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229B1 - 클린타입 직선로봇 - Google Patents

클린타입 직선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229B1
KR101398229B1 KR1020140028672A KR20140028672A KR101398229B1 KR 101398229 B1 KR101398229 B1 KR 101398229B1 KR 1020140028672 A KR1020140028672 A KR 1020140028672A KR 20140028672 A KR20140028672 A KR 20140028672A KR 101398229 B1 KR101398229 B1 KR 101398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riving
driving motor
sealing band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운
이동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에스이
Priority to KR1020140028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2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travelling along a guidew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05Guide rails or tracks for a linear bearing, i.e. adapted for movement of a carriage or bearing body there alo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025/2062Arrangements for driving the actuator
    • F16H2025/2075Coaxial drive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025/2062Arrangements for driving the actuator
    • F16H2025/2096Arrangements for driving the actuator using endless flexibl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린타입 직선로봇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각종 산업기계, IT분야 장비의 핵심 주 구성 장치로서, 베이스프레임의 양측 상단에 형성된 안치프레임 사이에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 작동공간을 밀폐하도록 덮여지는 밀폐밴드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베이스프레임 일측에 구동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 하우징 내에 구동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부 작동공간에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정, 역회전하는 스크류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의 정, 역회전시 직선 왕복하는 너트스크류가 구비되되, 테이블이 상기 구동모터 구동시 일정길이 직선 왕복하도록 상기 너트스크류가 하부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밀폐밴드가 만곡된 산 형으로 휘어진 상태로 탄성이 유지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테이블이 직선 왕복하도록 안내되는 것으로, 특히 상기 테이블은 하부 내측에 상기 너트스크류가 결합되는 테이블 본체 및 상기 테이블 본체의 상부를 덮는 테이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테이블 하우징은 한 쌍으로 상호 대향되어 결합되며, 상기 구동 하우징은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면과 측면 부분이 투명한 UPE(Unsaturated Polyester) 재질로 적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블의 구성이 상호 대향되는 테이블 하우징과 테이블 본체로 적용됨으로써 테이블의 조립설치가 용이하며, 반복적인 운동으로 유지보수가 비교적 잦은 밀폐밴드에 대한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구동부의 일측과 상측을 감싸는 구동 하우징이 투명한 UPE(Unsaturated Polyester) 재질로 적용됨으로써 구동부의 내부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구동부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클린타입 직선로봇{A clean type linear robot}
본 발명은 클린타입 직선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의 구성이 상호 대향되는 테이블 하우징과 테이블 본체로 적용되며, 구동모터가 내측에 구비되는 구동 하우징이 투명한 UPE(Unsaturated Polyester) 재질로 적용됨으로써 테이블의 조립설치가 용이하고 반복적인 운동으로 유지보수가 비교적 잦은 밀폐밴드에 대한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구동모터가 설치된 구동부의 내부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구동부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클린타입 직선로봇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린타입 직선로봇은 각종 산업기계, IT분야 장비의 핵심 주 구성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클린타입 직선로봇은 통상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수단으로 먼지 등의 유입이 없도록 밀폐밴드를 이용하여 베이스프레임에 형성된 내부공간을 밀폐하게 된다.
