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000B1 -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 - Google Patents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000B1
KR100953000B1 KR1020070094786A KR20070094786A KR100953000B1 KR 100953000 B1 KR100953000 B1 KR 100953000B1 KR 1020070094786 A KR1020070094786 A KR 1020070094786A KR 20070094786 A KR20070094786 A KR 20070094786A KR 100953000 B1 KR100953000 B1 KR 100953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pening
rotating shaft
clos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9493A (ko
Inventor
김홍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94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000B1/ko
Publication of KR20090029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에 관한 것으로, 양단에 걸림턱을 구비하고 공기통과공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축고정되어 설치되며 선단이 길게 연장형성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전면판을 가지며 전면판 양측으로 하우징에 고정되는 측면판을 갖는 브라켓과 제 1 및 제 2 원판 사이에 가스켓이 삽입되어 리벳에 의해 회전축과 결합되어 하우징 중간부에 통과되는 공기량이 가감되게 조절시키는 개폐판과 앵글로 이루어져 하우징의 내주면 양측에 개폐판과 기밀을 유지하면서 개폐판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우징의 내주면과 직각을 이루어 각각 나사못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스토퍼와, 브라켓에 설치되며 회전축을 회전시켜주는 구동모터와, 브라켓의 전면판에 회전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을 중심으로 상측에 길게 형성되는 원호가이드장공과, 환봉으로 이루어져 일단은 회전축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원호가이드장공에 관통되며 그 선단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조작레버와, 조작레버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브라켓의 전면판 내.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조작레버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수동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조화시스템, 개폐판, 스토퍼, 수동개폐수단, 전동댐퍼

Description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Duct damper having a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은 덕트용 전동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판과 스토퍼의 구조를 개선하여 기밀성과 조립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수동조작수단을 구비하여서 구동모터의 고장시 수동으로 댐퍼를 개방 및 차단하는 응급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한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공기조화시스템에는 실내의 환기나 필요한 공기의 적확한 양을 공급하기 위해 덕트에 전동댐퍼를 설치한다. 상기 전동댐퍼는 댐퍼의 차단시 기밀이 유지되어야 함은 물론, 개방시 구동모터에 의해 비례제어 조절이 되어야한다.
최근에 신축되는 초고층 상업용 빌딩 및 고층 주상 복합 아파트 등은 자연 환기를 위한 개별창문이 설치되지 않고, 중앙집중처리방식의 공기조화시스템을 채택하여 운용하고 있는데, 고장으로 인해 공기조화시스템이 정상적인 운용을 하지못하면 실내에 깨끗하고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지 못하여 인체에 심각한 폐해를 줄 수 있으므로 공기조화시스템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상기 조화시스템의 덕트에 사용되는 종래의 전동댐퍼(1)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과, 상기 하우징(2) 내부에서 회동하며 유로를 개폐하기 위하여 회전축(3)에 결합되는 개폐판(4)과 상기 개폐판(4)의 개폐를 단속하는 스토퍼(5)와 상기 회전축(3)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종래의 전동댐퍼(1)는 개폐판(4)과 스토퍼(5)가 각각 원판과 띠판 형태의 스틸 단판으로 이루어져 회전축(3)의 상부면과 하우징(2)의 내주면에 용접결합된다. 또한 개폐판(4)의 가장자리에는 스폰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진 실링부재(7)가 접착된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댐퍼(1)는 제작시 개폐판(4)과 스토퍼(5)를 태그용접 또는 스폿용접하여 조립하는데 이때, 용접부위에 틈새가 생겨 기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연속적인 운전에 따른 충격이 개폐판(4)과 스토퍼(5)에 전달되어 취약한 용접부위가 파손되어 개폐판과 스토퍼가 이탈되는 등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간이 경과되면서 실링부재가 접착력이 떨어져 개폐판에서 자연적으로 이탈되거나 여름철 냉방시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으로 이탈되어 기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제작시 용접작업에 따른 조립작업이 번거로워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전동댐퍼(1)는 구동모터의 고장 시 댐퍼가 개방 또는 차단된 상태로 고정되어, 모터의 교체시까지 공기조화시스템을 정상적으로 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개폐판과 스토퍼의 구조를 개선하여 기밀성과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킨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작시 번거로운 용접작업을 배제하여 조립성이 향상되어 생산효율을 