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088B1 - 표시 기기 및 그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기기 및 그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088B1
KR101240088B1 KR1020117007097A KR20117007097A KR101240088B1 KR 101240088 B1 KR101240088 B1 KR 101240088B1 KR 1020117007097 A KR1020117007097 A KR 1020117007097A KR 20117007097 A KR20117007097 A KR 20117007097A KR 101240088 B1 KR101240088 B1 KR 101240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display
key
operation portion
ass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7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8063A (ko
Inventor
도모야 요시하라
아키노리 와다
후토시 이와시타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20581A external-priority patent/JP564739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47773A external-priority patent/JP5455343B2/ja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48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4Converting codes to words; Guess-ahead of partial word inp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효율적으로 원하는 문자 정보를 얻는다.  표시 기기(휴대단말)는, 표시부, 각각 다른 문자가 할당되고, 서로 인접해 배치되는 복수의 조작 부분,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 및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서의 조작 상태의 검출에 근거해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 중 제 1 조작 부분가 조작되었다고 판정하면, 해당 제 1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에 관한 문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상태에 근거해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관련하는 제 2 조작 부분을 특정해, 상기 제 2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다.

Description

표시 기기 및 그 표시 방법{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적어도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표시 기기 및 그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 등의 휴대단말에 대해, 문자를 할당한 키 등의 조작 부분을 조작하는 것으로 문자 입력을 실시할 때, 조작된 조작 부분의 문자와 관련되는 변환 후보나 예측 입력 후보 등의 문자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키의 압하(pressing) 실수를 고려해, 압하해야 할 키와 다른 키가 압하되어도, 실제로 압하된 키의 주변의 키에 할당된 문자의 변환 후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휴대단말이 개시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특허 출원공개 2007-304966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특허 문헌 1과 같은 종래의 표시 기기로서의 휴대단말에서는, 조작된 조작 부분의 주변의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일률적으로 표시부에 표시한다. 그러므로 유저가 원하는 가능성이 낮은 문자 정보까지 표시부에 표시된다. 따라서, 표시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문자 정보의 수가 증가해, 의도하는 문자 정보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효율적으로 문자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가 있는 표시 기기 및 그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표시 기기는,
표시부;
각각 다른 문자를 할당할 수 있고, 서로 인접해 배치되는 복수의 조작 부분;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 및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서의 조작 상태의 검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 중 제 1 조작 부분이 조작됨을 판정하면, 해당 제 1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상태에 근거해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관련되는 제 2 조작 부분을 또한 특정해, 상기 제 2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다.
게다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정보로서, 상기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변환 후보 또는 문자 입력 예측 후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조작 검출부는,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상태로서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위치를 검출할 수 도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위치에 근거해 상기 제 2 조작 부분을 특정할 수 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 2 조작 부분은,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인접해 배치되는 조작 부분일 수 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조작 검출부는,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위치를 검출할 수 도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상기 조작 위치와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인접한 조작 부분 사이의 거리에 근거해 상기 제 2 조작 부분을 특정할 수 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조작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에 대한 상기 조작 상태로서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범위를 검출할 수 도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조작 범위에 근거해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을 판정할 수 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조작 범위 중에서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범위에 근거해 상기 제 2 조작 부분을 특정할 수 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 및 상기 제 2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다른 모드로 표시할 수 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조작 부분 및 상기 제 2 조작 부분 중 하나를 소정의 조작 부분으로서 특정할 수 도 있고, 상기 소정의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도 있으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조작 부분 및 상기 제 2 조작 부분에 포함되고, 상기 소정의 조작 부분 이외의 것인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에 관련된 문자 정보의 상기 표시부에의 표시를 억제할 수 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이 검출될 때마다, 상기 제 2 조작 부분을 특정할 수 도 있고,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와, 상기 특정된 제 2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조작 부분가 있는 경우, 검출된 복수의 조작 부분 각각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조작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이 소정 시간을 초과한 시간 동안 행해짐이 검출되면,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상태의 검출을 갱신할 수 도 있고, 상기 제어부는, 갱신된 상기 조작 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문자 정보를 갱신할 수 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에 근거해 표시된 상기 문자 정보에 대해서 수정 이력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제 2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에 관한 문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표시 기기는,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과 상기 표시부를 가지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도 있고, 상기 조작 검출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접촉 조작을 검출할 수 도 있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표시 기기에서의 표시 방법은, 표시부, 각각 다른 문자를 할당할 수 있고, 서로 인접해 배치되는 복수의 조작 부분,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 및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기기에 있어서의 표시 방법이며,
상기 조작 검출부에서의 조작 상태의 검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 중 제 1 조작 부분이 조작됨이 판정되면, 해당 제 1의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와,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관련해 특정되는 제 2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표시 기기 및 그 표시 방법에 의하면, 효율적으로 문자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휴대단말(표시 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휴대단말(표시 기기)의 외관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휴대단말(표시 기기)의 터치 패널의 상세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키(조작 부분)의 문자의 할당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휴대단말(표시 기기)의 터치 패널의 구조 및 조작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파선 Xa-Xb에서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3의 터치 패널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도 6에는, "5" 키의 주변부만이 나타나고 있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휴대단말(표시 기기)에 있어서의, 어느 키(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상태에 근거하는 다른 키(제 2 조작 부분)의 특정, 및 그러한 키의 문자와 관련되는 변환 후보의 표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휴대단말(표시 기기)에 있어서의 조작 상태에 근거하는 변환 후보의 표시 제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휴대단말(표시 기기)에 있어서의 변환 후보의 엄선 처리(scope narrowing process)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휴대단말(표시 기기)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터치 패널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터치 패널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휴대단말(표시 기기)의 외관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휴대단말(표시 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휴대단말(표시 기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예 1과 관련되는 휴대단말의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예 2와 관련되는 휴대단말의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예 2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예 2에 있어서의 접촉 키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예 2에 있어서의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표시 기기의 일례로서 휴대단말의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관련지어 설명한다.
(제 1 실시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휴대단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기기로서의 휴대단말 10은, 안테나 11, 통신부 12, 제어부 13, 기억부 14, 음성 입출력부 15, 스피커(SP) 15a, 마이크로폰(MIC) 15b, 및 터치 패널 16(조작 부분, 조작 검출부 및 표시부)을 가진다.
휴대단말 10은,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휴대전화기이다. 휴대단말 10은, 예를 들면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여도 괜찮다. 휴대단말 10은, 음성 통화, 전자 메일의 작성과 그 송수신, WEB(World Wide Web) 사이트의 열람 등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각종 기능은, 제어부 13의 제어 아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된다.
안테나 11은, 본 실시 형태에 대해 내장형 안테나이다. 안테나 11은, 예를 들면 로드 안테나여도 괜찮다. 안테나 11은, 소정의 주파수대역에서의 전자파를 기지국(예시하지 않음)을 향해 송신, 혹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통신부 12는, 제어부 13이 출력한 송신 신호를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해, 변조한 송신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안테나 11을 통해 기지국에 송신한다. 통신부 12는, 안테나 11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를 변조 방식에 대응하여 복조를 실시해, 복조한 신호를 수신 신호로서 제어부 13에 출력한다.
제어부 13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 DSP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 13은, 유저에 의한 각종 처리가 적절한 순서로 실행되도록, 휴대단말 10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 13이 실시하는 처리에는, 문자 변환에 관한 처리, 변환 후보를 표시하기 위한 처리가 포함된다. 이 외, 제어부 13이 실시하는 처리에는, 음성 통화, 전자 메일이나 WEB의 열람을 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처리 등이 포함된다.
제어부 13이 실시하는 제어에는, 예를 들면, 통신부 12의 통신 제어, 기억부 14와의 액세스 제어, 터치 패널 16에의 데이터의 표시 제어, 터치 패널 16의 조작에 의한 문자의 입력 제어, 음성 입출력부 15에서의 음성 처리의 제어 등이 포함된다.
