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659B1 -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659B1
KR101243659B1 KR1020120097776A KR20120097776A KR101243659B1 KR 101243659 B1 KR101243659 B1 KR 101243659B1 KR 1020120097776 A KR1020120097776 A KR 1020120097776A KR 20120097776 A KR20120097776 A KR 20120097776A KR 101243659 B1 KR101243659 B1 KR 101243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lock
actuator
cover
cover fil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아이로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아이로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아이로보
Priority to KR1020120097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6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75Means for protecting the manipulator from its environment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밀한 수평연동을 달성하는 엑츄에이터에서 수평연동의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분진이나 먼지가 엑츄에이터 내부의 연동공간에서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밑판과 좌우측판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의 상부 개방부를 완벽하게 밀폐시키는 커버필름을 결합시키되 개방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블럭의 연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블럭의 상면이 되는 커버면접면은 테이퍼면, 수평면, 테이퍼면으로 형성하여 커버필름의 유연한 절곡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상기 테이퍼면의 끝단 부분에 삽입되는 자력에 의해서 상부의 커버필름이 슬라이드블럭에 밀착되어, 외부로 분진이나 먼지가 방출되지 않도록 한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기능적인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커버면접면의 상부로 테프론테이프를 접착하고, 그 상부로는 윤활오일을 도포한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cocking structure of actuator sliding block}
본 발명은 정밀한 수평연동을 달성하는 엑츄에이터에서 수평연동의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분진이나 먼지가 엑츄에이터 내부의 연동공간에서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밑판과 좌우측판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의 상부 개방부를 완벽하게 밀폐시키는 커버필름을 결합시키되 개방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블럭의 연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블럭의 상면이 되는 커버면접면은 테이퍼면, 수평면, 테이퍼면으로 형성하여 커버필름의 유연한 절곡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상기 테이퍼면의 끝단 부분에 삽입되는 자력에 의해서 상부의 커버필름이 슬라이드블럭에 밀착되어, 외부로 분진이나 먼지가 방출되지 않도록 한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기능적인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커버면접면의 상부로 테프론테이프를 접착하고, 그 상부로는 윤활오일을 도포한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엑일반적으로 엑츄에이터란 반도체 제조공정이나 스마트폰 부품의 생산공정에 투입되어 아주 정밀한 동작을 반복하되, 이 동작으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해서 발생되는 분진 조차도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도록 하는 로봇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엑츄에이터는 기존에 많은 사용이 있었다. 이들의 주요한 목적은 정확한 위치, 정확한 거리 만큼만의 규정된 이동을 매회 정확하게 달성해야 한다는 것과 이러한 연속되는 잦은 작동에 의해서도 분진이나 먼지를 날리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휴대폰 제조공정이나 반도체 제조공정의 경우 부품의 생산공정은 물론 부품의 조립공정까지 분진이나 먼지가 유입되는 것은 철저히 차단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제조공정에 투입되어 잦은 수평연동을 하게 되면, 부품간의 마찰이 발생되고 열이 발생되어 분진이나 먼지가 일어나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바로 본 발명은 이러한 당연한 현상도 발생되지 못하도록 예방하고, 혹시 발생된 상태라 하더라도 작업공간에 분진이나 먼지가 배출되는 것은 근원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발명이다.
