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2570A - 휴대가능한 접이식 욕조 - Google Patents

휴대가능한 접이식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2570A
KR20070002570A KR1020050058161A KR20050058161A KR20070002570A KR 20070002570 A KR20070002570 A KR 20070002570A KR 1020050058161 A KR1020050058161 A KR 1020050058161A KR 20050058161 A KR20050058161 A KR 20050058161A KR 20070002570 A KR20070002570 A KR 20070002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uter container
inner container
hing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은
Original Assignee
김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은 filed Critical 김성은
Priority to KR1020050058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2570A/ko
Publication of KR20070002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5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6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접이식 욕조에 있어서, 특히 쉽게 접을 수 있도록 비닐재질의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를 지지하는 합성수지재의 외부용기로 이루어져 이들을 쉽게 접어서 휴대하기 간편하고 아울러 어디에서나 적당한 공간만 있으면 욕조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접이식 욕조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오픈된 육면체 형태로서 내부에 물을 채우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부면 가장자리에 외부용기 결합구가 일정간격마다 설치된 내부용기와; 상부 및 하부가 오픈된 사각통 형태이며 다수개의 지지용 패널을 상호 연결하여 직사각형태의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직사각형태의 공간부에 내부용기를 장착하여 지지하며, 내부용기를 구성하는 외부용기 결합구를 상부면을 통해 체결토록 하여 내부용기와 결합되는 외부용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며;
본 발명의 휴대용 욕조는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고 동시에 어느 장소에나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여 욕조가 없는 집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야외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휴대, 접이, 욕조

