하는 조절구(21), 두 바닥부재가 서로 접이를 이룸시 펼침 방지를 위해 두 바닥부재 중 어느 하나의 바닥부재 일측면에 돌기된 돌기(22)에 힌지되고 나머지 하나의 바닥부재 일측면에 돌기된 걸림돌기(24)에 걸림을 이루는 후크부(23), 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재(11)의 펼침시 바닥부재 좌우편을 차폐하는 막음판부재(30)는, 펼쳐진 채 두 경사면(18)이 접지되어 V형태로 펼쳐진 상태의 바닥부재에 형성된 제1 요홈조(13)에 끼움체결되는 돌출된 한쌍의 돌조부(31)와; 바닥부재의 두 경사면이 접지일 경우 두 경사면 하부인 바닥부재의 양단부 벌어짐을 기밀히 밀폐하는 상기 한쌍의 돌조부(31) 상부에 마련된 돌기고무(3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부재(11)의 제1,2 요홈조(13)(20) 및 돌기부(19)와 막음판부재(30)의 돌조부(31)에는 기밀한 밀폐에 의해 누수 방지를 이룰 수 있는 방수고무재(60)를 더 부가하여 접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활용을 갖는 공동주택의 욕조.
  3. 삭제
KR1020120087695A 2012-08-10 2012-08-10 공간활용을 갖는 공동주택용 욕조 KR101245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695A KR101245377B1 (ko) 2012-08-10 2012-08-10 공간활용을 갖는 공동주택용 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695A KR101245377B1 (ko) 2012-08-10 2012-08-10 공간활용을 갖는 공동주택용 욕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5377B1 true KR101245377B1 (ko) 2013-03-19

Family

ID=4818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695A KR101245377B1 (ko) 2012-08-10 2012-08-10 공간활용을 갖는 공동주택용 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3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329U (ja) * 1997-10-23 1998-05-06 明伸興産株式会社 組立式浴槽
JP2002085507A (ja) * 2000-09-12 2002-03-26 Tentomu Corporation:Kk 折りたたみ式入浴バス
KR200272566Y1 (ko) * 2001-12-12 2002-04-19 김승근 간이 욕조
KR20110054085A (ko) * 2009-11-17 2011-05-25 조중현 접이식 욕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329U (ja) * 1997-10-23 1998-05-06 明伸興産株式会社 組立式浴槽
JP2002085507A (ja) * 2000-09-12 2002-03-26 Tentomu Corporation:Kk 折りたたみ式入浴バス
KR200272566Y1 (ko) * 2001-12-12 2002-04-19 김승근 간이 욕조
KR20110054085A (ko) * 2009-11-17 2011-05-25 조중현 접이식 욕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36987T3 (es) Aparato modular para la producción de armarios provisto con una estructura plástica
RU2019100846A (ru) Шкаф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шкафа
KR20160136683A (ko) 공중화장실 남자 소변기용 칸막이 고정 구조물
KR101245377B1 (ko) 공간활용을 갖는 공동주택용 욕조
KR200472125Y1 (ko) 가구의 사선형 다리 부착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경첩
CN110430783B (zh) 用于抽屉的面板结构
KR20120006945U (ko) 욕실용 선반기구
KR200464099Y1 (ko) 조립식 책상
KR20120122891A (ko) 이동식 박스 욕조
KR101240671B1 (ko) 거울 고정장치
KR20070002570A (ko) 휴대가능한 접이식 욕조
KR200472909Y1 (ko) 테이블 겸용 해먹 지지대
US20040070318A1 (en) Folding hanger closet
KR101166559B1 (ko) 접이식 식탁
JP2017110388A (ja) 取付部材の取付構造
JP5740571B2 (ja) 浴室構造
US8376155B1 (en) Hingedly adjustable two sided storage device
JP5584664B2 (ja) キャビネットの扉構造
KR200381735Y1 (ko) 코너 선반
JP2011041745A (ja) 洗濯機用脚カバー
KR200473975Y1 (ko) 가구용 받침다리
CN204105263U (zh) 壁挂式折叠柜
KR20190076191A (ko) 개폐식 고정클램프가 구비된 다용도 선반
US1635902A (en) Tub bench
KR200470100Y1 (ko)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