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033B1 -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 Google Patents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033B1
KR102041033B1 KR1020180006975A KR20180006975A KR102041033B1 KR 102041033 B1 KR102041033 B1 KR 102041033B1 KR 1020180006975 A KR1020180006975 A KR 1020180006975A KR 20180006975 A KR20180006975 A KR 20180006975A KR 102041033 B1 KR102041033 B1 KR 102041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valve
air
sensing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8646A (ko
Inventor
윤소영
Original Assignee
윤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소영 filed Critical 윤소영
Priority to KR1020180006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033B1/ko
Publication of KR20190088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06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hydraulic transmission; using pneuma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을 지지하는 받침대(1)와 위험을 표시하는 원추체(2)로 이루어진 러버콘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받침대(1)상에 탈ㆍ부착 가능하게 구비하고, 공압을 저장ㆍ충진하도록 에어탱크(11)와 주입밸브(15)를 구비하는 저장부(10); 상기 에어탱크(11)를 관로(21)와 에어혼(22)에 연결하고, 관로(21)상에 경보밸브(23)를 구비하는 경보부(20); 및 상기 받침대(1)상에 노출되게 케이스(31)를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충격을 감지해 케이스(31) 하단에 경보밸브(23)를 개폐하도록 구비하는 감지작동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밸브의 개방으로 에어혼을 울려 작업자가 위험에서 신속하게 피신할 수 있는 경보 기능을 지니게 하면서도 별도의 제조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기존에 제조된 러버콘에 쉽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기성품과 재활용품을 활용한 부품으로 공정의 단축과 원가의 절감으로 가격경쟁력을 도모하면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전반적인 구조의 간소화와 정밀성을 향상시켜 사용상의 편리성과 수명을 대폭 증가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추가하자면, 센서작동 신뢰도와 조작 편리성을 확보하고 감지작동부의 장전, 재장전, 잠금기능을 한 개 레버에 모두 구현하도록 단순화하여 센서의 충격감지 성능 및 기능을 향상하며, 기존러버콘과 호환을 위해 에어탱크는 긴튜브 형태로 바닥판 내부 여유공간에 위치(약 1리터 용량)하고 에어혼 및 충격센서는 크기를 줄여 주요부품을 바닥판 내부에 모두 장착하는 것으로 구조를 단순화 하며, 바닥판 두께를 슬림화 및 경량화하여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Emergency notifying traffic cone}
본 발명은 지면을 지지하는 받침대와 위험을 표시하는 원추체로 이루어진 러버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밸브의 개방으로 에어혼을 울려 작업자가 위험에서 신속하게 피신할 수 있는 경보 기능을 지니게 하면서도 별도의 제조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기존에 제조된 러버콘에 쉽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기성품과 재활용품을 활용한 부품으로 공정의 단축과 원가의 절감으로 가격경쟁력을 도모하면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전반적인 구조의 간소화와 정밀성을 향상시켜 사용상의 편리성과 수명을 대폭 증가시켜 주는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속도로를 비롯한 각종 도로의 신설 및 확장과 함께 운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노력으로 교통안전시설물의 연장 및 개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로와 시설물의 보수를 위해 해마다 많은 도로상 공사가 추진되고 있다. 이때, 관련 규정에 의하면 위험을 알리는 표지(적색등, 보호색), 신호시설 또는 필요한 인원을 배치하고 교통을 유도하도록 한다.
이에 도로공사 현장에는 설정된 작업장 영역을 기준으로 일정간격으로 러버콘(traffic cone; 일명 러버콘, 안전콘, 칼라콘)을 설치하여 주행중인 차량이 작업장 안으로 들어오지 않게 안내하기도 한다. 그러나 주행중인 차량이 부주의로 러버콘을 넘어뜨리면 유도기능이 약화되고 다른 차량이 작업장을 진입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크다. 주행 차량 운전자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러버콘에 색을 부여하거나 반사지를 부착하지만 사고예방에 대한 대책으로 미흡하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29370호에 의하면 조립시에는 공사현장에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는 안전펜스로 사용하고, 분리시에는 보행자나 차량의 통행을 유도하는 러버콘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겸용기능을 요지로 한다.
