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551A - 댐퍼 - Google Patents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551A
KR20170013551A KR1020150106331A KR20150106331A KR20170013551A KR 20170013551 A KR20170013551 A KR 20170013551A KR 1020150106331 A KR1020150106331 A KR 1020150106331A KR 20150106331 A KR20150106331 A KR 20150106331A KR 20170013551 A KR20170013551 A KR 20170013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uct
damper
w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희
임구섭
박준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6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3551A/ko
Publication of KR20170013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8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bearings, pivots 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가 이동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어 접힘이 가능한 날개와, 상기 덕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날개의 접힘 각도를 조절하는 제1샤프트와, 상기 덕트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날개의 접힘 각도에 따라 이동하는 제2샤프트를 포함하는 덕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댐퍼 {The Damper}
본 발명은 소음을 줄이는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HVAC(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덕트 시스템에서 룸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선행기술문헌 1(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129636호) 및 선행기술문헌 2(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32431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동식 댐퍼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동식 댐퍼는 회전판의 개폐에 의해 유량을 조정하는데, 회전판은 덕트 내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댐퍼 개방 시 불균일한 유동을 유발하며 이에 의한 소음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강화된 소음 기준 적용 구역 및 저소음구역에는 배치할 수 없어 작업 시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129636호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32431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음을 줄이는 댐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댐퍼는, 공기가 이동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어 접힘이 가능한 날개와, 상기 덕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날개의 접힘 각도를 조절하는 제1샤프트와, 상기 덕트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날개의 접힘 각도에 따라 이동하는 제2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샤프트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는 힌지에 의해 상기 제2샤프트에 접힘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샤프트의 양측에는 판이 설치되며, 상기 제2샤프트 이동 시 상기 판이 동시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댐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청구항 1에 따라서, 날개의 일단과 타단이 동일한 각도로 접히거나 펼쳐지므로 공기의 유동을 균일하게 하여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강화된 소음 기준 적용 구역 및 저소음 구역에 배치할 수 있어 작업 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라서, 제1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날개의 접힘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댐퍼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라서, 손실되는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어 덕트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댐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날개 접힘 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날개 접힘 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정면도.
도 6은 종래1의 댐퍼.
도 7은 종래2의 댐퍼.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댐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날개 접힘 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날개 접힘 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댐퍼는, 공기가 이동하는 덕트(1)와, 상기 덕트(1) 내에 위치하며 접힘이 가능한 날개(6)와, 상기 덕트(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날개(6)의 접힘 각도를 조절하는 제1샤프트(2)와, 상기 덕트(1)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날개(6)의 접힘 각도에 따라 이동하는 제2샤프트(5)를 포함한다.
덕트(1)는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덕트(1) 내부에는 접힘이 가능한 날개(6)가 설치된다.
상기 날개(6)의 중심은 후술할 제2샤프트(5)에 힌지(7)로 연결되고, 상기 날개(6)의 양단은 나사(20)에 의해 후술할 제1샤프트(2)에 연결된다.
그리하여, 후술할 손잡이(3)의 회전에 따라 후술할 제1샤프트(2)가 회전하고, 후술할 제1샤프트(2)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날개(6)를 펴거나 접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댐퍼의 개폐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날개(6)는 후술할 제2샤프트(5)를 기준으로 날개(6)의 일단과 타단이 동일한 각도로 접힘이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날개(6)는 댐퍼 개폐 시, 유동이 균일하게 이동하여 유동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덕트(1)의 상면과 하면에는 관통공(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미도시)에는 후술할 제1샤프트(2)가 설치된다.
상기 덕트(1)의 관통공(미도시)에는 제1샤프트(2)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덕트(1)의 전면과 후면에는 홀(40a,40b)이 형성된다.
상기 홀(40a,40b)은 전면에 형성된 제1홀(40a)과 후면에 형성된 제2홀(40b)을 포함한다.
상기 제1홀(40a)은 후술할 제2샤프트(5)의 일단이 설치되며, 후술할 제2샤프트(5) 이동 시 이동하는 공간이다.
상기 제2홀(40b)은 후술할 제2샤프트(5)의 타단이 설치되며, 후술할 제2샤프트(5) 이동 시 이동하는 공간이다.
이러한 제1홀(40a) 및 제2홀(40b)은 후술할 제2샤프트(5)의 이동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샤프트(2)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 형태이다.
상기 제1샤프트(2)는 상기 덕트(1)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1샤프트(2)는 공기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크류 샤프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샤프트(2)에는 나사(20)가 설치된다.
상기 나사(20)는 상기 날개(6)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날개(6)의 일단에 설치된 나사(20)의 나사산과 상기 날개(6)의 타단에 설치된 나사(20)의 나사산은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샤프트(2)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날개(6)의 일단에 설치된 나사(2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날개(6)의 타단에 설치된 나사(2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댐퍼를 열거나, 상기 날개(6)의 일단에 설치된 나사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날개(6)의 타단에 설치된 나사(2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댐퍼를 폐쇄하게 한다. 즉, 나사(20)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날개(6)의 접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샤프트(2)에 하나의 날개(6)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였지만,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날개(6)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3개 이상의 날개(6)를 설치하여 댐퍼를 개폐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샤프트(2)의 하단에는 손잡이(3)가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3)는 상기 제1샤프트(2)를 회전하여 상기 날개(6)의 접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덕트(1)의 내측면에는 제2샤프트(5)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샤프트(5)는 상기 덕트(1)의 전면 및 후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샤프트는 원통 형태이다.
상기 제2샤프트(5)에는 힌지(7)에 의해 상기 날개(6)가 접힘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힌지(7)는 움직임이 자유로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샤프트(5)의 양단에는 판(4a,4b)이 설치된다.
상기 판(4a,4b)은 제1판(4a)과 제2판(4b)을 포함한다.
상기 제1판(4a)은 사각 형태를 한다.
상기 제1판(4a)은 상기 힌지(7)에 의해 상기 제2샤프트(5)의 일단에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판(4a)은 상기 제2샤프트(5) 이동 시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판(4a)은 상기 제1홀(40a)을 폐쇄한다. 그리하여 상기 제2샤프트(5)가 공기의 이동방향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시 유동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1판(4a)의 크기는 제1홀(40a)의 크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판(4b)은 사각 형태를 한다.
상기 제2판(4b)은 상기 힌지(7)에 의해 상기 제2샤프트(5)의 타단에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2판(4b)은 상기 제2샤프트(5) 이동 시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판(4b)은 상기 제2홀(40b)을 폐쇄한다. 그리하여 상기 제2샤프트(5)가 공기의 이동방향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시 유동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2판(4b)의 크기는 제2홀(40b)의 크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샤프트(2)와 제2샤프트(5)의 관계를 살펴보면, 제1샤프트(2)에 설치된 나사(20)가 이동한 거리는 제2샤프트(5)가 이동한 거리와 동일하게 되고, 제1샤프트(2)의 회전으로 인해 제2샤프트(5)의 이동 거리로 덕트(1)의 개폐 여부 및 덕트(1)의 열림비율을 알 수 있게 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1샤프트(2)를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날개(6)가 펼쳐지면서 제2샤프트(5)가 공기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공기의 이동량은 최소가 된다.
제1샤프트(2)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날개(6)가 접히면서 제2샤프트(5)가 공기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공기의 이동량은 최대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댐퍼는, 특히, 공기의 유동을 균일하게 하여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는 댐퍼에 관한 것이다.
1: 덕트 4a,4b: 판
4a: 제1판 4b: 제2판
40a,40b: 홀 40a: 제1홀
40b: 제2홀 2: 제1샤프트
20: 나사 3: 손잡이
5: 제2샤프트 6: 날개
7: 힌지

