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165B1 -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 - Google Patents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165B1
KR101534165B1 KR1020130061134A KR20130061134A KR101534165B1 KR 101534165 B1 KR101534165 B1 KR 101534165B1 KR 1020130061134 A KR1020130061134 A KR 1020130061134A KR 20130061134 A KR20130061134 A KR 20130061134A KR 101534165 B1 KR101534165 B1 KR 101534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horizontal portions
fixed
water storag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0368A (ko
Inventor
한명숙
Original Assignee
한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명숙 filed Critical 한명숙
Priority to KR1020130061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165B1/ko
Publication of KR20140140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6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내면에 제1,2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2수용부의 사방 모서리에는 각각 고정구가 설치되며, 상기 내면이 서로 대향되게 마주하여 접철되는 제1,2덮개부재;와 상기 제1,2덮개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1,2하측 수평부는 고정구에 의해 제1,2덮개부재의 제1,2수용부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2상측 수평부는 고정구에 의해 제2,1덮개부재의 제2,1수용부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2하측 수평부와 제1,2상측 수평부의 양단을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제1,2연결부는 중앙이 이분되어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 삽입되어 신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2지지프레임;과 상부는 개방되고, 전후면의 상측과 하측은 각각 제1,2상측 수평부와 제1,2하측 수평부에 고정되며, 양측면은 제1,2연결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후면의 하단과 양측면의 하단을 서로 연결해주는 바닥면에는 개폐형 배수홀이 형성된 저수부재;를 포함하는 것과 관련된다.

Description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Collapsible portable bathtub}
본 발명은 욕조를 공간의 제약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접철되는 이동식 욕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조는 욕실 등에 설치되어 목욕 등을 위한 저수의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대리석이나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만들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저수의 공간이 구비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욕조가 욕실에 설치되는 경우 욕실의 내부의 어느 한 공간에 설치되어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며,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면서 욕실의 바닥에 이동 불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욕조를 욕실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욕실의 전체적인 공간의 크기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욕실에 설치되는 욕조로 인하여 욕실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공간의 제약을 받게 되는 경우 욕조의 설치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욕실의 크기가 어느 정도 확보되는 중대형의 주택인 경우 욕조가 설치되더라도 욕실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동선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지만 원룸이나 오피스텔과 같은 소형의 주택인 경우 욕조가 설치될 수 있을 정도로 욕실을 크게 설계할 수 없기 때문에 세면대와 변기가 기본적으로 설치되면서 욕조 없이 샤워기가 추가로 설치되거나, 경우에 따라 샤워를 편이성을 위해 욕조 없이 부스가 마련되는 샤워부스가 설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욕조를 이용하여 전신욕 또는 반신욕 등을 하기 위한 입욕의 욕구가 증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소형의 주택에서도 욕조를 사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좁은 욕실공간에 설치된 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조립식의 욕조가 다양한 형태로 제시된 바 있으며,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10-2010-0057160호는 "접이식 욕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접이식 욕조는 욕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욕조를 접철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구성부품의 수도 많으며, 접철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벽면에 고정됨 따라 다른 공간으로의 이동이 어려워 욕조의 효율성 및 기능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간단하면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욕조를 접철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욕조의 제작성 및 접첩 기능성을 높이고, 필요한 공간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도 있어 욕조 사용의 효율성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는, 내면에 제1,2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2수용부의 사방 모서리에는 각각 고정구가 설치되며, 상기 내면이 서로 대향되게 마주하여 접철되는 제1,2덮개부재; 상기 