종래의 엑츄에이터에도 이러한 수단을 갖추고 있었다. 즉, 엑츄에이터의 개방부에 필름커버를 씌워 연동공간 내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먼지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필름커버는 연동하는 슬라이드블럭의 상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작은 절곡을 하며 슬라이더블럭의 연동을 허용하기에 분진의 배출도가 높다. 이러한 마찰을 해결하기 위해서 슬라이더블럭의 내측에 커버필름과 면접하는 롤러를 형성한 방식도 있는데, 이는 둥근 롤러의 외주면이 커버필름의 표면과 선으로 면접하여 슬라이드블럭을 연동시키기에 얼룩이 발생되는 현상이 있다. 또한 잦은 마찰에 의해서 커버필름의 일측이 울거나 길이가 팽창되는 현상도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발명은 정밀한 수평연동을 달성하는 엑츄에이터에서 수평연동의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분진이나 먼지가 엑츄에이터 내부의 연동공간에서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밑판과 좌우측판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의 상부 개방부를 완벽하게 밀폐시키는 커버필름을 결합시키되 개방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블럭의 연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블럭의 상면이 되는 커버면접면은 테이퍼면, 수평면, 테이퍼면으로 형성하여 커버필름의 유연한 절곡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상기 테이퍼면의 끝단 부분에 삽입되는 자력에 의해서 상부의 커버필름이 슬라이드블럭에 밀착되어, 외부로 분진이나 먼지가 방출되지 않도록 한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기능적인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커버면접면의 상부로 테프론테이프를 접착하고, 그 상부로는 윤활오일을 도포한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는, 엑츄에이터(100)의 프레임 연동공간(14)에 끼워져 상부 개방부(15)로 상면이 돌출될 수 있도록 끼워지는 슬라이드블럭(30);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을 포함하여 밑판(13)과 좌우 측판(11)으로 형성된 프레임(10)의 측판(11) 상단 절곡부인 커버지지부(12)에 덮여 개방부(15)를 밀폐시키는 커버필름(40);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에 커버필름(40)이 덮인 상태에서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에 포개어 덮여 스크류 체결되는 커버판(51); 및 상기 커버필름(40)이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과 커버판(51)의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블럭(30)이 좌우 연동을 하여도 커버판(51)은 프레임(10)의 개방부(15)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연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에 따른, 측판(11)의 상단 커버지지부(12)에는, 그 상면 끝단 부분에 높이 0.5-1mm 폭 2-5mm의 장형의 결합홈(29)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29)에 동일 내지 유사한 크기의 박형자석(28)을 길이 방향으로 접착하여, 커버필름(40)의 좌우폭단이 자력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에는 덮이는 커버필름(40)의 좌우 폭 단을 수용하면서 가이드할 수 있도록 모서리에서 상부로 올라서는 가이드부(52)가 형성되고; 가이드부(52)의 사이에는 중심부로 올라서는 테이퍼면(53), 수평면(54), 테이퍼면(53)으로 이루어진 "
Figure 112012071375246-pat00001
"형 필름면접부(56)를 형성하여 커버필름(40)이 용이하게 절곡되며 슬라이드블럭(30)의 연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하며 : 커버필름(40)는 그 두께가 0.1-0.5mm 박형의 필름이고, 자력이 통하는 써스 재질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에 따른, 필름면접부(56)의 쌍의 테이퍼면(53)에는,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 양단에 치우쳐서 자석(57)을 내장시켜 상부를 덮는 커버필름(40)을 자력으로 당겨 밀폐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고 : 슬라이드블럭(30)의 필름면접부(56)에는, 마찰을 줄이고 미끄럼 작용을 향상시킨 테프론테입(61)을 접착시키며 : 테프론테입(61)의 상면으로는 윤활오일(62)을 도포하여 커버필름(40)이 용이하게 꺽이며 슬라이드블럭(3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에 따른, 커버판(51)은, 필름면접부(56)에 대응하는 내주테이퍼면(81), 내주수평면(82) 및 내주테이퍼면(81)을 가지고, 모서리부위에 형성된 스크류공을 통해서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에 체결되고 : 슬라이드블럭(30)의 가이드부(52) 측면에는, 텝핑부(63)를 형성하여 수평연동 작업에 필요한 도구들이 스크류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텝핑부(63)에는 하단으로 내려서는 센서바(64)를 스크류 체결하고; 이에 대응하는 장형의 센서레일(65)을 프레임(66)의 측판(11)에 동일 길이 방향으로 체결하여, 센서바(64)가 센서레일(65)을 타고 좌우 방향으로 연동하며, 연동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에 따른, 센서레일(65)은,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67)를 가진 "U"자 형상을 취하되, 내측에서 간격으로 개구부(68)를 수평으로 차단하는 