Claims (4)

  1. 공기가 이동하는 덕트;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어 접힘이 가능한 날개;
    상기 덕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날개의 접힘 각도를 조절하는 제1샤프트;
    상기 덕트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날개의 접힘 각도에 따라 이동하는 제2샤프트;를 포함하는 댐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힌지에 의해 상기 제2샤프트에 접힘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샤프트의 양측에는 판이 설치되며,
    상기 제2샤프트 이동 시 상기 판이 동시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KR1020150106331A 2015-07-28 2015-07-28 댐퍼 KR20170013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331A KR20170013551A (ko) 2015-07-28 2015-07-28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331A KR20170013551A (ko) 2015-07-28 2015-07-28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551A true KR20170013551A (ko) 2017-02-07

Family

ID=58108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331A KR20170013551A (ko) 2015-07-28 2015-07-28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35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253A (ko) * 2018-09-10 2020-03-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량 제어 댐퍼
KR20220042569A (ko) 2020-09-28 2022-04-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 댐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636B1 (ko) 2010-08-20 2012-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량조절 기능을 가지는 역류방지 댐퍼
KR101324311B1 (ko) 2011-05-25 2013-11-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댐퍼 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636B1 (ko) 2010-08-20 2012-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량조절 기능을 가지는 역류방지 댐퍼
KR101324311B1 (ko) 2011-05-25 2013-11-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댐퍼 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253A (ko) * 2018-09-10 2020-03-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량 제어 댐퍼
KR20220042569A (ko) 2020-09-28 2022-04-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588062U (zh) 空调风量可调出风口
KR101583988B1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CN106871243B (zh) 空调室内壁挂机
CN204943824U (zh) 导风装置和窗式空调器
JP5267373B2 (ja) 空気調和機の風向変更装置
CA2882204A1 (en) Damper with integrated blade stop
WO2012073511A1 (ja) 空気調和機
US20140315482A1 (en) Air conditioning indoor unit
KR20170013551A (ko) 댐퍼
WO2017197924A1 (zh) 一种扫风支架以及空调器
JP6234287B2 (ja) 風圧式シャッター
JP2016210396A (ja) 空気吹出装置及び当該空気吹出装置の集合体
KR20060033432A (ko) 에어덕트용 댐퍼의 결합구조
WO2016136169A1 (ja) 通風装置
KR20130030419A (ko) 덕트용 풍량조절장치
WO2020114153A1 (zh) 面框组件和空气调节设备
JP4947224B1 (ja) 空気調和機
KR20120001882U (ko) 송풍방향 조절장치
JP5834208B2 (ja) 空気調和機
JP6213853B2 (ja) 空気調和機
JP4864159B1 (ja) 空気調和機
CN203848446U (zh) 一种通风装置
JP5979454B2 (ja) 空気調和機
KR101559928B1 (ko) 개폐방향이 다른 분할형 댐퍼
CN205815491U (zh) 多翼式风门及反渗透膜生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