기억부 14는, 예를 들면 불휘발성의 기억 기기(플래쉬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가능한 기억 기기(SRAM, DRAM)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 14에는, 문자 변환 및 변환 후보를 터치 패널 16에 표시하기 위한 사전, 문자 변환의 이력이 등록된 변환 이력, 문자의 입력이나 삭제의 이력이 등록된 입력 이력, 운영체계, 문자 입력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이 기억되고 있다. 이 외, 기억부 14에는, 제어부 13의 출력 결과, 프로그램의 처리 과정에서 이용되는 일시적인 데이터, 전화번호 등으로 구성된 어드레스 북 등이 기억되고 있다.
음성 입출력부 15는, 제어부 13으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 15a를 통해 출력하기 위해, 디지털 음성 데이터에 대해서,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 증폭 등의 신호 처리를 가한다.
음성 입출력부 15는, 마이크로폰 15b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해 제어부 13에 출력하기 위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에 대해서, 증폭,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 코딩 등의 처리를 가한다.
터치 패널 16은,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손가락으로 압하시켜 문자를 입력하는 저항막방식의 터치 패널이다. 터치 패널 16은, 예를 들면, 정전 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등, 그 외의 방식이어도 괜찮다.
터치 패널 16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로서의 기능, 및 문자나 화상 등을 표시하는 표시 기기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터치 패널 16은, 제어부 13의 제어에 근거해, 입력장치 및 표시 기기로서의 기능을 실행한다.
상술한 도 1에 도시하는 각 요소는, 도 2에 도시하는 경우에 포함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휴대단말의 외관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 10은,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스트레이트형이라고 칭해지는 휴대단말이다. 휴대단말 10 케이스 100의 표면 100F에는, 터치 패널 16이 손가락으로 압하 가능하게 장착되고 있다. 휴대단말 10은, 예를 들면, 2개의 케이스를 경첩부에 의해 접을 수가 있는 접이식 휴대단말이어도 괜찮다. 휴대단말 10이 접이식 휴대단말인 경우, 2개의 케이스의 한편에, 터치 패널 16이 탑재되고 있다.
터치 패널 16의 상부에는, 스피커 15a용의 구멍부분 101이 형성된다. 케이스 100 내부의 구멍부분 101 근방에는, 스피커 15a가 배치되고 있다. 터치 패널 16의 하부에는, 마이크로폰 15b용의 구멍부분 102가 형성된다. 케이스 100 내부의 구멍부분 102 근방에는, 마이크로폰 15b가 배치되고 있다. 케이스 100의 표면 100F 또는 케이스 100의 측면에는, 예시하지 않은 전원 버튼 등이 배치되고 있다.
여기서, 휴대단말 10은, 문자를 한자 등의 다른 문자로 변환하는 문자 변환 기능을 가진다. 문자 변환은, 후술하는 문자 변환 모드에 따라 실행된다.
터치 패널 16에의 조작은, 손가락으로 터치 패널 16상에 표시된 키를 가볍게 압하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이 압하는, 터치 패널 16이 입력을 검출 가능하면, 접촉(가벼운 압하 등의 터치)이라도 좋다. 손가락 대신에, 예를 들면 펜(터치 펜)을 이용해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 16은, 이러한 압하나 접촉을 검출할 수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터치 패널 16은 손가락으로 가볍게 터치 패널 16을 압하하면 조작되므로, 민감한 조작이 가능하다. 이 반면, 터치 패널 16에서의 조작의 검출 영역은, 통상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조작의 검출 영역을 복수의 영역(복수의 조작 부분)으로 분할했을 경우여도, 각 영역끼리는 필연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것들 복수의 영역에 각각 다른 문자를 할당해 이것들 복수의 영역에 대한 조작에 의해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그 조작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복수의 영역에 걸쳐 검출되어 문자의 오입력이 생길 우려가 있다. 휴대단말 10은, 이러한 문자의 오입력을 고려한 다음 문자의 변환 후보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터치 패널 16 및 터치 패널 16을 이용한 문자 변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대해, 문자란, 히라가나, 가타가나, 영문자(알파벳), 한자, 숫자, 기호 등을 말한다.
히라가나, 가타가나, 영문자, 숫자에는, 1바이트의 문자 및 2바이트의 문자가 포함되어 있다. 다만, 유니코드(Unicode)에서는, 반각 문자는, 2바이트의 문자이다. 문자 변환에는, 히라가나로부터 한자로의 변환만이 아니고, 히라가나로부터 가타가나로의 변환, 히라가나로부터 영문자로의 변환 등, 여러 가지의 변환이 포함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터치 패널의 상세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 16은, 조작 영역 ARE1와 표시 영역 ARE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표시 영역 ARE2의 터치 패널은, 표시장치로서 기능해, 본 발명의 표시부에 대응한다.
조작 영역 ARE1는, 통화 키, 결정 키, 방향 키, 숫자 키 등, 각종 기능을 할당할 수 있어 서로 인접해 배치되는 복수의 조작 부분으로 분할되고 있다. 이와 같이 분할된 각 조작 부분에는, 각각 할당된 기능 및 문자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고 있다. 조작 영역 ARE1은, 3(X축 방향) x 8(Y축 방향)의 조작 부분으로 분할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3의 파선으로 가리키는 Xa-Xb간의 각 조작 부분에는, X축 방향으로 "4" 키, "5" 키, 및 "6" 키를 할당해 그 할당된 문자의 내용이 표시되고 있다. 표시 영역 ARE2는, 조작 영역 ARE1의 키의 압하에 의해 입력된 문자, 문자 변환 예측 후보, 문자 변환 후의 문자, 여러 가지의 화상 등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3에는, 터치 패널 16에 차지하는 조작 영역 ARE1의 면적과 표시 영역 ARE2의 면적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가 예시되고 있다. 터치 패널 16은, 그 전체를 조작 영역 ARE1이나 표시 영역 ARE2가 차지하는 일도 가능하다. 물론, 터치 패널 16에 차지하는 조작 영역 ARE1의 면적과 표시 영역 ARE2의 면적의 비율은 설정할 수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키(조작 부분)의 문자의 할당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5" 키에 대한 문자 할당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한자 히라가나 모드"에서는, "5" 키에, "な(na)", "に(ni)", "ぬ(nu)", "ね(ne)" 그리고 "の(no)"가 할당된다. "가타가나 모드"에서는, "5" 키에, "ナ(na)", "ニ(ni)", "ヌ(nu)", "ネ(ne)" 그리고 "ノ(no)"가 할당된다. "영문자 모드"에서는, "5" 키에, "j", "k", "l", "J", "K" 그리고 "L" 이 할당된다. "숫자 모드"에서는, "5" 키에 "5"를 할당한다. 이러한 모드는, 유저에 의해 적당 선택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터치 패널의 구조 및 조작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파선 Xa-Xb에서의 단면 모식도이다. 다만, 도 5에는, 입력장치로서의 가장 단순한 터치 패널의 구조가 도시되고 컬러 필터, 액정 등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 16은, 유리 기판 161과 필름 162가 서로 대향 배치되고 있다. 유리 기판 161의 필름 162에 대향하는 면에는, ITO(Indium Tin Oxide) 163이 성막되고 있다. 필름 162의 유리 기판 161에 대향하는 면에도, ITO 163이 성막되고 있다. 오접촉의 방지 등을 위해서, 유리 기판 161과 필름 162의 사이에, 복수의 스페이서 164가 배치되고 있다. 터치 패널 16은,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각 조작 부분(각 키)에 대한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로서도 기능한다.
도 5에는, 손가락으로 필름 162의 일부가 압하 조작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유리 기판 161의 ITO 163과 필름 162의 ITO 163이 압하점에서 서로 접촉하게 된다. 터치 패널 16은, 다음과 같이, 압하점의 X좌표 및 Y좌표를 검출한다.
압하점의 X좌표의 검출시에는, 필름 162의 ITO 163의 X축 방향으로 전압이 인가되어 필름 162의 ITO 163과 유리 기판 161의 ITO 163이 압하점에서 도통한다. 이때, 필름 162의 ITO 163에는, X축 방향으로 전압 그레디언트가 발생한다. 터치 패널 16은, 유리 기판 161에서 검출한 압하점의 전압으로부터 분압을 구하여, 압하점의 X좌표를 검출한다.
