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574A -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574A
KR20170141574A KR1020160150803A KR20160150803A KR20170141574A KR 20170141574 A KR20170141574 A KR 20170141574A KR 1020160150803 A KR1020160150803 A KR 1020160150803A KR 20160150803 A KR20160150803 A KR 20160150803A KR 20170141574 A KR20170141574 A KR 20170141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cleaning
water supply
wastewate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관
Original Assignee
한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관 filed Critical 한영관
Publication of KR20170141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30Screens or collapsible cabinets for showers or baths
    • A47K3/32Collapsible cabinets
    • A47K3/325Collapsible cabinets movable, e.g. for easy transportation to the site of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A47K3/003Grips fo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05Means for bathing bedridden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와 결합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세정수를 수용하는 세정수 공급용기와,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며 세정폐수를 수용하는 세정폐수 회수용기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며 세정수의 흐름과 세정수의 온도 및 압력을 제어 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샤워기;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에 저장된 세정수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입하고, 상기 샤워기를 통해 상기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모터펌프; 상기 본체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 및 세정폐수 회수용기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된, 이동식 샤워장치와, 상기 이동식 샤워장치; 바닥면에 배수구를 구비하는 이동식 욕조; 및 상기 배수구와 상기 이동식 샤워장치의 세정폐수 회수용기를 연결하여 상기 배수구에서 배출된 세정폐수를 이송하는 세정폐수 이송라인;을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MOVING SHOWER APPARATUS AND MOVING SHOWER APPARATUS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신을 하기 위해서는 욕실이나 욕조 등의 장치가 필요하며, 직접 세신을 할 수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야 한다.
한편, 환자, 장애인, 노인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은 하루 중 대부분을 침상에 누워서 생활한다. 이들이 세신 장소로 이동하는 것은 큰 부담이 될 수 있고, 세신을 받는 사람이 이동 중 부상을 당할 위험도 있으며, 세신 과정에서도 많은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실용실안공보 제 20-2008-0003794호(이하, 특허문헌1이라 함.)는 몸체부와 뚜껑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벽걸이수단이 설치되는 개폐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유입관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된 냉수를 가열하여 유출관을 통해 온수를 공급하는 순간 온수기와, 상기 순간 온수기의 유출관에 연결되는 샤워 헤드를 구비함으로써, 이동이 용이하고 설비의 규모가 작아 어떠한 공간에서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샤워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4443호(이하, 특허문헌2라 함.)는 침대 매트리스 상부에 올려지는 사각 형태로 된 풀을 구비하고, 상기 사각 풀의 각 모서리에는 설치공을 갖는 연결부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는 침대 프레임 상에 수직 입설된 고정대와 밴드에 의해 결합하여 고정되게 함으로써, 환자가 침상에서 샤워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샤워 매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사용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언제나 항상 물을 공급해 주는 수도시설이 구비된 장소에서만 설치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지속적으로 물공급이 어려운 곳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물공급원으로부터 실제 샤워장소까지 호스를 길게 연결하여 물을 공급받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특허문헌2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샤워를 하기 위한 급수량, 수온, 수압의 조절과 세정폐수의 후처리 등에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379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444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신을 받는 자가 세신을 위해 특정 장소로 이동하지 않아도 세신이 가능하며, 청결한 위생 상태 유지가 용이한 샤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원(水源)으로부터 거리가 멀거나, 세정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어려운 장소에서도 원활하게 사용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샤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세신을 받는 자가 거동이 불편하더라도 세신을 위한 특정 장소로 이동하지 않고 매트에 누워서 세신을 할 수 있도록, 이동식 샤워장치에 욕조를 손쉽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내부에 세정수를 수용하는 세정수 공급용기와,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며 세정폐수를 수용하는 세정폐수 회수용기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며 세정수의 흐름과 세정수의 온도 및 압력을 제어 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샤워기;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에 저장된 세정수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입하고, 상기 샤워기를 통해 상기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모터펌프;
상기 본체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 및 세정폐수 회수용기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된, 이동식 샤워장치.
2. 위 1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한 재질은 고무, 실리콘, 우레탄, 방수섬유 및 비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 및 세정폐수 회수용기는 각각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이동식 샤워장치.
3. 위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측면 하단에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는 일측면에 상기 통과공을 관통하는 세정수 주입구가 구비되는, 이동식 샤워장치.
4. 위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측면 외면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세정수 주입구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연결되는 세정수 주입관을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5. 위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와 세정폐수 회수용기는 각각 상기 세정수 및 세정폐수의 수용량에 따라 상호 상반되게 부피를 확장 또는 축소하도록 구성되는, 이동식 샤워장치.
6. 위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와 상기 세정폐수 회수용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 및 세정폐수 회수용기의 부피변화에 의해 승하강되고 상기 세정폐수 회수용기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7. 위 6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이 승하강되도록 상기 본체부 내면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에는 가이드레일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롤링부가 형성되는, 이동식 샤워장치.
