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187B1 - 다기능성 옥상용 복합방수공법 - Google Patents

다기능성 옥상용 복합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5187B1
KR100725187B1 KR1020060080964A KR20060080964A KR100725187B1 KR 100725187 B1 KR100725187 B1 KR 100725187B1 KR 1020060080964 A KR1020060080964 A KR 1020060080964A KR 20060080964 A KR20060080964 A KR 20060080964A KR 100725187 B1 KR100725187 B1 KR 100725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ing
layer
waterproof
rooftop
waterproof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민
오상근
Original Assignee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성민 filed Critical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80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5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0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ppl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1차 방수층으로서 개량아스팔트 시트 방수재를 사용하고, 2차 방수층으로서 경질 발포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며, 보호층으로서 인조잔디를 사용하여 외관이 매우 수려하며, 1차 및 2차 방수층의 부분 보수시 인공잔디에 의해 보수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탈기구가 옥상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도록 한 다기능성 옥상용 복합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아스팔트시트의 PE필름측이 옥상의 바탕면과 접하도록 역방향으로 시공하여 바탕면으로부터 습기를 차단하고 상기 아스팔트 시트의 소성 부착 특성을 막을 수 있는 분리막으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기성을 유지하고, 상기 아스팔트시트 위에는 부직포를 함침 생산하여 강도를 보강하면서 상부에 도포되는 경질발포폴리우레탄과 잘 부착되도록 연결고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처리하여 제1방수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방수층위에는 도막방수재로서 경질폴리우레탄 폼을 스프레이 분사시켜 양호한 시공성을 확보하면서도 상기 제1방수층의 아스팔트 시트를 충격, 보행, 상부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고, 콘크리트 구조체 및 방수층에 대한 단열성을 확보하며, 슬래브 처짐, 굴곡부 단면수복 역할과 물흐름 경사(구배)를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단열/방수층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단열/방수층 위에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소정의 방식으로 시공하여 최종 보호층으로 시공되는 인조잔디를 제2 단열/방수층인 경질발포우레탄에 부 착시켜 인조잔디의 부착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내풍압 등으로 인한 분리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경질발포폴리우레탄의 장기침수에 대한 내수성을 보완하며, 최초 방수막 역할을 겸하도록 하고, 보행자의 보행 등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제3 방수/보호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3방수/보호층 위에는 보호마감층으로서 인조잔디를 시공하여 장기간 노출에 따른 자외선 및 외기온도변화에 대한 보호기능을 확보하고 보행충격 등 외부층격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면서도 미관을 개선효과가 뛰어나 옥상공간의 활용성(놀이공간, 생활공간, 골프연습 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되; 방수성능, 단열성능, 통기성능, 보호층, 단면수복기능, 구배형성기능(구배몰탈 타설 불필요) 및 옥상공간 활용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스팔트시트, PE필름, 제1방수층, 제2방수층, 제3방수층, 폴리우레탄 접착제, 인조잔디, 매립형탈기구

Description

다기능성 옥상용 복합방수공법{Complex water proofing method of the roof of the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1차방수층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2차방수층의 형성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차방수층의 형성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용 복합방수공법의 측 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내단열 및 외단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방수공법이 적용된 내단열 및 외단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매립형 탈기구조를 구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콘크리트 바탕면 2: 아스팔트시트의 분리막(PE)
3: 아스팔트시트 4: 보강부직포
10: 1차방수층 20: 2차방수층
30: 3차방수층(폴리우레탄접착제) 40: 보호층(인조잔디)
200: 단열층 300: 탈기로
301: 요홈 400: 습기조절통
401: 통기망 402: 흡습제 또는 습기조절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옥상방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차 방수층으로서 개량아스팔트 시트 방수재를 사용하고, 2차 방수층으로서 경질 발포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며, 보호층으로서 인조잔디를 사용하여 외관이 매우 수려하며, 1차 및 2차 방수층의 부분 보수시 인공잔디에 의해 보수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탈기구가 옥상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도록 한 다기능성 옥상용 복합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공사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수밀성과 강도와 하 중 그리고 충격 등에 의한 균열로 인해 방수의 개념이 대두되었고, 이러한 방수의 형태는 건축물에 있어서 지붕, 실내, 수조류 및 지하 방수로 분류될 수 있고, 특히 옥상 방수의 경우에는 아스팔트 방수, 시트 방수, 탄 우레탄 방수 및 고무 아스팔트 방수 등이 시공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방수 시공은 콘크리트를 숙성시키는 과정에서 방수액을 첨가하여 옥상을 짓거나, 또는 방수액을 이용하여 적층 후에 시트 등을 이용하여 마감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수 시공은 건설산업의 발전으로 지금까지 많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세워졌지만, 준공 후 유지관리의 부족으로 콘크리트의 부식, 누수 등의 문 제로부터 그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는 실정이다. 누수는 구조물의 성능저하를 가장 먼저 알려 주는 신호임과 동시에 주거 생활 및 시설물의 사용상 불편함을 주는 범인이기도 하다.
