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945B1 - 해양 구조물의 비상 탈출 장치 - Google Patents

해양 구조물의 비상 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945B1
KR101750945B1 KR1020150127817A KR20150127817A KR101750945B1 KR 101750945 B1 KR101750945 B1 KR 101750945B1 KR 1020150127817 A KR1020150127817 A KR 1020150127817A KR 20150127817 A KR20150127817 A KR 20150127817A KR 101750945 B1 KR101750945 B1 KR 101750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door
driving unit
supporting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0340A (ko
Inventor
임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7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9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0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8Adaptations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to life-saving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52Ladders in general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adde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해양 구조물의 비상 탈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선박 거주구 측면에 설치된 플랫폼에 설치되는 비상 탈출 장치는, 내부에 비상 사다리가 수납되며, 상부 혹은 하부가 힌지 결합되어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한 도어가 전면에 설치된 사다리 보관함; 상기 사다리 보관함의 후면에 설치되는 구동부; 및 회동에 의해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그립퍼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도어 그립퍼의 회동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양 구조물의 비상 탈출 장치{Emergency escape device for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의 비상 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FPSO, 선박 등을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은 주로 정상상태의 평면도(plan) 혹은 단면도(section) 상에서 탈출로(escape route)를 고려하여 탈출 장비들이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선박 사고를 보면 운항 중에 급회전 혹은 암초와의 충돌 등으로 인해 배가 정상상태로 서서히 가라앉는 것이 아니라 좌측 혹은 우측으로 급격하게 선체가 기울어지면서 침수하거나 전복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해양 구조물에서 복원력을 잃고 기울어진 상황에서 선박 거주구(Living Quarter)에서 기울어진 방향에 있는 승선원이 바다로 뛰어 내려서 탈출을 하기는 쉽지 않다. 이는 선실의 높이가 수면으로부터 수십 미터 이상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수십 미터 이상의 높이에서 뛰어내릴 경우 수면과의 충격으로 인해 의식을 잃는 경우도 발생하기로 한다.
또한, 높은 높이에 대한 공포심 등의 이유로 인해 해양 구조물이 복원력을 잃은 상태에서 인명이 탈출하지 못해 큰 인사사고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
선박 거주구에서의 비상 탈출 시스템과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0914호에는 거주구 후방에 배치된 구명보트를 탑승하기 위한 플랫폼과, 거주구의 최상단에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며 비상시 플랫폼과 인접한 위치까지 하향 연장되는 신축 가능한 탈출봉장치와, 탈출봉장치가 신장된 경우 신장된 탈출봉장치와 근접한 위치의 거주구 각 층에 마련되는 비상출구 및 비상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기도 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0914호 (2014.05.21. 공개) - 선박 거주구의 비상 탈출 시스템 및 이를 갖춘 선박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이 복원력을 잃고 기울어진 상황에서 선박 거주구의 플랫폼에서 하방으로 비상 사다리가 펼쳐져 승선원이 뛰어내리지 않고서도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 탈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승선원의 간단한 조작으로 사다리 보관함의 도어를 기계적으로 개폐하여 내부의 사다리가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게 하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 탈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양 구조물의 선박 거주구 측면에 설치된 플랫폼에 설치되는 비상 탈출 장치로서, 내부에 비상 사다리가 수납되며, 상부 혹은 하부가 힌지 결합되어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한 도어가 전면에 설치된 사다리 보관함; 상기 사다리 보관함의 후면에 설치되는 구동부; 및 회동에 의해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그립퍼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도어 그립퍼의 회동 정도를 조절하는 비상 탈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도어 그립퍼는, 상기 구동부에 힌지 결합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서 절곡된 그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소정 방향으로의 힘을 가하여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이 수용되는 구동부 몸체와; 상기 구동부 몸체의 측면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대해 