8. 위 6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 내부의 세정수를 대류시키는 프로펠러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 장치.
9. 위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 및 세정폐수 회수용기는 벨로우즈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10. 위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는 내부에 세정수를 가열하는 히터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11. 위 10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히터부를 감싸면서 상기 히터부를 보호하는 히터부 보호캡을 구비하고,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의 하부에 고정 형성되는, 이동식 샤워장치.
12. 위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펌프와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는 세정수 흡입관으로 상호 연결되는, 이동식 샤워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흡입관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세정수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는 압력센서가 설치되는, 이동식 샤워장치.
14. 위 1에 있어서, 상기 세정폐수 회수용기는 상기 본체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세정폐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15. 위 14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세정폐수 회수용기의 확장 및 축소에 따라 상기 배출부가 승하강되도록 승하강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16. 위 14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상기 배출부를 고정할 수 있는 배출부 고정체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17. 위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세정수의 온도 또는 압력의 상태표시를 위한 상태표시창을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18. 위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19. 위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을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20. 위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세정수를 여과하는 여과필터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21. 위 1 내지 20 중 어느 하나의 이동식 샤워장치;
바닥면에 배수구를 구비하는 이동식 욕조; 및
상기 배수구와 상기 이동식 샤워장치의 세정폐수 회수용기를 연결하여 상기 배수구에서 배출된 세정폐수를 이송하는 세정폐수 이송라인;을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22. 위 2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욕조는,
공기가 주입되며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형성부를 포함하는 매트; 및
상기 매트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매트보호 패드;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23. 위 22에 있어서, 상기 매트보호 패드는 상기 매트보호 패드와 상기 배수구가 맞닿는 부분에 상기 배수구로 세정폐수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배수 유도관을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24. 위 22에 있어서, 상기 매트보호 패드 및 상기 벽체형성부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매트보호 패드 및 상기 벽체형성부가 결합 및 고정되도록 하는 패드 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25. 위 22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상기 매트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에 열선을 더 포함하고, 열선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열선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26. 위 22에 있어서, 상기 벽체형성부는 분리된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 장치는, 세신을 받는 자가 세신을 위해 특정 장소로 이동하지 않아도 세신이 가능하며, 청결한 위생 상태 유지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 장치는, 수원(水源)으로부터 거리가 멀거나, 세정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어려운 장소에서도 원활하게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부피를 갖는 샤워장치에 비하여 보다 많은 양의 세정수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은, 세신을 받는 자가 거동이 불편하더라도 세신을 위한 특정 장소로 이동하지 않고 매트에 누워서 세신을 할 수 있도록, 이동식 샤워장치에 욕조를 손쉽게 결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와 결합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수 공급용기 및 세정폐수 회수용기의 개략적인 부피변화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가이드 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 및 롤링부의 구성을 보인 상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폐수 배출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세로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유지 홀더의 세로 단면도.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유지 홀더의 저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배수 유지 홀더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 및 세정폐수 이송 라인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열선, 안전센서 및 열선제어부를 포함하는 개략적인 평면 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샤워장치(10)는, 내부에 세정수를 수용하는 세정수 공급용기(110)와,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세정폐수를 수용하는 세정폐수 회수용기(120)를 구비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형성되며 세정수의 흐름과 세정수의 온도 및 압력을 제어 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며 상기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샤워기(200)와,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110)에 저장된 세정수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입하고, 상기 샤워기(200)를 통해 상기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모터펌프(3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110) 및 세정폐수 회수용기(12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본체부(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내부에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된 세정수 공급탱크(110) 및 세정폐수 회수탱크(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세정폐수 회수탱크(120)는 세정수 공급탱크(1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렉서블한 재질은 물을 흡수하지 않으면서 신축성있게 부피를 조절할 수 있는 재질이면 당 분야에 공지된 재질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방수섬유 및 비닐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세정수 공급용기(110)와 세정폐수 회수용기(120)는 서로 동일한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세정수 공급용기(110)는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세정수가 수용되게 되므로, 세정수 공급용기(110)를 교체 하지 않고 다수 회 사용할 수 있으며, 세정폐수 회수용기는(120) 세정 후, 오염된 세정폐수가 수용됨에 따라 위생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1회용으로 사용한 후 폐기처분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폐수 회수용기(120)는 사용 후 매번 세척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어 사용면에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 경우, 세정폐수 회수용기(120)는 제조단가를 고려하여 비닐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본체부(100)는 체결부(101) 및 탈리부(102)를 구비하여, 세정폐수 회수용기(120)를 본체부(100)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체결부(101)는 너트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고, 탈리부(102)는 체결부(101)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볼트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탈리부(102)는 세정폐수가 세정폐수 회수용기(120)에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세정폐수 유입홀(10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정수 공급용기(110) 및 세정폐수 회수용기(12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각각 세정수 및 세정폐수를 수용하는 양에 따라 부피가 변화되게 되는데, 세정수가 세정수 공급용기(110)에 저장된 최초 상태에서 세정수 공급용기(110)는 최대의 부피로 확장되게 되고, 세정폐수 회수용기(120)는 최소의 부피를 유지한다. 이 후, 세정수를 사용함에 따라 세정수 공급용기(110)는 그 부피가 축소될 수 있으며, 세정폐수 회수용기(120)는 세정폐수가 유입되게 되어 그 부피가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세정수 공급용기(110) 및 세정폐수 회수용기(120)는 각각 벨로우즈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둘 중 하나의 용기만이 벨로우즈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써, 세정수 공급용기(110) 및 세정폐수 회수용기(120)는 각각 저장된 세정수를 사용하고, 세정폐수를 수용한 만큼 그 외형이 용이하게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다.
