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391Y1 - 목욕장치 - Google Patents

목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391Y1
KR200351391Y1 KR20-2004-0006487U KR20040006487U KR200351391Y1 KR 200351391 Y1 KR200351391 Y1 KR 200351391Y1 KR 20040006487 U KR20040006487 U KR 20040006487U KR 200351391 Y1 KR200351391 Y1 KR 200351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coupled
fixed
b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석
Original Assignee
서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석 filed Critical 서경석
Priority to KR20-2004-0006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3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3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8Cabinet 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combined with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05Means for bathing bedridden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의 목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욕조의 내부에 장착되어 승강되는 베드와 욕조의 전면에 설치된 승강대에 의하여 노약자, 거동이 불편한 환자 및 장애인들이 매우 간편하게 욕조의 내부로 이동하여 베드에 누워서 편안하게 목욕을 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은, 사각 틀을 이루어 결합된 지지프레임(10)에 고정되며, 그 하부에는 배수관(21)이 접속된 욕조(20)와; 상기 욕조(20)의 내부에 장착된 베드(31)의 하부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봉(34)들이 욕조(20)의 바닥면에 고정된 가이드관(34a)에 삽입되어 욕조(20)의 하부로 돌출되는 승강부(30)와; 상기 양측 가이드봉(34)에 하부에 장착된 지지대(41)에 결합되어 베드(31)를 승강시키는 구동부(40)와; 상기 욕조(20)에 힌지(51a) 결합되어 그 후방으로 열려지는 반 원통형의 덮개(51)의 내부에는 분사관(52)이 장착되고, 분사관(52)은 온풍기(54)와 호스(53)로 연결되어 분사관(52)에 결합된 노즐(52a)들을 통해 베드(31)로 온풍을 분사하는 건조부(50)와; 상기 욕조(20)의 일측에는 외부의 수도관과 접속되는 수도꼭지(60)와 샤워기헤드(61)가 장착되어 욕조(2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고 샤워를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목욕장치{a bathtub system}
본 고안은 주로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의 목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욕조의 내부에 장착되어 승강되는 베드와 욕조의 전면에 설치된 승강대에 의하여 노약자, 거동이 불편한 환자 및 장애인들이 매우 간편하게 욕조의 내부로 이동하여 베드에 누워서 편안하게 목욕을 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 및 장애인들은 몸을 움직이는 것이 매우 힘들고 부자연스러워 목욕을 혼자서는 하기 어려웠으므로 간병인과 같은 도우미의 도움을 받아서 목욕을 해야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었다.
더욱이, 거동이 매우 불편한 성인 환자나 장애인들은 간병인 혼자서는 환자를 들고 욕조 내부로 이동시키기 어려웠으므로 결국 2∼3명의 도우미들이 환자를 욕조로 이동시켜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으므로 간병인 혼자서도 환자를 간편하게 욕조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목욕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특히, 몸을 가누기 어려운 환자들이나 장애인들은 욕조의 내부에서 누워있는자세가 매우 불편하였을 뿐 아니라 욕조에 누웠을 때 물의 높이를 낮게 유지해야만 환자가 물을 삼키는 등의 폐단을 방지할 수 있었으므로 간병인이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함에 따라 결국 목욕을 시키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였다.