높이는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동개폐수단을 구비하여서 구동모터의 고장시 수동으로 댐퍼를 개방 및 차단함은 물론이고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공기조화시스템을 정상적으로 운용하면서 구동모터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는: 양단에 걸림턱을 구비하고 공기통과공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축고정되어 설치되며 선단이 길게 연장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전면판을 가지며 상기 전면판 양측으로 하우징에 고정되는 측 면판을 갖는 브라켓과, 제 1 및 제 2 원판 사이에 가스켓이 삽입되어 리벳에 의해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하우징 중간부에 통과되는 공기량이 가감되게 조절시키는 개폐판과, 앵글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양측에 개폐판과 기밀을 유지하면서 개폐판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우징의 내주면과 직각을 이루어 각각 나사못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스토퍼와, 상기 브라켓의 전면판에 설치되며, 회전축의 선단이 결합되어 회전축을 회전시켜주는 구동모터와, 상기 브라켓의 전면판에 회전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을 중심으로 상측에 길게 형성되는 원호가이드장공과, 환봉으로 이루어져 일단은 회전축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원호가이드장공에 관통되며 그 선단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의 전면판 내.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조작레버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수동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수동개폐수단은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원호가이드장공을 갖는 보조지지판을 구비하여, 일단은 회전축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보조지지판의 원호가이드장공에 관통되며 그 선단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보조지지판 내.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조작레버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동개폐수단은 원호가이드장공에 댐퍼의 개폐정도를 표시하는 개폐각 표시부와 조작레버 선단부에 손잡이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와 하우징의 접합면에는 실링재로 실링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이중구조의 개폐판 사이에 가스켓을 일체로 구성하고, 스토퍼를 앵글로 구성하여 내구성과 기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제작시 리벳과 나사못 등의 결합수단으로 조립이 이루어져 제작기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진다.
셋째, 구동모터의 고장시 수동으로 댐퍼를 개방 및 차단함은 물론이고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조화시스템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정상적으로 운용하면서 구동모터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먼저,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를 나타낸 조립상태 사시도,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를 나타낸 조립상태의 정단면도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의 동작상태를 예시한 동작예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내지 도 5a,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수동조작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100)는 양단에 걸림턱(11)을 구비하고 공기통과공(12)을 갖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축고정되어 설치되며 선단이 길게 연장형성되는 회전축(20)과, 상기 회전축(20)이 관통되는 관통공(33)이 형성된 전면판(31)을 가지며 상기 전면판(31) 양측으로 하우징(10)에 고정되는 측면판(32)을 갖는 브라켓(30)과, 제 1 및 제 2 원판(41,42) 사이에 가스켓(44)이 삽입되어 리벳(45)에 의해 상기 회전축(20)과 결합되어 하우징(10) 중간부에 통과되는 공기량이 가감되게 조절시키는 개폐판(40)과, 앵글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13) 양측에 개폐판(40)과 기밀을 유지하면서 개폐판(40)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우징(10)의 내주면(13)과 직각을 이루어 각각 나사못(53)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스토퍼(50)와, 상기 브라켓(30)의 전면판(31)에 설치되며, 회전축(20)의 선단이 결합되어 회전축(20)을 회전시켜주는 구동모터(60)와, 상기 브라켓(30)의 전면판(31)에 회전축(20)이 관통되는 관통공(33)을 중심으로 상측에 길게 형성되는 원호가이드장공(71)과 환봉으로 이루어져 일단은 회전축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원호가이드장공(71)에 관통되며 그 선단에는 나사부(73)가 형성된 조작레버(72)와 상기 조작레버(72)의 나사부(73)에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30)의 전면판(31) 내.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조작레버(72)를 고정하는 고정부재(74)로 이 루어진 수동개폐수단(7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도 3 내지 도 5a,b를 참고하면 상하부가 트여진 원통체로 이루어져 내부에는 공기통과공(12)을 가지며, 양단부에는 걸림턱(11)이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는 전면판(31)과 한쌍의 측면판(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판(31)에 회전축(20)의 선단이 관통되는 관통공(33)이 형성된 브라켓(20)이 고정된다.