즉, 세정수 공급용기(110)와 세정폐수 회수용기(120)는 본체부(100)의 부피는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각각 세정수 및 세정폐수의 수용량에 따라 상호 상반되게 부피를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으므로, 본체부(100)의 일정한 부피에 대하여 보다 많은 양의 세정수의 공급 및 세정폐수의 회수가 가능하다. 또한, 세정폐수 회수용기(120)가 세정수 공급용기(110) 상부에 위치하므로, 회수되는 세정폐수의 양이 많을수록 세정수 공급용기(110)에 가하는 압력이 높아져 세정수의 잔량이 적더라도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수 공급탱크(110) 및 세정폐수 회수용기(120)는 벨로우즈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세정수 공급탱크(110)는 저장된 세정수를 사용한 만큼 그 외형이 줄어들게 되고, 세정폐수 회수용기(120)는 세정폐수를 수용한 만큼 그 외형이 늘어나게 되므로, 세정수의 사용잔량 및 세정폐수의 수용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측면 하단에 통과공(109)이 형성되고, 세정수 공급용기(110)는 일측면에 통과공(109)을 관통하는 세정수 주입구(1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세정수 공급용기(110)에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세정수 주입구(111)를 통해 세정수 공급용기(110)에 세정수를 추가적으로 보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100)의 측면 외면에 고정결합되며, 세정수 주입구(111)와 연결되는 세정수 주입관(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정수 주입관(140)은 세정수를 세정수 공급용기(110)에 세정수를 원활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축방향의 긴 관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정수 주입구(111)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연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세정수 주입구(111)의 외주면에는 고정부(114)가 구비되어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세정수 주입구(111)를 꽉 조여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세정수 주입관(140)이 세정수 주입구(111)의 내주면에 더욱 밀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세정수 주입관(140)은 고정결합부(141)를 구비하여, 본체부(100)의 측면 외면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고정결합부(141)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면, 못, 나사못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세정수 주입관(140)은 적어도 일부에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명창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세정수의 수위를 용이하게 관측하여 세정수 공급용기(110)에 세정수를 추가적으로 주입하거나 세정폐수 회수용기(120)에 수용된 세정폐수를 버리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정수 공급용기(110)와 세정폐수 회수용기(120) 사이에 위치하고, 세정폐수 회수용기(120)를 지지하는 지지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50)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된 세정수 공급용기(110) 및 세정폐수 회수용기(120)가 각각 세정수 및 세정폐수의 수용량에 따라 확장 또는 축소되게 되면, 이러한 세정수 공급용기(110) 및 세정폐수 회수용기(120)의 부피변화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는 것으로서, 플렉서블한 세정폐수 회수용기(120)를 지지하여 세정폐수 회수용기(120)가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세정수 공급용기(110)를 균일하게 압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고하면, 지지판(150)은 본체부(100) 내면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레일(104)을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지지판(150)에는 가이드레일(104)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롤링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판(150)은 축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롤링부(151)는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구조라면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면 바퀴, 베어링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바퀴 또는 베어링 등이 사용되는 경우 가이드레일(104)의 일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104)의 모든 면에 밀착하지 않고 한 면에만 접촉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지지판(150)에는 구동모터(190)가 설치되고, 구동모터(190)에 의해 회전되어 세정수 공급용기(110) 내부에 수용된 세정수를 대류시키는 프로펠러(19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판(150)은 두개로 구성되어 세정폐수 회수용기(120)의 하단에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190)는 상부 지지판(150)과 하부 지지판(150')의 사이에 설치되고, 프로펠러(191)는 하부 지지판(150') 및 세정수 공급용기(110)의 상단을 관통하면서 세정수 공급용기(1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세정수 공급용기(110)에 수용된 세정수를 히터부(112)를 통해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지지판(150)과 하부 지지판(150')은 세정수 공급용기(110) 및 세정폐수 회수용기(120)의 부피변화에 의해 동시에 승하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부 지지판(150)과 하부 지지판(150')은 다수개의 연결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수 공급용기(110)는 내부에 세정수를 가열하는 히터부(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히터부(112)는 후술할 제어부(130)에 의해 작동 및 가열온도가 조절될 수 있는데, 세정수 공급용기(110)에 저장된 세정수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에 맞춰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히터부(112)와 제어부(130)의 연결은 예를 들면, 세정수 주입관(140) 및 세정수 주입구(111)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미도시).
