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226B1 - 수평 조정 장치와, 수평 조정 장치가 결합된 캠 하네스장착 기구와, 장착 기구가 설치된 직조 기계 - Google Patents

수평 조정 장치와, 수평 조정 장치가 결합된 캠 하네스장착 기구와, 장착 기구가 설치된 직조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226B1
KR101245226B1 KR1020067020059A KR20067020059A KR101245226B1 KR 101245226 B1 KR101245226 B1 KR 101245226B1 KR 1020067020059 A KR1020067020059 A KR 1020067020059A KR 20067020059 A KR20067020059 A KR 20067020059A KR 101245226 B1 KR101245226 B1 KR 101245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center
cam
weav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2961A (ko
Inventor
쟝-삐에르 빠쥬
빠트릭 일띠스
Original Assignee
스또블리 파베르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94450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4522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스또블리 파베르쥬 filed Critical 스또블리 파베르쥬
Publication of KR20060132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5/00Cam or other direct-acting shedding mechanisms, i.e. operating heald frames without intervening power-supplying devices
    • D03C5/02Cam or other direct-acting shedding mechanisms, i.e. operating heald frames without intervening power-supplying devices operated by rotating ca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5/00Cam or other direct-acting shedding mechanisms, i.e. operating heald frames without intervening power-supplying devices
    • D03C5/005Level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Weight Measurement For Supplying Or Discharging Of Specified Amounts Of Material (AREA)
  • Measurement Of Force In General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 하네스 장착 기구(10)가 설치되는 직조 기계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들에는 캠 종동기구들(19A)을 구비하며 공통축(15)에 장착되는 왕복 레버들(11)에 의해 작동된다. 공통축에 의해 레버들의 위치가 적어도 하나의 편심기(17)의 도움에 의해 프레임과 관련하여 변동될 수 있다. 상기 편심기(17)의 각도 방향은 편심기의 피봇 중심(X17)에 나란한 중심(X42)을 기준으로 프레임(16)에 관절 연결되는(X42) 모터화된 장치(40, 41)의 도움으로 제어된다. 그리고 모터화된 장치(40, 41)의 출력축은 편심기(17)의 조정 아암(60)의 플레이트 너트(50)에 연결되는 나사가 형성된 로드(4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로드에 의해 형성된다.

Description

수평 조정 장치와, 수평 조정 장치가 결합된 캠 하네스 장착 기구와, 장착 기구가 설치된 직조 기계{Level adjustment device, cam harness mounting mechanism incorporating said device and weaving machine fitted with said mechanism}
본 발명은 캠 직조 기구가 설치된 직조기의 프레임들의 위치를 수평 조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와 같은 장치를 구비하는 직조 기구과, 이와 같은 기구가 설치된 직조기에 관한 것이다.
직조기 분야에서 캠 직조 기구는 직조기에 장착되는 잉아(heddle) 프레임들의 수와 같은 개수의 일련의 왕복 레버를 구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각각의 왕복 레버는 프레임들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설계되며, 공통 축에 의해 회전되는 보완적인 캠의 두 개의 트랙들과 상호 작용하는 두 개의 롤러가 설치된다. 수리를 위한 특정 동작 중에 또는 직조기의 조정 중에, 모든 직조기 프레임들을 동일한 높이로 움직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별히 끊어진 경사(warp threads)를 수리할 필요가 있을 때가 이와 같은 경우이다.
