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643A - 접이식 간이 욕조 - Google Patents

접이식 간이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643A
KR20100086643A KR1020090005972A KR20090005972A KR20100086643A KR 20100086643 A KR20100086643 A KR 20100086643A KR 1020090005972 A KR1020090005972 A KR 1020090005972A KR 20090005972 A KR20090005972 A KR 20090005972A KR 20100086643 A KR20100086643 A KR 20100086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tub
main frame
bathroom
fram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이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영 filed Critical 이주영
Priority to KR1020090005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6643A/ko
Publication of KR20100086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8Sealing between wall and bathtub or shower tr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6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6Devices for fastening baths to floors or walls; Adjustable bath feet ; Lining panels or attachments therefor
    • A47K3/162Collapsible stands or supports for ba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간이 욕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이식 간이 욕조에 있어서, 전면 바가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직사각 틀체형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면 바와 함께 직사각 틀체 형상을 갖도록 일체로 설치되어 메인 프레임의 전면 바와 함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보조 프레임과; 상면이 개구된 사각 함체 형상을 갖고 일측면에는 개폐형 배수구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면 주연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각 바를 감싸는 형태에서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 설치되어 목욕물을 수용하는 플렉시블 욕조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면 바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메인 프레임 자체가 욕조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욕실 내벽에 고정시켜 줌과 동시에 욕조를 접거나 펼칠 때 메인 프레임 자체가 회동되도록 하는 프레임 고정겸 회동 안내봉과; 상기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의 양측면 바 사이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욕조를 펼쳤을 때 상기 메인 프레임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보조 프레임은 욕조 바닥면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욕실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고, 제품이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조립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비 사용시 욕조 자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어 욕실 자체의 미관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욕실, 간이 욕조, 플렉시블 욕조

Description

접이식 간이 욕조{A folded-type tempral bathtub}
본 발명은 접이식 간이 욕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이 욕조를 욕실의 벽에 접어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욕실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고, 욕실 벽면에 절첩시 제품이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조립 및 사용이 편리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설치 공간의 제약을 없게 하고, 비 사용시 욕조 자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어 욕실 자체의 미관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조는 사용자의 몸을 충분히 담글 수 있는 정도의 물을 수용하는 크기로 제작되기 때문에 욕조를 설치하려면 욕실의 크기가 비교적 넓어야만 된다.
이러한 욕조는 상방이 개방된 타원형이나 사각형 입구를 갖는 일체형 사기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되어 욕실의 바닥면에 완전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욕실면적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욕조를 제외한 욕실이나 화장실의 사용가능한 면적이 매우 좁아지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욕조를 설치하려면 욕실이 소정 면적 이상으로 넓어야 하고, 욕조 면적으로 인한 욕실이나 화장실의 면적의 손실을 감수하여야 한다.