필요에 따라, 히터부(112)는 히터부 보호캡(113)을 구비하여 히터부 보호캡(113)이 히터부(112)를 감싸면서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110)의 하부에 고정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정수 공급용기(110)를 히터부(112)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정폐수 회수용기(120)는 본체부(10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세정폐수를 배출하는 배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폐수 회수용기(120)에 세정폐수가 가득 차게 되면, 세정폐수 회수용기를 본체부(100)로부터 별도로 분리할 필요 없이, 상기 배출부(121)를 통해 세정폐수를 버리는 것이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배출부(121)는 세정폐수 배출시 세정폐수 회수용기(120)에 잔량이 남지 않고 모든 세정폐수가 완전히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세정폐수 회수용기(120)의 최하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폐수 회수용기(120)에 수용된 세정폐수의 양에 따라 세정폐수 회수용기(120)의 부피가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는데, 세정폐수 회수용기(120)의 부피가 확장될 경우에는 배출부(121)가 하강되고, 세정폐수 회수용기(120)의 부피가 축소될 경우에는 상기 배출부(121)가 승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체부(100)는 배출부(121)가 세정폐수 회수용기(121)의 부피변화에 구애받지 않고 원활하게 승하강될 수 있도록 승하강 가이드 홈(160)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체부(100)의 외면에는, 배출부(121)의 승하강 이동에 의해서 배출부(121)로부터 임의로 세정폐수가 배출되지 못하도록, 배출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배출부 고정체(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는, 세정폐수 회수용기(120)의 하단에 세정폐수를 배출하는 배출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22)는 세정폐수를 본체부(1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본체부(100)의 하부 측면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지판(150)에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배출부(122)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본체부(100)의 하부 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배출부(122)는 유체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관형상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벨로우즈 타입이 적용될 수 있다. 배출부(122)는 세정수 공급용기(110)와 본체부(100) 사이에 마련된 별도의 공간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는 세정수 공급용기(110)가 가운데에 관통공을 갖는 도넛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본체부(100)의 하부 일측에는 배출밸브(180)가 형성될 수 있고, 배출밸브(180)는 배출부(122)와 연결되어 연통될 수 있으며, 배출밸브(180)를 통해 세정폐수의 흐름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배출밸브(180)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당 분야에 공지된 밸브가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부(100)에는, 제어부(130)가 형성되어 세정수의 흐름과 세정수의 온도 및 압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샤워기(200)가 연결되어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샤워기(200)는 제어부(130)에 의해 작동되어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할 수 있으며, 상기 각 구성들이 하나의 케이스에 포함되지 않고 별도로 각각 존재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본체부(100)는 샤워기 걸이(105)를 구비하여 샤워기(200)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면에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모터펌프(30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모터펌프(300)는 세정수 공급용기(110) 및 샤워기(200)에 각각 연결되어, 세정수 공급용기(110)에 저장된 세정수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입한 후, 샤워기(200)를 통해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펌프(300)와 세정수 공급용기(110)는 세정수 흡입관(310)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세정수 흡입관(310)에는 필요에 따라 압력센서(미도시) 및 세정수 역류방지 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압력센서 및 세정수 역류방지 밸브(미도시)는 제어부(130)에 의해 컨트롤 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30)에 의해 샤워기(200)의 작동이 이루어지면, 일시적으로 세정수 공급용기(110)의 내부 압력이 감소하게 되면서 모터펌프(300)가 작동하게 되고, 모터펌프(300)의 작동에 따라 세정수 역류방지 밸브가 개방되어 세정수 공급용기(110)에 저장된 세정수가 세정수 흡입관(310)을 거쳐 샤워기(2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세신을 완료한 후, 제어부(130)를 통해 샤워기(200)의 작동이 멈추게 되면, 세정수 공급용기(12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서 모터 펌프(400) 역시 그 작동이 멈추고, 세정수 역류방지 밸브가 폐쇄되어 관 내부에 남아 있는 세정수의 세정수 공급용기(110)로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제어부(130)의 조작만으로 세정수의 온도, 흐름 및 압력 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체부(10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400)의 형상은 바퀴의 형상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베어링 형상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일면에 손잡이(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측면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사람의 손이 닿는 곳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106)의 형상되 인력이 본체부(100)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본체부(100)의 이동부(400)를 통한 이동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1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세정수를 여과하는 여과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보다 청정한 물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세신을 받는 자가 환자인 경우 병환의 개선에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상기 세정수의 온도 또는 압력 등의 상태표시를 위한 상태표시창(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샤워장치는, 세신을 받는 자가 세신을 위해 특정 장소로 이동하지 않아도 세신이 가능하므로, 세신 장소로 이동하는 부담, 세신을 받는 사람이 이동 중 부상을 당할 위험 및 세신 과정에서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 장치는, 수원(水源)으로부터 거리가 멀거나, 세정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어려운 장소에서도 원활하게 사용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은, 전술한 이동식 샤워장치(10)와, 바닥면에 배수구(601)를 구비하는 이동식 욕조(600) 및 배수구(601)와 이동식 샤워장치(10)의 세정폐수 회수용기(110)를 연결하여 상기 배수구에 배출된 세정폐수를 이송하는 세정폐수 이송라인(7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식 욕조(600)는, 공기가 주입되며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형성부(611)를 포함하는 매트(610)를 포함할 수 있다.