누수 하자에 따른 보수비용은 초기 시공비의 2~3배가 투입되지만 완전한 누수 보수가 어렵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재 누수가 발생되어 또다시 보수해야하는 시행착오가 반복됨으로서, 그에 따른 막대한 비용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 개발되고 있는 방수공법은 대부분 시트-도막 형태의 2중 복합성상을 띠고 있고 대부분 노출용으로의 개발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노출용 옥상방수공법의 개발시 가장 큰 어려움은 바로 외기노출로 인한 자외선, 비바람, 충격(보행, 낙하물등 과 같은 열화요인에 대한 저항성능의 확보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 없이 단순히 도막 또는 시트의 물리적 특성에만 의존하고 있으며, 슬래브 단면의 두께 부족 등으로 인한 단열/결로문제에 대한 대응을 전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수 시공에 의하면, 약 1년 내지 2년 정도 후에 부분적으로 다시 방수를 해야하고, 이러한 보수공사에 의해서도 누수 되는 부분을 완전하게 방수처리를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개량아스팔트의 시공시 바탕면과의 밀착(전면부착) 방식의 경우 시트의 전면 부착으로 통기가 부족하여 잔존하던 수분이 표층부 즉, 시트와 몰탈면(구조체 바탕면) 사이에서 머무르면서 상호간의 부착성을 떨어뜨리고 수분의 잔존으로 몰탈면이 몰탈의 표층부부터 탈락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바탕면과의 절연이 필요하지만, 외기 온도상승과 상부 압력작용에 의한 아스팔트의 소성부착력에 의해 시공시에는 절연시켰으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소성부착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통기성 및 절연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바탕면 접착식 아스팔트 시트 시공시에는 시트의 부풀음 등을 예방하여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탈기구가 옥상 위로 돌출되어 보행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옥상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캐노피에 설치되므로 그에 따른 설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근본 목적은 종래의 옥상 노출용 복합방수공법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구조물 형태에 따른 다양한 적용성과, 주 방수층의 보호를 통한 내구성 확보, 보호층의 주기적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성 확보, 단열성능 확보를 통한 구조물의 에너지 관리비용 저감, 기타 옥상의 보행성과 미관을 개선하여 활용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다기능성 옥상용 복합방수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옥상방수공법은, 아스팔트시트의 PE필름측이 옥상의 바탕면과 접하도록 역방향으로 시공하여 바탕면으로부터 습기를 차단하고 상기 아스팔트 시트의 소성 부착 특성을 막을 수 있는 분리막으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기성을 유지하고, 상기 아스팔 트시트 위에는 부직포를 함침 생산하여 강도를 보강하면서 상부에 도포되는 경질발포폴리우레탄과 잘 부착되도록 연결고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처리하여 제1방수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방수층위에는 도막방수재로서 경질폴리우레탄 폼을 스프레이 분사시켜 양호한 시공성을 확보하면서도 상기 제1방수층의 아스팔트 시트를 충격, 보행, 상부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고, 콘크리트 구조체 및 방수층에 대한 단열성을 확보하며, 슬래브 처짐, 굴곡부 단면수복 역할과 물흐름 경사(구배)를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단열/방수층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단열/방수층 위에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소정의 방식으로 시공하여 최종 보호층으로 시공되는 인조잔디를 제2 단열/방수층인 경질발포우레탄에 부착시켜 인조잔디의 부착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내풍압 등으로 인한 분리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경질발포폴리우레탄의 장기침수에 대한 내수성을 보완하며, 최초 방수막 역할을 겸하도록 하고, 보행자의 보행 등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제3 방수/보호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3방수/보호층 위에는 보호마감층으로서 인조잔디를 시공하여 장기간 노출에 따른 자외선 및 외기온도변화에 대한 보호기능을 확보하고 보행충격 등 외부층격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면서도 미관을 개선효과가 뛰어나 옥상공간의 활용성(놀이공간, 생활공간, 골프연습 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되;