지지라인(69)을 형성하고, 지지라인(69)의 상부로 좌우 양측면에서 돌출되는 레일라인(70)을 형성하며; 센서레일(65)의 레일라인(70)을 타고 이동할 수 있는 센서(71)를 끼워 엑츄에이터(100)의 슬라이드블럭(30)의 좌우 연동 간격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엑츄에이터의 잦은 작동에 의해서 엑츄에이터의 내측 연동공간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먼지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근원적으로 차단되어 반도체 제조공정이나 휴대폰 제조공정의 정확도는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엑츄에이터에 연동을 허용하면서 밀폐를 달성하는 방식이 에너지의 소모가 없는 자력을 이용하기에 정확하고 분진의 발생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자력을 활용하여 밀폐구조를 달성하기에 수리나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비용이 적게 발생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발명의 문제점을 설명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체형 프레임에 슬라이드블럭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밀폐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에 커버필름을 결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블럭에 커버필름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딩블럭이 작동되는 상태를 단면하여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에 슬라이드블럭이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에 슬라이드블럭이 고정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블럭을 단면하여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엑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엑츄에이터(100)의 프레임 연동공간(14)에 끼워져 상부 개방부(15)로 상면이 돌출될 수 있도록 끼워지는 슬라이드블럭(30)이 있고,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을 포함하여 밑판(13)과 좌우 측판(11)으로 형성된 프레임(10)의 측판(11) 상단 절곡부인 커버지지부(12)에 덮여 개방부(15)를 밀폐시키는 커버필름(40)이 있으며,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에 커버필름(40)이 덮인 상태에서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에 포개어 덮여 스크류 체결되는 커버판(51)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필름(40)이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과 커버판(51)의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블럭(30)이 좌우 연동을 하여도 커버판(51)은 프레임(10)의 개방부(15)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100)는 아주 초 정밀의 수평연동운동을 달성하는 기계이다. 모터(26)의 회전에 따라서 프레임(10)의 중심부를 지나가는 볼스크류(19)가 회전을 하고, 볼스크류(19)가 스크류 결합된 슬라이드블럭(30)이 LM가이드(20)를 타고 수평연동을 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블럭(30)에 선반이나 작업용 다이를 장착하게 되면, 부품을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등 조립공정에서는 필수적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100)는 정확한 수평이송거리를 갖도록 하는 것을 주안점으로 하는 것과 분진이나 먼지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도 근원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전술된 내용에서 어느 정도 설명된 상태이지만, 잦은 수평이송은 프레임(10) 내측의 슬라이드블럭(30)과 볼스크류(19)와의 마찰을 낳고, 기타 기본적인 구성요소들 간에 마찰과 열을 발생시켜 분진이나 먼지가 자연스럽게 발생된다. 이러한 분진이나 먼지가 휴대폰 조립공정이나 반도체 제조공정에 투입되게 되면 제품의 질을 떨어트리고 사실상 교체를 해야만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결국 본 발명은 이러한 분진이나 먼지의 생산을 최소화하면서도, 혹시 분진이나 먼지가 발생되어도 프레임(10) 내측의 연동공간(14)에서 수용될 수 있도록 도시된 일체형프레임(10)의 개방부(15)를 덮는 커버필름(40)을 씌운다. 커버필름(40)을 씌우고도 커버필름(40)과 프레임(10)의 면접부위의 사이로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커버필름(40)은 별도의 밀폐구조를 갖는 것이다. 프레임(10)을 형성하는 밑판(13)과 측판(11)에서 상기 측판(11)의 상부로 절곡된 커버지지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지지부(12)의 끝단에 자력을 발생시켜 항상 커버지지부(12)가 커버필름(40)을 자력으로 당겨 밀착시키도록 한다. 