벽체형성부(611)는, 그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부풀어 오름으로써 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세정폐수가 매트(610) 이외의 공간으로 유출되지 않고, 배수구(60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형상, 높이, 배치 등은 샤워기(200)로 유출된 세정수 및 세정폐수가 매트(610) 이외의 공간 상으로 흘러 유출되지 않는다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형성부(611)는 내부공간(612)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공기가 유입되는 내부공간(612)이 분리되어 포함될 수도 있다. 내부공간(612)은 공기 유출입에 따라 팽창 수축할 수 있다.
분리된 내부공간(612)이 다양하게 배치됨으로써, 벽체형성부(611)에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예정되는 벽체형성부(611)의 형상을 제조 시에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내부공간(612)이 분리된다는 것은 분리된 내부공간(612) 상호간에 공기의 유통이 없는 경우, 또는 분리된 내부공간(612) 사이에 일부 연통된 부분인 공기 연통부(613)를 포함함으로써 이를 통해 내부공간(612) 사이의 공기 유통이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벽체형성부(611)의 내부공간(612)이 분리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수개의 별도로 마련된 튜브가 결합됨으로써 벽체형성부(611)가 형성되는 방법, 하나의 튜브의 내부 중 적어도 일부가 접합되는 구획부(614)를 가짐으로써 내부공간(612)이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리되는 내부공간(612)이, 매트(610)의 바닥면이 지면에 접했을 경우를 기준으로, 상하 2단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단으로 형성하지 않은 경우보다 적은 양의 공기 유입으로 벽체의 지지력이 향상된 벽체형성부(611)를 형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욕조(600)는 공기 이송 라인(미도시)과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이동식 샤워장치에 공기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형성부(611)는 공기 유입구(615)를 밀봉할 수 있는 공기 유입구 마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 마개의 소재, 형상, 모양 등은 마개를 사용하여 공기 유입구(615)를 밀봉함으로써 벽체형성부(611)에 유입된 공기가 공기 유입구(615)를 통해 유출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면 당 분야에 공지된 마개가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 플라스틱 등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공기 유입구(615)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2이상일 경우 공기 유입구 마개 및 공기 이송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들이 그에 상응하는 수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내부공간(615)이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경우라도 공기 유입구(615)는 분리된 수보다 적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공기 유입구(615)의 개수는 복수일 수 있으나,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연통부(613)는 벽체형성부(611)의 내면 중의 적어도 일부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벽체 접합부(6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벽체 접합부(616)는 벽체형성부(611)에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견디어 벽체형성부(61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 그 형상이나 형성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벽체형성부(611)의 소재는 공기를 가둘 수 있는 소재이면 당 분야에 공지된 소재가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벽체형성부(611)는 그 내부에 벽체 형성 시 벽체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지지부재의 소재, 형상, 배치 등은 벽체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트(610)는 필요에 따라, 방수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물이 매트(610) 내부로 침투하거나 통과하여 매트(610)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방수층(미도시)에 적용되는 방수 방법은 당 분야에 공지된 방수 방법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밀도 직물에 의한 방법으로서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를 이용한 방법, 후가공에 의한 방법으로서 코팅이나 필름 라미네이팅을 이용한 방법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밀도 직물에 의한 방법과 관련하여 천연섬유는 면, 합성섬유는 분할복합섬유, 직방식섬유, 일반섬유일 수 있다. 한편, 후가공에 의한 방법과 관련하여 코팅은 우레탄계수지, 아크릴계수지, 실리콘계, 필름 라미네이팅 은 불소계수지, 우레탄수지, 폴리에스테르계수지에 의할 수 있으며, 이는 미다공질, 무공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매트(610)는 배수구(601)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구(601)는 세정폐수를 세정폐수 이송 라인(700)으로 보낼 수 있는 것이라면 개수, 형상 위치 등에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매트(610)의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매트(610)는 배수구(601)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그 대신 배수 유지 홀더(800)의 폐수 흡입구(804)를 통해 세정폐수가 배출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매트(610)는 매트(610)에 물을 가둘 수 있도록 배수구 덮개(6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머리카락과 같은 물 이외의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거름망(604)이 배수구(601) 또는 폐수 흡입구(804) 주위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은 세정폐수에 노출되는 매트(610)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매트보호 패드(630)를 더 포함한다.