이러한 하우징(10)은 공기조화시스템의 덕트(200)와 덕트(200)의 연결부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턱(11)에 의해 덕트(200)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0)은 도 3 내지 도 5a,b를 참고하면 같이 상기 하우징(10)을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축고정 설치되며, 선단은 상기 브라켓(30)의 관통공(33)을 통과하여 구동모터(60)에 삽입되는 길이로 연장형성되어 구동모터(60)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개폐판(40)은 도 3 내지 도 5a,b를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회전하며 개폐정도에 따라 공기통과공(12)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하고, 차단시는 스토퍼(50)에 밀착되어 통과되는 공기를 완전히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개폐판(4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한 직경의 크기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회전축(20)에 조립되도록 반원의 절곡부(43)가 형성되고, 일측 가장자리는 가스켓(44)이 돌출되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부(44)가 형성된 제 1 원판(41)과 제 2 원판(42)이 상기 회전축(20)의 상하부에 서로 대접되어 회전축(20)의 상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원판(41,42) 사이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반원판의 가스켓(45)이 삽입되어 리벳(46)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다. 상기 가스켓(45)은 천연고무나 기밀성이 우수한 실리콘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원판(41,42)은 내구성과 내부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개폐판(40)은 회전축(20)에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원판(41,42) 사이에 가스켓(45)이 일체로 결합되는 이중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연탈락이나 연속운전에 의한 이탈됨이 없이 기밀성과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50)는 도 3 내지 도 5a,b를 참고하면 상기 개폐판(40)의 개폐를 단속하면서 댐퍼 차단시 개폐판(40)과 면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한다.
상기 스토퍼(50)는 하우징(10)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고 결합편(51)과 실링편(52)으로 형성된 앵글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13)의 양측에 상기 개폐판(40)과 기밀을 유지하면서 개폐판(40)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우징(10)의 내주면(13)과 직각을 이루어 각각 대향되게 나사못(53)으로 밀착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50)와 하우징(10) 내주면(13)의 접합부에는 기밀향상을 위해 실링재(54)로 실링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내구성과 내부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50)는 하우징(10)의 내주면(13)에 틈새없이 밀착고정되는 앵글로 이루어져 용접작업 없이 나사못(53)으로 조립고정되므로 제작시 조립작업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구동모터(60)는 상기 브라켓(3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0)을 회전시 켜준다.
