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979B1 -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979B1
KR102103979B1 KR1020190001584A KR20190001584A KR102103979B1 KR 102103979 B1 KR102103979 B1 KR 102103979B1 KR 1020190001584 A KR1020190001584 A KR 1020190001584A KR 20190001584 A KR20190001584 A KR 20190001584A KR 102103979 B1 KR102103979 B1 KR 102103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unit
water receiving
receiving portion
clean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관
Original Assignee
한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관 filed Critical 한영관
Priority to KR1020190001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979B1/ko
Priority to EP20738136.9A priority patent/EP3906827A4/en
Priority to PCT/KR2020/000287 priority patent/WO2020145635A1/ko
Priority to US17/421,090 priority patent/US2022010466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05Means for bathing bedridden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30Screens or collapsible cabinets for showers o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6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30Screens or collapsible cabinets for showers or baths
    • A47K3/32Collapsible cabinets
    • A47K3/325Collapsible cabinets movable, e.g. for easy transportation to the site of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072Special adapt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이 내부에 세정수를 수용하는 세정수 수용부와 세정폐수를 수용하는 폐수 수용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며 세정수의 유량 및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세정수 수용부에 저장된 세정수를 흡입하고, 외부로 배출하는 모터펌프; 상기 본체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부와 연통되어 외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외기를 압축하여 상기 세정수 수용부 내에 분사하는 세정수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수 수용부는 상기 세정수 수용부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세정수 수용부의 세정수는 상기 폐수 수용부로 유입 가능하며, 상기 세정수 수용부는 상기 세정수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세정수 수용부 내의 세정수를 가열하는 히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수 순환부는 상기 세정수 수용부 내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세정수 수용부 내의 세정수를 상기 세정수 수용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환시키는, 이동식 샤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MOVING SHOWER APPARATUS AND MOVING SHOWER APPARATUS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오늘날 사회가 고령화됨에 따라 노인 인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환자,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의 수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나, 위와 같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사회 시스템은 충분히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위와 같은 노약자들의 경우 면역력이 약한 경우가 많아 위생관리가 중요한데, 이를 위한 세신 과정에서 이동 중 부상을 당하거나 샤워장치 사용의 불편함 등 위생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이동 가능한 샤워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종래에 몇 가지의 이동식 샤워장치가 개발된 바 있으나, 대부분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사용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언제나 항상 물을 공급해 주는 수도시설이 구비된 장소에서만 설치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지속적으로 물 공급이 어려운 곳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물 공급원으로부터 실제 샤워장소까지 호스를 길게 연결하여 물을 공급받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존재 하였으며, 샤워를 하기 위한 급수량, 수온, 수압의 조절과 세정폐수의 후처리 등에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3794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신을 받는 자가 세신을 위해 특정 장소로 이동하지 않아도 세신이 가능하며, 청결한 위생 상태 유지가 용이한 이동식 샤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원(水源)으로부터 거리가 멀거나, 세정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어려운 장소에서도 원활하게 사용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식 샤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정수 수용부가 폐수 수용부 상측에 위치하여 중력을 이용해 세정수와 폐수를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이동식 샤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이 내부에 세정수를 수용하는 세정수 수용부와 세정폐수를 수용하는 폐수 수용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며 세정수의 유량 및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세정수 수용부에 저장된 세정수를 흡입하고, 외부로 배출하는 모터펌프; 상기 본체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부와 연통되어 외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외기를 