다른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157079호에 의하면 공사장이나 작업장에서 통행상의 주위를 환기시키기 위해 작업장소로 간편하게 이동시키고 경보등의 점멸과 함께 깃발을 좌우로 흔들리게 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에 의하면 일반적인 러버콘에 비하여 비교적 크고 다단 적재가 곤란하기 때문에 보관, 이동, 설치, 작동에 있어 실효성에 한계를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8390호의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을 등록한 바가 있다. 즉, 본 출원인에 의한 러버콘은 원추체(10)의 하단에 일체로 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공압을 저장하는 에어탱크(22)를 구비하는 받침대(20); 에어탱크(22)를 관로(32)와 휘슬(36)에 연결하고, 관로(32)상에 개폐밸브(34)를 구비하는 경보수단; 원추체(10)의 전도에 연동하여 개폐밸브(34)의 작동력을 발생하는 제1ㆍ2감지수단(40)(60)을 구성하고 있다. 이는 러버콘에 압축공기를 충진하고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밸브의 개방으로 휘슬을 울려 작업자가 위험상황에서 신속하게 피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된 특허에 의하면, 기존에 러버콘과 호환이 불가능하므로 제조비용이 대폭 증가되는 단점이 있는데, 즉 받침대(20)상에 공압을 저장하는 에어탱크(22)를 구비해야 되는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에어탱크(22)상에 경보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을 모두 내장시켜야 되므로 제조공정의 증가와 설비에 따른 비용의 증가로 가격경쟁력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 경보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을 별도로 제조해야 하므로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고 무엇보다 그 구조가 복잡하므로 정밀성이 떨어지고 유지보수가 어려워 수명을 단축시키는 단점이 있는 등 개선할 여지가 필요하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29370호 "러버콘을 이용한 안전휀스"(2001.04.2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57079호 "안전신호기"(1999.06.23)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밸브의 개방으로 에어혼을 울려 작업자가 위험에서 신속하게 피신할 수 있는 경보 기능을 지니게 하면서도 별도의 제조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기존에 제조된 러버콘에 쉽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기성품과 재활용품을 활용한 부품으로 공정의 단축과 원가의 절감으로 가격경쟁력을 도모하면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전반적인 구조의 간소화와 정밀성을 향상시켜 사용상의 편리성과 수명을 대폭 증가시켜 주는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면을 지지하는 받침대와 위험을 표시하는 원추체로 이루어진 러버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상에 탈ㆍ부착 가능하게 구비하고, 공압을 저장ㆍ충진하도록 에어탱크와 주입밸브를 구비하는 저장부; 상기 에어탱크를 관로와 에어혼에 연결하고, 관로상에 경보밸브를 구비하는 경보부; 및 상기 받침대 상에 노출되게 케이스를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충격을 감지해 케이스 하단에 경보밸브를 개폐하도록 구비하는 감지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경보부는 경보밸브의 중앙에 탄성적으로 유동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유동구를 구비하고, 유동구와 맞물려 공압으로 유동하도록 중앙부로 걸림돌부와, 보조밸브의 내주면과 맞물리는 오링, 감지작동부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수용된 스프링으로 구성된 작동바를 긴밀하게 수용하는 보조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감지작동부는 케이스 상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하면서 유도경사부와 스프링을 포함하는 유동대와, 전후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하면서 외부의 충격으로 유동대를 가압하도록 가압경사부와 탄성링을 포함하는 감지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삭제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경보부는 작동바 상에 개폐손잡이와 유도잠금핀을 구비하여 사용시 저장부의 저장ㆍ충진횟수에 따라 에어혼의 경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경보의 사용여부에 따라 개폐작업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지작동부는 케이스의 내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과 함께 유동대를 수직상태에서 상하 유동하도록 수용공이 형성된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은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밸브의 개방으로 에어혼을 울려 작업자가 위험에서 신속하게 피신할 수 있는 경보 기능을 지니게 하면서도 별도의 제조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기존에 제조된 러버콘에 쉽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기성품과 재활용품을 활용한 부품으로 공정의 단축과 원가의 절감으로 가격경쟁력을 도모하면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전반적인 구조의 간소화와 정밀성을 향상시켜 사용상의 편리성과 수명을 대폭 증가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추가하자면, 센서작동 신뢰도와 조작 편리성을 확보하고 감지작동부의 장전, 재장전, 잠금기능을 한 개 레버에 모두 구현하도록 단순화하여 센서의 충격감지 성능 및 기능을 향상하며, 기존러버콘과 호환을 위해 에어탱크는 긴튜브 형태로 바닥판 내부 여유공간에 위치(약 1리터 용량)하고 에어혼 및 충격센서는 크기를 줄여 주요부품을 바닥판 내부에 모두 장착하는 것으로 구조를 단순화 하며, 바닥판 두께를 슬림화 및 경량화하여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러버콘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러버콘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콘을 투영하여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작동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지면을 지지하는 받침대(1)와 위험을 표시하는 원추체(2)로 이루어진 러버콘과 관련되며, 저장부(10), 경보부(20), 감지작동부(3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에 관한다. 본 발명의 러버콘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 등록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8390호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에서 제조성과 정밀성 및 사용성을 보다 향상되도록 일부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밸브의 개방으로 에어혼을 울려 작업자가 위험에서 신속하게 피신할 수 있도록 한 목적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은 기존에 제조된 러버콘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제조 시 공정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경보 기능을 지니도록 개선하고 전반적인 부품을 간소화 하면서 기성품과 재활용품을 활용하여 가격경쟁력의 도모와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사용상의 편의성과 정밀성을 향상하는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0)는 상기 받침대(1)상에 탈ㆍ부착 가능하게 구비하고, 공압을 저장ㆍ충진하도록 에어탱크(11)와 주입밸브(15)를 구비한다. 저장부(10)는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경보음이 울릴 수 있는 에너지를 저장함과 함께 재사용 하도록 충진기능을 지닌 것으로, 도 2 및 도 4처럼 받침대(1)의 하부에 구비된 공간에 에어탱크(11)와 주입밸브(15)를 구비한다.