Description

휴대가능한 접이식 욕조{A Folding Bathtub}
도 1은 본 발명의 외부용기 및 내부용기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음부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부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외부용기를 접는 것을 설명하는 접이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의 접이식 욕조 휴대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물 20: 연결호스
100: 내부용기 110: 외부용기 결합구
200: 외부용기 210: 지지용 패널
220: 이음용 힌지 230: 경첩
240: 결합핀 241: 이송구
242: 슬라이딩 홈 250: 결합홈
260: 손잡이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접이식 욕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쉽게 접을 수 있도록 비닐재질의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를 지지하는 합성수지재의 외부용기로 이루어져 이들을 쉽게 접어서 휴대하기 간편하고 아울러 어디에서나 적당한 공간만 있으면 욕조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접이식 욕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욕조라 함은 목욕을 위한 물을 저장하는 통으로 통상 욕실 내에 설치되어 전신욕, 반신욕, 세탁 등의 용도로 널리 이용된다.
최근에는 신체의 절반, 즉 명치 끝 아래 부분을 따뜻한 물에 담금으로써 건강 증진, 질병 예방, 다이어트 등에 효과가좋은 반신욕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동양의학에서 '냉'은 만변의 근원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이러한 냉은 하반신 특히, 발목 아래가 보통 이상으로 저온 상태이고 상반신은 더운 상태로서, 이와 같은 냉이 만병의 근원인 이유는 냉으로 인해 혈액 순환장애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병을 고치거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우선 몸 안의 냉을 해소시켜 냉이 없는 상태를 만들지 않으면 안되고, 그 가장 좋은 방법이 명치 아래부분을 미지근한 물에 담그는 반신욕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반신욕은 '냉'에 대한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몸 속의 독소를 제거함으로써, 불면증, 고혈압, 다이어트, 감기치료 등에 매우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증명된 건강증진법이다.
이러한 반신욕은 적정량의 미지근한 물(대략 37 ~39℃)이 저장된 욕조 내에 신체의 명치 아래부분만을 물에 담겨 실시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욕조는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나 합성수지 및 대리석 등으로 이루어지고, 이동이 불가능한 고정식으로 이루어지며, 종래 욕조에 대한 구조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소정크기의 수납부가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배수를 위한 배출구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욕조는 지정된 장소(욕실)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동이 불가능하고,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나 합성수지 및 대리석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중량이 무겁고 질감이 딱딱하여 신체부위 접촉시 타박상을 입게 되며, 특히, 노약자 및 장애인들의 경우에는 사용시 많은 불편함이 수반되었다.
또한, 종래의 욕조는 재질(합성수지 및 금속재)특성상 수분에 의한 미끄럼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잦은 안전사고가 발생되었으며, 대리석으로 이루어진 욕조의 경우에는 제품단가가 너무 고가이므로 보편화되지 못한 폐단을 안고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튜브형 임시욕조가 개발되어 있으나, 상기 튜브형 임시욕조는 공기를 불어넣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시 공기를 빼는 것도 어려우며, 특히 튜브를 완전하게 말리기가 어려워 그다지 사용이 많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휴대가 간편하면서 동시에 보관 및 이동이 간편한 접이식 욕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상부가 오픈된 육면체 형태로서 내부에 물을 채우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부면 가장자리에 외부용기 결합구가 일정간격마다 설치된 내부용기와; 상부 및 하부가 오픈된 사각통 형태이며 다수개의 지지용 패널을 상호 연결하여 직사각형태의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직사각형태의 공간부에 내부용기를 장착하여 지지하며, 내부용기를 구성하는 외부용기 결합구를 상부면을 통해 체결토록 하여 내부용기와 결합되는 외부용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를 구성하는 외부용기 결합구는 중앙에 홈을 형성한 요철형태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를 구성하는 지지용 패널은 상하부에 힌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힌지홈에 결합되는 힌지핀을 갖는 이음용 힌지를 더 결합하여 지지용 패널 사이를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를 구성하는 지지용 패널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상기 패널을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경첩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를 구성하는 지지용 패널의 중앙에는 내부 압력에 의해서 외부용기가 외부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널의 일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결합핀과, 패널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핀이 삽입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핀의 몸체에 연장되면서 외부로 돌출되어 결합핀을 결합홈에 삽입하 거나 이탈시키는 이송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부용기 및 내부용기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음부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부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외부용기를 접는 것을 설명하는 접이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의 접이식 욕조 휴대 상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로 이루어 진다.
상기 내부용기(100)는 상부가 오픈된 직육면체 형태로서 그 내부에는 물을 채우는 공간으로 활용하며, 사용이 끝나면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두꺼운 비닐재질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100)의 상부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외부용기 결합구(110)를 형성하여 외부용기(200)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내부용기(100)에는 연결호스(20)가 더 부가되어 있어 물을 사용후 상기 연결호스(20)를 통해 배수하게 되며, 내부용기의 내측에 물을 받기 위한 개폐구조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개폐구조는 일반적인 기술사상이기 때문에 도시를 생략하였다. 미설명부호 30은 외부용기(200)에 형성되는 연결호스(20) 배출홀로써 필요시 외부용기(200)의 배출홀(30)에 연결호스(20)를 끼워 사용한다.
상기 외부용기(200)는 사각형태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패널(210)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며, 직사각통 형태로 이루어져 직사각형태의 내부 공간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직사각통 형태의 내부공간에 내부용기(100)가 결합된다.
상기 외부용기(200)는 필요에 따라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지지용패널(210)에 힌지구조를 형성하는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힌지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첫번째 힌지구조는 패널(210)의 상부양측과 하부양측에 힌지홈(211)을 형성하고, 각 패널을 맞댄후에 양측에 힌지핀(221)을 갖는 이음용힌지(220)를 상기 힌지홈(211)에 결합하여 패널(210)을 연결시켜 나간다.
그러면, 지지용 패널(210)을 180도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 되는바, 평평하게 펴서 내부용기(100)를 지지용 패널 내부에 장착할 수도 있고, 또한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순차접어서 간단한 운반하기 용이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용 패널(210)의 상부면은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는바, 이는 내부용기(100)를 구성하는 외부용기 결합구(110)의 형태가 중앙에 홈을 형성한 요철형태이기 때문이며, 상기 홈이 외부용기(200)의 상부쪽에 걸쳐지면서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가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두번째 힌지구조는 패널의 상부와 하부에 경첩(230)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는바, 각각의 패널(210)을 맞댄 후 경첩(230)을 설치하여 조립하게 되면 상기 경첩의 역할로 인하여 자유롭게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4개의 지지용 패널을 구비할 경우에 첫번째 경첩과 세번째 경첩은 외부면에 설치하고 두번째 경첩은 내부면에 설치하여 첫번째 경첩과 세번째 경첩은 내측으로 접히고 두번째 경첩은 외측으로 접히면서 패널을 순차적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에는 이러한 동작을 도시하고 있는바, 이음용 힌지(220)나 경첩(230) 모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따라서 접었을때에는 패널을 차곡차곡 쌓아올린 형태가 되며, 폈을 때에는 패널이 연결되어 사각통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를 결합후 내부용기에 물(10)을 채우게 되면 압력이 세져 외부용기(200)의 지지용 패널(210)이 외부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지용 패널 사이에 보강대를 삽입하는 구성을 하였는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의 일측에는 결합핀(240)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결합홈(250)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핀(240)을 결합홈(250)에 삽입함으로써 지지용 패널(210)이 외부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결합핀(240)의 구조를 살펴보면, 본원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핀이 돌출되도록 설계하였으며, 일측에 외부로 돌출되는 이송구(241)를 더 설치하여 상기 이송구(241)를 좌우로 움직여 결합핀이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유동되도록 하였으며, 이에 따라 이송구(241)를 좌측으로 움직이면 결합홈(250)에 결합핀(240)이 삽입되고 우측으로 움직이면 결합핀(240)이 결합홈(25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였다.
즉, 외부용기(200)에 내부용기(100)를 결합 후 물(10)을 채워넣을 때에는 지지용패널(210)을 펴서 사각통으로 만든다음에 상기 결합핀(240)을 좌측으로 움직여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단단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다 사용후에 외부용기(200)를 접을 때에는 오른쪽으로 결합핀을 움직여 결합홈(250)으로부터 해제후 접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송구(241)의 움직임을 한정하기 위하여 슬라이딩홈(242)을 형성하며, 상기 이송구(241)는 슬라이딩홈(242)의 영역만을 움직일 수가 있어, 결합핀(240)을 결합홈(250)에 삽입하는 깊이를 한정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내부용기는 손으로 말아서 접도록 하고, 외부 용기는 합성수지 또는 나무등으로 이루어져 접었다 폈다 할 수 있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에 설치한 손잡이(260)를 이용하여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며, 필요한 지점에 쉽게 설치하여 욕조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쉽게 철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욕조는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고 동시에 어느 장소에나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여 욕조가 없는 집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야외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5)