환자가 샤워한 후의 폐수 부유물과 오물이 매트(610) 바닥과 측면에 달라붙게 되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세제와 소독제를 사용하여 별도의 노력을 기울여 매트(610)를 청소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매트보호 패드(630)를 더 포함함으로써, 벽체형성부(611) 표면의 세척이 불필요하게 된다. 사용 시 샤워가 끝나고 샤워 부유물이 달라붙어 있는 매트보호 패드(630)를 분리하여 따로 세척하는 등을 통해 처리하면 벽체형성부(611) 표면의 잔존 부유물로 인한 오물 발생과 세균 번식 등을 방지하고 간편하게 벽체형성부(611) 표면의 청결한 위생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매트보호 패드(630)의 소재는 벽체형성부(611) 표면을 덮을 수 있는 소재면 별다른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방수성을 갖춘 합성수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회용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매트보호 패드(630)가 1회용 합성수지로 형성될 경우, 단지 오염된 매트보호 패드(630)를 제거하고 새로운 매트보호 패드(630)를 다시 설치 내지 부착함으로써 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매트보호 패드(101)의 세척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현저하게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610)가 매트보호 패드(630)를 더 포함하는 경우, 매트보호 패드(630)는 매트보호 패드(630)와 배수구(601)가 맞닿는 부분에 배수 유도관(6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 유도관(602)을 더 포함함으로써, 배수구로 세정폐수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여, 매트(610) 위에 존재하는 세정폐수의 외부로 배출이 용이할 수 있으며, 매트보호 패드(630)와 벽체형성부(611)의 사이로 세정폐수가 흘러 들어가지 못하게 그 사이 틈을 막을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유도관(602)의 형상은, 배수구(601)에 끼워질 수 있으며, 세정폐수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을 구비하면서 매트보호 패드(630)와 벽체형성부(611)의 사이로 세정폐수가 흘러 들어가지 못하게 그 사이 틈을 막을 수 있는 것이면, 그 소재, 형상 등에 별다른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 장치 시스템은, 매트보호 패드(630) 및 전술한 벽체형성부(611)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매트보호 패드(630) 및 벽체형성부(611)가 결합 및 고정되도록 하는 패드 결합부(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드 결합부(640)의 소재, 형상, 배치는 매트보호 패드(630) 및 벽체형성부(611)가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면 별다른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탈부착이 자유로운 소재일 수 있는데, 벨크로 등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610)는 매트(610)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에 열선(6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선(65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열선제어부(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열선제어부는 상기 이동식 샤워장치에 구비된 제어부(130)를 통해 컨트롤 되어질 수 있다.
매트(610)가 열선을 더 포함함으로써, 샤워 시 매트(610) 상에 열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어 매트(610) 표면과 닿는 사용자의 체온 보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선(650)은 안전센서(65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안전센서(651)를 포함함으로써, 사용 시 과도한 열에너지 공급이나 누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안전센서(651)가 이러한 감지를 하면 이동식 샤워장치의 제어부(130)에 신호를 전달하고,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30)가 열에너지 공급 차단이나 전원 차단을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의(a)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세정폐수 이송 라인(700)은 배수구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세정폐수 이송 라인(700)의 말단에는 배수 유지 홀더(800)가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세정폐수 이송 라인(700)은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소재 또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배수 유지 홀더(800)의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유지 홀더(800)는, 일단은 상기 연장된 세정폐수 이송 라인(700)과 연결되고 타단은 폐수흡입구(807)를 구비한 세정폐수 유도관(802), 세정폐수 유도관(802)의 주위를 감싸는 몸체부(801), 및 몸체부(801)에서 돌출된 스페이서(8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폐수 유도관(802)은 세정폐수가 폐수 흡입구(804)로부터 배수 유지 홀더(800)를 지나 세정폐수 이송 라인(700)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소재 및 형상 등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그 일단은 세정폐수 이송 라인(700)의 끝단과 연결되고, 그 타단은 폐수 흡입구(8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수 흡입구(804)는 세정폐수가 세정폐수 유도관(802)으로 유입되는 초입으로서, 그 크기, 형상, 소재는 배수 시 폐수 흡입구(804)의 배수 기능을 원활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후술할 홈부(805)를 제외한 폐수 흡입구(804)의 각 지점이 하나의 면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경우, 세정폐수 흡입 효과가 좋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흡입구(804)가 형성되는 세정폐수 유도관(802)의 말단에는 세정폐수의 유입 경로를 확보하는 홈부(80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폐수 흡입구(804)는 배수 유지 홀더(800)의 바닥면보다는 돌출되는 것이 세정폐수의 흡입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홈부(805)는 세정폐수가 유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패인 형상으로 폐수 흡입구(804)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폐수 흡입구(804)가 매트(610)의 표면과 가까워지거나 밀착되더라도 홈부(805)로 세정폐수가 흐를 수 있어, 배수 경로가 확보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801)는 세정폐수 유도관(802)을 감싸면서 고정하는 것으로서, 세정폐수 유도관(802)의 전체를 감싸는 것뿐만 아니라 일부만을 감싸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801)는 세정폐수의 수면과 폐수 흡입구(804)가 매트의 바닥면을 바라보면서 수평 또는 수평에 유사하도록 유지되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매트(610) 바닥면에 고인 세정폐수가 폐수 흡입구(804)를 통해 세정폐수 유도관(802)으로 잘 흡입되어 배수가 잘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801)의 크기, 형상, 소재는 배수 시 폐수 흡입구(804)를 통한 배수가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그 무게는 배수 시 수압의 작용이나 의도하지 않은 기타 외력의 작용에도 폐수 흡입구(804)가 매트(610)의 바닥면을 바라보면서 세정폐수의 수면과 수평 또는 수평에 유사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무게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803)는,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폐수 흡입구(804)의 주변에 구비되어 폐수 흡입구(804)와 매트(610)가 이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크기, 형상, 소재는 배수 시 폐수 흡입구(804)를 통한 배수가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면,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면, 요철 구조로서 매트와 닿는 폐수 흡입구(804)의 주변의 몸체부(801)에 구비될 수도 있다.