방수성능, 단열성능, 통기성능, 보호층, 단면수복기능, 구배형성기능(구배몰탈 타설 불필요) 및 옥상공간 활용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2방수층을 형성하는 경질폴리우레탄 폼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대 다가 배합물의 총체적인 비율이 NOC:OH의 비가 0.90 내지 1.15:1의 범위가 되도록 반응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방수층을 형성하는 경질폴리우레탄 폼은, 우레탄 배합 주제와 경화제를 소정의 배합비(주제/경화제: 1/2.25)로 혼합시켜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방수층을 형성하는 경질폴리우레탄 폼은, 콘크리트바탕면의 처짐, 구배불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5 ~ 30㎜의 두께를 갖도록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건축물에 따라 적당한 두께로 분사(뿜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넓은 면적일 경우 스프레이 시공하며, 부분적인 작업의 경우 헤라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옥상방수공법은, 콘크리트 바탕면에는 습기조절통 매입을 위한 요홈을 설치하고; 다수의 탈기로가 상호 연결되게 형성되며; 상기 탈기로에는 소정의 비(非)부착형 시트 또는 부직포와 같은 테이프 형태의 탈기로를 설치하고; 상기 요홈에는 습기에 의해 발생된 물을 수용/배출하기 위한 습기조절통이 삽입되며; 상기 습기조절통에는 통기성이 우수한 통기망을 삽입하고; 상기 통기망에는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흡습제 또는 습기조절재 수용되도록 한 매립형 탈기수단을 준비하고; 상기 매립형 탈기수단이 구비된 상기 콘크리트 바탕면에는 제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1차방수층으로서 역방향시공 부직포함침 개량아스팔트 시트 설치, 2차 단열/방수층으로서 경질발포폴리우레탄폼 뿜칠시공, 3차방수층 및 보호층으로서 인조잔디를 폴리우레탄으로 순차적으로 부착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주방수층인 1차방수층(1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바, 종래의 아스팔트의 시공시 바탕면과의 밀착(전면부착) 방식의 경우 시트의 전면 부착으로 통기가 부족하여 잔존하던 수분이 표층부 즉, 시트와 몰탈면(구조체 바탕면) 사이에서 머무르면서 상호간의 부착성을 떨어뜨리고 수분의 잔존으로 몰탈면이 몰탈의 표층부부터 탈락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바탕면과의 절연이 필요하지만, 외기 온도상승과 상부 압력작용에 의한 아스팔트의 소성부착력에 의해 시공시에는 절연시켰으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소성부착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통기성 및 절연성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이 개선을 위해서 도 1에서와 같이 기존 아스팔트시트 생산시 시트 상면에 부착되어 생산되는 PE필름(2)을 시트하면(下面)에 오도록 시공하여 바탕면(1)으로부터 습기를 차단하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아스팔트 시트(3)의 소성 부착 특성을 막을 수 있는 분리막으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기성을 유지하고, 기존 하면에 부착시공되던 부위는 시트 상면(上面)에 오도록 하는 역방향 시공으로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상면에는 2차 방수층(20)으로 시공되는 도막방수층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부직포(4)를 함침하여 제조하였다. 따라서, 부직포가 상부에 도포되는 2차방수층인 경질폴리우레탄과 잘부착되도록 연결고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1방수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2에는 2차방수층(20)인 경질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바, 본 발명에서 보조방수층으로 적용되는 도막방수재인 경질폴리우레탄 폼(20)은 석유화학 계열인 두 종류의 화학제(A: 이소시아네이트, B: 폴리올)을 반응시키면 복잡한 반응이 짧은 시간내에 중복되어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생성된 고분자 화합물인 고성능의 폼을 말하며, 폴리우레탄 MDI(METHYI DIISOCINATE: 경화제)와 PPG(POLY PROPILENE GLYCOL: 발포제), 발포제 촉매(F-11), 계면 활성제 및 기타 첨가제 등의 원료가 적절한 배합비로 혼합되어있다.