압하점의 Y좌표의 검출시에는, X좌표의 검출시와 반대로, 유리 기판 161의 ITO 163의 Y축 방향으로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유리 기판 161의 ITO 163의 Y축 방향으로 전압 그레디언트가 발생한다. 터치 패널 16은, 필름 162에서 검출한 압하점의 전압으로부터 분압을 구하여, 압하점의 Y좌표를 검출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하는 터치 패널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에는, "5" 키의 주변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 16의 각 영역에는, "1" 내지 "9" 키가 표시되고 있다. 이하, "5"가 표시되고 있는 영역 KEY에 근거해, "な(na)"를 입력하는 경우의 제어부 13에 의해 실행되는 변환 후보의 표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유저는, "な(na)"를 입력하기 위해, "한자 히라가나 모드"를 선택해, 터치 패널 16상의 "5" 키가 표시되고 있는 영역을 압하한다. 이때, 터치 패널 16은, 압하점 P의 X좌표 및 Y좌표를 검출한다.
터치 패널 16은, 검출한 압하점 P의 좌표를 제어부 13에 출력한다.
제어부 13은, "1" 내지 "9"키 중, 압하점 P의 좌표에 대응하는 키가 제 1 조작 부분으로서 조작되었다고 판정한다. 검출된 압하점 P의 좌표에 근거해, 제어부 13은 "5" 키에 할당된 "な(na)"가 입력된 것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 13은, 기억부 14의 사전 등을 참조해, 입력 문자 "な(na)" 및 "な(na)"로부터 예측되는 변환 후보를 터치 패널 16의 표시 영역 ARE2에 표시한다. 이때의 표시예를 도 7에 예시한다.
즉, 제어부 13은, 터치 패널 16에서의 조작 상태의 검출에 의해 복수의 조작 부분 중 제 1 조작 부분가 조작되었다고 판정해, 제 1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변환 후보를 표시한다.
변환 후보란, 예를 들면, 입력된 문자(예를 들면 "な(na)")로부터 예측된 문자 변환 후보(예를 들면 "など(nado: 등)", "なに(nani: 무엇")를 말한다.
또한, 문자 변환 후보에 가세해, 문자 입력 예측 후보를 표시하도록 해도 괜찮다. 문자 입력 예측 후보란, 예를 들면 알파벳 입력 모드 등으로, 입력 문자를 예측해 표시되는 입력 후보(예를 들면, "dat"라고 입력했을 경우에, "data", "database", "date" 등이 표시된다)이다. 또, 변환 후보 및 문자 입력 예측 후보 이외의 문자 정보를 표시해도 괜찮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 16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입력시에는, 터치 패널 16의 표시 영역 ARE2가, 상단 U 및 하단 D로 구분되어 있다. 표시 영역 ARE2의 하단 D에는, "など(nado: 등)", "なに(nani: 무엇"), 그리고 "なかなか(nakanaka: soso)" 등의 변환 후보가 표시되고 있다. 변환 후보의 표시 순서는, 기억부 14에 기억되고 있는 사전, 혹은 변환 이력 등에 따라 매우 적합하게 판정된다.
표시 영역 ARE2의 상단 U에는, 입력 문자 "な(na)"가 표시되고 있다. 입력 문자는, 예를 들면, "な(na)"의 입력 후 결정 키를 압하하는 것으로 확정된다.
그런데 압하점 P의 위치는, 이 영역 내의 중심 부근에 존재한다고는 할 수 없다. 압하점 P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하된 영역의 오른쪽 아래 부근에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유저는 "5" 키가 아니라 "5" 키에 인접한 "8"키 또는 "6" 키를 압하하려고 했을 가능성이 있다.
거기서, 제어부 13은, "5" 키의 영역을 또한 4분할해, 압하점 P가 존재하는 분할 영역에 따라 변환 후보를 표시 영역 ARE2에 표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의, 어느 키(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상태에 근거하는 다른 키(제 2 조작 부분)의 특정, 및 그러한 키의 문자와 관련되는 변환 후보의 표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영역 ARE1에 대해 분할된 영역은 균등하게 4개로 분할되고 있다. 4개의 각 분할 영역을 KEY1 내지 KEY4라고 한다. 이하, 도 6에 예시한 압하점 P가, 분할 영역 KEY4에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 13은, 터치 패널 16으로부터 출력된 압하점 P의 좌표에 근거해, KEY1 내지 KEY4로부터 압하점 P가 존재하는 분할 영역을 검출한다. 압하점 P가 이 분할 영역 KEY4에 존재한다고 검출된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하여 검출되면, 제어부 13은, 유저가 "5" 키를 압하하려고 했을 가능성이 70%이고, 분할 영역 KEY4에 인접하는 "8"키 및 "6" 키를 압하하려고 했을 가능성이 각각 20%, 10%라고 판정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 13은, 압하점 P가 존재하는 분할 영역의 정보(조작 상태)에 근거해, 유저가 "5"키 이외의 압하하려고 했을 가능성이 있는 다른 키에 할당된 영역을 특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 13이 특정한 영역은, "6"키 및 "8" 키의 영역이다. 즉, 제 1 조작 부분("5"키)에 대한 조작 위치를 검출해, 이 조작 위치에 근거해 제 2 조작 부분("6"키 및 "8"키)를 특정한다.
제어부 13은, 유저가 압하하려고 했을 가능성에 따라, 변환 후보를 표시 영역 ARE2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 13은, "5" 키의 "な(na)", "8" 키의 "や(ya)", 및 "6" 키의 "は(ha)"와 관련되는 변환 후보를 터치 패널 16의 표시 영역 ARE2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 13은, "な(na)"로부터 예측되는 "など(nado: 등)", "や(ya)"로부터 예측되는 "やはり(yahari: 결국)", "は(ha)"로부터 예측되는 "パソコン(pasokon: 개인용 컴퓨터)" 등을 유저가 압하하려고 했을 가능성에 따라, 터치 패널 16의 표시 영역 ARE2에 표시한다. 이때의 표시예를 도 9에 예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의 조작 상태에 근거하는 변환 후보의 표시 제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영역 ARE2의 하단 D에는, "な(na)", "など(nado: 등)",... "や(ya)", "やはり(yahari: 결국)",... "は(ha)" 및 "パソコン(pasokon: 개인용 컴퓨터)" 등의 변환 후보가 표시되고 있다.
변환 후보는, 유저가 압하를 시도했을 가능성이 높은 순서에 표시된다. 상세하게는, 변환 후보는, 유저가 압하를 시도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5"키의 "な(na)", "な(na)"로부터 예측되는 어구, 유저가 압하를 시도했을 가능성이 다음으로 높은 "8"키의 "や(ya)", "や(ya)"로부터 예측되는 어구, 마지막으로 "6"키의 "は(ha)", "は(ha)"로부터 예측되는 어구의 순서로 표시된다. 또한, 어구란, "など(nado: 등)"과 같이, 문자의 집합이다.
변환 후보의 표시수가 압하하려고 했을 가능성에 따라 다르게 해도 좋다. 유저가 "5" 키를 압하하려고 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고, 유저가 "6" 키를 압하하려고 했을 가능성이 가장 낮다. 따라서, 재빠르게 입력 문자를 확정하기 위해서, "6"키의 "は(ha)"로부터 예측되는 표시해야 할 변환 후보의 수는, "5"키의 "な(na)"키로부터 예측되는 어구의 수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압하점 P가 2개의 영역 KEY의 경계상에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압하점 P가, 예를 들면, "5"키의 영역 KEY와 "6"키의 영역 KEY 사이의 경계상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 13은, 유저가 "5"키 및 "6" 키를 압하하려고 했을 가능성이 각각 50%인 것이라고 판정한다.
압하점 P가 다른 분할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제어부 13은, 상술한 방법과 같게 변환 후보를 터치 패널 16의 표시 영역 ARE2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압하점 P가 분할 영역 KEY1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 13은, 유저가 "5" 키를 압하하려고 했을 가능성이 70%, 분할 영역 KEY1에 인접하는 "2"키 및 "4" 키를 압하하려고 했을 가능성이 각각 20%, 10%인 것이라고 판정한다.