이를 위하여 유럽 특허공개공보 EP-A-0 580 528호에 의해 편심기 상에 롤러들을 갖는 다양한 레버들을 설치하고, 수평 조정 위치로 불리는 공통 위치에 다양 한 레버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이 편심기를 회전시키는 것이 공지되었다. 이와 같은 유형의 장치에서, 편심기의 회전은 스퍼 피니언(spur pinion)을 갖는 감속 기어가 장착된 모터나 웜 기어 감속기(worm-gear reducer)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장비의 감속비는 높아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스퍼 피니언들을 갖는 감속 기어를 위한 몇 가지의 감속 단계의 사용이 필요하다. 웜 기어 감속기에 대해서는 이와 같은 종류의 장비는 부피가 크고, 복잡하며 조정하기에 불편하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이와 같은 감속기들은 상대적으로 비싸다.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며, 제조하고 사용하기에 특별히 단순하며, 캠 직조 기구의 다양한 롤러 레버들을 훌륭한 정밀도를 가지고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수평 조정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이를 고려하여 캠 직조 기구가 설치된 직조기의 프레임들의 위치를 수평 조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들 프레임들은 캠 종동기구들을 구비하며 기구의 프레임에 대한 위치가 적어도 하나의 편심기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공통 축에 장착되는 왕복 레버들에 의해 작동된다. 이와 같은 장치는, 편심기의 각도 방향이 프레임 상에서 편심기의 피봇 중심과 나란한 중심에 관절 연결되는 구동 조립체에 의해 제어되며, 이 구동 조립체의 출력축은 편심기의 조정 아암의 계류 너트에 연결된 나사가 형성된 로드에 대해 회전되게 고정적으로 부착되거나, 로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으로 인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나사가 형성된 로드는 조정 아암의 계류 너트에 직접 작용한다. 너트는 편심기의 피봇 중심을 중심으로 이 조정 아암을 회전시키는 작용을 한다. 즉 편심기에 의해 부여되는 원호의 궤적을 따라 왕복 롤러 레버의 공통 축의 위치 결정을 제어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하나 의무적이지는 않은 측면에 따르면, 수평 조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의 하나 이상을 병합할 수 있다.
- 너트는 적어도 편심기의 피봇 중심에 나란한 중심을 회전 중심으로 조정 아암에 관절 연결된다.
- 이동 단부 정지부에 대해 가압하는 표면이 조정 아암에 제공된다.
- 편심기에 의해 구동되는 부재가, 레버들이 수평 조정 위치에 있을 때 이동 단부 정지부에 대해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이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조정 아암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 이동 단부 정지부에는 아암의 압력이나 상술한 위치들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는 상술한 부재의 압력을 감지하는 수단들이 설치된다.
- 레버들에 공통되는 축의 기하학적 중심과, 캠들의 구동축의 기하학적 중심과, 편심기들의 기하학적 피봇 중심은 평행하고 동일한 평면 상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측면은 직조 배치에 있는 직조 기구의 양호한 안정성에 도움이 된다.
- 레버에 공통되는 축은, 축의 단부들 중 하나의 근처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편심기들에 의해 프레임에 대해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수평 조정 장치를 구비하는 직조기를 위한 캠 직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기구는 특별히 직조기의 프레임들을 수평 조정함에 있어서 공지된 종류의 장비들에 비해 더 경제적이며, 더 신뢰성이 있으며, 사용하기에 더 쉽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직조 기구가 설치되는 직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직조기는 종래 기술의 직조기에 비해 사용하기에 더 쉽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조정 장치가 설치된 직조 기구와, 직조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이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도 더 명확하게 나타날 것이다. 상세한 설명은 예로써만 주어지는 것이며, 다음과 같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조기의 원리의 부분적인 개략도이다.
도 2는 직조 배치에 있는 도 1의 직조기의 직조 기구를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기구가 직조 배치에서 수평 조정 위치로 전환할 때 도 2의 기구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도 4는 기구가 수평 조정 배치에 있을 때의, 도 3에 유사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상세 부분 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상세 부분 Ⅵ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기구의 수평 조정 장치를 형성하는 일부 요 소들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직조기(M)는 복수 개의 잉아(heddle) 프레임들을 구비하며, 이들 중 하나만이 도면 상에 참조 부호 1로 표시된다. 직조기(M)의 다양한 프레임들은 이중 화살표 F1에 의해 도시되는 수직 왕복 운동으로 작동하며, 캠 기구(10)로부터 힘을 받는다. 캠 기구(10)의 출력 레버들(11)은 관련된 만곡 레버들(13)과 함께 커넥팅 로드(14)에 의해 프레임에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12)에 각각 작용한다.
레버들(11)은 잉아 프레임들(1)의 수와 같은 수로 제공되고, 기구(10)의 프레임(16)에 의해 지지되는 공통 축(15)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이중 화살표 F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축(15)을 지지하며, 프레임(16)에 의해 형성되는 도시되지 않은 두 개의 베어링들에 의해 지지되는 두 개의 편심기들(17, 17')이 축(15)의 두 단부에 설치된다.
기구(10)는 또한 동일한 레버(11)의 롤러들(19A, 19B)에 의해 가압되는 한쌍의 트랙들(18A, 18B)을 갖는 복수 개의 대응되는 캠들(18)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각 레버(11)는 레버와 연관된 캠(18)의 트랙들(18A, 18B)의 구조에 의해 부여되는 움직임을 따른다.
