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393B1 - 댐퍼 - Google Patents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393B1
KR102580393B1 KR1020200181373A KR20200181373A KR102580393B1 KR 102580393 B1 KR102580393 B1 KR 102580393B1 KR 1020200181373 A KR1020200181373 A KR 1020200181373A KR 20200181373 A KR20200181373 A KR 20200181373A KR 102580393 B1 KR102580393 B1 KR 102580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ousing
packing member
damp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0305A (ko
Inventor
심재혁
Original Assignee
(주)제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오 filed Critical (주)제이오
Priority to KR1020200181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3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90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누기 차단 및 개도 유지가 가능한 댐퍼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를 개폐할 수 있는 디스크형 블레이드를 하우징을 관통하는 회전축에 의하여 설치하고, 회전축 양단을 하우징 외부까지 연장하여 회전축 일단에는 블레이드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를 부착하고, 회전축 타단은 하우징 외부로 돌출시킨 댐퍼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부착된 회전축 일단 노출부 주변에는 회전축과 하우징 사이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밀폐상자를 마련하되, 상기 밀폐상자는 회전축 일단 노출부와 손잡이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자본체와, 상기 상자본체 개방면을 따라 폐경로를 형성하게 설치한 제1패킹부재와, 상기 상자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패킹부재와 정합하는 제2패킹부재가 구비되어 록킹수단에 의하여 상기 상자본체와 록킹될 때 제2패킹부재가 상기 제1패킹부재와 밀착되는 상자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댐퍼{DAMPER}
본 발명은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댐퍼 내로의 외기의 유입이나 공조된 공기의 댐퍼 외부로의 유출을 막을 수 있고, 사용자가 설정한 개도를 변동 없이 유지할 수 있는 누기 차단 및 개도 유지 댐퍼에 관한 것이다.
건물 환기 장치, 공조 장치, 송풍 장치, 크린룸 등의 배기 장치 등의 덕트 입구, 덕트 중도, 또는 덕트 출구에는 공기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댐퍼를 설치한다. 이때 댐퍼의 기밀성이 떨어질 경우, 내외부간의 공기 혼합이 발생하여, 열량의 낭비, 내부 공기의 오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댐퍼는 하우징 내부에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블레이드 또는 가동판을 마련하고, 블레이드 또는 가동판이 유로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유로가 차단되고 유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유로가 열리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블레이드 또는 가동판이 결합된 회전축은 하우징을 관통하여 설치한다. 이로 인하여, 댐퍼의 회전축과 하우징 사이에는 외부 공기가 댐퍼 내로 유입되거나 댐퍼 내의 유동 공기가 외부로 누출될 수 있는 틈이 존재한다. 특히 크린룸에 설치된 댐퍼에서, 이러한 틈 사이로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장시간 지속적으로 유입될 경우, 크린룸 내부의 적정 온습도 뿐만 아니라 공기의 청정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댐퍼의 회전축과 하우징 사이의 틈으로 누기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또 한편, 수동식 댐퍼에서는, 블레이드 또는 가동판을 완전히 열거나 닫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개도로 열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회전축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가와 적절한 개도로 회전시킨 후 개도를 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회전축 고정 장치가 필요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86103호 발명은 댐퍼의 샤프트와 댐퍼통 사이의 틈으로 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잡이가 구비되지 않은 방향의 샤프트 선단을 밀폐캡 등에 의하여 밀폐하고, 손잡이가 구비된 방향의 샤프트에는 댐퍼통의 관통부위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테이퍼진 지지링 및 패킹부재와, 가입링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0886103호 발명은 진동이나 부주의로 인해 댐퍼가 원하지 않은 방향으로 돌아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디스크의 일측에는 샤프트가 