이 자력이 사실상 커버지지부(12)와 커버필름(40)의 사이 간격을 제거하고, 먼지나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커버필름(40)을 개방부(15)에 완벽하게 씌운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15)의 상부로 돌출되는 상기 슬라이드블럭(30)은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슬라이드블럭(30)과 커버필름(40)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보다 상세한 구성과 그 실시예들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럼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하고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도면 에서처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측판(11)의 상단 커버지지부(12)에는, 그 상면 끝단 부분에 높이 0.5-1mm 폭 2-5mm의 장형의 결합홈(29)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29)에 동일 내지 유사한 크기의 박형자석(28)을 길이 방향으로 접착하여, 커버필름(40)의 좌우폭단이 자력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커버필름(40)을 커버지지부(12)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측판(11) 상단 커버지지부(12)에는 자력을 가진 박형자석(28)을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커버지지부(12)는 측판(11)의 상단에서 꺾어져 개방부(15)를 일부 폐쇄시키는 형태로 형성되며, 그 끝단에 높이 0.5-1mm 폭 2-5mm의 장형의 결합홈(29)을 형성한다. 바로 이 결합홈(29)에 동일 내지 유사한 크기의 박형자석(28)을 밀착시키는 것이다. 박형자석(28)이 홈의 외부로 미소분량 돌출되어도 무방하지만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의 선으로 커버필름(40)의 저면과 밀착되는 것이 아니고 일정한 면적으로 면접하여 먼지나 분진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기에 그러하다. 사실상 박형자석(28)의 상면이나 결합홈(29)의 외부가 되는 커버지지부(12)의 상면이 동일수준이 되면, 커버필름(40)은 면으로 밀착되어 분진이나 먼지가 새어나오지 못하는 효과가 극대화된다. 바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박형자석(28)을 사용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박형의 자석을 사용하게 된 이유는 부피가 적은 박형자석(28)을 결합홈(29)에 투입시키도록 하여 사실상 결합홈(29)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커버지지부(12)의 폭을 최소한으로 유지시키도록 하고자 함이다. 물론 이는 측판(11)과 밑판(13)을 가진 일체형 프레임(10)으로 본 발명의 엑츄레이터(100)를 생산하고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내용은 본 발명 출원인의 동일자 출원에 세밀하게 설명한 상태이기에 더 이상의 설명을 피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에는 덮이는 커버필름(40)의 좌우 폭 단을 수용하면서 가이드할 수 있도록 모서리에서 상부로 올라서는 가이드부(52)가 형성되고, 가이드부(52)의 사이에는 중심부로 올라서는 테이퍼면(53), 수평면(54), 테이퍼면(53)으로 이루어진 "
Figure 112012071375246-pat00002
"형 필름면접부(56)를 형성하여 커버필름(40)이 용이하게 절곡되며 슬라이드블럭(30)의 연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전술된 설명에서 본 발명의 개방부(15)는 커버필름(40)이 개방부(15) 상단 커버지지부(12)에 자력으로 밀착되는 것으로 밀폐를 달성한다. 그러나 상기 프레임(10)의 연동공간(14)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면이 개방부(15)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블럭(30)은 개방부(15)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동을 한다. 커버필름(40)이 이 연동에 방해가 될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까지 커버필름(40)으로 덮어 밀폐효과를 유지시키면서도 슬라이드블럭(30)의 좌우 연동은 허용한다. 슬라이드블럭(30)이 이동하는 작동에 따라 커버필름(40)도 상기 슬라이드블럭(30)의 상부를 타고 상승하여 올라가다가 슬라이드블럭(30)이 지나가면 개구부(15)를 덮어 자력으로 밀착되는 방식을 취한 것이다. 이를 보다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슬라이드블럭(30)은 그 상면의 형태가 도시된 도 12에서처럼 테이퍼면(53), 수평면(54), 테이퍼면(53)으로 이루어진 "
Figure 112012071375246-pat00003
"형 필름면접부(56)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에는 덮이는 커버필름(40)의 좌우 폭 단을 수용하면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블럭(30)의 모서리에서 상부로 올라서는 가이드부(52)를 형성한다. 즉, 슬라이드블럭(30)이 모터(26)의 회전에 따라서 볼스크류(19)가 회전하고, 볼스크류(19)의 회전에 따라서 슬라이드블럭(30)이 개방부(15)를 타고 이동하게 되면, 상기 커버필름(40)도 상기 슬라이드블럭(40)의 상면인 필름면접부(56)를 타고 이동을 한다. 그 폭이 측방으로 흔들리거나 연동하지 않도록 본 발명의 슬라이드블럭(30) 상부는 돌출되는 가이드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바로 이 가이드부(52)가 커버필림(40)이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거나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꺽이기 용이하도록 필름면접부(56)는 테이퍼면(53), 수평면(54), 테이퍼면(53)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다. 꺽여져서 테이퍼면(53)을 타고 올라가던 커버필름(40)은 수평면에서 다시 꺽이어 수평의 상태로 진행하다가, 다시 꺽이어 테이퍼면(53)을 타고 하향한다. 슬라이드블럭(30)이 지나가면 바로 개구부(15)에 밀착되어 자력으로 면접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는 본 발명의 커버필름(40)이 그 두께가 0.1-0.5mm 박형의 필름이고, 자력이 통하는 써스 재질로 형성한 것이기에 가능하다.
