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735Y1 - 코너 선반 - Google Patents

코너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735Y1
KR200381735Y1 KR20-2005-0001222U KR20050001222U KR200381735Y1 KR 200381735 Y1 KR200381735 Y1 KR 200381735Y1 KR 20050001222 U KR20050001222 U KR 20050001222U KR 200381735 Y1 KR200381735 Y1 KR 200381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corner
corner shelf
fixing member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2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효숙
Original Assignee
변효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효숙 filed Critical 변효숙
Priority to KR20-2005-00012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7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7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2Single-corner shelves; Bracke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2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for glass shelves

Landscapes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너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욕실 등의 코너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각종 물품을 용이하게 정리 및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너 선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코너의 두 벽면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면에 물품이 놓이는 유리재질인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면 테두리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받침판에 놓인 물품이 외부로 이탈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펜스와, 상기 받침판을 코너의 두 벽면에 지지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통상의 코너 선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벽면과 접촉되는 결합부의 일측에 상기 받침판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요홈을 내부에 갖는 지지부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끼움요홈에 끼워진 받침판을 잡아 고정하는 잠금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조임나사공이 끼움요홈과 연통되게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벽면과 접촉되는 결합부에는 접착재가 충진되는 접착재충진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접착재에 의해 벽면에 부착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선반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코너 선반{A CORNER SHELF}
본 고안은 코너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욕실 등의 코너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각종 물품을 용이하게 정리 및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너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물품의 정리 및 보관을 위하여 장, 선반, 함 등이 다양한 구조와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욕실 등과 같이 비교적 협소한 장소에서는 선반이나 벽부착형 수납장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선반과 수납장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설치되어야하며, 욕실에서 사용되는 세면 용품은 이용자가 샤워 중에서도 손쉽게 잡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때문에 대부분 위와 같은 상황에 만족시키기 위하여 욕실의 두 벽면이 만나는 코너 부분에 세면용품의 보관 및 정리를 위한 코너 선반이 설치되고 있다.
도 1a와 도 1b와 도 1c는 종래의 코너 선반(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코너 선반(1)은 코너의 두 벽면(2)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면에 물품이 놓이는 유리재질인 받침판(10)과, 상기 받침판(10)의 상면 테두리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받침판(10)에 놓인 물품이 외부로 이탈되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펜스(20)와, 상기 받침판(10)을 코너의 두 벽면(2)에 지지 고정하는 고정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0)는 벽면(2)과 접촉되는 결합부(31a)의 일측에 상기 받침판(10)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요홈(31b)을 내부에 갖는 지지부(31c)가 단면 ㄷ형상으로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31a)에는 복수개의 고정나사공(31d)이 끼움요홈(31b)과 연통되도록 수평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31c)에는 조임나사공(31e)이 끼움요홈(31b)과 연통되도록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결합브라켓(31)과, 벽면(2)에 박혀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는 결합나사공(32a)이 형성된 앙카(32)와, 상기 결합브라켓(31)의 끼움요홈(31b)에 삽입된 받침판(10)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결합브라켓(31)의 조임나사공(31e)에 체결되는 잠금볼트(33)와, 상기 결합브라켓(31)을 벽면(2)에 고정시키도록 일치된 결합브라켓(31)의 고정나사공(31d) 및 앙카(32)의 결합나사공(32a)에 체결되는 결합볼트(3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코너 선반(1)을 설치할 경우에는 먼저 코너 선반(1)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두 벽면(2)을 드릴로 천공하여 결합공(2a)을 형성한 다음 상기 결합공(2a)에 앙카(32)를 박아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앙카(32)의 결합나사공(32a)과 상기 결합브라켓(31)의 고정나사공(31d)이 일치되도록 배치한 다음 상기 일치된 결합나사공(32a) 및 고정나사공(31d)에 결합볼트(34)를 체결하여 상기 결합브라켓(31)이 벽면(2)에 완전히 지지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결합브라켓(31)의 끼움요홈(31b)에 받침판(10)의 단부를 끼워 삽입한 다음 상기 결합브라켓(31)의 조임나사공(31e)에 잠금볼트(33)를 체결하여 상기 결합브라켓(31)에 받침판(10)이 완전히 지지 고정되도록 하면 코너 선반(1)의 설치가 완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코너 선반(1)은 설치 작업시 코너 선반(1)이 설치될 벽면(2)을 드릴로 천공하여 결합공(2a)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공(2a)에 앙카(32)를 박은 후 결합볼트(34)로 상기 앙카(32)에 결합브라켓(31)을 고정 결합한 다음 상기 결합브라켓(31)에 받침판(10)을 끼운 후 잠금볼트(33)를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함은 물론 전문 시공인이 아닌 일반 사용자가 코너 선반(1)을 