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525Y1 - 에어밀폐버블댐퍼 - Google Patents

에어밀폐버블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525Y1
KR200462525Y1 KR2020120003485U KR20120003485U KR200462525Y1 KR 200462525 Y1 KR200462525 Y1 KR 200462525Y1 KR 2020120003485 U KR2020120003485 U KR 2020120003485U KR 20120003485 U KR20120003485 U KR 20120003485U KR 200462525 Y1 KR200462525 Y1 KR 2004625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plate
damper
plate
hous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스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스에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스에어
Priority to KR2020120003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5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5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5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오피 헤파필터박스의 기밀성을 체크할 때 완전밀폐를 할 수 있도록 하며,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에어밀폐버블댐퍼에 관한 것으로, 댐퍼판이 내부에 축설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댐퍼판과, 상기 댐퍼판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밀폐부재가 결합되어 댐퍼판을 일정 각도로 개방할 수 있게 구성된 개방각설정판과 손잡이로 구성된 에어밀폐버블댐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밀폐버블댐퍼{Air damper closed bubble}
본 고안은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조화기의 덕트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디오피 헤파필터박스의 기밀성을 체크할 때 완전밀폐를 할 수 있도록 하며,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에어밀폐버블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란 실내공간에서 인간 또는 물품을 대상으로 공기의 온도, 습도, 기류, 환기, 청정도를 사용목적에 따라 가장 알맞는 상태로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에는 오염된 공기의 유입을 막기 위해 헤파필터가 구비된 헤파필터박스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헤파필터의 기능 저하에 따라 오염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일정 사용기한이 경과하면 헤파필터를 교체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헤파필터를 교체시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를 차단하여 교체 중 오염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나, 종래에 사용되는 댐퍼는 댐퍼케이스와, 댐퍼판이 밀착되지 않아 그 틈새로 필터링되지 않은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유입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기 위해 댐퍼를 닫았을 경우 댐퍼판이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블로어로 투입되는 공기에 의해 더큰 저항 응력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에어밀폐버블댐퍼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댐퍼판과, 하우징 사이의 미세 틈새 공간으로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완전 차단 밀폐하여 클린룸에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며, 블로어로 투입된 공기를 차단하는 댐퍼판에서 투입된 공기가 분산되어 접촉되도록하여 댐퍼판 및 댐퍼판을 고정하는 작동축에 걸리는 응력을 감소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댐퍼판이 내부에 축설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축설결합되는 댐퍼판과, 완전 밀폐할 수 있도록 댐퍼판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밀폐부재와, 댐퍼판을 일정 각도로 개방 정도를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된 에어밀폐버블댐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하우징에 결합되는 댐퍼판에 밀폐부재가 결합되어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틈새를 완전차단하여 클림룸을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로어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배출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밀폐구성된 클린룸의 기압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억지 맞물림되는 댐퍼판이 밀폐시 발생되는 마찰저항으로 축을 중심으로 상반된 저항에 대해 응력보강부 및 보강프레임으로 보강되어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댐퍼판에 복수로 형성된 응력보강부는 브이형으로 일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 있어 송풍된 공기가 댐퍼판에 접촉되는 시간과 면적이 달라져 응력보강부에서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상호 간섭되어 댐퍼판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쇠되고 이에 따라 댐퍼판 및 댐퍼판과 결합된 작동축에 걸리는 응력감소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의 분해사시도와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과, 하우징(100)에 내벽면에 밀착되도록 결합구성되는 밀폐부재(200)와, 밀폐부재(200)를 통해 결합되는 댐퍼판(300)과, 댐퍼판(300)을 작동하는 