또한, 환자는 충분한 양의 물 속에 몸을 잠기도록 할 수 없었으므로 샤워하는 정도의 목욕을 함에 따라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피로를 회복시켜 주는 등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욕조의 내부에 장착되어 승강되는 베드와 욕조의 전면에 설치된 승강대에 의하여 노약자, 거동이 불편한 환자 및 장애인들이 매우 간편하게 욕조의 내부로 이동하여 베드에 누워서 편안하게 목욕을 할 수 있는 목욕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사각 틀을 이루어 결합된 지지프레임(10)에 고정되며, 그 하부에는 배수관(21)이 접속된 욕조(20)와; 상기 욕조(20)의 내부에 장착된 베드(31)의 하부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봉(34)들이 욕조(20)의 바닥면에 고정된 가이드관(34a)에 삽입되어 욕조(20)의 하부로 돌출되는 승강부(30)와; 상기 양측 가이드봉(34)에 하부에 장착된 지지대(41)에 결합되어 베드(31)를 승강시키는 구동부(40)와; 상기 욕조(20)에 힌지(51a) 결합되어 그 후방으로 열려지는 반 원통형의 덮개(51)의 내부에는 분사관(52)이 장착되고, 분사관(52)은 온풍기(54)와 호스(53)로 연결되어 분사관(52)에 결합된 노즐(52a)들을 통해 베드(31)로 온풍을 분사하는 건조부(50)와; 상기 욕조(20)의 일측에는 외부의 수도관과 접속되는 수도꼭지(60)와 샤워기헤드(61)가 장착되어 욕조(2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고 샤워를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목욕장치의 덮개가 열려진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부를 확대한 측단면도,
도 5a와 도 5c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부를 확대한 정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축볼트가 지지대에 고정된 너트에 나사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축볼트가 승강프레임의 가이드에 고정된 너트에 나사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프레임 11 : 전면판
12 : 측면판 13 : 후면판
14 : 선반 14a : 지지봉
20 : 욕조 21 : 배수관
21a : 밸브 22 : 투명창
22a : 램프 30 : 승강부
31 : 베드 31a : 배수공
32 : 베개 33 : 손잡이
34, 76 : 가이드봉 34a : 가이드관
40 : 구동부 41 : 지지대
42, 72 : 축볼트 42a, 72a : 베어링
43, 73 : 종동기어 44, 74 : 구동기어
44a, 74a : 모터 45, 75 : 너트
50 : 건조부 51 : 덮개
51a, 70a : 힌지 52 : 분사관
52a : 노즐 53, 81a : 호스
54 : 온풍기 54a : 케이스
54b : 송풍팬 54c : 히터
60 : 수도꼭지 61 : 사워기헤드
62 : 레버 70 승강대
71 : 승강프레임 71a : 가이드
77 : 자석 78 : 바리케이드
80 : 순환관 81 : 기포발생기
82 : 필터 82a : 필터케이스
83 : 펌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틀을 이루어 결합된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는 욕조(20)가 고정되어 있고, 욕조(20)의 하부에는 배수관(21)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배수관(21)에는 밸브(21a)가 접속되어 배수관(21)을 개폐하여 욕조(20)에 담겨진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밸브(21a)들은 수동으로 조작하는 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여 컨트롤부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욕조(20)의 내측면에 형성된 투명창(22)들에는 램프(22a)가 각각 장착되어 욕조(20) 내부를 밝혀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욕조(20)의 내부에는 베드(31)가 장착되어 있고, 베드(31)에는 무수한 배수공(31a)들이 뚫려져 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드(31)의 일측에는 머리 받침용 베개(32)가 놓여져 있고 베드(31)에는 손잡이(33)들이 설치되어 몸이 불편한 사람이 손잡이(33)를 잡고 목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드(31)의 하부 양측에는 가이드봉(34)들이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고, 양측 가이드봉(34)들은 욕조(20)의 바닥면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관(34a)에 삽입되어 욕조(20)의 하부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욕조(20)를 관통하는 가이드관(34a)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되어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베드(31), 가이드봉(34), 가이드관(34a)은 사람이 누워있는 베드(31)를 승강시키는 승강부(30)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양측 가이드봉(34)들의 하부에는 지지대(41)가 장착되어 있고, 지지대(41)는 구동부(40)에 의하여 승강되면서 가이드봉(34)들과 함께 베드(31)를 작동하여 사람이 누워있는 베드(31)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40)는 바닥판과 욕조(20)의 저면에 각각 고정된 베어링(42a)들 사이에 축볼트(42)가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축볼트(42)의 하부에 결합된 종동기어(43)가 모터(44a)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기어(44)에 치합되어 회전되며, 지지대(41)의 중앙에 고정된 너트(45)가 축볼트(42)에 나사 결합되어 축볼트(42)를 회전시키면 너트(45)와 함께 지지대(41)가 승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너트(45)의 내부에는 볼들이 삽입되어 축볼트(42)의 회전시 너트(45)가 부드럽게 승강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같은 볼 스크류 장치는 이미 널리 사용되는 것을 사용하였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구동부(40)는 바닥판에 장착된 유압 및 공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지지대(41)를 작동시켜 유압이나 공압의 힘에 의하여 지지대(41)를 승강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은 사람이 누워있는 베드(31)를 