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899B1 -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 - Google Patents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899B1
KR102279899B1 KR1020190117221A KR20190117221A KR102279899B1 KR 102279899 B1 KR102279899 B1 KR 102279899B1 KR 1020190117221 A KR1020190117221 A KR 1020190117221A KR 20190117221 A KR20190117221 A KR 20190117221A KR 102279899 B1 KR102279899 B1 KR 102279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larm
main body
air tank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5440A (ko
Inventor
윤소영
Original Assignee
윤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소영 filed Critical 윤소영
Priority to KR1020190117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899B1/ko
Publication of KR20210035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1) 등에 차량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유입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력봉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11)을 구비하고, 하부에 지면(1) 등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받침대(12)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에 형성되어 내부로 공기를 저장하여 충진 가능하게 공기주입부(22)와 연통되는 공기탱크(21)를 구비하는 저장부(20); 상기 저장부(20)의 공기탱크(21)와 연통되어 공기탱크(21)의 공기로부터 외부로 소리를 통한 경보가 발생하게 에어혼(31)을 구비하는 경보부(30); 상기 경보부(30)의 에어혼(31)과 연통되어 공기탱크(21)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공급가능하게 개폐하는 작동수단(40); 및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에 본체(10)의 충격 등에 의한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감지에 따라 작동수단(40)의 작동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감지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 또는 가압 등을 통해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면 에어혼을 울려 작업자 또는 운전자가 위험에서 신속하게 피신하거나 내부로 유입하지 않도록 경보 기능을 통해 경고를 할 수 있고, 미미한 충격에는 발휘되지 않았던 경보 기능을 충격이 아닌 기울어짐을 통해 경보 기능이 발휘할 수 있게 됨으로 안전성을 크게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Elastic rod with alarm}
본 발명은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의 충격 또는 가압 등을 통해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면 에어혼을 울려 작업자 또는 운전자가 위험에서 신속하게 피신하거나 내부로 유입하지 않도록 경보 기능을 통해 경고를 할 수 있고, 미미한 충격에는 발휘되지 않았던 경보 기능을 충격이 아닌 기울어짐을 통해 경보 기능이 발휘할 수 있게 됨으로 안전성을 크게 높이는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탄력봉은 차량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로의 중앙선 분리의 차선 규제, 안전지대 확보, 주차금지 공간 확보, 야간에 시선 유도 등에 다양하게 활용하여 사용된다. 하지만 탄력봉은 차량 등과의 충돌로 인해 차량의 파손이 되지 않도록 연질의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작업자 또는 운전자는 탄력봉과의 충돌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사고의 위험이 크다.
일예로,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0381780호에 따르면, '강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결합공(3)을 갖고 고정볼트(9)로 노면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브라켓(2)과, 상기 고정브라켓(2)의 하부에서 결합공(3)을 통하여 끼움조립되며 합성고무로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플렌지(7)를 갖는 원통형의 바디(4)와, 상기 바디(4)의 내부에 끼움조립되며 천연고무로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플렌지(8)를 갖는 심재(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을 제시한다.
하지만,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에 경우 합성고무 등의 재질로 연질의 형태에 탄력봉을 형성하기 때문에 작업자 또는 운전자가 인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 안전성이 현저하게 떨어졌다.
