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800B1 -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 - Google Patents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800B1
KR101238800B1 KR1020110094290A KR20110094290A KR101238800B1 KR 101238800 B1 KR101238800 B1 KR 101238800B1 KR 1020110094290 A KR1020110094290 A KR 1020110094290A KR 20110094290 A KR20110094290 A KR 20110094290A KR 101238800 B1 KR101238800 B1 KR 101238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ing furnace
partition
waste
bottom member
glass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준
김득만
최석모
조현제
박승철
김천우
황태원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4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800B1/ko
Priority to US13/883,789 priority patent/US8718114B2/en
Priority to PCT/KR2012/001134 priority patent/WO2013042840A1/ko
Priority to JP2013543115A priority patent/JP5604012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06Processing
    • G21F9/16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 G21F9/162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in an inorganic matrix, e.g. clays, zeolit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02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in electric furnaces, e.g. by dielectric heating
    • C03B5/021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in electric furnaces, e.g. by dielectric heating by induc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6Crucible or pot furnaces heated electrically, e.g. induction crucible furnaces with or without any other source of heat
    • F27B14/061Induction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10Crucibl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06Processing
    • G21F9/16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0Processing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0Processing
    • G21F9/308Processing by melting the waste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0Processing
    • G21F9/32Processing by incin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urnace Details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 Crucibles And Fluidized-Bed Furnaces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 형상의 용융로의 내부에 수용된 폐기물을 유리화되도록 용융시키는 유도 코일부재가 구비된 용융로에 있어서, 상기 용융로의 하부에 구비되되, 바닥에 형성된 유리배출구 방향으로 비대칭되게 경사진 바닥부재; 및 상기 바닥부재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냉각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용융로의 바닥이 비대칭 경사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용융로 내부의 폐기물이 완전히 용융되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어 저감되는 시간 및 비용에 따른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인 절연물질로 인해 전기 아크 발생으로 인한 전기적 피해를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INDUCTION MELTER HAVING ASYMMETRIC SLOPED BOTTOM}
본 발명은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융로의 바닥이 비대칭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용융로 내부의 폐기물이 완전히 용융되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구성요소인 절연물질로 인해 전기적 피해를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는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는 운전 및 정비시 발생되는 방호복, PVC, 비닐시트 등의 폐기물과 폐 이온교환수지, 붕산폐액, 슬러리 및 건조물 등을 유도전류가열식 용융로에 동시에 투입하여 환경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리고화체를 만들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사성폐기물 드럼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도가열식 저온용융로(Cold Crucible Induction Melter, CCIM)는 내부에 수용된 폐기물을 유리화(Vitrification)시키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선행기술문헌들의 예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348746호의 폐기물처리장치”,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470730호의 폐기물의 용융소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융소각방법”,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0397호의용융로의 출탕장치 및 용탕 가열장치등이 있다.
종래의 용융로(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성 및 비방사성 등의 폐기물이 내부에 수용된다.
용융로(10)는 바닥부재(20)가 하부에 구비되어 용융로(10)에 수용된 폐기물이 용융되어 바닥부재(20)의 중앙에 형성된 유리 배출구(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폐기물이 용융되도록 용융로(10)의 외부 둘레에는 유도 코일부재(30)가 둘러싸이게 된다.
유도 코일부재(30)는 용융로(10)의 외부 둘레에 둘러싸인 상태에서 전력을 공급함으로 용융로(10)에 수용된 폐기물이 용융된다.