외부로 관통되고, 관통된 샤프트를 중앙으로 다시 관통시키도록 하우징의 외부에 지지체가 형성되고, 지지체의 외부에서 레버가 샤프트에 각진 형태로 끼움결합되고, 샤프트의 단부에 너트가 나사결합되고, 레버와의 사이에 압축스프링이 삽입되고, 지지체의 상부에는 레버쪽으로 돌출되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레버의 상부에는 스토퍼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선택공이 원호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개도를 조절할 때 레버를 스프링을 이기고 들어 올려 레버를 돌린 후 선택공에 스토퍼를 삽입하여, 개도가 유지되게 하고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공보 제10-0886103호 발명에 의할 경우, 샤프트가 지지링, 패킹부재 및 가입링의 중심부에 삽입되어 회전할 정도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누기가 발생한다. 누기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패킹부재를 샤프트에 압착시키면, 레버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고, 강한 힘을 줘 강제로 레버를 회전시키면 패킹부재의 마모가 발생하여 이로 인한 누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회전축 주위에 패킹부재를 감싸는 방법에 의하여는 누기 차단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86103호 발명에 의할 경우, 개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레버를 스프링을 극복하고 들어 올린 후 스토퍼의 위치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선택공을 정확히 스토퍼에 삽입하기 어려운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댐퍼의 회전축과 하우징 사이의 틈에서 발생하는 누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는 회전축에 부하를 가하거나 회전축의 원활한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회전축과 하우징 사이의 틈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기를 차단할 수 있는 댐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과제는 작업자가 개도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개도 조절 후 고정너트가 진동 등에 의해 미세하게 풀려 개도가 변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댐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 제1과제는, 하우징 내부에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를 개폐할 수 있는 디스크형 블레이드를 하우징을 관통하는 회전축에 의하여 설치하고, 회전축 양단을 하우징 외부까지 연장하여 회전축 일단에는 블레이드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를 부착하고, 회전축 타단은 하우징 외부로 돌출시킨 댐퍼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부착된 회전축 일단 노출부 주변에는 회전축과 하우징 사이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밀폐상자를 마련하되, 상기 밀폐상자는 회전축 일단 노출부와 손잡이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자본체와, 상기 상자본체 개방면을 따라 폐경로를 형성하게 설치한 제1패킹부재와, 상기 상자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패킹부재와 정합하는 제2패킹부재가 구비되어 록킹수단에 의하여 상기 상자본체와 록킹될 때 제2패킹부재가 상기 제1패킹부재와 밀착되는 상자커버를 포함하는 댐퍼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다. 이때, 회전축의 타단에는 밀폐캡을 마련하여 기밀을 유지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2과제는, 상기 손잡이와 하우징 사이에는 표면이 손잡이의 이면과 접하는 터널형의 브라켓을 마련하고, 상기 브라켓에는 회전축의 일단을 중심으로 곡면을 이루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기 손잡이를 관통하는 손잡이고정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손잡이고정볼트에는 나비너트를 체결하여 손잡이를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개도를 조정한 후 나비너트를 조여 블레이드가 고정되게 하면서, 상기 가이드홈 가장자리에는 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고정볼트의 머리에는 상기 요철부의 형상으로 돌출된 계합돌부를 형성하여 상기 나비너트를 조일 때 상기 계합돌부가 요철부와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를 상기 브라켓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2과제는, 상기 손잡이 하부에 표면이 손잡이의 이면과 접하는 터널형의 브라켓을 마련하고, 상기 브라켓에는 회전축의 일단을 중심으로 곡면을 이루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기 손잡이를 관통하는 손잡이고정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손잡이고정볼트에는 나비너트를 체결하여 손잡이를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개도를 조정한 후 나비너트를 조여 블레이드가 고정되게 하면서, 상기 손잡이의 이면에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의 표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걸리는 다수의 걸림턱을 연속으로 형성하여, 상기 나비너트를 조일 때 상기 손잡이 이면의 돌출부가 상기 브라켓 표면의 걸림턱들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를 상기 브라켓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측의 회전축 일단은 밀폐상자에 의하여 기밀이 유지되고, 손잡이 반대측의 회전축 타단은 밀폐캡에 의하여 기밀이 유지된다. 