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849U - 공조덕트용 공기량 조절유닛 - Google Patents

공조덕트용 공기량 조절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849U
KR20180000849U KR2020160005432U KR20160005432U KR20180000849U KR 20180000849 U KR20180000849 U KR 20180000849U KR 2020160005432 U KR2020160005432 U KR 2020160005432U KR 20160005432 U KR20160005432 U KR 20160005432U KR 20180000849 U KR20180000849 U KR 201800008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djusting
passage
blade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인구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5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849U/ko
Publication of KR201800008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84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최소한의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한 번의 나사 회전방식에 의해 조절 블레이드의 각도를 조절하여 순환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내부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는 연결 본체; 상기 통로의 수평 중심을 기준하여 상기 연결 본체의 내부 상면 및 바닥면에 일단이 상기 통로 측 끝단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되지 않는 각 조절 블레이드; 및 상기 연결 본체에 형성된 나사탭공을 통하여 외부에서 상기 각 조절 블레이드의 일면을 가압하여 상기 각 조절 블레이드의 고정된 부분이 소성변형 되면서 소정 각도로 통로의 폭을 조절하는 각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공조덕트용 공기량 조절유닛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제작비용이 저렴한 효과와 함께 공기량 조절 또한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Description

공조덕트용 공기량 조절유닛{Air-conditioning ducts for air conditioning unit}
본 고안은 공조덕트 사이에 개재되어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최소한의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한 번의 나사 회전방식에 의해 조절 블레이드의 각도를 조절하여 순환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공조덕트용 공기량 조절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이나 선박 등과 같은 구조물에는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순환시켜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공조시설이 마련되며, 이러한 공조시설에는 필수적으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조덕트가 마련된다.
이러한 공조덕트에는 그 공조덕트 내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공기 유동 량을 조절해 주는 댐퍼가 구비된다.
통상 공조덕트에 구비되는 유량 조절장치는 Volume Damper 또는 Air Balancing Damper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Volume Damper는 유량을 0~100%로 조절 가능하나 실제 적인 Air Balancing 업무에서 Volume Damper를 사용하여, 유량을 30% 이하로 조절해야 하는 경우는 드물게 발생한다.
아울러, Volume Damper는 장비로서 등록되고 관리되므로, 유지 보수 비용이 추가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Volume Damper는 Opposed Blade system을 구현하기 위하여, Blade set과 Shaft, Linkage, Handle, Locking device 등으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구성 부품이 복잡하고, 각 요소가 기계적인 결합을 하고 있으므로, 고장의 가능성을 내제하고 있으며, 필요 시 철저한 유지관리(Maintenance)가 요구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공조덕트의 재질과 다른 부품(Compartment)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며, 설치 후 도장 및 이물질로 인하여, 장치가 고착되는 경우 또한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또, 공기의 흐름에 따라, Blade의 위치가 변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Locking Device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공조덕트에 적용되는 댐퍼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1833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덕트 내의 풍량이나 정압을 수동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수동 개폐형 댐퍼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1392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핸들 바와 댐퍼 블레이드의 회전축이 감속기어를 매개로 직렬 연결되도록 함과 아울러 핸들 바가 댐퍼 하우징의 측벽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구성이 단순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설치조립시 불량이 최소화되며, 설치조립작업의 정확도가 향상되면서 장치의 안정된 사용과 내구성 향상이 도모되는 새로운 형태의 핸들 일체형 감속기 직렬 연결식 댐퍼를 갖는 선박 통기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2556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댐퍼의 블레이드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블레이드의 개폐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183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139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2556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3은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Volume Damper가 가지는 여러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된 해결과제는 최소한의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한 번의 나사 회전방식에 의해 조절 블레이드의 각도를 조절하여 순환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공조덕트용 공기량 조절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다른 해결과제는 공기 순환에 따른 조절 블레이드의 유동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조절 블레이드의 각도 조절을 위해 마련되는 나사탭공으로 인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해결과제는 공조덕트 사이에 개재되어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유닛으로서, 상기 조절유닛은 양단에 각 공조덕트와 플랜지 결합되도록 각 연결 플랜지가 형성되며, 내부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는 연결 본체; 상기 통로의 수평 중심을 기준하여 상기 연결 본체의 내부 상면 및 바닥면에 일단이 상기 통로 측 끝단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되지 않는 각 조절 블레이드; 및 상기 연결 본체에 형성된 나사탭공을 통하여 외부에서 상기 각 조절 블레이드의 일면을 가압하여 상기 각 조절 블레이드의 고정된 부분이 소성변형 되면서 소정 각도로 통로의 폭을 조절하는 각 조절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각 조절볼트는 상기 각 조절 블레이드의 폭에 비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다.
