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694B1 -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공법 - Google Patents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694B1
KR102228694B1 KR1020200136840A KR20200136840A KR102228694B1 KR 102228694 B1 KR102228694 B1 KR 102228694B1 KR 1020200136840 A KR1020200136840 A KR 1020200136840A KR 20200136840 A KR20200136840 A KR 20200136840A KR 102228694 B1 KR102228694 B1 KR 102228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liquid
composition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중근
Original Assignee
중앙방수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방수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앙방수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6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15Monohydroxy compounds
    • C08G18/283Compounds containing ether groups, e.g. oxyalkylated mono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06Polyhydroxy compound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08G18/762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64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at least two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e.g. xylylene diisocyanate or homologues substituted on the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1,4-싸이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와 4,6-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 100 중량부에 1,5-펜탄디올 80~90 중량부, 1,6-헥산디올 70~80 중량부, 메틸비닐에테르 60~70 중량부 및 알루미늄클로라이드 50~6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A액과; 2-프로판-1-올 100 중량부에 2-N,N-디메틸아미노에탄올 80~90 중량부, 디에틸에테르 70~80 중량부, 디브로모싸이클로펜탄 60~70 중량부, 싸이클로펜탄 50~60 중량부 및 싸이클로헥산카보닐클로라이드 40~50 중량부를 혼합한 B액을 포함하고, A액과 B액이 혼합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공법{Polyurethane waterproof agent and waterproof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 내약품성, 접착성, 내노화성, 내오존성, 내후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작업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토목 및 건축용으로서의 폴리우레탄 소재는, 소재 자체로서의 특징인 이음새 없는 시공이 가능하고 복잡한 형태의 구조물에 대해 잘 순응하는 시공 상의 특성과 소지면과의 접착성, 내약품성, 내구성과 같은 화학적인 특성과 흡음성, 치수 안정성과 같은 물리적인 성질이 뛰어나며, 특히 신장율이 우수하다는 큰 장점 때문에 하지 균열에 대한 추종성이 뛰어나 건축물의 내, 외벽 및 바닥 방수재로서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처럼 건축용으로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소재는 생산 공장에서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와 폴리올 혼합물로 구분하여 생산하며 이를 시공 현장에서 정해진 배합비에 따라 계량, 배합, 교반, 시공의 여러 단계를 거쳐 시공해야 하므로 시공 상의 결함이 생기기 쉽고 숙련된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므로 인건비 상승의 원인이 되며 이는 전체적으로 시공비를 상승시켜 시공 효율을 감소시킨다는 문제가 단점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통상 2액형 폴리우레탄 소재는 한정된 가사 시간 내에 교반된 방수제를 모두 사용해야 하므로 교반과 시공의 시간 간격을 잘 조절해야 하고 이 시간이 맞지 않을 경우 재료의 손실량이 많아진다. 따라서 이러한 폴리우레탄 소재의 우수한 물리, 화학적 특성을 유지시키며 2액형으로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폴리우레탄 건축용 소재의 1액형화가 연구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NCO 중량% 함량을 1 - 5% 정도의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를 합성하고 여기에 충진제, 안정제, 착색제 등을 첨가하여 폴리우레탄 소재를 1액형화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상온에서 경화 시간이 늦고 약간의 수분만 존재해도 저장 안정성이 저하되며 수분과 이소시아네이트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에 의하여 도막의 부풀음 하자가 발생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일본 특허 공고 공보 제5-75035호에는 모포리노디에틸 에테르를 촉매를 사용하여 저장 안정성 및 경화 속도를 개선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이산화탄소에 의한 도막의 부풀음 현상이 일어나는 하자 발생을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합중국 특허 제4720535호 또는 일본 특허 공개 공고 제4-226522호에는 잠재성 경화제인 시프 베이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즉, 1차의 디 또는 트리 아민에 알데히드를 반응시켜 폴리알디민을 만들고 이를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와 혼합하여 1액형 소재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폴리알디민을 이소시아네이트와 혼합하여 1액형 우레탄 소재로 사용할 경우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는 반응성이 빨라 하절기 건물 옥상 방수 시에는 부적당한 문제점이 있다. 즉 표면 및 도막 밑부분의 경화는 쉽게 진행되지만, 도막 내부는 경화된 도막 표면으로부터의 습기 침투가 어려워 경화 진행 속도가 느리며 경화중 해리되는 알데히드에 의한 부풀음 하자가 자주 발생된다.