세정폐수의 배수 시, 세정폐수의 유출로 인한 음압 또는 세정폐수펌프의 흡입력 등에 의해 폐수 흡입구(804) 주위가 매트(610)의 바닥면에 의해 폐쇄될 수 있어, 배수 시 세정폐수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스페이서(803)가 폐수 흡입구(804)와 매트(610)가 이격되도록 유지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 11의 (b)를 참조하면, 매트(610)는 배수구(601)를 구비하지 않고, 세정폐수 이송 라인(700)은 매트(610)의 벽체로 정의되는 매트(610) 상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연장된 세정폐수 이송 라인(700)의 말단에는 전술한 배수 유지 홀더(800)가 접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정폐수 이송 라인(700)이 매트(610)의 벽체 위를 넘어 위치되고 그 말단에 연결된 배수 유지 홀더(800)가 매트 바닥면에 닿도록 배치되어 세정폐수를 배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세정폐수 이송 라인(700) 상에 세정폐수 펌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정폐수 이송 라인(700)이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소재 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은, 세신을 받는 자가 거동이 불편하더라도 세신을 위한 특정 장소로 이동하지 않고 매트에 누워서 세신을 할 수 있으므로, 외부에 세신을 받는자의 신체가 노출되지 않아, 다른 수용된 자와의 관계 등에서 수치심 발생을 줄이고 자존감을 보전할 수 있고, 세신을 하는 자(요양사, 간병인 등)의 노동의 양적 부담, 내지 이들에 대한 고용료 등의 경제적 부담이 감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이동식 샤워장치 100 : 본체부
101 : 체결부 102 : 탈리부
103 : 세정폐수 유입홀 104 : 가이드 레일
105 : 샤워기 걸이 106 : 손잡이
107 : 수납함 108 : 상태표시창
109 : 통과공 110 : 세정수 공급용기
111 : 세정수 주입구 112 : 히터부
113 : 히터부 보호캡 114 : 고정부
120 : 세정폐수 회수용기 121, 122 : 배출부
130 : 제어부 140 : 세정수 주입관
141 : 고정결합부 150,150' : 지지판
151 : 롤링부 160 : 승하강 가이드 홈
170 : 배출부 고정체 180 : 배출밸브
190 : 구동모터 191 : 프로펠러
200: 사워기 300 : 모터펌프
310 : 세정수 흡입관 400 : 이동부
500 : 전원부 600 : 이동식 욕조
601 : 배수구 602 : 배수 유도관
603 : 배수구 덮개 604 : 거름망
610 : 매트 611 : 벽체형성부
612 : 내부공간 613 : 공기 연통부
614 : 구획부 615 : 공기 유입구
616 : 벽체 접합부 630 : 매트보호 패드
640 : 패드 결합부 650 : 열선
651 : 안전센서 660 : 열선제어부
700: 세정폐수 이송 라인 800: 배수 유지 홀더
801 : 몸체부 802 : 세정폐수 유도관
803: 스페이서 804 : 폐수 흡입구
805 : 홈부

Claims (26)

  1. 내부에 세정수를 수용하는 세정수 공급용기와,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며 세정폐수를 수용하는 세정폐수 회수용기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며 세정수의 흐름과 세정수의 온도 및 압력을 제어 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샤워기;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에 저장된 세정수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입하고, 상기 샤워기를 통해 상기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모터펌프;
    상기 본체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 및 세정폐수 회수용기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된, 이동식 샤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한 재질은 고무, 실리콘, 우레탄, 방수섬유 및 비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 및 세정폐수 회수용기는 각각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이동식 샤워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측면 하단에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는 일측면에 상기 통과공을 관통하는 세정수 주입구가 구비되는, 이동식 샤워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측면 외면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세정수 주입구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연결되는 세정수 주입관을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와 세정폐수 회수용기는 각각 상기 세정수 및 세정폐수의 수용량에 따라 상호 상반되게 부피를 확장 또는 축소하도록 구성되는, 이동식 샤워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와 상기 세정폐수 회수용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 및 세정폐수 회수용기의 부피변화에 의해 승하강되고 상기 세정폐수 회수용기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하나 이상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이 승하강되도록 상기 본체부 내면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에는 가이드레일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롤링부가 형성되는, 이동식 샤워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 내부의 세정수를 대류시키는 프로펠러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 및 세정폐수 회수용기는 벨로우즈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는 내부에 세정수를 가열하는 히터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히터부를 감싸면서 상기 히터부를 보호하는 히터부 보호캡을 구비하고,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의 하부에 고정 형성되는, 이동식 샤워장치.