밀폐상자의 제1패킹부재와 제2패킹부재는 회전축과 분리되어 있으므로, 회전축의 회전으로 인한 마모의 염려가 없으며, 회전축과 회전과 무관하게 상자커버의 제2패킹부재를 상자본체의 제1패킹부재에 강하게 압착하여 록킹할 수 있다. 따라서, 밀폐상자 내부의 강한 밀폐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로 노출된 브라켓의 가이드홈 가장자리에 요철부를 형성하고, 손잡이고정볼트 머리에 요철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계합돌부를 형성하여, 블레이드의 개도를 조절한 후 손잡이를 손잡이고정볼트 및 나비너트에 의하여 브라켓에 고정할 때 계합돌부가 요철부의 요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강한 풍속이나, 진동 등의 외부적 요인에 의하여 나비너트가 풀려 댐퍼의 개도가 변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로 노출된 브라켓 표면에 걸림턱들을 연속으로 형성하고, 손잡이 이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손잡이를 잡고 회전축을 회전시켜 블레이드의 개도를 조절한 후 나비너트를 체결하면, 손잡이 이면 돌출부가 브라켓 표면의 걸림턱들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강한 풍속이나, 진동 등의 외부적 요인에 의하여 나비너트가 풀려 댐퍼의 개도가 변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댐퍼에서 회전축의 손잡이측 밀폐상자를 제거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에 도시된 댐퍼에서 브라켓과 손잡이를 댐퍼의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댐퍼에서 회전축의 손잡이측 밀폐상자를 제거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댐퍼에서 손잡이를 분리하여 하면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댐퍼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상자를 구비한 댐퍼를 밀폐상자의 상자커버가 열린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상자를 구비한 댐퍼를 밀폐상자의 상자커버가 닫힌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댐퍼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댐퍼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댐퍼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댐퍼는 원통형의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한 디스크형의 블레이드(3)와, 상기 블레이드(3)를 지지하고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5a,5b)을 포함한다. 회전축(5a,5b)은 2개로 분리할 수 있다. 회전축(5a,5b)은 하우징(1)을 관통하도록 설치하고, 회전축(5a,5b)의 일단(5a)은 타단(5b)보다 길게 노출되게 하여 손잡이(15)를 부착한다. 손잡이(15)를 돌려 회전축(5a,5b)과 이에 결합된 블레이드(3)를 돌려 블레이드(3)의 개도(開度)를 조절한다. 회전축(5a,5b)의 타단은 하우징(1)의 관통공을 통해 회전축(5a,5b)이 지지될 정도만 노출한 후 관통공 주변과 회전축 타단(5b)의 노출부분을 밀폐갭(47)에 의하여 감싸 밀폐한다. 밀폐갭(47)을 대체하여 밀폐상자를 마련하여 감싸 밀폐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1) 내부에 하우징(1)을 통과하는 공기를 개폐하거나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크형 블레이드(3)를 하우징을 관통하는 회전축(5a,5b)에 의하여 설치하고, 회전축(5a,5b) 양단을 하우징(1) 외부까지 연장하여 회전축(5a,5b) 일단에는 블레이드(3)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15)를 부착하고, 회전축(5a,5b) 타단은 하우징(1) 외부로 돌출시킨 댐퍼와 같이, 회전축(5a,5b)과 하우징(1) 사이에서 누기가 발생할 수 있는 댐퍼에 적용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손잡이(15)가 부착된 회전축(5a,5b) 일단 노출부 주변에 회전축(5a,5b)과 하우징(1) 사이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밀폐상자(29)를 마련한 데 있다. 밀폐상자(29)는 작업자가 댐퍼 개도 조절시에는 개방하고, 개도 조절작업이 끝나면 폐쇄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밀폐상자(29)는 회전축 일단(5a) 노출부와 손잡이(15) 및 회전축 일단(5a)과 하우징(1) 사이의 틈을 모두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상자본체(31)와, 상기 상자본체(31) 개방면을 따라 폐경로를 형성하게 설치한 제1패킹부재(35a)와, 상기 상자본체(31)에 결합되고 상기 제1패킹부재35a)와 정합하는 제2패킹부재(35b)가 구비되어 록킹수단에 의하여 상기 상자본체(31)와 록킹될 때 제2패킹부재(35b)가 상기 제1패킹부재(35a)와 밀착되는 상자커버(33)를 포함하여 구성한 다. 