박막형의 필름인 써스 재질의 커버필름(40)은 재질이 질기고 자력이 통한다. 잦은 마찰에 의해서도 열팽창률이 적고, 꺽이고 다시 복원하기 용이하여 본 발명에서 채택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름면접부(56)의 쌍의 테이퍼면(53)에는,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 양단에 치우쳐서 자석(57)을 내장시켜 상부를 덮는 커버필름(40)을 자력으로 당겨 밀폐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전술된 것처럼 개방부(15)는 커버지지부(12)에서 장착된 박형자석(28)에 의해서 완전 밀폐를 하지만, 슬라이드블럭(30)의 상부는 커버필름(40)이 꺽이고 들리는 현상이 있기에 공간이 샐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테이퍼면(53)에 자석을 매장하는 것이다. 테이퍼면(53)에서도 자력을 이용하여 커버필름(40)을 댕기게 되면, 커버필름(40)과 필름면접부(56) 간의 사이가 벌어지지 않기에 분진이나 먼지가 새어 나가지 않는다.
이러한 작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도 12 내지 14에서처럼, 슬라이드블럭(30)의 필름면접부(56)에는, 마찰을 줄이고 미끄럼 작용을 향상시킨 테프론테입(61)을 접착시킨다.
테프론테입(61)은 질기고 잦은 마찰에 의해서도 열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열에 강하고 치밀하며, 미끄러지기 쉽다. 본 발명은 써스 재질인 커버필름(40)과 직접적으로 마찰되는 부분에 이 테프론테입(61)을 접착하여 커버필름(40)이 꺽이고 마찰될 때 최소한의 분진이 발생되도록 하면서, 커버필름(40)의 슬라이드블럭(3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작용은 상기 테프론테입(61)의 상면으로는 윤활오일(62)을 도포하여 커버필름(40)이 용이하게 꺽이며 슬라이드블럭(3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젤 상태의 윤활오일(62)을 도포하여 미끄럼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수지류인 테프론테입(61)과 금속재질인 써스 커버필름(40)이 마찰하지 않도록 윤활오일(62)을 도포한다. 이 윤활오일(62)은 열에도 강하고 미끄럼을 향상시키며, 분진을 흡수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판(51)은, 필름면접부(56)에 대응하는 내주테이퍼면(81), 내주수평면(82) 및 내주테이퍼면(81)을 가지고, 모서리부위에 형성된 스크류공을 통해서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에 체결된다. 이 커버판(51)은 커버필름(40)의 상부에 포개어 덮히게 되는데, 먼지가 내부로 들어가는 것도 방지하면서 커버필름(40)이 필름면접부(56)의 테이퍼면(53), 수평면(54), 테이퍼면(53)을 타고 보다 용이하게 절곡되면서 슬라이드블럭(30)의 이동을 도울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슬라이드블럭(30)의 가이드부(52) 측면에는, 텝핑부(63)를 형성하여 수평연동 작업에 필요한 도구들이 스크류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슬라이드블럭(30)은 초 정밀의 수평연동운동을 하는 부분이다. 각종의 제조방법에서 이러한 수평연동이동을 필요로 하고 이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평연동을 위해서는 다양한 장치가 필요하다. 간혹 전원을 투입하기 위한 전력케이블이 배열될 소지도 있고, 제조공정 중에 필요한 부속품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부품이나 전력케이블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블럭(30)과 동일하게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전력선이 슬라이드블럭(30)과 함께 연동하지 않는다면, 작업에 방해가 될 우려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든 가능성에 또 다른 배려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측면에 텝핑부(63)를 형성하여 슬라이드블럭(30)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도 1에는 하나의 실례로 센서를 장착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즉, 본 발명의 상기 텝핑부(63)에는 하단으로 내려서는 센서바(64)를 스크류 체결하고, 이에 대응하는 장형의 센서레일(65)을 프레임(66)의 측판(11)에 동일 길이 방향으로 체결하여, 센서바(64)가 센서레일(65)을 타고 좌우 방향으로 연동하며, 연동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직접적으로 수평연동을 위한 제어의 수단으로 작동될 수 있는 센서바(64)를 텝핑부(63)에 스크류 체결하는 것이다. 