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520B1 -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 Google Patents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520B1
KR101243520B1 KR1020120079547A KR20120079547A KR101243520B1 KR 101243520 B1 KR101243520 B1 KR 101243520B1 KR 1020120079547 A KR1020120079547 A KR 1020120079547A KR 20120079547 A KR20120079547 A KR 20120079547A KR 101243520 B1 KR101243520 B1 KR 101243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alarm
valve
rubber con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소영
Original Assignee
윤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소영 filed Critical 윤소영
Priority to KR1020120079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520B1/ko
Priority to US14/414,703 priority patent/US9624629B2/en
Priority to PCT/KR2013/006411 priority patent/WO201401428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88Free-standing bod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in the form of three-dimensional bodies, e.g. cones; capable of assuming three-dimensional form, e.g. by inflation or erection to form a geometric bod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0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driven by gas; e.g. suction operated
    • G10K9/04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driven by gas; e.g. suction operated by compressed gases, e.g. compressed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ometry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을 지지하는 받침대(1)와 위험을 표시하는 원추체(2)로 이루어진 러버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상에 탈ㆍ부착 가능하게 구비하고, 공압을 저장ㆍ충진하도록 에어탱크(11)와 주입밸브(15)를 구비하는 저장부(10); 상기 에어탱크(11)를 관로(21)와 에어혼(23)에 연결하고, 관로(21)상에 경보밸브(25)를 구비하되, 경보밸브(25)는 중앙에 탄성적으로 유동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유동구(25a)를 구비하고, 상기 유동구(25a)와 맞물려 유동되게 유도하는 작동바(26)를 긴밀하게 수용하는 보조밸브(27)를 구비하는 경보부(20); 및 상기 받침대(1)상에 노출되게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충격을 감지해 경보밸브(25)를 개폐되게 구비하는 감지작동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밸브의 개방으로 에어혼을 울려 작업자가 위험에서 신속하게 피신할 수 있는 경보 기능을 지니게 하면서도 별도의 제조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기존에 제조된 러버콘에 쉽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기성품과 재활용품을 활용한 부품으로 공정의 단축과 원가의 절감으로 가격경쟁력을 도모하면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전반적인 구조의 간소화와 정밀성을 향상시켜 사용상의 편리성과 수명을 대폭 증가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Emergency notifying traffic cone}
본 발명은 지면을 지지하는 받침대와 위험을 표시하는 원추체로 이루어진 러버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밸브의 개방으로 에어혼을 울려 작업자가 위험에서 신속하게 피신할 수 있는 경보 기능을 지니게 하면서도 별도의 제조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기존에 제조된 러버콘에 쉽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기성품과 재활용품을 활용한 부품으로 공정의 단축과 원가의 절감으로 가격경쟁력을 도모하면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전반적인 구조의 간소화와 정밀성을 향상시켜 사용상의 편리성과 수명을 대폭 증가시켜 주는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속도로를 비롯한 각종 도로의 신설 및 확장과 함께 운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노력으로 교통안전시설물의 연장 및 개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로와 시설물의 보수를 위해 해마다 많은 도로상 공사가 추진되고 있다. 이때, 관련 규정에 의하면 위험을 알리는 표지(적색등, 보호색), 신호시설 또는 필요한 인원을 배치하고 교통을 유도하도록 한다.
이에 도로공사 현장에는 설정된 작업장 영역을 기준으로 일정간격으로 러버콘(traffic cone; 일명 라바콘, 안전콘, 칼라콘)을 설치하여 주행중인 차량이 작업장 안으로 들어오지 않게 안내하기도 한다. 그러나 주행중인 차량이 부주의로 러버콘을 넘어뜨리면 유도기능이 약화되고 다른 차량이 작업장을 진입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크다. 주행 차량 운전자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러버콘에 색을 부여하거나 반사지를 부착하지만 사고예방에 대한 대책으로 미흡하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29370호에 의하면 조립시에는 공사현장에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는 안전휀스로 사용하고, 분리시에는 보행자나 차량의 통행을 유도하는 러버콘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겸용기능을 요지로 한다.