분할 영역 KEY1~KEY4에 따라 유저가 압하하려고 했을 가능성은, 설정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압하점 P가 분할 영역 KEY4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 13은, 유저가 "5" 키를 압하하려고 했을 가능성이 60%이며, 유저가 "8"키, "6"키 및 "9" 키를 압하하려고 했을 가능성이 각각 20%, 5%, 5%라고 판정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 13은,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위치에 근거해 제 2 조작 부분을 특정해, 제 1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변환 후보 및 특정된 제 2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변환 후보를 표시 영역 ARE2에 표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의 변환 후보의 엄선 처리(scope narrowing process)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변환 후보가 표시 영역 ARE2에 표시된 후, 복수 개의 표시된 변환 후보 중에서 재빠르게 원하는 문자 또는 어구를 확정하기 위해, 제어부 13은, 엄선 처리를 실시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저가 표시 영역 ARE2의 하단 D에 표시되고 있는 "な(na)"를 터치하면, 제어부 13은, 표시 영역 ARE2의 하단 D에, "'な(na)'로 엄선?"이라고 하는 유도 메시지를 표시한다. 유저가, 이 유도 메시지에 따라, 결정 키를 압하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영역 ARE2의 상단 U에는, "な(na)" 및 "な(na)"와 관련되는 어구만이 표시되어 그 외의 변환 후보의 표시가 소거된다(억제된다).
이와 같이, 표시되고 있는 복수의 변환 후보 중에서, 어느 1개의 키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변환 후보만을 남겨, 다른 변환 후보를 지우는 것으로, 유저는 원하는 변환 후보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엄선의 수단으로서 표시 영역 ARE2의 하단 D에 유도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전화번호부" 키나 "애플리케이션" 키의 표시를 이러한 "'な(na)'로의 엄선?"의 표시로 변경하도록 해도 괜찮다.
휴대단말 10의 동작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유저가 "5" 키를 압하한 것으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휴대단말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의 입력이 개시되면(단계 ST1), 유저는, 터치 패널 16의 조작 영역 ARE1를 조작해, 입력해야 할 문자를 할당한 키를 압하한다.
터치 패널 16은, 압하점 P의 X좌표 및 Y좌표를 검출해, 검출한 압하점 P의 좌표를 제어부 13에 출력한다(단계 ST2).
그 후, 제어부 13은, 터치 패널 16으로부터 출력된 압하점 P의 좌표에 근거해, 어느 영역이 압하되었는지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 13은, 압하점 P가 존재하는 분할 영역에 근거해, 유저가 압하하려고 했을 가능성이 있는 키를 특정한다(단계 ST3).
이 경우, 제어부 13이 특정한 영역은, "6"키 및 "8"키의 영역이다.
제어부 13은, 유저가 압하하려고 했을 가능성에 따라, 압하된 키 및 특정된 키의 문자와 관련되는 변환 후보를 표시 영역 ARE2에 표시한다(단계 ST4).
압하된 키 및 특정된 다른 키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변환 후보가 표시 영역 ARE1에 표시된 후, 제어부 13은, 압하된 키의 문자 및 특정된 다른 키의 문자 중에서, 어느 1개의 키의 문자를 선택하는 엄선 처리를 했는지 어떠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T5).
단계 ST5에 대해 엄선 처리를 해 1개의 키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Yes), 제어부 13은 그 키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변환 후보를 표시 영역 ARE2에 표시하고, 다른 키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변환 후보를 표시 영역 ARE2로부터 소거한다. 즉, 제어부 13은, 표시 영역 ARE2에 표시된 변환 후보의 표시 제어를 실시한다(단계 ST6).
한편, 단계 ST5에 대해 엄선 처리를 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을 경우(No)에는, 제어부 13은, 변환 후보의 표시 제어를 실시하는 일 없이 단계 ST7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단계 ST7에 대해서는, 제어부 13에 의해 표시된 변환 후보로부터 1의 변환 후보가 선택 및 결정되었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1의 변환 후보의 선택 및 결정이, 터치 패널 16에 대한 조작에 따라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그 변환 후보를 확정해,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T8)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것처럼, 휴대단말 10에 의하면, 제어부 13이, 압하된 키(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상태에 근거해 다른 키(제 2 조작 부분)를 특정한다. 이때, 제어부 13은, 압하된 키(제 1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의 변환 후보와, 특정한 다른 키(제 2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의 변환 후보를 터치 패널 16의 표시 영역 ARE2에 표시한다. 제어부 13은, 압하된 키에 대한 조작 상태에 근거해, 변환 후보의 표시 모드를 억제한다. 여기서, 제어부 13에 의해 특정되는 조작 부분은, 제 1 조작 부분에 인접한 조작 부분이 아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효율적으로 입력 문자를 원하는 문자로 변환할 수가 있다. 특히, 터치 패널 16은, 키(조작 부분)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고 있기 때문에, 어느 키를 다른 키와 구별하는 것이 어려워, 키의 압하 실수가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휴대단말 10에 의하면, 복수의 조작 부분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고 있는 터치 패널 16을 이용했을 경우여도, 조작성을 해치는 일 없이, 효율적으로 입력 문자를 원하는 문자로 변환할 수가 있다.
또, 휴대단말 10은, 엄선 처리를 실시하여, 유저의 의도하지 않는 불필요한 변환 후보를 삭감할 수가 있어 재빠르게 원하는 문자를 확정할 수가 있다.
(변형예 1)
변형예 1은, 도 11에 도시하는 단계 ST3에 대해, 제어부 13이 다른 키(제 2 조작 부분)를 특정할 때, 압하된 키(제 1 조작 부분)의 압하점과 압하된 키(제 1 조작 부분)에 인접한 다른 키(제 2 조작 부분)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로부터 유저가 압하하려 했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키로 엄선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터치 패널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에는, "5"키의 주변부만이 나타나고 있다.
이하, "5" 키가 표시되고 있는 영역 KEY에 근거해, 가장 단순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압하점은, 도 12에 도시하는 "5"키의 중앙 하부의 압하점 P1인 것으로 한다. 제어부 13은, 압하점 P1의 좌표와 "5" 키에 인접한 각 키의 중심점의 좌표 사이의 거리를 산출한다. 이때, 압하점 P1와 다른 키의 중심점 사이의 계산된 거리 가운데, 압하점 P1과 "8"키의 중심점 P2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다.
따라서 제어부 13은, "5" 및 "8" 키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변환 후보를 표시 영역 ARE2에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더욱 효율적으로 입력 문자를 원하는 문자로 변환할 수가 있다.
(변형예 2)
변형예 2는, 도 11에 도시하는 단계 ST3에 대해, 제어부 13이, 압하된 키(제 1 조작 부분)에 인접한 다른 키(제 2 조작 부분)를 특정할 때, 압하된 키(제 1 조작 부분)의 압하 범위로부터, 압하된 키(제 1 조작 부분)에 인접한 다른 키(제 2 조작 부분)를 특정하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터치 패널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에는, "5"키의 주변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5" 키가 표시되고 있는 영역 KEY에 근거해, 가장 단순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에 의한 압하의 경우, 압하 부분은 어느 정도의 면적을 가진다. 거기서, 제어부 13은, 압하점 P를 검출함 외에, 압하된 범위 REG를 검출한다.
이 경우, 압하 범위 REG는, 도 8에서의 분할 영역 KEY2와 KEY4에 이르고 있다. 제어부 13은, 압하 범위 REG가 미치는 분할 영역의 정보(조작 상태)에 근거해 다른 키를 특정해, "5" 키가 70%, "6" 키 및 "8" 키가 각각 15%의 가능성으로 압하되었을 것이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부 13은, "5" 키, "6" 키 및 "8" 키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변환 후보를 터치 패널 16상의 표시 영역 ARE2에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손가락에 의한 압하의 경우에서도, 효율적으로 입력 문자를 원하는 문자로 변환할 수가 있다.
(변형예 3)
변형예 3은, 도 11에 도시하는 단계 ST4에 대해, 제어부 13이 변환 후보를 터치 패널 16의 표시 영역 ARE2에 표시할 때, 유저가 압하하려고 했을 가능성에 따라 변환 후보의 문자의 크기를 차별화한다. 즉, 변형예 3은, 문자 정보의 표시의 모드를 차별화한다.
