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940B1 -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 - Google Patents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940B1
KR101241940B1 KR1020120102055A KR20120102055A KR101241940B1 KR 101241940 B1 KR101241940 B1 KR 101241940B1 KR 1020120102055 A KR1020120102055 A KR 1020120102055A KR 20120102055 A KR20120102055 A KR 20120102055A KR 101241940 B1 KR101241940 B1 KR 101241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aliphatic epoxy
parts
composit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건웅
Original Assignee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2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접착강도와 내균열추종성이 우수하여 방수도막층의 기계적 특성 및 내후성 개선을 위해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천공복합시트를 이용하여 복합시트간의 이음부위 고정력을 증대시킨 복합 방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3,3-디메틸디페닐 4,4-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 50 ~ 70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 30 ~ 50중량부, 디뷰틸틴디라우레이트 5 ~ 10중량부로 조성된 주제와; 타르 100중량부에 폴리테트라메틸에틸글리콜 70 ~ 80중량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50 ~ 70중량부, 폴리뷰틸렌옥사이드글리콜 40 ~ 60중량부, 글라스플레이크 30 ~ 50중량부, 안료 5 ~ 10중량부, 소포제 3 ~ 5중량부 및 증점제 3 ~ 5중량부로 조성된 경화제;가 무게중량비로 1 : 1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그 제조 방법,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를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Aliphatic epoxy modified tarurethane waterproof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complex waterproofing using aliphatic epoxy modified tarurethane waterproofing material and complex sheet with hole}
본 발명은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옥상 방수층 등의 방수공사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을 이성분계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사용하여 도막방수재의 접착강도를 증대 시키고, 황변 발생 및 내후성 문제를 해결하고 천공복합시트간의 맞대음 이음부위의 분리 현상을 예방한 비노출형 방수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토목 및 건축용으로서의 폴리우레탄 소재는 1980년대 초기에 도입되었다. 폴리우레탄 소재는 소재 자체로서의 특징인 이음새 없는 시공이 가능하고 복잡한 형태의 구조물에 대해 잘 순응하는 시공상의 특성과 소지면과의 접착성, 내약품성, 내구성과 같은 화학적인 특성과 흡음성, 치수 안정성과 같은 물리적인 성질이 뛰어나며, 특히 신장율이 우수하다는 큰 장점 때문에 하지 균열에 대한 추종성이 뛰어나 건축물의 내, 외벽 및 바닥 방수재로서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폴리우레탄은 분자 중에 우레탄 결합을 가진 것으로서, 주로 디이소시아네이
트류와 폴리히드록시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이러한 폴리우레탄에는 일액형 폴리우레탄과 이액형 폴리우레탄이 있다.
먼저, 일액형 폴리우레탄은 프리폴리머 말단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대기중의 수분과의 반응에 의해 탄산가스를 방출하고 우레아결합 생성으로 경화되는 것으로,다만 이러한 일액형 폴리우레탄의 경우 제품의 저장 안정성이 떨어지고, 시공시 슬럼프, 발포 등의 문제가 있다. 일액형 폴리우레탄의 포장은 카트리지나 소세지형이 있으며, 공업용분야에서는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건축용분야에서는 아직 비용 상승으로 적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반면, 이액형 폴리우레탄은 주제 부분인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경화제 부분내의 활성 수소를 갖는 화합물인 폴리올이나 아민 화합물이 화학 당량비를 각각 유지하고 있고, 사용시 현장에서 주제와 경화제 부분을 혼합 사용하기 때문에 일액형 폴리우레탄에 비해 저장안정성이 우수하다.
다만, 이액형 폴리우레탄 소재는 한정된 시간 내에 교반된 방수재를 모두 사용해야 하므로 교반과 시공의 시간 간격을 잘 조절해야 하고 이 시간이 맞지 않을 경우 재료의 손실량이 많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즉,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한 후 가사 시간내에 사용해야 하고, 특히 대기중에 노출 시공시 백색 및 유색 등 밝은 색상에서 황변 현상이 발생되고 내후성이 떨어지며 경화도막의 발포로 인해 하자로 이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폴리우레탄 조성물에 있어서 방향족에 인접하는 탄소 원자가 내후 열화의 요인이 된다고 추정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폴리우레탄 소재의 우수한 물리, 화학적 특성을 유지시키며 2액형으로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폴리우레탄 건축용 소재의 일액형화가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NCO) 중량% 함량을 1 - 5% 정도의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를 합성하고 여기에 충전제, 안정제, 착색제 등을 첨가하여 폴리우레탄 소재를 일액형화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역시 상온에서 경화 시간이 늦고 약간의 수분만 존재해도 저장 안정성이 저하되며 수분과 이소시아네이트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에 의하여 도막의 부풀음 하자가 발생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모포리노 디에틸 에테르를 촉매를 사용하여 저장 안정성 및 경화 속도를 개선하는 방법도 시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이산화탄소에 의한 도막의 부풀음 현상이 일어나는 하자 발생을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합중국 특허 제4720535호 또는 일본 특허 공개 공고 제 1992-226522호에서는 잠재성 경화제인 시프 베이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즉, 1차의 디 또는 트리 아민에 알데히드를 반응시켜 폴리알디민을 만들고 이를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와 혼합하여 1액형 소재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폴리알디민을 이소시아네이트와 혼합하여 1액형 우레탄 소재로 사용할 경우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는 반응성이 빨라 하절기 건물 옥상 방수 시에는 부적당한 문제점이 있다. 즉, 표면 및 도막 밑부분의 경화는 쉽게 진행되지만 도막 내부는 경화된 도막 표면으로부터의 습기 침투가 어려워 경화 진행 속도가 느리며 경화 중 해리되는 알데히드에 의한 부풀음 하자가 자주 발생된다. 