상기 밀폐밴드 구성의 경우 다양한 제품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종래의 클린타입 직선로봇의 밀폐밴드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그 구성은 도 1,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린타입 직선로봇(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영구자석(110)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테이블(120)과 밀폐밴드(130)를 마찰 없이 작동되게 하여 마찰소음, 분진발생 없는 완벽한 클린 상태를 유지하고, 클린타입 직선로봇(100)의 정밀성 및 작동성을 항상 최적의 상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클린타입 직선로봇(100)의 밀폐밴드(130) 결합구조에 의하면 마찰에 의한 분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고속운전시에도 밀폐밴드(130)의 마찰이 극히 미약하므로 밀폐밴드(130)가 열 변형되는 문제점이 없고, 밀폐밴드(130)의 탄성 변형이 없으며, 마찰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은 테이블이 단일의 몸체로 구비되어 테이블에 대한 조립설치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반복적인 왕복운동으로 유지보수가 비교적 잦은 구성인 밀폐밴드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테이블의 왕복을 위해 구비되는 구동부를 감싸는 구동 하우징이 단순히 불투명 재질로 제공됨으로써 에 대한 구동 하우징 내부에 대한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테이블의 조립설치가 용이하고 반복적인 왕복운동으로 유지보수가 비교적 잦은 밀폐밴드에 대한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구동부에 대하여서도 내부 구성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클린타입 직선로봇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2009-0893943 B1 (2009.05.0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이블의 구성이 상호 대향되는 테이블 하우징과 테이블 본체로 적용됨으로써 테이블의 조립설치가 용이하며, 반복적인 운동으로 유지보수가 비교적 잦은 밀폐밴드에 대한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클린타입 직선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구동모터가 내측에 구비되는 구동 하우징이 투명한 UPE(Unsaturated Polyester) 재질로 적용됨으로써 구동모터가 설치된 구동부의 내부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구동부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은 각종 산업기계, IT분야 장비의 핵심 주 구성 장치로서, 베이스프레임의 양측 상단에 형성된 안치프레임 사이에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 작동공간을 밀폐하도록 덮여지는 밀폐밴드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베이스프레임 일측에 구동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 하우징 내에 구동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부 작동공간에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정, 역회전하는 스크류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의 정, 역회전시 직선 왕복하는 너트스크류가 구비되되, 테이블이 상기 구동모터 구동시 일정길이 직선 왕복하도록 상기 너트스크류가 하부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밀폐밴드가 만곡된 산 형으로 휘어진 상태로 탄성이 유지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테이블이 직선 왕복하도록 안내되는 클린타입 직선로봇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하부 내측에 상기 너트스크류가 결합되는 테이블 본체 및 상기 테이블 본체의 상부를 덮는 테이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테이블 하우징은 한 쌍으로 상호 대향되어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테이블 하우징은 상기 테이블 본체의 중앙 상면을 타고 안내되는 상기 밀폐밴드의 안내되는 상태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도록 투명한 UPE(Unsaturated Polyester) 재질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테이블 하우징은 한 쌍으로 상호 대향되어 결합되되 마주하는 면의 중앙 및 양측에 각각 대응되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됨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테이블 본체는 상기 밀폐밴드의 하면이 밀착되어 안내되는 안내면이 중앙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안내면은 일측으로부터 경사면, 수평면, 경사면이 연이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테이블 본체는 상기 안내면 양측에 정렬돌기가 상향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테이블 하우징은 양측에 상기 정렬돌기와 대응되어 정렬공이 형성되어 상기 정렬공 상에 상기 정렬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테이블 본체와 결합 설치됨이 양호하다.
아울러, 상기 테이블 하우징은 상기 테이블 본체의 중앙 상면에 저면이 안내되는 상기 밀폐밴드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토록, 상기 테이블 본체의 양 측면과 볼트 결합에 의해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 하우징은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면과 측면 부분이 투명한 UPE(Unsaturated Polyester) 재질로 적용됨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스크류는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설치고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동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단 측부에 나란하게 별도로 구비되어 내부에 구동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부 작동공간에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풀리에 의해 연동토록 연결되는 연동축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정, 역회전하는 스크류가 구비되는 구조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구동 하우징은 상기 풀리에 의해 상호 연동토록 연결되는 상기 구동축과 상기 연동축 및 상기 풀리의 구동상태를 외부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풀리가 구비되는 측 부분이 투명한 UPE(Unsaturated Polyester) 재질로 적용되는 한편,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상태를 외부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하우징 중 상기 구동모터가 내측에 구비되는 부분의 상부 및 측부에 대하여 투명한 UPE(Unsaturated Polyester) 재질로 적용되는 투시창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테이블의 구성이 상호 대향되는 테이블 하우징과 테이블 본체로 적용됨으로써 테이블의 조립설치가 용이하며, 반복적인 운동으로 유지보수가 비교적 잦은 밀폐밴드에 대한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구동모터가 내측에 구비되는 구동 하우징이 투명한 UPE(Unsaturated Polyester) 재질로 적용됨으로써 구동모터가 설치된 구동부의 내부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구동부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요부 정단면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측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을 나타낸 결합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에서 요부인 테이블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리사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에서 요부인 테이블과 테이블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사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에서 요부인 테이블과 테이블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요부 저면사시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을 나타낸 정단면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을 나타낸 결합사시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에서 요부인 테이블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리사시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에서 요부인 테이블과 테이블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사시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에서 요부인 테이블과 테이블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요부 저면사시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을 나타낸 정단면구성도이다.