잠재성 경화제를 이용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영국 특허 제1575666호에서는 2차 아민에 케톤 또는 알데히드를 반응시켜 폴리 엔아민을 만들고 이것을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와 혼합하여 1액형화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프리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를 마스킹 시켜 주거나 반응성이 아주 낮은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야 하며 저장 안정성이 낮아 건축용 소재로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 특허 공개 1997-0065579에는 알디민과 케티민이 동시 존재하게 하여 경화 속도를 조절하여 하자 발생율이 낮고 하절기와 같은 고온 다습한 불리한 환경 조건하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다고 하였으나 상기의 다른 특허와 마찬가지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한국 등록 특허 10-0884015에는 접착제층, 통기완층 엠보싱 폴리비니클로라이드시트층, 우레탄 방수층, 탑코트층으로 구성되는 노출형 복합방수 구조에 대한 것이 개시된 바 있으나, 이처럼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 시공 전에 시트층을 형성시키게 되면, 폴리우레탄에 포함된 용제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시트층에 서서히 흡수가 되어 시트가 수축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또한, 엠보싱 시트의 엠보싱 면이 바닥에 위치하기 때문에 물의 통로 역할을 하게 되어 누수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 시공 전면을 걷어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 내약품성, 접착성, 내노화성, 내오존성, 내후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시공시 작업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1,4-싸이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와 4,6-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 100 중량부에 1,5-펜탄디올 80~90 중량부, 1,6-헥산디올 70~80 중량부, 메틸비닐에테르 60~70 중량부 및 알루미늄클로라이드 50~6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A액과; 2-프로판-1-올 100 중량부에 2-N,N-디메틸아미노에탄올 80~90 중량부, 디에틸에테르 70~80 중량부, 디브로모싸이클로펜탄 60~70 중량부, 싸이클로펜탄 50~60 중량부 및 싸이클로헥산카보닐클로라이드 40~50 중량부를 혼합한 B액을 포함하고, A액과 B액이 혼합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내구성, 내약품성, 접착성, 내노화성, 내오존성, 내후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경화시간이 빠르고 기포가 발생하지 않아 시공시 작업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고, 기존의 1액형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즉 표면 및 도막 밑부분의 경화는 쉽게 진행되지만 도막 내부는 경화된 도막 표면으로부터의 습기 침투가 어려워 경화 진행 속도가 느리며 경화중 해리되는 알데히드에 의한 부풀음 하자가 자주 발생되는 현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 조성물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에 강한 저항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 고내구성 방수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건축구조물 옥상 및 토목구조물 등의 도막 방수재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은, 1,4-싸이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와 4,6-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한 복합물에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메틸비닐에테르 및 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A액과, 2-프로판-1-올에 2-N,N-디메틸아미노에탄올, 디에틸에테르, 디브로모싸이클로펜탄, 싸이클로펜탄 및 싸이클로헥산카보닐클로라이드를 혼합한 B액을 포함하고, A액과 B액이 소정의 부피비로 혼합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은, 1,4-싸이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와 4,6-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 100 중량부에 1,5-펜탄디올 80~90 중량부, 1,6-헥산디올 70~80 중량부, 메틸비닐에테르 60~70 중량부 및 알루미늄클로라이드 50~6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A액과, 2-프로판-1-올 100 중량부에 2-N,N-디메틸아미노에탄올 80~90 중량부, 디에틸에테르 70~80 중량부, 디브로모싸이클로펜탄 60~70 중량부, 싸이클로펜탄 50~60 중량부 및 싸이클로헥산카보닐클로라이드 40~50 중량부를 혼합한 B액을 포함하고, A액과 B액이 5:2의 부피비로 혼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 제조방법은, 1,4-싸이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와 4,6-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 100 중량부에 1,5-펜탄디올 80~90 중량부, 1,6-헥산디올 70~80 중량부, 메틸비닐에테르 60~70 중량부 및 알루미늄클로라이드 50~6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A액이 제조되는 단계와, 2-프로판-1-올 100 중량부에 2-N,N-디메틸아미노에탄올 80~90 중량부, 디에틸에테르 70~80 중량부, 디브로모싸이클로펜탄 60~70 중량부, 싸이클로펜탄 50~60 중량부 및 싸이클로헥산카보닐클로라이드 40~50 중량부를 혼합한 B액이 제조되는 단계와, A액과 B액이 5:2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1,4-싸이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와 4,6-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한 복합물에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메틸비닐에테르 및 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A액은, 2-프로판-1-올에 2-N,N-디메틸아미노에탄올, 디에틸에테르, 디브로모싸이클로펜탄, 싸이클로펜탄 및 싸이클로헥산카보닐클로라이드를 혼합한 B액과 혼합시 우레탄 결합을 형성한다.