잠재성 경화제를 이용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영국 특허 제1575666호에서는 2차 아민에 케톤 또는 알데히드를 반응시켜 폴리 엔아민을 만들고 이것을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와 혼합하여 일액형화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프리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를 마스킹시켜 주거나 반응성이 아주 낮은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야 하며 저장 안정성이 낮아 건축용 소재로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특허 10-0192201에서는 잠재성 경화제 사슬에 알디민과 케티민이 동시 존재하게 하여 경화 속도를 조절하여 하자 발생율이 낮고 하절기와 같은 고온 다습한 불리한 환경 조건하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다고 하였으나 상기의 다른 특허와 마찬가지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 10-0884015에는 접착제층, 통기완층 엠보싱 폴리비닐클로라이드시트층, 우레탄 방수층, 탑코트층 순으로 구성된 노출형 복합방수 구조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역시 우레탄 도막방수제 시공 전에 시트층을 형성시키면 폴리우레탄에 포함된 용제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시트층에 서서히 흡수가 되어 시트가 수축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또한 엠보싱 시트의 엠보싱 면이 바닥에 위치하기 때문에 물의 통로 역할을 하게 되어 누수 현상이 발생시 시공 전면을 걷어내야 한다는 구조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종래 이액형 폴리우레탄 관련 특허로 본 출원인의 선등록건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103930호가 있다. 이는 불소변성 타르 우레탄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불소 변성 타르 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종래 이액형 폴리우레탄 방수재에 비해 경제성이 있으면서도 접착강도와 내균열추종성이 우수한 불소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발명이다.
이러한 불소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시공구조를 보면, 하부 슬라브층으로부터 프라이머층, 불소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 방수시트층, 보호몰탈층, 누름 콘크리트층으로 형성된 비노출 방수 구조를 가지며, 그 시공상의 장점으로 인해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불소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층의 접착강도가 약간 저조하여 완전 밀착이 되지 않는 점이 있어 시공 후, 간혹 부풀음 현상이 발생되거나 방수 시트층의 이음부 부위가 분리되는 일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국내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10-1103930(2012.01.02.) 국내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10-0988201(2010.10.11.) 국내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10-0552454(2006.02.08.) 국내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10-0457861(2004.11.1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강도와 내균열추종성이 우수하여 방수도막층의 기계적 특성 및 내후성 개선을 위해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착강도와 내균열추종성이 우수하여 방수도막층의 기계적 특성 및 내후성 개선을 위해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사용함과 동시에 천공복합시트를 이용하여 높은 접착강도로 시트의 하부층과 전면 밀착이 일어나게 하면서 천공복합시트에 형성된 천공홀을 이용 복합시트간의 이음부위 고정력을 증대시킨 복합 방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3,3-디메틸디페닐 4,4-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 50 ~ 70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 30 ~ 50중량부, 디뷰틸틴디라우레이트 5 ~ 10중량부로 조성된 주제와;
타르 100중량부에 폴리테트라메틸에틸글리콜 70 ~ 80중량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50 ~ 70중량부, 폴리뷰틸렌옥사이드글리콜 40 ~ 60중량부, 글라스플레이크 30 ~ 50중량부, 안료 5 ~ 10중량부, 소포제 3 ~ 5중량부 및 증점제 3 ~ 5중량부로 조성된 경화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상기 주제와 경화제는 무게중량비로 1 : 1로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상기 주제는 이론 이소시아네이트(NCO) wt%가 3.5 ~ 4.5 정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양태로, 3,3-디메틸디페닐 4,4-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 50 ~ 70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 30 ~ 50중량부, 디뷰틸틴디라우레이트 5 ~ 10중량부를 첨가하여 주제를 제조하는 단계와;
타르 100중량부에 폴리테트라메틸에틸글리콜 70~80중량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50~70중량부, 폴리뷰틸렌옥사이드글리콜 40~60중량부, 글라스플레이크 30~50중량부, 안료 5~10중량부, 소포제 3~5중량부 및 증점제 3~5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경화제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주제와 경화제를 1:1로 혼합하여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상기 주제는 80 ~ 90℃에서 3 ~ 4시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상기 주제는 이론 이소시아네이트(NCO) wt%가 3.5 ~ 4.5 정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양태로, 콘크리트 슬라브층 위에 얇게 도포되는 프라이머층과;
그 위에 전면 도포되는 상기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과;
그 상부에 일정 간격이 이격되어 맞대음 시공되는 천공홀이 형성된 천공복합 시트층과;
천공복합 시트 간의 이음부분 상면에 시공되는 신축 부재층과;
신축 부재층 및 일부구간 천공복합 시트층 상부면에 걸쳐 시공되는 우레탄 실란트층;이 적층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상기 우레탄 실란트층 상부를 보호하는 PVC보강시트층과;
이 PVC보강시트층의 양측 일지점부터 우레탄실란트층의 노출된 양측면을 지나 천공복합 시트층의 일 지점까지 도포하여 수밀효과를 높인 고점도 도막재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상기 천공복합 시트층을 이루는 개별 천공복합 시트는 상부면에 거칠기 가공면이 형성되고, 거칠기 가공면이 형성되지 않은 곳에는 서로 다른 2가지의 크기를 가지는 큰 원형돌기와 작은 원형돌기가 규칙적으로 엇갈리게 배열되어 형성되고, 하부에는 부직포가 형성되며, 양측단에는 천공홀이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상기 천공복합 시트층은 이웃하는 천공복합 시트간의 맞댐 부위간의 이격 거리는 4 ~ 10mm가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상기 천공복합 시트에 형성된 천공홀과 천공홀간의 길이방향 간격은 5 ~ 7cm이며, 천공홀의 지름은 Φ50 ~ 100m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상기 천공복합 시트층에 형성된 큰 원형돌기는 직경 Φ 15 ~ 20mm, 작은 원형 돌기는 직경 Φ 0.5 ~ 10mm, 큰 원형 돌기간의 간격은 15 ~ 20mm, 작은 원형 돌기간의 거리는 20~ 25mm, 작은 원형돌기와 큰 원형돌기간의 거리는 10 ~ 15mm 정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상기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3)은 1회 또는 2회에 나누어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양태로, 콘크리트 슬라브층 위에 프라이머층을 얇게 도포하는 프라이머층 형성 단계와;