손잡이(40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양측면에 다수의 볼트체결공이 형성된 플렌지(102)가 양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중심부에는 내부에 장착되는 댐퍼판(300)을 고정하며 회전작동시키는 작동축(104)이 삽입되도록 상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상부 고정부(104a)와 작동축(104)의 하단을 고정시키는 하부고정부(104b)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에 작동축(104)이 삽입 결합될 때 댐퍼판(300)이 작동축(104)과 끼움결합되며, 댐퍼판(300)은 작동축(104)과 접촉면을 확장하여 견고한 고정을 이루며 비틀림 응력에 대응되도록 브이형으로 절곡된 복수의 응력보강부(302)가 형성되고, 응력보강부(302)중 중앙 응력보강부(302)의 상하 양단에는 작동축(104)과 결합을 위한 응력보강부(302)와 상반된 방향으로 절곡된 보강결속편(304)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응력보강부(302)의 직각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작동축(104)에 면접촉되는 접합곡면(306a)이 형성되어 댐퍼판(300)에 접합된 보강프레임(306)이 형성되며, 내부에 댐퍼판(300)이 결합된 후 댐퍼판(300)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양측 벽면 엇각 방향으로 역회전방지구(308)가 형성된다.
상기 댐퍼판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댐퍼판이 삽입된 하우징의 내벽면 양측 대응되는 방향에 돌출 형성된 역회전방지구와,
상기 보강결속편(304)와 보강프레임(306)은 댐퍼판(300)과 용접으로 접합되며, 도면상 미도시 하였으나 응력보강부(302)를 통해 삽입되는 작동축(104)과 용접으로 접합되거나 보강결속편(304)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나사로 작동축을 압착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로 끼워져 결합되는 작동축(104)은 상부고정부(104a)에 끼움되는 부분의 밀폐성을 위해 오링이 결합된다.
상기 댐퍼판(300)은 하우징(100)에 결합되어 공기를 완벽히 차단하기 위해 댐퍼판(300)의 두께 만큼 삽입홈(202)이 형성된 밀폐부재(200)가 결합되되, 밀폐부재(200)는 댐퍼판(300)에 브이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복수의 응력보강부(302)에 끼워질 수 있도록 브이형으로 절곡된 절곡결합부(204)가 형성되어 댐퍼판(300)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고정부(104a)의 상측으로 작동축(104)이 관통되며 개방각설정판(120)을 고정하기위한 고정판(110)이 형성되고, 고정판(110) 상측으로 작동축(104)에 끼워져 결합되는 개방각설정판(120)이 결합되고, 개방각설정판(120)은 표면에 댐퍼판(300)의 개방각을 확인할 수 있는 분할부(122)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손잡이(400)를 고정하는 톱니형상의 분할고정부(124)가 형성되고, 분할고정부 양단에는 손잡이(40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126)이 형성된다.
상기 개방각설정판(120)의 상측으로 작동축(104)에 결합되는 손잡이(400)는 스프링(404)로 지지되는 레버(402)가 결합되고, 레버(402)의 힌지결합부 하측면으로는 분할고정부(124)에 삽입되어 손잡이(40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편(406)이 형성된다.
첨부된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댐퍼판(300)을 개방할 때는 마찰저항이 낮아지고 댐퍼판(300)을 차폐할 때는 마찰저항이 높아져 신속한 개방과 완벽한 차단이 구현되도록 밀폐부재(200)의 하우징(100) 내벽면에 접촉되는 단부를 삼각 형상의 마찰증감면(206)을 하나 이상 형성하되, 작동축(104)을 중심으로 차폐되는 방향으로 편심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손잡이(400)를 회전시키면 작동축(104)에 결합된 댐퍼판(300)이 회전되며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개방되거나 공기가 통과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공기가 통과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될 경우 댐퍼 하우징(100)의 내벽면에 접촉되는 댐퍼판(300)의 테두리에 밀폐부재(200)가 결합되어 있어 밀폐부재(200)가 하우징(100) 내벽면에 압착된 상태에서 회동되어 금속성 재질끼리 접촉될 때와 같이 미세한 틈새가 생기지 않아 공기의 흐름을 완벽하게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에는 댐퍼판(300)의 개방각도를 설정할 수 있는 개방각설정판(110)이 손잡이(400)의 회전되는 각도를 맞출 수 있도록 되어 공기조화기를 통해 클린룸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과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므로서 클린룸의 기압변동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밀패부재(200)에 밀착결합되는 댐퍼판(300)은 브이형으로 절곡된 복수의 응력보강부(302)와 응력보강부(302)를 보강하는 보강결속편(304) 및 보강프레임(3006)에 의해 작동축(104)과 긴밀한 결속력을 갖게되며, 회전될 때 밀폐부재(200)에 의해 증강 발생되는 마찰저항으로 인한 파손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실시예의 도면과 같이 밀폐부재(200)를 형성하게 되면, 단부 형상에 따라 댐퍼판(300)이 개방회전될 때 회전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삼각형상의 마찰증감면(206)이 형성되어 마찰저항이 감소되어 보다 신속한 개방작업을 이룰 수 있게 되고, 이와 반대로 차단을 하기 위해 댐퍼판(300)을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방향으로 삼각형상의 마찰증감면(206)의 꼭지점부분이 저항체로 작용하여 보다 큰 마찰저항이 발생되어 꼭지점 부분이 회전 역방향으로 밀리며 보다 큰 압착력으로 완벽한 차단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100 : 하우징 102 : 플렌지 104 : 작동축
104a : 상부고정부 104b : 하부고정부
110 : 고정판
120 : 개방각설정판 122 : 분할부 124 : 분할고정부
126 : 스토퍼
200 : 밀폐부재 202 : 삽입홈 204 : 절곡결합부
206 : 마찰증감면
300 : 댐퍼판 302 : 응력보강부 304 : 보강결속편
306 : 보강프레임 306a : 접합곡면 308 : 역회전방지구
400 : 손잡이 402 : 레버 404 : 스프링
406 : 고정편