다시 말하면, 제2방수층을 형성하는 경질폴리우레탄 폼(20)은, 예컨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다가 배합물의 총체적인 비율이 NOC:OH의 비가 0.90 내지 1.15:1의 범위가 되도록 반응시켜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우레탄 배합 주제와 경화제를 소정의 배합비(주제/경화제 : 1/2.25)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A제 및 B제는 도 2에서와 혼합장치에 의해 1차 방수층(10) 상면에 뿜칠 시공되어 지는데 이때 바탕면(1)의 처짐, 구배불량 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질의 재질로 5~30mm, 바람직하게는 20mm이상의 두께를 확보하게 되므로써 1차 방수층(10)인 아스팔트 시트를 충격, 보행, 상부 하중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따라서, 제2 단열/방수층은 제1방수층의 아스팔트 시트를 충격, 보행, 상부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고, 콘크리트 구조체 및 방수층에 대한 단열성을 확보하며, 슬래브 처짐, 굴곡부 단면수복 역할과 물흐름 경사(구배)를 형성이 가능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1차 방수층(10)이 시트방수층인 점을 고려한다면 그동안 시트방수층의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접합부(시트간 겹침부)의 하자 문제와 아스팔트 공법의 비노출 특성을 커버할 수 있는 도막형(뿜칠형) 재료의 복합시공은 최근 신기술의 전체적인 흐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보호층(40)으로서 3차 방수층 역할을 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방수용)(30)와 2차 보호(최종 보호)층 역할을 하는 인조잔디(40)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30)는 1차적으로는 최종 보호층(40)으로 시공되는 인조잔디를 2차 방수층인 경질발포우레탄(20)에 부착시킴으로써 부착안정성을 확보하여 내풍압 등의 풀아웃(Pull Out) 사용환경에 대응하기 위함이며, 2차적으로는 경질발포우레탄(20)의 장기침수에 대한 내수성을 보완하고 최초 방수막 역할을 하기 위함이다. 넓은 면적은 스프레이 시공이 가능하며, 부분적인 작업에는 헤라를 사용할 수 있는데, 폴리우레탄 접착제(30)의 실예는 다음과 같다.
구 분 헤 라 코 팅 용 스 프 레 이 용
주성분 POLYURETANE POLYURETANE
외 관 갈색점조 갈색점 조
고 형 분 (%) 95 +1 88 + 1
점도(CPS/25℃) 5,000 + 7,000 1,500 + 2,000
주 용 제 메 틴 에 릴 케 톤 메 틴 에 릴 케 톤
한편 보호층(40)인 인조잔디는 PP, NYLON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잔디높이 6mm 이상을 확보할 수 있다. 내충격으로부터 하부 복합방수층을 보호하고, 외관 및 보행성이 탁월해 옥상층 사용환경을 쾌적하게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옥상정원, 골프연습, 어린이 놀이터 등 다양한 사용성을 부가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본 발명은 기존 방수공법의 경우 대부분 단일방수층의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에 방수층이 외부적인 손상요인에 의해 파손이 되었을 경우 누수환경에 그대로 노출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기존 시트-도막 복합형 신기술 방수공법의 경우도 대부분 2중 방수층까지의 형태를 띠지만 시트방수층 위에 시공된 도막방수재가 파손될 경우 시트방수층 조인트부를 통해 누수와 직결되어 전체적인 방수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는 것은 지금까지 발생된 누수사고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신기술은 3중 방수층과 2중 보호층의 적절한 조합으로 보다 안정적인 다단계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폴리 우레탄 폼은 일반 단열재(100)에 비해 월등한 단열효과를 발휘한다. 단열재의 단열성은 두께가 일정할 경우 열전도율에 의해 좌우되며, 열전도율이 낮을수록 우수한 단열성을 갖는다. 평균온도 약 30℃에서 보면, 무기질 섬유 단열재는 0.03~0.04kcal/mh℃, 유기 단열재(200)는 0.022~0.039kcal/mh℃의 범위를 가지고 있다. 대체로 유기 발포질 단열재의 열전도율이 무기섬유질보다 낮으며, 시판되고 있는 단열재 가운데 열전도율이 가장 낮아 단열성이 우수한 재료는 경질 폴리우레탄 폼이다. 이는 열전도율이 매우 낮은 프레온가스(열전도율이 약 0.006kcal/mh℃)를 발포제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표1) 폴리우레탄폼의 열전도율(단위: kcal/mh℃)