프라이머층이 건조되면 그 상면에 상기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을 전면 도포하는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 형성 단계와;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이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그 상면에 일정 간격을 가지게 맞대음되어 배열된 천공복합 시트층을 형성하여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과 전면 밀착 시공하는 천공복합 시트층 형성단계와;
이후 이웃하는 천공복합 시트층간에 일정 간격으로 맞대음된 부분 상면에 신축 부재층을 위치시키는 신축부재층 형성 단계와,
상기 신축 부재층 및 일부구간 천공복합 시트층 상부면에 걸쳐 우레탄 실란트층을 도포하고, 동시에 천공복합 시트층의 천공홀을 통해 우레탄 실란트를 하부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에 직접 접착시켜 리벳형식으로 고정시키는 우레탄 실란트층 형성단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시공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상기 우레탄 실란트층 형성단계에서 우레탄 실란트층이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그 상부를 PVC보강시트층을 형성하여 보호하는 PVC보강시트층 형성단계과;
이후 PVC보강시트층의 양측 일지점부터 우레탄실란트층의 노출된 양측면을 지나 천공복합 시트층의 일 지점까지를 도포하여 수밀효과를 높이는 고점도 도막재층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상기 천공복합 시트층은 이웃하는 천공복합 시트간의 맞댐 부위간의 이격 거리는 4 ~ 10mm가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상기 천공복합 시트에 형성된 천공홀과 천공홀간의 길이방향 간격은 5 ~ 7cm이며, 천공홀의 지름은 Φ50 ~ 100m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상기 천공복합 시트층은 이를 이루는 개별 천공복합 시트의 상부면에 거칠기 가공면이 형성되고, 거칠기 가공면이 형성되지 않은 곳에는 서로 다른 2가지의 크기를 가지는 큰 원형돌기와 작은 원형돌기가 규칙적으로 엇갈리게 배열되어 형성되고, 하부에는 부직포가 형성되며, 양측단에는 천공홀이 길이방향으로 배열되게 구성하되,
상기 큰 원형돌기는 직경 Φ 15 ~ 20mm, 작은 원형 돌기는 직경 Φ 0.5 ~ 10mm, 큰 원형 돌기간의 간격은 15 ~ 20mm, 작은 원형 돌기간의 거리는 20~ 25mm, 작은 원형돌기와 큰 원형돌기간의 거리는 10 ~ 15mm 정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상기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은 1회 또는 2회에 나누어 도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는 접착강도가 증대되고, 황변 발생이 적고 내후성이 좋다는 장점과,
또한 본 발명의 복합 방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는 상기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사용함과 동시에 상부 표면에 형성된 거칠기 가공면에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원형돌기가 규칙적으로 엇갈리게 배열되어 형성되고, 하부에는 부직포가 형성되며, 양측단에는 천공홀이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천공복합시트를 이용하여 높은 접착강도로 시트의 하부층과 전면 밀착이 일어나게 하면서 천공복합시트에 형성된 천공홀을 이용 복합시트간의 맞대음 이음부위의 고정력을 획기적으로 증대시켰다는 장점과,
또한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를 복합천공시트층 하부에 먼저 전면밀착식으로 시공함으로써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의 용제가 복합천공시트층으로 흡수되지 않아 복합천공시트의 수축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복합천공시트의 하부에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가 위치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슬라브층 상부에 먼저 방수시트층이 위치시 발생하는 방수시트층 하부의 엠보싱된 돌기부를 통한 물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누수 위험을 현저히 저감 또는 방지하였다는 장점과,
또한 혹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방수시트층 전면을 걷어내 보수하지 않고 누수발생 부분만 보수할 수 있어서 보수작업이 용이하고 그 부분 보수로 인한 복합방수층의 유지관리비가 현저히 적게 소요된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층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복합천공시트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복합천공시트의 하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신축시트의 형상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층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 비노출 시공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비노출 시공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는 3,3-디메틸디페닐 4,4-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 50 ~ 70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 30 ~ 50중량부, 디뷰틸틴디라우레이트 5 ~ 10중량부로 조성된 주제와;
타르 100중량부에 폴리테트라메틸에틸글리콜 70 ~ 80중량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50 ~ 70중량부, 폴리뷰틸렌옥사이드글리콜 40 ~ 60중량부, 글라스플레이크 30 ~ 50중량부, 안료 5 ~ 10중량부, 소포제 3 ~ 5중량부 및 증점제 3 ~ 5중량부로 조성된 경화제;가 무게중량비로 1 : 1로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주제는 이론 이소시아네이트(NCO) wt%가 3.5 ~ 4.5 정도이다.
상기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의 제조방법은 3,3-디메틸디페닐 4,4-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 50 ~ 70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 30 ~ 50중량부, 디뷰틸틴디라우레이트 5 ~ 10중량부를 첨가하여 80 ~ 90℃에서 3 ~ 4시간 반응시켜 이론 이소시아네이트(NCO) wt%가 3.5 ~ 4.5 정도의 주제를 제조하는 단계와;
타르 100중량부에 폴리테트라메틸에틸글리콜 70~80중량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50~70중량부, 폴리뷰틸렌옥사이드글리콜 40~60중량부, 글라스플레이크 30~50중량부, 안료 5~10중량부, 소포제 3~5중량부 및 증점제 3~5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경화제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주제와 경화제를 1:1로 혼합하여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주제에서 상기 3,3-디메틸디페닐 4,4-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는 무황변성, 내스크래치성, 치수안정성, 우수한 반응성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는 지방족 에폭시로서 50중량부 미만이면 접착력이 감소하고 70중량부 보다 많으면 점도가 상승한다.