에어탱크(11)는 공기를 소정의 압력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에어탱크(11)는 금속재로도 가능하나 원가절감을 위해 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중에 음료로 유통되는 PT병을 재활용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에어탱크(11)는 후술하는 에어혼(23)이 약 10∼20초간 100~160dB 정도의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는 용량과 압력을 지니도록 구비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에어탱크(11)를 PT병으로 재활용할 경우에 용량(1.5ℓ이상)에 따라 받침대(1)의 하부 공간이 협소해 장착이 용이하지 못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엔 소 용량(350㎖)의 PT병을 상호 병렬로 연결하면 만족할 수 있는 경보음을 충분히 얻을 수가 있다.
물론, 에어탱크(11)를 금속재 또는 수지재로 만족할 수 있는 경보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별도로 제조한 것을 이용해도 좋지만, 환경오염과 원가절감을 위해서는 PT병을 재활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지만, 보다 우수한 내구성과 정밀성 및 장착성을 고려한다면, 별도의 제조를 통한 에어탱크(11)를 이용하는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 어느 경우에나 당업자는 에어탱크(11)를 받침대(1)상에 탈ㆍ부착 가능한 것에 한정하여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가 있다.
한편, 에어탱크(11)는 받침대(1)의 하부에 본드나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물질로 장착하거나 연결끈이나 연결고리와 같은 연결부재로서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장착한다. 즉, 장착방법에 대해서는 특정 방식에 국한하지 않으며 받침대(1)의 모양과 형상의 변형을 최소화하거나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해 장착한다.
그리고 주입밸브(15)는 에어탱크(11)에 공기를 소정의 압력으로 충진시키는 것으로, 받침대(1)의 외주면으로 노출되게 구비한다. 즉, 주입밸브(15)는 후술하는 관로(21)에 의해 에어탱크(11)와 긴밀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주입밸브(15)는 통상의 주입펌프와 호환이 가능한 프레스타(Presta), 슈레더(Schrader), 던롭(Dunlop) 타입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대표적으로 공기 주입이 용이함과 동시에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슈레더(Schrader) 타입이 좋다. 즉, 슈레더타입은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체크밸브와 유사한 구조를 지니는데, 도 4처럼 중앙에 탄성적으로 유동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유동구(15a)가 입구에서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돌출(노출)된다.
이러한 주입밸브(15)는 슈레더타입 외에도 프레스타 또는 던롭타입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 수지재로 이루어진 통상의 물놀이용 튜브타입으로도 가능하다. 즉, 튜브타입은 관내부에 유동막을 형성하여 공기가 주입되면 저항 없이 신속하게 주입되도록 자동으로 확장관이 되고, 반대로 주입이 완료되면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자동으로 축소관이 되는 구조이다. 물론, 배출 시에 사용자가 튜브의 측면을 가압시켜 임의로 확장관이 되게 하면 신속하게 배출(압력조절)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당업자는 통상의 주입펌프와 호환성을 지니면서도 내구성과 원가절감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경보부(20)는 상기 에어탱크(11)를 관로(21)와 에어혼(22)에 연결하고, 관로(21)상에 경보밸브(23)를 구비한다. 경보부(20)는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경보음이 울릴 수 있도록 경보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2 및 도 4처럼 받침대(1)의 하부에 구비된 공간으로 에어혼(22)과 경보밸브(23)를 구비하고, 이들을 관로(21)를 통하여 저장부(10)와 모두 연결되게 구비한다.