종류 폴리우레탄 폼 스티로풀 유리섬유 암 면 몰 탈
열전도율 0.015 0.03 0.036 0.04 0.5
일반적으로 내단열 시스템에 비해 도 5b와 같이 외단열 시스템이 단열효과가 높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중에 하나이지만 실직적으로 대부분의 건축물은 도 5a 에서와 같이 단열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은 내단열로 시공되어 있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가장 큰 이유는 옥상층에 설치되는 방수층(100)과의 관계이며, 현재 사용중인 대부분의 옥상 노출용 방수공법이 단열층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보호기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경우 기존 내단열 건축물에 보수공법으로 적용될 경우 부족한 단열성능을 경질 폴리우레탄 폼을 20mm이상 외단열 개념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 내단열층(도 6b 참조)와 같이 과 함께 구조물의 단열성능을 보완하여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신축구조물일 경우 도 6a와 같이 외단열층을 먼저 시공하고 그 상부에 시트방수재를 절연시공하여 경질 폴리우레탄 폼으로 방수성과 보호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외단열 시공이 가능한 방수공법이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콘크리트 바탕면(1)에는 습기조절통 매입을 위한 요홈(301)을 설치하고,다수의 탈기로(300)가 상호 연결되게 형성되는바, 이 탈기로는 소정의 비(非)부착형 시트 또는 부직포와 같은 테이프를 부착시켜 수분등이 요홈(301)에 스며들어 모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요홈(301)에는 습기에 의해 발생된 물을 수용/배출하기 위한 습기조절통(400)이 삽입되며, 이 습기조절통(400)에는 통기성이 우수한 통기망(401)을 삽입하고, 이 통기망(401)에는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흡습제 또는 습기조절재(402)가 수용되도록 한 매립형 탈기수단을 구비하였다.
따라서, 매립형 탈기수단이 구비된 콘크리트 바탕면(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1차방수층(10)으로서 역방향시공 부직포함침 개량아스팔트 시트를 설치하고, 2 차 단열/방수층(20)으로서 경질발포폴리우레탄폼 뿜칠시공, 3차방수층(30) 및 보호층(40)으로서 인조잔디를 폴리우레탄으로 순차적으로 부착 시공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은 돌출형 탈기구로 인한 보행상의 불편함을 완전히 해소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물 형태에 따른 다양한 적용성과, 주 방수층의 보호를 통한 내구성 확보, 보호층의 주기적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성 확보, 단열성능 확보를 통한 구조물의 에너지 관리비용 저감, 기타 옥상의 보행성과 미관을 개선하여 활용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매립형 탈기구의 형상은 작업자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6)

  1. 아스팔트시트의 PE필름측이 옥상의 바탕면과 접하도록 역방향으로 시공하여 바탕면으로부터 습기를 차단하고 상기 아스팔트 시트의 소성 부착 특성을 막을 수 있는 분리막으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기성을 유지하고, 상기 아스팔트시트 위에는 부직포를 함침 생산하여 강도를 보강하면서 상부에 도포되는 경질발포폴리우레탄과 잘 부착되도록 연결고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처리하여 제1방수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방수층위에는 도막방수재로서 경질폴리우레탄 폼을 스프레이 분사시켜 양호한 시공성을 확보하면서도 상기 제1방수층의 아스팔트 시트를 충격, 보행, 상부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고, 콘크리트 구조체 및 방수층에 대한 단열성을 확보하며, 슬래브 처짐, 굴곡부 단면수복 역할과 물흐름 경사(구배)를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단열/방수층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단열/방수층 위에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소정의 방식으로 시공하여 최종 보호층으로 시공되는 인조잔디를 제2 단열/방수층인 경질발포우레탄에 부착시켜 인조잔디의 부착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내풍압 등으로 인한 분리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경질발포폴리우레탄의 