그러나, 종래의 용융로는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호퍼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된 용융물이 완전히 용융되지 않음으로 외부로 배출되는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융되지 않은 용융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데 별도의 장치가 요구됨으로 시간 및 비용이 증가되는데 따른 비효율적인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융로의 바닥이 비대칭 경사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용융로 내부의 폐기물이 완전히 용융되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구성요소인 절연물질로 인해 전기적 피해를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는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원통형 형상의 용융로의 내부에 수용된 폐기물을 유리화되도록 용융시키는 유도 코일부재가 구비된 용융로에 있어서, 상기 용융로의 하부에 구비되되, 바닥에 형성된 유리배출구 방향으로 비대칭되게 경사진 바닥부재; 및 상기 바닥부재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냉각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재는: 다각형 형상으로 다수를 가지면서 소정의 간격을 갖는 구획부; 및 상기 구획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물질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부는 모서리가 라운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는 유리배출구의 위치에 따라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융로의 바닥이 비대칭 경사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용융로 내부의 폐기물이 완전히 용융되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어 저감되는 시간 및 비용에 따른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인 절연물질로 인해 전기 아크 발생으로 인한 전기적 피해를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용융로의 일부분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의 일부분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의 내부에 형성되는 자기장분포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로의 외부 둘레에 유도 코일부재가 둘러싸는 것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재의 다수의 구획부에 절연물질부가 충진되는 것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용로의 외부 둘레에 둘러싸는 유도 코일부재로부터 전류가 발생되는 것입니다.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로(100), 바닥부재(200), 유도 코일부재(300) 및 냉각부재(400)를 포함한다.
용융로(100)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방사성 및 비방사성 등의 폐기물이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용융로(100)는 용융시키기 위한 폐기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수용된 폐기물을 밀폐시키기 위한 덮개로 이루어진다.
바닥부재(200)는 용융로(100)의 하부에 구비되되, 바닥부재(200)의 바닥에 형성된 유리배출구(23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바닥부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배출구(23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 일정한 점성을 가지는 폐기물 및 이물질이 자중에 의해 유리배출구(230) 방향으로 흘러서 내려가 외부로 배출된다.
바닥부재(200)는 다각형 형상의 구획부(210)가 다수를 가지면서 소정의 간격을 갖는다.
구획부(210)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졌으나, 주로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필요에 따라 부채꼴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구획부(210)는 일단부가 유선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마주보는 다른 일단부도 유선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부의 유선형이 상호 마주보는 다른 일단부의 유선형보다 길게 형성된다.
일단부에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구획부(210)는 다른 일단부의 유선형에 각각 직선으로 연결시킨다.
구획부(210)는 모서리가 라운드로 이루어져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절연물질부(220)와 함께 전기 아크 발생이 차단되어 전기적 피해를 최소화시킨다.
구획부(210)는 유리배출구(230)의 위치에 따라 방사형으로 구비된다.
절연물질부(220)는 구획부(210)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물리적, 화학적 및 열적으로 안정된 재질인 세라믹계로 이루어진다.
구획부(210)는 유리배출구(23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절연물질부(220)가 구획부(210)의 사이에 충진됨으로 구획부(210)들 간이 격리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바닥부재(200)로 인해 용융로(100)의 내부에 용융된 폐기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냉각부재(400)는 바닥부재(200)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되, 바닥부재(200)의 구획부(210)에 각각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냉각부재(400)는 "
Figure 112011072789111-pat00001
"형 형상으로 다수로 이루어져 냉각부재(400)의 일단부가 구획부(210)의 외측 일단부에 구비되고, 상호 마주보는 냉각부재(400)의 다른 일단부는 격리된 다른 구획부(210)의 외측 일단부에 구비된다.
구획부(210)는 별도의 냉각수 유출입구를 구비하여 별도로 냉각되도록 하여 냉각 효율성 및 용융로(100) 전체적인 구조를 감안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냉각부재(400)로 인해 냉각수가 유입되어 각각의 구획부(210)에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유도 코일부재(300)는 용융로(100)의 내부에 수용된 폐기물을 용융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용융로(100)의 외부 둘레에 구비된다.
유도 코일부재(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되는 전력으로 인해 용융로(100)의 내부에 수용된 폐기물을 용융시킨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도 코일부재(300)는 100 kHz 이상의 높은 주파수에서 전류가 순환하게 되는데, 순환하는 전류의 범위가 용융로(100)의 바닥부재(200)에까지 미치게 된다.