제1,2덮개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1,2하측 수평부는 고정구에 의해 제1,2덮개부재의 제1,2수용부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2상측 수평부는 고정구에 의해 제2,1덮개부재의 제2,1수용부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2하측 수평부와 제1,2상측 수평부의 양단을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제1,2연결부는 중앙이 이분되어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 삽입되어 신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2지지프레임; 상부는 개방되고, 전후면의 상측과 하측은 각각 제1,2상측 수평부와 제1,2하측 수평부에 고정되며, 양측면은 제1,2연결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후면의 하단과 양측면의 하단을 서로 연결해주는 바닥면에는 개폐형 배수홀이 형성된 저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덮개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끝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힌지결합되며 고정부로부터 상하회전이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회전부로 이루어진 고정부재가 더 포함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제1,2덮개부재의 접철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부의 상면을 일정한 폭으로 감싸면서 설치되어 고정부를 따라 전후이동되면서 상기 힌지부의 상향 회전을 제어하는 슬라이딩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부의 이분된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끝단 외주면에는 대향된 전후면을 관통하는 장방형 관통공을 각각 형성하고, "X" 형태로 서로 교차하는 제1,2연결부 관통공들의 교차지점에는 상기 제1,2연결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부재가 수직 관통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재의 전후면 상측과 하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환형의 장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를 통해 저수부재가 제1,2지지프레임의 제1,2상측 수평부와 제1,2하측 수평부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2지지프레임의 제1,2상측 수평부 및 제1,2하측 수평부의 끝단이 제1,2연결부의 상단 및 하단과 각각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2상측 수평부 및 제1,2하측 수평부의 끝단과 제1,2연결부의 상단 및 하단은 연결구에 의해 서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저수부재의 바닥면에는 완충기능을 가지는 패드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패드부재는 단열기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일측에는 하부가 "V" 형을 이루는 끼움부를 돌출 형성하고, 타측에는 평면의 받침부가 형성된 받침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받침부재의 끼움부가 상기 제1,2덮개부재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제1,2덮개부재의 접철을 통해 욕조의 전체적인 크기를 간단하면서 간편하게 가변시킬 수 있어 욕조의 보관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욕조의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설치와 분해가 간단하여 내부 청소 및 구성부품의 교체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소형 주택 등의 협소한 욕실 공간에서 공간활용도를 높이면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발명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식 욕조의 접어진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식 욕조의 펼쳐진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식 욕조의 접어진 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3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식 욕조의 펼쳐진 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식 욕조의 제1,2지지프레임의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욕조의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욕조에 구비된 저수부재의 접히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욕조의 고정수단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의 구성을 보면본 발명은 한 쌍의 제1덮개부재와 제2덮개부재와, 제1,2덮개부재의 내부에 내재되는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과, 제1,2지지프레임에 고정되며 제1,2지지프레임과 함께 제1,2덮개부재에 내재되는 저수부재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에 대해 예시된 도면을 동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2덮개부재(100)(200)는,
도 1 과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2지지프레임(300)(400)과 저수부재(500)를 내부에 수용하며, 서로 대향 되게 마주한 상태에서 내면이 접면되면서 접어지거나 내면이 벌어지면서 서로 이격되어 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바람직하게 제1,2덮개부재(100)(200)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사각의 함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제1,2덮개부재(100)(200)의 내면은 개방되어 제1,2수용부(110)(210)를 이룸으로써, 이러한 제1,2수용부(110)(210)에 제1,2지지프레임(300)(400)과 저수부재(500)가 수용된다.