한편,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욕조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지는 않고, 대략 물을 받아 목욕하는 경우로 국한되며, 심지어 간단한 샤워의 경우 반드시 욕조가 필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욕조의 실제 사용 빈도는 매우 작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 욕실 바닥에서 간단한 세수나 세족을 자주하거나, 김치를 담그거나 대야에 물을 담아 세척하는 등 욕실 바닥의 사용량이 많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습관을 고려하면 욕조는 필요하기는 하나 항상 욕실바닥을 차지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욕조의 경우 욕실바닥에 일체로 고정되기 때문에 욕조가 차지하고 있는 욕실바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욕실이나 화장실의 면적이 좁을 경 우, 욕조를 설치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으며, 심지어 간단한 샤워의 경우 반드시 욕조가 필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욕조의 실제 사용 빈도는 매우 작다고 할 수 있고, 더구나 욕실 바닥에서 간단한 세수나 세족을 자주하거나 김치를 담그거나 대야에 물을 담아 세척하는 등 욕실 바닥의 사용량이 많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습관을 고려할 때 욕조는 필요하기는 하나 항상 욕실바닥을 차지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도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첩식 욕조(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93-3093호)와, 슬라이드식 폭 조절 욕조(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20-0304224호), 벽걸이형 욕조(국내 등록특허공보 10-0466871호) 및 절첩식 욕조(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8-6228호) 등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들은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사용이 불편하고 제조원가가 많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비 사용시 욕실의 벽체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에서 있어욕실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비 사용시 간이 욕조를 욕실의 벽에 접어 두고 그 앞을 커튼으로 가려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욕실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고, 제품이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조립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비 사용시 욕조 자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어 욕실 자체의 미관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접이식 간이 욕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접이식 간이 욕조에 있어서, 전면 바가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직사각 틀체형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면 바와 함께 직사각 틀체 형상을 갖도록 일체로 설치되어 메인 프레임의 전면 바와 함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보조 프레임과; 상면이 개구된 사각 함체 형상을 갖고 일측면에는 개폐형 배수구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면 주연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각 바를 감싸는 형태에서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 설치되어 목욕물을 수용하는 플렉시블 욕조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면 바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메인 프레임 자체가 욕조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욕실 내벽에 고정시켜 줌과 동시에 욕조를 접거나 펼칠 때 메인 프레임 자체가 회동되도록 하는 프레임 고정겸 회동 안내봉과; 상기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의 양측면 바 사이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욕조를 펼쳤을 때 상기 메인 프레임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보조 프레임은 욕조 바닥면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각 바 외측을 감싸고 있는 플렉시블 욕조의 권취부 외측에는 자체 탄성력을 구비한 클립형 고정 바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측부에 걸림고리를 구비하고 종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보조 의자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간이 욕조가 설치되는 욕실의 내벽에는 욕조를 내벽 측으로 접었을 때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면 바를 고정시켜 욕조가 자유롭게 펼쳐지지 않도록 하는 욕조 펼침 방지구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욕실의 천정에는 리턴 및 권취수단을 구비하고 커튼이 봉 상에 권취된 형태를 갖는 욕조 가림수단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의 전면부에는 광고판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은 벨크로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플렉시블 욕조는 합성수지재나 고무 또는 인조피혁 중 어느 한 재질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직사각 틀체형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 플렉시블 욕조, 프레임 고정겸 회동 안내봉, 링크 등으로 구성되는 간이 욕조를 욕실의 내벽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하여 비 사용시에는 간이 욕조를 욕실의 내벽에 접어 두고 그 앞을 커튼 등과 같은 욕조 가름수단을 통해 가려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첫째 욕실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고, 둘째 제품이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조립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셋째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넷째 비 사용시 욕조 자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어 욕실 자체의 미관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이식 간이 욕조를 펼쳐 놓은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간이 욕조를 욕실의 내벽 측으로 접어놓은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간이 욕조를 욕실의 내벽 측으로 접어놓고 커튼을 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간이 욕조에 의자와 광고판을 더 설치한 상태의 일부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접이식 간이 욕조에 있어서,
