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800B1 -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일체형 브라켓 - Google Patents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일체형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800B1
KR101240800B1 KR1020110016336A KR20110016336A KR101240800B1 KR 101240800 B1 KR101240800 B1 KR 101240800B1 KR 1020110016336 A KR1020110016336 A KR 1020110016336A KR 20110016336 A KR20110016336 A KR 20110016336A KR 101240800 B1 KR101240800 B1 KR 101240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rail
door frame
bracket
glass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025A (ko
Inventor
정봉근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6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800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차량의 도오글라스가 승강 또는 하강되는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을 도어의 내측에 고정시키기 위해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의 끝단에 브라켓을 용접하여 결합시킨 후, 다시 이렇게 결합된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과 브라켓을 도어 내측에 용접하여 경합시키는 경우, 별도의 브라켓을 생산하여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에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부품의 단가가 상승하고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100)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레일부(210)가 형성되며, 레일부(210)에는 도어글라스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웨더스트립이 설치되며, 하부 끝단은 도어(100)의 내부까지 연장 설치되어 도어글라스가 도어(100) 내부까지 내려갔을 경우 도어글라스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을 도어에 고정시켜주는 브라켓에 있어서, 도어글라스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의 하부 끝단에 "ㄱ" 자형으로 형성되는 브라켓(250)을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과 일체로 절곡하여 형성하며,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레일(200)과 일체로 형성되는 브라켓(250)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리브(280)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브라켓(25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을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일체형 브라켓{one piece bracket of door frame glass guide rail}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일체형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운전자가 차량의 도어글라스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차량의 실내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작동시켜 도어글라스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때, 도어글라스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의 하부 끝단에 "ㄱ" 자형의 브라켓을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과 일체로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의 형상을 단순화시키고 부품의 수를 줄여서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부품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일체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주행 중에 발생하는 외부소음이나 비 또는 먼지 등과 같은 외부 오염물질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되어 있는 것이다.
이렇게 밀폐되어 있는 공간 중 운전자가 운전을 하거나 탑승자가 차량의 실내에서 답답함을 느끼지 않고 편안한 승차감을 가질 수 있도록 차량의 전면 및 후면과 각각의 도어에는 차량용 글라스(glass)가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의사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도어글라스가 설치되는 것이다.
운전자가 차량 각각의 도어(10) 내측 도어트림에 구비되는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차량의 도어글라스가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도어글라스가 승강 또는 하강될 때, 도어글라스는 도어프레임 글라스 레일(20)의 레일부(21)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어프레임 글라스 레일(20)의 하부 끝단은 차량의 도어(10) 내측에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의 끝단에 브라켓(25)을 용접설치하고,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에 설치된 브라켓(25)을 도어(10) 내측에 용접 설치하여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도 1 은 종래의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이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 는 종래의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브라켓이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3 은 종래의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에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 는 종래의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에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 는 종래의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에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브라켓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어의 내측에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을 고정시키기 위해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의 끝단에 브라켓을 용접하여 결합시킨 후, 다시 이렇게 결합된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과 브라켓을 도어 내측에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경우, 별도의 브라켓을 생산하여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에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부품의 단가가 상승하고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각의 용접이 불량할 경우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과 브라켓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미리 일정한 형태로 생산되는 브라켓을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에 결합시켜 도어 내측에 설치할 경우,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과 브라켓의 결합부가 일정하지 못하면 브라켓이 도어 내측에 결합될 때 유격이 발생하여 도어글라스의 승강 또는 하강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의 형상을 단순화시키고 부품의 수를 줄여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부품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운전자가 차량의 도어글라스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차량의 실내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작동시켜 도어글라스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때, 도어글라스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의 하부 끝단에 "ㄱ" 자형의 브라켓을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과 일체로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브라켓을 생산하여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에 결합시켜야하기 때문에 부품의 단가가 상승하고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각각의 용접이 불량할 경우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과 브라켓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일체형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미리 일정한 형태로 생산되는 브라켓을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에 결합시켜 도어 내측에 설치할 경우,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과 브라켓의 결합부가 일정하지 못하면 브라켓이 도어 내측에 결합될 때 유격이 발생하여 도어글라스의 승강 또는 하강시 소음 및 과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일체형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레일부가 형성되며, 레일부에는 도어글라스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웨더스트립이 설치되며, 하부 끝단은 도어의 내부까지 연장 설치되어 도어글라스가 도어 내부까지 내려갔을 경우 도어글라스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을 도어에 고정시켜주는 브라켓에 있어서, 도어글라스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의 하부 끝단에 "ㄱ" 자형으로 형성되는 브라켓을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과 일체로 절곡하여 형성하며,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레일과 일체로 형성되는 브라켓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리브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브라켓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며, 도어프레임 가이드 레일과 브라켓이 접면되는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리브홈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어글라스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의 하부 끝단에 "ㄱ" 자형의 브라켓을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과 일체로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의 형상을 단순화시키고 부품의 수를 줄여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부품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과 브라켓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브라켓이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의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어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이 도어와 유격없이 결합되기 때문에 도어글라스 작동시 소음이 및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아 승차감이 향상되고 유지비가 줄어드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이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2 는 종래의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브라켓이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3 은 종래의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에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는 종래의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에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는 종래의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에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배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일체형 브라켓이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7 은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일체형 브라켓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 은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일체형 브라켓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 는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일체형 브라켓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일체형 브라켓이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7 은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일체형 브라켓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8 은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일체형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9 는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일체형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100)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레일(210)이 형성되며, 레일(210)에는 도어글라스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웨더스트립이 설치되며, 하부 끝단은 도어(100)의 내부까지 연장 설치되어 도어글라스가 도어(100) 내부까지 내려갔을 경우 도어글라스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을 도어에 고정시켜주는 브라켓에 있어서, 도어글라스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의 하부 끝단에 "ㄱ" 자형으로 형성되는 브라켓(250)을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과 일체로 절곡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레일(200)과 일체로 형성되는 브라켓(250)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리브(280)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브라켓(25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고, 도어프레임 가이드 레일(200)과 브라켓(250)이 접면되는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리브홈(300)을 형성한 것을 특징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100)에 설치되어 도어글라스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에 관한 것이다.