또 다른예로,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0249096호에 따르면, '도로의 중앙선 분리용으로 설치되는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에 있어서, 볼트 등의 체결구로 노면에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중앙에서 원형으로 만곡면을 가지면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테를 갖는 받침판과; 상기 돌출테의 내부 중앙에 몸체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측 외부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다수의 삽입부를 갖도록 걸림부가 다수개 형성되는 하부봉과; 상기 하부봉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하부봉의 삽입부를 통해 끼워지도록 하부 내부면상에 다수개의 걸림막대가 형성되는 상부봉과; 상기 상부봉과 상기 받침판 사이에 상하로 연결되어 상기 상부봉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줄과; 상기 하부봉의 걸림부 저면과 상기 상부봉의 걸림막대 상측면 사이에 형성된 완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판에 대하여 상기 상부봉이 복원될 때, 보조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조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은 상하로 연결되는 상기 탄성줄에 의해 외부 충격 시 유연하게 잘 휘어지고 신속한 원상회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통해 차량과의 충돌 시 파손이 되지 않도록 하지만 작업자 또는 운전자 등이 충돌의 인지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0381780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0249096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충격 또는 가압 등을 통해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면 에어혼을 울려 작업자 또는 운전자가 위험에서 신속하게 피신하거나 내부로 유입하지 않도록 경보 기능을 통해 경고를 할 수 있고, 미미한 충격에는 발휘되지 않았던 경보 기능을 충격이 아닌 기울어짐을 통해 경보 기능이 발휘할 수 있게 됨으로 안전성을 크게 높이는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 등에 차량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유입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력봉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하부에 지면 등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받침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상에 형성되어 내부로 공기를 저장하여 충진 가능하게 공기주입부와 연통되는 공기탱크를 구비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공기탱크와 연통되어 공기탱크의 공기로부터 외부로 소리를 통한 경보가 발생하게 에어혼을 구비하는 경보부; 상기 경보부의 에어혼과 연통되어 공기탱크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공급가능하게 개폐하는 작동수단; 및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상에 본체의 충격 등에 의한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감지에 따라 작동수단의 작동이 가능하게 이동대의 걸림돌부에 걸려 이동대가 이동되지 않게 가압스프링을 통해 가압하는 가압대와, 가압대의 외부 방향에 본체의 기울어지는 방향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하나 이상의 베어링을 갖는 회전대와, 회전대 상에 함께 회전 가능하면서 본체의 기울어진 방향으로 힌지에 의해 회전하여 가압대를 이동대의 걸림돌부로부터 이탈되게 가압하는 가압돌부를 갖는 작동바와, 작동바 상에 중량이 가해지게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한 무게추를 구비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저장부는 공기탱크의 공기의 양을 확인 가능하게 압력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작동수단은 공기탱크의 공기가 유입호스를 통해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탄성력으로 개폐 가능하게 밸브스프링이 포함된 유동구를 갖는 주입밸브와, 주입밸브의 유동구를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유입호스로 공기의 흐름이 가능하게 이동스프링이 포함되면서 중앙에 걸림돌부를 갖는 이동대와, 개방된 유동구로 공급되는 공기가 배출호스를 통해 에어혼으로 이동되게 공급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작동수단의 이동대는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작동레버를 구비하되, 이동대와 본체 상에 키와 홈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회전을 통한 잠금 시 이동대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 또는 가압 등을 통해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면 에어혼을 울려 작업자 또는 운전자가 위험에서 신속하게 피신하거나 내부로 유입하지 않도록 경보 기능을 통해 경고를 할 수 있고, 미미한 충격에는 발휘되지 않았던 경보 기능을 충격이 아닌 기울어짐을 통해 경보 기능이 발휘할 수 있게 됨으로 안전성을 크게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의 충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의 충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 와 4b는 본 발명에 따른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의 충격 상태에 따라 작동수단과 감지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내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의 충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의 충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a 와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의 충격 상태에 따라 작동수단과 감지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내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지면(1) 등에 차량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유입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력봉에 관련되며, 본체(10), 저장부(20), 경보부(30), 작동수단(40), 감지수단(5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11)을 구비하고, 하부에 지면(1) 등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받침대(12)를 구비한다. 