이 센서바(64)는 프레임(10)의 측판(11)에 동일 내지 유사한 길이의 센서레일(65)을 형성하여 센서레일(65)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된 센서(71)의 위치까지 슬라이드블럭(30)과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다가 센서(71)에 의해서 작동의 정지는 물론 작동의 재시작과 변경을 제어하기 위해서 동일 거리를 이동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도 1, 4를 통해서 설명한다.
도시된 도 4에서처럼 본 발명의 상기 센서레일(65)은,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67)를 가진 "U"자 형상을 취하되, 내측에서 간격으로 개구부(68)를 수평으로 차단하는 지지라인(69)을 형성하고, 지지라인(69)의 상부로 좌우 양측면에서 돌출되는 레일라인(70)을 형성하며, 센서레일(65)의 레일라인(70)을 타고 이동할 수 있는 센서(71)를 끼워 엑츄에이터(100)의 슬라이드블럭(30)의 좌우 연동 간격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센서는 상기 지지라인(69)에 그 밑판(13)이 얹혀진 상태이고, 측면이 레일라인(70)에 끼워진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센서(71)는 상기 레일라인(70)을 타고 필요시 이동이 가능하다. 설치된 후 동일 거리를 주기적으로 반복하게 될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100)는 항상 그 운동만을 할 수 없다. 작업장의 변경, 작업에 변경에 따라서 수평연동하는 거리나 높이가 다를 수 있다. 이렇게 변형이 되면, 상기 센서(71)는 변형된 작업에 맞추어 적당한 거리 만큼 이동을 하는 것이다. 일단 이동을 하고 나서는 고정이 되는데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센서레일(65)은 지지라인(69)과 레일라인(70)을 갖는다. 슬라이드블럭(30)의 텝핑부(63)에 스크류 고정되는 센서바(64)가 프레임(10)의 측면에 고정되는 센서레일(65)을 타고 이동하다가, 좌우 양단에 필요한 거리에서 고정되는 센서(71)에 읽히면 모터(26)는 그 회전을 중지한다. 사실상 수평방향의 연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 센서(71)의 고정되는 위치는 슬라이드블럭(30)의 이동 간격이 될 것이다. 이 이동 간격이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전술된 것처럼 레일라인(70)을 타고 센서(71)를 이동시킴으로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10; 일체형프레임 14; 연동공간
15; 개방부 30; 슬라이드블럭
40; 커버필름 51; 커버판
52; 가이드부 53; 테이퍼면
54; 수평면 56; 필름면접부
57; 자석 61; 테프론테입

Claims (11)

  1. 엑츄에이터(100)의 프레임 연동공간(14)에 끼워져 상부 개방부(15)로 상면이 돌출될 수 있도록 끼워지는 슬라이드블럭(30);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을 포함하여 밑판(13)과 좌우 측판(11)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일체형프레임(10)의 측판(11) 상단 절곡부인 커버지지부(12)에 덮여 개방부(15)를 밀폐시키는 커버필름(40);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에 커버필름(40)이 덮인 상태에서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에 포개어 덮여 스크류 체결되는 커버판(51); 및
    상기 커버필름(40)이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과 커버판(51)의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블럭(30)이 좌우 연동을 하여도 커버판(51)은 프레임(10)의 개방부(15)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연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측판(11)의 상단 커버지지부(12)에는, 그 상면 끝단 부분에 높이 0.5-1mm 폭 2-5mm의 장형의 결합홈(29)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29)에 동일 내지 유사한 크기의 박형자석(28)을 길이 방향으로 접착하여, 커버필름(40)의 좌우폭단이 자력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에는 덮이는 커버필름(40)의 좌우 폭 단을 수용하면서 가이드할 수 있도록 모서리에서 상부로 올라서는 가이드부(52)가 형성되고;