다른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157079호에 의하면 공사장이나 작업장에서 통행상의 주위를 환기시키기 위해 작업장소로 간편하게 이동시키고 경보등의 점멸과 함께 깃발을 좌우로 흔들리게 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에 의하면 일반적인 러버콘에 비하여 비교적 크고 다단 적재가 곤란하기 때문에 보관, 이동, 설치, 작동에 있어 실효성에 한계를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8390호의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을 등록한 바가 있다. 즉, 본 출원인에 의한 러버콘은 원추체(10)의 하단에 일체로 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공압을 저장하는 에어탱크(22)를 구비하는 받침대(20); 에어탱크(22)를 관로(32)와 휘슬(36)에 연결하고, 관로(32)상에 개폐밸브(34)를 구비하는 경보수단; 원추체(10)의 전도에 연동하여 개폐밸브(34)의 작동력을 발생하는 제1ㆍ2감지수단(40)(60)을 구성하고 있다. 이는 러버콘에 압축공기를 충진하고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밸브의 개방으로 휘슬을 울려 작업자가 위험상황에서 신속하게 피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된 특허에 의하면, 기존에 러버콘과 호환이 불가능하므로 제조비용이 대폭 증가되는 단점이 있는데, 즉 받침대(20)상에 공압을 저장하는 에어탱크(22)를 구비해야 되는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에어탱크(22)상에 경보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을 모두 내장시켜야 되므로 제조공정의 증가와 설비에 따른 비용의 증가로 가격경쟁력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 경보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을 별도로 제조해야 하므로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고 무엇보다 그 구조가 복잡하므로 정밀성이 떨어지고 유지보수가 어려워 수명을 단축시키는 단점이 있는 등 개선할 여지가 필요하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29370호 "러버콘을 이용한 안전휀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57079호 "안전신호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밸브의 개방으로 에어혼을 울려 작업자가 위험에서 신속하게 피신할 수 있는 경보 기능을 지니게 하면서도 별도의 제조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기존에 제조된 러버콘에 쉽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기성품과 재활용품을 활용한 부품으로 공정의 단축과 원가의 절감으로 가격경쟁력을 도모하면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전반적인 구조의 간소화와 정밀성을 향상시켜 사용상의 편리성과 수명을 대폭 증가시켜 주는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면을 지지하는 받침대와 위험을 표시하는 원추체로 이루어진 러버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상에 탈ㆍ부착 가능하게 구비하고, 공압을 저장ㆍ충진하도록 에어탱크와 주입밸브를 구비하는 저장부; 상기 에어탱크를 관로와 에어혼에 연결하고, 관로상에 경보밸브를 구비하되, 경보밸브는 중앙에 탄성적으로 유동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유동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동구와 맞물려 유동되게 유도하는 작동바를 긴밀하게 수용하는 보조밸브를 구비하는 경보부; 및 상기 받침대상에 노출되게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충격을 감지해 경보밸브를 개폐되게 구비하는 감지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감지작동부는 케이스 상에 상하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감지추와, 감지추에 하부로 탄성적으로 접촉하며 회전 운동하는 유동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감지작동부의 케이스는 감지추가 자동으로 원위치되도록 하부에 복귀홈을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충격을 전달받아 감지추가 중앙에서 어긋나도록 유도하는 감지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감지작동부의 케이스는 상부에 미사용 시 내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과 함께 감지추를 중앙에서 고정하도록 고정돌기를 개재한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은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밸브의 개방으로 에어혼을 울려 작업자가 위험에서 신속하게 피신할 수 있는 경보 기능을 지니게 하면서도 별도의 제조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기존에 제조된 러버콘에 쉽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기성품과 재활용품을 활용한 부품으로 공정의 단축과 원가의 절감으로 가격경쟁력을 도모하면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전반적인 구조의 간소화와 정밀성을 향상시켜 사용상의 편리성과 수명을 대폭 증가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러버콘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콘을 투영하여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작동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지면을 지지하는 받침대(1)와 위험을 표시하는 원추체(2)로 이루어진 러버콘과 관련되며, 저장부(10), 경보부(20), 감지작동부(3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에 관 한다. 본 발명의 러버콘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 등록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8390호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에서 제조성과 정밀성 및 사용성을 보다 향상되도록 일부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밸브의 개방으로 에어혼을 울려 작업자가 위험에서 신속하게 피신할 수 있도록 한 목적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은 기존에 제조된 러버콘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제조 시 공정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경보 기능을 지니도록 개선하고 전반적인 부품을 간소화 하면서 기성품과 재활용품을 활용하여 가격경쟁력의 도모와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사용상의 편의성과 정밀성을 향상하는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0)는 상기 받침대(1)상에 탈ㆍ부착 가능하게 구비하고, 공압을 저장ㆍ충진하도록 에어탱크(11)와 주입밸브(15)를 구비한다. 저장부(10)는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경보음이 울릴 수 있는 에너지를 저장함과 함께 재사용 하도록 충진기능을 지닌 것으로, 도 2처럼 받침대(1)의 하부에 구비된 공간에 에어탱크(11)와 주입밸브(15)를 구비한다.