제어부 13은, 유저가 압하하려고 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변환 후보의 문자를, 유저가 압하하려고 했을 가능성이 가장 낮은 변환 후보의 문자보다 크게 표시한다. 도 9에 도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어부 13은, "な(na)" 및 "な(na)"로부터 예측되는 어구를 "や(ya)" 및 "や(ya)"로부터 예측되는 어구보다 크게 표시 영역 ARE2에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시각 효율이 우수하게 입력 문자를 원하는 문자로 변환할 수가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 제어부 13이 키 조작의 시간(조작 상태)에 따라 변환 후보를 터치 패널 16의 표시 영역 ARE2에 표시할 수가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단계 ST4에서, 변환 후보가 터치 패널 16의 표시 영역 ARE2에 표시된 후 일정시간(예를 들면 3초) 경과했을 때, 제어부 13은, 유저가 압하하려고 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변환 후보만을 표시 영역 ARE2에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효율적으로 입력 문자를 원하는 문자로 변환할 수가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제어부 13은, 압하된 키(제 1 조작 부분)의 조작에 근거해 표시된 문자 정보에 대해서 수정 이력이 있는 경우에, 다른 키(제 2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에 관한 문자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5" 키가 압하되었을 경우, 기억부 14에 기억된 입력 이력을 참조해, 백스페이스 키 또는 삭제(delete) 키 등을 조작해 "5" 키를 다른 키("6"키 등)로 수정해 입력을 실시하고 있는 입력 이력(수정 이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 13은 "5"키의 변환 후보에 입력 이력을 추가해, 다른 키("6"키 등 )의 변환 후보 표시 영역 ARE2에 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 13은, "5" 키가 압하되었을 때의 이전 이력만을 참조하거나, "5" 키를 다른 키("6"키 등)로 수정한 회수 또는 빈도가 소정수 이상인지를 판정해, 다른 키("6"키 등)의 변환 후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변형예로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표시 기기는, 도 14에 도시하는 휴대단말 10a에 적용할 수가 있다. 도 14에는, 접이식 형태의 휴대단말 10a가 예시되고 있다. 휴대단말 10a는, 표시부 17과, 조작 부분 및 조작 검출부인 복수의 키 18을 가진다. 터치 패널 상의 키가 아닌 키를 가지는 휴대단말이어도, 효율적으로 입력 문자를 원하는 문자로 변환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도 11에서의 단계 ST1~단계 ST8에서, 터치 패널 16에 대해서 조작을 했을 경우, 그 조작을 한 영역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변환 후보와 조작 상태에 근거해 특정된 다른 영역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변환 후보를 표시 영역 ARE2에 표시한 다음, 결정 키의 조작에 의해 하나의 변환 후보가 확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결정 키의 조작에 의해 하나의 변환 후보가 확정되기 전에, 계속해 다른 조작을 했을 경우에는, 해당 다른 조작에 대해서도 단계 ST1~단계 ST8에서의 처리가 그대로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표시 영역 ARE2에, 해당 다른 조작을 한 영역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변환 후보와 해당 다른 조작의 조작 상태에 근거해 특정된 다른 영역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변환 후보가 표시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터치 패널 16에 의해 조작이 검출될 때마다, 단계 ST1~단계 ST8까지의 처리를 적용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문자가 입력될 때마다 키 압하 실수를 고려한 변환 후보를 표시 영역 ARE2에 표시할 수가 있어 유저는 안심하고 문자를 입력할 수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입력된 문자의 변환 후보가 확정되기 전에 다음의 문자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마지막에 입력된 문자의 압하 실수만을 고려한 변환 후보의 표시를 실시해, 최종 입력된 문자 이전 문자에 대해서는 압하 실수를 고려한 변환 후보의 표시를 하지 않게 구성해도 괜찮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압하 실수를 고려한 변환 후보의 표시가 가능하게 하는 한편으로, 쓸데없는 변환 후보가 표시 영역 ARE2에 표시되는 것이 억제되어 변환 후보의 시인성이 향상한다.
(제 2 실시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휴대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휴대단말 20은,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기기 30과, 표시 기기 30의 전면에 배설되는 터치 패널 31을 포함한다. 표시 기기 30은, 그 표시 영역을 나누는 것에 의해, 조작 키(조작 부분)를 표시하는 조작 키 표시부 32와 유저 입력에 따른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33으로 구성된다. 또한, 조작 키 표시부 32 및 표시부 33은, 각각 별개의 표시 기기로서 구성해도 좋다. 또, 터치 패널 31은, 표시 기기 30의 전면에 중첩하도록 배치될 필요는 없고, 적어도 조작 키 표시부 32에 중첩하도록 배치되면 좋다.
터치 패널 31은, 조작 키 표시부 32에 표시되는 각 조작 키의 화상에 대응해, 각 조작 키에의 입력 접수 범위(유저에 의한 입력을 해당 조작 키에의 입력으로서 받아들이는 범위)가 설정된다. 손가락 등에 의한 접촉을 검출하면, 그 접촉 범위를 입력 접수 범위에 포함한 조작 키에 대한 입력 조작으로서 받아들인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휴대단말 20의 기능 블록도이다. 휴대단말 20은, 조작 키 표시부 32, 표시부 33 및 터치 패널 31 외에, 일본어 입력 애플리케이션 및 가나-한자 변환의 한자 변환 후보 및 각종 설정 등 여러 가지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 34와 각 기능 블록 및 휴대단말 20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 35를 포함한다.
또한, 이하, 본 발명과의 관련이 있는 부분을 주로 설명하기 위해, 휴대단말 20은, 휴대단말로서의 기능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이지만, 예시하거나 설명하지 않은 논리 블록(예를 들면 전원부 등)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터치 패널 31은, 적어도 조작 키 표시부 32의 전면에 중첩하도록 표시 기기 30의 전면에 배설되어 조작 키 표시부 32에 표시되는 조작 키에의 입력 조작을 받아들인다. 즉, 조작 키 표시부 32 및 터치 패널 31은 조작 부분을 구성한다. 또한, 조작 키 표시부 32 그 자체가 입력을 받아들이는 터치 패널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경우는, 터치 패널 31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 없이, 조작 키 표시부 32만으로 조작 부분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표시부 33은, 제어부 35의 제어의 아래에서 여러 가지의 정보를 표시한다. 일례로서 표시부 33은, 전자 메일 작성시에는, 전자 메일 문서를 작성 및 편집하기 위한 화면과, 조작 키 표시부 32에 표시되는 조작 키에의 입력(실제로는 터치 패널 31의 대응 개소에의 접촉)에 따른 문자를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 실시 형태에서는, 터치 패널 31은, 조작 키 표시부 32와 표시부 33을 구성하는 표시 기기 30의 전면에 중첩하도록 배설되므로, 터치 패널(31)은, 조작 키 표시부 32에 표시되는 조작 키에의 입력뿐만이 아니라, 표시부 33에 표시되는 여러 가지의 정보에의 입력을 받아들일 수도 있다. 즉, 표시부 33은, 조작 키 표시부 32에 표시되는 각 조작 키에의 입력에 따른 정보뿐만 아니라, 표시부 33에 표시되는 화면에의 입력에 따른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자 메일 문서의 작성 및 편집 화면에 있어, 표시부 33은, 조작 키 표시부 32에의 입력에 따른 가나-한자 변환의 한자 변환 후보와, 표시한 한자 변환 후보에의 입력(실제로는 터치 패널 31의 대응 개소에의 접촉)에 따른 문자(문자열)를 표시한다. 따라서, 표시부 33은, 조작 키 표시부 32 및 터치 패널 31과 함께 입력부를 구성할 수가 있다.
기억부 34는, 예측 변환 사전 기억부 341 및 입력 문자 버퍼 342를 포함한다.
예측 변환 사전 기억부 341은, 변환 후보 문자열을 기억한다. 또한, 변환 후보 문자열은,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열을 한자와 혼합한 문자열이나 여러 개의 다음에 오는 문자를 미리 예측한 문자열을 의미한다.