압축하여 상기 세정수 수용부 내에 분사하는 세정수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수 수용부는 상기 세정수 수용부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세정수 수용부의 세정수는 상기 폐수 수용부로 유입 가능하고, 상기 세정수 수용부 내에는 상기 세정수 수용부 내의 세정수를 가열하는 히터부가 배치되며, 상기 세정수 순환부는 상기 세정수 수용부 내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세정수 수용부 내의 세정수를 상기 세정수 수용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환시키는, 이동식 샤워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세정수 순환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와 연통되어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부; 상기 흡기부에 연결되어 상기 흡기부에 의해 흡입된 외기를 압축시키는 흡입 압축부; 및 상기 흡입 압축부와 상기 세정수 수용부를 연통시키는 압축 공기 이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 공기 이송관의 말단은 상기 세정수 수용부 내의 수평 방향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압축된 외기는 상기 세정수 수용부의 하부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세정수 수용부 및 상기 폐수 수용부는 강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정수 수용부 및 상기 폐수 수용부 사이에 위치되고 중공되어 유체 유동이 가능한 배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재는, 상기 배수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부재 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수 수용부 및 상기 폐수 수용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세정수 수용부 및 상기 폐수 수용부 사이에 위치되어 유체 이동을 제한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는, 상기 분리부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2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수 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이동식 샤워장치 중 어느 하나의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동 가능하거나 분해 조립 가능한 간이 욕조;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세신을 받는 자가 세신을 위해 특정 장소로 이동하지 않아도 세신이 가능하며, 청결한 위생 상태 유지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수원(水源)으로부터 거리가 멀거나, 세정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어려운 장소에서도 원활하게 사용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세정수 수용부가 폐수 수용부 상측에 위치하여 중력을 이용해 세정수와 폐수를 한번에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의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의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수 수용부 및 폐수 수용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의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10)는 상호 유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이 내부에 세정수를 수용하는 세정수 수용부(110) 및 세정폐수를 수용하는 폐수 수용부(120)를 내장하는 본체부(100), 본체부(10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세정수 수용부(110)에 저장된 세정수를 흡입하고 샤워기(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모터펌프(20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세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폐수 수용부(120)는 세정수 수용부(110)의 하방에 위치됨으로써 세정수 수용부(110)의 세정수가 중력에 의해 상기 폐수 수용부(12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외측 일면에 손잡이(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측면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람의 손이 닿는 곳이면 충분하다. 또한 손잡이(106)의 형상 역시 파지 가능하며, 인력이 본체부(100)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06)를 통해 본체부(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1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신에 필요한 목욕 용품 등의 구비가 가능하고, 이동식 샤워장치(10) 사용 간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체부(100)는 상기 세정수의 온도 또는 압력 등의 상태표시를 위한 상태표시창(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재 세정수의 온도 및 압력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바,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정수 수용부(110)의 일측에는 세정수 수용부(110)로부터 본체부(100)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세정수 주입부(111)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세정수 주입부(111)는 세정수 수용부(110)의 내부와 본체부(100)의 외부를 연통 가능한 바, 세정수는 상기 세정수 주입부(111)를 통해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세정수 수용부(110)에 유입될 수 있으며, 세정수 수용부(110)는 유입된 세정수를 수용할 수 있다.
이 때, 세정수 수용부(110)는 제3 밸브(11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3 밸브(112)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져 후술할 제어부(130)에 의해 세정수 주입부(111)의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다만, 제3 밸브(112)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고, 볼 밸브, 게이트 밸브 등의 수동 밸브 역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수 주입부(111)는 유입되는 세정수를 여과하는 여과필터(미도시 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보다 청정한 물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세신을 받는 자가 환자인 경우 병환 개선에 유리할 수 있다.