욕조(20) 내부에서 승강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40)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욕조(20)의 상부에는 반 원통형의 덮개(51)가 힌지(51a) 결합되어 욕조(20)의 후방으로 열려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덮개(51)의 내부에는 복수의 분사관(52)들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분사관(52)은 온풍기(54)와 호스(53)로 연결되어 분사관(52)에 결합된 노즐(52a)들을 통해 베드(31)로 온풍을 분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온풍기(54)는 케이스(54a) 내부에 축설되어 고속 회전되는 송풍팬(54b)의 전방에 전열선 히터(54c)가 장착되어 온풍을 송풍하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은 목욕을 완료한 상태에서 베드(31)에 누워있는 사람에게 온풍을 분사하여 신체를 건조시키는 건조부(50)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욕조(20)의 일측에는 외부의 수도관과 접속되는 수도꼭지(60)와 샤워기헤드(61)가 장착되어 욕조(2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고 샤워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레버(62)를 조절하면 온수와 냉수를 선택하거나 물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사방에는 전면판(11), 양 측면판(12), 후면판(13)이 장착되어 내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우측에 위치한 측면판(12)의 상부에는 선반(14)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선반(14)에는 목욕을 하기 위한 세제, 치약, 칫솔과 같은 각종 목욕 용구들이 놓여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선반(14)은 힌지 결합되어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선반(14)의 양측은 지지봉(14a)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면판(11)의 후면에 위치한 지지프레임(10)의 상,하부에 장착된 베어링(72a)들 사이에는 축볼트(72)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축볼트(72)의 하부에 결합된 종동기어(73)가 모터(74a)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기어(74)에 치합되어 회전되고, 승강프레임(71)의 중앙에 고정된 너트(75)가 축볼트(72)에 나사 결합되어 축볼트(72)를 회전시키면 승강프레임(71)이 양측 가이드봉(76)들에 지지된 상태에서 승강되며, 승강프레임(71)에는 승강대(70)가 힌지(70a) 결합되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승강되고, 접혀진 상태에서는 승강대(70)가 전면판(11)의 전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71)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가이드(71a)에는 너트(75)가 고정되어 축볼트(72)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승강프레임(71)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가이드(71a)에는 양측 가이드봉(76)들이 관통 삽입되어 승강프레임(71)이 축볼트(72)와 양측 가이드봉(76)에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전면판(11)에는 상기 가이드(71a)들이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는 3개의 가이드홈(11a)들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대(70)의 내측면에는 자석(77)이 부착되어 있고, 승강대(70)를 접어서 수직으로 세우면 자석(77)의 흡착력에 의하여 승강대(70)가 전면판(11)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승강대(70)의 내측면에는 바리케이드(78)가 접혀질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어 승강대(70)에 누워있는 환자가 수직으로 세워진 바리케이드(78)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안전하게 승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욕조(20)의 배수관(21)에 접속된 밸브(21a)에는 순환관(80)의 일단이 접속되고, 순환관(80)의 타단은 욕조(20)의 하부를 관통하여 접속되며, 욕조(20)에 접속된 순환관(80)의 출구에는 기포발생기(81)의 호스(81a)가 관통 삽입되고, 순환관(80)에는 필터(82)가 삽입된 필터케이스(82a)와 펌프(83)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배수관(21)의 밸브(21a)를 조작하여 배수관(21)이 순환관(80)과 연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펌프(83)와 기포발생기(81)를 작동시키면 욕조(20)에 담겨진 물이 배수관(21)과 순환관을 통해 다시 욕조(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순환되면서 기포가 함께 주입되어 욕조의 물이 유동되면서 선회됨에 따라 물 마사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목욕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거품과 때와 같은 찌꺼기들은 필터(82)에 의하여 걸러져 깨끗하게 정화되고 기포에 의하여 신선한 산소가 공급되어 쾌적한 상태에서 목욕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순환관(80)의 출구는 복수로 분기된 상태에서 욕조(20)에 접속되어 물이 유동력을 더욱 높여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필터(82)는 필터케이스(82a)의 측면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됨에 따라 수시로 필터(82)를 분리하여 필터(82)를 청소함과 아울러 필터케이스(82a) 내부에 잔류하는 찌꺼기들을 제거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침대에 누운 상태로 욕조(20)로 이동된 경우에는 욕조(20)의 내부에 위치한 베드(31)를 상승시켜 침대와 동일한 높이가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환자를 수평 이동하여 베드(31) 위에 눕혀지도록 하고 수도꼭지(60)를 통해 온수를 욕조(20) 내부로 주입하여 환자가 충분히 물에 잠겨지도록 베드(31)의 높이를 조절하면 샤워기헤드(61) 등을 사용하여 물을 분사하면서 매우 간편하게 