에어탱크(11)는 공기를 소정의 압력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에어탱크(11)는 금속재로도 가능하나 원가절감을 위해 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중에 음료로 유통되는 PT병을 재활용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에어탱크(11)는 후술하는 에어혼(23)이 약 30~60초간 100~160dB 정도의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는 용량과 압력을 지니도록 구비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에어탱크(11)를 PT병으로 재활용할 경우에 용량(1.5ℓ이상)에 따라 받침대(1)의 하부 공간이 협소해 장착이 용이하지 못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엔 소 용량(350㎖)의 PT병을 상호 병렬로 연결하면 만족할 수 있는 경보음을 충분히 얻을 수가 있다.
물론, 에어탱크(11)를 금속재 또는 수지재로 만족할 수 있는 경보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별도로 제조한 것을 이용해도 좋지만, 환경오염과 원가절감을 위해서는 PT병을 재활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지만, 보다 우수한 내구성과 정밀성 및 장착성을 고려한다면, 별도의 제조를 통한 에어탱크(11)를 이용하는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 어느 경우에나 당업자는 에어탱크(11)를 받침대(1)상에 탈ㆍ부착 가능한 것에 한정하여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가 있다.
한편, 에어탱크(11)는 받침대(1)의 하부에 본드나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물질로 장착하거나 연결끈이나 연결고리와 같은 연결부재로서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장착한다. 즉, 장착방법에 대해서는 특정 방식에 국한하지 않으며 받침대(1)의 모양과 형상의 변형을 최소화하거나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해 장착한다.
그리고 주입밸브(15)는 에어탱크(11)에 공기를 소정의 압력으로 충진시키는 것으로, 받침대(1)의 외주면으로 노출되게 구비한다. 즉, 주입밸브(15)는 후술하는 관로(21)에 의해 에어탱크(11)와 긴밀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주입밸브(15)는 통상의 주입펌프와 호환이 가능한 프레스타(Presta), 슈레더(Schrader), 던롭(Dunlop) 타입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대표적으로 공기 주입이 용이함과 동시에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슈레더(Schrader) 타입이 좋다. 즉, 슈레더타입은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체크밸브와 유사한 구조를 지니는데, 도 2처럼 중앙에 탄성적으로 유동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유동구(15a)가 입구에서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돌출(노출)된다.
이러한 주입밸브(15)는 슈레더타입 외에도 프레스타 또는 던롭타입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 수지재로 이루어진 통상의 물놀이용 튜브타입으로도 가능하다. 즉, 튜브타입은 관내부에 유동막을 형성하여 공기가 주입되면 저항 없이 신속하게 주입되도록 자동으로 확장관이 되고, 반대로 주입이 완료되면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자동으로 축소관이 되는 구조이다. 물론, 배출 시에 사용자가 튜브의 측면을 가압시켜 임의로 확장관이 되게 하면 신속하게 배출(압력조절)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당업자는 통상의 주입펌프와 호환성을 지니면서도 내구성과 원가절감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경보부(20)는 상기 에어탱크(11)를 관로(21)와 에어혼(23)에 연결하고, 관로(21)상에 경보밸브(25)를 구비한다. 경보부(20)는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경보음이 울릴 수 있도록 경보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2처럼 받침대(1)의 하부에 구비된 공간으로 에어혼(23)과 경보밸브(25)를 구비하고, 이들을 관로(21)를 통하여 저장부(10)와 모두 연결되게 구비한다.