관로(21)는 에어탱크(11)와 주입밸브(15)가 교차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일단이 분기되어 경보밸브(23)의 입구와 연결되고, 에어혼(22)은 경보밸브(23)의 출구와 연결된다. 이러한 관로(21)는 연질의 튜브(tube)나 호스(hose)를 이용하거나 경질의 파이프(pipe)를 이용할 수 있는데, 설치가 용이하고 저렴한 연질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에어탱크(11)와 주입밸브(15)를 교차시키거나 분기하기 위해서는 Y형 또는 X형의 유니온(union)이나 니블(nipple)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나, 설치와 정비가 탁월한 원터치형 피팅(fitting)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관로(21)는 에어탱크(11)의 적정 공기압이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받침대(1)상에 압력게이지를 더 연결할 수도 있다. 허나, 에어탱크(11)의 내구성이 충분하다면 공압으로 팽창하는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주입펌프 작동힘으로 충분히 유추할 수 있으므로 압력게이지를 생략할 수 있다.
에어혼(22)은 소정의 압력의 공기가 전달(주입)되면, 배출과 함께 전달된 공기 압력의 비례되는 크기의 소리를 발생하는 것으로 일반 휘슬, 호루라기, 사이렌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경보음을 발생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에어혼(22)은 받침대(1)의 하부에 충분히 장착할 수 있도록 소형의 구조를 지니면서도 적은 압력으로도 90dB이상의 소리를 발생하는 것을 이용한다. 무엇보다 주변이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작업자가 충분히 경보음을 들을 수가 있도록 저주파 보다는 고주파음으로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보밸브(23)는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후술하는 감지작동부(30)와 연동하여 에어탱크(11)의 공기를 에어혼(22)에 전달되게 개방시켜 준다. 즉, 경보밸브(23)는 평상시 에어탱크(11)의 공기가 소정의 압력으로 저장시켜줌과 함께 에어탱크(11)의 공기가 에어혼(22)에 전달되지 못하도록 관로(21)를 폐쇄시켜 주고, 외부 충격이 작용하면 에어탱크(11)의 공기를 에어혼(22)에 전달시켜 경보음이 발생되게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경보부(20)는 경보밸브(23)의 중앙에 탄성적으로 유동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유동구(23a)를 구비하고, 유동구(23a)와 맞물려 공압으로 유동하도록 걸림돌부(24a), 오링(24b), 스프링(24c)이 구성된 작동바(24)를 긴밀하게 수용하는 보조밸브(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보밸브(23)는 도 6처럼 중앙에 스프링이 탄지되어 일방향의 탄성력을 지닌 유동구(23a)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유동구(23a)의 전ㆍ후방 유동(도면기준 좌ㆍ우측)에 따라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슈레더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즉, 슈레더타입은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체크밸브와 유사한 구조를 지니는데, 도 6처럼 중앙에 탄성적으로 유동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유동구(23a)가 출구에서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돌출(노출)된다.
여기서 경보밸브(23)는 후술하는 감지작동부(30)와 연동하면서 유동구(23a)와 맞물려 공압으로 유도하도록 걸림돌부(24a), 오링(24b), 스프링(24c)이 구성된 작동바(24)를 긴밀하게 수용하고, 에어혼(22)과 연결되도록 유도하는 보조밸브(25)가 결합된다. 보조밸브(25)는 도 6처럼 중앙에 전ㆍ후방 유동(도면기준 좌ㆍ우측)하는 작동바(24)를 구비하는데, 작동바(24)의 일단은 유동구(23a)와 맞물리고 타단은 감지작동부(30)와 맞물린다. 이러한 작동바(24)는 유동구(23a)와 감지작동부(30)로 맞물리는 장축을 기준하여 중앙부로 걸림돌부(24a)를 구비하는 것으로, 작동바(24)의 둘레보다 일정한 원형단턱을 형성하여 감지작동부(30)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스프링(24c)을 수용하여 전ㆍ후방으로 탄성력을 사용한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한다. 스프링(24c)과 반대방향으로는 보조밸브(25)의 내주면과 긴밀하게 맞물리는 오링(24b)이 개재되어 전ㆍ후방으로 유동되어도 공기의 유출을 억제할 수가 있다. 즉, 감지작동부(30)에 의해 작동바(24)가 유동구(23a)를 후퇴시켜 경보밸브(23)의 유로가 개방되면, 에어탱크(11)의 공기가 보조밸브(23)를 지나 관로(21)를 통과하면서 에어혼(22)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바(24)의 전ㆍ후방 유동에 관련해서는 감지작동부(30)와 함께 후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경보부(20)는 작동바(24) 상에 개폐손잡이(24d)와 유도잠금핀(24e)을 구비하여 사용시 저장부(10)의 저장ㆍ충진횟수에 따라 에어혼(22)의 경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경보의 사용여부에 따라 개폐작업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보부(20)의 구성인 작동바(24) 상에는 걸림돌부(24a), 오링(24b), 스프링(24c) 이외에 개폐손잡이(24d)와 유도잠금핀(24e)을 더 구비하는데, 본 발명을 실제상황에 사용시 저장부(10)의 에어탱크(11)를 저장 및 충진횟수에 따라 관로(21)와 연결된 에어혼(22)의 경보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경보작업의 사용여부에 따라서 경보부(20)를 작동하는 개폐작업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개폐손잡이(24d)를 구비하는 것으로 작동바(24)의 전ㆍ후방 유동이 스프링(24c)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바(24)가 유동구(23a)를 후퇴시켜 경보밸브(23)의 유로가 개방되어 에어탱크(11)의 공기가 보조밸브(23)를 지나 관로(21)를 통과하면서 에어혼(22)으로 전달하여 경보를 울린다. 에어탱크(11)의 에어를 모두 소진하여 경보작업이 끝나면 경보밸브(23)와 맞물리는 작동바(24)의 반대측에 구비하는 개폐손잡이(24d)를 잡아당겨 스프링(24c)을 압축하면서 후술하는 감지작동부(30)의 유동대(32)가 걸림돌부(24a) 상에 하향 유동하는 것으로 작동바(24)를 원상태로 회귀하여 재장전한다.