상기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도 지방족 에폭시로서 30중량부 미만이면 내열성이 떨어지고, 50중량부보다 많으면 반응성이 감소한다.
상기 디뷰틸틴디라우레이트는 촉매로서 5중량부 미만이면 반응성이 저조하고하고 10중량부보다 많으면 발열 반응이 일어난다.
본 발명의 경화제에서 상기 타르는 제조원가 문제를 해결하고, 기계적 강도 보강을 위해 사용한다.
상기 폴리테트라메틸에틸글리콜 70 ~ 80중량부는 이 범위를 벗어나면 주제와 혼합시 주제의 NCOwt% 3.5 ~ 4.5와 당량비가 맞지 않아 시공후 미경화 부분이 발생하여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고, 결국에는 누수로 이어지는 하자가 발생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50 ~ 70중량부는 이 범위를 벗어나면 주제와 혼합시 주제의 NCOwt% 3.5 ~ 4.5와 당량비가 맞지 않아 시공후 미경화 부분이 발생하여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고, 결국에는 누수로 이어지는 하자가 발생된다.
상기 폴리뷰틸렌옥사이드글리콜 40 ~ 60중량부는 이 범위를 벗어나면 주제와 혼합시 주제의 NCOwt% 3.5 ~ 4.5와 당량비가 맞지 않아 시공후 미경화 부분이 발생하여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고, 결국에는 누수로 이어지는 하자가 발생된다.
상기 글라스플레이크는 함량이 30중량부 미만이면 내마모성이 감소하고 50중량부보다 많으면 신장율이 저하하여 내균열추종성이 떨어진다.
상기 안료는 방수도막재의 색상을 위한 것으로 통상의 녹색 안료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5중량부 미만이면 색이 너무 희미하고, 10중량부보다 많으면 붉은빛을 띠는 녹색이 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녹색 안료 중 하나로 크롬옥사이드가 있다.
상기 소포제는 기포 제거를 위한 것으로, 3중량 미만이면 기포 제거 효과가 미약한 문제점이 있고, 5중량부보다 많으면 내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소포제 중 하나로 실리콘계소포제가 있다.
상기 증점제는 본 발명 주제와 경화제의 반응시의 점도 증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3중량부 미만이면 점도가 약하고 5중량부보다 많으면 너무 점도가 높아 시공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증점제 중 하나로 우레탄계증점제가 있다.
상기 주제와 경화제 혼합시 주제의 NCO wt%가 3.5 ~ 4.5 wt%인데, 3.5wt% 미만이면 경화제와 혼합후 경화 시간이 지연되어 공사 기간이 증가 되고, 4.5wt% 보다 크면 경화제와 혼합 후 가사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성이 떨어진다.
상기 주제 혼합시 80 ~ 90℃에서 3 ~ 4시간 반응시키는 이유는 온도가 80℃보다 낮으면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인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와 3,3-디메틸디페닐 4,4-디이소시아네이트간의 반응성이 떨어지고, 90℃보다 높으면 급격하게 반응하여 점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반응시간을 3시간 보다 적게 반응시키면 미반응 물질이 존재하여 완제품의 성능을 저하 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4시간 보다 많이 반응시키면 분자량이 증가하여 유동성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조성과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의 기계적 물성 특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의 기계적 물성표
Figure 112012074457240-pat00001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층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복합천공시트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복합천공시트의 하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신축시트의 형상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수층 구조는 상기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천공시트를 이용한 방수층 구조로, 하부로부터 콘크리트 슬라브층(1) 위에 얇게 도포되는 프라이머층(2)과, 그 위에 전면 도포되는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3)과, 그 상부에 일정 간격이 이격되어 맞대음 시공되는 천공홀이 형성된 천공복합 시트층(4)과, 천공복합 시트 간의 이음부분 상면에 시공되는 신축 부재층(5)과, 신축 부재층(5) 및 일부구간 천공복합 시트층(4) 상부면에 걸쳐 시공되는 우레탄 실란트층(6)이 적층 구성된다.
상기 프라이머층(2)은 상기 설명한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 재질을 사용하여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간의 접착시 이질감을 없애 주는 것이 좋다. 그 두께는 통상적으로 하는 것처럼 붓이나 롤러 또는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얇게 도포하면 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는 물성이 기계적 물성이 전술한 표 1과 같아 시공시 접착강도가 우수하여 부풀음 현상이 발생 되지 않고, 상부에 적층되는 구조들의 하중에 의한 크리프(creep) 현상을 개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3)은 필요시 2회에 나누어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천공복합 시트층(4)을 이루는 천공복합 시트는 PVC 재질로, 두께가 0.7 ~ 1.5mm 두께로 상부면에 거칠기 가공면(41)이 형성되고, 거칠기 가공면(41)이 형성되지 않은 곳에는 서로 다른 2가지의 크기를 가지는 큰 원형돌기(42)와 작은 원형돌기(43)가 규칙적으로 엇갈리게 배열되어 형성되고, 하부에는 부직포(44)가 형성되며, 양측단에는 천공홀(46)이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상기 천공복합 시트는 폭이 바람직하게는 100 ~ 150mm 인 것을 사용한다.
또한 천공복합 시트와 이웃하는 천공복합 시트간의 맞댐 부위간의 이격 거리는 4 ~ 10mm가 되게 이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천공복합 시트는 이하에서 나타내는 수치들과 다르게 보일 수 잇으나, 도면은 일정폭의 길이를 필요 길이만큼 잘라서 사용하는 시트를 설명하기 좋게 하나의 실시예로 예시한 것으로, 천공복합시트를 한정하는 요소들은 아래 설명을 따르면 된다.