관로(21)는 에어탱크(11)와 주입밸브(15)가 교차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일단이 분기되어 경보밸브(25)의 입구와 연결되고, 에어혼(23)은 경보밸브(25)의 출구와 연결된다. 이러한 관로(21)는 연질의 튜브(tube)나 호스(hose)를 이용하거나 경질의 파이프(pipe)를 이용할 수 있는데, 설치가 용이하고 저렴한 연질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에어탱크(11)와 주입밸브(15)를 교차시키거나 분기하기 위해서는 Y형 또는 X형의 유니온(union)이나 니블(nipple)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나, 설치와 정비가 탁월한 원터치형 피팅(fitting)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관로(21)는 에어탱크(11)의 적정 공기압이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받침대(1)상에 압력게이지를 더 연결할 수도 있다. 허나, 에어탱크(11)의 내구성이 충분하다면 공압으로 팽창하는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주입펌프 작동힘으로 충분히 유추할 수 있으므로 압력게이지를 생략할 수 있다.
에어혼(23)은 소정의 압력의 공기가 전달(주입)되면, 배출과 함께 전달된 공기 압력의 비례되는 크기의 소리를 발생하는 것으로 일반 휘슬, 호르라기, 사이렌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경보음을 발생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에어혼(23)은 받침대(1)의 하부에 충분히 장착할 수 있도록 소형의 구조를 지니면서도 적은 압력으로도 90dB이상의 소리를 발생하는 것을 이용한다. 무엇보다 주변이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작업자가 충분히 경보음을 들을 수가 있도록 저주파 보다는 고주파음으로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보밸브(25)는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후술하는 감지작동부(30)와 연동하여 에어탱크(11)의 공기를 에어혼(23)에 전달되게 개방시켜 준다. 즉, 경보밸브(25)는 평상 시 에어탱크(11)의 공기가 소정의 압력으로 저장시켜줌과 함께 에어탱크(11)의 공기가 에어혼(23)에 전달되지 못하도록 관로(21)를 폐쇄시켜 주고, 외부 충격이 작용하면 에어탱크(11)의 공기를 에어혼(23)에 전달시켜 경보음이 발생되게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경보부(20)의 경보밸브(25)는 중앙에 탄성적으로 유동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유동구(25a)를 구비하고, 상기 유동구(25a)와 맞물려 유동되게 유도하는 작동바(26)를 긴밀하게 수용하는 보조밸브(27)를 구비한다. 경보밸브(25)는 도 3처럼 중앙에 스프링이 탄지되어 일방향의 탄성력을 지닌 유동구(25a)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유동구(25a)의 전ㆍ후방 유동(도면기준 좌ㆍ우측)에 따라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슈레더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즉, 슈레더타입은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체크밸브와 유사한 구조를 지니는데, 도 3처럼 중앙에 탄성적으로 유동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유동구(25a)가 출구에서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돌출(노출)된다.
여기서 경보밸브(25)는 후술하는 감지작동부(30)와 연동하면서 유동구(25a)와 맞물려 유동되게 유도하는 작동바(26)를 긴밀하게 수용하고, 에어혼(23)과 연결되도록 유도하는 보조밸브(27)가 결합된다. 보조밸브(27)는 도 3처럼 중앙에 전ㆍ후방 유동(도면기준 좌ㆍ우측)하는 작동바(26)를 구비하는데, 작동바(26)의 일단은 유동구(25a)와 맞물리고 타단은 감지작동부(30)와 맞물린다. 이러한 작동바(26)는 보조밸브(27)의 내주면과 긴밀하게 맞물리는 오링(26a)이 개재되어 전ㆍ후방으로 유동되어도 공기의 유출을 억제할 수가 있다. 즉, 감지작동부(30)에 의해 작동바(26)가 유동구(25a)를 후퇴시켜 경보밸브(25)의 유로가 개방되면, 에어탱크(11)의 공기가 보조밸브(27)를 지나 관로(21)를 통과하면서 에어혼(23)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바(26)의 전ㆍ후방 유동에 관련해서는 감지작동부(30)와 함께 후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작동부(30)는 상기 받침대(1)상에 노출되게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충격을 감지해 경보밸브(25)를 개폐되게 구비한다. 감지작동부(30)는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경보밸브(25)를 개방시켜 경보음이 울릴 수 있도록 경보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2처럼 받침대(1)상에 일부 노출되게 구비한다. 즉, 감지작동부(30)는 받침대(1)나 원추체(2) 중 어느 한 곳이라도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되면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즉시, 경보밸브(25)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작동부(30)는 기계식 또는 전기ㆍ전자식 중에서 선택적으로 구비한다. 즉, 감지작동부(30)는 기계식과 전기ㆍ전자식으로 나눌 수가 있는데, 전기ㆍ전자식은 다회성으로 작동 후에도 별도의 설정이 없이 연속 재사용이 가능한 이점은 있으나, 부품의 비용이 고가이고 상시 배터리를 체크 및 충진해야 되며, 무엇보다 습기나 먼지 등으로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 야외(작업장, 공사장)와 같은 열악한 환경에서 사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반면에 기계식은 부품의 비용이 저렴하고 어떠한 환경에서도 구애받지 않고 작동되는 높은 신뢰성과 관리성을 지니나, 일회성이라 작동 후에는 수동으로 재설정해야 되는 단점은 있다.