제1패킹부재(35a)와 제2패킹부재(35b)의 소재는 고무 또는 실리콘이다. 제1패킹부재(35a)와 제2패킹부재(35b)는 불연속면 없이 연속된다. 상자본체(31)와 상자커버(33)는 힌지(37)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상자커버(33)에 결합되고 록킹홈(43)이 형성된 록킹날개(41)와, 상기 상자본체(31)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홈(43)에 체결되는 록킹돌기(45)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돌기(45)의 위치는 록킹홈(43)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제1패킹부재(35a)와 제2패킹부재(35b)가 서로 압착될 수 있는 위치이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회전축 일단(5a)과 하우징(1) 사이의 틈을 완전하게 밀폐할 수 있다. 상자커버(33)와 록킹날개(41)는 힌지(39)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손잡이측의 회전축 일단(5a)은 밀폐상자(29)에 의하여 기밀이 유지되고, 손잡이 반대측의 회전축 타단(5b)은 밀폐캡(47)에 의하여 기밀이 유지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캡(47)은 회전축 타단(5b)과 분리된다. 밀폐상자(29)의 제1패킹부재(35a)와 제2패킹부재(35b)는 회전축(5a,5b)과 분리되어 있으므로, 회전축(5a,5b)의 회전으로 인한 마모의 염려가 없으며, 회전축(5a,5b)과 회전과 무관하게 상자커버(33)의 제2패킹부재(35b)를 상자본체(31)의 제1패킹부재(35a)에 강하게 압착하여 록킹할 수 있다. 따라서, 밀폐상자(29) 내부의 강한 밀폐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 댐퍼를 통해 공조시스템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5)와 하우징 사이에는 터널형의 브라켓(9)을 마련한다. 상기 손잡이(15)는 상기 브라켓(9)의 표면에 접하는 수평부(19)와 상기 수평부(19)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파지부(17)와, 상기 회전축 일단(5a)이 삽입되는 슬리브(25)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9)의 표면은 손잡이의 수평부(19) 이면과 접한다. 상기 회전축 일단(5a)은 손잡이(15)의 슬리브(25) 내에 삽입되어 슬리브고정볼트(27)에 의해 손잡이(15)와 일체로 고정되고, 손잡이(15)를 회전시키면 회전축(5a,5b) 및 이에 결합된 블레이드(3)도 동시에 동일한 각도로 회전한다. 개도 확인을 위하여 브라켓(9) 표면에는 손잡이 파지부(17)의 반대편에 개도표시부(1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설정한 블레이드(3)의 개도가 강한 풍속, 진동 등 설치 환경에 의해 변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9)에는 회전축의 일단(5a)을 중심으로 곡면을 이루는 가이드홈(13)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13)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기 손잡이를 관통하는 손잡이고정볼트(21)를 삽입하고, 상기 손잡이고정볼트(21)에는 나비너트(23)를 체결하여 손잡이를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3)의 개도를 조정한 후 나비너트(23)를 조여 손잡이(15) 및 이에 연결된 블레이드(3)가 고정되게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13) 가장자리에는 요철부(凹凸部)(12a,12b)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고정볼트(21)의 머리에는 상기 요철부(12a,12b)의 형상으로 돌출된 계합돌부(契合突部)(24)를 형성하여 상기 나비너트(23)를 조일 때 상기 계합돌부(24)가 상기 요철부(12a,12b)와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15)를 상기 브라켓(9)에 고정하게 한다. 상기 요철부(12a,12b) 및 계합돌부(24)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 또는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고정볼트(21)는 볼트머리(22)에서 나사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홈(13)에 긴밀히 삽입되는 각면부(26)를 4방에 형성하고, 각 각면부(26) 방향에 상기 계합돌부(2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각 각면부(26) 중심 방향에 상기 계합돌부(24)를 형성한다. 각 각면부(26)와 반대면의 각면부(26)간의 폭은 상기 가이드홈(13)에 삽입되지만 회전되지 않을 정도의 폭을 갖게 형성한다. 그 결과 각면부(26)가 가이드홈(13) 내에 긴밀히 삽입되고, 손잡이고정볼트(21)를 브라켓(9)의 가이드홈(13)에 삽입할 때 계합돌부(24)는 자동으로 요철부(12a,12b)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나비너트(23)를 상기 손잡이고정볼트(21)에 체결함에 있어서는 스프링 와셔(28)를 더 개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로 노출된 브라켓(9)의 가이드홈(13) 가장자리에 요철부(12a,12b)를 형성하고, 손잡이고정볼트(21) 머리에 상기 요철부(12a,12b)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계합돌부(24)를 형성하여, 블레이드(3)의 개도를 조절한 후 손잡이(15)를 손잡이고정볼트(21) 및 나비너트(23)에 의하여 브라켓(9)에 고정할 때 계합돌부(24)가 요철부(12a,12b)의 요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강한 풍속이나, 진동 