본 발명의 천공복합시트를 구성하는 천공홀과 천공홀간의 길이방향 간격은 5 ~ 7cm이며, 천공홀의 지름은 Φ50 ~ 100mm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천공홀(46)은 상부 우레탄 실란트가 이를 통해 하부의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3)에 스며들어 리벳 형식의 고정접합이 되도록 하여 복합천공 시트와 복합천공 시트를 고정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종래 시트와 시트를 겹친 후 접착하는 공법에 비하여 분리되는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시공후 방수시공 구조의 기계적 내구성이 좋아 유지보수 업무가 줄어들게 된다.
천공홀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4각을 다각형 모두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홀 크기를 상부크기 기준으로 하부로 갈수록 홀이 커지게 가공하면 접착력이 더욱 증대되게 된다.
천공복합시트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원형돌기 중 큰 원형돌기는 직경 Φ 15 ~ 20mm 정도, 작은 원형 돌기는 직경 Φ 0.5 ~ 10mm정도, 큰 원형 돌기간의 간격은 15 ~ 20mm, 작은 원형 돌기간의 거리는 20~ 25mm, 작은 원형돌기와 큰 원형돌기간의 거리는 10 ~ 15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높이는 0.05 ~ 0,2mm 정도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2가지 크기의 원형 돌기는 골격재 역할을 하여 비노출시 방수시공시 그 위에 도포되는 보호몰탈을 강하게 고정하여 내구성이 높아지게 된다. 즉, 2가지의 서로 다른 원형 돌기로 형성한 이유는 콘크리트 제조시 시멘트와 다양한 크기의 골재 즉, 큰 골재와 그 보다 작은 골재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이유이다. 동일한 크기의 골재로만 배열하게 되면 그 사이 사이 공간의 강도가 취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취약부분의 강도 보강을 하기 위함이다.
또한 거칠기 가공면은 상기 2가지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돌기들과 함께 보호몰탈과의 고정력을 보다 강화하기 위함이다. 수없이 많은 거칠기 가공된 모호몰탈 시공면 전체와 전면 접착되어 수평방향 이동을 최대한 방지하거나 이동하더라도 탄력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부직포는 하부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가 스며들어 전면밀착 강도를 높여주는 역할과 함께 상부 우레탄 실란트도 함께 스며들어 하부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의 고정시 리벳 역할을 더욱 증대하게 된다.
상기 신축 부재층(5)은 그라스화이버나 합성수지 및 직포 종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폭은 50 ~ 100mm로 일면(특히 하부면)은 접착 물질이 있어 부착성이 있는 것을 사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축부재의 모양은 그라스화이버나 합성수지 및 직포를 가로 세로 방향으로 형성한 격자형 망 형태로 구성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상부 우레탄 실란트의 골격역할을 하여 기계적 내구성을 높여주면서 복합천공 시트의 수평방향 변형을 예방하는데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실란트층의 재질은 우레탄 실란트 재질로 한다.
상기와 같은 방수층 구조는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3)과 천공복합 시트층(4)간의 접착강도 그리고 우레탄 실란트(6)와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3) 간의 접착강도가 우수하여 부풀음 현상이 발생 되지 않고, 또한 복합천공 방수 시트층의 이음부 부위가 분리 되지 않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층 구조를 보인 예시도로, 기본 구성은 도 1에 따른 방수층 구조와 같이 하부로부터 콘크리트 슬라브층(1) 위에 얇게 도포되는 프라이머층(2)과, 그 위에 전면 도포되는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3)과, 그 상부에 일정 간격이 이격되어 맞대음 시공되는 천공홀이 형성된 천공복합 시트층(4)과, 천공복합 시트 간의 이음부분 상면에 시공되는 신축 부재층(5)과, 신축 부재층(5) 및 일부구간 천공복합 시트층(4) 상부면에 걸쳐 시공되는 우레탄 실란트층(6)이 적층 구성된 구조를 기본 구조로 하여 우레탄 실란트층(6) 상부를 보호하는 PVC보강시트층(7)과, 이 PVC보강시트층(7) 양측 일지점부터 우레탄실란트층(6)의 노출된 양측면을 지나 천공복합 시트층(4)의 일 지점까지를 도포하여 수밀효과를 높인 고점도 도막재층(8)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 PVC 보강시트층을 구성하는 PVC보강시트는 일반적인 PVC재질이면 충분하다. 이러한 PVC 보강시트층은 상부에 도포되는 보호몰탈에 의한 우레탄 실란트층(6)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점도 도막재층(8)은 아스팔트변성클로로프렌계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방수층 구조의 시공방법을 이하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 비노출 시공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의 특징은 접착강도가 우수하여 부풀음 현상이 발생 되지 않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이웃하는 시트간의 이음부 부위가 분리되지 않는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비노출 복합방수 방법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방수 공법은 콘크리트 슬라브층(1) 위에 프라이머층(2)을 얇게 도포하는 프라이머층 형성 단계(S100)와;
프라이머층이 건조되면 그 상면에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3)을 전면 도포하는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 형성 단계(S200)와;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3)이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그 상면에 일정 간격을 가지게 맞대음되어 배열된 천공복합 시트층(4)을 형성하여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과 전면 밀착 시공하는 천공복합 시트층 형성단계(S300)와;
이후 이웃하는 천공복합 시트층(4)간에 일정 간격으로 맞대음된 부분 상면에 신축 부재층(5)을 위치시키는 신축부재층 형성 단계(S400)와,
상기 신축 부재층(5) 및 일부구간 천공복합 시트층(4) 상부면에 걸쳐 우레탄 실란트층(6)을 도포하고, 동시에 천공복합 시트층의 천공홀을 통해 우레탄 실란트를 하부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에 직접 접착시켜 리벳형식으로 고정시키는 우레탄 실란트층 형성단계(S5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3,3-디메틸디페닐 4,4-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 50 ~ 70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 30 ~ 50중량부, 디뷰틸틴디라우레이트 5 ~ 10중량부로 조성된 주제와;
타르 100중량부에 폴리테트라메틸에틸글리콜 70 ~ 80중량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50 ~ 70중량부, 폴리뷰틸렌옥사이드글리콜 40 ~ 60중량부, 글라스플레이크 30 ~ 50중량부, 안료 5 ~ 10중량부, 소포제 3 ~ 5중량부 및 증점제 3 ~ 5중량부로 조성된 경화제;가 무게중량비로 1 : 1로 혼합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3)은 필요시 2회에 나누어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천공복합 시트층(5)을 이루는 개별 천공복합 시트는 PVC 재질로, 두께가 0.7 ~ 1.5mm로 상부 표면에 형성된 거칠기 가공면(41)에 서로 다른 2가지의 큰 원형돌기(42)와 작은 원형돌기(43)가 규칙적으로 엇갈리게 배열되어 형성되고, 하부에는 부직포(44)가 형성되며, 양측단에는 천공홀(46)이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천공복합 시트층 형성시 이웃하는 천공복합 시트간의 맞댐 부위간의 이격 거리는 4 ~ 10mm가 되도록 배치한다.