    가이드부(52)의 사이에는 중심부로 올라서는 테이퍼면(53), 수평면(54), 테이퍼면(53)으로 이루어진 "
    Figure 112012071375246-pat00004
    "형 필름면접부(56)를 형성하여 커버필름(40)이 용이하게 절곡되며 슬라이드블럭(30)의 연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커버필름(40)는 그 두께가 0.1-0.5mm 박형의 필름이고, 자력이 통하는 써스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필름면접부(56)의 쌍의 테이퍼면(53)에는,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 양단에 치우쳐서 자석(57)을 내장시켜 상부를 덮는 커버필름(40)을 자력으로 당겨 밀폐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슬라이드블럭(30)의 필름면접부(56)에는, 마찰을 줄이고 미끄럼 작용을 향상시킨 테프론테입(61)을 접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테프론테입(61)의 상면으로는 윤활오일(62)을 도포하여 커버필름(40)이 용이하게 꺽이며 슬라이드블럭(3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
  8. 제3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커버판(51)은, 필름면접부(56)에 대응하는 내주테이퍼면(81), 내주수평면(82) 및 내주테이퍼면(81)을 가지고, 모서리부위에 형성된 스크류공을 통해서 슬라이드블럭(30)의 상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
  9. 제3항에 있어서,
    슬라이드블럭(30)의 가이드부(52) 측면에는,
    텝핑부(63)를 형성하여 수평연동 작업에 필요한 도구들이 스크류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텝핑부(63)에는 하단으로 내려서는 센서바(64)를 스크류 체결하고;
    이에 대응하는 장형의 센서레일(65)을 프레임(66)의 측판(11)에 동일 길이 방향으로 체결하여, 센서바(64)가 센서레일(65)을 타고 좌우 방향으로 연동하며, 연동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센서레일(65)은,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67)를 가진 "U"자 형상을 취하되, 내측에서 간격으로 개구부(68)를 수평으로 차단하는 지지라인(69)을 형성하고, 지지라인(69)의 상부로 좌우 양측면에서 돌출되는 레일라인(70)을 형성하며;
    센서레일(65)의 레일라인(70)을 타고 이동할 수 있는 센서(71)를 끼워 엑츄에이터(100)의 슬라이드블럭(30)의 좌우 연동 간격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
KR1020120097776A 2012-09-04 2012-09-04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 KR101243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776A KR101243659B1 (ko) 2012-09-04 2012-09-04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776A KR101243659B1 (ko) 2012-09-04 2012-09-04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3659B1 true KR101243659B1 (ko) 2013-03-15

Family

ID=4818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776A KR101243659B1 (ko) 2012-09-04 2012-09-04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65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2463A (ko) * 2013-04-10 2014-10-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로봇 주행부 정위치 확인장치
KR101483257B1 (ko) * 2013-03-29 2015-01-14 주식회사 엘피케이 직선 이동형 클린 로봇
KR101481622B1 (ko) * 2013-02-20 2015-01-14 주식회사 엘피케이 클린 커버 밀착 구조를 갖는 이동 유닛 및 이를 갖는 수평 이동형 직선 로봇
KR20160000371A (ko) 2014-06-24 2016-01-04 김일호 3d 영상장비 이송용 액추에이터