한편, 감지작동부(30)는 기계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므로 이하, 기계식으로 한정한다. 물론, 당업자는 전기ㆍ전자식에 경우에도 쉽게 도출할 수가 있으므로 배제하지는 않는다. 즉, 전기ㆍ전자식의 경우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경보밸브(25)를 솔레노이드 타입으로 구비하고 배터리와 함께 충격센서 또는 위치센서를 내장한 PCB로 구현하면 된다. 또는 에어방식의 에어혼(23) 대신에 전자방식의 스피커를 채용하고, 저장부(10)와 경보밸브(25)를 모두 생략하는 구조로도 가능하다. 이처럼 당업자는 감지작동부(30)를 기계식으로 한정하나 사용처에 따라 전기ㆍ전자식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다.
이러한 감지작동부(30)는 받침대(1)의 하부에 구비된 공간으로 경보밸브(25)와 인접되는 위치에서 상호 연동되게 구비하는데, 그 일부가 받침대(1)의 상측이나 일측면으로 노출되게 구비한다. 물론, 감지작동부(30)가 전기ㆍ전자식에 경우엔 받침대(1)의 공간에 모두 함몰되게 구비할 수도 있지만, 기계식에 경우엔 작동된 후에 수동으로 재설정이 필요함에 따라 조작이 용이하도록 노출되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작에 관련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감지작동부(30)는 케이스(31)상에 상하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감지추(32)와, 감지추(32)에 하부로 탄성적으로 접촉하며 회전 운동하는 유동대(33)를 구비한다. 감지작동부(30)는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경보밸브(25)를 개방시켜 경보음이 울릴 수 있도록 경보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받침대(1)의 하부에 구비된 공간으로 경보밸브(25)와 인접되는 위치에서 케이스(31)를 구비한다.
케이스(31)는 도 3처럼 원형, 타원형, 각형으로 내부에 감지공간(S1)과 작동공간(S2)을 각각 구비한다. 감지공간(S1)에 하부 중앙에는 내ㆍ외부로 관통된 통공(H)을 구비하고, 상부에는 십자형 또는 원형의 덮개(C)가 개재된다. 이러한 감지공간(S1)으로 감지추(32)가 내장되는데, 감지추(32)는 소정의 중량을 지녀 외부 충격에 따라 상하 및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유동하게 된다. 여기서 감지추(32)의 하부 정중앙 외주부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원형의 단턱(32a)을 구비한다.
그리고 감지공간(S1)의 인접하는 위치에 작동공간(S2)을 구비하는데, 작동공간(S2)에는 힌지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ㄷ'형의 유동대(33)가 장착되며, 일단에 경보밸브(25)의 유동구(25a)와 맞물려 직선 운동하는 작동바(26)가 노출된 상태로 구비한다. 여기서 유동대(33)는 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의 탄성력을 지니게 되는데, 힌지를 기점으로 일단(좌측)이 통공(H)에 내재되어 감지추(32)의 하부 정중앙을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타단(우측)은 작동바(26)의 일단과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즉, 초기에는 도 4a처럼 유동대(33)의 일단이 스프링에 의해 감지추(32)의 하부 정중앙을 가압한 상태를 지니다가 외부로부터 충격이 작용되면, 도 4b처럼 감지추(32)가 감지공간(S1)상에서 유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유동대(33)의 일단이 감지추(32)의 하부 정중앙을 어긋나 단턱(32a)으로 수용된다. 즉, 유동대(33)의 일단이 단턱(32a)에 수용되면, 힌지를 기점으로 회전(오른 방향)하면서 타단이 경보밸브(25)의 작동바(26)를 가압해 유동구(25a)를 후퇴(우측)시켜 준다. 따라서 유동구(25a)의 후퇴로 경보밸브(25)의 유로가 개방되고, 개방된 유로를 통하여 에어탱크(11)의 공기가 에어혼(23)에 전달되어 경보음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감지작동부(30)의 케이스(31)는 감지추(32)가 자동으로 원위치되도록 하부에 복귀홈(31a)을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충격을 전달받아 감지추(31)가 중앙에서 어긋나도록 유도하는 감지링(35)을 더 구비한다. 케이스(31)는 감지공간(S1)과 작동공간(S2)를 각각 구비하는데, 감지추(32)가 내장된 감지공간(S1)상에 복귀홈(31a)과 감지링(35)을 더 구비한다.