또한 상기 천공복합 시트에 형성된 천공홀과 천공홀간의 길이방향 간격은 5 ~ 7cm이며, 천공홀의 지름은 Φ50 ~ 100mm인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천공복합 시트층 형성된 원형돌기는 큰 원형돌기는 직경 Φ 15 ~ 20mm 정도, 작은 원형 돌기는 직경 Φ 0.5 ~ 10mm정도, 큰 원형 돌기간의 간격은 15 ~ 20mm, 작은 원형 돌기간의 거리는 20~ 25mm, 작은 원형돌기와 큰 원형돌기간의 거리는 10 ~ 15mm 정도인 것을 사용하여 상부에 시공될 보호몰탈 층간의 골격재 역할을 하게 한다.
상기 신축 부재층(5)은 하부에 접착제가 형성된 것을 이용하여 접착 시공할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비노출 시공방법을 보인 흐름도인데, 기본 시공방법은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복합방수 시공방법과 같이 콘크리트 슬라브층(1) 위에 프라이머층(2)을 얇게 도포하는 프라이머층 형성 단계(S100)와;
프라이머층이 건조되면 그 상면에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3)을 전면 도포하는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 형성 단계(S200)와;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3)이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그 상면에 일정 간격을 가지게 맞대음되어 배열된 천공복합 시트층(4)을 형성하여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과 전면 밀착 시공하는 천공복합 시트층 형성단계(S300)와;
이후 이웃하는 천공복합 시트층(4)간에 일정 간격으로 맞대음된 부분 상면에 신축 부재층(5)을 위치시키는 신축부재층 형성 단계(S400)와,
상기 신축 부재층(5) 및 일부구간 천공복합 시트층(4) 상부면에 걸쳐 우레탄 실란트층(6)을 도포하고, 동시에 천공복합 시트층의 천공홀을 통해 우레탄 실란트를 하부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에 직접 접착시켜 리벳형식으로 고정시키는 우레탄 실란트층 형성단계(S500)으로 이루어진 시공방법을 기본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마지막 단계인 우레탄 실란트층 형성단계(S500)에서 우레탄 실란트층이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그 상부를 PVC보강시트층(7)을 형성하여 보호하는 PVC보강시트층 형성단계(S600)과;
이후 PVC보강시트층(7) 양측 일지점부터 우레탄실란트층(6)의 노출된 양측면을 지나 천공복합 시트층(4)의 일 지점까지 고점도 도막재층(8)을 도포하여 수밀효과를 높이는 고점도 도막재층 형성단계(S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시공방법이다.
이와 같은 추가 단계를 구비하면 천공복합 시트층(4)의 맞대음 이음부위의 변형을 예방하여 내구성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수밀에 의한 누수를 줄여 방수효과를 극대화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의 제조방법이다.
먼저 3,3-디메틸디페닐 4,4-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 55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 40중량부 디뷰틸틴디라우레이트 5중량부를 첨가하여 80℃에서 4시간 반응시켜 NCOwt%가 3.5인 주제를 제조하고,
타르 100중량부에 폴리테트라메틸에틸글리콜 75중량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55중량부, 폴리뷰틸렌옥사이드글리콜 40중량부, 글라스플레이크 30중량부, 안료 5중량부, 소포제 3중량부 및 증점제 3중량부를 첨가하여 경화제를 제조한 후, 주제와 경화를 1:1로 혼합하여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완성 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단지 주제의 NCO%를 4.0wt%로하여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제조 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단지 주제의 NCO%를 4.5%로하여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제조 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의 시험 결과치는 표 2와 같다. 하기 표 2에서 비교예 1은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10-1103930의 불소변성 타르 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사용하였다.
(표 2)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의 기계적 강도시험 결과
Figure 112012074457240-pat00002

상기 표 2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가 비교예 1인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 10-1103930의 불소변성 타르 우레탄 도막방수재에 비하여 접착강도가 매우 우수함을 알수 있다.