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어 수용공간(11) 상에 후술하는 저장부(20), 경보부(30), 작동수단(40), 감지수단(50)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에는 분리와 고정이 가능한 받침대(12)를 구비하는 바, 받침대(12)를 통해 지면(1)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내부의 수용공간(11)에 삽설되어 있는 구성을 수리 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받침대(12)는 지면(1) 상에 안착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플랜지(flange) 형태로 별도의 통공을 형성하여 못이나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지면(1)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체(10)의 외부에는 다수개의 반사부 (13)가 형성되어 야간에 차량의 헤드라이트 등으로부터 빛이 반사되어 육안을 통한 본체(10)의 위치를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20)는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에 형성되어 내부로 공기를 저장하여 충진 가능하게 공기주입부(22)와 연통되는 공기탱크(21)를 구비한다. 저장부(20)는 상술한 수용기간(11) 상에 형성되는 공기탱크(21)가 삽설되고, 외부에 형성된 공기주입부(22)와 공기탱크(21)가 유입호스(41)를 통해 연통되어 공기주입부(22)를 통해 별도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된 뒤에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공기탱크(21)는 내부에 공기를 소정의 압력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하고, 금속재로도 형성할 수도 있으나 원가절감 등에 이유로 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으로 시중에 음료로 유통되는 PT병을 재활용해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저장부(20)는 공기탱크(21)의 공기의 양을 확인 가능하게 압력계(2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장부(20)는 내부에 삽설되어 있는 공기탱크(21)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공기탱크(21)의 공기의 유입량을 알 수 없는 점을 해결하도록 압력계(23)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에어탱크(11)에 경우에는 후술하는 에어혼(31)이 약 10∼20초간 100~160dB 정도의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는 용량과 압력을 지니도록 구비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압력계(23)를 통해 확인하면서 공기주입부(22)로 공기를 주입하면 적정양의 공기의 주입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경보부(30)는 상기 저장부(20)의 공기탱크(21)와 연통되어 공기탱크(21)의 공기로부터 외부로 소리를 통한 경보가 발생하게 에어혼(31)을 구비한다. 이러한 경보부(30)는 본체(10)가 충격 등에 의해 기울어지게 되면 후술하는 작동수단(40)과 감지수단(50)을 통해 저장부(20)의 공기탱크(21)에 저장되어 있는 공기가 배출호스(47)를 통해 에어혼(31)으로 유입함으로 외부로 경보음이 발생하게 되어 외부로 알리도록 한다. 그리고, 에어혼(31)은 소정의 압력의 공기가 전달(주입)되면, 배출과 함께 전달된 공기 압력의 비례되는 크기의 소리를 발생하는 것으로 일반 휘슬, 호루라기, 사이렌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경보음을 발생하는 구조를 가지는데 적은 압력으로도 90dB이상의 소리를 발생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무엇보다 주변이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작업자가 충분히 경보음을 들을 수가 있도록 저주파 보다는 고주파음으로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작동수단(40)은 상기 경보부(30)의 에어혼(31)과 연통되어 공기탱크(21)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공급가능하게 개폐한다. 작동수단(40)은 본체(10)의 충격 등에 의한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후술하는 감지수단(50)을 통해 작동되어 에어혼(31)과 연통되어 공기탱크(21)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공급가능하게 개폐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작동수단(40)은 공기탱크(21)의 공기가 유입호스(41)를 통해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탄성력으로 개폐 가능하게 밸브스프링(43a)이 포함된 유동구(42)를 갖는 주입밸브(43)와, 주입밸브(43)의 유동구(42)를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유입호스(41)로 공기의 흐름이 가능하게 이동스프링(46a)이 포함되면서 중앙에 걸림돌부(45)를 갖는 이동대(46)와, 개방된 유동구(42)로 공급되는 공기가 배출호스(47)를 통해 에어혼(31)으로 이동되게 공급공(4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동수단(40)은 공기탱크(2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를 에어혼(31)으로 이동시켜 에어혼(31)의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물론, 작동수단(40)과 감지수단(50)은 함께 연동함에 따라 에어혼(31)의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음으로 이는 이후 설명토록 한다. 즉, 작동수단(40)은 주입밸브(43)의 유동구(42)가 밸브스프링(43a)에 의해 탄성력이 발휘된 상태로 유입호스(41)에 공기를 막고 있고, 이동스프링(46a)에 의해 탄성력이 발휘된 이동대(46)가 감지수단(50)의 가압대(51)를 통해 중앙에 걸림돌부(45)와 맞닿아 가압 지지하게 된다. 이때, 감지수단(50)을 통해 가압대(51)가 걸림돌부(45)로부터 이탈되면 이동스프링(46a)에 의해 이동대(46)는 유동구(42)를 가압함으로 주입밸브(43)를 개방하게 된다. 