복귀홈(31a)은 감지공간(S1)의 하부 중앙에 감지추(32)가 자동으로 초기 위치로 이동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앞서 외부 충격을 통한 경보음이 발생된 이후(도 4a에서 도 4b과정)에 초기상태(도 4a)로의 과정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재설정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감지기능을 지니도록 초기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최초, 유동대(33)의 일단을 감지추(32)의 단턱(32a)으로부터 이탈시켜야 하므로 유동대(33)의 타단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당겨주어야 한다.
이 상태가 되면 감지추(32)는 유동대(33)로부터 가압력이 해제되어 중력에 의해 하강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감지공간(S1)에 형성된 복귀홈(31a)에 자동으로 안착하게 된다. 복귀홈(31a)에 안착된 감지추(32)는 도 4c처럼 유동대(33)의 일단이 하부 정중앙을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안착된 상태가 되므로 수동으로 당겨진 유동대(33)를 해제하면, 도 4a처럼 초기상태로 복귀할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원위치 복귀과정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풀어서 기재하였지만, 실제 작동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유동대(33)의 타단을 당겨 준 뒤, 즉시 해제하면 초기 상태로 복귀되는 매우 짧은 순간에 이루어진다.
감지링(35)은 도 3 내지 도 5처럼 중앙이 관통된 도넛형으로 형성되어 감지추(32)의 외주면을 수용한 상태에서 감지공간(S1)상에 전후좌우로 유동가능하게 내장되는데, 이러한 감지링(35)은 외부 충격에 의한 감지추(32)의 감지기능이 배가되도록 유도한다. 즉, 감지추(32)만으로도 외부 충격을 감지해 유동할 수는 있으나, 유동대(33)의 일단이 감지추(32)의 하부 정중앙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충격강도가 가압력 이상으로 작용해야만 가능하다. 하지만, 외부 충격강도가 가압력 이하로 작용하여도 감지링(35)은 유동하게 되므로 결국, 감지링(35)의 중앙에 수용된 감지추(32)를 재차 유동시켜 중앙에서 어긋나도록 유도한다.
여기서 감지링(35)은 외주면에 스프링에 의해 상시 중앙에 위치하려고 하는 작용 때문에 충격에 의해 유동되어 감지추(32)를 중앙에서 어긋나게 한 뒤에도 초기상태로 원위치 복귀하는 과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다만, 감지링(35)의 스프링의 상수가 유동대(33)의 스프링 상수보다 낮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감지작동부(30)의 케이스(31)는 상부에 미사용 시 내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과 함께 감지추(32)를 중앙에서 고정하도록 고정돌기(41)를 개재한 커버(40)를 더 구비한다. 케이스(31)는 감지공간(S1)과 작동공간(S2)를 각각 구비하는데, 감지추(32)가 내장된 감지공간(S1)의 상부에 개폐 가능한 커버(40)를 더 구비한다.