제1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지지로드와; 상기 구동부 몸체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로드의 끝단에 형성된 지지판에 대해 유압에 의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력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력 제공 모듈은 액상물질을 보관하는 보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모듈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보관공간은 일 측면이 개방된 공간으로, 상기 일 측면에는 상기 지지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가 완전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력 제공 모듈은, 상기 보관공간의 타 측면에 형성된 액상물질 배출홀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관공간과 연통되는 앰플과; 상기 앰플이 설치된 위치에 상응하여 상기 구동부 몸체의 후면에 돌출 설치되며, 첨단부를 가지는 푸시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푸시버튼이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상기 앰플이 파손되어 상기 보관공간의 액상물질이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사다리 보관함의 내측 하면에는 후방이 높고 전방이 낮은 경사판이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양 구조물이 복원력을 잃고 기울어진 상황에서 선박 거주구의 플랫폼에서 하방으로 비상 사다리가 펼쳐져 승선원이 뛰어내리지 않고서도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선원의 간단한 조작으로 사다리 보관함의 도어를 기계적으로 개폐하여 내부의 사다리가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장치가 적용된 해양 구조물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장치의 작동 전 및 작동 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장치의 구동부가 구동하기 전과 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지지력 제공 모듈의 측면 확대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장치가 적용된 해양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양 구조물(10)은 선체(11) 상부에 선박 거주구(12)(혹은 선실)가 마련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선박 거주구(12)의 측면에는 승선원의 비상 탈출을 위한 플랫폼(20)이 마련되어 있고, 플랫폼(20)에는 비상 탈출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a)와 같이 선체(11)가 기울어 지지 않고 정상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비상 탈출 장치(100)가 별도로 작동하지 않는다.
하지만, 도 1의 (b)와 같이 선체(11)가 소정 경사 이상 기울어져 경사 상태에 놓여진 경우 플랫폼(20)에 설치된 비상 탈출 장치(100)가 작동하여 비상 사다리(200)가 하방으로 펼쳐지게 된다. 펼쳐진 비상 사다리(200)를 이용하여 선박 거주구(12)의 승선원이 안전하게 수면까지 내려올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선박 거주구(12)의 일측에만 비상 탈출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반대측에 대해서도 비상 탈출 장치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장치의 작동 전 및 작동 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선박 거주구의 플랫폼에 설치되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사다리 보관함의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면 내부에 수납된 비상 사다리가 펼쳐져 승선원이 비상 탈출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비상 탈출 장치(100)는 사다리 보관함(110), 비상 사다리(200), 구동부(120), 도어 그립퍼(130), 지지부(132), 그립부(134)를 포함한다.
사다리 보관함(110)은 내부가 빈 상자로서, 내부에 비상 사다리(200)가 수납되어 있다. 사다리 보관함(110)의 전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112)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112)는 상부가 힌지 결합되어 있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90도 회동하여 사다리 보관함(110)의 내부 공간을 개방 혹은 폐쇄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어(112)가 상부에서 힌지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하부에서 힌지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비상 사다리(200)는 원통 형상의 권취부(210)에 로프 사다리(220)가 권취되어 사다리 보관함(110) 내에 수납되어 있을 수 있다. 로프 사다리(220)의 일단은 사다리 보관함(110)의 내측 후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권취부(21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도어(112)의 잠금이 해제되면 권취부(210)가 자중에 의해 사다리 보관함(110)의 외부로 진출하면서 로프 사다리(220)가 펼쳐져 비상 탈출 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사다리 보관함(110)의 후면에는 구동부(120)가 설치되어 있고, 구동부(120)에는 도어(112)를 개폐시키는 도어 그립퍼(130)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 그립퍼(130)는 구동부(120)에 힌지 연결된 지지부(132)와, 지지부(132)의 끝단에서 90도 절곡된 그립부(134)를 포함하며, L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다.
지지부(132)가 사다리 보관함(110)의 측면에 인접하여 있는 경우 그립부(134)가 도어(112)를 향해 절곡되어 있어 도어(112)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도어(112)의 개방을 방지한다(도 2 참조).