그 후, 저장부(20)의 공기탱크(21)에 공기는 유입호스(41)를 통해 유입되어 공급공(48)으로 배출함으로 배출호스(47)를 통해 에어혼(31)으로 이동하여 경보음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수단(40)의 이동대(46)는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작동레버(49)를 구비하되, 이동대(46)와 본체(10) 상에 키(49a)와 홈(49b)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회전을 통한 잠금 시 이동대(46)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수단(40)은 감지수단(50)에 의해 작동하게 되는 바, 감지수단(50)은 후술하여 설명하겠지만 본체(10)의 기울어짐을 통해 작동수단(40)을 작동하도록 한다. 하지만, 본체(10)의 경우 항상 세워져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없고, 이동 중 또는 작업 중에는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여도 에어혼(31)으로부터 경보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이동대(46)는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작동레버(49)를 통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동대(46)와 본체(10) 상에 키(49a)와 홈(49b)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작동레버(49)의 회전 시 키(49a)가 홈(49b)에 삽설하는 구성으로 이동대(46)를 고정하여 이동스프링(46a)에 의해 유동구(42)를 가압하지 않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감지수단(50)은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에 본체(10)의 충격 등에 의한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감지에 따라 작동수단(40)의 작동이 가능하게 구비한다. 감지수단(50)은 작동수단(40)을 전체적으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체(10)는 받침대(12)를 통해 지면(1)으로부터 수직 안착되는데 이러한 본체(10)가 충격 등을 통해 일정 각도 기울어질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작동수단(40)을 자동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감지수단(50)은 이동대(46)의 걸림돌부(45)에 걸려 이동대(46)가 이동되지 않게 가압스프링(51a)을 통해 가압하는 가압대(51)와, 가압대(51)의 외부 방향에 본체(10)의 기울어지는 방향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하나 이상의 베어링(52)을 갖는 회전대(53)와, 회전대(53) 상에 함께 회전 가능하면서 본체(10)의 기울어진 방향으로 힌지(54)에 의해 회전하여 가압대(51)를 이동대(46)의 걸림돌부(45)로부터 이탈되게 가압하는 가압돌부(55a)를 갖는 작동바(55)와, 작동바(55) 상에 중량이 가해지게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한 무게추(5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지수단(50)은 작동수단(40)의 이동대(46)의 중앙에 형성되는 걸림돌부(45) 상에 가압대(51)를 가압하게 된다. 이는 이동대(46)가 이동스프링(46a)에 의해 전진함으로 유동구(42)를 가압하여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압대(51)의 외부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베어링(52)을 통해 회전대(53)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회전대(53)의 일측에 힌지(54)를 통해 본체(10)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바(55)가 무게추(56)의 하중에 의해 기울어져 작동바(55)의 가압돌부(55a)가 가압대(51)를 가압하여 가압대(51)가 이동대(46)의 걸림돌부(45)로부터 이탈하여 이동대(46)는 주입밸브(43)의 유동구(42)를 가압함으로 개방하게 되는데 본체(10)의 어느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대(53)는 베어링(52)을 통해 가압대(5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무게추(56)의 하중으로 작동바(55)는 힌지(54)로부터 기울어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무게추(56)는 작동바(55) 상에 중량이 가해지게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한데 지면(1) 등의 상황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동수단(40)과 감지수단(50)은 실시예와 일실시예처럼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하여 상황에 맞게 설정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도 1 내지 8b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에 있어서, 지면(1) 상에 안착되어 있는 본체(10)를 차량 등에 의해 충격이 발생하면 본체(10)는 가압되는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쓰러지게 되면 감지수단(50)의 회전대(53)가 회전하면서 작동바(55)는 무게추(56)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작동바(55)는 가압돌부(55a)를 통해 이동대(46)의 걸림돌부(45)로부터 이탈하여 이동대(46)는 주입밸브(43)의 유동구(42)를 가압하여 개방하게 된다. 주입밸브(43)의 개방을 통해 저장부(20)의 공기탱크(21)의 공기가 경보부(30)의 에어혼(31)으로 유입하여 경보음을 통한 경고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 또는 가압 등을 통해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면 에어혼을 울려 작업자 또는 운전자가 위험에서 신속하게 피신하거나 내부로 유입하지 않도록 경보 기능을 통해 경고를 할 수 있고, 미미한 충격에는 발휘되지 않았던 경보 기능을 충격이 아닌 기울어짐을 통해 경보 기능이 발휘할 수 있게 됨으로 안전성을 크게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지면 10: 본체
11: 수용공간 12: 받침대
13: 반사부 20: 저장부
21: 공기탱크 22: 공기주입부
23: 압력계 30: 경보부
31: 에어혼 40: 작동수단
41: 유입호스 42: 유동구
43: 주입밸브 43a: 밸브스프링
45: 걸림돌부 46: 이동대
46a: 이동스프링 47: 배출호스
48: 공급공 50: 감지수단
51: 가압대 51a: 가압스프링
52: 베어링 53: 회전대
54: 힌지 55: 작동바
55a: 가압돌부 56: 무게추

Claims (5)

  1. 지면(1) 등에 차량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유입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력봉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11)을 구비하고, 하부에 지면(1) 등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받침대(12)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에 형성되어 내부로 공기를 저장하여 충진 가능하게 공기주입부(22)와 연통되는 공기탱크(21)를 구비하는 저장부(20);