커버(40)는 케이스(31)의 감지공간(S1)을 개방 또는 밀폐할 수 있는 모양과 형상으로 형성되어 미사용(보관 및 이동)시에 내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 이러한 커버(40)는 케이스(31)의 일단에 힌지와 판스프링에 의해 반자동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장착된다. 여기서 반자동이라함은 커버(40)가 케이스(31)의 감지공간(S1)을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힘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다가, 인위적으로 커버(40)를 감지공간(S1)으로부터 개방된 상태로 회전시키면, 반대로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려는 힘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뜻한다. 즉, 반자동 회전에 의해 어떠한 상태든지 외부 충격에 관계없이 그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커버(40)는 감지추(32)를 중앙에서 고정하도록 돌출된 고정돌기(41)를 구비한다. 고정돌기(41)는 감지추(32)의 상부에 구비된 고정홈(32b)과 맞물리는데, 미사용(보관 및 이동)시 충격이 전달되어도 감지추(32)의 유동을 억제하여 경보기능을 해제한다. 즉, 미사용 시에 커버(40)를 회전시켜 감지공간(S1)을 폐쇄시키면, 자동으로 고정돌기(41)가 감지추(32)의 고정홈(32b)에 맞물려 고정함과 동시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해 수명을 증가시켜 준다. 또, 사용 시에 커버(40)를 회전시켜 감지공간(S1)을 개방시키면, 자동으로 고정돌기(41)가 감지추(32)의 고정홈(32b)으로부터 이탈되어 감지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커버(40)는 감지공간(S1)을 개폐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작동공간(S2) 또한 개폐하도록 연장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사용 상태에 있어서, 즉 도 6처럼 본 발명의 러버콘은 도로공사 구간에서 별도의 감시인원이 없는 경우에도 도 7처럼 차량의 갑작스러운 접근 위험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경보음을 발산하므로 종래의 러버콘에서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방식으로 사고발생 위험을 경보하여 현장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반대로 차량의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하여 위험구간에 진입하더라도 경보음을 발산해 운전자의 신속한 대응으로 대형사고의 위험을 미연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밸브의 개방으로 에어혼을 울려 작업자가 위험에서 신속하게 피신할 수 있는 경보 기능을 지니게 하면서도 별도의 제조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기존에 제조된 러버콘에 쉽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기성품과 재활용품을 활용한 부품으로 공정의 단축과 원가의 절감으로 가격경쟁력을 도모하면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전반적인 구조의 간소화와 정밀성을 향상시켜 사용상의 편리성과 수명을 대폭 증가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받침대 2: 원추체
10: 저장부 11: 에어탱크
15: 주입밸브 15a, 25a: 유동구
20: 경보부 21: 관로
23: 에어혼 25: 경보밸브
26: 작동바 26a: 오링
27: 보조밸브 30: 감지작동부
31: 케이스 31a: 복귀홈
32: 감지추 32a: 단턱
32b: 고정홈 33: 유동대
35: 감지링 40: 커버
41: 고정돌기 C: 덮개
H: 통공 S1: 감지공간
S2: 작동공간

Claims (5)

  1. 지면을 지지하는 받침대(1)와 위험을 표시하는 원추체(2)로 이루어진 러버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상에 탈ㆍ부착 가능하게 구비하고, 공압을 저장ㆍ충진하도록 에어탱크(11)와 주입밸브(15)를 구비하는 저장부(10);
    상기 에어탱크(11)를 관로(21)와 에어혼(23)에 연결하고, 관로(21)상에 경보밸브(25)를 구비하되, 경보밸브(25)는 중앙에 탄성적으로 유동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유동구(25a)를 구비하고, 상기 유동구(25a)와 맞물려 유동되게 유도하는 작동바(26)를 긴밀하게 수용하는 보조밸브(27)를 구비하는 경보부(20); 및
    상기 받침대(1)상에 노출되게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충격을 감지해 경보밸브(25)를 개폐되게 구비하는 감지작동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작동부(30)는 케이스(31)상에 상하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감지추(32)와, 감지추(32)에 하부로 탄성적으로 접촉하며 회전 운동하는 유동대(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작동부(30)의 케이스(31)는 감지추(32)가 자동으로 원위치되도록 하부에 복귀홈(31a)을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충격을 전달받아 감지추(32)가 중앙에서 어긋나도록 유도하는 감지링(3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작동부(30)의 케이스(31)는 상부에 미사용 시 내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과 함께 감지추(32)를 중앙에서 고정하도록 고정돌기(41)를 개재한 커버(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KR1020120079547A 2012-07-20 2012-07-20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KR101243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547A KR101243520B1 (ko) 2012-07-20 2012-07-20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US14/414,703 US9624629B2 (en) 2012-07-20 2013-07-18 Traffic cone having alarm function
PCT/KR2013/006411 WO2014014280A1 (ko) 2012-07-20 2013-07-18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547A KR101243520B1 (ko) 2012-07-20 2012-07-20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3520B1 true KR101243520B1 (ko) 2013-03-20