즉, 차량에 구비되는 각각의 도어(100)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의 내측에는 도어글라스가 승강 또는 하강되는 레일부(210)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에 구비되는 레일부(210)에는 도어글라스가 닫혔을 경우 도어글라스의 밀폐성을 유지시켜주기 위해 웨더스트랩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의 하부 끝단은 도어(100)의 하부 내측까지 형성되어 있어서 도어글라스가 도어(100) 하부로 내려갔을 경우에도 도어(100)의 내부에서 도어글라스를 고정시켜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의 끝단은 도어(100)의 하부 내측에 고정되어야하는데, 이때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의 끝단에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의 일측을 절곡하여 브라켓(250)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의 일측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브라켓(250)을 도어(100)의 내측에 용접하여 결합시킴으로써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을 도어(100)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과 일체로 형성되는 브라켓(250)을 이용하여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을 도어(100) 내측에 결합시킴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이고 공정을 단순화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히,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과 브라켓(25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의 일정한 위치에 브라켓(250)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을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 끝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브라켓(250)으로 도어(100)에 고정시킬 경우, 각각의 부품이 유격없이 정확하게 조립되어 도어글라스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때, 소음이 발생하거나 과부하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과 일체로 형성되는 브라켓(250)이 도어(100)에 결합되는 일측에 리브(280)를 형성하여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을 도어(100)에 결합시킬 때,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을 도어(100)에 고정시킨 후 도어글라스가 반복적으로 승강 및 하강 되어도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이 도어(100)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아울러, 브라켓(250)이 형성되는 글라스 가이드 레일(200)에는 브라켓(250)과 글라스 가이드 레일(200)이 밀착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글라스 가이드 레일(200)의 강성을 위해 표면에 리브홈(300)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100 : 도어 200 :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250 : 브라켓 280 : 리브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차량의 도어(100)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레일부(210)가 형성되며, 레일부(210)에는 도어글라스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웨더스트립이 설치되며, 하부 끝단은 도어(100)의 내부까지 연장 설치되어 도어글라스가 도어(100) 내부까지 내려갔을 경우 도어글라스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되,
    도어글라스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의 하부 끝단에 "ㄱ" 자형으로 형성되는 브라켓(250)을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200)과 일체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을 도어에 고정시켜주는 브라켓에 있어서,
    도어프레임 가이드 레일(200)과 브라켓(250)이 접면되는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리브홈(300)을 형성한 것을 특징을 하는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일체형 브라켓.
KR1020110016336A 2011-02-24 2011-02-24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일체형 브라켓 KR101240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336A KR101240800B1 (ko) 2011-02-24 2011-02-24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일체형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336A KR101240800B1 (ko) 2011-02-24 2011-02-24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일체형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025A KR20120097025A (ko) 2012-09-03
KR101240800B1 true KR101240800B1 (ko) 2013-03-07

Family

ID=47108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336A KR101240800B1 (ko) 2011-02-24 2011-02-24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일체형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228B1 (ko) * 2019-01-25 2021-08-23 덕양산업 주식회사 경량화된 일체형 윈도채널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952A (ko) * 1997-10-31 1999-05-15 양재신 도어가이드 레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952A (ko) * 1997-10-31 1999-05-15 양재신 도어가이드 레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025A (ko) 2012-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484501U (zh) 用于机动车辆的车顶框架结构
WO2014034220A1 (ja) 車両用ドア
KR101240800B1 (ko) 도어프레임 글라스가이드 레일 일체형 브라켓
JP2013226919A (ja) 車両のウインドシール構造
JP5232525B2 (ja) 車両用ドア
JP7172884B2 (ja) 車両のフレーム
CN202046183U (zh) 车辆用后门
KR100312867B1 (ko) 자동차의 선루프 고정구조
KR100931806B1 (ko) 자동차의 쿼터 글라스부 사이드 차체구조
CN114407628B (zh) 车门总成及车辆
CN2846261Y (zh) 改进的汽车车身b立柱组装件
KR100475930B1 (ko) 강성을 증대시킨 도어 프레임 연결 구조
KR20090020801A (ko) 차량의 선루프 프레임구조
KR100877859B1 (ko) 차량의 센터 플로워 보강구조
JP2012153295A (ja) フロントドアにおける窓構造
CN203438815U (zh) 车门及具有它的汽车
CN201136475Y (zh) 汽车中门外蒙皮上加强件
CN204457315U (zh) 一种车的车门
CN217259513U (zh) 一种车门玻璃结构
CN220700853U (zh) 一种汽车前门框结构
CN202911519U (zh) 一种汽车玻璃呢槽
JP2010264771A (ja) 自動車用ドア構造
JP4642187B2 (ja) 自動車のドアガラス昇降装置
CN211969139U (zh) 一种车顶帘布的引导装置及其成型模具
JP2005153768A (ja) ドア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