이와 같은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는 콘크리트 슬라브 상부에 프라이머를 처리 후,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를 도포하고, 천공복합 시트를 맞댐부위 이격 거리가 4 ~ 10mm가 되도록 시공한 후, 천공복합시트 연결부는 상부 우레탄 실란트가 하부로 스며들어 리벳 형식의 고정접합이 되도록 하여 복합천공시트와 복합천공시트간을 고정시 종래 기존 시트와 시트를 겹친후 접착하는 공법에 비하여 분리되는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라브층 (2) : 프라이머층
(3) :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
(4) : 천공복합 시트층 (5) : 신축 부재층
(6) : 우레탄 실란트층 (7) : PVC보강시트층
(8) : 고점도 도막재층 (41) : 거칠기 가공면
(42) : 큰 원형돌기 (43) : 작은 원형돌기
(44) : 부직포 (46) : 천공홀

Claims (19)

  1. 3,3-디메틸디페닐 4,4-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 50 ~ 70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 30 ~ 50중량부, 디뷰틸틴디라우레이트 5 ~ 10중량부로 조성된 주제와;
    타르 100중량부에 폴리테트라메틸에틸글리콜 70 ~ 80중량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50 ~ 70중량부, 폴리뷰틸렌옥사이드글리콜 40 ~ 60중량부, 글라스플레이크 30 ~ 50중량부, 안료 5 ~ 10중량부, 소포제 3 ~ 5중량부 및 증점제 3 ~ 5중량부로 조성된 경화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제와 경화제는 무게중량비로 1 : 1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제는 이론 이소시아네이트(NCO) wt%가 3.5 ~ 4.5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
  4. 3,3-디메틸디페닐 4,4-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 50 ~ 70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이서디아크릴레이트 30 ~ 50중량부, 디뷰틸틴디라우레이트 5 ~ 10중량부를 첨가하여 주제를 제조하는 단계와;
    타르 100중량부에 폴리테트라메틸에틸글리콜 70~80중량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50~70중량부, 폴리뷰틸렌옥사이드글리콜 40~60중량부, 글라스플레이크 30~50중량부, 안료 5~10중량부, 소포제 3~5중량부 및 증점제 3~5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경화제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주제와 경화제를 1:1로 혼합하여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제는 80 ~ 90℃에서 3 ~ 4시간 반응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의 제조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제는 이론 이소시아네이트(NCO) wt%가 3.5 ~ 4.5 정도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의 제조방법.
  7. 콘크리트 슬라브층(1) 위에 얇게 도포되는 프라이머층(2)과;
    그 위에 전면 도포되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3)과;
    그 상부에 일정 간격이 이격되어 맞대음 시공되는 천공홀이 형성된 천공복합 시트층(4)과;
    천공복합 시트 간의 이음부분 상면에 시공되는 신축 부재층(5)과;
    신축 부재층(5) 및 일부구간 천공복합 시트층(4) 상부면에 걸쳐 시공되는 우레탄 실란트층(6);이 적층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실란트층(6) 상부를 보호하는 PVC보강시트층(7)과;
    이 PVC보강시트층(7)의 양측 일지점부터 우레탄실란트층(6)의 노출된 양측면을 지나 천공복합 시트층(4)의 일 지점까지 도포하여 수밀효과를 높인 고점도 도막재층(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구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천공복합 시트층(4)을 이루는 개별 천공복합 시트는 상부면에 거칠기 가공면(41)이 형성되고, 거칠기 가공면(41)이 형성되지 않은 곳에는 서로 다른 2가지의 크기를 가지는 큰 원형돌기(42)와 작은 원형돌기(43)가 규칙적으로 엇갈리게 배열되어 형성되고, 하부에는 부직포(44)가 형성되며, 양측단에는 천공홀(46)이 길이방향으로 배열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구조.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천공복합 시트층은 이웃하는 천공복합 시트간의 맞댐 부위간의 이격 거리는 4 ~ 10mm가 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구조.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천공복합 시트에 형성된 천공홀과 천공홀간의 길이방향 간격은 5 ~ 7cm이며, 천공홀의 지름은 Φ50 ~ 100m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구조.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천공복합 시트층에 형성된 큰 원형돌기는 직경 Φ 15 ~ 20mm, 작은 원형 돌기는 직경 Φ 0.5 ~ 10mm, 큰 원형 돌기간의 간격은 15 ~ 20mm, 작은 원형 돌기간의 거리는 20~ 25mm, 작은 원형돌기와 큰 원형돌기간의 거리는 10 ~ 15mm 정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구조.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3)은 1회 또는 2회에 나누어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구조.
  14. 콘크리트 슬라브층(1) 위에 프라이머층(2)을 얇게 도포하는 프라이머층 형성 단계(S100)와;
    프라이머층이 건조되면 그 상면에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3)을 전면 도포하는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 형성 단계(S200)와;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3)이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그 상면에 일정 간격을 가지게 맞대음되어 배열된 천공복합 시트층(4)을 형성하여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과 전면 밀착 시공하는 천공복합 시트층 형성단계(S300)와;
    이후 이웃하는 천공복합 시트층(4)간에 일정 간격으로 맞대음된 부분 상면에 신축 부재층(5)을 위치시키는 천공복합 시트층 형성 단계(S400)와,
    상기 신축 부재층(5) 및 일부구간 천공복합 시트층(4) 상부면에 걸쳐 우레탄 실란트층(6)을 도포하고, 동시에 천공복합 시트층의 천공홀을 통해 우레탄 실란트를 하부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에 직접 접착시켜 리벳형식으로 고정시키는 우레탄 실란트층 형성단계(S5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시공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실란트층 형성단계(S500)에서 우레탄 실란트층이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그 상부를 PVC보강시트층(7)을 형성하여 보호하는 PVC보강시트층 형성단계(S600)과;
    이후 PVC보강시트층(7)의 양측 일지점부터 우레탄실란트층(6)의 노출된 양측면을 지나 천공복합 시트층(4)의 일 지점까지 도포하여 수밀효과를 높이는 고점도 도막재층 형성단계(S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시공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천공복합 시트층은 이웃하는 천공복합 시트간의 맞댐 부위간의 이격 거리는 4 ~ 10mm가 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시공 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천공복합 시트에 형성된 천공홀과 천공홀간의 길이방향 간격은 5 ~ 7cm이며, 천공홀의 지름은 Φ50 ~ 100m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시공 방법.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천공복합 시트층(4)은 이를 이루는 개별 천공복합 시트의 상부면에 거칠기 가공면(41)이 형성되고, 거칠기 가공면(41)이 형성되지 않은 곳에는 서로 다른 2가지의 크기를 가지는 큰 원형돌기(42)와 작은 원형돌기(43)가 규칙적으로 엇갈리게 배열되어 형성되고, 하부에는 부직포(44)가 형성되며, 양측단에는 천공홀(46)이 길이방향으로 배열되게 구성하되,
    상기 큰 원형돌기는 직경 Φ 15 ~ 20mm, 작은 원형 돌기는 직경 Φ 0.5 ~ 10mm, 큰 원형 돌기간의 간격은 15 ~ 20mm, 작은 원형 돌기간의 거리는 20~ 25mm, 작은 원형돌기와 큰 원형돌기간의 거리는 10 ~ 15mm 정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시공 방법.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에폭시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층(3)은 1회 또는 2회에 나누어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시공 방법.