지지부(132)가 회동하여 사다리 보관함(110)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그립부(134) 역시 도어(112)로부터 멀어져 도어(112)를 잡아주지 못하게 되고 도어(112)의 폐쇄가 해제된다. 이 경우 사다리 보관함(110) 내에 수납되어 있는 비상 사다리(200)가 도어(112)를 밀고 나올 수 있게 된다(도 3 참조).
사다리 보관함(110)의 내측 하면에는 소정 경사를 가지는 경사판(114)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경사판(114)은 후방이 높고 전방이 낮아 내부에 놓여진 비상 사다리(200)의 권취부(210)가 자중에 의해 미끄러져 전방 쪽으로 진출할 수 있게 한다. 즉, 경사판(114)은 해양 구조물(10)의 경사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도 비상 사다리(200)가 잘 펼쳐질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하에서는 도어 그립퍼(130)를 회동시키는 구동부(120)의 구동 원리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장치의 구동부가 구동하기 전과 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지지력 제공 모듈의 측면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에는 사다리 보관함(110), 비상 사다리(200), 권취부(210), 로프 사다리(220), 도어(112), 도어 그립퍼(130), 지지부(132), 그립부(134), 힌지(136), 구동부(120), 구동부 몸체(300), 스프링(302), 푸시버튼(316), 버튼용 관통홀(322), 모듈 몸체(310, 310a, 310b, 이하 '310'으로도 통칭), 지지로드(304, 304a, 340b, 이하 '304'로도 통칭), 지지판(306, 306a, 306b, 이하 '306'으로도 통칭), 액상물질 수용부(314), 보관공간(312, 312a, 312b, 이하 '312'로도 통칭), 액상물질 배출홀(320, 320a, 320b, 이하 '320'으로도 통칭), 앰플(308)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상측이 후면, 도면의 하측이 전면에 해당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구동부(120)는 사다리 보관함(110)의 후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도어 그립퍼(130)의 지지부(132) 일단이 수용되는 구동부 몸체(300)를 포함한다. 지지부(132)는 힌지(136)를 중심으로 회동하되, 그 일단이 구동부 몸체(300) 내에 수용되어 후술할 스프링(302)의 복원력과 지지로드(304)의 지지력에 의해 회동이 조절된다.
구동부 몸체(300)의 양측 끝단에는 스프링 수용부가 마련되어 있어, 지지부(132)의 일단과의 사이에 스프링(302)이 개재될 수 있도록 한다. 스프링(302)은 압축스프링으로, 압축되는 경우 펼쳐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원력의 방향이 구동부 몸체(300)의 중심을 향한 방향일 수 있다.
구동부 몸체(300)의 내측 중심부에는 지지력 제공 모듈이 설치되며, 지지력 제공 모듈의 양측으로는 지지로드(304)가 양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지지로드(304)의 끝단은 도어 그립퍼(130)의 지지부(132) 일단을 지지한다.
즉, 지지부(132)의 일단을 중심에 두고 스프링(302)과 지지로드(304)가 양측에 대치하고 있어, 스프링(302)에 의한 복원력을 지지로드(304)가 버텨 주어 도어 그립퍼(130)가 도어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도 4 참조).
하지만, 지지력 제공 모듈에서 제공되는 지지력이 상실되는 경우 스프링(302)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로드(304)가 구동부 몸체(300)의 중심으로 밀리게 되어 도어 그립퍼(130)가 힌지(136)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도어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도어 개방 상태로 상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다리 보관함(110) 내부의 권취부(210)가 도어(112)를 밀고 외부로 진출하여 로프 사다리(220)가 펼쳐지도록 할 수 있다(도 5 참조).
지지력 제공 모듈은 액상물질을 보관하는 보관공간(312)이 형성되어 있는 모듈 몸체(310)을 포함한다.