제1,2덮개부재(100)(200)의 재질은 어느 하나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금속 또는 사기 또는 대리석 또는 원목 또는 고무 등의 재질이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경량화와 청소의 용이함 및 제작 원가 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의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덮개부재(100)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손을 집어넣어 파지한 상태에서 제1덮개부재(100)를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홈(112)이 형성되며, 이러한 손잡이홈(112)은 제2덮개부재(200)와 접면되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제1덮개부재(100)를 제2덮개부재(200)로부터 이격시켜 펼치거나, 제2덮개부재(200)와 이격되어 펼쳐져 있는 제1덮개부재(100)를 제2덮개부재(200)에 접면시켜 접을 때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손잡이홈(112)은 제2덮개부재(20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손잡이홈(112)이 제1덮개부재(100)와 제2덮개부재(200)의 외측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는데, 손잡이홈(112)이 제1덮개부재(100)와 제2덮개부재(200)의 외측면 모두에 형성될 경우에는 사용자는 제1덮개부재(100) 또는 제2덮개부재(200)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잡아당기거나 미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제1덮개부재(100)와 제2덮개부재(200)의 외측면 모두에 형성되는 손잡이홈(112)을 동시에 잡고 제1덮개부재(100)와 제2덮개부재(200)를 들어올리거나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때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제1,2지지프레임(300)(400)은,
도 3a 와 도 3b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2덮개부재(100)(200)의 내부에 수용되며, 저수부재(500)를 지지 및 고정해주는 것으로서, 제1지지프레임(300)의 제1하측 수평부(310)는 제1덮개부재(100)의 제1수용부(110) 저면에 위치되고, 제1지지프레임(300)의 제1상측 수평부(320)는 제2덮개부재(200)의 제2수용부(210) 상면에 위치되며, 제1하측 수평부(310)의 양단과 제1상측 수평부(320)의 양단은 각각 제1연결부(330)에 의해 연결되면서 제1지지프레임(300)은 제1,2덮개부재(100)(200)의 제1,2수용부(110)(210) 내부에서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2지지프레임(400)의 제2하측 수평부(410)는 제2덮개부재(200)의 제2수용부(210) 저면에 위치되고, 제2지지프레임(400)의 제2상측 수평부(420)는 제1덮개부재(100)의 제1수용부(110) 상면에 위치되며, 제2하측 수평부(410)의 양단과 제2상측 수평부(420)의 양단은 각각 제2연결부(430)에 의해 연결되면서 제2지지프레임(400) 또한 제1,2덮개부재(100)(200)의 제1,2수용부(110)(210) 내부에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제1,2덮개부재(100)(20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1지지프레임(300)과 제2지지프레임(400)이 대략 "X" 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제1,2지지프레임(300)(400)과 제1,2덮개부재(100)(200)와의 연결은 제1,2덮개부재(100)(200)의 제1,2수용부(110)(210) 저면 양측과 상면 양측에 호형의 걸림홈(111a)(211a) 구비되는 고정구(111)(211)가 각각 설치됨에 따라 제1,2지지프레임(300)(400)의 제1,2하측 수평부(310)(410)와 제1,2상측 수평부(320)(420)가 각각 고정구(111)(211)의 걸림홈(111a)(211a)에 탈착이 가능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제1,2하측 수평부(310)(410)와 제1,2상측 수평부(320)(420)가 자체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는 제1,2덮개부재(100)(200)의 접혀짐과 펼쳐짐에 따른 과정에서 제1,2지지프레임(300)(400)의 제1,2연결부(330)(430) 경사 각도가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2연결부(330)(430)에 고정된 제1,2하측 수평부(310)(410)와 제1,2상측 수평부(320)(420) 또한 자체적으로 회전을 하게 되므로 고정구(111)(211)가 이러한 회전에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한편, 제1,2덮개부재(100)(200)의 내부에 고정구(111)(211)를 통해 고정되는 제1,2지지프레임(300)(400)은 제1,2덮개부재(100)(200)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과정에서 제1,2연결부(330)(430)의 경사 각도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제1,2지지프레임(300)(400)의 제1,2연결부(330)(430)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경우 제1,2덮개부재(100)(200)가 접혀지게 되면 제1,2연결부(330)(430)가 세워지면서 경사 각도가 커지게 되어 제1,2연결부(330)(430)의 끝단이 제1,2수용부(110)(210)를 벗어나게 되므로 제1,2덮개부재(100)(200)가 서로 접면되도록 접혀질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제1,2연결부(330)(430)의 중앙 부위를 이분하여 제1,2연결부(330)(430) 중 이분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제1,2덮개부재(100)(200)가 접혀지는 과정에서 제1,2연결부(330)(430)가 세워지면서 경사 각도가 커지더라도 제1,2연결부(330)(43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제1,2연결부(330)(43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도면에는 예시되지 않았지만 제1,2연결부(330)(430)의 이분된 다른 하나의 내부 안쪽에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설치하면 외력에 의해 제1,2연결부(330)(430)의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로 삽입될 때 제1,2연결부(330)(430)의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 안쪽에 위치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받게 되며, 제1,2연결부(330)(430)의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의 내부로 삽입해주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받고 있던 어느 하나가 삽입 반대방향으로 탄발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1,2덮개부재(100)(200)가 내면이 접면되도록 서로 접혀지면 제1,2덮개부재(100)(200)의 내부에 위치한 제1,2지지프레임(300)(400)의 제1,2연결부(330)(430)가 완만하게 경사진 상태에서 급격하게 