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833B1 - 수동 개폐형 댐퍼 - Google Patents

수동 개폐형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833B1
KR101241833B1 KR1020120099198A KR20120099198A KR101241833B1 KR 101241833 B1 KR101241833 B1 KR 101241833B1 KR 1020120099198 A KR1020120099198 A KR 1020120099198A KR 20120099198 A KR20120099198 A KR 20120099198A KR 101241833 B1 KR101241833 B1 KR 101241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s
damper
rotation
lev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수
임현택
이정휴
이규재
황희재
고우식
Original Assignee
(주) 늘푸른동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늘푸른동방 filed Critical (주) 늘푸른동방
Priority to KR1020120099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 개폐형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면이 개구되어 공기통로를 형성하며 덕트에 연결되는 댐퍼본체; 상기 댐퍼본체의 내부를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다수의 블레이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며, 일단부가 상기 댐퍼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회전샤프트; 및 상기 댐퍼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샤프트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회전샤프트들을 개별적으로 수동 조작하는 다수의 수동 조작용 레버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동 개폐형 댐퍼{Damper capable of manual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은, 수동 개폐형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덕트 내의 풍량이나 정압을 수동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수동 개폐형 댐퍼에 관한 것이다.
댐퍼는 대형 건물의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 이동시켜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만들기 위할 뿐만 아니라, 반도체 공장과 같이 공정상 발생되는 해로운 공기 및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건물의 천정 등에 배설된 덕트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덕트 내를 유동하는 공기의 이동 흐름을 차단하거나 공기 유동량을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반도체 공정(30)이 행해지고 있는 밀폐된 공간은 그 공정상 발생되는 해로운 공기 및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덕트(3)를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덕트(3)는 반도체 공정상 제품 생산에 밀접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실내외 정압변화를 최소화시키고 항상 일정한 전체 풍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반댐퍼부(①)와 예비댐퍼부(②)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일반댐퍼부(①)과 예비댐퍼부(②)를 일정 시간동안 교대로 작동시키면서 반도체 공정상 발생되는 냄새와 해로운 공기를 강제로 외부 토출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덕트(3) 상에 설치되어 공기 흐름의 차단 또는 공기 유동량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는 통상, 구동부와 블레이드를 가지며 상기 구동부의 조작에 따라 블레이드가 작동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도 2의 종래의 댐퍼 구조(1)를 살펴보면, 덕트(3) 사이의 임의 위치에 속이 빈 사각틀체형의 댐퍼프레임(10)이 덕트(3)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있고, 이 댐퍼프레임(10)의 내부에는 중앙부에 회전축(30)이 양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다수 개, 도면상에는 일예로 2개의 블레이드(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댐퍼(1)를 개폐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동부의 회전축(30)을 도 2의 (b)와 같이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축(30)에 블레이드(20)와 구동링크(40)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블레이드(20)가 함께 회전하면서 도 2의 (a)와 같이 닫혀있던 상/하측 다수개의 블레이드(20)가 동시에 개방되어 댐퍼프레임(10) 내부의 공간을 개방하여 댐퍼(1) 양측의 덕트(3)가 서로 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20)를 닫는 경우는 댐퍼(1)를 개방할 때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축(30)을 회전시키면 상/하측 블레이드(20)의 각각의 절곡부가 서로 겹쳐지게 걸리면서 댐퍼프레임(10)의 내부공간을 폐쇄시켜 댐퍼(1) 양측을 차단시키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댐퍼(1) 공간을 상하측 블레이드(20)로서 막아 그 공간을 차단하게 되면, 덕트가 차단되어 공기 조화된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댐퍼(1)의 블레이드(20)는 그 상부의 축이 각각의 구동링크(40)에 연결되고 이들 구동링크(40)는 공통의 연결링크(41)에 연결되어 이러한 연결링크(41)와 이에 연결된 구동링크(40)의 작동으로 각 댐퍼블레이드(20)가 동일한 개방정도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수개의 블레이드(20)가 동시에 움직이는 구조는 블레이드(20)가 한꺼번에 개방됨으로써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정압을 유지하는데 있어 압력이 일정하지 않은 헌팅(hunting) 현상이 발생하고, 구동링크(40)와 연결링크(41)를 연결함에 있어서 단부에 구동링크(40)의 일측단부를 용접으로 고정 연결함으로서 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훼손된 블레이드(20)의 교체가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안으로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08-0056426호와 같은 댐퍼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문헌에 개시된 댐퍼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블레이드(51)를 이용해 내부 공기통로를 개방하거나 차단시키도록 구성되되, 크게 상기 공기통로를 가지는 댐퍼본체(2)와, 수동 또는 자동 조작에 의해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3)와, 상기 구동부(3)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댐퍼본체(2) 개폐를 위한 직접적인 작동동력을 전달하는 작동부(4)와, 상기 구동부(3)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은 작동부(4)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51)가 작동되어 댐퍼본체(2)의 공기통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운동을 행하는 개폐부(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은 별도의 동력이 제공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구성이 복잡하고 각 블레이드의 개폐 정도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원하는 바의 풍량이나 정압을 달성하기에는 미흡한 한계가 있어 왔다. 