나아가, 세정수 수용부(110) 내의 일측에는 세정수 수용부 내의 세정수를 가열하는 히터부(113)가 배치될 수 있고, 히터부(113)는 후술할 제어부(130)에 의해 작동 및 가열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정수 수용부(110)에 저장된 세정수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에 맞춰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히터부(113)은 전기 열선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 때, 히터부(113)는 세정수 수용부(110) 내에서 하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히터부(113) 상에는 세정수 수용부(110)의 하측면과 결합되고 히터부(113)를 세정수 수용부(110) 하측에 고정시키는 히터부 보호캡(1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히터부 보호캡(114)은 히터부(113)를 감싸도록 다공(미도시 됨)이 형성된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히터부(113)가 세정수 수용부(110)로부터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10)는 본체부(100)의 외부와 연통되어 외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외기를 압축하여 세정수 수용부(110) 내에 분사하는 세정수 순환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세정수 순환부(300)는 세정수 수용부(110) 내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세정수 수용부(110) 내의 세정수를 세정수 수용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수평 방향 이동 또는 상하 이동) 대류 순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정수 수용부(110) 내의 세정수가 히터부(113)에 의해 가열되는 경우, 세정수 수용부(110) 내의 세정수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다. 즉, 히터부(113)에 인접한 일부 세정수만 가열되고 나머지 세정수는 단순 열전도에 의해 순차적으로 가열되는 것이 아니라, 세정수 순환을 통한 대류 열전달 또한 이뤄지는 바, 히터부(113)의 에너지 효율이 증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정수 순환부(300)는 적어도 일부가 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되고 본체부(100)의 외부와 연통되어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부(310), 본체부(100) 내에서 세정수 수용부(110)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로 흡기부(310)에 연결되어 흡기부(310)에 의해 흡입된 외기를 압축시키는 흡입 압축부(320) 및 흡입 압축부(320)와 세정수 수용부(110)를 연통시키는 압축 공기 이송관(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세정수 순환부(300)는 흡기부(310)와 흡입 압축부(320)를 연결하는 흡기 이송관(3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압축 공기 이송관(330)의 일단은 흡입 압축부(3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세정수 수용부(110)의 수평 방향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압축 공기 이송관(330)의 상기 타단은 세정수 수용부(110)의 하측을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압축된 외기는 세정수 수용부(110)의 하측면을 향해 분사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술한 압축 공기 이송관(330)은 흡입 압축부(320)로부터 지면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제1 압축 공기 이송관(331) 및 제1 압축 공기 이송관(331)의 말단에서 소정 각도 절곡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압축 공기 이송관(3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압축 공기 이송관(332)의 말단은 세정수 수용부(110)의 내부 하측면을 향하도록 제1 압축 공기 이송관(33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절곡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압축 공기 이송관(330)에 의해 분사된 압축 외기는 세정수 수용부(110) 내의 수평 방향 일측에서 세정수 수용부(110)의 하측면에 분사되는 바, 전체 세정수 수용부(110) 내에서 일 방향(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대류가 유도될 수 있다. 나아가, 분사된 압축 외기는 세정수 수용부(110)의 하측면에 부딪힌 후 대류되는 바, 세정수의 난류(turbulence)를 유도하여 열전달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흡입 압축부(320)는 흡입된 외기의 압축을 위한 흡입밸브(미도시 됨), 실린더실(미도시 됨), 피스톤(미도시 됨), 크랭크(미도시 됨) 및 모터(미도시 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 세정수 수용부(110) 상에는 적어도 일부가 세정수 수용부(1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세정수의 수위 및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13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31)는 후술할 제어부(130)를 통해 본체부(100)의 상태표시창(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정수 수용부(110) 내 세정수의 수위 및 온도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10)는 본체부(100)에 형성되고 세정수의 유량 및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상술한 세정수 순환펌프(300), 모터펌프(200), 제3 밸브(112), 감지부(131) 및 히터부(113) 등과 본체부(100) 내 전기 배선(미도시 됨)을 통해 연결되어 각 구성을 작동 및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부(50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세정수 수용부(110) 및 폐수 수용부(120)는 강체(rigid body)로 형성될 수 있고, 본체부(100)는 상기 세정수 수용부(110)를 지지하는 지지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10)는 세정수 수용부(110) 및 폐수 수용부(120) 사이에 상기 지지판(150)을 관통하며 위치되는 배수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배수부재(160)는 세정수 수용부(110) 및 폐수 수용부(120)를 연결하며, 중공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수부재(160)를 통해 유체가 유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수부재(160)를 