Claims (1)

  1. 전후 양면에 플렌지가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작동축을 고정하는 상부고정부와, 하부고정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관통하며, 내부에 삽입되는 댐퍼판의 중앙 응력보강부를 따라 끼워져 설치되는 작동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작동축이 끼움결합되는 브이형으로 절곡된 복수의 응력보강부가 형성되고, 중앙 응력보강부의 상하부 양측에는 응력보강부와 반대로 절곡되어 접합형성되는 보강결속편이 접합결합되며, 복수의 응력보강부에 직각된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작동축과 면접촉되도록 접합곡면이 형성된 보강프레임이 접합결합된 댐퍼판과,
    상기 댐퍼판의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내주면에 댐퍼판의 두께를 감안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댐퍼판의 응력보강부에 따라 브이형으로 절곡된 절곡결합부가 형성되며, 외두면은 댐퍼판을 개방할 때 마찰저항이 감소되고, 차폐할 때 마찰저항이 증가하도록 외곽 면을 수직 한 중심에서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차폐되는 방향을 향해 편심되게 돌출되는 삼각형상으로 하나 이상의 마찰증감면이 형성된 밀폐부재와,
    상기 댐퍼판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댐퍼판이 삽입된 하우징의 내벽면 양측 대응되는 방향에 돌출 형성된 역회전방지구와,
    상기 상부고정부의 상측으로 형성된 고정판의 상면에 구성되어 댐퍼의 개방각을 설정되게 하는 개방각설정판과,
    상기 개방각설정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방각설정판과 맞물림 되는 손잡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밀폐버블댐퍼.
KR2020120003485U 2012-04-27 2012-04-27 에어밀폐버블댐퍼 KR2004625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485U KR200462525Y1 (ko) 2012-04-27 2012-04-27 에어밀폐버블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485U KR200462525Y1 (ko) 2012-04-27 2012-04-27 에어밀폐버블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525Y1 true KR200462525Y1 (ko) 2012-09-13

Family

ID=47559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485U KR200462525Y1 (ko) 2012-04-27 2012-04-27 에어밀폐버블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52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153B1 (ko) 2002-09-11 2004-11-16 양홍선 공기조화기용 댐퍼장치
KR100699599B1 (ko) 2004-10-15 2007-04-10 이나형 에어덕트용 댐퍼의 결합구조
KR200443504Y1 (ko) 2007-07-06 2009-02-18 최성열 건식용 에어댐퍼
KR100953000B1 (ko) 2007-09-18 2010-04-14 주식회사 태영엔지니어링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153B1 (ko) 2002-09-11 2004-11-16 양홍선 공기조화기용 댐퍼장치
KR100699599B1 (ko) 2004-10-15 2007-04-10 이나형 에어덕트용 댐퍼의 결합구조
KR200443504Y1 (ko) 2007-07-06 2009-02-18 최성열 건식용 에어댐퍼
KR100953000B1 (ko) 2007-09-18 2010-04-14 주식회사 태영엔지니어링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9259B1 (en) A ventilation device
JP5394274B2 (ja) 高気密ダンパー
KR200462527Y1 (ko) 디오피 헤파필터박스
KR100953000B1 (ko) 수동개폐수단이 구비된 덕트용 전동댐퍼
KR101694620B1 (ko) 방연댐퍼용 가스켓 및 이를 구비한 방연댐퍼
KR200462525Y1 (ko) 에어밀폐버블댐퍼
KR101702268B1 (ko) 기계식 풍량조절 기능을 갖는 전동댐퍼
KR101610290B1 (ko) 기밀유지용 공조기 댐퍼
US20120111197A1 (en) Filter rack, filter assembly, and method of filtering air
JP5605762B2 (ja) 逆流防止ダンパーおよびレンジフード
KR101625923B1 (ko) 배기분리형 댐퍼용 블레이드
KR200460417Y1 (ko) 에어밀폐버블댐퍼
GB2517704B (en) Damper for an airflow duct having a closing mechanism
JP2007271141A (ja) 空気調和機
KR102580393B1 (ko) 댐퍼
KR20060119368A (ko) 필터부가 구비된 공조장치용 공기 통과장치
KR200462316Y1 (ko) 씨비알 급기 배기필터 유닛
US8241380B2 (en) Air filter duct cover
JP2011052931A (ja) 可変風量ユニット
KR102547529B1 (ko) 기밀성이 향상된 방연댐퍼용 블레이드 및 이를 이용한 방연댐퍼
JP2011072931A (ja) フィルタ装置
JP2008134007A (ja) フィルタ装置およびフィルタ装置の設置方法
SK500482019U1 (sk) Požiarna klapka so štvorhranným prierezom
CN217380970U (zh) 管道风机及抽油烟机
JP7292131B2 (ja) 閉鎖型キャビネットおよびグローブ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