입력 문자 버퍼 342는, 조작 키에의 입력 상태가 변화한 시점에서 표시부 33에 표시되고 있는 문자를 입력 후보 문자로 해, 1 문자 이상의 입력 후보 문자로 이루어지는 입력 후보 문자열을 기억한다. 또한, 조작 키에의 입력 상태가 변화한 시점이란, 터치 패널 31에 대해, 해당 조작 키의 입력 접수 범위에의 접촉이 검출된 시점이나, 접촉이 해제된 시점이다.
제어부 35는, 면적 판정부 351 및 변환 후보 제시부 352를 포함한다.
면적 판정부 351은, 예를 들면 유저가 손가락끝에 의해 터치 패널 31에 접촉하면, 그 접촉 면적을 산출한다. 또한, 유저에 의한 터치 패널 31에의 접촉이, 복수의 조작 키의 입력 접수 범위에 걸치는 경우에는, 면적 판정부 351은, 조작 키 마다의 접촉 면적을 산출한다.
변환 후보 제시부 352는, 입력 문자 버퍼 342에 기억된 입력 후보 문자열에 대응하는 변환 후보 문자열이 예측 변환 사전 기억부 341에 기억되고 있는지 아닌지(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변환 후보 제시부 352는, 변환 후보 문자열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변환 후보 문자열을 리스트로서 표시부 33에 선택 가능하게 표시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예 1과 관련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의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체적인 예 1과 관련되는 휴대단말은, QWERTY 배열의 풀 키를 입력부로서 제공한다.
이하, 본 구체적인 예 1과 관련되는 휴대단말에 대해, 유저가, "待ち合わせ(matiawase)"라고 입력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의 (a)에서, 유저는, 문자 "mat"까지 입력이 끝난 상태이다. 즉, 도 17의 (a)에서, 입력 버퍼 342에는 "mat"가 기억되고 있다. 계속되어, 유저는, "i"를 입력하기 위해서, 터치 패널 31에 손가락으로 접촉한다. 이때, 도 17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i"의 조작 키 주변에 배치되고 있는 "o" "k" "l"의 조작 키(입력 접수 범위)에도 손가락이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본 구체적인 예 1에서는, 입력 접수 범위에 대해 손가락의 접촉이 검출된 모든 조작 키에 대해, 면적 판정부 351이, 그 접촉 면적을 산출한다. 면적 판정부 351은, 또한, 입력 접수 범위의 면적에 대한 접촉 면적의 비율(이하, 압하율이라고 말한다)을, 입력 접수 범위에 대해 손가락의 접촉이 검출된 모든 키에 대해 각각 산출한다. 예를 들면, 도 17의 (b)에 도시한 상태의 경우, "i", "o", "k", "l"의 조작 키의 압하율은 각각, 52%, 64%, 12% 및 20%가 된다.
기억부 34는, 압하율의 임계치(예를 들면, 40%)를 기억하고 있다. 제어부 35는, 각 조작 키의 압하율과 기억부 34에 기억되고 있는 임계치를 비교해, 변환 후보를 제시해야 할 문자를 확정한다. 즉, 예를 들면, 도 17의 (b)에 도시한 접촉 상태에서는, "i"와 "o"의 조작 키의 압하율이 각각 40% 이상이기 때문에, 제어부 35는, "i"와 "o"의 조작 키에의 입력을, 변환 후보를 제시해야 할 입력으로서 판정한다. 여기서, 제어부 35는, 압하율이 가장 높은 "o"의 조작 키를 제 1 조작 부분으로 판정해, 압하율이 임계치를 초과하고 "o"의 조작 키의 압하율보다 낮은 "i"의 조작 키를 제 2 조작 부분으로서 특정한다.
변환 후보 제시부 352는, 입력 버퍼 342에 기억되고 있는 "mat"와, 제어부 35에 의해 변환 후보를 제시해야 할 입력으로서 판정된 "i" 또는 "o"의 조작 키에 할당된 문자 "i" 또는 "o"를 조합하여 형성한 문자열, "mati" 및 "mato" 각각에 대해, 예측 변환 사전 기억부 342를 참조해 변환 후보 문자열의 리스트를 작성해, 도 1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리스트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한다. 여기서, 우선 "o"의 조작 키와 관련되는 "mato"에 대응하는 변환 후보 문자열을 표시부 33에 표시하고, 그 다음에 "i"의 조작 키와 관련되는 "mati"에 대응하는 변환 후보 문자열을 표시부 33에 표시한다.
또한, 변환 후보 제시부 352는, 압하율이 높은 "o"의 조작 키에 할당된 문자 "o"를 이용한 문자열 "mato"에 대응하는 변환 후보 문자열의 리스트에 대해, "i"의 조작 키에 할당된 문자 "i"를 이용한 문자열 "mati"에 대응하는 변환 후보 문자열의 리스트보다 넓은 표시 영역을 할당한다.
이상, 본 구체적인 예 1에 의하면, 터치 패널을 이용한 휴대단말에 대해, 유저에 의한 터치 패널에의 접촉이 복수의 조작 키에 걸쳐 검출되었을 경우에, 압하율이 소정치 이상인 조작 키 모두에 대해, 조작 키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변환 후보를 선택 가능하게 제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오입력에 의한 문자 수정 등의 수고를 삭감할 수 있어 문자 입력의 효율이 향상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예 2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예 2와 관련되는 휴대단말에 서의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구체적인 예 2와 관련되는 휴대단말은, 숫자 패드를 입력부로서 제공한다. 숫자 패드의 각 키에는, 예를 들면, "あ(a)"행(1), "か(ka)"행(2), "さ(sa)"행(3)..."わ(wa)"행(0)을 할당할 수 있다. 이 키의 압하(접촉) 회수에 따라, 각 행의 문자를 차례로 표시("あ(a)"-> "い(i)"-> "う(u)"-> "え(e)"-> "お(o)"-> "あ(a)"-> "い(i)"-> "う(u)"-> "え(e)"-> "お(o)" 및 "か(ka)"-> "き(ki)"-> "く(ku)"-> "け(ke)"-> "こ(ko)" 등)시키는 것으로,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가 있다. 또, 각 키를 소정 시간 이상 압하(접촉)함으로써(오랜 압하(long pressing)), 키를 오래 압하하고 있는 동안의 소정 시간마다, 해당 키에 할당된 문자가 상술한 것처럼 차례로 표시된다. 원하는 문자가 표시되고 있는 동안에 키에서 떨어짐으로써(오랜 압하를 해제하거나 접촉을 해제),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가 있다.
도 19는, 본 구체적인 예 2와 관련되는 휴대단말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201에 대해, 제어부 35는, 터치 패널 31에 대해 손가락의 접촉을 검출하면, 이 접촉 위치를 입력 접수 범위에 포함한 조작 키(이하, "접촉 키")를 판정한다.
또, 제어부 35는, 단계 S201에 대해 접촉 키로 판정된 모든 조작 키에 대해서, 단계 S202 및 이 단계 S202 이후의 처리를 실시한다.
단계 S203에 대해, 면적 판정부 351은, 접촉 키의 입력 접수 범위에 있어서의 접촉 면적과 해당 접촉 키의 압하율을 구하다.
단계 S204에 대해, 제어부 35는, 접촉 키의 입력 접수 범위에서의 접촉 면적과 압하율을, 기억부 34의 접촉 키 관리 테이블에 기억한다. 즉, 제어부 35는, 접촉 키의 식별자(이하, "키 ID")와 해당 접촉 키의 입력 범위에서의 접촉 면적을 관련시켜, 접촉 키 관리 테이블에 이들을 기억한다. 또한, 키 ID가 이미 접촉 키 관리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 35는, 해당 키 ID와 관련되어 기억되어 있는 접촉 면적, 압하율, 토글 카운터를 갱신한다.
여기서, 접촉 키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 20에 나타낸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 키 관리 테이블은, 접촉 키의 키 ID 마다, 그 접촉 면적, 압하율, 및 토글 카운터의 값을 기억한다. 이 접촉 키 관리 테이블에 기억된 내용은, 조작 키에의 접촉이 검출되었을 때에 갱신되어 조작 키에의 접촉이 해제된 후(키 릴리스 후)의 소정 기간 내에 접촉이 없었던 경우나, 클리어 키에의 접촉을 검출했을 경우에, 삭제된다.