뿐만 아니라 서브 덕트의 훅크 업(hook up) 시에도 공기량을 조절하여 헌팅 없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도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5642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덕트 내의 풍량이나 정압을 수동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수동 개폐형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양측면이 개구되어 공기통로를 형성하며 덕트에 연결되는 댐퍼본체; 상기 댐퍼본체의 내부를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다수의 블레이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며, 일단부가 상기 댐퍼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회전샤프트; 및 상기 댐퍼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샤프트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회전샤프트들을 개별적으로 수동 조작하는 다수의 수동 조작용 레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개폐형 댐퍼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다수의 수동 조작용 레버유닛 각각은, 레버 핸들; 및 상기 레버 핸들을 지지하며, 상기 블레이드가 기설정된 회전각도 내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레버 핸들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회전각 제한용 핸들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각 제한용 핸들지지체에는 상기 레버 핸들이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아크(arc) 형상의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 핸들은 상기 가이드 슬릿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댐퍼본체와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 사이사이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다수의 기밀유지용 덧댐판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는, 순차적으로 사이즈가 작아지는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회전샤프트는, 상기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와 각각 연결되며, 순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제1 내지 제3 회전샤프트를 포함하며, 제3 회전샤프트는 제2 회전샤프트 내부에, 제2 회전샤프트는 제1 회전샤프트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는,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고 상기 댐퍼본체 내에서 동일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덕트 내의 풍량이나 정압을 수동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건물 또는 공장 내 댐퍼를 가지는 덕트 설치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댐퍼 개폐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또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댐퍼 개폐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동 개폐형 댐퍼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들이 일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제1 내지 제3 수동 조작용 레버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4의 우측 단면도 및 좌측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동 개폐형 댐퍼의 우측 단면도 및 좌측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동 개폐형 댐퍼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들이 일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들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동 개폐형 댐퍼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들이 일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제1 내지 제3 수동 조작용 레버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4의 우측 단면도 및 좌측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수동 개폐형 댐퍼는, 덕트 내의 풍량이나 정압을 수동으로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양측면이 개구되어 공기통로를 형성하며, 덕트에 연결되는 댐퍼본체(100), 댐퍼본체(100)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111~113),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와 각각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회전샤프트(121~123), 그리고 제1 내지 제3 수동 조작용 레버유닛(131~133)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편의를 위해 댐퍼본체(100)를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111~113)가 3개 마련되고 있기 때문에, 그에 대응되게 제1 내지 제3 회전샤프트(121~123), 그리고 제1 내지 제3 수동 조작용 레버유닛(131~133) 역시 3개씩 마련된다.
하지만, 이의 수치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111~113)는 2개 혹은 4개 이상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111~113)는 모두가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물론, 제3 블레이드(113)만이 완전한 사각형 판재로 형성될 뿐, 제1 및 제2 블레이드(111,112)는 내부가 빈 사각루프 형상을 갖는다.
즉 제3 블레이드(113)가 제2 블레이드(112)의 내부 개구에 배치되고, 제2 블레이드(112)가 제1 블레이드(111)의 내부 개구에 배치됨으로써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111~113)는 모두가 댐퍼본체(100)의 내부에서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댐퍼본체(100)의 내부를 개별적으로 개폐한다.
특히,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111~113)가 개별적으로 동작되면서 댐퍼본체(100)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댐퍼본체(100) 내의 풍량이나 정압을 수동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내지 제3 회전샤프트(121~123)는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111~113)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111~113)의 회전축심을 형성한다.
제1 내지 제3 회전샤프트(121~123)는 모두가 파이프(pipe) 형상의 구조물로 마련되는데, 제3 블레이드(113)와 연결되는 제3 회전샤프트(123)의 직경 사이즈가 가장 작으며, 순차적으로 제2 블레이드(112)와 연결되는 제2 회전샤프트(122), 그리고 제1 블레이드(111)와 연결되는 제1 회전샤프트(121)의 직경 사이즈가 커지도록 적용된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샤프트(121) 내부에 제2 회전샤프트(122)가 배치되고 제2 회전샤프트(122) 내부에 제3 회전샤프트(123)가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회전샤프트(121~123)의 개별 동작 시 서로간의 간섭 없이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111~113)를 회전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1 내지 제3 회전샤프트(121~123)의 일단부는 모두가 댐퍼본체(10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제1 내지 제3 수동 조작용 레버유닛(131~133)과 연결된다. 타단부는 타측으로 노출되어 캡(150)으로 마감되어 기밀 결합된다.