도 3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300)은 각종 산업기계, IT분야 장비의 핵심 주 구성 장치로서, 베이스프레임(310)의 양측 상단에 형성된 안치프레임(320) 사이에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내부 작동공간을 밀폐하도록 덮여지는 밀폐밴드(3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프레임(310) 일측에 구동 하우징(340)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 하우징(340) 내에 구동모터(34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구동 하우징(340)은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구동모터(341)의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면과 측면 부분이 투명한 UPE(Unsaturated Polyester) 재질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310) 내부 작동공간에 상기 구동모터(341)의 구동축(342)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정, 역회전하는 스크류(343)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스크류(343)는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이 베어링(344)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설치고정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343)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343)의 정, 역회전시 직선 왕복하는 너트스크류(345)가 구비되되, 테이블(350)이 상기 구동모터(341) 구동시 일정길이 직선 왕복하도록 상기 너트스크류(345)가 하부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밀폐밴드(330)가 만곡된 산 형으로 휘어진 상태로 탄성이 유지되면서 상기 구동모터(341)에 의해 상기 테이블(350)이 직선 왕복하도록 안내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300)은 테이블(350)이 상기 구동모터(341) 구동시 일정길이 직선 왕복하도록 상기 너트스크류(345)가 하부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밀폐밴드(330)가 만곡된 산 형으로 휘어진 상태로 탄성이 유지되면서 상기 구동모터(341)에 의해 상기 테이블(350)이 직선 왕복하도록 안내하는 장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300)에서, 특히 상기 테이블(350)은 하부 내측에 상기 너트스크류(345)가 결합되는 테이블 본체(351) 및 상기 테이블 본체(351)의 상부를 덮는 테이블 하우징(355)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테이블 하우징(355)은 한 쌍으로 상호 대향되어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테이블 하우징(355)은 상기 테이블 본체(351)의 중앙 상면을 타고 안내되는 상기 밀폐밴드(330)의 안내되는 상태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도록 투명한 UPE(Unsaturated Polyester) 재질로 적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러한 테이블 하우징(355)은 한 쌍으로 상호 대향되어 결합되되 마주하는 면의 중앙 및 양측에 각각 대응되는 결합돌기(356)와 결합홈(357)이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된다.
또한, 상기 테이블 본체(351)는 상기 밀폐밴드(330)의 하면이 밀착되어 안내되는 안내면(352)이 중앙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안내면(352)은 일측으로부터 경사면(352a), 수평면(352b), 경사면(352a)이 연이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상기 테이블 본체(351)는 상기 안내면(352) 양측에 정렬돌기(354)가 상향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테이블 하우징(355)은 양측에 상기 정렬돌기(354)와 대응되어 정렬공(358)이 형성되어 상기 정렬공(358) 상에 상기 정렬돌기(354)가 삽입되어 상기 테이블 본체(351)와 결합 설치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 하우징(355)은 상기 테이블 본체(351)의 중앙 상면에 저면이 안내되는 상기 밀폐밴드(330)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토록, 상기 테이블 본체(351)의 양 측면과 볼트 결합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300)에 의하면, 상기 테이블(350)의 구성이 상호 대향되는 상기 테이블 하우징(355)과 상기 테이블 본체(351)로 적용됨으로써 상기 테이블(350)의 조립설치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반복적인 운동으로 유지보수가 비교적 잦은 상기 밀폐밴드(330)에 대한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구동모터(341)가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구동 하우징(340)이 투명한 UPE(Unsaturated Polyester) 재질로 적용됨으로써 구동부인 상기 구동모터(341)가 설치된 구동부 내부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구동부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의 실시예는 도 3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구동 하우징이 베이스프레임의 측부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구동부분에 대하여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린타입 직선로봇에서, 구동 하우징(340)은 베이스프레임(310)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일단 측부에 나란하게 별도로 구비되어 내부에 구동모터(34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310) 내부 작동공간에 상기 구동모터(341)의 구동축(342)과 풀리(342a)에 의해 연동토록 연결되는 연동축(342')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정, 역회전하는 스크류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는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스크류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단지 구동축과 연결되던 것과 달리 상기 연동축(342')과 연결되는 점에서만 타이를 가지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동 하우징(340)은 상기 풀리(342a)에 의해 상호 연동토록 연결되는 상기 구동축(342)과 상기 연동축(342') 및 상기 풀리(342a)의 구동상태를 외부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풀리(342a)가 구비되는 측 부분이 투명한 UPE(Unsaturated Polyester) 재질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구동 하우징(340)은 상기 구동모터(341)의 구동상태를 외부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하우징(340) 중 상기 구동모터(341)가 내측에 구비되는 부분의 상부 및 측부에 대하여 투명한 UPE(Unsaturated Polyester) 재질로 적용되는 투시창(340a)이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300: 클린타입 직선로봇