캠들(18)에 공통되는 축(21)의 단부에는 링 피니언 조립체(20)가 설치된다. 도면을 명확성을 위해, 링 피니언 조립체(20)는 도 1 및 도 2에만 도시되었다.
프레임(16)에 설치되며 도 1 및 도 2에서만 그 윤곽이 일점쇄선으로 도시되 는 커버(16B)는 요소들(15 내지 21)을 외측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에서 축(15)의 트랙은 일점쇄선으로 도시되며, 축의 기하학적 중심은 X15로 참조된다. 같은 방법으로 일점쇄선의 하나는 편심기들(17, 17')의 기하학적 피봇 중심인 X17을 나타내고, 축(21)의 기하학적 중심인 X21을 나타낸다. 이들 중심들은 서로 나란하다.
왕복 레버들(11)이 잉아 프레임들(1)과 그 동등물들을 구동하도록 설계된 도 2에 도시된 직조 배치에 있어서, 중심들(X15, X17, X21)은 동일 평면상에 있다. 이는 캠들의 레버들에 대한 영향으로부터 기인하는 축들(15, 21)의 사이의 분리힘들이 편심기(17)를 회전시키는 경향이 없으며, 편심기의 제어 장치에 부하를 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프레임들(1)의 수평 조정을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사용자는 레버들(11)을 도 4에 도시된 배치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 배치에서는 롤러들(19A, 19B)이 캠들(18)로부터 분리되며, 모든 레버들(11)이 중심(X15)에 대하여 동일한 각도 위치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두 개의 베어링들에 의해 형성되는 중심(X42)을 기준으로 관절 연결되는 지지부(41)에 전기 모터(40)가 설치된다. 베어링의 하나만이 참조 부호 42로 도 2에 도시된다. 이들 베어링들은 프레임(16)의 중앙 부분(16A)에 의해 지지된다. 중심(X42)은 중심들(X15, X17, X21)과 나란하다.
그러므로 요소들(40, 41)에 의해 형성되는 조립체는 이중 화살표(F3)에 의해 도시된 중심(X42)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모터(40)의 출력축(40A)은 베어링(44)에 의해 지지부(41)에 지지되며 슬리브(43)에 수용된다. 핀(45)은 축(40A)과 슬리브(43)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나사가 형성된 로드(46)는 슬리브(43)에 연결되며 코터(47)에 의해 슬리브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그러므로 나사가 형성된 로드는 모터(40)에 의해 모터(40)의 공급 전류에 따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모터(40)의 출력축은 지지부(41)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나사면이 로드(46)의 나사에 대응되는 너트(50)는 이 로드 상에 장착되며, 편심기(17)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중심(X17)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정 아암(60)의 단부에 구속적으로 유지된다. 중심(X17)에 대하여 편심기(17)를 회전시키는 토크를 발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아암(60)은 주된 부분(60A)과 주된 부분(60A)에 설치되는 플레이트(60B)를 구비한다. 너트(50)는 요소들(60A, 60B)의 사이의 요크에 유지된다. 너트에는 두 개의 트러니언들(trunnions; 이축)이 제공되며, 이들 중에 하나 만이 참조 부호 61로 도시되었다. 트러니언들은 요소들(60A, 60B)의 대응되는 구멍들에 결합됨으로써, 너트(50)는 중심들(X15, X17, X42)에 나란한 중심(X61)을 기준으로 아암(60)에 관절 연결된다.
도면의 명확성을 위해 도 2 내지 도 6에는 플레이트(60B)가 도시되지 않았음을 주의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왕복 레버들(11)을 레버의 수평 조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할 때에는, 나사면이 형성된 로드(46)를 회전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모터(40)가 작동되어 너트(50)를 화살표 F4에 의해 도시되는 지지부(41)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이동의 효과는 아암(60)과 편심기(17)를 화살표 F5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며, 기하학적 중심(X17)에 대해 기하학적 중심(X15)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3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원(C)의 원호에서의 궤적을 따라 축(2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축(15)을 이동시키는 효과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3의 중간 위치를 관통함으로써, 도 4의 위치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위치에서는 레버들(11)의 모든 롤러들(19A, 19B)이 캠들(18)로부터 분리되어, 레버들이 일치되며, 그로 인해 프레임들(1)도 일치된다.