제1 내지 제3 수동 조작용 레버유닛(131~133)은 댐퍼본체(100)의 외측에서 제1 내지 제3 회전샤프트(121~123)에 각각 연결되어 제1 내지 제3 회전샤프트(121~123)를 개별적으로 수동 조작하는 역할을 한다.
사이즈만이 다를 뿐 제1 내지 제3 수동 조작용 레버유닛(131~133)의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 즉 제1 내지 제3 수동 조작용 레버유닛(131~133) 모두는, 레버 핸들(131a~133a)과, 레버 핸들(131a~133a)을 지지하며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111~113)가 한쪽 방향으로의 회전만 허용되도록 레버 핸들(131a~133a)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회전각 제한용 핸들지지체(131b~133b)를 포함한다.
회전각 제한용 핸들지지체(131b~133b)의 레버 핸들(131a~133a)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막혀 있는 구조의 회전각 제한용 핸들지지체(131b~133b) 내에서 정해진 회전각, 예컨대 90도 내의 범위에서 회전되면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111~113)를 회전시킨다.
회전각 제한용 핸들지지체(131b~133b)들에는 레버 핸들(131a~133a)들이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아크(arc) 형상의 가이드 슬릿(131c~133c)이 형성된다. 레버 핸들(131a~133a)들은 가이드 슬릿(131c~133c)에 볼트 결합될 수 있는데, 공구 없이 레버 핸들(131a~133a)들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하기 위해 나비너트(B/N)가 적용된다. 가이드 슬릿(131c~133c)은 각 블레이드(111~113)가 90도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그 호의 길이가 한정 형성된다.
한편, 도 5에서 도 4처럼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111~113)가 동작되어 댐퍼본체(100) 내의 개구를 차폐하려 하는 경우, 댐퍼본체(100)의 내벽과 제1 블레이드(111) 간에 기밀유지가 되지 못하고 틈새가 발생된다거나 혹은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111~113) 상호간에 기밀유지가 되지 못하고 틈새가 발생되면 댐퍼본체(100) 내의 풍량이나 정압을 수동으로 미세 조절하기가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 댐퍼본체(100)와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111~113)들 사이사이에는 댐퍼본체(100)와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111~113)들 사이사이의 기밀유지를 위한 다수의 기밀유지용 덧댐판(141~143)이 마련된다.
기밀유지용 덧댐판(141~143)들은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111~113)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전후방에 반반씩 배치되어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111~113)가 닫힐 경우, 댐퍼본체(100)와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111~113)들 사이사이의 틈새를 차단시켜 기밀유지시킨다. 도 7 및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양측면을 각각 도시한 것으로, 우측면도인 도 7에는 상방으로만 기밀유지용 덧댐판(141~143)이 배치되고 있으며, 좌측면을 나타낸 도 8에는 하방으로만 기밀유지용 덧댐판(141~143)이 배치되고 있다. 이는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111~113)의 회전방향을 고려하여 각 블레이드(111~113)의 회전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로 기밀유지용 덧댐판(141~143)을 배치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나비너트(B/N)를 풀어 레버 핸들(131a~133a)들의 회전을 허용시킨 상태에서 레버 핸들(131a~133a)들을 회전시키게 되면 예컨대, 도 4에서 도 5처럼 제1 내지 제3 회전샤프트(121~123)들을 그 회전축심으로 하여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111~113)가 회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댐퍼본체(100) 내의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111~113)가 개별적으로 동작되면서 댐퍼본체(100)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댐퍼본체(100) 내의 풍량이나 정압을 수동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본체(100) 내의 풍량이나 정압을 수동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동 개폐형 댐퍼의 우측 단면 및 좌측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제3 블레이드(213)는 원형의 판상체로, 제2 블레이드(212)는 원형 도넛 형상의 판상체, 제1 블레이드(211)는 내부에 원형 통공이 형성된 사각 판상체로 제작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기밀유지용 덧댐판(242~243)들의 형상이 달라진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그 구조, 동작 및 기능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댐퍼본체(100) 내의 풍량이나 정압을 수동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동 개폐형 댐퍼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들이 일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댐퍼본체(100)의 내부를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3개의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311~313)를 개시하고 있기는 하지만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311~313)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고 댐퍼본체(100) 내에서 상호간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댐퍼본체(100)의 내부를 개별적으로 개폐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수동 개폐형 댐퍼 역시 충분히 적용가능한데, 이러한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 기밀유지용 덧댐판(341~343)들의 형상과 위치가 달라진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그 구조, 동작 및 기능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댐퍼본체(100) 내의 풍량이나 정압을 수동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모두 사각 덕트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동일한 사상으로 원형 덕트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댐퍼본체
111~113 :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
121~123 : 제1 내지 제3 회전샤프트
131~133 : 제1 내지 제3 수동 조작용 레버유닛
131a~133a : 레버 핸들
131b~133b : 회전각 제한용 핸들지지체
131c~133c : 가이드 슬릿