  1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펌프와 상기 세정수 공급용기는 세정수 흡입관으로 상호 연결되는, 이동식 샤워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흡입관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세정수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는 압력센서가 설치되는, 이동식 샤워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폐수 회수용기는 상기 본체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세정폐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세정폐수 회수용기의 확장 및 축소에 따라 상기 배출부가 승하강되도록 승하강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상기 배출부를 고정할 수 있는 배출부 고정체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세정수의 온도 또는 압력의 상태표시를 위한 상태표시창을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을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세정수를 여과하는 여과필터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21. 청구항 1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의 이동식 샤워장치;
    바닥면에 배수구를 구비하는 이동식 욕조; 및
    상기 배수구와 상기 이동식 샤워장치의 세정폐수 회수용기를 연결하여 상기 배수구에서 배출된 세정폐수를 이송하는 세정폐수 이송라인;을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욕조는,
    공기가 주입되며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형성부를 포함하는 매트; 및
    상기 매트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매트보호 패드;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매트보호 패드는 상기 매트보호 패드와 상기 배수구가 맞닿는 부분에 상기 배수구로 세정폐수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배수 유도관을 더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매트보호 패드 및 상기 벽체형성부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매트보호 패드 및 상기 벽체형성부가 결합 및 고정되도록 하는 패드 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25.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상기 매트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에 열선을 더 포함하고, 열선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열선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26.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벽체형성부는 분리된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KR1020160150803A 2016-06-15 2016-11-14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KR201701415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74707 2016-06-15
KR1020160074707 2016-06-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574A true KR20170141574A (ko) 2017-12-26

Family

ID=6093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803A KR20170141574A (ko) 2016-06-15 2016-11-14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157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979B1 (ko) * 2019-01-07 2020-04-23 한영관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KR20200082652A (ko) 2018-12-31 2020-07-08 한덕환 환자를 위한 샤워 매트리스
WO2022232866A1 (en) * 2021-05-05 2022-11-10 Harrison Fullard Portable shower appar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652A (ko) 2018-12-31 2020-07-08 한덕환 환자를 위한 샤워 매트리스
KR102103979B1 (ko) * 2019-01-07 2020-04-23 한영관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WO2020145635A1 (ko) * 2019-01-07 2020-07-16 한영관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EP3906827A4 (en) * 2019-01-07 2022-10-12 Han, Yeonggwan PORTABLE SHOWER ATTACHMENT AND PORTABLE SHOWER SYSTEM INCLUDING THEM
WO2022232866A1 (en) * 2021-05-05 2022-11-10 Harrison Fullard Portable shower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68618B2 (ja) 患者のケア,維持および治療で生ずる汚物処理方法ならびにその装置
KR101789059B1 (ko) 이동식 샤워 장치
US20060282944A1 (en) Smart bath
KR20170141574A (ko)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US6802088B1 (en) Comfort bed bath
KR100752479B1 (ko) 욕조가 달린 침대
RU2483701C2 (ru)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для ухода за лежачими больными (варианты)
CN106983419A (zh) 一种适用于老年人或瘫痪病人不变换体位的移动式洗浴机
CN201888903U (zh) 一种医用卧床洗头器
KR200489322Y1 (ko)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CN208081130U (zh) 一种可移动式的水疗洗礼车装置
CA2773557C (en) The bib sheet poop sheet system
JPH07241251A (ja) 浴 槽
CN111726999A (zh) 抛弃式洗涤辅助具
CN218075519U (zh) 一种具有洗浴功能的床
CN214963183U (zh) 一种危重患者床上洗头盆
JP5885306B2 (ja) 介護用男性局部洗浄用具
CN214435034U (zh) 一种icu患者用床旁头部洗护装置
CN216168414U (zh) 一种可折叠助浴沐浴篷
CN203693965U (zh) 洗头装置及洗头设备
CN213158301U (zh) 一种妇科护理清洗器
CN107736821A (zh) 一种可移动式的水疗洗礼车装置
JP3211221U (ja) インフレータブル簡易浴槽
KR101362623B1 (ko) 입원환자용 이동식 세발기
WO2006021065A1 (en) Hygienic litter for bedridden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