보관공간(312)은 일 측면이 개방된 공간으로, 개방된 일 측면에는 지지로드(304)의 끝단에 설치된 지지판(306)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판(306)에 의해 보관공간(312)은 그 내부가 완전 밀폐되며, 그 내부에는 액상물질이 가득 차 있을 수 있다. 액상물질의 유압으로 인해 지지판(306)에 연결된 지지로드(304)가 스프링(302)의 복원력을 이겨내고 버텨냄으로써 도어 그립퍼(130)가 도어 잠금 상태에 있을 수 있게 된다(도 4 참조).
보관공간(312)은 옆으로 누운 기둥 형상으로, 그 단면은 지지판(306)의 형상에 대응되어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6 참조).
보관공간(312)의 타 측면에는 액상물질 배출홀(320)이 형성되어 있고, 액상물질 배출홀(320) 외측에는 앰플(308)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앰플(308)의 내부공간은 보관공간(312)과 연통되어 있어, 액상물질이 자유로이 왕래할 수 있다.
앰플(308)이 설치된 위치에 상응하여 구동부 몸체(300)의 후면에는 푸시버튼(316)이 돌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푸시버튼(316)은 끝이 뾰족한 첨단부(318)를 가지고 있다. 푸시버튼(316)이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첨단부(318)가 앰플(308)에 외력을 가하게 되고, 유리 등과 같이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파괴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앰플(308)은 파손될 수 있다.
앰플(308)이 파손되면, 앰플(308)과 연통되어 있던 보관공간(312) 내의 액상물질은 파손부위를 통해 보관공간(312)으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액상물질이 보관공간(312)으로부터 유출됨에 따라 지지로드(304)에 제공하던 지지력이 줄어들게 되고, 스프링(302)의 복원력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어 지지부(132), 즉 도어 그립퍼(130)를 회동시킴으로써 도어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도 5 참조).
앰플(308)의 파손부위를 따라 유출된 액상물질은 모듈 몸체(310)의 액상물질 수용부(314) 내로 흘러가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장치(100)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해양 구조물에서 비상 상황으로 인해 전기가 차단된 경우에도 그 작동이 보장되어 비상 탈출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는 지지력 제공 모듈에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액상물질이 이용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액상물질 이외에도 소정 크기의 유압을 제공할 수 있는 압축공기 등이 액상물질을 대체하여 이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그립퍼가 2개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도어가 회동하여 개방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도어 그립퍼가 1개인 경우에도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대칭적 구조로 설명된 구동부 역시 일측 부분만이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비상 탈출 장치 110: 사다리 보관함
200: 비상 사다리 120: 구동부
130: 도어 그립퍼 132: 지지부
134: 그립부 136: 힌지
210: 권취부 220: 로프 사다리
112: 도어 114: 경사판
300: 구동부 몸체 302: 스프링
304: 지지로드 306: 지지판
308: 앰플 310: 모듈 몸체
312: 보관공간 314: 액상물질 수용부
316: 푸시버튼 318: 첨단부
320: 액상물질 배출홀 322: 버튼용 관통홀

Claims (6)

  1. 해양 구조물의 선박 거주구 측면에 설치된 플랫폼에 설치되는 비상 탈출 장치로서,
    내부에 비상 사다리가 수납되며, 상부 혹은 하부가 수평 방향의 힌지를 중심으로 힌지 결합되어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한 도어가 전면에 설치된 사다리 보관함;
    상기 사다리 보관함의 후면에 설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사다리 보관함의 측면에 설치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그립퍼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도어 그립퍼의 회동 정도를 조절하며,
    상기 도어 그립퍼는, 상기 구동부에 수직 방향의 힌지를 중심으로 힌지 결합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서 상기 사다리 보관함의 전면을 향해 절곡된 그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소정 방향으로의 힘을 가하여 회동시키는 비상 탈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이 수용되는 구동부 몸체와;
    상기 구동부 몸체의 측면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대해 제1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부와;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스프링 수용부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지지로드와;
    상기 구동부 몸체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로드의 끝단에 형성된 지지판에 대해 유압에 의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력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비상 탈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력 제공 모듈은 액상물질을 보관하는 보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모듈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보관공간은 일 측면이 개방된 공간으로, 상기 일 측면에는 상기 지지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가 완전 밀폐되는 비상 탈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력 제공 모듈은,
    상기 보관공간의 타 측면에 형성된 액상물질 배출홀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관공간과 연통되는 앰플과;
    상기 앰플이 설치된 위치에 상응하여 상기 구동부 몸체의 후면에 돌출 설치되며, 첨단부를 가지는 푸시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푸시버튼이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상기 앰플이 파손되어 상기 보관공간의 액상물질이 유출되는 비상 탈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 보관함의 내측 하면에는 후방이 높고 전방이 낮은 경사판이 설치된 비상 탈출 장치.