조립체가 모터(40)에 의해 형성되고, 지지부(41)가 중심(X42)에 대하여 왕복하도록 장착되는 점은, 너트(40)가 로드를 따라 지지부(41)의 방향으로 상측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나사면이 형성된 로드(46)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방향들을 달성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다양한 방향들은 로드(46)의 중앙 중심(X46)과 중심(X17)의 사이의 수평방향 간격에서의 변형으로부터 나온다.
정지부(70)가 프레임(16)에 장착되며, 접촉 스위치(71)를 지지한다. 접촉 스위치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60)의 표면(62)이 가압하는 로드(72)가 마련된다. 이로 인해 다양한 레버들(11)의 롤러들이 관련된 캠들(18)의 한쌍의 트랙들에 대해 감소된 유격의 위치에 놓이는 이동 단부 위치에 편심기들(17, 17')이 실제로 위치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스위치(71)가 작동되면, 모터(40)의 공급은 차단되어, 직조가 진행될 수 있다.
나아가, 너트(50)가 회전되며, 도 4의 배치에서 정지부(70)의 표면에 대해 가압하는 아암(60)의 단부에 반대되는 직경방향으로, 아암(60)이 연장부(63)에 의해 연장된다.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직조 기구가 수평 조정 배치에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하여 스위치(71)와 같은 유형의 스위치가 정지부(70)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명된 단일의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특별히 유럽 등록특허공보 EP-B-0 580 528호의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장치들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구동 조립체의 관절부의 중심은 모터에 대하여 모터 출력축의 반대되는 측면, 즉 모터의 위에 숫자들이 표시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캠 직조 기구가 설치된 직조기의 프레임들의 위치를 수평 조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와 같은 장치를 구비하는 직조 기구과, 이와 같은 기구가 설치된 직조기에 관한 것이다.

Claims (11)

  1. 캠 직조 기구가 설치된 직조기(M)의 잉아 프레임(1)들의 위치를 수평 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잉아 프레임(1)들은 캠 종동기구들을 구비하고 캠 직조 기구의 프레임(16)에 대한 위치가 적어도 하나의 편심기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공통 축(15)에 장착되는 왕복 레버들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편심기(17, 17')의 각도 방향은 상기 캠 직조 기구의 프레임(16) 상에서 상기 편심기의 피봇 중심(X17)과 나란한 중심(X42)에 관절 연결되는 구동 조립체(40, 41)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구동 조립체의 출력축(40A)은 상기 편심기(17)의 조정 아암(60)의 계류 너트(50)에 연결된 나사가 형성된 로드(46)에 대해 회전되게 고정적으로 부착되거나, 로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50)는 적어도 상기 편심기(17, 17')의 상기 피봇 중심(X27)에 나란한 중심(X61)을 회전 중심으로 상기 조정 아암(60)에 관절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동 단부 정지부(70)에 대해 가압하는 표면(62)이 상기 조정 아암(60)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정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편심기(17)에 의해 구동되며, 이동 단부 정지부(73)에 대해 가압할 수 있는 부재(6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63)는 상기 조정 아암(60)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정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부 정지부(70)에는 상기 조정 아암(60)의 압력을 감지하는 수단(7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정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들(11)에 공통되는 공통 축(15)의 기하학적 중심(X15)과, 상기 캠들(20)의 구동축(21)의 기하학적 중심(X21)과, 상기 편심기(17, 17')들의 기하학적 피봇 중심(X17)은 평행하고 동일한 평면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정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들(11)에 공통되는 상기 공통 축(15)은, 축의 단부들 중 하나의 근처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편심기들(17, 17')에 의해 상기 프레임(16)에 대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정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청구된 수평 조정 장치(40-7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를 위한 캠 직조 기구.
  10. 제 9 항에 청구된 캠 직조 기구(10)가 설치된 직조기(M).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부 정지부(73)에는 상기 편심기(17)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부재(63)의 압력을 감지하는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정 장치.