상기 각 조절 블레이드에 의한 통로 개방률은 20~100%이다.
상기 나사 탭공에는 그 나사 탭공을 폐쇄할 수 있도록 탈착되는 플러그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각 조절 블레이드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에는 상기 연결 본체의 상면 및 바닥면과 소정 간격을 갖도록 절곡된 절곡 경사면이 더 형성된다.
본 고안은 최소한의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한 번의 나사 회전방식에 의해 조절 블레이드의 각도를 조절하여 순환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비용이 저렴한 효과와 함께 공기량 조절 또한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한, 공기 순환에 따른 조절 블레이드의 유동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량 조절이 필요없는 부분에 설치되는 부분에서는 높은 정숙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조절 블레이드의 각도 조절을 위해 마련되는 나사탭공으로 인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누설없이 순환되어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유닛(1)은 각종 건물이나 선박 등과 같은 구조물에는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순환시켜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공조시설인 공조덕트(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개재된다.
본 고안은 최소한의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한 번의 나사 회전방식에 의해 조절 블레이드의 각도를 조절하여 순환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절유닛(1)은 양단에 각 공조덕트와 통상적인 플랜지 결합방식에 의해 플랜지 결합되도록 각 연결 플랜지(12)가 형성되며, 내부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통로(14)가 형성되는 연결 본체(10)와; 상기 통로(14)의 수평 중심을 기준하여 상기 연결 본체(10)의 내부 상면 및 바닥면에 일단이 상기 통로(14) 측 끝단으로 통상적인 용접 또는 볼팅 등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되지 않는 금속재질의 각 조절 블레이드(20); 및 상기 연결 본체(10)에 형성된 나사탭공(32)을 통하여 외부에서 상기 각 조절 블레이드(20)의 일면을 가압하여 상기 각 조절 블레이드(20)의 고정된 부분이 소성변형 되면서 소정 각도로 통로(14)의 폭을 조절하는 각 조절볼트(30);를 포함한다.
각 조절 블레이드(20)는 통상적인 금속재질로 먼저, 일단이 통로 측 끝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되지 않는 자유단으로 마련된다.
먼저, 통로가 100% 개방된 상태에서 공기량을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각 나사탭공을 통하여 각 조절볼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각 조절볼트의 밑단이 조절 블레이드의 일면을 가압함에 따라 고정된 부분이 소성변형 되면서 그 고정된 부분을 기점으로 고정되지 않은 각 조절 블레이드가 경사지게 위치하면서 통로의 폭을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조절 블레이드는 금속재질로, 통상적인 플레이트 형태로 통로와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공조덕트를 통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공기량만큼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조절 블레이드는 공조덕트에 설치된 후에는 원하는 각도로 경사진 상태에서는 다시 조절할 필요가 없는 관계로, 한 번의 작업에 의해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이는, 본 고안의 조절유닛이 전체적으로 상당히 간단한 구조로 인해 실현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각 조절볼트(30)는 상기 각 조절 블레이드(20)의 폭에 비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조절 블레이드의 폭이 넓을 경우, 하나의 조절볼트에 의해 각도를 조절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이므로 그 조절 블레이드의 폭에 비례하여 2~3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조절 블레이드(20)에 의한 통로(14) 개방률은 20~10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조절 블레이드의 일단이 고정된 후 소성변형에 의해 각도가 조절됨으로 인해 그 소성변형되는 부분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방률을 20% 이상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기 참고 그래프와 조건을 가지고 본 고안을 토대로 실험한 결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
Figure utm00001
각 조절 블레이드(20)를 각 조절볼트(30)를 사용하여 통로(14) 전체 100% 개방에서 20%만을 닫았을 때(B=0.8A) 순환공기는 50%(~20%)만큼 줄어드는 효과를 가진다.
또, 조절 블레이드(20)를 조절볼트(30)를 사용하여 통로(14) 전체 100% 개방에서 50%만을 닫았을 때(B=0.5A) 순환공기는 80%(~50%)만큼 줄어드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실험 데이터를 통대로 각 공조덕트의 위치에 따라 각 조절 블레이드의 각도를 적정하게 조절함으로써, 더욱더 효율적으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본 고안은 각 조절 블레이드의 각도를 공조덕트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각 조절볼트의 의해 적정하게 조절함으로써, 전체적인 공조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특히, 공기량의 조절하는 방식 또한 복잡하거나 번거로운 방식이 아닌 나사 회전방식에 의해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최소한의 비용으로 제작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 또한 가진다.
한편, 유량 조절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도 4에서와같이 상기 각 조절 블레이드(20)를 연결 본체(10)의 상면과 바닥면으로 밀착시키고, 이때 나사탭공(32)에는 공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덕트와 같은 재질 또는 상당재질 등의 플러그(32A)를 꽂아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연결 본체의 상면과 바닥면으로 각 조절 블레이드가 밀착된 상태에서는 통로로 순환되는 공기로 인해 고정되지 않은 끝단이 유동 되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관계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 본체(10)의 상면 및 바닥면과 소정 간격을 갖도록 절곡된 각각의 절곡 경사면(22)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절곡 경사면에 의해 조절 블레이드의 끝단이 연결 본체의 상면 및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공간이 완충되는 역할을 함에 따라 유동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로 인해 유량 조절이 필요 없을 경우에도 조절 블레이드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정숙성을 가질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1 : 조절유닛
10 : 연결본체 12 : 연결 플랜지
14 : 통로 20 : 조절 블레이드
22 : 경사면 30 : 조절볼트
32 : 나사탭공 32A : 플러그