이에, 상기 A액은, 1,4-싸이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와 4,6-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 100 중량부에 1,5-펜탄디올 80~90 중량부, 1,6-헥산디올 70~80 중량부, 메틸비닐에테르 60~70 중량부 및 알루미늄클로라이드 50~6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1,4-싸이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와 4,6-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한 복합물은, 흡착 및 접착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들의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여 단시간 내에 상기 조성물들을 우레탄으로 전환시키고 반응을 종결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복합물은, 1,4-싸이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와 4,6-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가 1:1의 부피비로 혼합된다.
여기서, 상기 1,4-싸이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는 반응 시간을 결정하고 흡착 기능을 제공하는 물질로서, 2 부피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들의 반응속도가 너무 빨라지게 되어 교반성 및 시공성이 저하되고, 2 부피비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들의 반응속도가 너무 느려지게 되어 작업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4,6-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는, 상기 조성물들과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하는 물질로서, 2 부피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성이 너무 커지게 되어 상기 조성물들과의 교반 작업이 불편해지고, 2 부피비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복합물의 저장 안정성이 저조하게 되어 도막의 접착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복합물은, 상기와 같은 한정된 부피비를 가지는 것을 통하여, 향상된 내구성, 교반성, 안정성, 시공성 및 작업성 등의 효과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A액은, 상기와 같은 복합물 100 중량부에 상기 복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1,5-펜탄디올 80~90 중량부, 1,6-헥산디올 70~80 중량부, 메틸비닐에테르 60~70 중량부 및 알루미늄클로라이드 50~60 중량부가 첨가 및 반응되어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 1,5-펜탄디올은, 상기 조성물들과 반응하여 코팅 기능을 제공하는 물질로서, 상기 복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9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방수막의 코팅도가 너무 커지게 되어 시공성이 저하되고, 80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방수막의 코팅도가 너무 작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1,6-헥산디올은, 상기 복합물 등과 반응하여 소정의 점도를 제공하기 위한 희석물질로서, 상기 복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8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A액의 전반적인 점도가 너무 작아지게 되어 시공성이 크게 저하되고, 70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A액의 전반적인 점도가 너무 커지게 되어 B액과의 교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메틸비닐에테르는, 상기 복합물 등과 반응하여 소정의 점도를 통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하는 물질로서, 상기 복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7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커지게 되고, 60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작아지게 되어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클로라이드는, 상기 복합물 등과 반응하여 콘크리트 표면과의 접착력을 제공하는 물질로서, 상기 복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6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A액의 전반적인 접착력은 강해지나 작업성이 저하되고, 50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A액은, 상기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메틸비닐에테르 및 알루미늄클로라이드가 상기 복합물을 기준으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을 통하여, 향상된 방수막의 코팅도와 안정도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A액은, 상기 첨가될 B액의 조성물들의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조성물들의 중량부가 상기와 같은 범위를 미만하는 중량부를 가지는 경우에는 도막 방수제의 전체적인 접착 강도가 저하되고 상기와 같은 범위를 초과하는 중량부를 가지는 경우에는 도막 방수제의 점성이 너무 커지게 되어 시공성이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2-프로판-1-올에 2-N,N-디메틸아미노에탄올, 디에틸에테르, 디브로모싸이클로펜탄, 싸이클로펜탄 및 싸이클로헥산카보닐클로라이드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B액은, 상기와 같은 A액에 혼합시 이들과 반응하여 향상된 내충격 강도를 가질 뿐 아니라, 내열성, 내습성,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이다.