Family

ID=4818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547A KR101243520B1 (ko) 2012-07-20 2012-07-20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24629B2 (ko)
KR (1) KR101243520B1 (ko)
WO (1) WO201401428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5300A (en) * 2013-06-18 2014-12-24 Mark Hipgrave Moulded verge markers
KR20190088646A (ko) * 2018-01-19 2019-07-29 윤소영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89841B1 (en) 2015-06-18 2016-11-08 James Damian Huggins Portable multi-function roadway barrier
CN106223225B (zh) * 2016-09-14 2018-07-03 合肥工业大学 一种交通路口交汇警示装置
TWI761947B (zh) * 2020-09-11 2022-04-21 正修學校財團法人正修科技大學 路段管制燈號系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5556A (en) 1992-10-23 1993-11-30 Hall J Rodney Advance warning traffic safety device
JPH11350438A (ja) 1998-06-02 1999-12-21 Koji Teraoka 風圧で揺動する交通規制材
KR200228265Y1 (ko) 2000-12-29 2001-06-15 한국도로공사 휴대용 도로상황안내구
KR101078390B1 (ko) * 2009-07-15 2011-10-31 윤소영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0817A (en) * 1970-12-22 1972-05-02 Harvey E Abrams Traffic marker having gravity switch controlled horn
US5325808A (en) * 1993-04-23 1994-07-05 Bernoudy Jr David A Filler and pressure indicator valve
KR200157079Y1 (ko) 1997-10-08 1999-09-15 장계선 안전신호기
US6075450A (en) * 1998-09-08 2000-06-13 Clark; Lloyd Douglas Audible warning device with restrainable, shock-activated cocked mechanism
KR200229370Y1 (ko) 2001-01-10 2001-07-19 조대연 러버콘을 이용한 안전휀스
GB2386730A (en) * 2002-03-22 2003-09-24 Systems Engineering & Assessme Roadside safety system
US7423552B2 (en) * 2004-06-03 2008-09-09 Tim Sherman “Warning Bump” traffic safety device
FR2886952A1 (fr) * 2005-06-14 2006-12-15 Intersignaletic Sarl Dispositif de balisage pour voie de circulation
JP2007309079A (ja) * 2006-04-17 2007-11-29 Japan Carlit Co Ltd:The 道路用警報装置及び警報方法
GB2465214A (en) * 2008-11-12 2010-05-19 Kevin Beall Collision warning system for use on roads and railway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5556A (en) 1992-10-23 1993-11-30 Hall J Rodney Advance warning traffic safety device
JPH11350438A (ja) 1998-06-02 1999-12-21 Koji Teraoka 風圧で揺動する交通規制材
KR200228265Y1 (ko) 2000-12-29 2001-06-15 한국도로공사 휴대용 도로상황안내구
KR101078390B1 (ko) * 2009-07-15 2011-10-31 윤소영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5300A (en) * 2013-06-18 2014-12-24 Mark Hipgrave Moulded verge markers
KR20190088646A (ko) * 2018-01-19 2019-07-29 윤소영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KR102041033B1 (ko) * 2018-01-19 2019-11-05 윤소영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24629B2 (en) 2017-04-18
US20150204035A1 (en) 2015-07-23
WO2014014280A1 (ko)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520B1 (ko)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KR102041033B1 (ko)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KR101687708B1 (ko) 비상표시장치
KR101078390B1 (ko)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KR20170135461A (ko) 자동차용 자동 안전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US545744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highway traffic
US20050253694A1 (en) Vehicle mounted pedestrian sensor system
KR101813209B1 (ko)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CN103821174A (zh) 具有提醒作用的窨井盖
TWI531781B (zh) 水位偵測警示裝置
KR20210035441A (ko)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
KR102096231B1 (ko) 다용도 안내 표지판
CN108665681A (zh) 基于数据处理的城市内涝预警、防护及救援系统
KR102279899B1 (ko)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
CN209412727U (zh) 弹性警示柱
CN207740782U (zh) 一种多功能求救装置
KR200465200Y1 (ko) 자동차 사고표시용 페인트 분사장치
CN207945600U (zh) 一种具备交通预警功能的led路灯
JP2007309078A (ja) 道路用警報装置及び警報方法
CN219263724U (zh) 一种便于对准的红外预警器
EP1337986B1 (en) Protective beacon
KR20190000951U (ko) 도로 안전 표시구
CN115892304B (zh) 一种可手动锁紧安装的自行车灯
KR101552924B1 (ko) 가스검지 기능을 갖춘 맨홀 뚜껑 개폐기
JP2007309079A (ja) 道路用警報装置及び警報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