상기한 구동모터(60)의 구조와 작용효과는 종래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동개폐수단(70)은 도 3 내지 도 5a,b를 참고하면 상기 브라켓(30)의 전면판(31)에 회전축(20)이 관통되는 관통공(33)을 중심으로 상측에 길게 형성되는 원호가이드장공(71)과 환봉으로 이루어져 일단은 회전축(20)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원호가이드장공(71)에 관통되며 그 선단에는 나사부(73)가 형성된 조작레버(72)와 상기 조작레버(72)의 나사부(73)에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30)의 전면판(31) 내.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조작레버(72)를 고정하는 고정부재(7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원호가이드장공(71)에 댐퍼의 개폐정도를 표시하는 개폐각표시부(75)를 형성하여 조작시 조작레버(72)의 위치에 따라 개폐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서 통과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레버(72)의 선단부에 파지를 위한 손잡이봉(7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동개폐수단(7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동모터(60)의 고장시 회전축(20)의 선단에 고정되어 설치된 조작레버(72)를 잡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20)과 동시에 개폐판(40)이 회전되면서 하우징(10)의 공기통과공(12)을 개방하거나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작레버(72)를 원하는 위치에 놓고, 조작레버(72)에 체결되어 브라켓(30)의 내.외측에 배치된 고정부재(74)를 이용하여 조작레버(72)를 브라 켓(30)에 고정시키면 댐퍼의 개폐정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의 고장시 수동으로 댐퍼를 개방 및 차단함은 물론이고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조화시스템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정상적으로 운용하면서 구동모터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2〉
첨부도면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의 수동개폐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a, 7b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동개폐수단(70)은 상기 브라켓(30)의 일측에 원호가이드장공(71)을 갖는 보조지지판(77)을 구비하여, 일단은 회전축(20)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보조지지판(77)의 원호가이드장공(71)에 관통되며 그 선단에는 나사부(73)가 형성된 조작레버(72)와, 상기 조작레버(72)의 나사부(73)에 체결되어 상기 보조지지판(77) 내.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조작레버(72)를 고정하는 고정부재(74)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동개폐수단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원호가이드장공(71)에 댐퍼의 개폐정도를 표시하는 개폐각표시부(75)를 형성하여 조작시 조작레버(72)의 위치에 따라 개폐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서 통과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레버(72)의 선단부에 파지를 위한 손잡이봉(7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동개폐수단(70)의 조작방법은 제 1 실시예와 동일 하며, 차이점은 상기 브라켓(30)의 측면판(32)에 형성된 장공(34)의 일측에 보조지지판(77)을 구비하여 상기 조작레버(72)의 설치 위치를 전면부에서 측면부로변화시킨 것이다. 따라서 주변에 여러장치와 기구들이 설치된 협소한 장소에 댐퍼가 설치될 때, 조작시 간섭됨이 없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는 건물의 공기조화시스템의 덕트에 설치되어 운용중에 모터의 고장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에 문제가 발생되면 모터교체시까지 수동으로 댐퍼를 조작하여 공기조화시트템이 정상적으로 가동 될때까지 응급대처를 할 수 있다.
또한, 조립성이 향상되어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해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덕트용 전동댐퍼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덕트용 전동댐퍼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를 나타낸 조립상태 사시도.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를 나타낸 조립상태의 정단면도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의 동작상태를 예시한 동작예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우징 11: 공기통과공
20: 회전축 30: 브라켓
31: 전면판 32: 측면판
33: 관통공 34: 장공
40: 개폐판 41,42: 제 1 및 제2원판
43: 절곡부 44: 절개부
45: 가스켓 46: 리벳
50: 스토퍼 51: 결합편
52: 실링편 53: 나사못
54: 실링재 60: 구동모터
70: 수동개폐수단 71: 원호가이드장공
72: 조작레버 73: 나사부
74: 고정부재 75: 개폐각표시부
76: 손잡이봉 77: 보조지지판
100: 전동댐퍼 200: 덕트

Claims (5)

  1. 양단에 걸림턱을 구비하고 공기통과공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축고정되어 설치되며, 선단이 길게 연장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전면판을 가지며 상기 전면판 양측으로 하우징에 고정되는 측면판을 갖는 브라켓과;
    제 1 및 제 2 원판 사이에 가스켓이 삽입되어 리벳에 의해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하우징 중간부에 통과되는 공기량이 가감되게 조절시키는 개폐판과;