장기침수에 대한 내수성을 보완하며, 최초 방수막 역할을 겸하도록 하고, 보행자의 보행 등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제3 방수/보호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3방수/보호층 위에는 보호마감층으로서 인조잔디를 시공하여 장기간 노출에 따른 자외선 및 외기온도변화에 대한 보호기능을 확보하고 보행충격 등 외부층격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면서도 미관을 개선효과가 뛰어나 옥상공간의 활용성(놀이공간, 생활공간, 골프연습 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되;
    방수성능, 단열성능, 통기성능, 보호층, 단면수복기능, 구배형성기능(구배몰탈 타설 불필요) 및 옥상공간 활용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옥상용 복합방수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수층을 형성하는 경질폴리우레탄 폼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대 다가 배합물의 총체적인 비율이 NOC:OH의 비가 0.90 내지 1.15:1의 범위가 되도록 반응시켜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옥상용 복합방수공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수층을 형성하는 경질폴리우레탄 폼은,
    우레탄 배합 주제와 경화제를 소정의 배합비(주제/경화제 : 1/2.25)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옥상용 복합방수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수층을 형성하는 경질폴리우레탄 폼은,
    콘크리트바탕면의 처짐, 구배불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5 ~ 30㎜의 두께를 갖도록 분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옥상용 복합방수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넓은 면적일 경우 스프레이 시공하며, 부분적인 작업의 경우 헤라를 이용하여 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옥상용 복합방수공법.
  6. 콘크리트 바탕면에는 습기조절통 매입을 위한 요홈을 설치하고;
    다수의 탈기로가 상호 연결되게 형성되며;
    상기 탈기로에는 소정의 비(非)부착형 시트 또는 부직포와 같은 테이프 형태의 탈기로를 설치하고;
    상기 요홈에는 습기에 의해 발생된 물을 수용/배출하기 위한 습기조절통이 삽입되며;
    상기 습기조절통에는 통기성이 우수한 통기망을 삽입하고;
    상기 통기망에는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흡습제 또는 습기조절재 수용되도록 한 매립형 탈기수단을 준비하고;
    상기 매립형 탈기수단이 구비된 상기 콘크리트 바탕면에는 제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1차방수층으로서 역방향시공 부직포함침 개량아스팔트 시트 설치, 2차 단열/방수층으로서 경질발포폴리우레탄폼 뿜칠시공, 3차방수층 및 보호층으로서 인조잔디를 폴리우레탄으로 순차적으로 부착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옥상용 복합방수공법.
KR1020060080964A 2006-08-25 2006-08-25 다기능성 옥상용 복합방수공법 KR100725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964A KR100725187B1 (ko) 2006-08-25 2006-08-25 다기능성 옥상용 복합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964A KR100725187B1 (ko) 2006-08-25 2006-08-25 다기능성 옥상용 복합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5187B1 true KR100725187B1 (ko) 2007-06-04

Family

ID=3835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964A KR100725187B1 (ko) 2006-08-25 2006-08-25 다기능성 옥상용 복합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518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429B1 (ko) 2011-04-08 2011-10-17 (주) 참우테크 폴리우레아, 우레탄, 에폭시 도막방수 공법
KR101117482B1 (ko) 2009-10-07 2012-02-29 오두영 모세관 탈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또는 바닥재 시공방법
NL1038269C2 (nl) * 2010-09-28 2012-03-29 Spekpannekoek B V Vlakdak.