등의 외부적 요인에 의하여 나비너트(23)가 미세하게 풀려 댐퍼의 개도가 변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설정한 블레이드(3)의 개도가 강한 풍속, 진동 등 설치 환경에 의해 변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15)의 수평부(19) 이면에 돌출부(20)를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9)의 표면에는 상기 돌출부(20)가 걸리는 다수의 걸림턱(11)을 연속으로 형성하여, 상기 나비너트(23)를 조일 때 상기 손잡이 이면의 돌출부(20)가 상기 브라켓(9) 표면의 걸림턱(11)들 사이에 삽입되어 손잡이(15)를 브라켓(9)에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로 노출된 브라켓(9) 표면에 걸림턱(11)들을 연속으로 형성하고, 손잡이 이면에 돌출부(20)를 형성하여, 손잡이(15)를 잡고 회전축(5a,5b)을 회전시켜 블레이드(3)의 개도를 조절한 후 나비너트(23)를 체결하면, 손잡이 이면 돌출부(20)가 브라켓(9) 표면의 걸림턱(11)들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강한 풍속이나, 진동 등의 외부적 요인에 의하여 나비너트(23)가 미세하게 풀려 댐퍼의 개도가 변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1 : 하우징
3 : 블레이드
5a,5b : 회전축
7a,7b : 축덮개
9 : 브라켓
10 : 개도표시부
11 : 걸림턱
12a,12b : 요철부
13 : 가이드홈
15 : 손잡이
17 : 파지부
19 : 수평부
20 : 돌출부
21 : 손잡이고정볼트
22 : 볼트머리
23 : 나비너트
24 : 계합돌부
25 : 슬리브
27 : 슬리브고정볼트
28 : 스프링 와셔
29 : 밀폐상자
31 : 상자본체
33 : 상자커버
35a,35b : 패킹부재
37, 39 : 힌지
41 : 록킹날개
43 : 록킹홈
45 : 록킹돌기
47 : 밀폐캡

Claims (3)

  1. 하우징(1) 내부에 하우징(1)을 통과하는 공기를 개폐할 수 있는 디스크형 블레이드(3)를 하우징(1)을 관통하는 회전축(5a,5b)에 의하여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5a,5b)의 양단을 하우징(1) 외부까지 연장하여 회전축(5a,5b)의 일단(5a)에는 블레이드(3)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15)를 부착하고, 회전축(5a,5b)의 타단(5b)은 하우징(1) 외부로 돌출시킨 댐퍼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5)가 부착된 회전축(5a,5b)의 일단(5a) 노출부 주변에는 회전축(5a,5b)의 일단(5a)과 하우징(1) 사이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밀폐상자(29)를 마련하되,
    상기 밀폐상자(29)는 회전축(5a,5b)의 일단(5a) 노출부와 손잡이(15)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자본체(31)와, 상기 상자본체(31) 개방면을 따라 폐경로를 형성하게 설치한 제1패킹부재(35a)와, 상기 상자본체(31)에 결합되고 상기 제1패킹부재(35a)와 정합하는 제2패킹부재(35b)가 구비되어 록킹수단에 의하여 상기 상자본체(31)와 록킹될 때 제2패킹부재(35b)가 상기 제1패킹부재(35a)와 밀착되는 상자커버(33)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상자커버(33)에 결합되고 록킹홈(43)이 형성된 록킹날개(41)와, 상기 상자본체(31)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홈(43)에 체결되는 록킹돌기(45)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돌기(45)의 위치는 록킹홈(43)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제1패킹부재(35a)와 제2패킹부재(35b)가 서로 압착될 수 있는 위치이며,
    상기 회전축(5a,5b)의 타단(5b)은 하우징(1)의 관통공을 통해 회전축(5a,5b)의 타단(5b)이 지지될 정도만 노출시킨 후 관통공 주변과 회전축 타단(5b)의 노출부분을 회전축 타단(5b)과 분리된 밀폐갭(47)에 의하여 감싸 밀폐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5)와 하우징(1) 사이에는 표면이 손잡이(15)의 이면과 접하는 터널형의 브라켓(9)을 마련하고, 상기 브라켓(9)에는 회전축(5a,5b)의 일단(5a)을 중심으로 곡면을 이루는 가이드홈(13)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13)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기 손잡이(15)를 관통하는 손잡이고정볼트(21)를 삽입하고, 상기 손잡이고정볼트(21)에는 나비너트(23)를 체결하여 손잡이(15)와 손잡이(15)에 연결된 블레이드(3)를 고정하되,
    상기 가이드홈(13) 가장자리에는 요철부(12a,12b)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고정볼트(21)의 머리에는 상기 요철부(12a,12b)의 형상으로 돌출된 계합돌부(24)를 형성하여 상기 나비너트(23)를 조일 때 상기 계합돌부(24)가 요철부(12a,12b)와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15)를 상기 브라켓(9)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5)와 하우징(1) 사이에는 표면이 손잡이(15)의 이면과 접하는 터널형의 브라켓(9)을 마련하고, 상기 브라켓(9)에는 회전축(5a,5b)의 일단(5a)을 중심으로 곡면을 이루는 가이드홈(13)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13)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기 손잡이(15)를 관통하는 손잡이고정볼트(21)를 삽입하고, 상기 손잡이고정볼트(21)에는 나비너트(23)를 체결하여 손잡이(15)와 손잡이(15)에 연결된 블레이드(3)를 고정하되,