이에, 상기 B액은, 2-프로판-1-올 100 중량부에 2-N,N-디메틸아미노에탄올 80~90 중량부, 디에틸에테르 70~80 중량부, 디브로모싸이클로펜탄 60~70 중량부, 싸이클로펜탄 50~60 중량부 및 싸이클로헥산카보닐클로라이드 40~50 중량부가 첨가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2-프로판-1-올은, 가소제의 기능을 제공하는 물질로서, A액의 경화를 통하여 소정의 내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2-N,N-디메틸아미노에탄올은, 가사(분사를 위한 경화) 시간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물질로서, 상기 2-프로판-1-올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9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화 시간이 너무 빨라 분사 및 도포 작업이 불가능해지고, 80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경화 시간이 너무 느려 전체 작업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디에틸에테르는, 상기 2-N,N-디메틸아미노에탄올과 함께 가사 시간을 조절하는 물질로서, 상기 2-프로판-1-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8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화제의 점도가 너무 높아 분사 및 도포 작업이 불가능해지고, 70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경화 시간이 너무 느려 전체 작업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디브로모싸이클로펜탄은, 상기 A액과 B액의 분사 및 도포시 탄화를 방지하는 물질로서, 상기 2-프로판-1-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7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화방지성이 향상되지만 평탄성도 증가되어 경사면 등에서의 작업성이 저하되고, 60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탄화방지성이 저하되어 쉽게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싸이클로펜탄은, 상기 디브로모싸이클로펜탄과 함께 상기 A액과 B액의 분사 및 도포시 탄화를 방지하고 셀프레벨링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로서, 상기 2-프로판-1-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6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화방지성성과 평탄성이 증가되어 부분 균열시 오히려 평탄성이 저하되고, 50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탄화방지성이 저하되어 오히려 부분 균열이 더 발생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싸이클로헥산카보닐클로라이드는, 상기 A액과 B액의 분사 및 도포시 탄화를 방지하는 물질로서, 상기 2-프로판-1-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화방지성이 증가되어 교반성과 작업성이 저하되고, 40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탄화방지성이 저하되어 박리가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B액은, 상기 2-프로판-1-올의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조성물들의 중량부가 상기와 같은 범위를 미만하는 중량부를 가지는 경우에는 내충격 및 접착 강도가 저하되고 상기와 같은 범위를 초과하는 중량부를 가지는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 교반효율이 저하되고 오히려 딱딱하게 굳어져 접착력이 저하되며 이에, 콘크리트 표면과 분리되어 방수 및 산화 기능이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A액과 B액이 각각 5:2의 부피비로 혼합되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부피비를 5:2로 한정하는 것은, 혼합을 위한 부피비가 상기 비율을 가지지 않는 경우에는 교반성이 크게 저하되고 또한, 접착 강도와 산화 기능 및 평탄성 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에 의한 효과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1,4-싸이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와 4,6-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2:1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 100 중량부에 1,5-펜탄디올 70 중량부, 1,6-헥산디올 60 중량부, 메틸비닐에테르 50 중량부 및 알루미늄클로라이드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A액이 제조되고, 2-프로판-1-올 100 중량부에 2-N,N-디메틸아미노에탄올 70 중량부, 디에틸에테르 60 중량부, 디브로모싸이클로펜탄 50 중량부, 싸이클로펜탄 40 중량부 및 싸이클로헥산카보닐클로라이드 30 중량부를 혼합한 B액이 제조되며, A액과 B액이 5:5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이 제조된다.