310: 베이스프레임 320: 안치프레임
330: 밀폐밴드 340: 구동 하우징
341: 구동모터 342: 구동축
343: 스크류 344: 베어링
345: 너트스크류 350: 테이블
351: 테이블 본체 352: 안내면
352a: 경사면 352b: 수평면
354: 정렬돌기 355: 테이블 하우징
356: 결합돌기 357: 결합홈
358: 정렬공

Claims (10)

  1. 각종 산업기계, IT분야 장비의 핵심 주 구성 장치로서, 베이스프레임(310)의 양측 상단에 형성된 안치프레임(320) 사이에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내부 작동공간을 밀폐하도록 덮여지는 밀폐밴드(330)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베이스프레임(310) 일측에 구동 하우징(340)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 하우징(340) 내에 구동모터(341)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310) 내부 작동공간에 상기 구동모터(341)의 구동축(342)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정, 역회전하는 스크류(343)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343)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343)의 정, 역회전시 직선 왕복하는 너트스크류(345)가 구비되되, 테이블(350)이 상기 구동모터(341) 구동시 일정길이 직선 왕복하도록 상기 너트스크류(345)가 하부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밀폐밴드(330)가 만곡된 산 형으로 휘어진 상태로 탄성이 유지되면서 상기 구동모터(341)에 의해 상기 테이블(350)이 직선 왕복하도록 안내되는 클린타입 직선로봇(300)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350)은 하부 내측에 상기 너트스크류(345)가 결합되는 테이블 본체(351) 및 상기 테이블 본체(351)의 상부를 덮는 테이블 하우징(355)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테이블 하우징(355)은 한 쌍으로 상호 대향되어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타입 직선로봇.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하우징(355)은 상기 테이블 본체(351)의 중앙 상면을 타고 안내되는 상기 밀폐밴드(330)의 안내되는 상태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도록 투명한 UPE(Unsaturated Polyester) 재질로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타입 직선로봇.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하우징(355)은 한 쌍으로 상호 대향되어 결합되되 마주하는 면의 중앙 및 양측에 각각 대응되는 결합돌기(356)와 결합홈(357)이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타입 직선로봇.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본체(351)는 상기 밀폐밴드(330)의 하면이 밀착되어 안내되는 안내면(352)이 중앙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안내면(352)은 일측으로부터 경사면(352a), 수평면(352b), 경사면(352a)이 연이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타입 직선로봇.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본체(351)는 상기 안내면(352) 양측에 정렬돌기(354)가 상향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테이블 하우징(355)은 양측에 상기 정렬돌기(354)와 대응되어 정렬공(358)이 형성되어 상기 정렬공(358) 상에 상기 정렬돌기(354)가 삽입되어 상기 테이블 본체(351)와 결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타입 직선로봇.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하우징(355)은 상기 테이블 본체(351)의 중앙 상면에 저면이 안내되는 상기 밀폐밴드(330)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토록, 상기 테이블 본체(351)의 양 측면과 볼트 결합에 의해 고정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타입 직선로봇.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하우징(340)은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구동모터(341)의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면과 측면 부분이 투명한 UPE(Unsaturated Polyester) 재질로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타입 직선로봇.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343)는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이 베어링(344)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설치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타입 직선로봇.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하우징(34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일단 측부에 나란하게 별도로 구비되어 내부에 구동모터(341)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310) 내부 작동공간에 상기 구동모터(341)의 구동축(342)과 풀리(342a)에 의해 연동토록 연결되는 연동축(342')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정, 역회전하는 스크류가 구비되는 구조로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타입 직선로봇.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하우징(340)은 상기 풀리(342a)에 의해 상호 연동토록 연결되는 상기 구동축(342)과 상기 연동축(342') 및 상기 풀리(342a)의 구동상태를 외부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풀리(342a)가 구비되는 측 부분이 투명한 UPE(Unsaturated Polyester) 재질로 적용되는 한편,
    상기 구동모터(341)의 구동상태를 외부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하우징(340) 중 상기 구동모터(341)가 내측에 구비되는 부분의 상부 및 측부에 대하여 투명한 UPE(Unsaturated Polyester) 재질로 적용되는 투시창(340a)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타입 직선로봇.