경사진 상태가 되면서 이분된 제1,2연결부(330)(430)의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로 삽입되어 전체적인 길이는 짧아지게 되고, 다른 하나의 내부에 위치한 탄성부재에 의해 어느 하나가 탄성력을 받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2덮개부재(100)(200)의 접혀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줄 수 있는 잠금수단(도면중 미도시)을 통해 제1,2덮개부재(100)(200)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필요에 의해 잠금수단이 해제되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에 의해 제1,2연결부(330)(430)의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로부터 탄발되면서 제1,2연결부(330)(430)의 길이가 다시 길어지고 다시 완만한 경사를 이루게 됨으로써 제1,2덮개부재(100)(200)의 펼쳐짐을 인위적인 작동 없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1,2연결부(330)(430)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로 한정될 필요없이 제1,2연결부(330)(430)의 길이가 신축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유압이나 공압을 이용한 실린더와 로드의 구조가 적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2연결부(330)(430)의 작동 효율성보다는 내구성의 향상을 위한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서, 제1,2연결부(330)(430)의 이분된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각 끝단 외주면에는 대향된 전후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장방형 관통공(331)(431)을 형성하여 다른 하나에 형성된 장방형 관통공(331)(431)과 다른 하나의 내부로 끼워지는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장방형 관통공(331)(431)이 서로 겹쳐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X" 형태로 서로 교차되는 제1,2연결부(330)(430)의 각 장방형 관통공(331)(431)에 연결부재(332)를 수직으로 관통시켜 힌지 결합함으로써, 서로 교차하는 제1,2연결부(330)(430)가 경사 각도의 변화에 따른 회전이 가능하면서 제1,2연결부(330)(430)가 연결부재(332)에 의해 함께 고정되어 제1,2지지프레임(300)(400)의 비틀림이나 처짐과 같은 변형이 방지되어 전체적인 강성이 더욱 커질 수 있으며, 물이 담기는 저수부재(500)를 지지함에 있어서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제1,2연결부(330)(430)는 각각 이분된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장방형 관통공(331)(431)이 겹친 상태에서 연결부재(332)가 수직으로 관통되어 있어 이분된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신축과정에서 연결부재(332)가 장방형 관통공(331)(431)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장방형 관통공(331)(431)의 크기에 따라 연결부재(332)의 이동 범위가 정해지면서 이분된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과도한 삽입 및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저수부재(500)는,
도 5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2지지프레임(300)(400)에 연결되어 제1,2덮개부재(100)(200)의 내부에 함께 수용되며, 물을 저수할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전면(510)과 후면(520)과 양측면(530)과 바닥면(540)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 함체의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저수부재(500)의 외형은 직사각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이 제1,2지지프레임(300)(400)에 고정되면서 제1,2덮개부재(100)(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물이 저장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한다면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저수부재(500)의 전면(510)과 후면(52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전술한 제1,2지지프레임(300)(400)의 제1,2상측 수평부(320)(420)와, 제1,2하측 수평부(310)(410)에 고정될 수 있는 장착부(550)가 구비됨에 따라 저수부재(500)의 전후 사방이 제1,2지지프레임(300)(400)에 고정되면서 저수부재(500)에 담기는 물의 흔들림 또는 저수부재(500)의 담겨진 물에 들어간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흔들림으로 인하여 저수부재(500)가 크게 유동되는 현상을 최소화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저수부재(500)는 전면(510)과 후면(520)과 양측면(530)과 바닥면(540)이 일체로 또는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방수처리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방수기능을 가지는 천이나 연질의 합성수지나 고무 등 유연성을 가지면서 접힐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저수부재(500)는 공기층이 내재 되는 이중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공기층은 저수부재(500)의 전면(510)과 후면(520)과 양측면(530)과 바닥면(540)에 전체적으로 내재되거나 부분적으로 내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저수부재(500)의 전면(510)과 후면(520)의 상단 및 하단에 구비되는 장착부(550)는 제1,2지지프레임(300)(400)의 제1,2상측 수평부(320)(420)와 제1,2하측 수평부(310)(4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2상측 수평부(320)(420)와 제1,2하측 수평부(310)(410)가 파이프 형상으로 예시됨에 따라 장착부(550)는 제1,2상측 수평부(320)(420)와 제1,2하측 수평부(310)(4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의 환형으로 구성된 것이며, 이러한 장착부(550)는 제1,2상측 수평부(320)(420)와 제1,2하측 수평부(310)(410)의 길이에 상응하여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서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장착부(550)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저수부재(500)와 