KR1020067020059A 2004-03-29 2005-03-25 수평 조정 장치와, 수평 조정 장치가 결합된 캠 하네스장착 기구와, 장착 기구가 설치된 직조 기계 KR1012452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03218A FR2868090B1 (fr) 2004-03-29 2004-03-29 Dispositif de nivelage, mecanique d'armure a came incorporant un tel dispositif et metier a tisser d'une telle mecanique
FR0403218 2004-03-29
PCT/FR2005/000725 WO2005098107A1 (fr) 2004-03-29 2005-03-25 Dispositif de nivelage, mecanique d'armure a came incorporant un tel dispositif et metier a tisser equipe d'une telle mecan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961A KR20060132961A (ko) 2006-12-22
KR101245226B1 true KR101245226B1 (ko) 2013-03-25

Family

ID=3494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059A KR101245226B1 (ko) 2004-03-29 2005-03-25 수평 조정 장치와, 수평 조정 장치가 결합된 캠 하네스장착 기구와, 장착 기구가 설치된 직조 기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743058B1 (ko)
JP (1) JP2007530815A (ko)
KR (1) KR101245226B1 (ko)
CN (1) CN1938462B (ko)
AT (1) ATE500363T1 (ko)
DE (1) DE602005026645D1 (ko)
FR (1) FR2868090B1 (ko)
WO (1) WO20050981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13592B1 (de) 2008-04-30 2013-05-08 Groz-Beckert KG Exzentermaschine mit Vorrichtung zur Fachgleichstellung
FR3043097B1 (fr) * 2015-10-29 2017-12-22 Staubli Sa Ets Mecanique d'armur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nivelage et metier a tisser comportant une telle mecanique d'armure
FR3043098B1 (fr) 2015-10-29 2017-12-22 Staubli Sa Ets Machine de formation de la foule et metier a tisser comprenant une telle machine de formation de la fou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143A (ja) * 1998-08-17 2000-02-2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織機における開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775U (ja) * 1982-06-30 1984-01-12 株式会社山田ドビ− タペツト開口装置におけるレベリング装置
JPH0721584Y2 (ja) * 1990-03-19 1995-05-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織機のヘルドフレームのレベリング装置
JPH086055Y2 (ja) * 1992-07-08 1996-02-21 株式会社山田ドビー 積極カム機のレベリング装置
JP3320841B2 (ja) * 1992-07-10 2002-09-03 シュトイブリー・ファベルゲ 織機に使用されるカム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143A (ja) * 1998-08-17 2000-02-2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織機における開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530815A (ja) 2007-11-01
CN1938462B (zh) 2010-09-08
FR2868090A1 (fr) 2005-09-30
DE602005026645D1 (de) 2011-04-14
WO2005098107A1 (fr) 2005-10-20
EP1743058A1 (fr) 2007-01-17
ATE500363T1 (de) 2011-03-15
FR2868090B1 (fr) 2006-05-26
KR20060132961A (ko) 2006-12-22
CN1938462A (zh) 2007-03-28
EP1743058B1 (fr)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94864B1 (en) Apparatus for cutting glass plate
US20080098786A1 (en) Releasing mechanism and leveling apparatus
KR101245226B1 (ko) 수평 조정 장치와, 수평 조정 장치가 결합된 캠 하네스장착 기구와, 장착 기구가 설치된 직조 기계
CN1101867C (zh) 送料牙高度调节机构
US5341850A (en) Heddle frame levelling apparatus for a rocking lever cam drive
CN102107780A (zh) 一种电动型玻璃上片台设备及相应的控制方法
CN1037484A (zh) 调节印刷机旋转状态和换向的装置
JP2000271799A (ja) プレス機
CN109129153A (zh) 一种可倾斜的治具机构
GB2295355A (en) Axially reciprocating distributor roller for the inking unit of a printing machine
EP4129512A1 (en) Multi-drive combined bending machine
CN209919515U (zh) 一种便于调节角度的链条生产用打磨装置
CN1085146C (zh) 用于辊子到位印刷和离位停印的装置
JP3689605B2 (ja) プレス機械
CN208880431U (zh) 一种可倾斜的治具机构
JPH0426461Y2 (ko)
US20020092638A1 (en) Web guide in a paper machine/board machine
CN217324698U (zh) 纬斜调整机构及应用其的整纬装置
CN219648875U (zh) 一种印刷机用铜螺母研磨装置
JPH02215532A (ja) 見当ひねり調整装置付オフセット印刷機
CN218139977U (zh) 硅胶辊保护装置
CN213133852U (zh) 一种上胶刮棒旋转机构
JP2010012235A (ja) ミシンの針上下動機構
CN101570908B (zh) 具有梭口协调装置的偏心多臂机
KR101840236B1 (ko) 옷감 누름 부재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