Claims (5)

  1. 공조덕트 사이에 개재되어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유닛으로서,
    상기 조절유닛은 양단에 각 공조덕트와 플랜지 결합되도록 각 연결 플랜지가 형성되며, 내부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는 연결 본체;
    상기 통로의 수평 중심을 기준하여 상기 연결 본체의 내부 상면 및 바닥면에 일단이 상기 통로 측 끝단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되지 않는 각 조절 블레이드; 및
    상기 연결 본체에 형성된 나사탭공을 통하여 외부에서 상기 각 조절 블레이드의 일면을 가압하여 상기 각 조절 블레이드의 고정된 부분이 소성변형 되면서 소정 각도로 통로의 폭을 조절하는 각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덕트용 공기량 조절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절볼트는 상기 각 조절 블레이드의 폭에 비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덕트용 공기량 조절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절 블레이드에 의한 통로 개방률은 2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덕트용 공기량 조절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탭공에는 그 나사 탭공을 폐쇄할 수 있도록 탈착되는 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덕트용 공기량 조절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절 블레이드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에는 상기 연결 본체의 상면 및 바닥면과 소정 간격을 갖도록 절곡된 절곡 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덕트용 공기량 조절유닛.
KR2020160005432U 2016-09-19 2016-09-19 공조덕트용 공기량 조절유닛 KR2018000084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432U KR20180000849U (ko) 2016-09-19 2016-09-19 공조덕트용 공기량 조절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432U KR20180000849U (ko) 2016-09-19 2016-09-19 공조덕트용 공기량 조절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49U true KR20180000849U (ko) 2018-03-28

Family

ID=6180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432U KR20180000849U (ko) 2016-09-19 2016-09-19 공조덕트용 공기량 조절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84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372A1 (ko) * 2019-11-28 2021-06-0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지능형 공기청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833B1 (ko) 2012-09-07 2013-03-18 (주) 늘푸른동방 수동 개폐형 댐퍼
KR101621392B1 (ko) 2014-10-27 2016-05-16 주식회사 재현테크 핸들 일체형 감속기 직렬연결식 댐퍼를 갖는 선박 통기장치
KR20160062556A (ko) 2014-11-25 2016-06-02 성호경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833B1 (ko) 2012-09-07 2013-03-18 (주) 늘푸른동방 수동 개폐형 댐퍼
KR101621392B1 (ko) 2014-10-27 2016-05-16 주식회사 재현테크 핸들 일체형 감속기 직렬연결식 댐퍼를 갖는 선박 통기장치
KR20160062556A (ko) 2014-11-25 2016-06-02 성호경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372A1 (ko) * 2019-11-28 2021-06-0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지능형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20115T2 (de) Kühlschrank-Luftklappenanlage und Kühlschrank
EP2320096B1 (en) A vortex flow control device
US20080116288A1 (en) Duct Damper for Retrofit of Existing Duct
US8636567B2 (en) Damper to control fluid flow and associated methods
US6527194B1 (en) Flow control damper
US20080014859A1 (en) Damper assembly for air handling system
US20160265806A1 (en) Counterweighted backdraft damper blade with improved airflow profile
US20130146272A1 (en) Barometric relief air zone damper
KR20180000849U (ko) 공조덕트용 공기량 조절유닛
US20150211764A1 (en) Electric variable-air-volume diffuser
DE112012002920T5 (de) Fahrzeug-Klimaanlage
JP2018173207A (ja) 可変風量装置
EP2433825A1 (de) Kraftfahrzeugklimaanlage
US20200033022A1 (en) Adjustable adjuster from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of the adjuster
DE102014107446B3 (de) Absperrklappe
KR20160099856A (ko) 공조장치의 유량조절댐퍼
EP3921580B1 (de) System zur belüftung von räumen
US20100181517A1 (en) Helical Fluid Flow Conduit
KR20170004370A (ko)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공조장치
EP1826039B1 (en) Variable flow valve
US20130306746A1 (en) Retrofit Flap Damper Assembly System for Cone Type Damper Variable Air Volume Boxes
US11946665B2 (en) Adjustable heavy-duty bracket assembly
EP1724533B1 (de) Raumlufttechnische Anlage sowie entsprechendes Verfahren
EP2581678A2 (en) Supply air valve
KR101651626B1 (ko) 공조기용 댐퍼 개폐 각도 제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