또한, 토글 카운터는, 키 토글을 판정하기 위해서 준비되어 조작 키에 할당된 문자수의 상한까지 카운트업한다. 예를 들면, 숫자 패드의 "2"의 조작 키에는, "か(ka)행"의 5 문자("か(ka)", "き(ki)", "く(ku)", "け(ke)", "こ(ko)")를 할당한다. 입력 검출시(즉, 표시부 33에 "か(ka)"가 표시되고 있을 때)에는 "0"이 설정된다. "か(ka)-> き(ki)"의 토글로, 2로 카운팅된다. "け(ke)-> こ(ko)"의 토글로, 4가 설정된다. "こ(ko)-> か(ka)"의 토글로, 재차 0이 설정된다. 즉, 토글 카운터의 값을 참조하는 것으로, 조작 키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 가운데, 표시부 33에 표시해야 할 문자가 특정된다.
단계 S205에 대해, 제어부 35는, 접촉 키 관리 테이블에 근거해, 접촉 키의 압하율이 기억부 34에 기억된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접촉 키의 압하율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단계 S205에서 YES), 단계 S206에서, 변환 후보 제시부 352는, 해당 접촉 키에 대해 접촉 키 관리 테이블을 참조해, 변환 후보 문자열의 리스트를 작성, 이 리스트를 표시부 33에 선택 가능하게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 35는, 단계 S207에서, 터치 패널 31에의 접촉이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오랜 압하라고 판정했을 경우), 단계 S201로 돌아와, 재차, 접촉 위치를 입력 접수 범위에 포함한 조작 키(이하, "접촉 키")를 판정해, 상기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 제어부 35는, 토글 카운터를 참조해 토글 처리를 실시한다. 변환 후보 제시부 352는, 토글 처리 후에 대응하는 문자를 이용해 변환 후보를 작성해,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 35는, 조작 키 후보와 문자 후보를 압하율에 따라 이들에 우선순위를 할당하여 표시하거나, 각 문자 후보의 표시수를 바꾸어 표시할 수 도 있다.
도 21은, 본 구체적인 예 2와 관련되는 휴대단말에 대해 도 19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른 처리를 실시했을 경우의 화면 천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구체적인 예 2의 입력장치에 대해, 유저는, "今から(いまから): (imagara)"라고 입력하기 위해서, "あ(a)행"의 문자를 할당하는 조작 키 "1"에 손가락으로 접촉한다. 이때,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의 손가락은, "か(ka)행"의 문자를 할당한 조작 키 "2"에도 접촉해 버린다고 가정하면, 면적 판정부 351은, 조작 키 "1" 및 "2" 각각의 접촉 면적과 압하율을 산출한다.
계속되어, 제어부 35는, 조작 키 "1" 및 "2" 각각의 키 ID가 접촉 키 관리 테이블에 등록이 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조작 키 "1" 및 "2" 각각의 키 ID가 조작 키 관리 테이블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 35는, 각 조작 키의 키 ID와, 각 조작 키에 대해 산출한 접촉 면적과 압하율을 접촉 키 관리 테이블에 신규로 등록한다. 또, 이때, 접촉 키 관리 테이블에서 조작 키 "1" 및 "2"에 대응하는 토글 카운터는 0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키 "1"의 압하율이 60%, 조작 키 "2"의 압하율이 45%였을 경우, 제어부 35는, 가장 압하율이 높은 조작 키 "1"에 할당된 "あ(a)행"의 문자이며, 접촉 키 관리 테이블에 설정된 토글 카운터의 값 "0"에 대응하는 문자 "あ(a)"를 표시부 33에 표시한다. 이때, 변환 후보 제시부 352는, 도 2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후보 문자 "あ(a)"의 변환 후보 문자열 리스트를 제시함과 함께, 압하율이 40% 이상인 조작 키 "2"에 할당된 "か(ka)행"의 문자이며, 접촉 키 관리 테이블에 설정된 토글 카운터의 값 "0"에 대응하는 문자 "か(ka)"의 변환 후보 문자열 리스트도 제시한다.
터치 패널 31에 대해, 유저에 의한 접촉을 검출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에 접촉이 해제되지 않았던 경우(즉, 오랜 압하가 검출된 경우), 면적 판정부 351은, 재차 접촉 면적을 산출한다. 이때, 유저가 오래 압하하는 동안 손가락의 위치를 약간 움직여, 터치 패널 31에의 접촉 상태가, 도 21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21의 (b)에 나타내는 상태(터치 패널 31에의 접촉이, 조작 키 "1"의 입력 접수 범위에만 포함되는 상태)로 변화하고 있었다고 가정하면, 제어부 35는, 표시부 33에 표시되고 있는 입력 후보 문자 "あ(a)"를, 조작 키 "1"에 할당되고 "あ(a)행"의 문자이며, 접촉 키 관리 테이블에 설정된 토글 카운터의 값 "1"에 대응하는 문자 "い(i)"로 갱신한다. 이때, 변환 후보 제시부 352는, 도 2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후보 문자 "い(i)"의 변환 후보 문자열 리스트만을 제시해, 문자 "か(ka)"의 변환 후보 문자열 리스트의 제시를 종료한다.
이상,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유저에 의한 터치 패널에의 접촉이 복수의 조작 키에 걸쳐 검출되었을 경우에, 접촉 면적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조작 키의 모두에 대해, 그 조작 키에 할당된 문자를 이용하여 변환 후보를 선택 가능하게 제시한다. 즉, 제어부는, 조작이 검출된 조작 부분(조작 키)이 복수 개 있는 경우, 해당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조작 부분(조작 키) 각각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오입력에 의한 문자 수정 등의 수고를 삭감할 수 있어, 문자 입력의 효율이 향상한다. 그리고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조작 부분 각각에 대해, 제 1 실시 형태와 같이 제 2 조작 부분을 특정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는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조작 부분 중 하나를 제 1 실시 형태에서의 제 1 조작 부분과 같이 제 2 조작 부분으로 특정해, 제 2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를 실시한 결과, 문자 입력의 효율이 또한 향상한다.
또, 터치 패널을 이용하고 한편, 복수의 문자를 할당한 조작 키를 오래 압하함으로써, 해당 조작 키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를 토글시켜, 원하는 문자를 입력 후보 문자로서 선택시키는 입력장치에서, 토글에 의해 입력 후보 문자가 바뀔 때, 접촉이 검출된 조작 키에 근거해 변환 후보 문자열의 리스트의 제시를 갱신한다. 즉, 조작 검출부는, 복수의 조작 부분(조작 키)에 대해서 소정 시간을 초과한 조작을 했던 것이 검출되면, 복수의 조작 부분(조작 키)에 대한 조작 상태의 검출을 갱신한다. 제어부는, 갱신된 조작 상태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문자 정보를 갱신한다. 이것에 의해, 항상, 조작 키에 대한 조작 상태에 따라 변환 후보의 리스트가 선택 가능하게 제시되어 오입력에 의한 문자 수정 등의 수고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서, 제어부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대해서 소정 시간을 넘기는 조작을 한 것을 검출하면, 해당 조작 상태의 검출을 갱신해, 조작 상태의 검출이 갱신될 때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을 판정하는 것 같은 제어를 실시해도 괜찮다. 이것에 의해, 변환 후보를 또한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다. 그러나 특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각부의 구체적 구성 등은 설계 변경 가능하다. 또, 각 실시 형태의 구성, 각 구체적인 예의 구성 및 각 변형 예의 구성을 조합하는 것 가능하다. 또, 각 실시 형태, 각 구체적인 예 및 각 변형 예의 작용 및 효과는, 본 발명으로부터 생기는 가장 적합한 작용 및 효과를 열거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작용 및 효과는, 각 실시 형태, 각 구체적인 예 및 각 변형예에 기재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은, 2008년 8월 28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8-220581호, 2008년 9월 26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8-247773호에 근거하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받아들여진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과 관련되는 표시 기기는, 휴대전화기 등의 휴대단말만이 아니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현금 자동 입출금기 등, 터치 패널을 채용한 여러 가지의 표시 기기에 적용할 수가 있다.