전면 바(1a)가 힌지(1c)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직사각 틀체형 메인 프레임(1)과;
상기 메인 프레임(1)의 전면 바(1a)와 함께 직사각 틀체 형상을 갖도록 일체로 설치되어 메인 프레임(1)의 전면 바(1a)와 함께 힌지(1c)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보조 프레임(2)과;
상면이 개구된 사각 함체 형상을 갖고 일측면 하방부에는 개폐형 배수구(3a)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면 주연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1)의 각 바를 감싸는 형태에서 고정수단(6)을 통해 고정 설치되어 목욕물을 수용하는 플렉시블 욕조(3)와;
상기 메인 프레임(1)의 후면 바(1b)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메인 프레임(1) 자체가 욕조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욕실 내벽에 고정시켜 줌과 동시에 욕조를 접거나 펼칠 때 메인 프레임(1) 자체가 회동되도록 하는 프레임 고정겸 회동 안내봉(4)과;
상기 메인 프레임(1)과 보조 프레임(2)의 양측면 바 사이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욕조를 펼쳤을 때 상기 메인 프레임(1)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보조 프레임(2)은 욕조 바닥면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링크(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메인 프레임(1)의 각 바 외측을 감싸고 있는 플렉시블 욕조(3)의 권취부 외측에는 자체 탄성력을 구비한 클립형 고정 바(7)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측부에 걸림고리(8a)를 구비하고 종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형성한 보조 의자(8)를 상기 메인 프레임(1)의 상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간이 욕조가 설치되는 욕실의 내벽에는 욕조를 내벽 측으로 접었을 때 상기 메인 프레임(1)의 전면 바(1a)를 고정시켜 욕조가 자유롭게 펼쳐지지 않도록 하는 욕조 펼침 방지구(9)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욕실의 천정에는 리턴 및 권취수단(10a)을 구비하고 커튼(10b)이 봉(10c) 상에 권취된 형태를 갖는 욕조 가림수단(10)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2)의 전면부에는 광고판(11)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6)은 벨크로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플렉시블 욕조(3)는 합성수지재나 고무 또는 인조피혁 중 어느 한 재질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접이식 간이 욕조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접이식 간이 욕조는 기본적으로 메인 프레임(1)과 보조 프레임(2), 플렉시블 욕조(3), 프레임 고정겸 회동 안내봉(4) 및 링크(5)를 포함하는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1)은 전면 바(1a)가 힌지(1c)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직사각 틀체 형상을 가짐은 물론 후면 바(1b)의 내부에는 프레임 고정겸 회동 안내봉(4)이 끼워져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보조 프레임(2)은 메인 프레임(1)의 전면 바(1a)와 함께 직사각 틀체 형상을 갖도록 일체로 설치되어 욕조를 펼치거나 접을 때 상기 메인 프레임(1)의 전면 바(1a)와 함께 힌지(1c)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보조 프레임(2)을 직사각 틀체 형상으로 그대로 둘 경우 플렉시블 욕조(3)의 전면부가 보여 외관상 미려하지 않을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보조 프레임(2)의 전면부에 광고판(11)을 더 설치하여 광고효과를 노림과 동시에 간이 욕조의 외관이 미려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광고판(11)을 보조 프레임(2)에 설치하는 방법으로는 도 5와 같이 메인 프레임(1)의 전면 바(1a)에 힌지(1c)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고, 직사각 틀체 형상을 갖는 보조 프레임(2)의 개구부를 막아줄 수 있도록 용접이나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욕조(3)는 합성수지재나 고무 또는 인조피혁 등을 이용하여 상면이 개구된 사각 함체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되, 일측면 저부에는 개폐형 배수구(3a)를 설치하고, 상면 주연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1)의 각 바를 감쌓은 다음 밸트로 테이프나 스냅 파스너(일명 "똑딱이 단추"라고도 칭함) 등과 같은 고정수단(6)을 통해 메인 프레임(1)의 각 바에 고정시킨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플렉시블 욕조(3)의 개구부 주연부를 메인 프레임(1)의 바들에 고정함에 있어서 벨크로 테이프나 스냅 파스너 등과 같은 고정수단(6)을 이용해서만 고정할 경우 플렉시블 욕조(3)에 담겨지는 물의 하중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욕조 의 측벽부를 밟거나 몸의 무게 중심이 가해질 경우 고정수단(6)들의 고정력이 해제되어 상호 분리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 프레임(1)의 각 바 외측을 감싸는 상태에서 고정수단(6)에 의해 메인 프레임의 각 바에 고정된 상태에 있는 상기 플렉시블 욕조(3)의 권취부 외측에 자체 탄성력을 구비한 클립형 고정 바(7)를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플렉시블 