    상기 손잡이(15)의 이면에는 돌출부(20)를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9)의 표면에는 상기 돌출부(20)가 걸리는 다수의 걸림턱(11)을 연속으로 형성하여, 상기 나비너트(23)를 조일 때 상기 손잡이(15) 이면의 돌출부(20)가 상기 브라켓(9) 표면의 걸림턱(11)들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15)를 상기 브라켓(9)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KR1020200181373A 2020-12-22 2020-12-22 댐퍼 KR102580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373A KR102580393B1 (ko) 2020-12-22 2020-12-22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373A KR102580393B1 (ko) 2020-12-22 2020-12-22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305A KR20220090305A (ko) 2022-06-29
KR102580393B1 true KR102580393B1 (ko) 2023-09-19

Family

ID=82269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373A KR102580393B1 (ko) 2020-12-22 2020-12-22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3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45986B (zh) * 2023-11-01 2024-01-09 亿昇(天津)科技有限公司 一种导叶风阀及流量调节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648B1 (ko) * 2012-02-08 2013-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용 표시기
JP2013181696A (ja) * 2012-03-01 2013-09-12 Kyoritsu Air Tech Inc 風量調整ダンパ
US20150147955A1 (en) * 2012-05-21 2015-05-28 Capital Hardware Supply Inc. Adjustable regulator and lock device for ductwork damp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9675A (ja) * 1985-10-25 1987-05-09 Kokusan Denki Co Ltd 内燃機関用速度制御装置
KR101589676B1 (ko) * 2014-07-09 2016-02-12 주식회사 에스에이씨 고온용 댐퍼 유닛
KR102083546B1 (ko) * 2017-12-28 2020-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어 댐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648B1 (ko) * 2012-02-08 2013-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용 표시기
JP2013181696A (ja) * 2012-03-01 2013-09-12 Kyoritsu Air Tech Inc 風量調整ダンパ
US20150147955A1 (en) * 2012-05-21 2015-05-28 Capital Hardware Supply Inc. Adjustable regulator and lock device for ductwork dam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305A (ko)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0393B1 (ko) 댐퍼
KR101998860B1 (ko) 축 휨을 방지하는 밸브
GB2468292A (en) Damper with spring clutch to permit or prevent movement of the damper blade by relative position of spring legs on the spring clutch.
US5901502A (en) Duct access door for circular openings
KR100889852B1 (ko) 공기조화용 댐퍼장치
US20050202778A1 (en) Wall-mounted exhaust vents
US5711091A (en) Soffit mounted dryer vent
KR101324311B1 (ko) 댐퍼 유닛
US6685557B1 (en) Building ventilation air inlet assembly
KR101610290B1 (ko) 기밀유지용 공조기 댐퍼
KR200491310Y1 (ko)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KR101702268B1 (ko) 기계식 풍량조절 기능을 갖는 전동댐퍼
US8490947B2 (en) Presettable gas valve with retainer
KR200489078Y1 (ko) 건물용 배관 연결구
JP6668557B2 (ja) 回転式ドア駆動装置
KR102097405B1 (ko) 실링 콘트롤 기능을 갖는 버터플라이 밸브
US20120061602A1 (en) Flap, in particular throttle flap, for influencing a volumetric flow flowing in a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system
KR101498556B1 (ko) 자동 회전방지용 댐퍼
US20200080295A1 (en) Wall sleeve system for a ventilation system
JP7054766B2 (ja) 風量調整ダンパー
KR20110080942A (ko) 가스밸브 봉인장치
KR200240130Y1 (ko) 기기의 점검창 덮개 개폐장치
CN205351574U (zh) 电控盒及空调室外机
CA2087010A1 (en) Arrangement in valve dampers
JPH031716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