10: 휴대단말 11: 안테나
12: 통신부 13: 제어부
14: 기억부 15: 음성 입출력부
15a: 스피커 15b: 마이크로폰
16: 터치 패널 100: 케이스
100F: 표면 101: 구멍부분
102: 구멍부분 161: 유리 기판
162: 필름 163: ITO
164: 스페이서 20: 휴대단말
30: 표시 기기 31: 터치 패널
32: 조작 키 표시부 33: 표시부
34: 기억부 341: 예측 변환 사전 기억부
342: 입력 문자 버퍼 35: 제어부
351: 면적 판정부 352: 변환 후보 제시부

Claims (17)

  1. 표시부;
    각각 다른 문자가 할당되고 서로 인접해 배치되는 복수의 조작 부분;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 및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 검출부는,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상태로서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한 조작 상태의 검출에 근거해,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 중 상기 제 1 조작 부분이 조작됨을 판정하면,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상태에 근거해,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관련된 제 2 조작 부분을 특정하여, 상기 제 2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위치에 근거해, 상기 제 2 조작 부분을 특정하는, 표시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정보로서, 상기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에 대한 문자 변환 후보 또는 문자 입력 예측 후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기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 부분은,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조작 부분인, 표시 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는,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위치와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인접한 조작 부분 사이의 거리에 근거해, 상기 제 2 조작 부분을 특정하는, 표시 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상태로서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범위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조작 범위에 근거해,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을 판정하는, 표시 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조작 범위 중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범위에 근거해 상기 제 2 조작 부분을 특정하는, 표시 기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 및 상기 제 2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다른 모드로 표시하는, 표시 기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는 경우, 상기 제 1 조작 부분 및 상기 제 2 조작 부분 중 하나를 소정의 조작 부분으로서 특정하여, 상기 소정의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조작 부분이 아니고 상기 제 1 조작 부분 및 상기 제 2 조작 부분에 포함되는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의 상기 표시부에의 표시를 억제하는, 표시 기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이 검출될 때마다, 상기 제 2 조작 부분을 특정하고,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와 상기 특정된 제 2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기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조작 부분이 있는 경우, 상기 검출된 복수의 조작 부분 각각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기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이 소정 시간을 초과한 시간 동안 실행되었다고 검출되면,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상태를 갱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갱신된 조작 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문자 정보를 갱신하는, 표시 기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에 근거해 표시된 상기 문자 정보에 대해 수정 이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제 2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에 관한 문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기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표시 기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표시 기기는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과 상기 표시부를 갖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검출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접촉 조작을 검출하는, 표시 기기.
  16. 표시부, 각각 다른 문자가 할당되고, 서로 인접해 배치되는 복수의 조작 부분,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 및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기기에서의 표시 방법으로서,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상태로서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한 조작 상태의 검출에 근거해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 중 상기 제 1 조작 부분이 조작됨이 판정되면,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와,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관련해 특정되는 제 2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위치에 근거해, 상기 제 2 조작 부분을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방법.
  17. 표시부;
    각각 다른 문자가 할당되고 서로 인접해 배치되는 복수의 조작 부분;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 및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한 조작 상태의 검출에 근거해, 상기 복수의 조작 부분 중 제 1 조작 부분이 조작됨을 판정하면,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 상태에 근거해,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관련된 제 2 조작 부분을 특정하여, 상기 제 2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와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제 1 조작 부분에 대한 조작에 근거해 표시된 상기 문자 정보에 대해 수정 이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제 2 조작 부분에 할당된 문자에 관한 문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기기.
KR1020117007097A 2008-08-28 2009-08-28 표시 기기 및 그 표시 방법 KR101240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20581A JP5647393B2 (ja) 2008-08-28 2008-08-28 表示機器および表示方法
JPJP-P-2008-220581 2008-08-28
JPJP-P-2008-247773 2008-09-26
JP2008247773A JP5455343B2 (ja) 2008-09-26 2008-09-26 入力装置
PCT/JP2009/065123 WO2010024416A1 (ja) 2008-08-28 2009-08-28 表示機器およびその表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063A KR20110048063A (ko) 2011-05-09
KR101240088B1 true KR101240088B1 (ko) 2013-03-07

Family

ID=4172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097A KR101240088B1 (ko) 2008-08-28 2009-08-28 표시 기기 및 그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17200B2 (ko)
KR (1) KR101240088B1 (ko)
CN (1) CN102138117A (ko)
WO (1) WO20100244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3914A (ja) * 2010-11-10 2012-05-31 Sony Corp 表示装置、表示用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方法
US10175776B2 (en) * 2010-11-23 2019-01-08 Red Hat, Inc. Keyboard mode selection based on input field type
US9891818B2 (en) * 2010-12-30 2018-0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aptive touch-sensitive displays and methods
CN104185834B (zh) * 2012-03-28 2017-05-1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操作对象的纠错方法及通信终端
JP2015022347A (ja) * 2013-07-16 2015-02-02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05094237A (zh) * 2015-09-28 2015-11-25 淄博环能海臣环保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u形布置触控屏握姿输入自设定键盘智能平板机
JP7218529B2 (ja) * 2018-10-01 2023-02-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遠隔管理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5046A (ja) * 1997-03-31 1998-10-13 Toshiba Corp 単語入力装置及び方法
JP2003150302A (ja) * 2001-11-08 2003-05-23 Sony Corp キー入力装置、キー入力方法、キー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情報端末
JP2007304966A (ja) * 2006-05-12 2007-11-22 Sharp Corp 携帯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50B2 (ja) * 1985-08-07 1995-01-18 株式会社ニコン 情報入力装置
JP2001147938A (ja) 1999-11-24 2001-05-29 Soso Corp 情報検索方法
JP2001236180A (ja) 2000-02-24 2001-08-31 Seiko Epson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押下キー判定方法
JP2001325252A (ja) 2000-05-12 2001-11-22 Sony Corp 携帯端末及びその情報入力方法、辞書検索装置及び方法、媒体
JP3897554B2 (ja) 2001-09-21 2007-03-28 シャープ株式会社 キー入力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DE10257070B4 (de) 2002-12-06 2004-09-16 Schott Glas Verfahren zur automatischen Bestimmung einer gültigen oder ungültigen Tasteneingabe
US20040183833A1 (en) * 2003-03-19 2004-09-23 Chua Yong Tong Keyboard error reduction method and apparatus
US7957955B2 (en) * 2007-01-05 2011-06-07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ord recommendations for text input
US20090024465A1 (en) * 2007-07-20 2009-01-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aptive advertisement placement responsive to search ter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5046A (ja) * 1997-03-31 1998-10-13 Toshiba Corp 単語入力装置及び方法
JP2003150302A (ja) * 2001-11-08 2003-05-23 Sony Corp キー入力装置、キー入力方法、キー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情報端末
JP2007304966A (ja) * 2006-05-12 2007-11-22 Sharp Corp 携帯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4416A1 (ja) 2010-03-04
KR20110048063A (ko) 2011-05-09
US20110181536A1 (en) 2011-07-28
CN102138117A (zh) 2011-07-27
US9317200B2 (en) 201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338B1 (ko) 기호 입력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8605039B2 (en) Text input
KR101240088B1 (ko) 표시 기기 및 그 표시 방법
US20130021256A1 (en) Mobile terminal with touch panel function and input method for same
EP2282252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 character sequence input
WO2010089918A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プログラム
US8589145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ggle of a selected data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WO20101092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input
KR20110104620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EP2116923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US2009010492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entering data on such a device
JP5647393B2 (ja) 表示機器および表示方法
JP2014530423A (ja) 携帯端末における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JP2011081677A (ja) 入力装置
JP5529325B2 (ja) 表示機器及び表示方法
JP4735266B2 (ja) 円形入力デバイスを利用した文字入力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携帯電話機
JP5045446B2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支援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4089503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5136916B2 (ja)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JP5627212B2 (ja) 入力装置
JP2004013376A (ja) 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
JP2006081137A (ja) 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9021844A (ja) モバイル通信デバイス及びその操作方法
KR20150052905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스크린 키패드 제어 방법
KR20090019506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