KR1020140028672A 2014-03-12 2014-03-12 클린타입 직선로봇 KR101398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672A KR101398229B1 (ko) 2014-03-12 2014-03-12 클린타입 직선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672A KR101398229B1 (ko) 2014-03-12 2014-03-12 클린타입 직선로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229B1 true KR101398229B1 (ko) 2014-06-27

Family

ID=51131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672A KR101398229B1 (ko) 2014-03-12 2014-03-12 클린타입 직선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2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960B1 (ko) * 2014-08-11 2014-12-30 박재국 다차종 전동실린더
KR20210010145A (ko) * 2019-07-19 2021-01-27 정충래 프로파일 적용 슬라이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825A (ko) * 2004-08-10 2004-08-30 김영규 산업용 로봇의 슬라이딩 테이블
KR200429317Y1 (ko) 2006-08-04 2006-10-20 동방화닉스 주식회사 리니어 로봇
KR100805375B1 (ko) 2006-12-28 2008-02-20 한월숙 밀폐형 직선 이송로봇
KR101315572B1 (ko) 2012-06-18 2013-10-08 강기운 투명 투시창이 부착된 클린타입 직선로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825A (ko) * 2004-08-10 2004-08-30 김영규 산업용 로봇의 슬라이딩 테이블
KR200429317Y1 (ko) 2006-08-04 2006-10-20 동방화닉스 주식회사 리니어 로봇
KR100805375B1 (ko) 2006-12-28 2008-02-20 한월숙 밀폐형 직선 이송로봇
KR101315572B1 (ko) 2012-06-18 2013-10-08 강기운 투명 투시창이 부착된 클린타입 직선로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960B1 (ko) * 2014-08-11 2014-12-30 박재국 다차종 전동실린더
KR20210010145A (ko) * 2019-07-19 2021-01-27 정충래 프로파일 적용 슬라이더
KR102244299B1 (ko) * 2019-07-19 2021-04-23 정충래 프로파일 적용 슬라이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46020A1 (en) Selective compliance assembly robot arm
KR101320364B1 (ko) 더스트커버가 구비된 리니어모션가이드
JP2010091109A (ja) 直線ロボットにおける密閉バンドの結合構造
TWI669183B (zh) 滑台裝置
KR101334486B1 (ko) 클린타입 직선로봇
KR101398229B1 (ko) 클린타입 직선로봇
WO2013077053A1 (ja) アクチュエータ
KR20120001918A (ko) 방진형 직각좌표 로봇
KR100812988B1 (ko) 리니어 스테이지 로봇
KR101416979B1 (ko) 클린타입 직선로봇
US7066649B2 (en) Actuator
KR101992638B1 (ko) 개선된 방진 구조를 갖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CN104842340A (zh) 一种新型防尘直线滑台
KR101315572B1 (ko) 투명 투시창이 부착된 클린타입 직선로봇
CN205739057U (zh) 一种全封闭丝杆滑台
KR102010258B1 (ko) 리니어 가이드 장치
JP2007244143A (ja) アクチュエータのケーブル引き出し構造
CN208101420U (zh) 一种工业相机视觉精确定位控制装置
CN116197755A (zh) 机器人
JP2009038909A (ja) アクチュエータにおける原点出し方法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における原点出しストッパ装置
ATE410266T1 (de) Fertigung- und/oder montagevorrichtung
ATE440660T1 (de) Flüssigkeitsmischvorrichtung
JPH08200464A (ja) 直線往復動装置
KR20120008743A (ko) 투명창을 구비한 직교로봇의 상부커버
JP7054196B2 (ja) 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