욕조(3)의 개구부 주연부가 도 2와 같이 고정수단(6) 및 클립형 고정 바(7)를 통해 메인 프레임(1)의 바들에 이중으로 고정되므로 플렉시블 욕조(3)가 메인 프레임(1)에 완벽한 고정상태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 고정겸 회동 안내봉(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의 후면 바(1b)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욕실의 양측벽이 고정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1) 자체가 욕조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욕실 내벽 측에 고정시켜 줌과 동시에 욕조를 접거나 펼칠 때 메인 프레임(1) 자체가 상기 프레임 고정겸 회동 안내봉(4)에 끼워진 후면 바(1b)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링크(5)는 메인 프레임(1)과 보조 프레임(2)의 양측면 바 사이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욕조를 펼쳤을 때 상기 링크(5)가 도 1 및 도 5와 같이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를 갖게 되므로 메인 프레임(1)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보조 프레임(2)은 욕조 바닥면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플렉시블 욕조(3)가 일방 욕조와 같이 사각 함체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1)과 보조 프레임(2) 및 프레임 고정겸 회동 안내 봉(4)을 포함한 링크(5)는 습기와 물기가 많은 욕실에 설치되는 것을 감안하여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레이스나 알루미늄 재로 성형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간이 욕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인해 욕실의 내벽에 도 3과 같이 욕조를 접어두게 될 경우 욕조를 고정시키지 않으면 자중 등에 의해 간이 욕조 세트가 자동으로 펼쳐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욕실의 내벽에 회동형 또는 클립형 등의 구조를 갖는 욕조 펼침 방지구(9)를 더 설치하여 간이 욕조를 사용하지 않고 욕실의 내벽 측으로 접어둘 때 상기 욕조 펼침 방지구(9)를 이용하여 메인 프레임(1)의 전면 바(1a)를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이 욕조가 자중 등에 의해 자유롭게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이 욕조에 물을 받아 놓고 목욕을 하다 보면 욕조 내에 몸을 담그는 경우도 있지만 떼를 밀기 위해 앉아야 할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간이 욕조와 별도로 양측부에 메인 프레임(1)의 전,후면 바(1a)(1b)에 걸려지는 걸림고리(8a)를 구비하고 종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보조 의자(8)를 성형하여 줌으로써 상기 보조 의자(8)를 도 5와 같이 메인 프레임(1)의 상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의자 구입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과, 이렇게 구입한 의자를 욕실 바닥에 놓고 사용함에 따른 욕실 내 공간활용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간이 욕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욕실의 공간 면적으로 최대 로 활용하기 위해 간이 욕조 자체의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욕실의 내벽 측으로 접어두었을 때 간이 욕조 자체가 욕실 내벽에서 노출되어 욕실 자체의 미관을 해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욕실의 천정에 리턴 및 권취수단(10a)을 구비하고 커튼(10b)이 봉(10c) 상에 권취된 형태를 갖는 욕조 가림수단(10)을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간이 욕조의 비 사용시 간이 욕조 자체를 도 3과 같이 내벽 측으로 접어두고 상기 욕조 가림수단(10)의 커튼(10b)을 하강시켜 도 4와 같이 가려줄 수 있으므로 접혀진 상태에 있는 간이 욕조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어 욕실 자체의 미관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욕조 가림수단(10)에는 종래에 널리 알려져 있는 롤 형태의 커튼과 같이 리턴 스프링과 락킹구 등이 구비된 리턴 및 권취수단(10a)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커튼(10b)을 천천히 잡아당기면 봉(10c)에 권취되어 있는 커튼이 풀리며 하강하게 되고, 또 커튼을 접고자 할 때에는 커튼을 약간 하강시켜 락킹을 해제시킨 후 살며시 놓게 되면 리턴 및 권취수단(10a) 내의 리턴 스프링의 복원작용에 의해 펼쳐졌던 커튼이 자동으로 봉에 감기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욕조 가림수단(10)으로는 전술한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밖에도 버티칼 커튼이나 자바라식 커튼 등으로 대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 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이식 간이 욕조를 펼쳐 놓은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간이 욕조를 욕실의 내벽 측으로 접어놓은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간이 욕조를 욕실의 내벽 측으로 접어놓고 커튼을 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간이 욕조에 의자와 광고판을 더 설치한 상태의 일부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프레임 1a : 전면 바
1b : 후면 바 1c : 힌지
2 : 보조 프레임 3 : 플렉시블 욕조
3a : 개폐형 배수구 4 : 프레임 고정겸 회동 안내봉
5 : 링크 6 : 고정수단
7 : 클립형 고정 바 8 : 보조 의자
8a : 걸림고리 9 : 욕조 펼침 방지구
10 : 욕조 가림수단 10a : 리턴 및 권취수단
10b : 커튼 10c : 봉
11 : 광고판

Claims (8)

  1. 접이식 간이 욕조에 있어서,
    전면 바가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직사각 틀체형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면 바와 함께 직사각 틀체 형상을 갖도록 일체로 설치되어 메인 프레임의 전면 바와 함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보조 프레임과;