KR1020150127817A 2015-09-09 2015-09-09 해양 구조물의 비상 탈출 장치 KR101750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817A KR101750945B1 (ko) 2015-09-09 2015-09-09 해양 구조물의 비상 탈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817A KR101750945B1 (ko) 2015-09-09 2015-09-09 해양 구조물의 비상 탈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340A KR20170030340A (ko) 2017-03-17
KR101750945B1 true KR101750945B1 (ko) 2017-06-27

Family

ID=5850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817A KR101750945B1 (ko) 2015-09-09 2015-09-09 해양 구조물의 비상 탈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9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1497A (zh) * 2022-04-13 2022-08-26 国网山东省电力公司滨州供电公司 一种便于维修的电力通讯塔辅助工具
CN114856409B (zh) * 2022-05-27 2023-10-27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模块化可折叠海上登乘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275B1 (ko) * 2014-05-13 2015-02-27 조승혁 선박용 사다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501B1 (ko) 2012-11-13 2014-07-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거주구의 비상탈출 시스템 및 이를 갖춘 선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275B1 (ko) * 2014-05-13 2015-02-27 조승혁 선박용 사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340A (ko) 201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4101B1 (en) Boat with stabilizer adapted to serve as loading platform
EP3044087B1 (en) Underwater watercraft
ES2774042T3 (es) Paquete de rescate aéreo desplegable
US8800470B1 (en) Dive door for rigid inflatable boats
KR101750945B1 (ko) 해양 구조물의 비상 탈출 장치
US9120540B1 (en) Marine vessel dive patio
FR2957584A1 (fr) Dispositif de sauvetage embarque sur navire
KR100632477B1 (ko) 캐리어에 현수식으로 구성된 인명구조용 또는 장비회수용장치
ES2222317T3 (es) Puerta de aeronave y aeronave equipada con tal puerta.
FR2577510A1 (fr) Bateau de transbordement vertical et horizontal
KR101546783B1 (ko) 선실용 안전 사다리 시스템
EP2817210B1 (de) Koppelelement, aussetzvorrichtung sowie boot
US6375529B1 (en) Reversible life raft and method therefor
US20090090290A1 (en) Kayak-stability system
EP4309993A1 (en) Boat having wings
KR102278706B1 (ko) 부양 가능한 보트
CA2151439C (en) Personal water craft with rear mounting means
PL181869B1 (pl) Uklad do ewakuacji osób ze statku PL
EP3826915B1 (en) Boarding pole protection
KR101649802B1 (ko)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US20010002633A1 (en) Emergency passenger evacuation chute and chute/slide combination for aircraft
PH12017000325A1 (en) Multi-functional vehicle roof luggage bin and escape method
KR101563663B1 (ko) 헬리콥터 데크 장치
KR20150004610U (ko) 선박 탈출 안전사다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여객선
KR101762586B1 (ko) 선박의 비상 탈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