141~143 : 기밀유지용 덧댐판

Claims (7)

  1. 양측면이 개구되어 공기통로를 형성하며 덕트에 연결되는 댐퍼본체;
    상기 댐퍼본체의 내부를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다수의 블레이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며, 일단부가 상기 댐퍼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회전샤프트; 및
    상기 댐퍼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샤프트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회전샤프트들을 개별적으로 수동 조작하는 다수의 수동 조작용 레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개폐형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수동 조작용 레버유닛 각각은,
    레버 핸들; 및
    상기 레버 핸들을 지지하며, 상기 블레이드가 기설정된 회전각도 내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레버 핸들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회전각 제한용 핸들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개폐형 댐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 제한용 핸들지지체에는 상기 레버 핸들이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아크(arc) 형상의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 핸들은 상기 가이드 슬릿에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개폐형 댐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본체와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 사이사이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다수의 기밀유지용 덧댐판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개폐형 댐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는,
    순차적으로 사이즈가 작아지는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개폐형 댐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회전샤프트는,
    상기 제1 내지 제3 블레이드와 각각 연결되며, 순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제1 내지 제3 회전샤프트를 포함하며, 제3 회전샤프트는 제2 회전샤프트 내부에, 제2 회전샤프트는 제1 회전샤프트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개폐형 댐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는,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고 상기 댐퍼본체 내에서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개폐형 댐퍼.
KR1020120099198A 2012-09-07 2012-09-07 수동 개폐형 댐퍼 KR101241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198A KR101241833B1 (ko) 2012-09-07 2012-09-07 수동 개폐형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198A KR101241833B1 (ko) 2012-09-07 2012-09-07 수동 개폐형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833B1 true KR101241833B1 (ko) 2013-03-18

Family

ID=4818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198A KR101241833B1 (ko) 2012-09-07 2012-09-07 수동 개폐형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8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35Y1 (ko) 2013-10-10 2014-11-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방연댐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180000849U (ko) 2016-09-19 2018-03-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공조덕트용 공기량 조절유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513B1 (ko) 2007-03-15 2008-10-29 강화군 강화약쑥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53000B1 (ko) 2007-09-18 2010-04-14 주식회사 태영엔지니어링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
KR101145369B1 (ko) 2011-11-07 2012-05-15 (주)지브텍 해일 차단용 댐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513B1 (ko) 2007-03-15 2008-10-29 강화군 강화약쑥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53000B1 (ko) 2007-09-18 2010-04-14 주식회사 태영엔지니어링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
KR101145369B1 (ko) 2011-11-07 2012-05-15 (주)지브텍 해일 차단용 댐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35Y1 (ko) 2013-10-10 2014-11-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방연댐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180000849U (ko) 2016-09-19 2018-03-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공조덕트용 공기량 조절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22513B (en) Adjustable damper for airflow systems
KR101241833B1 (ko) 수동 개폐형 댐퍼
JP6619402B2 (ja) 電動機冷却用ファンユニット、電動機及び排気部ユニット
KR102032532B1 (ko) 공기 토출관 설치용 디퓨저
KR102060816B1 (ko) 공조용 댐퍼
JP6679677B2 (ja) 吹出口装置
JP5738706B2 (ja) 吹出口装置
KR20180047817A (ko) 공조용 나선형 날개를가진 가변 댐퍼
KR101743127B1 (ko) 환기용 모니터의 배기 증대장치
CN203848446U (zh) 一种通风装置
KR20170013551A (ko) 댐퍼
WO2020114153A1 (zh) 面框组件和空气调节设备
KR102548465B1 (ko) 소음기 결합형 댐퍼
JP2015075315A (ja) 気流を拡散させるための装置
JPH06241551A (ja) ダンパー装置
JP2013181696A (ja) 風量調整ダンパ
KR101559928B1 (ko) 개폐방향이 다른 분할형 댐퍼
KR102008070B1 (ko) 급기시스템용 제트 슬롯바 장치
WO2020038276A1 (zh) 异向导风结构、空调器及其出风控制方法
JP6700999B2 (ja) 可変風量装置
JP2021025662A (ja) ガス伝導管用の閉鎖装置
WO2017213120A1 (ja) 可変風量装置
JP2006132825A (ja) 空気吹出装置
JP3304212B2 (ja) アンダーフロア空調用吹出し口
JP2017075762A (ja) パーソナル空調システムと空調用空気吹出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