  1. 상부가 오픈된 육면체 형태로서 내부에 물을 채우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부면 가장자리에 외부용기 결합구가 일정간격마다 설치된 내부용기와;
    상부 및 하부가 오픈된 사각통 형태이며 다수개의 지지용 패널을 상호 연결하여 직사각형태의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직사각형태의 공간부에 내부용기를 장착하여 지지하며, 내부용기를 구성하는 외부용기 결합구를 상부면을 통해 체결토록 하여 내부용기와 결합되는 외부용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한 접이식 욕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를 구성하는 외부용기 결합구는 중앙에 홈을 형성한 요철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한 접이식 욕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를 구성하는 지지용 패널은 상하부에 힌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힌지홈에 결합되는 힌지핀을 갖는 이음용 힌지를 더 결합하여 지지용 패널 사이를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한 접이식 욕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를 구성하는 지지용 패널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상기 패널을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경첩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한 접이식 욕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를 구성하는 지지용 패널의 중앙에는 내부 압력에 의해서 외부용기가 외부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널의 일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결합핀과, 패널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핀이 삽입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핀의 몸체에 연장되면서 외부로 돌출되어 결합핀을 결합홈에 삽입하거나 이탈시키는 이송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한 접이식 욕조.
KR1020050058161A 2005-06-30 2005-06-30 휴대가능한 접이식 욕조 KR20070002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161A KR20070002570A (ko) 2005-06-30 2005-06-30 휴대가능한 접이식 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161A KR20070002570A (ko) 2005-06-30 2005-06-30 휴대가능한 접이식 욕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056U Division KR200396010Y1 (ko) 2005-06-30 2005-06-30 휴대가능한 접이식 욕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570A true KR20070002570A (ko) 2007-01-05

Family

ID=3786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161A KR20070002570A (ko) 2005-06-30 2005-06-30 휴대가능한 접이식 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257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4398A2 (ko) * 2009-09-21 2011-03-24 Ryu Jae Bek 이동식 욕조
KR20150083137A (ko) * 2006-11-07 2015-07-16 스토케 에이에스 접철식 욕조
KR102103979B1 (ko) * 2019-01-07 2020-04-23 한영관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KR102311327B1 (ko) * 2021-05-06 2021-10-13 주식회사 내작은행복 원터치 접이식 간이 욕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137A (ko) * 2006-11-07 2015-07-16 스토케 에이에스 접철식 욕조
WO2011034398A2 (ko) * 2009-09-21 2011-03-24 Ryu Jae Bek 이동식 욕조
WO2011034398A3 (ko) * 2009-09-21 2011-09-09 Ryu Jae Bek 이동식 욕조
KR102103979B1 (ko) * 2019-01-07 2020-04-23 한영관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WO2020145635A1 (ko) * 2019-01-07 2020-07-16 한영관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KR102311327B1 (ko) * 2021-05-06 2021-10-13 주식회사 내작은행복 원터치 접이식 간이 욕조
WO2022234882A1 (ko) * 2021-05-06 2022-11-10 주식회사 셀피알 원터치 접이식 간이 욕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17057B2 (en) A collapsible bathtub
KR20070002570A (ko) 휴대가능한 접이식 욕조
US8585162B2 (en) Recessed storage compartment
KR200396010Y1 (ko) 휴대가능한 접이식 욕조
KR100723347B1 (ko)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욕조
USD533667S1 (en) Massage table
KR20120122891A (ko) 이동식 박스 욕조
CN211534150U (zh) 一种柜体式洗手池
KR101534165B1 (ko)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
KR20200098014A (ko) 절첩형 온수 사우나장치
KR200154523Y1 (ko) 조립식 이동욕조
US8302219B2 (en) Portable and handicap accessible shower stall
US1264105A (en) Portable washstand.
KR200349604Y1 (ko) 휴대용 목욕통
CN212382545U (zh) 可折叠浴缸
CN218044886U (zh) 一种折叠式按摩淋浴房
CN201139494Y (zh) 多功能坐浴器
TWI540992B (zh) Refurbished storage tub
WO2018213981A1 (zh) 翻折式洗手盆
KR101590760B1 (ko) 절첩식 욕조
ITRM20110163A1 (it) Vasca da bagno reversibilmente estendibile.
JP6306824B2 (ja) 収納用間仕切壁
KR200352060Y1 (ko) 반신욕에 적합한 조립식 욕조
KR100928962B1 (ko) 장애우용 조립욕조
KR101245377B1 (ko) 공간활용을 갖는 공동주택용 욕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