통해 세정수 수용부(110) 내의 세정수를 곧바로 폐수 수용부(120)로 이송할 수 있고, 세정수 수용부(110)가 폐수 수용부(120)보다 상측에 위치됨에 따라 세정수는 중력에 의해 하측의 폐수 수용부(120)로 유입되는 바, 별도의 동력 없이 세정수를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배수부재(160)는 배수부재(160) 내의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1 밸브(1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세정수 수용부(110)의 세정수를 이용하여 세신하는 경우, 사용자는 배수부재(160)의 유로를 폐쇄하여 안정적으로 세정수를 사용할 수 있고, 세정수 사용이 모두 끝난 경우에는 배수부재(160)의 유로를 개방하여 세정수 수용부(110)에 남아있는 세정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밸브(161)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져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130)에 의해 배수부재(160) 내의 유로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다만, 제1 밸브(161)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고, 볼 밸브, 게이트 밸브 등의 수동 밸브 역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폐수 수용부(120)는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폐수를 배출할 수 있는 폐수 배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수 수용부(120)에 세정폐수가 가득 차게 되면, 폐수 수용부(120)를 본체부(100)로부터 분리할 필요 없이 상기 폐수 배출부(121)를 통해 세정폐수를 버리는 것이 가능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부재(160)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 역시 폐수 배출부(121)를 통해 세정폐수와 함께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폐수 배출부(121)는 세정폐수 배출 시 폐수 수용부(120)에 세정폐수가 남아있지 않고 완전히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폐수 수용부(120)의 최하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밸브(미도시 됨) 등 폐수 배출부(121)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재(미도시 됨)가 구비되어 폐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10)는 본체부(100) 내에 흡입펌프(710)를 포함하여 외부 유체를 폐수 수용부(120)로 흡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펌프(710)는 폐수 이송 라인(710)을 통해 흡입기(800)와 연결되고, 상기 흡입기(800)를 통해 사용자 세신 후 간이 욕조(600)에 남아있는 세정폐수를 흡입하여 폐수 수용부(120)로 이송할 수 있다. 폐수 수용부(120)로 흡입된 세정폐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폐수 배출부(1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10)는 예비 모터펌프(미도시 됨) 및 예비 흡입펌프(미도시 됨)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예비 펌프는 상기 모터펌프(200) 및 흡입펌프(710) 일측에 설치될 수 있고, 이동식 샤워장치(10) 사용 간 펌프(200, 710) 작동에 이상이 있는 경우, 모터펌프(200) 및 흡입펌프(710) 각각에 연결된 제1 이송관(211) 및 제3 이송관(711)을 예비용 펌프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10)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1)은 간이 욕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간이 욕조(600)는 욕조 형상의 매트(610)를 포함할 수 있고, 매트(610)는 공기 삽입에 따라 욕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튜브 형태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 이동식 욕조가 이용되거나 방수 천의 분해 조립을 통해 욕조 형상을 구현 가능한 조립식 욕조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10')의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10)의 세정수 순환부(300)의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10)의 세정수 순환부(3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각각의 기능, 배치 및 구성 간의 관계 모두 동일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10')는 본체부(100)의 외부와 연통되어 외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외기를 압축하여 세정수 수용부(110) 내에 분사하는 세정수 순환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세정수 순환부(300')는 적어도 일부가 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되고 본체부(100)의 외부와 연통되어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부(310'), 흡기부(310')에 연결되어 흡기부(310')에 의해 흡입된 외기를 압축시키는 흡입 압축부(320') 및 흡입 압축부(320')와 세정수 수용부(110)를 연통시키는 압축 공기 이송관(3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정수 순환부(300')는 흡기부(310')와 흡입 압축부(320')를 연결하는 흡기 이송관(3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흡입 압축부(320')는 세정수 수용부(1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된 외기의 이동을 위한 압축 공기 이송관(330')의 길이가 짧아지는 바, 상술한 세정수 순환부(300)에 비해 흡입 압축부(320')로부터 압축 공기 이송관(330') 말단까지의 이동 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 즉, 세정수 순환부(300')에서 분사되는 외기의 압축력이 더욱 향상된 상태일 수 있어 세정수 수용부(110) 내의 세정수 대류 효율이 증가될 수 있고, 히터부(113)에 의한 세정수 온도가 균일하게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압축 공기 이송관(330')은 제1 압축 공기 이송관(331') 및 제2 압축 공기 이송관(3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압축 공기 이송관(330')의 절곡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세정수 순환부(300)의 압축 공기 이송관(330)과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수 수용부(110') 및 폐수 수용부(1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세정수 수용부(110') 