    상면이 개구된 사각 함체 형상을 갖고 일측면에는 개폐형 배수구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면 주연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각 바를 감싸는 형태에서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 설치되어 목욕물을 수용하는 플렉시블 욕조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면 바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메인 프레임 자체가 욕조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욕실 내벽에 고정시켜 줌과 동시에 욕조를 접거나 펼칠 때 메인 프레임 자체가 회동되도록 하는 프레임 고정겸 회동 안내봉과;
    상기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의 양측면 바 사이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욕조를 펼쳤을 때 상기 메인 프레임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보조 프레임은 욕조 바닥면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 욕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각 바 외측을 감싸고 있는 플렉시블 욕조의 권취부 외측에는 자체 탄성력을 구비한 클립형 고정 바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 욕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양측부에 걸림고리를 구비하고 종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보조 의자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 욕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욕실의 내벽에는 간이 욕조를 내벽 측으로 접었을 때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면 바를 고정시켜 욕조가 자유롭게 펼쳐지지 않도록 하는 욕조 펼침 방지구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 욕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욕실의 천정에는 리턴 및 권취수단을 구비하고 커튼이 봉 상에 권취된 형태를 갖는 욕조 가림수단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 욕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의 전면부에는 광고판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 욕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벨크로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 욕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욕조는 합성수지재나 고무 또는 인조피혁 중 어느 한 재질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 욕조.
KR1020090005972A 2009-01-23 2009-01-23 접이식 간이 욕조 KR201000866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972A KR20100086643A (ko) 2009-01-23 2009-01-23 접이식 간이 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972A KR20100086643A (ko) 2009-01-23 2009-01-23 접이식 간이 욕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643A true KR20100086643A (ko) 2010-08-02

Family

ID=4275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972A KR20100086643A (ko) 2009-01-23 2009-01-23 접이식 간이 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66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165B1 (ko) * 2013-05-29 2015-07-07 한명숙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
KR101714693B1 (ko) * 2016-04-06 2017-03-16 홍성훈 벽면 설치형 접이식 욕조
KR102350879B1 (ko) 2021-08-04 2022-01-13 박성우 방향 전환이 용이한 회동 가능한 커튼봉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165B1 (ko) * 2013-05-29 2015-07-07 한명숙 접철이 가능한 이동식 욕조
KR101714693B1 (ko) * 2016-04-06 2017-03-16 홍성훈 벽면 설치형 접이식 욕조
KR102350879B1 (ko) 2021-08-04 2022-01-13 박성우 방향 전환이 용이한 회동 가능한 커튼봉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6643A (ko) 접이식 간이 욕조
KR101934507B1 (ko) 애완동물용 욕조
JPH1147222A (ja) サウナ装置
WO2004012568A1 (en) Shower transformable into bathtub
JP2019216700A (ja) 愛玩動物の美容及びお風呂の台
CN219219960U (zh) 一种浴帐
KR102546641B1 (ko) 반려동물 목욕 장치
KR100607093B1 (ko) 보조 욕조
KR200165090Y1 (ko) 의자부설용 얼굴가리개
KR101334810B1 (ko) 매립형 의자시스템
JPS5920157Y2 (ja) 格納自在な浴槽
KR200307373Y1 (ko) 침대 장착형 수납장
KR950002831Y1 (ko) 절수 욕조
JPH07279450A (ja) 衛生設備室
JP2000324973A (ja) ペット囲い柵及びそれを用いたペット洗浄用浴槽
KR200266213Y1 (ko) 단독형세면기
JP2532742Y2 (ja) ドーム状カバーを具備する浴槽
KR200176340Y1 (ko) 어린이용 세면대를 구비한 욕조의 구조
KR200358021Y1 (ko) 욕조
CN204427873U (zh) 新型卫浴用柜
JPH0349580Y2 (ko)
JPH036684Y2 (ko)
KR20230138845A (ko) 유아용 비데 겸용 다기능 세척기구이며 요람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비데, 샤워 등의 다기능 용기기구
JP2006230450A (ja) 浴室のスクリーン構造
JPH052371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