KR20170103441A (ko) * 2016-03-04 2017-09-13 주식회사 케이씨텍 기판이송장치
KR101923294B1 (ko) 2017-01-17 2018-11-28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먼지막이 시트를 구비하는 선형 슬라이딩 레일
KR20190044415A (ko) 2017-10-20 2019-04-30 주식회사 팔복인더스트리 리니어 액추에이터
KR20190044412A (ko) 2017-10-20 2019-04-30 주식회사 팔복인더스트리 그리스 주입용 유니버설 포트를 구비한 전동 드라이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7669B2 (ja) * 1991-09-09 2006-01-18 Smc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の構造体
JP2009034736A (ja) * 2007-07-31 2009-02-19 Oriental Motor Co Ltd ロボットアクチュエータにおけるスライダ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7669B2 (ja) * 1991-09-09 2006-01-18 Smc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の構造体
JP2009034736A (ja) * 2007-07-31 2009-02-19 Oriental Motor Co Ltd ロボットアクチュエータにおけるスライダ構造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622B1 (ko) * 2013-02-20 2015-01-14 주식회사 엘피케이 클린 커버 밀착 구조를 갖는 이동 유닛 및 이를 갖는 수평 이동형 직선 로봇
KR101483257B1 (ko) * 2013-03-29 2015-01-14 주식회사 엘피케이 직선 이동형 클린 로봇
KR20140122463A (ko) * 2013-04-10 2014-10-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로봇 주행부 정위치 확인장치
KR102050105B1 (ko) * 2013-04-10 2019-11-28 현대중공업지주 주식회사 로봇 주행부 정위치 확인장치
KR20160000371A (ko) 2014-06-24 2016-01-04 김일호 3d 영상장비 이송용 액추에이터
KR20170103441A (ko) * 2016-03-04 2017-09-13 주식회사 케이씨텍 기판이송장치
KR102491718B1 (ko) 2016-03-04 2023-01-27 주식회사 케이씨텍 기판이송장치
KR101923294B1 (ko) 2017-01-17 2018-11-28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먼지막이 시트를 구비하는 선형 슬라이딩 레일
KR20190044415A (ko) 2017-10-20 2019-04-30 주식회사 팔복인더스트리 리니어 액추에이터
KR20190044412A (ko) 2017-10-20 2019-04-30 주식회사 팔복인더스트리 그리스 주입용 유니버설 포트를 구비한 전동 드라이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659B1 (ko) 밀폐수단을 가진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드블럭 결합구조
JP4945620B2 (ja) 直線ロボットにおける密閉バンドの結合構造
JP5746266B2 (ja) アクチュエータ
CN106104030A (zh) 运动引导装置
KR101320364B1 (ko) 더스트커버가 구비된 리니어모션가이드
KR101334486B1 (ko) 클린타입 직선로봇
JP2008067463A (ja) リニアモータ式テーブル装置
US20100147092A1 (en) Ball Screw Unit with Lubrication Apparatus
CN103906938A (zh) 运动引导装置
US8585288B2 (en) Linear motion guide unit
CN203035009U (zh) 用于移动门的滑动连接装置以及相应的隔音装置
KR101416979B1 (ko) 클린타입 직선로봇
KR101398229B1 (ko) 클린타입 직선로봇
JP2007303093A (ja) 電磁波シールド引き戸
CN208249840U (zh) 一种稳定移动的磁铁牵引机械臂
JP2015132086A (ja) 開閉戸装置の気密構造
CN105909744A (zh) 一种具有封闭式导轨且拆装方便的推拉装置
CN116197755A (zh) 机器人
CN208101420U (zh) 一种工业相机视觉精确定位控制装置
JP2008239280A (ja) エレベータ用扉
CN105952296A (zh) 一种具有封闭式导轨且结构稳固的推拉装置
JP5102735B2 (ja) ロボット
CN105927080A (zh) 一种具有封闭式导轨且结构稳定的推拉装置
CN211018465U (zh) 一种全封闭防水防油模组
CN105971427A (zh) 一种建筑装修用的推拉门推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