안정적으로 설치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문 시공인이 아닌 일반 사용자도 각종 물품이 놓이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을 벽면에 지지 결합하는 고정부재의 시공을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행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너 선반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코너의 두 벽면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면에 물품이 놓이는 유리재질인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면 테두리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받침판에 놓인 물품이 외부로 이탈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펜스와, 상기 받침판을 코너의 두 벽면에 지지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통상의 코너 선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벽면과 접촉되는 결합부의 일측에 상기 받침판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요홈을 내부에 갖는 지지부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끼움요홈에 끼워진 받침판을 잡아 고정하는 잠금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조임나사공이 끼움요홈과 연통되게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벽면과 접촉되는 결합부에는 접착재가 충진되는 접착재충진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접착재에 의해 벽면에 부착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선반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인 코너 선반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코너 선반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인 코너 선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코너 선반(100)은 코너의 두 벽면(2)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면에 물품이 놓이는 유리재질인 받침판(110)과, 상기 받침판(110)의 상면 테두리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받침판(110)에 놓인 물품이 외부로 이탈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펜스(120)와, 상기 받침판(110)을 코너의 두 벽면(2)에 지지 고정하는 고정부재(130)로 이루어진 통상의 코너 선반(100)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30)는 벽면(2)과 접촉되는 결합부(131)의 일측에 상기 받침판(110)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요홈(132)을 내부에 갖는 지지부(133)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33)에는 끼움요홈(132)에 끼워진 받침판(110)을 잡아 고정하는 잠금볼트(134)가 체결될 수 있도록 조임나사공(135)이 끼움요홈(132)과 연통되게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벽면(2)과 접촉되는 결합부(131)에는 접착재(136)가 충진되는 접착재충진요홈(137)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130)가 접착재(136)에 의해 벽면(2)에 부착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110)에는 물이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배수공(11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받침판(110)의 표면에 묻어 있던 물이 배출되면서 신속하게 건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수공(111)의 상부는 받침판(110)의 상면에서 물이 원활하게 흘러내려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깔대기면(11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리재질인 받침판(110)의 상면 또는 저면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층(1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받침판(1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받침판(110)의 파손 시 받침판(110)의 파손 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충격흡수층(112)은 충격을 원활하게 흡수 제거할 수 있도록 탄성력 및 복원력이 뛰어난 고무나 발포수지 등이 함유된 재질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충격흡수층(112)에 색상을 갖는 안료가 함유되어 투명한 유리재질의 받침판(110)이 다양한 색상으로 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코너 선반(10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인 코너 선반(100)을 설치할 경우에는 먼저 고정부재(130)의 끼움요홈(132)에 받침판(110)을 끼워 가 결합한다.
이후 상기 고정부재(130)의 접착재충진요홈(137)에 접착재(136)를 충진 시킨 다음 상기 접착재(136)가 충진된 고정부재(130)의 결합부(131)를 벽면(2)에 부착시켜 고정 결합한다.
이후 상기 고정부재(130)의 조임나사공(135)에 잠금볼트(134)를 체결하여 상기 고정부재(130)의 끼움요홈(132)에 끼워진 받침판(110)을 완전히 고정하게 되면 본 고안인 코너 선반(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코너 선반은 받침판을 벽면에 지지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접착재에 의해 벽면에 부착되어 쉽게 고정 결합됨으로 전문 시공인이 아닌 일반 사용자도 코너 선반의 설치를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게 행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인 코너 선반은 유리재질인 받침판의 표면에 충격흡수층이 형성되어 있어 외부로 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 그 충격을 충격흡수층이 흡수 제거하게 됨으로 유리재질인 받침판이 어느 정도의 충격에도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인 코너 선반의 받침판 표면에 형성된 충격흡수층은 받침판에 가해지는 충격의 강도가 높아 받침판이 파손될 경우 파손된 유리재질의 받침판이 상호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음으로 파손된 유리재질인 받침판의 파편이 바닥에 떨어지면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인 코너 선반의 받침판 표면에 형성된 충격흡수층은 색상을 갖는 안료가 함유되어 있음으로 단조로운 투명한 유리재질의 받침판을 다양한 색상으로 연출할 수 있어 코너 선반의 활용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인 코너 선반은 받침대에 물을 신속하게 배수하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코너 선반을 보다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코너 선반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b와 도 1c는 종래 코너 선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코너 선반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인 코너 선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벽면 100 : 코너 선반
110 : 받침판 111 : 배수공
111a : 깔대기면 112 : 충격흡수층
120 : 펜스 130 : 고정부재
131 : 결합부 132 : 끼움요홈
133 : 지지부 134 : 잠금볼트
135 : 조임나사공 136 : 접착재
137 : 접착재충진요홈