1,4-싸이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와 4,6-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 100 중량부에 1,5-펜탄디올 85 중량부, 1,6-헥산디올 75 중량부, 메틸비닐에테르 65 중량부 및 알루미늄클로라이드 55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A액이 제조되고, 2-프로판-1-올 100 중량부에 2-N,N-디메틸아미노에탄올 85 중량부, 디에틸에테르 75 중량부, 디브로모싸이클로펜탄 65 중량부, 싸이클로펜탄 55 중량부 및 싸이클로헥산카보닐클로라이드 45 중량부를 혼합한 B액이 제조되며, A액과 B액이 7:2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이 제조된다.
1,4-싸이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와 4,6-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1:2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 100 중량부에 1,5-펜탄디올 95 중량부, 1,6-헥산디올 85 중량부, 메틸비닐에테르 75 중량부 및 알루미늄클로라이드 65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A액이 제조되고, 2-프로판-1-올 100 중량부에 2-N,N-디메틸아미노에탄올 95 중량부, 디에틸에테르 85 중량부, 디브로모싸이클로펜탄 75 중량부, 싸이클로펜탄 65 중량부 및 싸이클로헥산카보닐클로라이드 55 중량부를 혼합한 B액이 제조되며, A액과 B액이 2:7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이 제조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과 참고예 또는 평가예로서, KSF3211에 의거하여 시험편으로 제조한 후 시중에 유통되는 폴리우레탄 방수제 제품(한국특허등록 10-1771248호에 따라 제조된 제품임)과 비교하여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111593017-pat00001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은,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제품에 비하여, 내구성, 인장강도, 신장율, 인열강도 및 열화처리 후의 인장성능 등과 같은 모든 부분에서 매우 우수한 물성 특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에 의해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이 시공되기 위한 콘크리트 표면이 청소 및 처리된다.
여기서, 콘크리트 표면의 청소는, 콘크리트 표면에 붙어 있는 먼지, 오염물, 또는 오일을 제거하고 시공될 표면의 돌출부가 매끄럽게 처리되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1,4-싸이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와 4,6-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 100 중량부에 1,5-펜탄디올 80~90 중량부, 1,6-헥산디올 70~80 중량부, 메틸비닐에테르 60~70 중량부 및 알루미늄클로라이드 50~6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A액이 제조되고, 2-프로판-1-올 100 중량부에 2-N,N-디메틸아미노에탄올 80~90 중량부, 디에틸에테르 70~80 중량부, 디브로모싸이클로펜탄 60~70 중량부, 싸이클로펜탄 50~60 중량부 및 싸이클로헥산카보닐클로라이드 40~50 중량부를 혼합한 B액이 제조된 후, A액과 B액이 5:2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이 제조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제조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이 도포 또는 분사되어 도막 방수가 실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와 같은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공법은, 건축 토목 구조물 등에 스프레이 등을 통해 도포하면 우수한 인장강도, 저온유연성, 내충격성, 접착성, 내약품성 및 내마모성을 발휘하여 1회에 2mm 정도 두께로 도포하더라도 경화시간이 빠르고 도막의 표면 갈라짐 현상과 기포가 발생하지 않으며, 내구성이 우수하여 누수로 인한 구조물의 노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3)

1,4-싸이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와 4,6-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복합물 100 중량부에 1,5-펜탄디올 80~90 중량부, 1,6-헥산디올 70~80 중량부, 메틸비닐에테르 60~70 중량부 및 알루미늄클로라이드 50~6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A액과;
2-프로판-1-올 100 중량부에 2-N,N-디메틸아미노에탄올 80~90 중량부, 디에틸에테르 70~80 중량부, 디브로모싸이클로펜탄 60~70 중량부, 싸이클로펜탄 50~60 중량부 및 싸이클로헥산카보닐클로라이드 40~50 중량부를 혼합한 B액을 포함하고,
A액과 B액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액과 B액은,
5:2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
콘크리트 표면이 청소되는 단계와;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이 제조되는 단계와;
상기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이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 또는 분사되어 도막 방수가 실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200136840A 2020-10-21 2020-10-21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공법 KR102228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840A KR102228694B1 (ko) 2020-10-21 2020-10-21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840A KR102228694B1 (ko) 2020-10-21 2020-10-21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694B1 true KR102228694B1 (ko) 2021-03-16

Family