제1,2지지프레임(300)(400) 간의 고정에 있어서, 장착부(550)에 의해 저수부재(500)가 제1,2지지프레임(300)(400)의 제1,2상측 수평부(320)(420)와 제1,2하측 수평부(310)(410)에 고정되는 경우 저수부재(500) 내외부에 발생되는 물때나 곰팡이 등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 과정에서 제1,2덮개부재(100)(200)와 제1,2지지프레임(300)(400)의 간섭으로 인해 저수부재(500)의 내외부 청소가 어렵게 되며, 저수부재(500)를 건조시키거나 노후 및 파손에 따른 교체 또한 필요할 수 있으므로 저수부재(500)는 제1,2지지프레임(300)(400)으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4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2연결부(330)(430) 상단 및 하단을 제1,2상측 수평부(320)(420) 및 제1,2하측 수평부(310)(410)의 끝단과 분리시켜 구성하고, 제1,2연결부(330)(430) 상단 및 하단이 제1,2상측 수평부(320)(420) 및 제1,2하측 수평부(310)(410)와 별도의 연결구(333)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필요시 상기 연결구(333)를 제거 또는 어느 한쪽으로 이동시켜 제1,2연결부(330)(430) 상단 및 하단과 제1,2상측 수평부(320)(420) 및 제1,2하측 수평부(310)(410)의 끝단이 서로 분리되도록 한 다음 제1,2상측 수평부(320)(420) 및 제1,2하측 수평부(310)(410)에 고정되어 있는 저수부재(500)의 장착부(550)를 제1,2상측 수평부(320)(420) 및 제1,2하측 수평부(310)(410)로부터 간단히 분리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제1,2연결부(330)(430)의 상단 및 하단과 제1,2상측 수평부(320)(420) 및 제1,2하측 수평부(310)(410) 끝단의 분리되는 지점은 모서리가 아닌 제1,2연결부(330)(430)의 상단과 하단에서 제1,2상측 수평부(320)(420) 및 제1,2하측 수평부(310)(410)쪽으로 연장되는 어느 한 지점에서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분리된 제1,2연결부(330)(430)의 상단 및 하단의 끝단에는 외주면에 수나사(432)를 형성하며, 제1,2상측 수평부(320)(420) 및 제1,2하측 수평부(310)(410)의 분리된 끝단에는 일단이 제1,2상측 수평부(320)(420) 및 제1,2하측 수평부(310)(410)의 외주면에 끼워져 전후 이동되는 연결구(333)를 설치하고, 그러한 연결구(333)의 타단 내주면에는 제1,2연결부(330)(430) 상단과 하단의 수나사(432)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434)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서로 분리되는 제1,2연결부(330)(430) 상단 및 하단과 제1,2상측 수평부(320)(420) 및 제1,2하측 수평부(310)(410)를 연결시킬 경우에는 제1,2상측 수평부(320)(420) 및 제1,2하측 수평부(310)(410)에 끼워져 전후이동되는 연결구(333)를 제1,2연결부(330)(430)의 상단 및 하단의 분리된 끝단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연결구(333)의 암나사(434)와 제1,2연결부(330)(430) 상단과 하단의 수나사(432)가 서로 나사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1,2연결부(330)(430) 상단과 하단이 제1,2상측 수평부(320)(420) 및 제1,2하측 수평부(310)(41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저수부재(500)를 제1,2지지프레임(300)(400)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연결구(333)의 암나사(434)를 제1,2연결부(330)(430)의 수나사(432)로부터 풀어 연결구(333)를 제1,2연결부(330)(430)와 대향되는 제1,2상측 수평부(320)(420) 및 제1,2하측 수평부(310)(410)의 반대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1,2연결부(330)(430) 상단 및 하단과 제1,2상측 수평부(320)(420) 및 제1,2하측 수평부(310)(410)가 서로 분리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1,2상측 수평부(320)(420) 및 제1,2하측 수평부(310)(410)에 고정되어 있는 저수부재(500)의 장착부(550)를 분리시켜 저수부재(500)를 제1,2지지프레임(300)(400)으로부터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구(333)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하나의 예시일 뿐 연결구(333)의 형상 및 작용이 어느 하나로 한정될 필요없이 서로 분리되는 제1,2연결부(330)(430)의 상단 및 하단과 제1,2상측 수평부(320)(420) 및 제1,2하측 수평부(310)(410)를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의 연결구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저수부재(500)는 제1,2지지프레임(300)(400)과 함께 제1,2덮개부재(100)(200)의 내부에 수용되는데, 제1,2덮개부재(100)(200)가 접어지는 경우 저수부재(500) 또한 효과적으로 접히도록 하여 접어지는 제1,2덮개부재(100)(200)의 내부에서 저수부재(500)가 안정되게 보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도 6 에서와 같이 저수부재(500)의 양측면(530)에는 중앙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직방향으로 측면 접힘선(531)을 형성하여 그러한 측면 접힘선(531)을 기준으로 양측면(530)이 내측을 향해 접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바닥면(540)에는 길이방향 양단의 중심을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는 바닥 접힘선(542)을 형성하되, 양측면(530)의 중심 하단에서 바닥면(540)의 바닥 접힘선(542)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지점과 양측면(530)의 하단 양끝의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는 보조 바닥 접힘선(543)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양측면(530)의 측면 접힘선(531)을 기준으로 양측면(530)이 내측을 향해 접어지면 바닥면(540)은 양쪽 보조 바닥 접힘선(543)의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 접힘선(542)과 보조 바닥 접힘선(543)이 함께 융기되면서 상측을 향해 접어지고, 양측 보조 바닥 접힘선(543)에서 양측면(530)의 하단 중심을 연결하는 바닥 접힘선(542)은 내측으로 접어지게 됨에 따라 저수부재(500)의 전면(510)과 후면(520)은 완전히 밀착되어 접어지게 된다.