순환되는 전류로 인해 바닥부재(200)의 표면에 안착되는 폐기물 및 이물질 등이 덩어리 없이 완전히 용융되어 유리배출구(230)로부터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유도 코일부재(300)로 인해 용융로(100)의 내부에 수용된 폐기물이 덩어리 없이 완전히 용융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의 사용상태 및 작동상태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을 유리화되도록 사용되는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는 바닥부재(200)와 유도 코일부재(300)가 표준화되어 미리 공장에서 모듈화한 것으로 현장에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용융로(100)는 용융시키기 위한 폐기물이 내부에 순차적으로 쌓이게 된다.
유도 코일부재(300)는 용융로(100)의 외부 둘레에 구비된 상태에서 전력이 공급되어 용융로(100)의 내부에 수용된 폐기물을 용융시킨다.
용융된 폐기물은 바닥부재(200)의 바닥에 형성된 유리배출구(230)방향으로 흘러서 내려가 외부로 배출된다.
유도 코일부재(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로(100)의 내부에 수용된 폐기물이 완전히 용융되도록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유도 코일부재(300)는 바닥부재(200) 전체에 가해지는 전력으로 인해 용융로(100)의 내부에 수용된 폐기물이 덩어리 없이 완전히 용융됨으로 유리배출구(230)에 막힘없이 배출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용융로의 바닥이 비대칭 경사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용융로 내부의 폐기물이 완전히 용융되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어 저감되는 시간 및 비용에 따른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인 절연물질로 인해 전기 아크 발생으로 인한 전기적 피해를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다.
100 : 용융로 200 : 바닥부재
210 : 구획부 220 : 절연물질부
230 : 유리배출구 300 : 유도 코일부재
400 : 냉각부재

Claims (4)

  1. 원통형 형상의 용융로의 내부에 수용된 폐기물을 유리화되도록 용융시키는 유도 코일부재가 구비된 용융로에 있어서,
    상기 용융로의 하부에 구비되되, 바닥에 형성된 유리배출구 방향으로 비대칭되게 경사진 바닥부재; 및
    상기 바닥부재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냉각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부재는,
    다각형 형상으로 다수를 가지면서 소정의 간격을 갖는 구획부; 및
    상기 구획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물질부; 를 포함하는 유리배출구 방향으로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모서리가 라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배출구 방향으로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유리배출구의 위치에 따라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배출구 방향으로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
KR1020110094290A 2011-09-19 2011-09-19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 KR101238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290A KR101238800B1 (ko) 2011-09-19 2011-09-19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
US13/883,789 US8718114B2 (en) 2011-09-19 2012-02-15 Induction melting furnace having asymmetrical sloping bottom
PCT/KR2012/001134 WO2013042840A1 (ko) 2011-09-19 2012-02-15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
JP2013543115A JP5604012B2 (ja) 2011-09-19 2012-02-15 非対称傾斜型底を持つ誘導加熱式溶融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290A KR101238800B1 (ko) 2011-09-19 2011-09-19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8800B1 true KR101238800B1 (ko) 2013-03-04

Family

ID=47914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290A KR101238800B1 (ko) 2011-09-19 2011-09-19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18114B2 (ko)
JP (1) JP5604012B2 (ko)
KR (1) KR101238800B1 (ko)
WO (1) WO201304284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4102A (en) * 1993-07-06 1996-10-08 Doryokuro Kakunenryo Kaihatsu Jigyodan Glass melting treatment method
KR20020050331A (ko) * 2000-12-21 2002-06-27 최양우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시스템