개폐손잡이(24d)와 인접한 작동바(24) 상으로 유도잠금핀(24e)을 구비하는데, 이는 후술하는 감지작동부(30) 상에 작동바(24)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유도잠금핀(24e)까지 수용하는 동시에 작동바(24)를 축회전하여 감지작동부(30)의 표면 중 일부분에 잠금하여 완성된 러버콘을 사용하지 않거나 이동하는 과정에서 경보가 울리지 않도록 개폐작업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작동바(24)의 끝단부를 얇게 단처리하여 작동상태에서 쉽게 공기가 빠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하나의 특징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작동부(30)는 상기 받침대(1)상에 노출되게 케이스(31)를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충격을 감지해 케이스(31) 하단에 경보밸브(23)를 개폐하도록 구비한다. 감지작동부(30)는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경보밸브(23)를 개방시켜 경보음이 울릴 수 있도록 경보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5처럼 받침대(1)상에 일부 노출되게 케이스(31)를 구비한다. 즉, 감지작동부(30)는 받침대(1)나 원추체(2) 중 어느 한 곳이라도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되면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즉시, 케이스(31)의 하단에 구비하는 경보밸브(23)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작동부(30)는 기계식 또는 전기ㆍ전자식 중에서 선택적으로 구비한다. 즉, 감지작동부(30)는 기계식과 전기ㆍ전자식으로 나눌 수가 있는데, 전기ㆍ전자식은 다회성으로 작동 후에도 별도의 설정이 없이 연속 재사용이 가능한 이점은 있으나, 부품의 비용이 고가이고 상시 배터리를 체크 및 충진해야 되며, 무엇보다 습기나 먼지 등으로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 야외(작업장, 공사장)와 같은 열악한 환경에서 사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반면에 기계식은 부품의 비용이 저렴하고 어떠한 환경에서도 구애받지 않고 작동되는 높은 신뢰성과 관리성을 지니나, 일회성이라 작동 후에는 수동으로 재설정해야 되는 단점은 있다.
한편, 감지작동부(30)는 기계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므로 이하, 기계식으로 한정한다. 물론, 당업자는 전기ㆍ전자식에 경우에도 쉽게 도출할 수가 있으므로 배제하지는 않는다. 즉, 전기ㆍ전자식의 경우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경보밸브(23)를 솔레노이드 타입으로 구비하고 배터리와 함께 충격센서 또는 위치센서를 내장한 PCB로 구현하면 된다. 또는 에어방식의 에어혼(22) 대신에 전자방식의 스피커를 채용하고, 저장부(10)와 경보밸브(23)를 모두 생략하는 구조로도 가능하다. 이처럼 당업자는 감지작동부(30)를 기계식으로 한정하나 사용처에 따라 전기ㆍ전자식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다.
이러한 감지작동부(30)는 받침대(1)의 하부에 구비된 공간으로 경보밸브(23)와 인접되는 위치에서 상호 연동되게 구비하는데, 그 일부가 받침대(1)의 상측이나 일측면으로 노출되게 구비한다. 물론, 감지작동부(30)가 전기ㆍ전자식에 경우엔 받침대(1)의 공간에 모두 함몰되게 구비할 수도 있지만, 기계식에 경우엔 작동된 후에 수동으로 재설정이 필요함에 따라 조작이 용이하도록 노출되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작에 관련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감지작동부(30)는 케이스(31)상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하면서 유도경사부(32a)와 스프링(32b)을 포함하는 유동대(32)와, 전후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하면서 외부의 충격으로 유동대(32)를 가압하도록 가압경사부(33a)와 탄성링(33b)을 포함하는 감지추(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지작동부(30)는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경보밸브(23)를 개방시켜 경보음이 울릴 수 있도록 경보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받침대(1)의 하부에 구비된 공간으로 경보밸브(23)와 인접되는 위치에서 케이스(31)를 구비한다.