환자를 목욕을 시켜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순환관(80)을 통해 욕조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면 목욕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거품과 때와 같은 찌꺼기들이 필터(82)에 의하여 걸러져 깨끗하게 정화되고 기포와 함께 신선한 산소가 공급되면서 물이 유동되어 선회됨에 따라 온수 마사지에 의하여 물리치료를 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서 환자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피로를 회복시켜 치료효과를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므로 환자의 건강을 지켜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환자가 휠체어 등으로 욕조(20)로 이동된 경우에는 전면판(11)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된 승강대(70)를 수평으로 눕혀지도록 한 상태에서 환자를 승강대(70)에 눕히고 승강대(70)를 상승시켜 환자를 수평 이동하여 베드(31)에 눕혀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므로 환자의 상태에 구애됨이 없이 매우 간편하게 환자를 욕조(20)의 베드(31)에 눕혀지도록 하여 간편하게 목욕을 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거동이 비교적 양호한 환자들은 승강대(70)를 중간높이 정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승강대(70)를 밟고 욕조(20)로 올라가서 베드(31)에 앉거나 누워서 스스로 목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베드(31)는 욕조(20)의 바닥에 완전히 하강되도록 하여 욕조(20) 전체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목욕이 끝나면 배수관(21)의 밸브(21a)를 열어 물을 배출시킨 후 욕조에 힌지(51a) 결합된 반 원통형의 덮개(51)가 닫혀지도록 한 상태에서 베드(31)에 누워있으며, 덮개(51)의 내부 분사관(52)에 결합된 노즐(52a)들을 통해 온풍이 분사되어 젖은 몸이 자동으로 건조되어 수건으로 물기를 닦을 필요가 없는 것이므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욕조(20)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승되는 승강대(70)에 의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들을 매우 간편하게 욕조(20) 내부에 설치된 베드(31)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베드(31)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환자가 충분히 물에 잠겨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샤워기헤드(61)를 이용하여 매우 간편하게 목욕 시켜 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동시에 순환관(80)을 통해 욕조 내부의 물이 순환되면서 찌꺼기들이 필터(82)에 의하여 걸러져 깨끗하게 정화되어 기포와 함께 물이 유동되면서 선회됨에 따라 온수 마사지와 같은 물리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서 환자의 치료효과를 최대한 높여주어 건강을 지켜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목욕이 끝나면 반 원통형의 덮개(51)의 내측 분사관(52)에 결합된 노즐(52a)들을 통해 온풍이 분사됨에 따라 젖은 몸이 자동으로 건조되어 수건으로 물기를 닦을 필요가 없는 것이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사각 틀을 이루어 결합된 지지프레임(10)에 고정되며, 그 하부에는 배수관(21)이 접속된 욕조(20)와;
    상기 욕조(20)의 내부에 장착된 베드(31)의 하부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봉(34)들이 욕조(20)의 바닥면에 고정된 가이드관(34a)에 삽입되어 욕조(20)의 하부로 돌출되는 승강부(30)와;
    상기 양측 가이드봉(34)에 하부에 장착된 지지대(41)에 결합되어 베드(31)를 승강시키는 구동부(40)와;
    상기 욕조(20)에 힌지(51a) 결합되어 그 후방으로 열려지는 반 원통형의 덮개(51)의 내부에는 분사관(52)이 장착되고, 분사관(52)은 온풍기(54)와 호스(53)로 연결되어 분사관(52)에 결합된 노즐(52a)들을 통해 베드(31)로 온풍을 분사하는 건조부(50)와;
    상기 욕조(20)의 일측에는 외부의 수도관과 접속되는 수도꼭지(60)와 샤워기헤드(61)가 장착되어 욕조(2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고 샤워를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는 바닥판과 욕조(20)의 저면에 각각 고정된 베어링(42a)들 사이에 축볼트(4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축볼트(42)의 하부에 결합된 종동기어(43)가 모터(44a)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기어(44)에 치합되어 회전되며, 지지대(41)의 중앙에 고정된 너트(45)가 축볼트(42)에 나사 결합되어 축볼트(42)를 회전시키면 너트(45)와 함께 지지대(41)가 승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사방에는 전면판(11), 양 측면판(12), 후면판(13)이 부착되어 내부가 커버되고, 전면판(11)의 후면에 위치한 지지프레임(10)의 상,하부에 장착된 베어링(72a)들 사이에는 축볼트(72)가 수직으로 설치되며, 축볼트(72)의 하부에 결합된 종동기어(73)가 모터(74a)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기어(74)에 치합되어 회전되고, 승강프레임(71)의 중앙에 고정된 너트(75)가 축볼트(72)에 나사 결합되어 축볼트(72)를 회전시키면 승강프레임(71)이 양측 가이드봉(76)들에 지지된 상태에서 승강되며, 승강프레임(71)에는 승강대(70)가 힌지(70a) 결합되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승강되고, 접혀진 상태에서는 승강대(70)가 전면판(11)의 전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도록 한 것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20)의 배수관(21)에 접속된 밸브(21a)에는 순환관(80)의 일단이 접속되고, 순환관(80)의 타단은 욕조(20)의 하부를 관통하여 접속되며, 욕조(20)에 접속된 순환관(80)의 출구에는 기포발생기(81)의 호스(81a)가 관통 삽입되고, 순환관(80)에는 필터(82)가 삽입된 필터케이스(82a)와 펌프(83)가 각각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장치.