이러한 저수부재(500)의 접힘은 통상의 함체형 봉투가 납작하게 접히는 방식을 응용한 것이며, 저수부재(500)의 접힘 형태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한정될 필요없이 접힘선의 위치 및 길이와 형상의 변형을 통해 다양한 접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저수부재(500)의 바닥면(540)은 설치장소의 설치면에 놓여지게 되면서 바닥면(540)의 바깥면은 설치장소의 설치면과 닿게 되고 바닥면(540)의 안쪽면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도 5 에서와 같이 저수부재(500) 바닥면(540)의 안쪽면에 완충기능을 가지는 패드부재(560)를 설치함으로써, 신체와의 반복적인 접촉으로 인한 저수부재(500)의 변형 및 마모를 방지하며, 설치면의 불편한 상태가 사용자의 신체에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패드부재(560)는 필요에 따라 저수부재(500)의 바닥면(540)에 일체형 또는 착탈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패드부재(560)가 바닥면(540)의 일체형 또는 고정형태로 설치되는 경우 바닥면(540)의 접힘을 방해하지 않도록 패드부재(560) 또한 바닥면(540)의 접히는 형태와 상응한 접힘선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패드부재(560)는 저수부재(500)의 바닥면(540) 안쪽면에 한정되어 설치될 필요없이 바닥면(540)의 바깥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바닥면(540)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패드부재(560)는 저수부재(500)의 바닥면이 차가운 설치면과 접면되면서 저수부재(500)에 담겨지는 물의 온도가 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패드부재(560)를 포함하는 저수부재(500)를 단열의 기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하여 저수부재(500)의 내부에 담겨지는 물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저수부재(500)의 바닥면(540)에는 저장된 물의 교환 및 배수를 위한 배수홀(54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수홀(541)은 별도의 개폐수단(도면중 미도시)을 통해 개페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바닥면(540)에 패드부재(560)가 고정되는 경우 바닥면(540)의 배수홀(541)은 패드부재(560)와 연통되면서 패드부재(560)의 상면에 개폐수단이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제1,2덮개부재(100)(200)를 접철하는 과정에서 제1,2덮개부재(100)(200)가 접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잠금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 도 1 과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2덮개부재(200)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부(610)와, 그러한 고정부(610)로부터 제1덮개부재(100)를 향해 연장되는 회전부(630)와, 고정부(610)로부터 회전부(63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부(610) 끝단에서 회전부(630)를 향해 제1,2덮개부재(100)(200)의 겹쳐진 상면 두께와 상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힌지부(620)를 포함하는 고정부재(6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600)의 회전부(630) 끝단 저면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체결구(640)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제1덮개부재(100)의 전면 하부에는 회전부(630)의 체결구(64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630)에 형성되는 체결구(640)의 이격된 간격은 바람직하게 제1덮개부재(100)의 상면 두께와 상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제1,2덮개부재(100)(200)가 펼쳐지는 경우 회전부(630)의 이격된 체결구(640) 사이로 제1덮개부재(100)의 상면이 끼워지게 되면서 고정부재(600)가 제1,2덮개부재(100)(200)에 안정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고정부재(600)를 통해 제1,2덮개부재(100)(200)의 불필요한 벌어짐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회전부(630)에는 상면과 저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비드부(631)를 형성하여 외력에 의한 회전부(630)의 변형 및 파단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제1,2덮개부재(100)(200)를 접어 내면이 서로 접면되도록 한 후 고정부재(600)의 힌지부(620)를 중심으로 회전부(630)를 하향 회전시킨 다음 회전부(630)의 체결구(640)를 제1덮개부재(10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체결홈(114)에 체결시킴으로써, 고정부재(600)가 잠금수단이 되어 제1,2덮개부재(100)(200)의 접혀진 상태를 견고히 유지시켜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2덮개부재(100)(20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제1,2덮개부재(100)(200)의 상면에 고정부재(600)가 횡방향으로 놓여 고정되면서 제1,2덮개부재(100)(200)의 벌어짐 방지는 물론 고정부재(600)의 회전부(630) 상면에 목욕에 필요한 소품이나 음료를 음용하기 위한 용기의 올려놓고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독서나 영상 또는 음향장치를 올려놓고 감상하는 선반의 용도로도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부(630)의 폭은 어느 하나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전술한 물품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작은 폭으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큰 폭으로 구성되어 선반의 역할은 물론 저수부재(500)의 개방되는 공간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저수부재(500)에 저장된 물의 온도 변화를 줄여 목욕의 효율성을 높일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제1,2덮개부재(100)(200)가 펼쳐지고, 회전부(630)가 제1,2덮개부재(100)(200)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놓여지면서 회전부(630)의 체결구(640)가 제1덮개부재(100)의 상면에 끼워지는 경우 회전부(630)의 하향이동은 방지되는 반면에 회전부(630)의 상향이동을 구속하는 수단이 없어 사용중 회전부(630)가 들려지면서 회전부(630) 상면에 놓여진 물건이 저수부재(500)의 물에 빠지거나 제1,2덮개부재(100)(200)의 아래로 낙하되면서 파손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고정부재(600)에는 회전부(630)의 상면을 일정한 폭으로 감싸면서 설치되어 고정부(610)를 따라 전후이동되는 슬라이딩부재(650)를 구성함으로써, 제1,2덮개부재(100)(200)가 펼쳐지고, 회전부(630)가 제1,2덮개부재(100)(200)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놓여지면서 회전부(630)의 체결구(640)가 제1덮개부재(100)의 상면에 끼워질 때 슬라이딩부재(650)를 회전부(630)와 고정부(610) 사이의 힌지부(620)에 위치시키게 되면 슬라이딩부재(650)로 인하여 회전부(630)의 상향이동이 구속될 수 있어 고정부재(600)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힌지부(620)의 회전을 부분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슬라이딩부재(650)로 한정되어 사용될 필요는 없으며, 슬라이딩부재(650)를 사용하지 않고 일 방향 회전이 가능한 힌지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저수부재(500)에 물을 저장한 후 입욕을 하는 경우 저수부재(500)의 측면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1,2지지프레임(300)(400)에 사용자의 등이 닿게 되면서 불편할 수 있으므로 저수부재(500)의 한쪽 측면(530) 안쪽에 쿠션감을 가지는 보조패드(도면중 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일측면에 편평한 받침부(720)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끼움부(710)가 돌출 형성된 받침부재(700)를 구성하고, 제1덮개부재(100)의 외측면에는 받침부재(700)의 끼움부(71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끼움홈(116)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받침부재(7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받침부재(700)의 끼움부(710)를 제1덮개부재(100)의 끼움홈(116)에 끼워 고정시켜두고, 받침부재(7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덮개부재(100)에 고정된 받침부재(700)를 분리한 상태에서 받침부재(700)의 끼움부(710)를 제1,2지지프레임(300)(400)이 교차되면서 이루는 상측 "V" 형태의 함몰부위에 받침부재(700)의 끼움부(710)를 올려놓아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때 받침부재(700)의 끼움부(710)는 제1,2지지프레임(300)(400)이 교차되면서 이루는 상측 "V" 형태의 함몰부위에 정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V"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부(720)에는 편평하면서 쿠션감을 가지는 패드(도면중 미도시)가 더 부착되거나 받침부(720)를 쿠션감을 가지는 소재로 만들 수도 있다.