케이스(31)는 도 5 및 도 6처럼 원형으로 내부에 감지공간(S1)과 작동공간(S2)을 각각 구비한다. 감지공간(S1)에 하부 중앙에는 내ㆍ외부로 관통된 통공(부호생략)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감지공간(S1)으로 감지추(33)가 내장되는데, 감지추(33)는 소정의 중량을 지녀 외부 충격에 따라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감지추(33)는 내부가 통공된 원기둥 형상을 띄고 있으며, 내면의 하단부가 일부 경사진 가압경사부(33a)로 형성하고, 외면의 하단부 상으로는 탄성링(33b)을 삽설하여 일체로 형성한다. 탄성링(33b)은 얇은 철선을 회오리 형상으로 휘게 만들어 감지추(33)의 외면 하단부에 적어도 3개 이상을 균등한 간격으로 삽설하여 감지공간(S1)의 내부에 수용한다. 감지추(33)를 감지공간(S1)의 중앙에 위치하여 외부로의 충격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아 전후좌우로 유동을 하면서 후술하는 유동대(32)를 가압하는 것이 감지작동부(30)의 주요역할중 하나이기에 외면부 상에 탄성을 가진 탄성링(33b)을 3개 이상 삽설하여 구비하는 것으로 감지공간(S1)의 내부에서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동시에 외압에 대한 유동이 활발하게 행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추가하면, 탄성링(33b)을 감지공간(S1)의 내부에 120도 구획으로 3개의 링이 서로 간섭없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구비하면서 중앙으로는 감지추(33)의 외면에 결합고정하여 감지추(33)의 내부에 구비하는 유동대(32)를 보조하게 무게중심을 항상 잡아주면서 유동성까지 포함하여 기능을 수행하고자 좁은 공간내에서 코일스프링으로는 실현이 불가능하여 고안한 형태로서 본 발명의 핵심기술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공간(S1)의 인접하는 위치에 작동공간(S2)을 구비하는데, 작동공간(S2)에는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하면서 유도경사부(32a)와 스프링(32b)을 포함하는 유동대(32)를 구비한다. 중앙의 유동경사부(32a) 상단으로 스프링(32b)을 구비하고, 스프링(32b)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로 유동하는 '+'형의 유동대(32)가 장착되며, 감지작동부(30)의 케이스(31) 하부에 경보밸브(23)의 유동구(23a)와 맞물려 직선 운동하는 작동바(24)를 수용하여 구비한다. 여기서 유동대(32)는 스프링(32b)에 의해 일방향의 탄성력을 지니게 되는데, 유동대(32)의 하부 끝단이 감지작동부(30)의 케이스(31) 중앙에 형성된 수용공을 통과하여 작동바(24)의 걸림돌부(24a) 상에 끼워진 상태로 에어혼(22)의 경보작업을 준비한다.
즉, 초기에는 도 6처럼 유동대(32)의 일단이 스프링(32b)에 의해 작동바(24)의 걸림돌부(24a) 상에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외부로부터 충격이 작용되면, 도 7처럼 감지추(33)가 감지공간(S1)상에서 유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유동대(32)의 유도경사부(32a)가 감지추(33)의 가압경사부(33a)와 접촉하면서 상부로 가압하는 유동현상에 따라 작동바(24)의 고정이 해제되면서 경보밸브(23)의 유동구(23a)를 밀어낸다. 즉, 감지추(33)의 내부하단에 형성된 가압경사부(33a)가 감지작동부(30)의 케이스(31) 중앙에 위치하는 유동대(32)의 유도경사부(32a)의 외표면을 충격진동에 의해 전후좌우로 가압하여 유동대(32)가 상부로 밀려올라가는 가압현상이 나타나고, 유동대(32)의 하부 끝단이 걸림돌부(24a)와 접하여 고정되어 있던 작동바(24)가 해제되면서 일단의 스프링(24c)의 탄성 또한 해제하는 것으로 경보밸브(23)의 유동구(23a)를 외방향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유동구(23a)의 후퇴로 경보밸브(23)의 유로가 개방되고, 개방된 유로를 통하여 에어탱크(11)의 공기가 에어혼(22)에 전달되어 경보음이 발생하게 된다.
에어탱크(11)의 공기가 외부 충격을 통한 경보음으로 모두 소진한 이후에 초기상태로의 과정(도 7a ~ 도 7b)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재설정할 수 있도록 경보부(20)의 구성을 사용하여 유도한다. 즉, 외부 충격의 감지기능을 지니도록 초기상태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최초, 유동대(32)의 일단을 작동바(24)의 걸림돌부(24a)에 고정하도록 사용자가 작동바(24)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개폐손잡이(24d)를 수동으로 당겨주어야 한다.