Claims (4)

  1. 코너의 두 벽면(2)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면에 물품이 놓이는 유리재질인 받침판(110)과, 상기 받침판(110)의 상면 테두리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받침판(110)에 놓인 물품이 외부로 이탈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펜스(120)와, 상기 받침판(110)을 코너의 두 벽면(2)에 지지 고정하는 고정부재(130)로 이루어진 통상의 코너 선반(100)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30)는 벽면(2)과 접촉되는 결합부(131)의 일측에 상기 받침판(110)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요홈(132)을 내부에 갖는 지지부(133)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33)에는 끼움요홈(132)에 끼워진 받침판(110)을 잡아 고정하는 잠금볼트(134)가 체결될 수 있도록 조임나사공(135)이 끼움요홈(132)과 연통되게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벽면(2)과 접촉되는 결합부(131)에는 접착재(136)가 충진되는 접착재충진요홈(137)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130)가 접착재(136)에 의해 벽면(2)에 부착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선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10)에 물이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배수공(11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받침판(110)의 표면이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선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재질인 받침판(110)의 상면 또는 저면에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층(112)이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받침판(1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받침판(110)의 파손 시 받침판(110)의 파손 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선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층(112)에 색상을 갖는 안료가 함유되어 투명한 유리재질의 받침판(110)이 다양한 색상으로 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선반.
KR20-2005-0001222U 2005-01-14 2005-01-14 코너 선반 KR200381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222U KR200381735Y1 (ko) 2005-01-14 2005-01-14 코너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222U KR200381735Y1 (ko) 2005-01-14 2005-01-14 코너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735Y1 true KR200381735Y1 (ko) 2005-04-14

Family

ID=43683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222U KR200381735Y1 (ko) 2005-01-14 2005-01-14 코너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7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931A (ko) 2017-02-22 2018-08-30 성산코리아 주식회사 욕실 코너 선반
KR102064686B1 (ko) * 2018-11-22 2020-01-09 이윤영 욕실용 선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931A (ko) 2017-02-22 2018-08-30 성산코리아 주식회사 욕실 코너 선반
KR102064686B1 (ko) * 2018-11-22 2020-01-09 이윤영 욕실용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3633C2 (ru) Компоновка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удержив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CA2297283A1 (en) Adjustment riser
KR200381735Y1 (ko) 코너 선반
KR100533522B1 (ko) 조립식 가구
US6588030B1 (en) Soap and accessory support
KR101905659B1 (ko) 욕실 코너 선반
KR20090008961U (ko) 케이블트레이
US5242064A (en) Combination self-draining soap holder and utility shelf
US20060037133A1 (en) Shower tray
KR20100128192A (ko) 수납대걸이구
KR200411324Y1 (ko) 조립식 코너 선반
US8095999B2 (en) Shoulder support for shower accessories
KR100693099B1 (ko) 악세사리 홀더 고정구
US20050235410A1 (en) Shower tray
KR20160001201U (ko) 욕실장 거치장치
KR100759955B1 (ko) 건축물의 코너에 사용되는 선반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490022Y1 (ko) 욕실용 선반
JP4227937B2 (ja) 浴室用収納棚
JP6339803B2 (ja) 内外装材の取付具及び型枠パネル
KR200343004Y1 (ko) 피스캡과 커버캡이 구비되는 나사
JP2005240512A (ja) 浴室用床台
JP2003223951A (ja) スイッチ又はコンセントの保護カバー
JP3392102B2 (ja) 浴室の洗い場のカウンター部の構造
KR200249880Y1 (ko) 벽걸이형 비누
KR20120002333U (ko) 벽면 부착형 이동 비누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