    상기 저장부(20)의 공기탱크(21)와 연통되어 공기탱크(21)의 공기로부터 외부로 소리를 통한 경보가 발생하게 에어혼(31)을 구비하는 경보부(30);
    상기 경보부(30)의 에어혼(31)과 연통되어 공기탱크(21)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공급가능하게 개폐하는 작동수단(40); 및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상에 본체(10)의 충격 등에 의한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감지에 따라 작동수단(40)의 작동이 가능하게 이동대(46)의 걸림돌부(45)에 걸려 이동대(46)가 이동되지 않게 가압스프링(51a)을 통해 가압하는 가압대(51)와, 가압대(51)의 외부 방향에 본체(10)의 기울어지는 방향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하나 이상의 베어링(52)을 갖는 회전대(53)와, 회전대(53) 상에 함께 회전 가능하면서 본체(10)의 기울어진 방향으로 힌지(54)에 의해 회전하여 가압대(51)를 이동대(46)의 걸림돌부(45)로부터 이탈되게 가압하는 가압돌부(55a)를 갖는 작동바(55)와, 작동바(55) 상에 중량이 가해지게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한 무게추(56)를 구비하는 감지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20)는 공기탱크(21)의 공기의 양을 확인 가능하게 압력계(2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40)은 공기탱크(21)의 공기가 유입호스(41)를 통해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탄성력으로 개폐 가능하게 밸브스프링(43a)이 포함된 유동구(42)를 갖는 주입밸브(43)와, 주입밸브(43)의 유동구(42)를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유입호스(41)로 공기의 흐름이 가능하게 이동스프링(46a)이 포함되면서 중앙에 걸림돌부(45)를 갖는 이동대(46)와, 개방된 유동구(42)로 공급되는 공기가 배출호스(47)를 통해 에어혼(31)으로 이동되게 공급공(4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40)의 이동대(46)는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작동레버(49)를 구비하되, 이동대(46)와 본체(10) 상에 키(49a)와 홈(49b)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회전을 통한 잠금 시 이동대(46)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
  5. 삭제
KR1020190117221A 2019-09-24 2019-09-24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 KR102279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221A KR102279899B1 (ko) 2019-09-24 2019-09-24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221A KR102279899B1 (ko) 2019-09-24 2019-09-24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440A KR20210035440A (ko) 2021-04-01
KR102279899B1 true KR102279899B1 (ko) 2021-07-20

Family

ID=7544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221A KR102279899B1 (ko) 2019-09-24 2019-09-24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8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737B1 (ko) * 2022-01-12 2022-06-27 주식회사 고산자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456B2 (ja) 1996-10-04 2001-06-1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塗装樹脂製品の塗膜剥離装置
KR100381780B1 (ko) 2000-11-10 2003-05-0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Ic카드용 ic 모듈과 이를 사용하는 ic카드
KR102041033B1 (ko) * 2018-01-19 2019-11-05 윤소영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440A (ko)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1873B1 (ko)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
KR102279899B1 (ko) 경보 기능을 지닌 탄력봉
FR2655299A1 (fr) Systeme de securite pour vehicule automobile.
KR20120103612A (ko) 이동형 감시 모듈을 전개하기 위한 차량
US20210354790A1 (en) Automatic mooring apparatus for watercraft
DK1140567T3 (da) Indretning til et köretöj eller en del af et köretöj
KR102041033B1 (ko)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JPH09164906A (ja) 自動車の非常用エアバッグ装置
US2218060A (en) Step for motor vehicles
JP2009046972A (ja) 阻止装置及び阻止棒
JP4461330B2 (ja) 車両強制停止装置と該装置を使用した車両強制停止方法
GB2316371A (en) Vehicle saftey device
KR20110006931A (ko)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FR3025469A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des pietons en cas de choc avec un vehicule
KR101243520B1 (ko) 경보기능을 지닌 러버콘
EP3516120A1 (fr) Dispositif de controle d'acces d'engin roulant et/ou de personne a une zone predeterminee
JPH10109538A (ja) バスの非常脱出装置
CN105922957A (zh) 一种双向防护的汽车前保险杠
KR101750945B1 (ko) 해양 구조물의 비상 탈출 장치
KR102047643B1 (ko) 능동 부양형 전복 방지 복원백
JPH11170965A (ja) 自動車用車外フロントエアーバッグ
KR20150066297A (ko) 유압식 금속제 바리케이터
JP4201258B2 (ja) 歩行者保護装置
KR100604398B1 (ko) 도시철도용 선로 작업자 및 공중인명 구명장치
US4092933A (en) Bra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