이 상태가 되면 감지추(33)는 외면에 구비된 탄성링(33b)의 원복력에 따라 케이스(31)의 감지공간(S1) 상에서 중심을 잡으면서 정지상태를 유지하고, 작동바(24)의 개폐손잡이(24d)를 당겨서 초기상태로의 복귀작업을 수행하면서 걸림돌부(24a)의 외면과 접하고 있는 유동대(32)는 스프링(32b)의 탄성으로 하방으로 유동하고, 작동바(24)가 초기상태로 완전히 복귀되면 작동바(24)의 걸림돌부(24a) 끝단에 유동대(32)의 하부 끝단이 걸리는 것으로 초기의 준비상태가 완료된다. 이러한 원위치 복귀과정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풀어서 기재하였지만, 실제 작동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작동바(24)의 타단에 구비하는 개폐손잡이(24d)를 당겨 준 뒤, 즉시 해제하면 초기 상태로 복귀되는 매우 짧은 순간에 이루어진다.
그리고 감지추(33)는 외주면의 탄성링(33b)에 의해 상시 중앙에 위치하려고 하는 작용 때문에 충격에 의해 유동되어 유동대(32)를 중앙에서 상하로의 유동작업을 완요한 뒤에도 초기상태로 원위치 복귀하는 과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감지작동부(30)는 케이스(31)의 내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과 함께 유동대(32)를 수직상태에서 상하 유동하도록 수용공(41)이 형성된 커버(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감지작동부(30)의 상부로는 미사용 시 내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과 함께 유동대(32)를 중앙에서 수직상태로 상하 유동하도록 수용공(41)을 가진 커버(40)를 더 구비한다. 케이스(31)는 감지공간(S1)과 작동공간(S2)을 각각 구비하는데, 유동대(32)와 감지추(33)가 내장된 작동공간(S2)과 감지공간(S1)의 상부에 수용공(41)이 형성된 개폐 가능한 커버(40)를 더 구비한다.
커버(40)는 케이스(31)의 감지공간(S1)을 개방 또는 밀폐할 수 있는 모양과 형상으로 형성되어 미사용(보관 및 이동)시에 내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 이러한 커버(40)는 케이스(31)의 상단 좌우(또는 전후)로 대향하게 나사를 이용한 결합구조로 장착된다. 이러한 커버(40)는 유동대(32)를 중앙에서 상하로 고정하면서 유동이 가능하게 중앙부에 수용공(41)을 구비한다.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사용 상태에 있어서, 즉 도 8처럼 본 발명의 러버콘은 도로공사 구간에서 별도의 감시인원이 없는 경우에도 도 9처럼 차량의 갑작스러운 접근 위험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경보음을 발산하므로 종래의 러버콘에서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방식으로 사고발생 위험을 경보하여 현장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반대로 차량의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하여 위험구간에 진입하더라도 경보음을 발산해 운전자의 신속한 대응으로 대형사고의 위험을 미연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밸브의 개방으로 에어혼을 울려 작업자가 위험에서 신속하게 피신할 수 있는 경보 기능을 지니게 하면서도 별도의 제조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기존에 제조된 러버콘에 쉽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기성품과 재활용품을 활용한 부품으로 공정의 단축과 원가의 절감으로 가격경쟁력을 도모하면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전반적인 구조의 간소화와 정밀성을 향상시켜 사용상의 편리성과 수명을 대폭 증가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추가하자면, 센서작동 신뢰도와 조작 편리성을 확보하고 감지작동부의 장전, 재장전, 잠금기능을 한 개 레버에 모두 구현하도록 단순화하여 센서의 충격감지 성능 및 기능을 향상하며, 기존러버콘과 호환을 위해 에어탱크는 긴튜브 형태로 바닥판 내부 여유공간에 위치(약 1리터 용량)하고 에어혼 및 충격센서는 크기를 줄여 주요부품을 바닥판 내부에 모두 장착하는 것으로 구조를 단순화 하며, 바닥판 두께를 슬림화 및 경량화하여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받침대 2: 원추체
10: 저장부 11: 에어탱크
15: 주입밸브 15a, 23a: 유동구
20: 경보부 21: 관로
22: 에어혼 23: 경보밸브
24: 작동바 24a: 걸림돌부
24b: 오링 24c: 스프링
24d: 개폐손잡이 24e: 유도잠금핀
25: 보조밸브 30: 감지작동부
31: 케이스 32: 유동대
32a: 유도경사부 32b: 스프링
33: 감지추 33a: 가압경사부
33b: 탄성링 40: 커버
41: 수용공 S1: 감지공간
S2: 작동공간

Claims (5)

  1. 지면을 지지하는 받침대(1)와 위험을 표시하는 원추체(2)로 이루어진 러버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상에 탈ㆍ부착 가능하게 구비하고, 공압을 저장ㆍ충진하도록 에어탱크(11)와 주입밸브(15)를 구비하는 저장부(10);
    상기 에어탱크(11)를 관로(21)와 에어혼(22)에 연결하고, 관로(21)상에 경보밸브(23)를 구비하는 경보부(20); 및
    상기 받침대(1)상에 노출되게 케이스(31)를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충격을 감지해 케이스(31) 하단에 경보밸브(23)를 개폐하도록 구비하는 감지작동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경보부(20)는 경보밸브(23)의 중앙에 탄성적으로 유동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유동구(23a)를 구비하고, 유동구(23a)와 맞물려 공압으로 유동하도록 중앙부로 걸림돌부(24a)와, 보조밸브(25)의 내주면과 맞물리는 오링(24b), 감지작동부(30)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수용된 스프링(24c)으로 구성된 작동바(24)를 긴밀하게 수용하는 보조밸브(25)를 구비하고,