KR20040018856A (ko) * 2002-08-27 2004-03-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유리화 장치 및 공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08694C2 (de) * 1981-03-07 1986-03-20 Deutsche Gesellschaft für Wiederaufarbeitung von Kernbrennstoffen mbH, 3000 Hannover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radioaktiven Abfall enthaltenden Glaskörpern
JPS5918322B2 (ja) * 1981-05-28 1984-04-26 株式会社ニコン ガラスの連続溶解炉
JP2581837B2 (ja) * 1990-10-25 1997-02-12 動力炉・核燃料開発事業団 溶融炉
US5188649A (en) 1991-08-07 1993-02-23 Pedro Buarque de Macedo Process for vitrifying asbestos containing waste, infectious waste, toxic materials and radioactive waste
US5340372A (en) 1991-08-07 1994-08-23 Pedro Buarque de Macedo Process for vitrifying asbestos containing waste, infectious waste, toxic materials and radioactive waste
US6097750A (en) * 1997-12-31 2000-08-01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oslag refining hearth
EP1227278A3 (en) 1998-10-12 2002-08-07 Nkk Corpora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KR100392503B1 (ko) 2000-12-20 2003-08-1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저항 발열체를 이용한 가연성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유리화용 저온 용융로의 초기 점화 수단
JP4501285B2 (ja) * 2001-02-05 2010-07-14 株式会社Ihi ガラス溶融炉
KR100470730B1 (ko) 2001-02-12 2005-02-21 주식회사 자원리싸이클링 연구소 폐기물의 용융소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융소각방법
JP2003039048A (ja) * 2001-04-25 2003-02-12 Fuji Electric Co Ltd 焼却灰溶融処理方法及び装置
TWI271500B (en) 2002-07-26 2007-01-21 Nissei Ltd Molten material discharge device and molten material heating device of a molten furnace
JP3848302B2 (ja) * 2003-06-04 2006-11-22 核燃料サイクル開発機構 ガラス溶融炉及びその運転方法
US20060291529A1 (en) * 2005-05-26 2006-12-28 Haun Robert E Cold wall induction nozzle
JP4496356B2 (ja) * 2006-05-12 2010-07-07 独立行政法人 日本原子力研究開発機構 導電性沈殿物を抜き出すための炉内構造物を有するガラス溶融炉及びこれを用いた高レベル放射性廃液のガラス固化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4102A (en) * 1993-07-06 1996-10-08 Doryokuro Kakunenryo Kaihatsu Jigyodan Glass melting treatment method
KR20020050331A (ko) * 2000-12-21 2002-06-27 최양우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시스템
KR20040018856A (ko) * 2002-08-27 2004-03-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유리화 장치 및 공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04012B2 (ja) 2014-10-08
WO2013042840A1 (ko) 2013-03-28
JP2014505862A (ja) 2014-03-06
US8718114B2 (en) 2014-05-06
US20130266037A1 (en)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4701A (en) Melting furnace for treating wastes and a heating method of the same
CN101405231B (zh) 熔体的温度操控方法
JP4691710B2 (ja) 廃棄物ガラス固化処理用電気溶融炉
CN203550552U (zh) 金属熔融炉用涡流室体及使用该涡流室体的金属熔融炉
CN103597307A (zh) 金属熔融炉用涡流室体及使用该涡流室体的金属熔融炉
JP3848302B2 (ja) ガラス溶融炉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340877B1 (ko) 외부냉각유로를 이용한 저온용융로 및 금속섹터 조립체
KR101238800B1 (ko) 비대칭 경사형 바닥을 갖는 유도가열식 용융로
JP5769656B2 (ja) 冷却流が改善された低温溶融炉及び金属セクター
JP2010005647A (ja) アルミニウム急速溶解炉及びアルミニウム溶解炉付溶解炉システム
CN108177990B (zh) 液晶玻璃熔炉加料机
KR101569758B1 (ko) 금속섹터를 갖는 복합용융로 장치
CN114111347A (zh) 熔融炉和放射性废物熔融处理设备
US10861613B2 (en) Plasma furnace
RU2737663C1 (ru) Индукционная печь с холодным тиглем для остекловывания ВАО
CN203061283U (zh) 电炉废弃物循环利用系统
JP4308157B2 (ja) 放射性廃棄物溶融炉
CN210082173U (zh) 一种亚克力板原料加工用加热装置
CN106282594B (zh) 磁控电弧扫描式冷床熔炼装置
JP2568010Y2 (ja) ガラス溶融炉
JP5659184B2 (ja) 溶融炉の酸素供給装置
KR101606982B1 (ko) 전기로 버너 장치
JP2005083913A (ja) ガラス溶融炉の底部電極
JP2010189240A (ja) ガラス溶融炉
JPH04161897A (ja) 溶融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8