아울러 제1,2덮개부재(100)(200)의 상면은 저수부재(500)에 앉아 있는 사용자가 팔을 올려놓게 되므로 제1,2덮개부재(100)(200)의 상면에 함몰부(113)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팔이 제1,2덮개부재(100)(200)에 편안하게 놓여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1,2덮개부재(100)(200)의 상면은 사용자의 팔과 접촉되므로 함몰부(113)를 포함하는 제1,2덮개부재(100)(200)의 상면에 완충작용 또는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는 소재의 패드(도면중 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제1,2덮개부재(100)(200)의 저면에는 도 3 에서와 같이 미끄럼 방지구(115)(215)를 설치함으로써, 제1,2덮개부재(100)(200)의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제1,2덮개부재(100)(200)를 접고 펼치는 과정에서 있어서, 제2덮개부재(200)를 고정 대상물(도면중 미도시)에 고정시켜 제2덮개부재(200)로부터 제1덮개부재(100)를 더욱 용이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7 에서와 같이 일측에는 제2덮개부재(2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걸이부(8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정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부(820)가 형성된 걸이부재(80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걸이부재(800)의 걸이부(810)는 제2덮개부재(200)의 상면에 끼워지거나 접착수단을 통해 접착되고, 체결부(820) 또한 접착수단을 통해 고정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며, 여기서 접착수단으로는 나사 또는 밸크로테입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글루건을 이용하여 실리콘을 녹였다 식혀 고정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는 제1,2지지프레임(300)(400)과 저수부재(500)가 함께 접어진 상태로 제1,2덮개부재(100)(2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욕조가 최소의 크기를 가짐에 따라 좁은 욕실의 한쪽에 두거나 다른 보관 장소에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욕조를 옮긴 후 제1,2덮개부재(100)(200)를 펼쳐 접혀져 있던 제1,2지지프레임(300)(400)과 저수부재(500)가 펴지도록 한 다음 저수부재(500)에 물을 채우고 입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오피스텔이나 원룸과 같이 좁은 욕실에 샤워부스만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샤워부스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욕조를 두어 좁은 욕실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며, 오피스텔이나 원룸 등을 시공하는 단계에서 붙박이 형태로 본 발명에 따른 욕조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의 향상은 물론 오피스텔이나 원룸의 실용가치를 높여 소비자의 대한 수요의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200 : 제1,2덮개부재 110,210 : 제1,2수용부
111,211 : 고정구 111a : 걸림홈
211a : 걸림홈 112 : 손잡이홈
113 : 함몰부 114 : 체결홈
115,215 : 미끄럼 방지구 116 : 끼움홈
300,400 : 제1,2지지프레임 310,410 : 제1,2하측 수평부
320,420 : 제1상측 수평부 330,430 : 제1,2연결부
331,431 : 관통공 332 : 연결부재
333 : 연결구 432 : 수나사
434 : 암나사 500 : 저수부재
510 : 전면 520 : 후면
530 : 측면 531 : 측면 접힘선
540 : 바닥면 541 : 배수홀
542 : 바닥 접힘선 543 : 보조 바닥 접힘선
550 : 장착부 560 : 패드부재
600 : 고정부재 610 : 고정부
620 : 힌지부 630 : 회전부
631 : 비드부 640 : 체결구
650 : 슬라이딩부재 700 : 받침부재
710 : 끼움부 720 : 받침부
800 : 걸이부재 810 : 걸이부
820 : 체결부

Claims (9)

  1. 내면에 제1,2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2수용부의 사방 모서리에는 각각 고정구가 설치되며, 상기 내면이 서로 대향되게 마주하여 접철되는 제1,2덮개부재;
    상기 제1,2덮개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1,2하측 수평부는 고정구에 의해 제1,2덮개부재의 제1,2수용부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2상측 수평부는 고정구에 의해 제2,1덮개부재의 제2,1수용부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2하측 수평부와 제1,2상측 수평부의 양단을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제1,2연결부는 중앙이 이분되어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 삽입되어 신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2지지프레임; 및