KR101306629B1 (ko) * 2011-12-20 2013-09-11 주식회사 젠트로 건물의 옥상 방수 구조
KR101713499B1 (ko) 2016-09-22 2017-03-07 (주)탱크마스타 항균성능을 가지는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수조 방수공법
KR20190066499A (ko) 2017-12-05 2019-06-1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방수 구조체
CN112302260A (zh) * 2020-11-10 2021-02-02 江苏沪邦建材有限公司 一种轻质隔热型预制屋面板
KR102282177B1 (ko) 2020-11-12 2021-07-28 다우산업(주) 향상된 단열성 및 항균성을 갖는 복합방수공법
CN115044019A (zh) * 2022-06-24 2022-09-13 江门市长河化工实业集团有限公司 树脂的制备方法及树脂喷涂发泡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048Y1 (ko) 2000-06-22 2000-12-15 아하산업개발주식회사 단열 및 방수층을 갖는 슬라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048Y1 (ko) 2000-06-22 2000-12-15 아하산업개발주식회사 단열 및 방수층을 갖는 슬라브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482B1 (ko) 2009-10-07 2012-02-29 오두영 모세관 탈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또는 바닥재 시공방법
NL1038269C2 (nl) * 2010-09-28 2012-03-29 Spekpannekoek B V Vlakdak.
KR101074429B1 (ko) 2011-04-08 2011-10-17 (주) 참우테크 폴리우레아, 우레탄, 에폭시 도막방수 공법
KR101306629B1 (ko) * 2011-12-20 2013-09-11 주식회사 젠트로 건물의 옥상 방수 구조
KR101713499B1 (ko) 2016-09-22 2017-03-07 (주)탱크마스타 항균성능을 가지는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수조 방수공법
KR20190066499A (ko) 2017-12-05 2019-06-1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방수 구조체
CN112302260A (zh) * 2020-11-10 2021-02-02 江苏沪邦建材有限公司 一种轻质隔热型预制屋面板
KR102282177B1 (ko) 2020-11-12 2021-07-28 다우산업(주) 향상된 단열성 및 항균성을 갖는 복합방수공법
CN115044019A (zh) * 2022-06-24 2022-09-13 江门市长河化工实业集团有限公司 树脂的制备方法及树脂喷涂发泡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5187B1 (ko) 다기능성 옥상용 복합방수공법
KR100804677B1 (ko)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 방수층 및 방수방법
KR100960913B1 (ko) 단열방수복합보드 및 그 단열방수복합보드를 이용한 단열방수 시공 방법
US20060254207A1 (en) Composite roof and wall system -- three in one -- fireproof, insulation, and waterproofing
JP5882586B2 (ja) 床面の防水方法
KR102008963B1 (ko) 방수성과 고내구성을 가지는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2088103B1 (ko) 복합 방수층
KR101361910B1 (ko) 단열성능을 가진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와 고분자 복합시트의 일체화 방수 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20060085447A (ko)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35712B1 (ko) Tpu 필름을 활용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76136B1 (ko) 중공층을 갖는 압축단열보드를 이용한 노출형 차열 및 단열 방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462163B1 (ko) 패드형 방수시트
KR20100105211A (ko) 개량방수시트와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JP2008069563A (ja) 建物又は構築物のための断熱防水層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321734B1 (ko) 단열성능을 가진 고분자 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 시트 방수공법
KR101061241B1 (ko) 복합 기능성 보드와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 및 녹화 구조
KR100653597B1 (ko) Epdm 고무 방수 시트를 활용한 건물 옥상 녹지화 조경방수 구조 및 방수 방법
CN207776289U (zh) 一种防水保温屋面系统
KR20020083338A (ko) 옥상방수 공법
KR102484066B1 (ko) 침투성 폴리머 방수재 및 습윤면 속경성 폴리머 모르타르가 적층 도포된 도막방수 시스템 및 그 시공공법
KR101332646B1 (ko) 단열성능을 가진 이중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101752214B1 (ko) 침투식 액체 방수제, 아스팔트 및 보강그리드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10073903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다기능 복합 방수 공법
KR101433129B1 (ko) 아스팔트 우레탄 방수 도막재와 혼합수지 보호시트를 포함하는 이중복합 노출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13524B1 (ko) 아스팔트 우레탄 방수 도막재와 혼합합성수지 보호시트를 포함하는 이중복합 노출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