ID=7522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840A KR102228694B1 (ko) 2020-10-21 2020-10-21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6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813B1 (ko) * 2021-07-06 2021-09-10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수팽창성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적층식 노출 및 비노출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2409350B1 (ko) * 2021-10-13 2022-06-15 중앙방수기업 주식회사 친환경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방법
KR102584415B1 (ko) * 2023-07-14 2023-10-05 주식회사 벽산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제조방법 및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와 crc 복합 패널을 이용한 단열 보강 방수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899B1 (ko) * 1994-10-28 1999-04-01 우노 마사야스 경화성베이스코트도료조성물, 도막형성방법 및 도장물품
KR20050095874A (ko) * 2003-01-27 2005-10-04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료 조성물
KR101532383B1 (ko) * 2014-08-08 2015-07-01 김현민 자착식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6121241A (ja) * 2014-12-24 2016-07-07 昭和電工株式会社 薄膜印刷用導電性組成物及び薄膜導電パターン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899B1 (ko) * 1994-10-28 1999-04-01 우노 마사야스 경화성베이스코트도료조성물, 도막형성방법 및 도장물품
KR20050095874A (ko) * 2003-01-27 2005-10-04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료 조성물
KR101532383B1 (ko) * 2014-08-08 2015-07-01 김현민 자착식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6121241A (ja) * 2014-12-24 2016-07-07 昭和電工株式会社 薄膜印刷用導電性組成物及び薄膜導電パターン形成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WO2016121241 A1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813B1 (ko) * 2021-07-06 2021-09-10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수팽창성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적층식 노출 및 비노출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2409350B1 (ko) * 2021-10-13 2022-06-15 중앙방수기업 주식회사 친환경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방법
KR102584415B1 (ko) * 2023-07-14 2023-10-05 주식회사 벽산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제조방법 및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와 crc 복합 패널을 이용한 단열 보강 방수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8694B1 (ko)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공법
KR101833450B1 (ko)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US5278223A (en) Universal adhesive surfacer/filler
KR100947460B1 (ko) 폴리우레아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방수 코팅공법
KR10095648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폴리우레아 방수 코팅공법
KR100988201B1 (ko) 불소 변성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불소 변성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771248B1 (ko) 티타네이트 변성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322582B1 (ko)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14189140A1 (ja) 塗膜防水材用ウレタン組成物
US9446987B2 (en) Premixed hybrid grout
CA2456435C (en) Composite light weight building panel and core material therefor
KR101932244B1 (ko)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870122B1 (ko) 탄성복합화합물 및 이의 제조를 위한 탄성화합물 교반장치, 탄성복합화합물 및 우레탄을 이용한 복합방수방법
JP6799390B2 (ja) 高抗張積2液型環境対応手塗り用ウレタン防水材組成物およびウレタン防水工法
KR101241940B1 (ko)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
KR101691183B1 (ko)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409350B1 (ko) 친환경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방법
JPS6244784B2 (ko)
KR102341549B1 (ko) 연질 폴리우레탄 제조방법 및 연질과 경질 폴리우레탄이 결합된 바닥재 및 도막 방수공법
KR101058777B1 (ko) 폴리머 일액형 수용성 우레탄 방수제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102134978B1 (ko) 재활용 고무를 이용한 친환경 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6806B1 (ko) 초속경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100778230B1 (ko) 수용성 도막 방수제
KR102322586B1 (ko) 탄성 도막방수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589046B1 (ko) 수성 고무화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용 경화제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