    상부는 개방되고, 전후면의 상측과 하측은 각각 제1,2상측 수평부와 제1,2하측 수평부에 고정되며, 양측면은 제1,2연결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후면의 하단과 양측면의 하단을 서로 연결해주는 바닥면에는 개폐형 배수홀이 형성된 저수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덮개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끝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힌지결합되며 고정부로부터 상하회전이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회전부로 이루어진 고정부재가 더 포함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제1,2덮개부재의 접철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부의 상면을 일정한 폭으로 감싸면서 설치되어 고정부를 따라 전후이동되면서 상기 힌지부의 상향 회전을 제어하는 슬라이딩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부의 이분된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끝단 외주면에는 대향된 전후면을 관통하는 장방형 관통공을 각각 형성하고, "X" 형태로 서로 교차하는 제1,2연결부 관통공들의 교차지점에는 상기 제1,2연결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부재가 수직 관통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재의 전후면 상측과 하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환형의 장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를 통해 저수부재가 제1,2지지프레임의 제1,2상측 수평부와 제1,2하측 수평부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지프레임의 제1,2상측 수평부 및 제1,2하측 수평부의 끝단이 제1,2연결부의 상단 및 하단과 각각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2상측 수평부 및 제1,2하측 수평부의 끝단과 제1,2연결부의 상단 및 하단은 연결구에 의해 서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재의 바닥면에는 완충기능을 가지는 패드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재는 단열기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에는 하부가 "V" 형을 이루는 끼움부를 돌출 형성하고, 타측에는 평면의 받침부가 형성된 받침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받침부재의 끼움부가 상기 제1,2덮개부재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











KR1020130061134A 2013-05-29 2013-05-29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 KR101534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134A KR101534165B1 (ko) 2013-05-29 2013-05-29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134A KR101534165B1 (ko) 2013-05-29 2013-05-29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368A KR20140140368A (ko) 2014-12-09
KR101534165B1 true KR101534165B1 (ko) 2015-07-07

Family

ID=5245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134A KR101534165B1 (ko) 2013-05-29 2013-05-29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1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423B1 (ko) * 2020-10-29 2021-06-07 안다혜 욕조 본체와 프레임의 고정력을 강화한 기능성 접이식 욕조
KR102372482B1 (ko) * 2021-09-16 2022-03-10 주식회사 오스터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521A (ko) * 2006-11-07 2009-09-22 프렉시 바스 에이피에스 접철식 욕조
KR20100086643A (ko) * 2009-01-23 2010-08-02 이주영 접이식 간이 욕조
KR20120050249A (ko) * 2010-11-10 2012-05-18 유장욱 욕조
KR20120128591A (ko) * 2012-11-07 2012-11-27 박택주 장애인 이동식욕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521A (ko) * 2006-11-07 2009-09-22 프렉시 바스 에이피에스 접철식 욕조
KR20100086643A (ko) * 2009-01-23 2010-08-02 이주영 접이식 간이 욕조
KR20120050249A (ko) * 2010-11-10 2012-05-18 유장욱 욕조
KR20120128591A (ko) * 2012-11-07 2012-11-27 박택주 장애인 이동식욕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368A (ko) 201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62608S1 (en) Shower massage caddy
USD562609S1 (en) Shower massage caddy
USD532877S1 (en) Shower base
USD518286S1 (en) Fixing pointer for beach umbrella
WO2006036354A3 (en) Moveable soap dish for water drainage and accessories
US11812903B2 (en) Bathroom fixtures and components
CN106958275A (zh) 一种收折式洗手盆
KR101534165B1 (ko)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
US20040010846A1 (en) Portable washbasin for babies
KR20090060860A (ko) 접이식 욕조세트
USD532488S1 (en) Handle
KR101444737B1 (ko) 폴더형 욕조
KR20090058198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샤워 행거
USD571042S1 (en) Scrubbing pouch with a rope to hold soap in a shower
USD531279S1 (en) Spout
CN202276710U (zh) 宠物沐浴美容装置
JP6823065B2 (ja) 窄め可能な伸縮型洗面器
WO2018213981A1 (zh) 翻折式洗手盆
CN106998967A (zh) 多功能一体型置物架
WO2018213983A1 (zh) 一种收折式洗手盆
KR20140001460U (ko) 화장솜 케이스
WO2018023730A1 (zh) 一种折叠洗手池
KR200391337Y1 (ko) 실험실용 책상
KR20090119158A (ko) 이동식 욕조 장치
KR20190066422A (ko)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