및 폐수 수용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는 세정수 수용부(110') 및 폐수 수용부(120') 사이에 위치되어 유체 이동을 제한하는 분리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리부(170)는 분리부(170)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개구부(171) 및 개구부(171)에 배치되고 개구부(171) 내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2 밸브(1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수 수용부(110) 및 폐수 수용부(120)는 별개의 강체로 이루어져 배수부재(160)에 의해 연결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수 수용부(110') 및 폐수 수용부(120')는 분리부(170)를 사이에 두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세정수 수용부(110') 및 폐수 수용부(120')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배수부재(160) 등의 추가 연결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외부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해 각 구성간 연결부위가 파손될 염려가 작아지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체부(100) 내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2 밸브(172)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져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개구부(171) 내의 유로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다만, 제2 밸브(172)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고, 볼 밸브, 게이트 밸브 등의 수동 밸브 역시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이동식 샤워장치(10)는, 세신을 받는 자가 세신을 위해 특정 장소로 이동하지 않아도 세신이 가능하므로, 이들이 세신 장소로 이동하는 부담, 세신을 받는 사람이 이동 중 부상을 당할 위험 및 세신 과정에서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10)는, 수원(水源)으로부터 거리가 멀거나, 세정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어려운 장소에서도 원활하게 사용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1' :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10, 10' : 이동식 샤워장치
100, 100' : 본체부
106 : 손잡이
107 : 수납함
108 : 상태표시창
110, 110' : 세정수 수용부
111 : 세정수 주입부
112 : 제3 밸브
113 : 히터부
114 : 히터부 보호캡
120, 120' : 폐수 수용부
121 : 폐수 배출부
130 : 제어부
131 : 감지부
150 : 지지판
160 : 배수부재
161 : 제1 밸브
170 : 분리부
171 : 개구부
172 : 제2 밸브
200 : 모터펌프
210 : 사워기
211: 제1 이송관
300, 300' : 세정수 순환부
310, 310' : 흡기부
311, 311' : 흡기 이송관
320, 320' : 흡입 압축부
330, 330' : 압축 공기 이송관
331, 331' : 제1 압축 공기 이송관
332, 332' : 제2 압축 공기 이송관
500 : 전원부
600 : 간이 욕조
610 : 매트
700 : 폐수 이송 라인
710 : 흡입펌프
711 : 제3 이송관
800 : 흡입기

Claims (10)

  1. 유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이 내부에 세정수를 수용하는 세정수 수용부와 세정폐수를 수용하는 폐수 수용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며 세정수의 유량 및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세정수 수용부에 저장된 세정수를 흡입하고, 외부로 배출하는 모터펌프;
    상기 본체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부와 연통되어 외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외기를 압축하여 상기 세정수 수용부 내에 분사하는 세정수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수 수용부는 상기 세정수 수용부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세정수 수용부의 세정수는 상기 폐수 수용부로 유입 가능하고,
    상기 세정수 수용부 내에는 상기 세정수 수용부 내의 세정수를 가열하는 히터부가 배치되며,
    상기 세정수 순환부는 상기 세정수 수용부 내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세정수 수용부 내의 세정수를 상기 세정수 수용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환시키고,
    상기 세정수 순환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와 연통되어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부;
    상기 흡기부에 연결되어 상기 흡기부에 의해 흡입된 외기를 압축시키는 흡입 압축부; 및
    상기 흡입 압축부와 상기 세정수 수용부를 연통시키는 압축 공기 이송관;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 공기 이송관의 말단은 상기 세정수 수용부 내의 수평 방향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압축 공기 이송관은 상기 흡입 압축부로부터 지면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제1 압축 공기 이송관 및 상기 제1 압축 공기 이송관의 말단에서 소정 각도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제2 압축 공기 이송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압축 공기 이송관의 말단은 상기 세정수 수용부의 내부 하측면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압축된 외기는 상기 세정수 수용부의 하측면을 향해 분사되며, 상기 세정수 수용부 내의 세정수는 수평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대류 순환되는, 이동식 샤워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수용부 및 상기 폐수 수용부는 강체로 형성된, 이동식 샤워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수용부 및 상기 폐수 수용부 사이에 위치되고 중공되어 유체 유동이 가능한 배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는,