    상기 감지작동부(30)는 케이스(31)상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하면서 유도경사부(32a)와 스프링(32b)을 포함하는 유동대(32)와, 전후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하면서 외부의 충격으로 유동대(32)를 가압하도록 가압경사부(33a)와 탄성링(33b)을 포함하는 감지추(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20)는 작동바(24) 상에 개폐손잡이(24d)와 유도잠금핀(24e)을 구비하여 사용시 저장부(10)의 저장ㆍ충진횟수에 따라 에어혼(22)의 경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경보의 사용여부에 따라 개폐작업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작동부(30)는 케이스(31)의 내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과 함께 유동대(32)를 수직상태에서 상하 유동하도록 수용공(41)이 형성된 커버(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KR1020180006975A 2018-01-19 2018-01-19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KR102041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975A KR102041033B1 (ko) 2018-01-19 2018-01-19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975A KR102041033B1 (ko) 2018-01-19 2018-01-19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646A KR20190088646A (ko) 2019-07-29
KR102041033B1 true KR102041033B1 (ko) 2019-11-05

Family

ID=67480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975A KR102041033B1 (ko) 2018-01-19 2018-01-19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0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873B1 (ko) * 2019-09-24 2021-10-12 윤소영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
KR102279899B1 (ko) * 2019-09-24 2021-07-20 윤소영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
KR102222589B1 (ko) * 2019-12-31 2021-03-03 윤소영 경보 기능을 지닌 차단봉
KR20220031772A (ko) 2020-08-13 2022-03-14 (주) 엘렉스정보통신 휴대용 공사중 알림장치가 내장된 러버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520B1 (ko) * 2012-07-20 2013-03-20 윤소영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9370B1 (ko) 1991-06-29 1999-11-01 윤종용 광자기 기록매체
JP3077464B2 (ja) 1993-09-09 2000-08-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ホーニング加工方法及びホーニング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520B1 (ko) * 2012-07-20 2013-03-20 윤소영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646A (ko) 201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033B1 (ko)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KR101243520B1 (ko)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JP5622375B2 (ja) 防災装置
US6334474B1 (en) Breakaway separation detection and alert system
JP2019527652A5 (ko)
US2235282A (en) Signaling device
CA2880534A1 (en) Integrated supplying apparatus for gas and sizing
US11845308B2 (en) Tire emergency safety valve
KR102036629B1 (ko) 캐리어형 비상표시장치
CN208530504U (zh) 一种安全带张紧力检测装置以及儿童安全座椅
KR20210035441A (ko)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
KR102003464B1 (ko) 차량용 교통사고 알림장치
KR101813209B1 (ko)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KR102279899B1 (ko)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
KR200465200Y1 (ko) 자동차 사고표시용 페인트 분사장치
KR101702569B1 (ko) 소방용 소화전 키
CN207937791U (zh) 具有超速警报功能的汽车爆胎自救辅助装置
KR102113864B1 (ko) 휴대용 비상표시장치
JP2021098067A (ja) トンネル内消火栓設備及び消火栓装置
US7750794B2 (en) Safety alarm for tractor-trailers
CN210532067U (zh) 一种乙炔瓶防倾倒提醒装置
CN219263724U (zh) 一种便于对准的红外预警器
KR200369785Y1 (ko) 가스 사용 검출 경보기
CN115892304B (zh) 一种可手动锁紧安装的自行车灯
JP2006271694A (ja) 消火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