    앵글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양측에 개폐판과 기밀을 유지하면서 개폐판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우징의 내주면과 직각을 이루어 각각 나사못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스토퍼와;
    상기 브라켓의 전면판에 설치되며, 회전축의 선단이 결합되어 회전축을 회전시켜주는 구동모터와;
    상기 브라켓의 전면판에 회전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을 중심으로 상측에 길게 형성되는 원호가이드장공과, 환봉으로 이루어져 일단은 회전축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원호가이드장공에 관통되며 그 선단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의 전면판 내.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조작레버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수동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하우징의 접합면에 실링재로 실링처리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
KR1020070094786A 2007-09-18 2007-09-18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 KR100953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786A KR100953000B1 (ko) 2007-09-18 2007-09-18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786A KR100953000B1 (ko) 2007-09-18 2007-09-18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493A KR20090029493A (ko) 2009-03-23
KR100953000B1 true KR100953000B1 (ko) 2010-04-14

Family

ID=40696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786A KR100953000B1 (ko) 2007-09-18 2007-09-18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0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525Y1 (ko) 2012-04-27 2012-09-13 주식회사 코리스에어 에어밀폐버블댐퍼
KR101241833B1 (ko) 2012-09-07 2013-03-18 (주) 늘푸른동방 수동 개폐형 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218B1 (ko) * 2009-08-21 2009-11-16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댐퍼가 설치된 덕트 연결구
KR101291648B1 (ko) * 2012-02-08 2013-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용 표시기
KR101507359B1 (ko) * 2014-07-07 2015-03-31 (주) 솔티 내구성이 향상된 버블 타이트 댐퍼
KR101589676B1 (ko) * 2014-07-09 2016-02-12 주식회사 에스에이씨 고온용 댐퍼 유닛
KR101651626B1 (ko) * 2015-04-02 2016-09-05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공조기용 댐퍼 개폐 각도 제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3545A (ja) * 1994-03-02 1995-09-19 Kasutamu Center:Kk ダンパー開閉装置
KR200379321Y1 (ko) 2005-01-03 2005-03-18 한일전기주식회사 배기구의 전동 댐퍼 구조
KR100665265B1 (ko) 2006-03-09 2007-01-04 조철휘 건물 환기덕트용 댐퍼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3545A (ja) * 1994-03-02 1995-09-19 Kasutamu Center:Kk ダンパー開閉装置
KR200379321Y1 (ko) 2005-01-03 2005-03-18 한일전기주식회사 배기구의 전동 댐퍼 구조
KR100665265B1 (ko) 2006-03-09 2007-01-04 조철휘 건물 환기덕트용 댐퍼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525Y1 (ko) 2012-04-27 2012-09-13 주식회사 코리스에어 에어밀폐버블댐퍼
KR101241833B1 (ko) 2012-09-07 2013-03-18 (주) 늘푸른동방 수동 개폐형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493A (ko) 2009-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000B1 (ko)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
TWI222513B (en) Adjustable damper for airflow systems
KR101512409B1 (ko) 결로방지용 후드캡
JP6479066B2 (ja) 建具及び換気弁操作部品
JP2018173207A (ja) 可変風量装置
KR102082237B1 (ko) 방화용 스틸 댐퍼
KR101625923B1 (ko) 배기분리형 댐퍼용 블레이드
CN211524192U (zh) 一种通风住宅楼
JP2011133160A (ja) 換気及び空調のための流路切換装置
KR20120076987A (ko) 스프링을 이용한 개폐구조를 갖는 덕트 댐퍼
WO2012013138A1 (zh) 换气扇用的防火闸
KR200447883Y1 (ko) 에어덕트용 댐퍼
JP6184152B2 (ja) 建具及び換気弁操作部品
JPWO2006035747A1 (ja)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
KR20050111146A (ko)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
KR100945891B1 (ko) 패킹타입셔터
JP4797268B2 (ja) 換気装置
WO2017213120A1 (ja) 可変風量装置
KR20200120066A (ko) 시스템 루버의 밀폐구조
KR102616162B1 (ko) 결로방지용 환기장치와 이를 구비한 루버창
KR100364903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토출구 개폐용 셔터구동장치
JP2002228250A (ja) 空調用丸形ダンパ
KR200462525Y1 (ko) 에어밀폐버블댐퍼
JP3823427B2 (ja) ロータリ式換気装置
KR101772888B1 (ko) 창호용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