KR20-2004-0006487U 2004-03-10 2004-03-10 목욕장치 KR200351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487U KR200351391Y1 (ko) 2004-03-10 2004-03-10 목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487U KR200351391Y1 (ko) 2004-03-10 2004-03-10 목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262A Division KR20050091148A (ko) 2004-03-10 2004-03-10 목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391Y1 true KR200351391Y1 (ko) 2004-05-22

Family

ID=49430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487U KR200351391Y1 (ko) 2004-03-10 2004-03-10 목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39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770B1 (ko) 2004-07-21 2006-09-20 (주)플로우트바이오텍 순환욕조장치
KR20160059786A (ko) * 2014-11-19 2016-05-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용 욕조
CN109820665A (zh) * 2019-03-20 2019-05-31 苏州大学附属儿童医院 可自动洗浴烘干的多功能护理床
WO2023035078A1 (en) * 2021-09-10 2023-03-16 12163004 Canada Inc Shower p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770B1 (ko) 2004-07-21 2006-09-20 (주)플로우트바이오텍 순환욕조장치
KR20160059786A (ko) * 2014-11-19 2016-05-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용 욕조
KR101653455B1 (ko) * 2014-11-19 2016-09-0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용 욕조
CN109820665A (zh) * 2019-03-20 2019-05-31 苏州大学附属儿童医院 可自动洗浴烘干的多功能护理床
CN109820665B (zh) * 2019-03-20 2024-03-22 苏州大学附属儿童医院 可自动洗浴烘干的多功能护理床
WO2023035078A1 (en) * 2021-09-10 2023-03-16 12163004 Canada Inc Shower p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194B1 (ko) 욕조를 구비한 침대
US5459887A (en) Portable sitz bath and therapeutic chair
JP2008540019A (ja) 入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07307955A (zh) 一种多功能护理床
KR20050091148A (ko) 목욕장치
KR101847784B1 (ko) 이동식 좌욕온수세정기
EP1075829A2 (en) Bathing method and bathing apparatus
KR200351391Y1 (ko) 목욕장치
US20090030355A1 (en) Hydrotherapy Apparatus for a Lower Extremity
JP2007301331A (ja) 病人用排便処理装置と排便可能な車椅子
JP3280654B2 (ja) 病弱者の介護設備
US6871367B1 (en) Combination bed and bathing device
KR20050006639A (ko) 위생변기 일체형 이동식 침대
KR101815245B1 (ko) 복합 회전 월풀 욕조
KR102459924B1 (ko) 이동식 샤워장치
CN212326824U (zh) 一种长期卧床患者专用洗脚装置
CN211634091U (zh) 一种恒温烧水箱及其配套的护理装置
JP3499549B1 (ja) 灌注浴装置
KR20050053477A (ko) 애완동물용 미용, 의료 및 욕조 시스템
JP2003024410A (ja) 介護用風呂
JPH07241251A (ja) 浴 槽
JPH10127726A (ja) 介護用浴槽付ベッド
JP3118539B2 (ja) 身体洗浄装置
JP3183626B2 (ja) 介護用ベット
CN201239332Y (zh) 具有按摩功能的新型坐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