KR1020120102055A 2012-09-14 2012-09-14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 KR101241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055A KR101241940B1 (ko) 2012-09-14 2012-09-14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055A KR101241940B1 (ko) 2012-09-14 2012-09-14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940B1 true KR101241940B1 (ko) 2013-03-11

Family

ID=48181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055A KR101241940B1 (ko) 2012-09-14 2012-09-14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94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539Y1 (ko) 2013-05-13 2013-12-24 이재준 철도차량의 바닥 구조
KR101432938B1 (ko) 2013-05-28 2014-08-21 장세현 함침홀 타공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복합방수층 시공방법
KR101833450B1 (ko) 2017-10-12 2018-02-28 강병준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2145228B1 (ko) 2020-06-02 2020-08-18 이용규 우레탄 도막재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
KR102166038B1 (ko) 2020-06-15 2020-10-15 김동규 바닥 방수시공방법
KR102486478B1 (ko) * 2022-01-24 2023-01-10 서상준 현장제조의 이음매 없는 구조 맞춤형 우레탄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 시공방법
CN115895430A (zh) * 2022-11-25 2023-04-04 北新防水(广东)有限公司 一种水性复合树脂双组分聚氨酯防水涂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9743A (en) 1986-10-06 1988-06-07 Ppg Industries, Inc. Epoxy-functional polyurethanes and high solids thermosetting coating compositions thereof
JPH0559325A (ja) * 1991-08-30 1993-03-09 Nippon Paint Co Ltd ポリオール硬化二液型タールウレタン塗料組成物
KR20000032571A (ko) * 1998-11-16 2000-06-15 전춘택 1액형 에폭시 변성 우레탄 조성물의 제조방법
US20020061970A1 (en) 2000-09-14 2002-05-23 Hidenori Sawada Resin composition for coating materi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9743A (en) 1986-10-06 1988-06-07 Ppg Industries, Inc. Epoxy-functional polyurethanes and high solids thermosetting coating compositions thereof
JPH0559325A (ja) * 1991-08-30 1993-03-09 Nippon Paint Co Ltd ポリオール硬化二液型タールウレタン塗料組成物
KR20000032571A (ko) * 1998-11-16 2000-06-15 전춘택 1액형 에폭시 변성 우레탄 조성물의 제조방법
US20020061970A1 (en) 2000-09-14 2002-05-23 Hidenori Sawada Resin composition for coating material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539Y1 (ko) 2013-05-13 2013-12-24 이재준 철도차량의 바닥 구조
KR101432938B1 (ko) 2013-05-28 2014-08-21 장세현 함침홀 타공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복합방수층 시공방법
KR101833450B1 (ko) 2017-10-12 2018-02-28 강병준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2145228B1 (ko) 2020-06-02 2020-08-18 이용규 우레탄 도막재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
KR102166038B1 (ko) 2020-06-15 2020-10-15 김동규 바닥 방수시공방법
KR102486478B1 (ko) * 2022-01-24 2023-01-10 서상준 현장제조의 이음매 없는 구조 맞춤형 우레탄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 시공방법
CN115895430A (zh) * 2022-11-25 2023-04-04 北新防水(广东)有限公司 一种水性复合树脂双组分聚氨酯防水涂料
CN115895430B (zh) * 2022-11-25 2023-08-29 北新防水(广东)有限公司 一种水性复合树脂双组分聚氨酯防水涂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940B1 (ko)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
KR100988201B1 (ko) 불소 변성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불소 변성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US8828548B2 (en) Interlayer adhesive, waterproof structure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KR101638620B1 (ko) 복합 방수 시공방법
KR101833450B1 (ko)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0949599B1 (ko) 2액형 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우레탄 도막방수공법
KR101275151B1 (ko) 특수 합성고분자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US7829149B2 (en) Method of waterproof and floor construction by using thixotropic urethane and fabric sheet
KR10194298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와 단열 및 보강재료를 이용한 외단열, 방수 및 보강 복합 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100757501B1 (ko) Tpo 개질 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복합방수공법
KR100725187B1 (ko) 다기능성 옥상용 복합방수공법
KR101643519B1 (ko) 슈퍼마이크로 섬유를 이용한 바탕조정재
KR101816209B1 (ko) 경질금속시트와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조립식 복합방수구조
KR102228694B1 (ko)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공법
KR101422442B1 (ko)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일체형 복합 방수 공법
KR101361910B1 (ko) 단열성능을 가진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와 고분자 복합시트의 일체화 방수 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20060085447A (ko)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843811B1 (ko)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
KR101733535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공법
KR101942977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 및 단열 복합 자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및 단열 복합 시공공법
KR10190283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 적층 자착형 점착씰 보강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시공공법
KR101284615B1 (ko)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 방수 시공 방법
KR200389256Y1 (ko) 복합 방수층 구조
KR101889329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
CN108868186B (zh) 一种管道井与通风井渗漏水修缮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