    상기 배수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부재 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수용부 및 상기 폐수 수용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세정수 수용부 및 상기 폐수 수용부 사이에 위치되어 유체 이동을 제한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분리부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2 밸브;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수 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 배출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10. 청구항 1 및 4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동 가능하거나 분해 조립 가능한 간이 욕조;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KR1020190001584A 2019-01-07 2019-01-07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KR102103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584A KR102103979B1 (ko) 2019-01-07 2019-01-07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EP20738136.9A EP3906827A4 (en) 2019-01-07 2020-01-07 PORTABLE SHOWER ATTACHMENT AND PORTABLE SHOWER SYSTEM INCLUDING THEM
PCT/KR2020/000287 WO2020145635A1 (ko) 2019-01-07 2020-01-07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US17/421,090 US20220104663A1 (en) 2019-01-07 2020-01-07 Movable shower apparatus and movable shower system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584A KR102103979B1 (ko) 2019-01-07 2019-01-07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979B1 true KR102103979B1 (ko) 2020-04-23

Family

ID=70472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584A KR102103979B1 (ko) 2019-01-07 2019-01-07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04663A1 (ko)
EP (1) EP3906827A4 (ko)
KR (1) KR102103979B1 (ko)
WO (1) WO20201456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013B1 (ko) 2020-11-05 2022-02-23 케어자인(주) 이동식 미스트 분사 샤워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993A (ja) * 1995-04-06 1996-10-22 Yasuhiro Fujii 酸性イオン水による洗浄装置
JP2006136862A (ja) * 2004-11-15 2006-06-0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オゾン微細気泡発生装置
KR20070002570A (ko) * 2005-06-30 2007-01-05 김성은 휴대가능한 접이식 욕조
KR20080003794U (ko) 2007-03-06 2008-09-10 (주)이투산업환경 이동식 샤워장치
US20100275364A1 (en) * 2009-04-29 2010-11-04 Lasco Bathware, Inc. Accessible Bathtub
KR20160028241A (ko) * 2014-09-03 2016-03-11 김형도 목욕탕용 순환배관 슬러지 제거방법
KR20170141574A (ko) * 2016-06-15 2017-12-26 한영관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3280A (en) * 1959-10-28 1961-12-19 Nellie V Coffman Portable shampoo device
US6665891B1 (en) * 2002-09-03 2003-12-23 Ninarose A. Clifford Portable hair washing apparatus
US10251458B1 (en) * 2010-10-25 2019-04-09 Dustin Edward Weiss Mobile salon chair and work sta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993A (ja) * 1995-04-06 1996-10-22 Yasuhiro Fujii 酸性イオン水による洗浄装置
JP2006136862A (ja) * 2004-11-15 2006-06-0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オゾン微細気泡発生装置
KR20070002570A (ko) * 2005-06-30 2007-01-05 김성은 휴대가능한 접이식 욕조
KR20080003794U (ko) 2007-03-06 2008-09-10 (주)이투산업환경 이동식 샤워장치
US20100275364A1 (en) * 2009-04-29 2010-11-04 Lasco Bathware, Inc. Accessible Bathtub
KR20160028241A (ko) * 2014-09-03 2016-03-11 김형도 목욕탕용 순환배관 슬러지 제거방법
KR20170141574A (ko) * 2016-06-15 2017-12-26 한영관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013B1 (ko) 2020-11-05 2022-02-23 케어자인(주) 이동식 미스트 분사 샤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5635A1 (ko) 2020-07-16
EP3906827A4 (en) 2022-10-12
EP3906827A1 (en) 2021-11-10
US20220104663A1 (en) 202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979B1 (ko)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US20180255977A1 (en) System for washing and treating newborn infants
CN108721024A (zh) 一种医疗护理床头移动的洗头车
CN112107707A (zh) 一种临床医学检验用杀菌消毒设备
CN107787868A (zh) 一种自助式宠物清洗机
KR20050091148A (ko) 목욕장치
KR102459924B1 (ko) 이동식 샤워장치
KR20110099978A (ko) 월풀 욕조의 살균장치
KR200489322Y1 (ko)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KR200445539Y1 (ko) 코 세척기
KR101496297B1 (ko) 욕조에 설치 가능한 스파 시스템
US20020083516A1 (en) Portable soaking and bath pan for treating perineal wounds
CN107174444A (zh) 一种多功能医疗护理装置
CN108309764B (zh) 一种多功能鼻腔冲洗装置
KR100460591B1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KR200351391Y1 (ko) 목욕장치
CN216420292U (zh) 一种用于护理床的智能清洗装置
CN217745016U (zh) 一种中医针灸配合熏蒸装置
CN215651735U (zh) 一种多功能宠物诊疗台
CN215018967U (zh) 一种中医针灸推拿理疗用放置架
CN213911299U (zh) 一种溢水按摩缸
CN217827651U (zh) 一种沐浴辅助设备
US20220323983A1 (en) Personal hygiene apparatus for patients with reduced mobility
CN204071888U (zh) 行动不便人员用特殊自动洗澡装置
CN107233593A (zh) 一种传染科用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